KR20180046831A -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회복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회복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6831A
KR20180046831A KR1020160166775A KR20160166775A KR20180046831A KR 20180046831 A KR20180046831 A KR 20180046831A KR 1020160166775 A KR1020160166775 A KR 1020160166775A KR 20160166775 A KR20160166775 A KR 20160166775A KR 20180046831 A KR20180046831 A KR 20180046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test
milk
group
lactobacil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5482B1 (ko
Inventor
강상모
김기숙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46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5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5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장벽 회복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은 목 또는 안면 피부의 수분보유량 및 유분보유량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TEWL(trans epidermal water loss) 및 피부 온도를 감소시키며, 피부의 멜라닌 지수, 홍반 지수 및 피부 거칠기를 감소시키고 피부 탄력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 및 피부의 노화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회복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recovering damaged skin barriers and improving aged skin comprising Lactobacillus rhamnosus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손상에 따른 피부 건조증, 피부 과각화, 피부 소염증, 피부의 과도한 땅김 및 피부의 화끈거림 등을 개선하거나, 피부의 노화양상인 피부 푸석함, 피부 색소침착, 홍반, 피부 거칠음, 피부 처짐, 탄력저하 및 피부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체액의 외부 유출과 세균 등의 피부 유해물질의 침투를 방어하는 신체의 역동적인 기관으로(Madison, 2003), 특히 표피(epidermis)는 피부의 장벽기능을 중심적으로 담당하고 있다(서영준, 2009). 중층편평상피(the squamous stratified epithelium) 구조를 가진 표피의 기저층에서는 세포분열 및 분화를 통해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를 끊임없이 생산하고(Yuki et al., 2007), 각질세포(corneocyte)는 유극층과 과립층을 지나면서 각질세포외막(cornified cell envelope)을 형성하여 내부로는 각질세포들 간 교차결합(crosslink)을, 각질층(Stratum corneum)에서는 각질세포 간 지질과 공유결합(covalent bond)을 이루어 구조적으로 완벽한 피부장벽을 형성하게 된다(황상민 등, 2001). 각질세포와 세포 간 지질은 각질교소체(corneodesmosome)에 의해 층판이중막 구조(bricks and mortar)를 이루면서(Madison, 2003)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함께 수분을 공급할 뿐 아니라 수분소실도 방지하여 투과장벽기능(funcional permeability barrier)을 수행하며, UV filtering 및 각질층의 pH 조절 등을 통해 외부 유해물질에 대한 항균장벽기능도 담당한다(이승헌, 정태석, 1999). 또한 과립층과 유극층 상부에 분포된 치밀 이음(tight junction; TJ)은 세포 간 부착기능과 다양한 조절작용을 하다가(Schneeberger & Lynch, 2004) 각질층의 장벽 이상 시에는 피부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침입으로부터 방어하며, TJ의 단백질 발현이 증가되면서 세포 공간 간 수분과 물질 이동을 차단하는 2차 투과장벽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Benedetto et al., 2010).
이렇게 완벽해 보이는 피부장벽도 외부환경에 항상 노출되어 있으므로 만성적인 자외선, 열 및 자극적인 도포제 등의 물리·화학적 손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는 없다(서영준, 2009). 스트레스로 인한 당질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의 증가, 사이토카인(cytokine)의 만성적 발현 그리고 노화 등의 내부요인이나, 심지어는 필수지방산이 결핍된 음식물의 장기섭취에도 장벽기능은 약화되거나 손상될 수 있다(김도원, 2006).
연령의 증가로 나타나는 내인성 노화(intrinsic aging)와 만성적 자외선 노출에 의한 광노화(photoaging) 등의 외인성 노화(extrinsic aging)가 중첩되어 나타나는 피부노화(이정덕, 2006; Glogau, 1997)가 진행되면, 피부에 기능적, 구조적 그리고 생화학적 변화가 나타나면서, 형태학적으로 표피의 두께, 거칠기, 주름의 깊이 그리고 색소침착의 형태 등에서 각기 다른 양상을 보이기는 하나, 전반적으로 표피의 투과 능력과 면역기능이 저하되고 심한 건조증이 나타나게 된다(이정덕, 2006).
구체적으로 진피표피경계부(dermal-epidermal junction)의 볼륨이 점차 평평해지며(Fenske & Lober, 1986) 표피와 진피간의 힘을 전달하는 마크로피브릴(macro fibril)이 감소한다(Kadoya et al., 2005). 이러한 이유로 피부의 탄력성뿐 아니라 피부가 처지고 피부에 분포되어 있는 모세혈관이 확장되거나 약해지게 된다(여운철, 이무형, 2006). 게다가 진피 내의 세포외 물질(extracellular matrix; ECM)인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과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HA)의 농도가 감소하는데다 표피의 TEWL마저 증가하여 진피와 표피의 수화도가 떨어지게 된다. 또한 각질형성세포의 생성 및 교체율이 감소하여 궁극으로 각질세포의 각화주기가 지연되면서(이희경 등, 2006) 피부는 거칠어지게 된다. 랑게르한스 세포는 감소하고 멜라닌형성세포(melanocyte)의 성숙과 분산은 고르지 않아 면역기능 감소로 염증에 대한 감수성이 증가하며 피부 톤도 곱지 않게 된다(Weiss et al., 2002; 김진명 등, 2010).
더구나 광노화는 세포 내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수준을 증가시켜 피부의 산화방어기능을 손상시키는데다(Glogau, 1997), 세포 외 기질단백을 분해하는 MMPs(matrix metalloproteinases) 단백질 양의 증가 및 지질의 과산화 등을 야기하여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의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및 사슬절단, HA 사슬절단 등이 동반되면서(김기영 등, 2004) 피부세포 손상은 심화된다.
한편 우유는 균형 잡힌 영양소의 보고로, 우유의 단백질은 칼슘(Ca2 +)의 점막 세포내 흡수를 촉진시키고 진정작용을 하며, 유지방에 함유된 지용성비타민, 그리고 vitamin B군은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켜 준다(김거유 등, 2011). 유지방의 지방산들은 항균 및 피지분비를 조절하여 피부의 유연함과 피부의 면역기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Nakatsuji et al., 2010). 또한 유지방에는 인지질인 레시틴(lecithin)과 당지질인 강글리오사이드(ganglioside)도 미량 함유되어 있어 면역력 강화, 세포활성 작용 등의 기능을 하게 된다(Fox & McSweeney, 2007). 특히 유지방구의 크림층인 유크림(milk cream)에서는 이러한 유지방의 레시틴 등 지용성 영양분과 항 피부염 물질이 월등히 증가되어(김거유 등, 2011; 정광용, 2011), 피부의 항염 및 항산화작용에도 이바지한다.
우유나 유크림이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 LAB) 발효과정을 거치면 항산화 작용은 물론 피지조절 및 보습을 유도하며 혹은 혈관을 튼튼히 하는 물질들이 생성되고(강태진, 2009) Ca2 +농도의 증가 및 흡수가 촉진된다(김거유 등, 2011; 정광용, 2011). 또한 유산균 배양액의 구성성분은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 성분과 유사하여 보습을 유도할 뿐 아니라 피부에 윤기를 부여한다(문홍석, 2001; 강태진, 2009).
특히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산생성력 및 항생능이 탁월하여 면역체계에 도움을 주며(Silva et al., 1987), 인체독성도 매우 낮다(Princea et al., 2012). 게다가 항산화 메커니즘(antioxidative properties)을 지니고 있어, 피부에 적용하였을 경우 항 피부염 치료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졌다(Korpela et al., 1997; Marschan et al., 2008). 특히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파쇄물이 다른 LAB에 비해 항산화력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고(최우석 등, 2013), 발효된 우유에서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세포 내 pH를 조절해 세포 생존력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도움이 된 연구도 진행되는(방미선 등, 2015) 등, 그동안 수많은 국내외 연구에서는 우유나 유산균에 대한 피부의 유효성 연구는 피부세포에 적용하거나 동물피부에 적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그 효능을 입증해 왔으나, 유크림을 발효기질로 사용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장벽 회복과 노화피부 양상 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으며, 피부장벽 회복과 노화피부 양상을 개선하는데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우유의 영양 물질이 농축된 유크림을 발효기질로 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이 발효과정에서 활성화된 유지방의 지방산과 유기산, 지용성 영양분들이 복합 작용하여 NMF의 안정을 도모하고, 칼슘기울기의 항상성을 유지시켜 결과적으로 피부장벽 손상에 따른 피부 건조증, 피부 과각화, 피부 소염증, 피부의 과도한 땅김 및 피부의 화끈거림을 개선하고, 피부의 노화양상인 피부 푸석함, 피부 색소침착, 홍반, 피부 거칠음, 피부 처짐, 탄력저하, 피부 주름에 대한 유의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크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피부장벽 보호 또는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용, 그리고 피부노화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식품과학회(편). (2008) 식품과학기술대사전. 서울, 광일출판사 홍세정, 김금란. (2011) 천연화장품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예술학회지, 5(2), 57-64 황상민, 안성구, 이승헌. (2001) 표피 칼슘기울기 변화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과학회지, 39(4), 389-401 Fox PF and McSweeney PLH. 전우민, 강신호, 김세헌, 문용일, 박동준, 임지영, 한경식 역. (2007) 우유와 유제품의 생화학. 서울, 라이프사이언, pp. 62-361 Alam M, White LE, Martin N, Witherspoon J, Yoo S and West DP. (2010) Ultrasound tightening of facial and neck skin: A rater-blinded prospective cohort study. J. Am. Acad. Dermatol., 62(2), 262-269 Andersen JL, Gniadecka M, Olivarius FF, Dahlstrom K and Wulf HC. (1998) Skin temperature of UV-induced erythema correlated to laser Doppler flowmetry and skin reflectance measured redness. Skin Res Technol, 4(1), 41?48 Barlow T and Wiechers J. (1999) Measuring skin hydration. Cosmetics & Toiletries, 114(12), 47-53 Benedetto A, Rafaels NM, McGirt LY, Ivanov AI, Georas SN, Cheadle C, Berger AE, Zhang K, Vidyasagar S and Yoshida T et al. (2011) Tight junction defects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127(3), 773-786(e7) Buraczewska I, Berne BM, Lindberg HT and Loden M. (2007) Changes in skin barrier function following long-term treatment with moisturiz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 J. Dermatol., 156(3), 492?498 Chen Z, Seo JY, Kim YK, Lee SR, Kim KH, Cho KH, Eun HC and Chung JH. (2005) Heat Modulation of Tropoelastin, Fibrillin-1,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2 in Human Skin In Vivo. J. Invest. Dermatol., 124(1), 70-78 Elisa PM and Menon GK. (1991) Structural and lipid biochemical correlates of the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Adv. Lipid Res., 24, 1-26 Glogau RG. (1997) Phygiologic and structural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skin. Dermatol Clin, 15(4), 555?559 Kurban RS and Bhawan J. (1990) Histologic Changes in Skin Associated with Aging. J Dermatol Surg Oncol, 16(10), 908-914 Lu R, Fasano S, Madayiputhiya N, Morin N, Nataro J and Fasano A. (2009)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mall bioactive peptides from Lactobacillus GG conditional media that exert both anti-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cidal activity.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49(1), 23-30 Madison KC. (2003) Barrier Function of the Skin: "La Raison d'Etre" of the Epidermis. J. Invest. Dermatol., 121(2), 231-241 Marschan E, Kuitunen M, Kukkonen K, Poussa T, Sarnesto A, Haahtela T, Korpela R, Savilahti E and Vaarala O. (2008) Probiotics in infancy induce protective immune profiles that are characteristic for chronic low-grade inflammation. Clin. Exp. Allergy, 38(4), 611-618 Marzio L, Centi C, Cinque B, Masci S, Giuliani M, Arcieri A, Zicari L, De Simone C and Cifone MG. (2003) Effect of the lactic acid bacterium Streptococcus thermophilus on stratum corneum ceramide levels and signs and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patients. Exp. Dermatol., 12(5), 615-620 Nakatsuji T, Kao MC, Zhang L, Zouboulis CC, Gallo RL and Huang CM. (2010) Sebum Free Fatty Acids Enhance the Innate Immune Defense of Human Sebocytes by Upregulating β-Defensin-2 Expression. J. Invest. Dermatol., 130(4), 985?994 Rabe JH, Mamelak AJ, McElgunn PJS, Morison WL and Sauder DN. 2006 Photoaging: mechanisms and repair. J. Am. Acad. Dermatol., 55(1), 20-21 Schneeberger EE and Lynch RD. (2004) The tight junction: a multifunctional complex. Am. J. Physiol. Cell Physiol., 286(6), 1213-1228 Sørensen LH, Pedersen KT and Maibach HI. (1993) Equation for conversion of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to a common reference temperature: what is the slope?. Contact Derm., 29(5), 280-281 Spencer T.S. (1976) Water and the horny layer. J Soc Cosmet Chem, 27, 63-72 Thune P, Nilsen T, Hanstad IK, Gustavsen T and Lovig DH. (1988) The water barrier function of the skin in relation to the water content of stratum corneum, pH and skin lipids. The effect of alkaline soap and syndet on dry skin in elderly, non-atopic patients. Acta Derm. Venereol, 68(4), 277-283 Yuki T, Haratake A, Koishikawa H, Morita K, Miyachi Y and Inoue S. (2007) Tight junction proteins in keratinocytes: localization and contribution to barrier function. Exp. Dermatol., 16(4), 324-330 Zhang L, Seitz LC, Abramczyk AM and Chan C. (2010) Synergistic effect of cAMP and palmitate in promoting altered mitochondrial function and cell death in HepG2 cells. Exp. Cell Res., 316(5), 716-727
본 발명의 목적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손상에 따른 피부 건조증, 피부 과각화, 피부 소염증, 피부의 과도한 땅김 및 피부의 화끈거림 등을 개선하거나, 피부의 노화양상인 피부 푸석함, 피부 색소침착, 홍반, 피부 거칠음, 피부 처짐, 탄력저하 및 피부 주름을 개선하기 위한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우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우유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포함하는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은 안면 또는 목 피부의 수분보유량 및 유분보유량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TEWL(trans epidermal water loss) 및 피부 온도를 감소시키며, 피부의 색소 침착, 홍반, 피부 거칠기 및 탄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장벽 보호용 또는 손상된 피부장벽의 회복용, 및 피부노화를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의 안면 피부의 수분보유량, 유분보유량, TEWL 및 피부표면온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의 안면 피부의 멜라닌, 홍반, 거칠기 및 탄력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크림 발효액을 처리한 임상 대상자의 시험 전후 안면 피부 변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의 목 피부의 수분보유량, 유분보유량, TEWL, 멜라닌, 거칠기 및 탄력도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크림 발효액을 처리한 임상 대상자의 시험 전후 목 피부 변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는 계통학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로 분류되는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고, human face, human mouth 등 human 유래 및 milk, cheese 등 milk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 KCTC 3237, KCTC 5046, KCTC 5510, KCCM 11320, KCCM 32823, KCCM 32826, KCCM 40069, ATCC 9595, ATCC 14957, ATCC 21052, KCTC 10965BP 또는 RA-32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발효액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배양 배지에서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 배양 농축액, 배양액의 건조물, 배양 여과액, 농축 배양 여과액, 또는 배양 여과액의 건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것 또는 배양한 후 균주를 제거한 배양여액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양물은 그 제형이 한정되지 아니하고, 일 예로 액체, 에멀젼, 또는 고체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효액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MRS 배지에 배양한 발효액, 또는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우유 또는 유크림(milk cream)에 접종하여 배양한 발효액인 것이 바람직하며, 하기와 같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전배양하여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을 MRS, 우유 또는 유크림에 접종하고 35 ~ 40℃, 60 내지 80 시간 본 배양하여 우유 발효액 또는 유크림 발효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의 배양액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를 배양 배지(MRS broth)에서 배양하여 수득한 배양액, 농축 배양액, 배양액의 건조물, 배양 여과액, 농축 배양 여과액, 또는 배양 여과액의 건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것 또는 배양한 후 균주를 제거한 배양 여액일 수 있다.
상기 단계 2)의 우유는 무지방 우유, 유지방 함량이 3 중량부 이하로 첨가된 저지방 우유, 유지방 우유 또는 탈지유일 수 있고, 상기 유크림은 원유 또는 우유에서 분리한 유지방분 3 중량부 이상 포함된 유크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2)의 배양은 35 ~ 40℃, 60 내지 80 시간 정치배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6 ~ 38℃, 65 내지 75 시간 정치배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6 ~ 38℃, 72 시간 정치배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부는 장벽이 손상된 피부이거나 노화 양상이 나타난 피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 바람직하게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크림 발효액은 안면 또는 목 피부의 수분보유량 및 유분보유량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TEWL(trans epidermal water loss) 및 피부 온도를 감소시키며, 피부의 색소 침착, 홍반, 피부 거칠기 및 탄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피부장벽 손상에 따른 피부 변화 양상은 피부 건조증, 피부 과각화, 피부 소염증, 피부의 과도한 땅김 및 피부의 화끈거림 등이 있고, 피부의 노화양상은 피부 푸석함, 피부 색소침착, 홍반, 피부 거칠음, 피부 처짐, 탄력저하, 피부 주름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우유 또는 유크림 발효액을 이용하여 토너, 로션 등의 제형을 각각 제조하였다(표 1 내지 4 참조).
또한, 본 발명자 여성을 대상으로 임상 시험군을 모집한 후, 시험 전, 시험의 정확성을 위하여, 시험 전 임상 대상자의 피부 상태 동질성을 확인한 결과, 각 시험 군 간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아, 동질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표 5, 표 6, 표 7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의 피부 장벽 회복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임상 대상자에게 적용한 후, 수분보유량, 유분보유량, TEWL 및 피부 온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은 안면 피부의 수분보유량 및 유분보유량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TEWL 및 피부 온도를 감소시키며, 특히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크림 발효액은 현저한 피부 장벽 회복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표 8 내지 19, 및 도 1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의 노화된 피부의 대표적인 양상으로 나타나는 피부 색소침착, 홍반, 피부 거칠기 및 탄력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임상 대상자의 안면 및 목 피부에 적용한 후, 멜라닌지수, 홍반지수, 거칠기 및 탄력도 변화를 확인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은 피부의 색소 침착, 홍반 및 탄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크림 발효액은 현저한 피부 안색 및 탄력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 및 도 3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의 목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임상 대상자에게 적용한 후, 목 피부의 수분보유량, 유분보유량, TEWL, 멜라닌, 거칠기 및 탄력도를 측정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은 수분보유량 및 유분보유량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TEWL을 감소시키며, 피부의 색소 침착, 홍반 및 탄력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크림 발효액은 현저한 목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4 및 도 5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은 목 또는 안면 피부의 수분보유량 및 유분보유량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TEWL 및 피부 온도를 감소시키며, 피부의 색소 침착, 홍반 및 탄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장벽 회복용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때에는 화장수, 에멀젼, 크림, 에센스, 젤, 팩 및 클렌징크림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초 화장료; 화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화장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상기 기재한 성분들 이외에 일반 피부화장료에 배합되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을 필요에 따라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화장수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액 이외에 다가알콜류(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1∼10 중량% 및 계면활성제(폴리에틸렌올레일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0.05∼2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영양화장수 및 영양크림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액 이외에 오일류(스쿠알란, 바셀린, 옥틸도데칸올 등) 5∼20 중량% 및 왁스성분(세탄올, 스테아릴알콜, 밀납 등) 3∼15 중량%를 함유하도록 제조할 수 있으며, 에센스는 본 발명에 따른 발효액 이외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의 다가알콜류 5∼3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할 수 있다. 마사지 크림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액 이외에 유동파라핀, 바셀린, 이소노닐이소노나노에이트 등의 오일 30∼70 중량%를 함유하여 제조되며, 팩은 본 발명에 따른 발효액 이외에 폴리비닐알콜 5∼20 중량%를 함유하는 필 오프(peel off) 팩 또는 일반유화형 화장료에 본 발명에 따른 균주 배양액 이외에 카올린, 탈크, 산화아연, 이산화티탄 등의 안료가 5∼30 중량% 함유된 워시오프(wash off) 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은 목 또는 안면 피부의 수분보유량 및 유분보유량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TEWL 및 피부 온도를 감소시키며, 피부의 색소 침착, 홍반 및 탄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장벽 회복용 또는 노화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피부장벽 회복 또는 노화 피부 개선을 위하여, 적합한 외용제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이 환부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연고제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고제는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무기물질과 배합한 다음, 이를 지용성 기제로 코팅하여 제조한다. 상기 무기물질은 항균성, 소염효과, 표피재생 효과 등이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구체적인 예로는 산화아연, 탄산아연, 산화철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안전하게 함침할 수 있는 세라믹 담체를 추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라믹 담체로는 제올라이트, 활석, 석고, 모려분 및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세라믹 담체는 수용성 성분의 함침성이 우수하여 피부에 수용성 성분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회복용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을 유크림에 접종하여 제조된 발효액은 목 또는 안면 피부의 수분보유량 및 유분보유량을 증가시키고, 피부의 TEWL 및 피부 온도를 감소시키며, 피부의 색소 침착, 홍반 및 탄력을 개선하는 현저한 효과를 나타내므로, 피부장벽 회복용 및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또는 피부 외용제로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이의 배양액 및 이의 발효액의 준비
<1-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및 이의 배양액의 준비
MRS 배지 1ℓ에 전배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균주(기탁번호 KCTC 5033) 1× 106 cfu/㎖를 접종한 후, 항온조건 37℃로 24시간 전 배양을 하였다.
<1-2>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 발효액의 준비
MRS broth를 본 배양 배지로 사용한 경우, 전 배양한 L. rhamnosus 배양액을 1% 접종 후 37℃에서 72시간 배양하여 MRS 균주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또한, 우유와 유크림을 본 배양 배지로 사용한 경우에는 120℃에서 20분간 살균 후, 전 배양한 L. rhamnosus 배양액 1%를 접종하고 항온조건 37℃로 72시간 배양하여 각각 우유 발효액 및 유크림 발효액을 수득하였다.
<1-3> 다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유크림 발효액의 제조
상기 <1-2>와 동일한 방법으로 유크림에 전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KCTC 5033(B2), KCTC 3237(D1), KCTC 5046(D2) KCTC 5510(D3), KCCM 11320(D4), KCCM 32823(D5), KCCM 32826(D6), KCCM 40069(D7), ATCC 9595(D8), ATCC 14957(D9), 또는 ATCC 21052(D10), KCTC 10965BP(D11) 또는 RA-32(D12) 배양액 1%를 접종하고 항온기(C-IND, Changshin science, Korea)에서 항온조건 37℃로 72시간 배양하여 유크림 람노서스 발효액을 수득하였다.
< 실시예 2>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시 험군의 제조
본 발명의 시험군은 수상층에 따라 증류수(대조군; C군), 비발효액 군인 멸균된 우유(M군), 멸균된 유크림(MC군), 발효액 군인 MRS broth에 L. rhamnosus를 본 배양한 MRS발효액(MRS군), 멸균된 우유를 발효시킨 우유발효액(FM군), 멸균된 유크림을 발효시킨 유크림발효액(FMC군)로 각각 구분하여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하기 실시예와 같이 토너 또는 로션 등으로 제조한 후,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2-1> 시험군을 이용한 토너의 제조
각 시험군에 따라 해당되는 원액을 첨가한 토너를 하기 [표 1]의 성분비대로, 소독된 비이커에 [표 1]의 A상을 차례로 첨가하면서 교반(agitation)하고, 시험군에 따라 해당되는 W상을 60℃로 가열하였다. A상을 W상에 투입한 후 호모믹서(homo mixer, 2,000 rpm)로 3분간 유화(emulsification)하여 토너를 제조하였다. 완료된 토너는 에탄올 소독된 스프레이 용기에 충전한 다음 상온에서 24시간 안정화하였다. 단, C군의 경우는 시험원액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2-2> 시험군을 이용한 로션의 제조
각 시험군에 따라 해당되는 원액을 첨가한 로션을 [표 2]의 조성대로, 각 시험군에 따라 각각의 소독된 비이커에 해당되는 W상을 투입 후 60℃로, O상을 투입 후 70℃로 각각 가열하여 내용물을 완전히 용해한 후, W상에 O상을 투입한 후 O/W유화제형(O/W type emulsion control)으로 교반한 다음, 제형이 40℃로 냉각될 때까지 호모믹서(3,000 rpm)로 유화한 후, A상을 첨가하여 호모믹서(2,000 rpm)로 3분간 교반하여 로션을 제조하였다. 완료된 로션은 에탄올 소독된 디스펜서 용기에 충전한 다음 상온(23±2℃)에서 24시간 안정시켰다.
Figure pat00002
<2-3> 썬 로션의 제조
시험군을 사용하는 동안 자외선 조사 등 외부환경으로 인해 일어날 수 있는 피부변화를 방지하고 시험기간 중 시험군의 동질성을 위하여 [표 3]의 성분비대로 자외선 차단제를 제조하되,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물리적 차단제를 첨가하였다. 각각의 소독된 비이커에 W상과 O상을 투입하여 70℃로 가열하여 내용물을 완전히 용해한 뒤, W상을 O상에 투입하고 W/O유화제형(W/O type emulsion control)으로 교반한 다음, 제형이 40℃로 냉각될 때까지 호모믹서(3,000 rpm)로 유화시킨 후, A상을 차례로 첨가한 뒤 호모믹서(2,000 rpm)로 3분간 교반하여 썬 로션을 제조하였다. 완료된 썬 로션을 에탄올 소독된 디스펜서 용기에 충전한 다음 상온(23±2℃)에서 24시간 안정시켰다.
Figure pat00003
<2-4> 클렌저의 제조
시험군을 바르는 동안 서로 다른 세안제를 사용하여 일어날 수 있는 피부변화를 방지하고 시험기간 중 시험군의 동질성을 위하여 [표 4]의 성분비대로 클렌저를 제조하되, 천연 유래 저자극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A상을 차례로 투입 후 교반한 다음, A상에 S상을 차례대로 투입하고 거품이 나지 않게 교반하여 클렌저를 제조하였다. 완료된 클렌저는 에탄올 소독된 거품형성용기에 충전한 다음 상온(23±2℃)에서 24시간 안정시켰다.
Figure pat00004
< 실시예 3> 임상시험 대상자의 선정
모집공고를 통하여 만 40세에서 만 59세 이하의 여성 중 현재 특별한 질병 치료나 약물복용을 하지 않고 최근 6개월 이내에 피부과 시술 등의 피부에 물리적 자극을 가하지 않은 참여희망자를 1차 시험대상자로 선정하였다. 1차 시험대상자에게 임상시험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 후, 시험 기간 동안 피부에 뚜렷한 변화를 초래할 수도 있는 혈액 순환제 및 항산화제 등의 건강보조식품 및 기타약물 복용이나, 시험제품 및 함께 공급한 자외선 차단제 이외에는 일체의 다른 화장품을 사용하지 않으며, 피부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어떠한 시술이나 피부 관리 등을 행하지 않기로 하는 등 연구에 대한 동의를 한 대상자만을 최종 시험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총 참여 인원 68명을 동의서 작성 순서대로 무작위로 대조군 5명과 시험군인 비발효액 군 2개군에 각 12명, 발효액군 3개군에 각 13명으로 순차적으로 배정하였으며, 안내문을 통해 임상시험에 대한 내용을 다시 설명한 후 임상시험을 시행하였으며, 임상시험 중 부적응하여 시험제품 이외의 다른 화장품을 도포하거나 여행 등으로 장기간 시험제품을 미사용한 이유로 중도에 탈락한 9명을 제외한 최종 선정된 총 59명의 연구대상자는 대조군인 C군 5명, 비발효액 군의 M군 9명, MC군 12명, 발효액 군의 MRS군 9명, FM군 11명, FMC군 13명이었다. 아울러 시험기간은 총 7주(49일)간으로 하였다.
< 실시예 4> 피부 변화 측정 방법
<4-1> 이미지 촬영
본 발명에 참여한 임상 대상자의 피부변화에 대한 육안관찰을 위하여 임상시험 전후 2차례에 걸쳐 디지털 카메라(VLUU PL150, SAMSUNG, Korea)를 이용하여 임상 대상자의 안면부위의 전면과 측면을 촬영하였다. 동일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피부 측정실 입실 직전 시험 시험군을 공급 시 함께 공급한 동일한 클렌저로 세안을 하고 지정된 촬영 장소에서 촬영자 동일인 1인이 이미지 촬영하였다.
<4-2> 피부측정기를 이용한 측정
본 발명의 피부변화에 대한 과학적인 측정을 위하여 시험실 환경의 온도, 습도조건을 측정하는 Sensor for room condition(SRC100)가 기본 장착된 다기능 통합센서시스템인 MPA580(C+K electronic GmbH, Koln, Germany)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임상 시험에서는 수분보유량을 측정하는 Corneometer(CM825), 유분보유량을 측정하는 Sebumeter(SM815), TEWL을 측정하는 Tewameter(TM300),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Skin thermometer(ST500), 멜라닌지수와 홍반지수를 측정하는 Mexameter(MX18), 피부의 마찰계수를 이용한 피부거칠기를 측정하는 Frictiometer(FR700), 피부 탄력도를 측정하는 Cutometer 580를 사용하였다. 상기 측정은 상기 항목을 총 5회 측정 후 평균을 최종 값으로 취하였다. 또한, 피부의 정확한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최적 항온, 항습 조건으로 제시된 실내온도 20~25℃, 상대습도 40~60%로 설정하였고 피부 측정실 입실 후에는 바로 누운 상태에서 30분 이상 안정을 취하게 한 후 측정하였다.
안면 피부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측정부위는 3 부위, 즉 양미간 중앙과 헤어라인을 수직으로 잇는 중앙지점인 이마, 눈동자에서 수직 하방으로 잇는 부분과 콧망울 끝에서 귀쪽으로 수평으로 잇는 부분이 만나는 지점의 오른쪽 볼 그리고 눈 외측 직하 지점인 오른쪽 눈가를 각각 선정하였으며, 목 피부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한 측정부위는 2 부위, 즉 천돌혈 위 5 cm 지점을 앞목 부위로, 목 부위 동맥의 총집합소이며 미주신경 반응이 가장 잘 나타나며, 근육과 피부의 부드러움과 윤기가 회복된다고 보고된 인영혈을 옆목 부위로 선정하여 시험 직전과 7주 사용 후 각 부위에 측정한 후 본 연구에서는 그 평균값을 취하여 평가하였다.
< 실험예 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의 피부장벽 보호 및 회복 효과 확인
<1-1> 시험 전 임상 대상자의 안면 피부 상태 동질성 확인
상기 <실시예 3>에서 선정된 시험대상자에 대한 안면 피부의 피부장벽을 보호하거나 회복시키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전 임상 대상자의 안면 피부 상태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의 방법을 이용하여 각 임상 대상의 시험 전 안면 피부의 수분보유량, 유분보유량, TEWL, 피부표면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분보유량, 유분보유량, TEWL, 피부표면온도에서 각 시험 군 간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아, 동질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표 5).
Figure pat00005
<1-2> 시험군의 적용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토너, 로션, 썬 로션과 클렌저를 임상 대상자에게 동일하게 공급하고, 아침, 저녁으로 얼굴에 1일 2회 사용하도록 하였다. 단, 아침에는 토너 및 로션을 각각 바른 후 반드시 썬 로션을 충분한 양으로 두드려서 바르도록 하였다.
<1-3> 수분보유량 확인
각질층의 수분은 피부를 탄력 있고 부드럽게 한다(Spencer, 1976). 이러한 수분의 보유력은 내적으로는 수분보유능력(water holding capacity, WHC)과 흡습력(hygroscopicity, HGS)을 포괄하는 성분인 NMF에 의해 결정되나(표형찬 등, 1988), 상대습도, 화장품 등의 외적 인자에도 매우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최은영, 2006). 따라서, 본 발명에서도 유크림 L. rhamnosus 발효액이 이러한 외적 인자로서 유용하게 작용하여 피부표면의 수분장벽을 보호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 전후 수분보유량 측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C군의 평균 수분보유량은 시험 전 59.12(M)에서 시험 후 59.02(M)로 0.17% 감소경향을 보인 반면, 비발효액 군인 M군은 시험 전 61.27(M)에서 시험 후 61.62(M)로 0.55% 증가경향을, MC군은 시험 전 59.18(M)에서 시험 후 60.93(M)으로 2.96% 증가경향을 보였고, 발효액 군인 MRS군은 시험 전 55.19(M)에서 시험 후 56.33(M)으로 2.07% 증가경향을, FM군은 시험 전 62.84(M)에서 시험 후 65.60(M)으로 4.38% 증가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FMC군은 시험 전 58.17(M)에서 시험 후 67.83(M)으로 16.59% 유의한 증가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
<1-4> 유분보유량 확인
피부의 지질은 외부 자극과 미세한 수분 증발을 막아주어 각질층의 보습상태를 유지하는 장벽역할을 하며, 피부 산도를 중화하고 살균력을 가질 뿐 아니라 피부노화를 지연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한다(최은영, 2006; Elias & Menon, 1991). 이러한 피부의 지질은 각화과정 중 피지선에서 분비된 피지성분과 각질층에서 분비된 지질성분으로 형성되거나 화장품, 국소도포제 등이 피부에 도포 되면서도 형성된다(강호정, 1996). 또한, 정상 또는 건조 피부에서 유분보유량의 증가는 수분보유량과 함께 TEWL을 낮추어 수분장벽을 지킬 뿐 아니라, 피부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게 되고(Thune et al., 1988) 특히 노화된 표피(aged epidermis)에서는 표피지질의 성분의 적정 혼합물을 도포하거나(김도원, 2006), 이들 중 어느 하나만 도포하여도 피부장벽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이승헌, 정태석, 1999; 이정덕, 2006). 따라서 본 발명의 시험군이 이러한 지질장벽이 효과적으로 보호되거나 회복되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 전후 유분보유량 측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C군의 평균 유분보유량은 시험 전 70.80(M)에서 시험 후 68.13(M)으로 3.76%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비발효액 군인 M군은 시험 전 69.07(M)에서 시험 후 68.59(M)로 0.69% 감소경향을 보였고 MC군은 시험 전 70.72(M)에서 시험 후 76.77(M)로 8.55% 유의한 증가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액 군인 MRS군은 시험 전 69.66(M)에서 시험 후 66.70(M)으로 4.25% 감소경향을 각각 보인 반면, FM군은 시험 전 69.24(M)에서 시험 후 73.00(M)으로 5.42% 증가경향을 보였으며, FMC군은 사전 67.05(M)에서 사후 77.41(M)로 15.44% 유의한 증가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
<1-5> TEWL (trans epidermal water loss)의 변화 확인
TEWL은 피부장벽의 손상과 회복을 거론하는 데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측정도구로(민복기, 1996), 피부를 통해 체내의 수분이 체외로 수동적 이동(passive diffusion)을 하면서 손실되는 수분의 양을 일컫는다(이승헌, 정태석, 1999). 이러한 수분은 수분증발 저지막(water permeability barrier)과 NMF에 의해 보존된다고 알려져 있다(Barlow & Wiechers, 1999).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표피지질 및 NMF 성분과 유사한 유크림 L. rhamnosus 발효액이 노화피부의 TEWL을 감소시켜 수분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시험 전후 TEWL 측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C군의 TEWL은 시험 전 17.86(M)에서 시험 후 18.98(M)로 6.22% 증가경향을 보였으며, 비발효액 군인 M군은 시험 전 16.29(M)에서 시험 후 16.80(M)으로 3.07% 증가경향을 보였으며, MC군은 시험 전 16.83(M)에서 시험 후 16.67(M)로 0.89% 다소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액 군인 MRS군은 시험 전후 15.14(M)로 변화가 없었던 반면, FM군은 시험 전 16.73(M)에서 시험 후 15.20(M)으로 9.09%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FMC군은 시험 전 16.40(M)에서 시험 후 12.55(M)로 23.41% 유의한 감소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
또한,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FMC군에 속해 있었던 임상 대상자의 시험 전후 TEWL에 대한 육안평가에서도 이와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시험 전 TEWL의 수치가 매우 높아(평균 16.7) 피부표면이 묵은 각질이 탈락되지 못하여 푸석하고 촉감이 거칠었으며 특히 팔자주름 부위와 입가는 거칠고 메마른데다 홍반까지 동반되었고 턱 부위의 피부까지 푸석하고 처져 있어, 피부의 노화된 모습이 역력하였다. 그러나 7주 시험 후에는 볼, 팔자주름, 입가부위 등 심각하게 거칠었던 피부가 매끄럽고 윤기 나는 피부로 변화하였을 뿐 아니라 홍반은 사라지고 피부의 탄력도까지 높아져 볼과 턱선이 매끈해 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c).
<1-6> 피부표면온도 변화 확인
피부의 최외곽층에 존재하는 각질층은 외부의 물리, 화학적 자극 등으로부터 일차적인 방어 기능이 있을 뿐 아니라(이승헌, 정태석, 1999) 외부 온도에 대응한 체온의 항상성(homeostasis)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피부표면온도를 수시로 변화시킨다(Andersen et al., 1998). 피부의 표면온도가 상승하면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의 감소 및 분해의 가속화가 일어나 피부노화를 촉진하게 되고(Chen et al. 2005), 상승한 부위의 TEWL도 상승하게 되어(김도원, 2006, Sørensen et al., 1993) 곧 피부장벽이 무너지는 결과로 이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각의 시험군을 처리한 임상 대상을 대상으로 안면 피부 표면온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C군의 경우 시험 전 32.14(M)에서 시험 후 32.94(M)로 약 2.49% 상승 경향을 보였다. 비발효액 군인 M군의 경우는 시험 전 32.16(M)에서 시험 후 32.51(M)로 약 1.05% 상승 경향을 보였으며 MC군의 경우는 시험 전 32.06(M)에서 시험 후 33.07(M)로 약 3.12% 피부표면온도가 유의하게 상승함을 확인하였다. 한편, 발효액 군인 MRS군의 경우는 시험 전 32.15(M)에서 시험 후 32.34(M)로 약 0.56% 피부표면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TEWL의 감소경향을 보였던 발효액 군의 FM군의 경우, 시험 전 32.06(M)에서 시험 후 32.02(M)로 약 0.09% 낮아진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FMC군의 경우 시험 전 32.13(M)에서 시험 후 31.94(M)로 약 0.56% 피부표면온도가 유의하게 낮아짐을 확인하였다(도 1).
< 실험예 2>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의 피부노화 개선 효과 확인
<2-1> 시험 전 임상 대상자의 안면 피부 상태 동질성 확인
상기 <실시예 3>에서 선정된 시험대상자에 대한 안면피부의 노화예방 및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 전 임상 대상자의 안면 피부 상태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의 방법을 이용하여 각 임상 대상의 시험 전 멜라닌 지수, 홍반 지수, 피부 거칠기, 피부탄력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멜라닌 지수, 홍반 지수, 피부 거칠기 및 피부탄력도에서 각 시험 군 간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아, 동질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표 6).
Figure pat00006
<2-2> 시 험군의 적용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토너, 로션, 썬 로션과 클렌저를 임상 대상자에게 동일하게 공급하고, 아침, 저녁으로 얼굴에 1일 2회 사용하도록 하였다. 단, 아침에는 토너 및 로션을 각각 바른 후 반드시 썬 로션을 충분한 양으로 두드려서 바르도록 하였다.
<2-3> 멜라닌지수(Melanin index)의 변화 확인
멜라닌은 연령이 증가하거나 자외선 조사 등으로부터 피부를 방어하기 위한 매우 중요하고 적극적인 자기보호 수단으로 각질층에 몇 가지 형태의 색소로 발현하게 된다(Quevedo et al., 1985). 그러나 과잉 생산되면 기미나 주근깨의 침착이 가중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을 유발할 수도 있다(서연원, 이용수, 2006). 특히, 40~50대 갱년기 여성에게는 노인성 반점을 포함한 색소침착이 증가하거나 눈 밑 색소 등으로 안색이 어두워지기도 한다(권정순 등, 2012; Skovgaard et al., 2006). 이에 본 발명에서도 임상시험 전후에 나타나는 멜라닌지수의 변화를 관찰하여, 유크림 L. rhamnosus 발효액이 미백작용을 하는 새로운 물질로서의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C군의 평균 멜라닌지수는 시험 전 159.60(M)에서 시험 후 161.73(M)으로 1.33% 증가경향을 보였고, 비발효액 군인 M군은 시험 전 159.44(M)에서 시험 후 160.29(M)로 0.53% 증가경향을, MC군은 시험 전 159.38(M)에서 시험 후 163.27(M)로 2.43% 증가경향을 각각 보였다. 반면 발효액 군인 MRS군은 시험 전 161.48(M)에서 시험 후 160.37(M)로 0.69% 감소경향을, FM군은 시험 전 151.93(M)에서 시험 후 146.15(M)로 3.80% 감소경향을 보였고, FMC군은 시험 전 158.74(M)에서 시험 후 147.30(M)으로 7.20% 유의한 감소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
또한,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FMC군에 속해 있었던 임상 대상자의 시험 전후 변화된 모습에서도 육안관찰이 가능하였으며, 시험 전 피부에서 나타난 볼과 턱 부위의 색소침착 부위가 7주 시험 후 색소침착 분포범위가 현저하게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도 3a).
<2-4> 홍반지수(Erythema index)의 변화 확인
40 ~ 50대에 보통 나타나는 폐경기 전후의 난소기능 저하로 나타나는 안면홍조 증상(김계현, 2011), 강한 자외선과 고온으로 인한 일시적인 피부의 홍반(minimal erythema dose; MED), 지루성피부염 등의 예민한 피부에서 대표적으로 나타나는 홍반현상 등 여러 요인으로 나타날 수 있는 홍반지수는 종종 피부타입을 결정하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강수경 등, 2007). 이에 본 발 발명은 임상시험 전후의 피부의 홍반지수를 관찰하여 유크림 L. rhamnosus 발효액이 피부를 안정시키는가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C군의 평균 홍반지수는 시험 전 260.13(M)에서 시험 후 269.53(M)으로 3.61% 증가경향을 보였고, 비발효액 군인 M군은 시험 전 276.44(M)에서 시험 후 288.96(M)으로 4.53% 증가경향을, MC군은 시험 전 276.63(M)에서 시험 후 288.41(M)로 4.25%로 각각 증가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피부의 피지량이 증가하고 자외선에는 더 민감해지면서 피부의 색소침착이 일어나는 등 피부변화가 일어나면서 피부의 홍반현상도 야기하며(Aberer et al., 1981), 멜라닌지수와 홍반지수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된 연구(김란 등, 2009) 등과도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한편, 발효액 군인 MRS군은 시험 전 274.55(M)에서 시험 후 262.18(M)로 4.51% 감소경향을, FM군은 시험 전 270.57(M)에서 시험 후 261.69(M)로 3.28% 감소경향을, FMC군은 시험 전 276.61(M)에서 시험 후 257.35(M)로 6.96%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군 대비 MRS군은 8.12%, FM군은 6.89%, 더 감소한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FMC군은 10.57%로 월등히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멜라닌지수의 변화에서와 마찬가지로 L. rhamnosus 발효액의 발효기질에 따라 피부 안정에 기여하는 영향도 차이가 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또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FMC군에 속하였던 자극에 민감하여 세안만 하여도 붉어지는 피부를 가진 임상 대상자의 경우, 7주 시험 후에는 울긋불긋하였던 피부가 안정되어 홍반부위가 거의 사라졌음은 물론 볼 부위의 탄력도까지 높아진 모습을 육안을 통해 확인하였다(도 3b).
<2-5> 피부 거칠기(Skin surface roughness)의 변화 확인
표피의 각화현상(keratinization)은 피부를 탄력 있고 피부표면의 결이 매끄럽고 윤기나게 하지만, 각화주기가 지연되거나 원활하지 않으면 피부층이 두꺼워져 잔주름이 생기고 피부표면의 결은 거칠어지게 된다(Aberer et al., 1981). 반면 피부의 거칠기가 개선된다는 것은 각질층의 묵은 각질이 제거된다고도 볼 수 있는데, 피부의 묵은 각질을 박리하게 되면 피부의 신진대사 및 영양물질의 흡수를 촉진시켜 피부의 재생을 도울 수 있다(공희경, 황인철, 2010).
한편, 진피치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피부두께와 거칠기는 감소하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진 바(이희경 등, 2006), 피부의 거칠고 유연함의 정도에 따라 주름의 깊이나 피부 탄력도 등 피부노화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시험군이 피부 거칠기를 어느 정도 변화시키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험 전후 피부 거칠기 측정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C군의 평균 안면 피부 거칠기는 시험 전 183.78(M)에서 시험 후 213.38(M)로 16.11%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p<.05), 비발효액 군인 M군은 시험 전 174.48(M)에서 시험 후 185.89(M)로 6.54% 증가경향을, MC군은 시험 전 174.91(M)에서 시험 후 182.43(M)으로 4.30% 증가경향을 각각 보여, 멜라닌지수 및 홍반지수가 증가한 경우 피부의 거칠기도 증가하여, 멜라닌지수, 홍반지수 그리고 피부 거칠기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발효액 군인 MRS군은 시험 전 179.25(M)에서 시험 후 178.27(M)로 0.55% 감소경향을, FM군은 시험 전 183.45(M)에서 시험 후 180.85(M)로 1.41% 감소경향을 보였고, FMC군은 시험 전 181.41(M)에서 시험 후 166.82(M)로 8.04%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눈가의 경우 유의한 감소(p<.01)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피부 거칠기는 대조군 대비 MRS군은 16.66%, FM군은 17.52% 더 감소된 경향을 보인데다, 특히 FMC군에서는 24.15%로 월등하게 더 감소되어 L. rhamnosus로 발효시킨 MRS군, FM군, FMC군은 안면 피부의 거칠기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또한,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FMC군에 속해 있었던 임상 대상자의 시험 전후 피부의 변화된 모습에서 시험 전 묵은 각질이 탈락되지 못하여 푸석하고 촉감이 거칠었으며 특히 팔자주름 부위와 입가는 거칠고 메마른데다 홍반까지 동반되었고 턱 부위의 피부까지 푸석하고 처져 있었으나, 7주 시험 후에는 볼, 팔자주름, 입가부위 등 심각하게 거칠었던 피부가 매끄럽고 윤기나는 피부로 변화하였을 뿐 아니라 홍반은 사라지고 피부의 탄력도까지 높아져 볼과 턱선이 매끈해 진 것을 확인하였다(도 3c).
또한, 도 3d에 나타낸 바와 같이, FMC군에 속해 있었던 임상 대상자의 시험 전후 피부의 변화된 모습에서 시험 전 볼 주위의 피부가 가성주름이 깊게 잡힐 정도로 피부 건조가 심하고 거칠었으나 7주 시험 후에는 피부표면이 매끈하고 윤기가 나며 탄력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도 3d). 또한 도 3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 전 피부는 전반적으로 거칠고 피부 톤이 맑지 못하며 미간 주름이 진하게 홈이 나 있었으나, 7주 시험 후에는 거칠었던 피부가 매끄럽고 윤기 나는 피부로 변화하였을 뿐 아니라 피부 톤이 맑아지고 홈이 나있던 미간 주름이 옅어진 것으로 확연한 변화의 모습을 나타내었다(도 3e).
<2-6> 피부 탄력도(Skin net elasticity)의 변화 확인
피부 탄력도는 외부의 힘에 의해 변형을 일으킨 후 원래 상태로 되돌아오는 정도를 의미하며, 피부노화의 정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사용하는 등, 피부노화를 연구하는 주제로 많이 다루어진다(서대헌 등, 1999). 또한, 항노화 원료가 함유된 화장품의 장기간 지속적 사용 시 피부노화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적극적인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이지혁 등, 2001), 본 발명에서도 시험군들을 피부에 적용한 후 시험 전후 피부탄력도의 변화를 측정함으로, 유크림 L. rhamnosus 발효액이 항노화 원료의 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C군의 평균 피부탄력도는 시험 전 0.42(M)에서 시험 후 0.37(M)로 9.52%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비발효액 군인 M군은 시험 전 0.39(M)에서 시험 후 0.40(M)으로 2.56% 증가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MC군은 사전 0.43(M)에서 사후 0.43(M)으로 변화가 없었다.
한편, 발효액 군인 MRS군에서 시험 전 0.33(M)에서 시험 후 0.26(M)으로 탄력도가 21.21% 감소경향을 보인 반면, FM군은 시험 전 0.36(M)에서 시험 후 0.38(M)로 5.56% 증가경향을 보였으며 FMC군에서는 시험 전 0.39(M)에서 시험 후 0.51(M)로 28.21% 유의한 증가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안평가에서도 FMC군에 속한 대상자의 경우 시험 후의 피부 탄력도가 모두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3), 특히 청소년기부터 나타났던 여드름으로 인해 피부 결이 거칠고 모공이 쳐져 드러나 보였던 피부가 7주 시험 후에는 피부결이 정리되어 매끈해지고 모공과 구각 부위에서의 탄력도가 확연히 높아진 모습을 확인하였다(도 3f).
< 실험예 3>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의 목 피부 개선 효과 확인
<3-1> 시험 전 임상 대상자의 목 피부 상태 동질성 확인
상기 <실시예 3>에서 선정된 시험대상자의 대한 목피부의 피부장벽을 보호하거나 회복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 전 임상 대상자의 목 피부 상태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4>의 방법을 이용하여 각 임상 대상의 시험 전 목 피부의 수분보유량, 유분보유량, 멜라닌 지수, 홍반 지수, TEWL, 피부 거칠기 및 피부탄력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 피부의 수분보유량, 유분보유량, 멜라닌 지수, 홍반 지수, TEWL, 피부 거칠기 및 피부탄력도에서 각 시험 군 간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아, 동질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표 7).
Figure pat00007
<3-2> 수분보유량 확인
목 피부에 도포한 시험군의 종류에 따라 임상시험 전후 수분보유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C군의 평균 수분보유량은 시험 전 54.45(M)에서 시험 후 53.03(M)으로 2.61%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L. rhamnosus 발효액군인 MRS군은 시험 전 55.22(M)에서 시험 후 55.61(M)로 0.71% 증가경향을, FM군은 시험 전 55.60(M)에서 시험 후 59.31(M)로 6.67% 증가경향을 각각 보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유크림 발효액인 FMC군은 시험 전 52.89(M)에서 시험 후 66.01(M)로 24.81% 유의한 증가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4).
<3-3> 유분보유량 확인
목 피부에 도포한 시험군의 종류에 따라 임상시험 전후 유분보유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C군의 평균 유분보유량은 시험 전 41.00(M)에서 시험 후 40.10(M)으로 2.20%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MRS군은 시험 전 35.16(M)에서 시험 후 29.56(M)으로 15.93%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반면 FM군은 시험 전 34.54(M)에서 시험 후 35.81(M)로 3.68% 유의한 증가를, FMC군은 시험 전 33.88(M)에서 시험 후 37.88(M)로 11.81% 유의한 증가를 보임을 확인하였다(도 4).
<3-4> TEWL 의 변화 확인
목 피부에 도포한 시험군의 종류에 따라 임상시험 전후 TEWL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C군의 평균 TEWL은 시험 전 15.62(M)에서 시험 후 15.90(M)으로 1.79% 증가경향을, MRS군도 시험 전 13.97(M)에서 시험 후 15.83(M)으로 13.31% 증가경향을 보였다.
반면, 유지방이 자체 함유되어 있는 기질을 사용한 FM군은 시험 전 14.34(M)에서 시험 후 13.95(M)로 2.65%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FMC군에서는 시험 전 16.08(M)에서 시험 후 11.38(M)로 29.17% 유의한 감소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4).
또한,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FMC군에 속한 임상 대상자의 시험 전후 목 피부의 변화된 모습에서도 육안관찰이 가능하여, 시험 전 목 피부가 건조하여 주름이 심해지고 묵은 각질이 탈락되지 못하여 촉감이 거칠었을 뿐 아니라 피부가 가려워 긁은 자국이 태선화가 나타나 있었으나, 7주 시험 후에는 유·수분 밸런스가 조절되고 TEWL 수치가 낮아지면서 거칠었던 목 피부가 매끈하고 윤기가 나며 탄력이 생겼을 뿐 아니라 태선화도 없어진 것을 확인하였다(도 5c).
<3-5> 멜라닌지수의 변화 확인
목 피부에 도포한 시험군의 종류에 따라 임상시험 전후 멜라닌지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C군의 평균 멜라닌지수는 시험 전 172.50(M)에서 시험 후 174.00(M)으로 0.87% 증가경향을 보인데 반해 발효액군인 MRS군은 시험 전 174.88(M)에서 시험 후 174.44(M)로 0.25% 감소경향을, FM군은 시험 전 179.86(M)에서 시험 후 175.86(M)으로 2.22% 감소경향을, FMC군은 시험 전 173.38(M)에서 시험 후 166.34(M)로 4.05% 감소경향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4).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육안관찰을 통해서도 FMC군에 속한 임상 대상자의 시험 전 목 피부에 나타난 색소침착 및 홍반부위가 7주 시험 후에는 그 부위가 현저히 줄어들거나 없어졌을 뿐 아니라 피부색도 전반적으로 밝아진 것을 확인하였다(도 5a, 5b, 5c 및 5d).
<3-6> 피부 거칠기의 변화 확인
목 피부에 도포한 시험군의 종류에 따라 임상시험 전후 피부표면의 거칠기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C군의 평균 목 피부 거칠기는 시험 전 276.78(M)에서 시험 후 298.90(M)으로 7.99% 증가경향을 보였으며, 발효액군인 MRS군은 시험 전 253.11(M)에서 시험 후 252.78(M)로 0.13% 감소경향을, FM군은 시험 전 256.63(M)에서 시험 후 254.95(M)로 0.65% 감소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FMC군에서는 시험 전 288.87(M)에서 시험 후 261.19(M)로 9.58% 유의한 감소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4).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FMC군에 속한 연구대상자의 시험 전후 피부의 변화된 모습으로 육안관찰도 가능하여 시험 전 푸석하고 촉감이 거칠었던 피부가 시험 후에는 피부가 매끈하고 부드러워졌을 뿐 아니라 탄력까지 증가된 모습을 확인하였다(도 5b, 5c 및 5d).
<3-7> 피부 탄력도의 변화 확인
목 피부에 도포한 시험군의 종류에 따라 임상시험 전후 피부탄력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C군의 평균 피부탄력도는 시험 전 0.66(M)에서 시험 후 0.64(M)로 약 1.51% 감소경향을 보였으며, 발효액군인 MRS군도 시험 전 0.58(M)에서 시험 후 0.53(M)으로 약 6.90% 감소경향을 보인 반면 FM군은 시험 전 0.66(M)에서 시험 후 0.70(M)으로 약 4.55% 증가경향을 보였고, 특히 FMC군은 시험 전 0.66(M)에서 시험 후 0.75(M)로 약 12.12%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도 4).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FMC군에 속한 모든 임상 대상자의 시험 전후 피부의 변화된 모습으로 피부 탄력도에 대한 육안관찰도 가능하였으며, 특히 도 5e에서는 피부탄력도가 개선되면서 깊게 골이 진 목주름도 옅어 진 것을 확인하였다(도 5e).
< 실험예 4> 다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유크림 발효액의 효과 확인
<4-1> 시험군의 적용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다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유크림 발효액을 이용하여 <실험예 1> 내지 <실험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안면피부 및 목피부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4-2> 피부 수분보유량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다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토너와 로션을 임상 대상자에게 도포한 후, 피부 수분보유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면 피부의 경우 KCTC 5033(B2)은 약 17%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KCTC 3237(D1)은 약 28% 증가경향, KCTC 5046(D2)은 약 16% 증가경향, KCTC 5510(D3)은 약 19% 유의한 증가, KCCM 11320(D4)은 약 20% 유의한 증가, KCCM 32823(D5)은 약 11% 증가경향, KCCM 32826(D6)은 약 5% 증가경향, KCCM 40069(D7)는 약 5% 증가경향, ATCC 9595(D8)는 약 7% 증가경향, ATCC 14957(D9)은 약 10% 증가경향, ATCC 21052(D10)는 약 13% 증가경향, KCTC 10965BP(D11)는 약 13% 증가경향, RA-32(D12)는 약 9%을 증가경향을 각각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화장품이 안면 피부 수분보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8).
한편, 하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 피부의 경우 KCTC 5033(B2)은 약 25%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KCTC 3237(D1)은 약 32% 증가경향, KCTC 5046(D2)은 약 30% 증가경향, KCTC 5510(D3)은 약 21% 증가경향, KCCM 11320(D4)은 약 22% 증가경향, KCCM 32823(D5)은 약 22% 유의한 증가, KCCM 32826(D6)은 약 19% 증가경향, KCCM 40069(D7)는 약 17% 증가경향, ATCC 9595(D8)는 약 17% 증가경향, ATCC 14957(D9)은 약 17% 증가경향, ATCC 21052(D10)는 약 33% 증가경향, KCTC 10965BP(D11)는 약 20% 증가경향, RA-32(D12)는 약 15% 증가경향을 각각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화장품이 목 피부 수분보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9).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4-3> 피부 유분보유량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다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토너와 로션을 임상 대상자에게 도포한 후, 피부 유분보유량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면 피부의 경우 KCTC 5033(B2)은 약 15%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KCTC 3237(D1)은 약 21% 증가경향, KCTC 5046(D2)은 약 11% 증가경향, KCTC 5510(D3)은 약 10% 증가경향, KCCM 11320(D4)은 약 4% 증가경향, KCCM 32823(D5)은 약 6% 증가경향, KCCM 32826(D6)은 약 5% 증가경향, KCCM 40069(D7)는 약 9% 증가경향, ATCC 9595(D8)는 약 16% 증가경향, ATCC 14957(D9)은 약 29% 증가경향, ATCC 21052(D10)는 약 22% 증가경향, KCTC 10965BP(D11)는 약 12% 증가경향, RA-32(D12)는 약 11% 증가경향을 각각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화장품이 안면 피부 유분보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0).
또한, 하기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 피부의 경우 KCTC 5033(B2)은 약 12%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KCTC 3237(D1)은 약 13% 증가경향, KCTC 5046(D2)은 약 8% 증가경향, KCTC 5510(D3)은 약 7% 증가경향, KCCM 11320(D4)은 약 15% 증가경향, KCCM 32823(D5)은 약 8% 증가경향, KCCM 32826(D6)은 약 14% 증가경향, KCCM 40069(D7)는 약 5% 증가경향, ATCC 9595(D8)는 약 14% 증가경향, ATCC 14957(D9)은 약 7% 증가경향, ATCC 21052(D10)는 약 9% 증가경향, KCTC 10965BP(D11)는 약 8% 증가경향, RA-32(D12)는 약 8% 증가경향을 각각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화장품이 목 피부 유분보유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1).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4-4> TEWL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다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토너와 로션을 임상 대상자에게 도포한 후, TEWL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면 피부의 경우 KCTC 5033(B2)은 약 23%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KCTC 3237(D1)은 약 10% 감소경향, KCTC 5046(D2)은 약 9% 감소경향, KCTC 5510(D3)은 약 10% 감소경향, KCCM 11320(D4)은 약 15% 유의한 감소, KCCM 32823(D5)은 약 20% 감소경향, KCCM 32826(D6)은 약 18% 감소경향, KCCM 40069(D7)는 약 27% 감소경향, ATCC 9595(D8)는 약 22% 감소경향, ATCC 14957(D9)은 약 22% 감소경향, ATCC 21052(D10)는 약 21% 감소경향, KCTC 10965BP(D11)는 약 15% 감소경향, RA-32(D12)는 약 25% 감소경향을 각각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화장품이 안면 피부 TEWL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2).
또한, 하기 표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 피부의 경우 KCTC 5033(B2)은 약 29%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KCTC 3237(D1)은 약 12% 감소경향, KCTC 5046(D2)은 약 9% 감소경향, KCTC 5510(D3)은 약 21% 감소경향, KCCM 11320(D4)은 약 20% 감소경향, KCCM 32823(D5)은 약 19% 감소경향, KCCM 32826(D6)은 약 21% 감소경향, KCCM 40069(D7)는 약 17% 감소경향, ATCC 9595(D8)는 약 23% 감소경향, ATCC 14957(D9)은 약 23% 감소경향, ATCC 21052(D10)는 약 19% 감소경향, (D11)는 약 19% 감소경향, RA-32(D12)는 약 19% 감소경향을 각각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화장품이 목 피부 TEWL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3).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4-5> 피부 멜라닌지수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다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토너와 로션을 임상 대상자에게 도포한 후, 피부 멜라닌지수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면 피부의 경우 KCTC 5033(B2)은 약 7%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KCTC 3237(D1)은 약 5% 감소경향, KCTC 5046(D2)은 약 3% 감소경향을 각각 보였으나, KCTC 5510(D3)과 KCCM 11320(D4)은 약 3% 각각 증가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KCCM 32823(D5)은 약 4% 감소경향, KCCM 32826(D6)은 약 7% 감소경향, KCCM 40069(D7), ATCC 9595(D8), ATCC 14957(D9)와 ATCC 21052(D10)는 모두 약 9% 감소경향, KCTC 10965BP(D11)와 RA-32(D12)는 약 5%씩 감소경향을 각각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화장품이 안면 피부 멜라닌지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4).
또한, 하기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 피부의 경우 KCTC 5033(B2)군은 약 4% 감소경향을 보였고, KCTC 3237(D1)은 약 3% 감소경향, KCTC 5046(D2)은 약 1% 감소경향, KCCM 11320(D4)은 약 4% 감소경향을, KCCM 32826(D6)은 약 4% 감소경향, KCCM 40069(D7)는 약 4% 감소경향, ATCC 21052(D10)는 약 3% 감소경향을 각각 보인 반면 ATCC 14957(D9)은 근소하게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KCTC 10965BP(D11)와 RA-32(D12)는 약 4%씩 감소경향을 각각 보임에 따라,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화장품이 목 피부 멜라닌지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5).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4-6> 피부 거칠기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다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토너와 로션을 임상 대상자에게 도포한 후, 피부 거칠기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면 피부의 경우 KCTC 5033(B2)은 약 8.04% 감소경향을 보인데 비하여 KCTC 3237(D1)은 약 7% 증가경향, KCTC 5046(D2)은 근소한 증가경향, ATCC 21052(D10)는 약 7% 증가경향을 각각 보였다. 반면 KCTC 5510(D3)은 약 13% 감소경향, KCCM 11320(D4)은 약 12% 감소경향, KCCM 32823(D5)은 약 14% 감소경향, KCCM 32826(D6)은 약 10% 감소경향, KCCM 40069(D7)는 약 3% 감소경향, ATCC 9595(D8)는 약 1% 감소경향, ATCC 14957(D9)은 약 2% 감소경향, KCTC 10965BP(D11)는 약 3% 감소경향, RA-32(D12)는 약 5% 감소경향을 각각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화장품이 안면 피부 거칠기를 대체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6).
또한, 하기 표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 피부의 경우 KCTC 5033(B2)은 약 10%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고, KCTC 3237(D1)은 약 10% 감소경향, KCTC 5046(D2)은 약 9% 감소경향, KCTC 5510(D3)은 약 8% 감소경향, KCCM 11320(D4)은 약 9% 감소경향, KCCM 32823(D5)은 약 2% 감소경향, KCCM 32826(D6)은 약 11% 감소경향, KCCM 40069(D7)는 약 7% 감소경향, ATCC 9595(D8)는 약 8% 감소경향, ATCC 14957(D9)은 약 8% 감소경향, ATCC 21052(D10)는 약 10% 감소경향, KCTC 10965BP(D11)는 약 5% 감소경향, RA-32(D12)는 약 6% 감소경향을 각각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화장품이 목 피부 거칠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7).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4-7> 피부 탄력도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다양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를 이용한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토너와 로션을 임상 대상자에게 도포한 후, 피부 탄력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면 피부의 경우 KCTC 5033(B2)은 약 28% 유의한 증가, KCTC 3237(D1)도 약 42% 유의한 증가, ATCC 21052(D10)는 약 47% 유의한 증가를 각각 나타내었고, KCTC 5046(D2)은 약 26% 증가경향, KCTC 5510(D3)은 약 6% 증가경향, KCCM 11320(D4)은 약 4% 증가경향, KCCM 32823(D5)은 약 3% 증가경향, KCCM 32826(D6)은 약 16% 증가경향, KCCM 40069(D7)는 약 8% 증가경향, ATCC 9595(D8)는 약 39% 증가경향, ATCC 14957(D9)은 약 46% 증가경향, KCTC 10965BP(D11)는 약 16% 증가경향, RA-32(D12)는 약 18% 증가경향을 각각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화장품이 안면 피부 탄력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8).
또한, 하기 표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목 피부의 경우 KCTC 5033(B2)은 약 12%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고, KCTC 3237(D1)은 약 5% 증가경향, KCTC 5046(D2)은 약 23% 증가경향, KCTC 5510(D3)은 약 11% 증가경향, KCCM 11320(D4)은 약 9% 증가경향, KCCM 32823(D5)은 약 6% 증가경향, KCCM 32826(D6)은 약 8% 증가경향, KCCM 40069(D7)는 약 14% 증가경향, ATCC 9595(D8)는 약 12% 증가경향, ATCC 14957(D9)은 약 8% 증가경향, ATCC 21052(D10)는 약 3% 증가경향, KCTC 10965BP(D11)는 약 9% 증가경향, RA-32(D12)는 약 14% 증가경향을 각각 나타내어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균주로 발효시킨 유크림 발효액을 함유한 화장품이 목 피부 탄력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9).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Claims (14)

  1.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는 KCTC 5033, KCTC 3237, KCTC 5046, KCTC 5510, KCCM 11320, KCCM 32823, KCCM 32826, KCCM 40069, ATCC 9595, ATCC 14957, ATCC 21052 및 KCTC 10965BP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기탁번호로 기탁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은 MRS 배지, 우유 및 유크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서 배양한 발효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우유는 무지방 우유, 유지방 함량이 3 중량부 이하로 첨가된 저지방 우유, 유지방 우유 또는 탈지유이고, 상기 유크림은 원유나 우유에서 분리한 유지방분 3 중량부 이상 포함된 유크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는 피부 장벽이 손상된 피부, 또는 노화 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는 안면 또는 목 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장벽이 손상된 피부는 피부 건조증, 피부 과각화, 피부 소염증, 피부의 과도한 땅김 및 피부의 화끈거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피부이고, 노화 피부는 피부 색소침착, 홍반, 피부 거칠음, 피부 처짐, 탄력저하 및 피부 주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갖는 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9.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은 MRS 배지, 우유 및 유크림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서 배양한 발효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제는 피부장벽 보호, 손상된 피부 장벽 회복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장벽 손상으로 매개된 질환은 피부 건조증, 피부 과각화 및 피부 소염증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피부 외용제.
  13.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회복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4.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크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회복 또는 피부 노화 개선용 피부 외용제.








KR1020160166775A 2016-10-28 2016-12-08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회복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5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734 2016-10-28
KR20160141734 2016-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831A true KR20180046831A (ko) 2018-05-09
KR101965482B1 KR101965482B1 (ko) 2019-04-03

Family

ID=62201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775A KR101965482B1 (ko) 2016-10-28 2016-12-08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회복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548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383B1 (ko) * 2019-04-26 2020-02-06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73013B1 (ko) 2019-11-14 2020-03-02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피부진정 및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3022B1 (ko) * 2018-12-31 2020-06-16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에 효능이 있는 고농도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2386613A (zh) * 2019-08-14 2021-02-23 大江生医股份有限公司 鼠李糖乳杆菌tci366及/或其代谢产物改善肌肤状况的用途
CN113278544A (zh) * 2021-05-11 2021-08-20 君维安(武汉)生命科技有限公司 一种副干酪乳杆菌、其发酵液的制备方法、应用及产品
KR102349372B1 (ko) 2021-04-21 2022-01-11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세라마이드 형성을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134808A (ko) * 2021-03-25 2022-10-06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유자 발효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5470B1 (ko) 2020-09-11 2021-04-05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유산균주, 유산균 발효물 및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095A (ko) * 2007-05-11 2008-11-1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산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8823A (ko) * 2008-11-25 2010-06-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산균 발효유 필터액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20521A (ko) * 2013-07-23 2015-02-26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 유래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0095A (ko) * 2007-05-11 2008-11-1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유산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58823A (ko) * 2008-11-25 2010-06-0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산균 발효유 필터액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20521A (ko) * 2013-07-23 2015-02-26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인체 유래 복합 균주를 이용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am M, White LE, Martin N, Witherspoon J, Yoo S and West DP. (2010) Ultrasound tightening of facial and neck skin: A rater-blinded prospective cohort study. J. Am. Acad. Dermatol., 62(2), 262-269
Andersen JL, Gniadecka M, Olivarius FF, Dahlstrom K and Wulf HC. (1998) Skin temperature of UV-induced erythema correlated to laser Doppler flowmetry and skin reflectance measured redness. Skin Res Technol, 4(1), 41?48
Barlow T and Wiechers J. (1999) Measuring skin hydration. Cosmetics & Toiletries, 114(12), 47-53
Benedetto A, Rafaels NM, McGirt LY, Ivanov AI, Georas SN, Cheadle C, Berger AE, Zhang K, Vidyasagar S and Yoshida T et al. (2011) Tight junction defects in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J. Allergy Clin. Immunol., 127(3), 773-786(e7)
Buraczewska I, Berne BM, Lindberg HT and Loden M. (2007) Changes in skin barrier function following long-term treatment with moisturize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r. J. Dermatol., 156(3), 492?498
Chen Z, Seo JY, Kim YK, Lee SR, Kim KH, Cho KH, Eun HC and Chung JH. (2005) Heat Modulation of Tropoelastin, Fibrillin-1,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2 in Human Skin In Vivo. J. Invest. Dermatol., 124(1), 70-78
Elisa PM and Menon GK. (1991) Structural and lipid biochemical correlates of the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Adv. Lipid Res., 24, 1-26
Fox PF and McSweeney PLH. 전우민, 강신호, 김세헌, 문용일, 박동준, 임지영, 한경식 역. (2007) 우유와 유제품의 생화학. 서울, 라이프사이언, pp. 62-361
Glogau RG. (1997) Phygiologic and structural changes associated with aging skin. Dermatol Clin, 15(4), 555?559
Kurban RS and Bhawan J. (1990) Histologic Changes in Skin Associated with Aging. J Dermatol Surg Oncol, 16(10), 908-914
Lu R, Fasano S, Madayiputhiya N, Morin N, Nataro J and Fasano A. (2009)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mall bioactive peptides from Lactobacillus GG conditional media that exert both anti-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cidal activity.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49(1), 23-30
Madison KC. (2003) Barrier Function of the Skin: "La Raison d'Etre" of the Epidermis. J. Invest. Dermatol., 121(2), 231-241
Marschan E, Kuitunen M, Kukkonen K, Poussa T, Sarnesto A, Haahtela T, Korpela R, Savilahti E and Vaarala O. (2008) Probiotics in infancy induce protective immune profiles that are characteristic for chronic low-grade inflammation. Clin. Exp. Allergy, 38(4), 611-618
Marzio L, Centi C, Cinque B, Masci S, Giuliani M, Arcieri A, Zicari L, De Simone C and Cifone MG. (2003) Effect of the lactic acid bacterium Streptococcus thermophilus on stratum corneum ceramide levels and signs and symptoms of atopic dermatitis patients. Exp. Dermatol., 12(5), 615-620
Nakatsuji T, Kao MC, Zhang L, Zouboulis CC, Gallo RL and Huang CM. (2010) Sebum Free Fatty Acids Enhance the Innate Immune Defense of Human Sebocytes by Upregulating β-Defensin-2 Expression. J. Invest. Dermatol., 130(4), 985?994
Rabe JH, Mamelak AJ, McElgunn PJS, Morison WL and Sauder DN. 2006 Photoaging: mechanisms and repair. J. Am. Acad. Dermatol., 55(1), 20-21
Schneeberger EE and Lynch RD. (2004) The tight junction: a multifunctional complex. Am. J. Physiol. Cell Physiol., 286(6), 1213-1228
Sørensen LH, Pedersen KT and Maibach HI. (1993) Equation for conversion of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to a common reference temperature: what is the slope?. Contact Derm., 29(5), 280-281
Spencer T.S. (1976) Water and the horny layer. J Soc Cosmet Chem, 27, 63-72
Thune P, Nilsen T, Hanstad IK, Gustavsen T and Lovig DH. (1988) The water barrier function of the skin in relation to the water content of stratum corneum, pH and skin lipids. The effect of alkaline soap and syndet on dry skin in elderly, non-atopic patients. Acta Derm. Venereol, 68(4), 277-283
Yuki T, Haratake A, Koishikawa H, Morita K, Miyachi Y and Inoue S. (2007) Tight junction proteins in keratinocytes: localization and contribution to barrier function. Exp. Dermatol., 16(4), 324-330
Zhang L, Seitz LC, Abramczyk AM and Chan C. (2010) Synergistic effect of cAMP and palmitate in promoting altered mitochondrial function and cell death in HepG2 cells. Exp. Cell Res., 316(5), 716-727
한국식품과학회(편). (2008) 식품과학기술대사전. 서울, 광일출판사
홍세정, 김금란. (2011) 천연화장품이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예술학회지, 5(2), 57-64
황상민, 안성구, 이승헌. (2001) 표피 칼슘기울기 변화가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피부과학회지, 39(4), 389-401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022B1 (ko) * 2018-12-31 2020-06-16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에 효능이 있는 고농도 프로바이오틱스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74383B1 (ko) * 2019-04-26 2020-02-06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218888A1 (ko) * 2019-04-26 2020-10-29 주식회사 락토메이슨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lm101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112702990A (zh) * 2019-04-26 2021-04-23 乐土美森有限公司 包含新型鼠李糖乳杆菌lm1011作为有效成分的皮肤美白用化妆品组合物
CN112702990B (zh) * 2019-04-26 2023-06-02 乐土美森有限公司 包含新型鼠李糖乳杆菌lm1011作为有效成分的皮肤美白用化妆品组合物
CN112386613A (zh) * 2019-08-14 2021-02-23 大江生医股份有限公司 鼠李糖乳杆菌tci366及/或其代谢产物改善肌肤状况的用途
KR102073013B1 (ko) 2019-11-14 2020-03-02 주식회사 제이투케이바이오 피부진정 및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34808A (ko) * 2021-03-25 2022-10-06 대봉엘에스 주식회사 유자 발효물 및 이의 용도
KR102349372B1 (ko) 2021-04-21 2022-01-11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세라마이드 형성을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225095A1 (ko) * 2021-04-21 2022-10-27 일동바이오사이언스(주) 세라마이드 형성을 향상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CN113278544A (zh) * 2021-05-11 2021-08-20 君维安(武汉)生命科技有限公司 一种副干酪乳杆菌、其发酵液的制备方法、应用及产品
CN113278544B (zh) * 2021-05-11 2022-03-01 君维安(武汉)生命科技有限公司 一种副干酪乳杆菌、其发酵液的制备方法、应用及产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5482B1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482B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 회복 또는 피부노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11154731B2 (en) Cosmetic use of Bifidobacterium species lysate for the treatment of dryness
US11052032B2 (en) Peptid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ameliorating skin laxity and body contour
KR101912478B1 (ko) 피부, 점막, 모발 및/또는 손발톱의 치료 및/또는 관리를 위한 엑소폴리사카라이드
ES2461791T3 (es) Utilización de una combinación de hesperidina y de un microorganismo para actuar sobre la función de barrera de la piel
US20110244063A1 (en) Novel sebum secretion inhibitory agent
JP2013512946A (ja) 皮膚の色つやの明るさを向上させる活性剤としてのプロバイオチックな微生物
JP2013512947A (ja) 皮膚のマイクロレリーフにおける変化に対する活性剤としてのプロバイオチックな微生物
US20190247295A1 (en) Use of lactobacillus plantarum gmnl-6 composition for skin care
KR20080053614A (ko) 용암해수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20170111086A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배양액 및 공액리놀레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61186B1 (ko) 크립토탄시논을 함유하는 여드름 예방 및 치료용 화장료
KR101106216B1 (ko) 피부염 예방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214611B1 (ko) 생귀나린을 함유하는 여드름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0128382A (ja) ビタミンd様作用剤
KR20160008942A (ko) 발효된 부활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667182B1 (ko) 오소리 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건조증 개선용 화장료
JP2008169196A (ja) 皮膚外用剤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281A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0318A (ko) 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7382181B2 (ja) 皮膚バリア機能低下抑制用組成物
US20220296492A1 (en) Topical cosmetic composition, use of the composition and serum for applying on the face
US20220287953A1 (en) Topical cosmetic composition, use of the composition and tonic for facial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