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356B1 -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356B1
KR102579356B1 KR1020180121551A KR20180121551A KR102579356B1 KR 102579356 B1 KR102579356 B1 KR 102579356B1 KR 1020180121551 A KR1020180121551 A KR 1020180121551A KR 20180121551 A KR20180121551 A KR 20180121551A KR 102579356 B1 KR102579356 B1 KR 102579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pring
rigidity
vertical
mount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477A (ko
Inventor
오승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1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356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3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60G11/3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182Leaf springs with inter-engaging portions between leaves or between leaves and mountings, e.g. ridges, notches, ripp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60G2202/112Leaf spring longitudin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8Leaf springs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롤강성을 향상시키는 리프스프링부(11) 및 차량의 버티컬강성을 향상시키는 버티컬스프링부(12)가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한 1개의 복합재 스프링(10)으로 구성되고, 상기 버티컬스프링부(12)는 고강성부(140)와 저강성부(150)로 이원화되게 구성되며, 버티컬스프링부(12)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10)와 중간로드부(130) 및 차체결합부(120)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WITH COMPOSITE SPRING}
본 발명은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롤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프스프링부 및 상하방향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버티컬스프링부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의 현가장치는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기 위한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중소형 버스에서 사용하고 있는 종래의 리어 현가장치는 스틸(steel) 판재가 다수개의 겹판으로 이루어진 스틸 리프스프링(leaf spring), 공기의 압축 탄성을 이용하여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스프링(air spring) 또는 코일스프링(coil spring)을 함께 적용한 것을 사용하고 있다.
스틸 리프스프링은 리어액슬하우징을 기준으로 차량의 전방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서 차량의 롤강성(비틀림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에어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은 리어액슬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해서 차량의 상하방향 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현가장치는 스틸 리프스프링과 에어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이 각각 개별적으로 분리된 구성으로, 이로 인해 제작 및 설치와 관련해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틸 리프스프링은 가격 대비 내구성 확보에 유리한 장점은 있지만 중량 상승 및 연비에 불리한 단점이 있다.
또한, 에어스프링을 사용하는 경우 레벨링 밸브와 같은 주변 부품을 함께 적용해야 하기에 부품수 증가 및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11-0136100호
본 발명은, 차량의 롤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리프스프링부 및 상하방향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버티컬(vertical)스프링부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로서, 에어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부품수 감축과 비용 절감 및 중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틸 재질의 리프스프링 대신에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가 등이 함유된 단일 구성품의 복합재 스프링을 사용함에 따라, 스틸 재질의 리프스프링과 대등한 강도 및 강성을 유지함과 더불어 중량 감소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복합재 스프링에서 버티컬스프링링부의 강성을 이원화로 구성함에 따라 승차감 향상을 한층 더 좋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는, 리어액슬하우징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된 리프스프링부 및 리어액슬하우징의 후방쪽에 위치하는 버티컬스프링부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재 스프링; 및 상기 리어액슬하우징과 복합재 스프링을 고정되게 결합하는 유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재 스프링은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한 것으로 리프스프링부에서 버티컬스프링부까지 1개의 단일 구성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티컬스프링부는 리프스프링부와 연결된 최하단의 베이스부; 차체와의 결합을 위해 상단브라켓이 결합된 최상단의 차체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차체결합부사이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연결하는 중간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로드부는 베이스부와 연결된 고강성부 및 고강성부와 차체결합부를 연결하는 저강성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간로드부는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차량의 전방쪽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제1산, 제1산과 연결되고 차량의 후방쪽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제2산, 제2산과 차체결합부를 연결하고 차량의 전방쪽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제3산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에서 제2산까지가 고강성부가 되고; 상기 제2산에서 차체결합부까지가 저강성부가 되며; 상기 고강성부는 저강성부에 비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하방향 피치간격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고강성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티컬스프링부는 리프스프링부와 연결된 최하단의 베이스부, 차체와의 결합을 위해 상단브라켓이 결합된 최상단의 차체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차체결합부사이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연결하는 중간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로드부는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차량의 전방쪽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제1산, 제1산과 연결되고 차량의 후방쪽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제2산, 제2산과 차체결합부를 연결하고 차량의 전방쪽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제3산을 포함하고; 유볼트결합점에서 차체결합부의 하중작용점과의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1산과 제3산 및 차체결합부는 전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점차적으로 짧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 끝단과 제2산 및 차체결합부의 후방 끝단은 수직선에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티컬스프링부는 리프스프링부와 연결된 최하단의 베이스부; 차체와의 결합을 위해 상단브라켓이 결합된 최상단의 차체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차체결합부사이를 원호모양으로 연결하는 중간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로드부는 베이스부의 후방단과 차체결합부의 후방단을 연결하면서 원호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프스프링부는 차량의 롤강성의 향상을 위해 전방 끝단이 스프링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와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버티컬스프링부는 상하방향으로 압축 및 인장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단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와 연결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합재 스프링에서 리프스프링부와 버티컬스프링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유볼트의 결합을 위한 유볼트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유볼트브라켓과 차체를 연결하는 쇽업소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는, 차량의 롤강성을 향상시키는 리프스프링부 및 차량의 버티컬강성을 향상시키는 버티컬스프링부가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한 1개의 복합재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종래의 스틸 재질 다판 리프스프링과 에어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현가장치의 구성에 비해 비용 절감, 부품수 감축, 중량 감소 및 연비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재 스프링에서 차량의 버티컬강성을 향상시키는 버티컬스프링부가 고강성부와 저강성부로 이원화되게 구성됨에 따라, 차량으로 입력되는 다양한 크기의 하중을 모두 효과적으로 흡수해서 대응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승차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재 스프링에서 버티컬스프링부를 구성하는 베이스부와 중간로드부 및 차체결합부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짧아지게 형성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차체결합부의 하중작용점을 유볼트결합점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쪽으로 멀리 이격시켜서 구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비틀림 거동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리어 현가장치의 사시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의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의 버티컬스프링부를 실시예 별로 구분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어 현가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액슬하우징(1)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된 리프스프링부(11) 및 리어액슬하우징(1)의 후방쪽에 위치하는 버티컬스프링부(12)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재 스프링(10); 및 상기 리어액슬하우징(1)과 복합재 스프링(10)을 고정되게 결합하는 한 쌍의 유볼트(20);를 포함한다.
복합재 스프링(10)은 단방향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한 것으로 리프스프링부(11)에서 버티컬스프링부(12)까지 1개의 단일 구성품으로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리프스프링부(11)는 전방 끝단이 스프링브라켓(30)을 매개로 차체와 연결되게 구성되며, 차량의 롤 거동시 비틀림력을 통해 차량의 롤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티컬스프링부(12)는 최상단부에 상단브라켓(40)이 결합되고, 상단브라켓(40)이 차체와 연결된 구성으로, 차량의 상하방향 거동시 상하방향으로 압축 및 인장운동을 하면서 차량의 버티컬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고, 특히 버티컬스프링부(12)의 상하방향 압축 및 인장운동시 스프링력을 통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복합재 스프링(10)에서 리프스프링부(11)와 버티컬스프링부(12)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유볼트(20)의 결합을 위한 유볼트브라켓(50)이 구비되는 바, 상기 유볼트브라켓(50)은 복합재 스프링(10)과는 별도로 구분되게 제작되거나 또는 플랜지형태로서 복합재 스프링(10)과 일체로 형성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유볼트(20)는 U형상으로 절곡된 중간부가 리어액슬하우징(1)을 감싸고, 아래를 향하는 양단이 유볼트브라켓(50)을 관통한 후 너트(21)와 체결됨에 따라 리어액슬하우징(1)과 복합재 스프링(10)을 일체화가 되도록 서로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종래에는 차량의 롤강성(비틀림강성)의 향상을 위해 스틸 판재가 다수개의 겹판으로 이루어진 스틸 리프스프링을 사용하였고, 또한 차량의 버티컬강성의 향상을 위해 스틸 리프스프링과는 별도로 제작된 에어스프링이나 또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였으며, 이로 인해 제작 및 설치시 비용 증가, 부품수 증가, 중량 상승, 연비 악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롤강성을 향상시키는 리프스프링부(11) 및 차량의 버티컬강성을 향상시키는 버티컬스프링부(12)가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한 1개의 복합재 스프링(10)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종래의 스틸 재질 다판 리프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또한 에어스프링이나 코일스프링을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비용 절감, 부품수 감축, 중량 감소 및 연비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현가장치는 유볼트브라켓(50)과 차체를 연결하는 쇽업소버(60), 스태빌라이저(70), 래터럴로드(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70)의 양단은 스태빌라이저 로드(71)를 통해서 차체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복합재 스프링(10)의 버티컬스프링부(12)는 리프스프링부(11)와 연결된 최하단의 베이스부(110); 차체와의 결합을 위해 상단브라켓(40)이 결합된 최상단의 차체결합부(120); 및 상기 베이스부(110)와 차체결합부(120)사이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연결하는 중간로드부(1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간로드부(130)는 베이스부(110)와 연결된 고강성부(140) 및 고강성부(140)와 차체결합부(120)를 연결하는 저강성부(150)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바, 고강성부(140)는 저강성부(150)의 아래에 위치하고, 저강성부(150)는 고강성부(140)의 위에 위치하는 구성이 된다.
상기 고강성부(140)는 저강성부(150)에 비해 중간로드부(13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거나 또는 상하방향의 피치간격(L1)을 좁게 형성함에 따라 고강성부(140)가 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중간로드부(130)는 베이스부(110)와 연결되고 차량의 전방쪽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제1산(160), 제1산(160)과 연결되고 차량의 후방쪽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제2산(170), 제2산(170)과 차체결합부(120)를 연결하고 차량의 전방쪽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제3산(18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강성부(140)는 베이스부(110)에서 제2산(170)까지의 중간로드부(130)가 되고, 상기 저강성부(150)는 제2산(180)에서 차체결합부(120)까지의 중간로드부(130)가 된다.
고강성부(140)에 해당하는 중간로드부(130)의 두께를 저강성부(150)에 해당하는 중간로드부(13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형성함에 따라 고강성부(140)가 되게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베이스부(110)에서 제2산(170)까지의 상하방향 피치간격(L1)을 제2산(170)에서 차체결합부(120)까지의 피치간격(L2)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함에 따라 고강성부(140)가 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의 버티컬강성을 향상시키는 버티컬스프링부(12)를 고강성부(140)와 저강성부(150)로 이원화되게 구성하면, 차량으로 입력되는 다양한 크기의 하중을 모두 효과적으로 흡수해서 대응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승차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버티컬스프링부(12)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10)와 차체결합부(120) 및 중간로드부(130)의 전후방향 길이가 모두 동일한 구성이고, 도 5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는 버티컬스프링부(12)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10)와 차체결합부(120) 및 중간로드부(130)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짧아지게 형성된 구성이다.
즉, 도 5의 실시예는 베이스부(110)의 후방 끝단과 제2산(170) 및 차체결합부의 후방 끝단은 수직선(L3)에 일치하도록 형성되고, 베이스부(110)에서 차체결합부(120)를 향해 갈수록 제1산(160)과 제3산(180) 및 차체결합부(120)는 전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점차적으로 짧아지게 형성된 구조인 것이다.
이와 같이 버티컬스프링부(12)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10)와 중간로드부(130) 및 차체결합부(120)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짧아지게 형성되면, 유볼트결합점(P1)에서 차체결합부(120)의 하중작용점(P2)과의 거리(L4)를 도 4의 실시예와 대비하여 볼 때 증가시킬 수 있게 되는 바(L5<L4), 이를 통해 하중작용점(P2)을 유볼트결합점(P1)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쪽으로 멀리 이격시켜서 구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비틀림 거동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에는 버티컬스프링부(12)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바, 즉 버티컬스프링부(12)는 리프스프링부(11)와 연결된 최하단의 베이스부(110); 차체와의 결합을 위해 상단브라켓(40)이 결합된 최상단의 차체결합부(120); 및 상기 베이스부(110)와 차체결합부(120)사이를 원호모양으로 연결하는 중간로드부(19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원호모양의 중간로드부(190)는 베이스부(110)의 후방단과 차체결합부(120)의 후방단을 연결하면서 원호가 되는 중간부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원호형상의 중간로드부(190)도 차량 거동시 상하방향으로 압축 및 인장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차량의 버티컬강성의 향상을 통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차량의 롤강성을 향상시키는 리프스프링부(11) 및 차량의 버티컬강성을 향상시키는 버티컬스프링부(12)가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한 1개의 복합재 스프링(10)으로 이루어진 구성으로, 종래의 스틸 재질 다판 리프스프링과 에어스프링 또는 코일스프링을 사용하는 현가장치의 구성에 비해 비용 절감, 부품수 감축, 중량 감소 및 연비를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재 스프링(10)에서 차량의 버티컬강성을 향상시키는 버티컬스프링부(12)가 고강성부(140)와 저강성부(150)로 이원화되게 구성됨에 따라, 차량으로 입력되는 다양한 크기의 하중을 모두 효과적으로 흡수해서 대응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승차감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합재 스프링(10)에서 버티컬스프링부(12)를 구성하는 베이스부(110)와 중간로드부(130) 및 차체결합부(120)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짧아지게 형성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차체결합부(120)의 하중작용점(P2)을 유볼트결합점(P1)으로부터 차량의 후방쪽으로 멀리 이격시켜서 구성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비틀림 거동에 대해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리어액슬하우징 10 - 복합재 스프링
11 - 리프스프링부 12 - 버티컬스프링부
20 - 유볼트 30 - 스프링브라켓
40 - 상단브라켓 50 - 유볼트브라켓
110 - 베이스부 120 - 차체결합부
130,190 - 중간로드부 140 - 고강성부
150 - 저강성부 160 - 제1산
170 - 제2산 180 - 제3산

Claims (9)

  1. 리어액슬하우징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된 리프스프링부 및 리어액슬하우징의 후방쪽에 위치하는 버티컬스프링부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재 스프링; 및
    상기 리어액슬하우징과 복합재 스프링을 고정되게 결합하는 유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버티컬스프링부는 리프스프링부와 연결된 최하단의 베이스부;
    차체와의 결합을 위해 상단브라켓이 결합된 최상단의 차체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차체결합부사이를 지그재그 모양으로 연결하는 중간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로드부는 베이스부와 연결된 고강성부 및 고강성부와 차체결합부를 연결하는 저강성부를 구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 스프링은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를 함유한 것으로 리프스프링부에서 버티컬스프링부까지 1개의 단일 구성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로드부는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차량의 전방쪽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제1산, 제1산과 연결되고 차량의 후방쪽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제2산, 제2산과 차체결합부를 연결하고 차량의 전방쪽으로 뾰족하게 돌출된 제3산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에서 제2산까지가 고강성부가 되고;
    상기 제2산에서 차체결합부까지가 저강성부가 되며;
    상기 고강성부는 저강성부에 비해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거나 또는 상하방향 피치간격이 좁게 형성됨에 따라 고강성부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산과 제3산 및 차체결합부는 유볼트결합점에서 차체결합부의 하중작용점과의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전방으로 돌출된 길이가 점차적으로 짧아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 끝단과 제2산 및 차체결합부의 후방 끝단은 수직선에 일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7. 리어액슬하우징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연장된 리프스프링부 및 리어액슬하우징의 후방쪽에 위치하는 버티컬스프링부가 일체로 형성된 복합재 스프링; 및
    상기 리어액슬하우징과 복합재 스프링을 고정되게 결합하는 유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버티컬스프링부는 리프스프링부와 연결된 최하단의 베이스부;
    차체와의 결합을 위해 상단브라켓이 결합된 최상단의 차체결합부; 및
    상기 베이스부와 차체결합부사이를 원호모양으로 연결하는 중간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로드부는 베이스부의 후방단과 차체결합부의 후방단을 연결하면서 원호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스프링부는 차량의 롤강성의 향상을 위해 전방 끝단이 스프링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와 연결되게 구성되고;
    상기 버티컬스프링부는 상하방향으로 압축 및 인장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단브라켓을 매개로 차체와 연결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 스프링에서 리프스프링부와 버티컬스프링부가 연결되는 부위에는 유볼트의 결합을 위한 유볼트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유볼트브라켓과 차체를 연결하는 쇽업소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KR1020180121551A 2018-10-12 2018-10-12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KR102579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51A KR102579356B1 (ko) 2018-10-12 2018-10-12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551A KR102579356B1 (ko) 2018-10-12 2018-10-12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477A KR20200041477A (ko) 2020-04-22
KR102579356B1 true KR102579356B1 (ko) 2023-09-15

Family

ID=7047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551A KR102579356B1 (ko) 2018-10-12 2018-10-12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3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798Y1 (ko) 2002-04-22 2002-08-24 성명재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CN105620217A (zh) 2014-10-29 2016-06-01 东风汽车悬架弹簧有限公司 汽车板簧导向臂
JP2016525040A (ja) * 2013-07-11 2016-08-22 ボルボ トラ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及び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用の板バネ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26441A (en) * 1977-04-01 1980-10-07 Cambria Spring Company Auxiliary vehicle spring for lightly loaded conditions
US4313620A (en) * 1979-09-10 1982-02-02 Fred Posnikoff Device for limiting lateral canting of road vehicles
KR101154776B1 (ko) 2010-06-14 2012-06-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상용차용 리어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6798Y1 (ko) 2002-04-22 2002-08-24 성명재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스프링장치
JP2016525040A (ja) * 2013-07-11 2016-08-22 ボルボ トラック コーポレイション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及び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用の板バネ
CN105620217A (zh) 2014-10-29 2016-06-01 东风汽车悬架弹簧有限公司 汽车板簧导向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477A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9492B2 (en) Lightweight, polymeric automotive strut suspension upper mounting
KR102540392B1 (ko) Tm마운트의 스토퍼
KR102602979B1 (ko)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JP2018502006A (ja) 板ばねアセンブリを含む車両懸架装置
US20140097590A1 (en) Reinforcement of shock absorber mount
US11407267B2 (en) Silencer for leaf spring for commercial vehicle
KR102579356B1 (ko)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KR102474609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현가장치
KR100941723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마운트 브라켓
KR101154776B1 (ko) 상용차용 리어 현가장치
KR102417402B1 (ko) 차량의 스트럿 어셈블리
KR101371733B1 (ko)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JP2013224119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組付治具
KR100986085B1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유닛
KR102238055B1 (ko) 커플드 토션빔 액슬 타입 리어 서스펜션
KR102249587B1 (ko)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KR102642945B1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서스펜션 구조
CN113400877B (zh) 悬架系统及车辆
KR102575159B1 (ko) 고강성 스프링 및 그 제조 방법
KR102617707B1 (ko) 차량용 코일스프링 고정장치
KR100471830B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0428132B1 (ko) 현가장치의 스트럿어셈블리
KR20230137702A (ko) 차량용 리프스프링 조립체
JP2000177346A (ja) リーフサスペンション
KR20070076004A (ko)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