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482A -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 - Google Patents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482A
KR20180043482A KR1020160136197A KR20160136197A KR20180043482A KR 20180043482 A KR20180043482 A KR 20180043482A KR 1020160136197 A KR1020160136197 A KR 1020160136197A KR 20160136197 A KR20160136197 A KR 20160136197A KR 20180043482 A KR20180043482 A KR 201800434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leaf spring
liner
spring
center l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6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43482A/ko
Publication of KR20180043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4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26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30Attachments or mountings comprising intermediate pieces made of rubber or similar elast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182Leaf springs with inter-engaging portions between leaves or between leaves and mountings, e.g. ridges, notches, rip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스프링 조립시 겹판스프링의 정렬을 맞출 수 있으며, 횡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스프링 간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로, 즉,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된 다수 개의 판스프링 들 사이에 개재되어 판스프링 들을 상호 이격시키는 센터 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센터 라이너(100)는 각 판스프링(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 체결공(11)을 통해 센터 볼트(30)가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2 체결공(111)을 가지는 판형상의 몸체(110)와; 이 몸체(110) 일측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판스프링(11)의 횡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스프링 간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수직가이드부(112)와 상기 몸체(110) 타측 하부에 제2 수직가이드부(113)가 일체로 돌출형성된다.

Description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CENTER LINER FOR PREVENTING LEAF SPRING FROM TWISTING}
본 발명은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초기스프링 조립시 겹판스프링의 정렬을 맞출 수 있으며, 횡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스프링 간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체의 중량을 지지하면서 주행 중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차체 및 운전자에게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승차감 및 주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차체와 휠 사이에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구조에 따라 여러 종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일반 승용차의 경우 맥퍼슨 스트럿 방식과 더블 위시본 방식의 현가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고, 화물차나 중/대형 버스와 같은 대형차에는 판스프링 방식의 현가장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판스프링 방식의 현가장치는, 다수개의 스프링 판재를 적층시킨 것으로 이루어지며, 적층된 다수개의 스프링 판재는 유볼트에 의해 상호 결속되고, 어느 한 스프링 판재의 좌/우 양끝단에 아이부가 형성되어 차체에 결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판스프링에 있어서, 스프링 판재 사이에 마찰이나 충돌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웃한 두 스프링 판재의 사이에 사이렌서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 사이렌서는 주로 러버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이웃한 두 스프링 판재의 직접적인 마찰이나 충돌에 의한 소음 발생을 방지하도록 두 스프링 판재의 사이에 삽입되는 평판형의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사이렌서는 단순히 이웃한 두 스프링 판재의 충돌이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운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하여 차체와 결속되지 않은 스프링 판재가 어긋나면서 스프링 판재간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은 방지할 수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등록특허공보 제0783841호에는 스프링 판재간 비틀림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이형라이너를 포함하는 판스프링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에 개시된 이형라이너는 적층된 스프링 판재간의 결합을 위한 센터볼트가 삽입되는 구멍이 중앙에 형성되고, 양측면부에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구조를 갖는 다수개의 걸림편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처럼 구성된 상기 발명의 이형라이너는 이형라이너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스프링 판재가 걸림편에 의해 회전이 구속됨으로써, 스프링 판재간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이형라이너는 판스프링의 중앙부에 설치되므로, 이형라이너에 형성된 걸림편만으로는 스프링 판재가 비틀림의 발생을 안정적으로 억제하기 어려우며, 스프링 판재의 좌우 양 끝단부에 사이렌서를 별도로 설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특허 제10-1348907호 "판스프링용 센터 라이너"가 발명되었다.
이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된 다수 개의 판스프링(10)들 사이에 개재되어 판스프링들을 상호 이격시키는 센터 라이너(20)로, 상기 판스프링(10)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센터 라이너(20)의 좌,우 측변에 설치되며, 센터 라이너(20)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어 센터 라이너(20)와 이웃하게 배치된 판스프링(10)의 저면과 상면에 접촉되는 탄성부재(22)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부재(22)는 센터 라이너(20)로부터 바깥쪽으로 갈수록 높이가 증가되고, 바깥쪽 끝단이 둥글게 마감된 물방울 모양의 단면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센터 라이너와 판스프링의 마찰에 의한 판스프링의 손상을 방지하고, 센터 라이너와 판스프링의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여 센터 라이너와 판스프링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동차 현가장치로 사용되는 판스프링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나.
여전히, 횡 하중이 작용하였을 경우, 스프링 간의 비틀림이 생기는 것과, 초기 스프링 조립 시, 겹판 스프링의 정렬을 맞추기가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초기스프링 조립시 겹판스프링의 정렬을 맞출 수 있으며, 횡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스프링 간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를 제안하게 되었다.
1. 한국 등록특허 제10-1348907호(2014.01.02 공보)
1. 한국 등록특허 제10-1490734호(2015.02.02 공보)
1. 한국 등록공보 제10-0783881호(2007.12.03 공보)
본 발명은 초기스프링 조립시 겹판스프링의 정렬을 맞출 수가 있으며. 횡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스프링 간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라이너 끝단에 러버몰드를 접착함으로써 “U”-bolt와 스프링 간의 간섭 및 마찰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라이너 끝단에 러버몰드를 접착함으로써 “U”-bolt와 스프링 간의 간섭 및 마찰을 예방할 수가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라이너 끝단은 겹판 스프링 정렬 후 센터 볼트 체결 전 프레스로 누름으로써, 부품 조립 시 스프링의 좌/우 정렬을 더 정확히 맞출 수가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해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된 다수 개의 판스프링 들 사이에 개재되어 판스프링 들을 상호 이격시키는 센터 라이너로,
상기 센터 라이너(100)는 각 판스프링(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 체결공(11)을 통해 센터 볼트(30)가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2 체결공(111)을 가지는 판형상의 몸체(110)와;
이 몸체(110) 일측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판스프링(11)의 횡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스프링 간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수직가이드부(112)와 상기 몸체(110) 타측 하부에 제2 수직가이드부(113)가 일체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수직가이드부(112,113) 일단에는 러버몰드(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센터 라이너(100)는 "
Figure pat00001
"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첫째, 초기스프링 조립시 겹판스프링의 정렬을 맞출 수 있다.
둘째, 횡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스프링 간의 비틀림을 방지할 수가 있다.
셋째, 라이너 끝단에 러버몰드를 접착함으로써 “U”-bolt와 스프링 간의 간섭 및 마찰을 예방할 수가 있다.
넷째, 라이너 끝단은 겹판 스프링 정렬 후 센터 볼트 체결 전 프레스로 누름으로써, 부품 조립 시 스프링의 좌/우 정렬을 더 정확히 맞출 수가 있다.
도 1은 종래 판스프링과 판스프링 사이에 센터 라이너가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의 측면도이다.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판스프링 사이에 센터 라이너가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 설치된 후의 조립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가의 판스프링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의 측면도이다.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판스프링 사이에 센터 라이너가 설치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 설치된 후의 조립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가의 판스프링 사이에 설치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로 도 2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각 판스프링(11) 사이에 설치되는 센터 라이너(100)와 이 센타 라이너(100)에 설치되는 러버몰드(120)로 구성된다.
상기 판스프링(10)은 2겹 또는 3겹으로 이루어진 판스프링(10)을 중앙에 센터볼트(30)를 관통시켜 고정함으로써 정렬한 후, 판스프링(10)과 판스프링(10)을 클램프(도시하지 않음)로 단단히 고정하는데, 센터볼트(30)가 위치되는 부분의 판스프링(10)과 판스프링(10) 사이에 판 형태의 센터 라이너(100)가 설치된다.
상기 센터 라이너(1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태로 소정길이를 갖으며, 폭은 대략 판스프링의 폭과 일치시키거나 약간 넓게 형성되는 몸체(1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센터 라이너(100)의 몸채(100) 중앙에는 센터볼트(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 체결공(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일 측면 모서리부분에는 상향되어 돌출되는 제1 수직가이드부(112)가 형성되고, 타측 모서리 부분에는 하향되어 돌출되는 제2 수직가이드부(1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 2 수직가이드부(112,113)는 몸체(100)의 모서리부분에 수직으로 상향 또는 하향으로 길이가 길게 돌출형성되 어 있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 따라 상기 제1 및 제 2 수직가이드부(112,113)을 등간격으로 서로 어긋나게 상향 또는 하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센터 라이너(100)의 한쪽 부분 만에 가해지는 측면하중을 서로 엇갈리게 형성된 제1 및 제2수직가이드부(112,113)가 비틀림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도록 하였으며, 판스프링(11)을 고정하는데 충분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센터 라이너(100)는 측면에서 보면 대략 "
Figure pat00002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수직가이드부(112,113) 일단에는 러버몰드(120)가 설치된다.
상기 러버몰드(120)는 U볼트와의 판스프링간의 간섭 및 마찰을 예방하는 역활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스프링(10)과 판스프링(10)을 결합하기 전에, 센터 라이너(100)의 중앙에 형성된 제2 체결공(111)에 판스프링(10)의 체결공(11)을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1 수직가이드부(112)에 상기 판스프링(10)의 측면을 밀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다른 판스프링(10)을 결합하여 센터볼트(30)를 삽입하여 하부에서 너트로 조여 판스프링(10)들과 센터 라이너(100) 를 일체로 고정시킴으로써 도 4의 (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센터 라이너(100)가 설치된 상태에서 판스프링(10)과 판스프링(10)을 클램프(도시하지 않음)로 단단히 고정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센터 라이너(100) 장착 후, 주행 시 판스프링(10)이 상하 또는 횡 하중이 받을 경우 판스프링(10)이 비틀림에 의해 회전하려고 해도 판스프링(10)의 측면에 센터 라이너(100)에 일체로 형성된 제1 및 제2 수직가이드부(112,113)가 단단히 고정함으로써, 회전이 저지되어 비틀림이 방지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수직가이드부(112,113)에 설치된 러버몰드(120)에 의해 주행 시 비틀림에 의한 U볼트(30)나 클래프 간의 간섭으로 발생하는 "찌걱찌걱"하는 간섭 소음이 발생 되지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상이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지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판스프링
11,111 : 체결공
100 : 센터 라이너
110 : 몸체
112,113 : 수직가이드부
120 : 러버몰드

Claims (3)

  1. 상호 겹쳐지도록 배치된 다수 개의 판스프링 들 사이에 개재되어 판스프링 들을 상호 이격시키는 센터 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센터 라이너(100)는 각 판스프링(10)의 중앙부에 형성된 제1 체결공(11)을 통해 센터 볼트(30)가 삽입되어 체결되기 위한 제2 체결공(111)을 가지는 판형상의 몸체(110)와;
    이 몸체(110) 일측 상부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판스프링(10)의 횡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 스프링 간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수직가이드부(112)와 상기 몸체(110) 타측 하부에 제2 수직가이드부(113)가 일체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직가이드부(112,113) 일단에는 러버몰드(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라이너(100)는 ""
    Figure pat00003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
KR1020160136197A 2016-10-20 2016-10-20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 KR201800434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197A KR20180043482A (ko) 2016-10-20 2016-10-20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197A KR20180043482A (ko) 2016-10-20 2016-10-20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482A true KR20180043482A (ko) 2018-04-30

Family

ID=62081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197A KR20180043482A (ko) 2016-10-20 2016-10-20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4348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96101A1 (en) * 2019-03-14 2022-06-23 Rassini - Nhk Autopeças Ltda. Noise-reducing element for a leaf spr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96101A1 (en) * 2019-03-14 2022-06-23 Rassini - Nhk Autopeças Ltda. Noise-reducing element for a leaf spr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377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CN101670763A (zh) 用于车辆的悬架系统
CA2512848A1 (en) Lightweight, low part-count, suspension system for wheeled vehicles
EP1120299B1 (en) Mounting structure for suspension V-Rod
KR101083512B1 (ko) 철도차량의 대차 연결 장치
KR20180043482A (ko) 겹판스프링 비틀림 방지 기능을 갖는 센터 라이너
KR102275467B1 (ko) 차량 캡 서스펜션
KR101349014B1 (ko) 상용차의 리프 스프링
US20210155065A1 (en) Silencer for Leaf Spring for Commercial Vehicle
KR102474609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현가장치
KR101724479B1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KR102258060B1 (ko) 차량용 코일 스프링 지지구조
KR102417402B1 (ko) 차량의 스트럿 어셈블리
KR101886351B1 (ko)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KR101490734B1 (ko) 판스프링용 다기능 사이렌서
KR102617707B1 (ko) 차량용 코일스프링 고정장치
KR101348907B1 (ko) 판스프링용 센터 라이너
KR102579356B1 (ko)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KR20190143268A (ko) 차량용 스트럿 타워 브레이스 바
KR101497914B1 (ko) 판스프링용 h형 사이렌서
WO2022209617A1 (ja) 支持ブラケット
KR20230137702A (ko) 차량용 리프스프링 조립체
US9821617B1 (en) Equalizer device for tandem axle vehicles
KR20080055484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고정장치
KR20100045797A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