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437A - 단자 설치부 - Google Patents

단자 설치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437A
KR20180044437A KR1020187011124A KR20187011124A KR20180044437A KR 20180044437 A KR20180044437 A KR 20180044437A KR 1020187011124 A KR1020187011124 A KR 1020187011124A KR 20187011124 A KR20187011124 A KR 20187011124A KR 20180044437 A KR20180044437 A KR 20180044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ver
pair
height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1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3550B1 (ko
Inventor
사디아나단 드와라가나단 브하그야나단
이브스 레포티에르
신 왕
에릭 헤플러
Original Assignee
몰렉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몰렉스 엘엘씨 filed Critical 몰렉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044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the spring member surrounding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5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 H01R13/187Pins, blades or sockets having separate spring member for producing or increasing contact pressure with spring member in the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engaging or disengaging the two parts of a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전기 단자 설치부는 바디와 커버를 포함한다. 바디는 제 1 물질로 형성되고, 연결 섹션 및 접촉 섹션을 포함하고, 접촉 섹션은 짝을 이루는 단자의 숫놈의 핀을 수용하기 위해 유연한 접촉 빔 및 대항하는 고정 빔을 갖는다. 커버는 제 1 물질보다 더 높은 인장 강도를 가지 수 있는 제 2 물질로 형성되고, 바디에 고정된다. 커버는 강성화 빔과, 유연한 접촉 빔과 맞물리는 지지 빔을 포함하여, 유연한 접촉 빔에 증가된 수직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단자 설치부{TERMINAL FITTING}
본 출원은 그 전체가 참고용으로 병합된 2014년 4월 2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1/983,535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개시는 전기 단자 설치부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전기 단자 접점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차량에 사용될 수 있는 커넥터 시스템용 전기 단자 접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유형의 커넥터들은 접합 분배 블록들, 전력 제어 모듈들 및 다른 바디 제어 시스템들을 포함하는 차량 시스템들에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이들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차량 전체에 다양한 바디와 제어 시스템들을 연결하기 위해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를 이용한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시스템이 제공된다. 커넥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인쇄 회로 보드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기 전도 단자들을 포함하는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또는 헤더 조립체와, 배선(wiring) 하니스에 결합된 대응하는 수의 짝을 이루는(mating) 전기 단자들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조립체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장치들에서, 플러그 및 리셉터클 시스템은 모두 와이어 하니스의 각 단부들에 결합될 수 있다. 이들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와이어-보드 및 와이어-와이어 연결 시스템들로서 알려져 있다.
이들 커넥터 시스템들은 인쇄 회로 보드 상에 장착되거나 플러그 또는 제 1 절연 하우징에 유지되는 복수의 숫놈의 전기 단자들 또는 핀들을 갖는 헤더 또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제 1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과 협력하여 짝을 이루기 위한 복수의 암놈의 단자들을 유지하기 위해 복수의 포켓들 또는 공동들(cavities)을 갖는 몰딩된 외부 하우징을 포함한다. 각각의 커넥터 조립체들 각각은 단자로부터 연장하는 로킹(locking) 또는 유지 아암을 갖는 전기 단자 설치부와, 유지 아암과 맞물리는 일체형으로 몰딩된 구조를 갖는 공동을 포함하는 절연 하우징을 포함하여, 하우징 상에서 대응하는 전기 단자들을 완전히 유지하고 로킹한다.
더 작은 단자들 및 증가된 성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실시예에서 암놈의 전기 단자는 2개의 부품들, 즉 접촉 또는 전기 부품 및 강화 부품 또는 지지 부품으로 구성된다. 접촉 부품은 우수한 전기 성능을 허용하는 고 전도성의 금속으로 만들어졌고, 지지 부품은 우수한 유지력(superior retention force) 및 접촉 빔 강화를 제공하기 위해 고강도 물질로 만들어졌다.
본 개시는 유사한 도면 부호들이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는 첨부 도면들에서 예로서 예시되고, 제한되지 않는다.
필요에 따라, 본 개시의 상세한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 제공된다; 하지만, 개시된 실시예가 단지 본 개시를 예시하고,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정한 세부사항들은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고, 당업자가 본 개시를 다양하게 이용하는 것을 가르치기 위한 대표적인 기반으로서 그리고 청구항들에 대한 기반으로서 해석된다. 개시된 실시예들이 단지 본 개시를 예시하고, 다양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단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자의 대안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단자의 분해도.
도 4는 도 1이 단자의 바디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바디의 대안적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단자의 커버(covering)의 사시도.
도 7은 도 4의 커버의 대안적인 사시도.
도 8은 도 4의 커버의 상세도.
도 9는 도 4의 커버의 다른 상세도.
도 10은 상부 부분이 제거된 도 4의 커버의 상세도.
도 119는 도 4의 커버의 단면도.
도 12는 도 1의 단자의 부분 단면도.
도 13은 도 1의 단자의 단면도.
도 14는 도 11의 커버의 상세도.
도 15는 커버의 부분을 바디에 결합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 1의 단자의 부분 단면도.
도 16은 도 1의 단자의 윙들(wings)의 사시도.
도 17은 도 14의 윙들의 측면도.
커넥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인쇄 회로 보드에 또는 차량 와이어 하니스의 단부에 장착된 제 1 커넥터와, 차량 배선 하니스(미도시)의 제 2 단부 상에 배치된 제 2 커넥터 또는 리셉터클(10)을 포함한다. 와이어 하니스의 제 1 단부는 대응하는 커넥터 또는 리셉터클과 짝을 이루기 위해 절연 물질로 형성된 하우징을 갖는 제 1 커넥터를 포함한다. 후속하는 본 개시는 커넥터 조립체의 리셉터클 부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셉터클과 연관된 전기 단자(10)에 관한 것이다. 단자(10)는 숫놈의 핀(미도시)을 수용하기 위한 암놈의 유형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설치부(10)가 예시된다. 단자(10)는 2개의 부품들, 즉 커넥터에 결합되기 위한 단자(10)의 단부 부분에서의 연결 섹션과 또한 짝을 이루는 단자 핀(미도시)과의 전기적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접촉 섹션을 갖는 제 1 바디 부품(80)과; 바디(80)의 접촉 부분을 수용하고, 부품들이 함께 조립될 때 바디(80)에 유지 및 강화를 추가로 제공하기 위한 제 2 커버 부품(30)으로 구성된다. 각 부품은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별도의 조립 또는 매리지 다이(marriage die)를 통해 함께 고정된다.
도 4 및 도 5에 추가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바디(80)는 길이 방향의 삽입 방향(L)으로 형성되고, 바디(80)의 후방 즉 제 1 단부에 일반적으로 위치된 종료 또는 연결 부분(84)과, 바디(80)의 전방 단부 즉 제 2 단부 부분에 배치된 접촉 부분(82)을 포함한다. 제 1 부품은 동일한 전기 전도 특성들을 갖는 구리와 같은 전기 전도 물질 또는 임의의 다른 구리 기반의 합금 또는 유사한 물질의 단일 부품으로 스탬핑(stamped)되고 형성된다. 종료 부분(84)은 "U" 형태이고, 접촉 부분(82)에 인접하게 배치된 윙들(140)의 제 1 쌍과, 윙 부분들의 제 1 쌍에 인접하게 위치된 윙 부분들의 제 2 쌍을 포함한다. 윙들(140)은 케이블(미도시)의 노출 전도체 부분을 고정하는데 사용되고, 윙들의 제 2 쌍은 케이블의 절연 부분을 고정하는데 사용된다.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바디는 짝을 이루는 단자 핀(미도시)과 전기적으로 맞물리기 위해 바디(80)의 접촉 부분(82)에 형성된 고정 빔(고정 접촉 빔에 해당)(110) 및 캔틸레버형 유연한 접촉 빔(유연한 빔에 해당)(100)을 가지고 일반적으로 "U" 형태를 갖는다. 빔들은 삽입축을 따라 연장하고, 베이스(83)로 형성된다. 베이스 부분(83)은 하부 벽, 한 쌍의 대항하는 측벽들 및 상부 벽을 포함한다. 벽들은 벤딩에 의해 형성되고, 상부 벽으로 형성된 탭(106)과, 측벽에 형성된 슬롯(116)을 포함하고, 슬롯(116)에 설치된 탭(116)은 베이스를 함께 로킹한다. 베이스 부분(83)으로부터 고정 빔(110)은 하부 벽으로부터 플랫(flat) 방식으로 삽입축을 따라 순방향으로 연장하고, 유연한 접촉 빔(100)은 상부 벽으로부터 연장하고, 고정 빔(110)에 대항한다. 고정 빔(110)은 챔퍼형(chamfered) 전방 에지(112)를 포함하고, 유연한 접촉 빔은 짝을 이루는 단자 핀을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벤딩된 가이드 부분(102)을 포함하며, 양 비임은 연결시 짝을 이루는 단자 핀과 맞물리는 접촉 범프(104, 114)를 포함한다.
추가로, 측벽은 유연한 접촉 빔(100) 위로 연장하고, 제 1 멈춤(stop) 에지(85) 및 제 2 멈춤 에지(124)를 포함한다. 플랩(122)은 벽으로 형성되고, 유연한 접촉 빔(100) 위로 연장하고, 제 1 멈춤 에지(85)에 인접한다. 제 1 멈춤 에지(85) 및 플랩(122)은 삽입축(L)에 수직인 표면을 한정한다. 추가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루버(louver)(118)는 각 측벽 상에 형성되고, 삽입축(L)으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한다.
커버(30)는 도 6 내지 도 11에 의해 이제 설명되고 예시될 것이다. 커버는 평평한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스탬핑되고, 일반적인 직사각형인 주변부(periphery)를 포함한다. 주변부는 하부 벽과, 하부 벽들 및 상부 벽으로부터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들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상부 벽은 상부 벽의 각진 부분을 생성하는 벤딩 부분을 포함한다. 각진 부분은, 단자들이 하우징(미도시)에 삽입될 때 적절한 정렬 및 조립을 허용하는 고유한 주변부 윤곽을 한정한다. 커버는 하부 섹션(22) 및 상부 섹션(24)을 한정하는 중간 벽(26)을 포함한다. 하부 섹션(22)은 짝을 이루는 커넥터의 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20)를 포함한다. 하부 섹션(22) 및 상부 섹션(24) 모두는 커버(30)의 길이를 따라 삽입축(L)을 따라 연장한다.
도 6 및 도 8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는 짝을 이루는 단자를 수용하기 위해 하부 섹션(22)의 부분인 개구부(20)를 포함한다. 한 쌍의 범프들(36)은 개구부(20)로 돌출하고 서로 대항하는 하부 섹션(22)의 측벽들에 형성된다. 유사하게, 한 쌍의 대항 돌출부들(34)은 하부 벽 및 중간 벽(26)에 형성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근 전방 부분 및 후방 평평한 부분을 포함한다. 돌출부들(34) 및 범프들(36)은 완전한 연결 이전에 초기 삽입 동안 짝을 이루는 단자를 정렬하고 중심에 두는데 사용된다. 추가로, 복수의 지지 숄더들(38)은 측벽들 상에 형성되고, 커버(30)의 하부 섹션(22)으로 연장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커버(30)는 시트 금속의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고, 실시예에서, 물질은 스테인리스 스틸일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스틸은 구리 또는 구리 기반의 합금에 추가 이익들을 제공한다. 스틸은 일반적으로, 스프링에 사용되는 상황 또는 바이어스 응용들을 위해 종종 뛰어난 선택인 상황에서 더 높은 인장 강도 특성들을 나타낸다.
도 7, 도 9 및 도 11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빔(40)은 커버(30)에 형성되고, 바깥쪽 방향으로 연장된다. 유지 빔은 커버(30)의 상부 벽으로부터 벤딩되고 캔틸레버형이 되고, 제 1 빔(42) 및 제 2 빔(44)을 포함한다. 빔들(42, 44)은 앞뒤로 나란한(tandem) 관계로 배치되는데, 즉 빔들은 본질적으로 겹치게 적층되어, 이중 두께 빔을 생성한다. 플랩(46)은 제 2 빔(44)으로 형성되고, 아래로 돌출하고, 커버(30)에서의 개구부(20)쪽으로 경사진다. 노치들(41)은, 제 1 빔(42) 및 제 2 빔(44)이 결합되는 빔의 접힌 부분을 따라 유지 빔에 형성된다.
바디(80) 및 커버(30)에 형성된 추가 특징들 및 구조들은 이제 단자(10)를 완료시키는 바디로의 커버(30)의 조립과 연계하여 이제 논의될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바디(80)는 개구부(20)에 대항하는 커버의 하부 섹션(22)의 후방에 삽입되고, 고정 빔(110)은 커버(30)의 하부 벽 상에 위치된다. 고정 빔(110)은 개구부(20)쪽으로 순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고정 빔은 커버(30)의 측벽들 상에 형성된 지지 숄더들(38)과 하부 벽 사이에 배치된다. 바디(80)는, 전방 에지(112)가 하부 벽에서의 돌출부(34)의 후방 플랫 부분과 맞물릴 때까지 순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때, 커버(30)가 완전히 형성되지 않고, 조립을 완료하기 위해 추가 동작들을 요구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커버는 간략함 및 명백함을 위해 최종적으로 완전히 형성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전에 언급된 바와 같이, 바디(80)를 커버(30)에 삽입하는 동안, 고정 빔은 하부 섹션(22)에 적절히 정렬되고, 유연한 접촉 빔(100)은 도 10 및 도 13에서 가장 잘 예시된 바와 같이, 하부 섹션(22)에 삽입되고, 고정 스트랩(76)이 이 때 벤딩되지 않고, 벤딩 부분(74)에 의해 안내된다는 것이 주지된다. 추가 삽입시, 벤딩 가이드 부분(102)은 강성화(stiffening) 빔(50) 및 지지 빔(52) 아래에 벤딩 부분(74)에 의해 향하게 된다. 강성화 빔(50) 및 지지 빔(52)은 커버(30)의 중간 벽(26)으로 형성되고, 하부 섹션(22)으로 연장된다.
도 13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은 빔들의 레이아웃을 예시한다.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유연한 접촉 빔은 바디에 형성되고, 바디(80)의 베이스(83) 상에 위치된 제 1 지점(101)으로부터 캔틸레버형이 된다. 강성화 빔(50)은 커버의 중간 벽(26)으로 형성되고, 제 2 지점(53), 즉 강성화 빔(50)이 중간 벽(26)으로부터 하부 섹션(22)으로 아래로 벤딩되는 지점으로부터 캔틸레버형이 된다. 제 3 지점(55)은, 강성화 빔(50)이 유연한 접촉 빔(100)과 맞물리는 곳에 위치된다. 이 장치에서, 유연한 접촉 빔(100)은 강성화 빔(50) 및 지지 빔(52)에 의해 추가로 지지된다. 이것은 짝을 이루는 동안 편향에 대한 증가된 내성을 제공하고, 우수한 전기 연결을 제공하는 증가된 수직력을 제공한다. 더 높은 인장 강도 물질들이 커버(30)에 사용되면, 수직력은 추가로 증가될 수 있다.
추가로 예시되는 바와 같이, 과응력 보호 탭(54)은 강성화 빔(50)으로부터 위로 벤딩되고, 동작시 너무 이른 변형 지점으로 너무 많이 벤딩되는 것으로부터 빔들을 보호한다. 동작시, 짝을 이루는 동안, 단자 핀은 개구부(20)에 삽입되고, 고정 빔(110)과 유연한 접촉 빔(100) 사이에 위치되고, 유연한 접촉 빔(100), 강성화 빔(50) 및 지지 빔(52)을 위로 편향시킨다. 빔들이 너무 많이 편향되면, 과응력 보호 탭(54)은 유지 빔(40)의 제 2 빔(44)의 하부 표면과 맞물려서, 빔들의 편향의 총량을 제한한다.
도 9 및 도 12 내지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조립의 최종 스테이지들은 이제 기재될 것이다. 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바디(80)는 커버(30)에 삽입되고, 일단 적절한 장소에서, 커버는 바디(80) 및 커버(30)를 함께 고정하기 위해 추가 성형을 요구한다. 이 프로세스 동안 수반된 여러 특징들 및 단계들이 존재한다. 바디 상에 형성된 루버들(118)은 커버(30)에 형성된 슬롯들(70, 71)에 삽입되고, 바디를 삽입축(L)을 따라 커버에 고정한다. 중간 벽(26) 상에 형성된 고정 탭들(56)은 슬롯들(70 및 72)에 삽입되고, 중간 벽을 적소에 유지한다. 이들 고정 탭들(56)은 본질적으로 중간 벽(26)이 "펴지는 것(unfolding)"을 방지하고, 하부 섹션(22) 및 상부 섹션(24)을 유지한다.
최종 동작은 도 15에 가장 잘 예시된다. 이 단계에서, 커버(30) 상에 형성된 고정 스트랩(76)은 바디(80) 위에서 벤딩되고, 바디(80)에 형성된 고정 오목부(recess)(120)에 배치된다. 이 때, 주변부 윤곽의 상부 부분은 중간 벽(26)의 상부 부분 위에 형성되어, 커버(30)를 차단하고, 주변부 윤곽을 완성한다. 추가로, 바디(80) 상에 형성된 제 2 멈춤 에지(124)는 이 단계 동안 상부 벽의 과 성형(over-forming)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30)의 상부 벽의 내부 표면과 맞물린다. 이 때, 탭(106)은 바디(80)에서 슬롯(제 1 슬롯)(116)을 통해 삽입되고, 바디의 슬롯(116)에 이미 삽입된 고정 탭(56)은 모두 커버(30)의 슬롯(제 2 슬롯)(70)에 삽입된다. 즉, 바디(80)는 제 1 탭(탭)(106) 및 제 1 슬롯(116)을 포함하고, 커버(30)는 제 2 탭(고정 탭)(56) 및 제 2 슬롯(70)을 포함하고, 제 1 탭 및 제 2 탭(106, 56)은 커버가 바디에 결합될 때 제 1 슬롯 및 제 2 슬롯(116, 70)을 통해 연장한다.
연결 부분(84)은 인접한 와이어들 사이의 단락에 대해 보호 배리어를 제공하는 절연 커버를 가져, 전기 리드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와이어(미도시)의 전방 부분은 전도체를 노출하도록 제거된 절연 부분을 갖고, 이에 의해 노출된 전도체는 윙들의 제 1 쌍(140) 내에 위치되고, 노출되지 않은 와이어의 부분은 윙 부분들의 제 2 쌍(144)에 수용된다. 윙 부분들의 각 세트는 이 후 단자에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해 와이어의 각 부분들 위에 형성된다. 윙의 제 1 쌍(140)은 단자를 리드 와이어의 노출된 와이어 부분에 고정하거나 크림프(crimps)하고, 윙들의 제 2 쌍(144)은 리드 와이어의 절연 부분을 단자 설치부에 고정하거나 크림프한다.
도 16 및 도 1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윙들의 제 1 쌍(140)은 리드 와이어의 노출된 와이어 부분을 단자(10)에 고정하고, 압인가공된(coined) 에지를 포함한다. 단자(10)의 하부 표면으로부터 참조되는 에지는 단자(10)의 후방 단부에서의 높이(H2)보다 단자(10)의 전방쪽으로 더 큰 연장 또는 높이(H1)를 갖는다. 윙들(140)의 전방 부분은 또한 베벨(bevel)(142)을 포함한다. 추가로, 압인가공된 에지는 또한 폭에서의 변경을 포함한다. 도 16에서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윙(140)의 압인가공된 에지의 전방 에지는 윙(140)의 후방 부분에서의 폭(W2)보다 작은 폭(W1)을 갖는다. 이 형태는 전방 쌍의 다른 윙 부분에 미러링(mirrored)된다.
이 구성으로 인해, 단자(10)에 와이어를 크림프하거나 고정하자마자, 윙들(140)은 변형 및 크림프 압력의 가변 정도를 제공한다. 즉, 와이어가 단자(10)에 고정된 후에, 크림프 힘은 윙(140)의 길이를 따라 변한다. 동작시, 전도체는 일반적으로 자유 단들을 갖는 표준 와이어이고, 윙들(140)의 전방 부분은 윙들의 전방 쌍의 후방 부분들보다 더 많이 변형되거나 크림프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장점은, 와이어의 팁 부분이 와이어의 그 전방부에서 더 많이 압축되고 크림프 섹션이 뒤로 이동함에 따라 감소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과도한 변형과 표준 와이어의 전방에 대한 손상을 회피하여, 이를 통해 내성을 최소화한다. 와이어 크림프 부분의 뒷 부분에서의 적은 변형이 이루어진다는 점으로 인해, 과도한 압축으로 인한 와이어에 대한 임의의 손상은 제거되고, 이를 통해 이것은 또한 와이어와 단자(10) 사이에서 윙(140)을 따라 더 큰 기계적 유지 및 증가된 전기적 성능과 전도성을 초래한다.
동작시, 단자(10) 또는 단자들은 하우징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공동들 내의 하우징(미도시)에 삽입된다. 공동은 단자 주변부 윤곽으로 성형되어, 오정렬 없이 삽입될 수 있다. 이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자는 커버(30)의 상부 섹션(24)에 형성된 유지 빔(로킹 아암에 해당)(40)을 포함한다. 공동은, 단자가 공동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유지 빔(40)과 맞물리는 대응하는 숄더를 포함하는데, 즉 이러한 장치는 공동으로부터 단자(10)의 후퇴를 방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지 빔(40)의 단면은 벽 위에서 접혀져서, 이중 벽의 유지 빔을 생성하지만, 다른 단면, 예를 들어, "L" 형태의 단면 또는 벤딩에 대해 증가된 내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단면이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접힌 단면은 부하 하에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빔에 강성을 추가한다.
플랩(46)은 유지 빔(40)의 자유 단에 형성되고, 플랩(46)은 후드 부분쪽으로의 방향으로 형성되며, 이는 와이어들 등이 조립 이전에 유지 빔 상에서 포획되거나 걸려 유지 비임을 손상시킬 수 없게 하는 보호 조치를 제공한다. 플랩(46)은 또한 커넥터 하우징 공동에 삽입될 때 유지 빔이 맞물리기 위한 표면을 제공한다. 플랩(46)은 공동에 형성된 숄더 또는 오목부에 접하여, 전기 설치부는 하우징 내에 완전히 삽입된 이후에 당겨 빼내어지는 것에 저항한다. 플랩(46)은 단자(10)의 개구부쪽으로 벤딩되어, 유지 아암이 후퇴를 시도하자마자 바깥쪽으로 편향되는 경향이 있다. 사실상, 유지 아암은 공동을 더 갑작스럽게 맞물리도록 하고, 단자의 잡아 당겨짐에 내성이 있다. 플랩(46)은 또한 공동과의 맞물림을 위한 더 큰 영역을 제공하여, 하우징 물질에 대한 손상이 회피된다.
일단 모든 단자들(10)이 하우징에 삽입되고 각각의 공동 각각에 완전히 안착되면, 독립적인 2차 로크(ISL)는 일반적으로 하우징 내에서 단자(10)를 추가로 유지하도록 이용된다. ISL은 일반적으로 단자들이 공동들에 삽입되도록 하는 제 1 위치에서 하우징의 측부에 부착된다. 일단 단자들(10)이 삽입되면, ISL은 단자들(10)에 대한 추가 로크를 제공하는 제 2 위치로 작동되거나 슬라이딩된다. 특히 도 15에서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 멈춤 에지(85) 및 멈춤 플랩(122)은, ISL이 제 2 위치로 이동될 때 맞물림 상태가 되도록 슬라이딩되는 ISL에 형성된 숄더에 접하여 단자(10)의 후퇴에 대한 추가 방지를 제공한다.
그러한 특징들의 추가 조합들, 또는 대안적으로 접촉 어레이 커넥터들의 다른 유형들을 명백히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 개별적으로 개시되거나 청구된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의 조합들을 포함하는 압축 커넥터 조립체 및/또는 구성 요소들의 많은 변경들 및 변형들과 같이 당업자에게 쉽게 명백해지는 위에 기재된 예시된 실시예들의 다수의 변형들이 존재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물질들 및 구성들에서의 많은 가능한 변경들이 존재한다.
10 - 단자 설치부

Claims (12)

  1. 단자이며,
    바디로서, 상기 바디는 길이 방향 축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단부 부분을 따르는 연결 섹션과, 상기 바디의 다른 단부 부분에서 상기 연결 섹션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하는 접촉 섹션을 갖는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섹션은 와이어 고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 부분은 한 쌍의 윙 부분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윙 부분은 리드 와이어의 전도체 부분을 고정하고, 각각의 윙 부분은 압인가공된(coined)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압인가공된 에지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제 1 높이를 갖고, 상기 제 2 부분은 제 2 높이를 갖고, 상기 제 1 높이는 상기 제 2 높이보다 크고, 상기 제 1 부분은 제 1 두께를 갖고, 상기 제 2 부분은 제 2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두께는 상기 제 2 두께보다 작은, 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베벨을 포함하는, 단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U" 형태인, 단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윙 부분들의 제 2 쌍이 윙 부분들의 제 1 쌍에 인접하게 배치된 연결 섹션 상에 형성되는, 단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섹션은 커버를 포함하는, 단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개별적인 부품인, 단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제 1 물질로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제 2 물질로 형성되는, 단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2 물질의 인장 강도는 상기 제 1 물질의 인장 강도보다 큰, 단자.
  9. 리드 와이어를 전기 단자에 고정하는 크림프 구성이며,
    전기 단자의 바디로부터 연장하도록 구성된 와이어 고정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고정 부분은 한 쌍의 윙 부분을 구비하고, 각각의 윙 부분은 압인가공된 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압인가공된 에지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부분은 제 1 높이를 갖고, 상기 제 2 부분은 제 2 높이를 갖고, 상기 제 1 높이는 상기 제 2 높이보다 크고, 상기 제 1 부분은 제 1 두께를 갖고, 상기 제 2 부분은 제 2 두께를 갖고, 상기 제 1 두께는 상기 제 2 두께보다 작은, 크림프 구성.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분은 베벨을 포함하는, 크림프 구성.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고정 부분은 "U" 형태인, 크림프 구성.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윙 부분들의 제 2 쌍이 윙 부분들의 제 1 쌍에 인접하게 배치된 와이어 고정 부분 상에 형성되는, 단자.
KR1020187011124A 2014-04-24 2015-04-24 단자 설치부 KR1019135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83535P 2014-04-24 2014-04-24
US61/983,535 2014-04-24
PCT/US2015/027532 WO2015164754A1 (en) 2014-04-24 2015-04-24 Terminal fitt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355A Division KR101852707B1 (ko) 2014-04-24 2015-04-24 단자 설치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437A true KR20180044437A (ko) 2018-05-02
KR101913550B1 KR101913550B1 (ko) 2018-10-30

Family

ID=543332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1124A KR101913550B1 (ko) 2014-04-24 2015-04-24 단자 설치부
KR1020167032355A KR101852707B1 (ko) 2014-04-24 2015-04-24 단자 설치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355A KR101852707B1 (ko) 2014-04-24 2015-04-24 단자 설치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122108B2 (ko)
EP (3) EP3134943B8 (ko)
JP (2) JP6297717B2 (ko)
KR (2) KR101913550B1 (ko)
CN (1) CN106463867B (ko)
WO (1) WO20151647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0436B2 (ja) * 2013-12-16 2016-11-0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接続用の端子および該端子の電線接続構造
US10122108B2 (en) * 2014-04-24 2018-11-06 Molex, Llc Terminal fitting
CN107851919B (zh) * 2015-07-23 2020-04-10 莫列斯有限公司 端子接头件
US9831587B2 (en) * 2015-10-27 2017-11-28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A.R.L. Electrical terminal for a female connector
EP3163681B1 (en) * 2015-10-27 2019-04-24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terminal for a female connector and a method to manufacture the same
JP2017139213A (ja) * 2015-11-30 2017-08-10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接続ターミナルおよび接続アッセンブリ
JP2019504458A (ja) * 2016-02-08 2019-02-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端子金具
DE102016106717B4 (de) * 2016-04-12 2021-02-18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lement und Kontakteinrichtung mit solch einem Kontaktelement
FR3055168B1 (fr) * 2016-08-16 2018-09-21 Leoni Wiring Systems France Organe de raccordement electrique ameliore
US10886664B2 (en) 2017-01-23 2021-01-05 Molex, Llc Electrical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WO2018160814A1 (en) * 2017-03-01 2018-09-07 Molex, Llc Electrical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EP3602691A1 (de) * 2017-03-22 2020-02-05 Hirschmann Automotive GmbH Kontaktelement für einen steckverbinder
JP6556787B2 (ja) * 2017-06-09 2019-08-07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圧着装置
EP3451467B1 (en) * 2017-09-01 2022-02-23 Tyco Electronics France SAS Electric contact of sheet metal having a plastically elongated latching tongue and/or limit stop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996219B2 (ja) * 2017-10-18 2022-01-1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雄端子、雄コネクタ、治具、及び雄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JP6644754B2 (ja) * 2017-11-07 2020-02-12 矢崎総業株式会社 雌端子、および、導通検査装置
DE102017220185A1 (de) * 2017-11-13 2019-05-1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Buchsenkontakt
WO2019111320A1 (ja) * 2017-12-05 2019-06-13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
USD843949S1 (en) * 2018-02-21 2019-03-26 JS Automotive Inc. Cable connecting terminal for a vehicle
USD843951S1 (en) * 2018-02-21 2019-03-26 JS Automotive Inc. Cable connector for a vehicle
USD843950S1 (en) * 2018-02-21 2019-03-26 JS Automotive Inc. Cable connecting case for a vehicle
CN110247232A (zh) * 2018-03-09 2019-09-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导电端子和连接器
JP6768742B2 (ja) * 2018-06-04 2020-10-1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19212458A (ja) * 2018-06-04 2019-12-12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付き電線および端子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2020087844A (ja) * 2018-11-30 2020-06-0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7194332B2 (ja) * 2019-03-12 2022-12-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構成体
DE102019211762A1 (de) 2019-08-06 2021-02-11 Lear Corporation Elektrischer clean-body anschluss
CN112350092B (zh) * 2019-08-08 2023-07-18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连接器及端子
US11245212B2 (en) * 2019-08-29 2022-02-08 J.S.T. Corporation Electrical female terminal comprising a spring member
JP2021089834A (ja) * 2019-12-04 2021-06-10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DE102020108278B4 (de) 2020-03-25 2023-12-28 Lear Corporation Elektrischer Verbinder und Anschlusssteckersystem
JP7401500B2 (ja) 2020-10-13 2023-12-19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ジャーマニ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ク 電気端子
US11833896B2 (en) 2021-04-15 2023-12-05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Retention mechanisms for service access doors
JP2022178896A (ja) * 2021-05-21 2022-12-0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端子、電線コネクタ及び電線対基板コネクタ
US11699869B2 (en) 2021-06-11 2023-07-11 J.S.T. Corporation Electrical female terminal
US11742606B2 (en) * 2021-06-18 2023-08-29 Lear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electrically conductive structures
DE102022113280A1 (de) 2022-05-25 2023-11-30 Kostal Kontakt Systeme Gmbh Kontakthülse für eine elektrische Steckverbindungskonstruktion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55698A (en) * 1965-04-28 1967-11-28 Amp Inc Electrical connector
JPS5841645Y2 (ja) * 1979-10-05 1983-09-2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端子金具
CA1189690A (en) * 1981-07-20 1985-07-02 Paul E. O'donnell Electrical crimp connection with anaerobic sealant
US4632483A (en) * 1983-02-07 1986-12-30 Microdot Inc. Electrical terminal
US5162004A (en) 1989-05-19 1992-11-10 Yazaki Corporation Multi-terminal electric connector requiring low insertion and removal force
DE9106775U1 (ko) * 1991-06-03 1991-07-18 Amp Inc., Harrisburg, Pa., Us
DE9211819U1 (de) * 1992-07-07 1993-11-04 Grote & Hartmann Elektrisches Kontaktelement
GB9225885D0 (en) * 1992-12-11 1993-02-03 Amp Gmbh Vibration proof electrical receptacle
GB9406934D0 (en) * 1994-04-07 1994-06-01 Amp Gmbh Electrial terminal back-up spring with anti-chattering support members
JP3518178B2 (ja) * 1996-07-25 2004-04-12 住友電装株式会社 雌側端子金具
JP3509401B2 (ja) * 1996-07-25 2004-03-22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H1040995A (ja) * 1996-07-25 1998-02-13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3520676B2 (ja) * 1996-08-01 2004-04-19 住友電装株式会社 雌側端子金具
JP3520677B2 (ja) 1996-08-01 2004-04-19 住友電装株式会社 雌側端子金具
JP3724610B2 (ja) 1996-10-21 2005-12-07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のカバー
JP3575583B2 (ja) * 1997-03-25 2004-10-13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
US6024612A (en) * 1997-09-23 2000-02-15 The Whitaker Corporation Receptacle contact
US5888107A (en) * 1998-04-22 1999-03-30 Osram Sylvania Inc. Male contact
DE19828984A1 (de) * 1998-06-29 1999-12-30 Whitaker Corp Zweiteiliger elektrischer Buchsenkontakt
DE19841232C2 (de) * 1998-09-09 2001-02-15 Framatome Connectors Int Buchsenkontakt für elektrische Stecker
JP2001057265A (ja) * 1999-08-18 2001-02-27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JP3719107B2 (ja) * 2000-06-09 2005-11-24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JP2002305054A (ja) * 2001-04-04 2002-10-18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金具
DE10143057A1 (de) 2001-09-03 2003-03-20 Delphi Tech Inc Elektrisches Anschlußelement
US7494664B2 (en) 2001-10-25 2009-02-24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Composite biomaterials
JP2006146460A (ja) 2004-11-18 2006-06-08 Sony Corp 通信システム、記憶装置、並びに制御装置
JP4483601B2 (ja) * 2005-01-28 2010-06-16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EP1720219A1 (de) * 2005-05-03 2006-11-08 Delphi Technologies, Inc.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DE102005051724B4 (de) 2005-10-27 2007-10-25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Elektrischer Kontakt
US7594832B2 (en) * 2005-12-28 2009-09-29 Hitachi Cable, Ltd. Connector structure with a u-shaped cross section having a male terminal and a female terminal
DE502007002739D1 (de) * 2007-05-16 2010-03-18 Delphi Tech Inc Kabelschuh
DE102007040937B3 (de) 2007-08-30 2009-01-15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Kontakt
CN102037622B (zh) * 2008-03-20 2015-04-08 富加宜汽车控股公司 电端子压接方法及获得的组件
JP5334753B2 (ja) 2009-08-28 2013-11-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WO2011053276A1 (en) * 2009-10-26 2011-05-05 Molex Incorporated Miniature receptacle terminals
US8210884B2 (en) * 2010-10-18 2012-07-0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terminal for terminating a wire
DE102012017949A1 (de) * 2011-09-28 2013-03-28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nschlusspassstück
EP2690716B1 (de) * 2012-07-24 2018-05-02 Delphi Technologies, Inc. Elektrisches Anschlusselement
EP2797173B8 (en) * 2013-04-26 2019-01-09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terminal with a locking lance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DE102013223570B4 (de) * 2013-11-19 2021-06-2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tiftkontakt mit einem als Stanzbiegeteil gefertigten Kontaktkörper und einem massiven Kontaktstift
US10122108B2 (en) * 2014-04-24 2018-11-06 Molex, Llc Terminal fitting
EP3142199B1 (en) * 2015-09-10 2020-04-15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heet metal part with improved connection tab geomet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64754A1 (en) 2015-10-29
EP3134943B1 (en) 2022-04-06
EP3134943A4 (en) 2018-01-17
US20180351275A1 (en) 2018-12-06
CN106463867B (zh) 2019-04-16
EP4024617A1 (en) 2022-07-06
US10122108B2 (en) 2018-11-06
KR101913550B1 (ko) 2018-10-30
CN106463867A (zh) 2017-02-22
JP2017516262A (ja) 2017-06-15
JP6592127B2 (ja) 2019-10-16
KR101852707B1 (ko) 2018-04-26
EP3134943A1 (en) 2017-03-01
JP6297717B2 (ja) 2018-03-20
EP4024623A1 (en) 2022-07-06
US10381766B2 (en) 2019-08-13
US20170047677A1 (en) 2017-02-16
KR20160145182A (ko) 2016-12-19
EP3134943B8 (en) 2022-05-25
JP2018120862A (ja) 2018-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3550B1 (ko) 단자 설치부
US11075479B2 (en) Terminal fitting
EP2461431B1 (en) Dual contact beam terminal
KR102003652B1 (ko) 단자 피팅
EP2966730B1 (en) Contact and connector including contact
JP6943175B2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EP3220486A1 (en) Electrical contact device, electrical contact unit as well as electrical connector
US6010377A (en) High contact force pin-receiving electrical terminal
EP3096409A1 (en) A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s
US11764516B2 (en) Poke-in wire connector for power connector assembly
EP2859622B1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