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587B1 -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 Google Patents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587B1
KR102249587B1 KR1020150151234A KR20150151234A KR102249587B1 KR 102249587 B1 KR102249587 B1 KR 102249587B1 KR 1020150151234 A KR1020150151234 A KR 1020150151234A KR 20150151234 A KR20150151234 A KR 20150151234A KR 102249587 B1 KR102249587 B1 KR 102249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spension device
restraining
link
link structure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0117A (ko
Inventor
김은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587B1/ko
Publication of KR20170050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0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0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5/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with adjustable thr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Abstract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는 길이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링크부재는 소정의 곡률 구간을 형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배치되는 상측 및 하측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LINK STRUCTURE FOR VEHICLE SUSPENS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 현가장치의 링크 구조를 개선한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체와 휠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하나 혹은 다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주는 장치로서, 상하방향으로는 스프링과 유압 쇽 업소버 등에 의해 지지되고, 기타방향으로는 높은 강성과 유연성을 적절히 조화시킴으로써, 차체와 휠 사이의 상대운동을 기계적으로 적절히 조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현가장치는 차량의 종류, 현가장치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리어 현가장치에서는 링크 구조체(당 업계에서는 "트레일링 암" 또는 "트레일링 링크" 라고도 한다) 양단에 차체 측과 액슬 측에 각각 연결되며, 차량의 직진이나 선회시에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부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링크 구조체는 박판 구조로 구성되어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차량의 주행중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내구력에 지배적인 대하중(내구 입력 하중)이 입력될 때, 부시의 최대 압축을 초과하며 대 하중을 완충하기 때문에, 부시에 의한 진동절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링크 구조체에 부시의 최대 압축을 초과하는 대 하중의 내구 입력 하중이 입력되는 경우, 그 내구 입력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내구 입력 하중을 저감시킬 수 없기 때문에, 차량의 NVH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시의 최대 압축 영역을 초과하는 대 하중의 입력 시 변형을 유도하며 입력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입력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한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는, 길이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재는 소정의 곡률 구간을 형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배치되는 상측 및 하측 판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부시를 통하여 차체 측과 액슬 측에 연결되며, 상기 차체 및 액슬 측에 각각 대응하는 양단에 상기 부시를 설치하기 위한 부시 브라켓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는 상기 부시 브라켓에 연결되며, 차체 및 액슬 측의 양단 사이에 상기 곡률 구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에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의 변형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속 제어부는 상기 부시의 최대 압축 영역을 초과하는 하중이 상기 링크부재에 입력될 때,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고,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의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속 제어부는 상기 상측 판재에 대응하여 상기 하측 판재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리드 스크류와, 상기 상측 판재에 하측 판재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구속단과, 상기 하측 판재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속단 사이에 배치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상기 구속단에 밀착되는 구속부재와, 상기 리드 스크류에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구속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속부재를 선택적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캠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속 제어부는 상기 상측 판재에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에 입력되는 하중을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에는 상기 구속부재의 단부와 접촉하는 캠 경사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캠 경사면과 접촉하는 캠 접촉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토션 빔과 연결되는 트레일링 암으로서의 링크 바디와, 부시가 장착되는 부시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는 상기 부시 브라켓과 링크 바디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굴곡진 굴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곡률 구간으로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부시의 최대 압축 영역을 초과하는 하중이 링크부재에 입력되는 내구 입력 주행모드 시, 상측 및 하측 판재의 변형을 유도하며 그 상측 및 하측 판재의 변형으로서 내구 입력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내구 입력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구 입력 주행모드 시, 간단한 구성으로서 내구 입력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며 내구 입력 하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NVH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차량의 중량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적용되는 구속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100)는 차량용 현가 장치에 채용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현가 링크에 적용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100)는 차체와 액슬 사이에 존재하며 이 두 강체를 다수의 링크로서 연결하는 멀티링크 타입의 리어 현가장치에 적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차체 측과 액슬 측에 연결되는 링크 구조로서의 트레일링 암을 예로 들어 설명하는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100)는 차체 측과 액슬 측에 양단이 연결되는 트레일링 암으로서의 링크부재(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링크부재(10)는 부시(1)를 통하여 차체 측과 액슬 측에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부재(10)의 차체 및 액슬 측에 각각 대응하는 양단에는 부시(1)를 장착하기 위한 부시 브라켓(9)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부시(1)는 소정의 입력 하중을 고무의 변형으로서 완충하는 공지 기술의 고무 부시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100)는 부시(1)의 최대 압축 영역을 초과하는 대 하중(부시 기능 초과 영역)이 링크부재(10)에 길이 방향으로 입력될 때, 그 링크부재(10)의 변형을 유도하며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부시(1)의 최대 압축 영역을 초과하는 대 하중이라 함은 링크부재(10)의 내구력에 지배적인 내구 입력 하중(피크성 하중)으로서, 일반 주행모드와 달리 휠의 상하 거동이 크게 발생하는 내구 입력 주행 모드 시의 하중 영역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100)의 링크부재(10)는 소정의 곡률 구간(15)을 가지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배치되는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 주행모드에서 부시(1)의 압축 변형만으로 모든 입력 하중을 완충 및 저감할 수 있고, 내구 입력 주행 모드에서는 곡률 구간(15)을 통해 변형이 유도되며, 내구 입력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내구 입력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는 차체 측과 액슬 측에 대응하는 양단이 부시 브라켓(9)에 각각 연결되며, 그 양단 사이에 상기한 곡률 구간(15)을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는 도면에서와 같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구비되며, 양단부 사이에 상기한 곡률 구간(15)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링크부재(10)는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의 변형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 제어부(30)를 더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구속 제어부(30)는 일반 주행모드에서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의 변형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 제어부(30)는 부시(1)의 최대 압축 영역을 초과하는 내구 입력 하중이 링크부재(10)에 입력되는 내구 입력 주행 모드에서는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고, 그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의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적용되는 구속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구속 제어부(30)는 모터(31), 리드 스크류(33), 구속단(35), 구속부재(37), 캠부재(43) 그리고 센서(45)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31)는 상측 판재(11)의 하면에 대응하여 하측 판재(12)의 상면에 설치되는 바, 하측 판재(12)의 상면 중앙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리드 스크류(33)는 로드의 외주 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모터(31)의 구동축(32)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구속단(35)은 한 쌍으로서 상측 판재(11)의 하면에 하측 판재(12)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구속단(35)은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며, 상측 판재(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구속부재(37)는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의 변형을 실질적으로 구속하는 것으로서, 고정 로드(38)를 통해 하측 판재(12)의 상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측 판재(11)와 하측 판재(12) 사이에서 구속단(35)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속부재(37)는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구속단(35)에 선택적으로 밀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구속부재(37)는 일반 주행모드 시, 뒤에서 더욱 설명될 캠부재(43)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구속단(35)에 밀착됨으로써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의 변형을 구속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속부재(37)는 내구 입력 주행모드 시, 캠부재(43)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의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속부재(37)는 사각 형상의 상판(39a)과, 그 상판(39a)의 양측 단에서 하방으로 연결되는 사각형 측판으로서의 구속판(39b)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판(39a)에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고정 로드(38)가 연결되며, 상기 구속판(39b)은 구속단(35)에 선택적으로 밀착되도록 캠부재(43)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 캠부재(43)는 구속부재(37)의 구속판(39b)을 탄성 변형시키거나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시키는 것으로서, 리드 스크류(33)에 스크류 결합되고, 구속부재(37)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캠부재(43)는 예를 들어, 소정의 두께를 지니며 구속부재(37)의 구속판(39b) 하단부 사이에 배치되는 사각 판재로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구속판(39b)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캠부재(43)의 양측에는 구속판(39b)의 하단부와 상호 캠 접촉하는 캠 경사면(41)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캠부재(43)의 캠 경사면(41)에 대응하여 구속판(39b)의 하단부 내측 면에는 그 캠 경사면(41)과 접촉하는 캠 접촉면(39d)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속부재(37)의 구속판(39b) 하단부 사이에 캠부재(43)가 배치되고, 그 캠부재(43)의 캠 경사면(41)이 구속판(39b)의 캠 접촉면(39d)에 일치되게 접촉하며 그 구속판(39b)이 탄성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속부재(37)는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의 구속을 해제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31)의 구동으로서 리드 스크류(33)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캠부재(43)는 리드 스크류(33)가 회전함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캠부재(4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그 캠부재(43)의 캠 경사면(41)이 구속판(39b)의 캠 접촉면(39d)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캠부재(43)는 구속부재(37)의 구속판(39b)을 구속단(35) 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이 경우, 상기 구속부재(37)의 구속판(39b)은 구속단(35) 측으로 탄성 변형되며 그 구속단(35)에 밀착됨으로써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의 변형을 구속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센서(45)는 링크부재(10)에 입력되는 하중을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하는 것으로서, 상측 판재(11)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45)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100)의 작용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센서(45)를 통해 링크부재(10)에 입력되는 하중을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기(90)는 센서(45)로부터 제공받은 감지 신호로부터 링크부재(10)의 실제 입력 하중을 산출하고, 그 실제 입력 하중과 기 설정된 기준 입력 하중을 비교한다. 여기서, 상기한 기준 입력 하중이라 함은 부시(1)의 최대 압축 영역을 초과하는 대 하중(내구 입력 하중)으로서의 하중 영역을 의미한다.
이에, 상기 제어기(90)는 링크부재(10)의 실제 입력 하중과 기 설정된 기준 입력 하중을 비교하여, 그 실제 입력 하중이 기준 입력 하중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차량이 일반 주행모드인 것으로 설정하고, 구속 제어부(30)의 모터(31)에 제1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그 모터(31)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모터(31)의 구동으로서 리드 스크류(33)는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캠부재(43)는 리드 스크류(33)가 회전함에 따라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캠부재(43)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캠부재(43)의 캠 경사면(41)이 구속판(39b)의 캠 접촉면(39d)에 접촉된 상태로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그 캠부재(43)는 구속부재(37)의 구속판(39b)을 구속단(35) 측으로 탄성 변형시킨다.
따라서, 상기 구속부재(37)의 구속판(39b)은 구속단(35) 측으로 탄성 변형되며 그 구속단(35)에 밀착됨으로써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의 변형을 구속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일반 주행모드 시, 구속 제어부(30)를 통해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의 변형을 구속함으로써 링크부재(10)의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에 작용하는 입력 하중을 부시(1)의 압축 변형만으로 완충 및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속 제어부(30)를 통해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의 변형을 구속한 상태에서, 부시(1)의 최대 압축 영역을 초과하는 대 하중(내구 입력 하중)이 링크부재(10)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센서(45)는 이를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90)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제어기(90)는 링크부재(10)의 실제 입력 하중과 기 설정된 기준 입력 하중을 비교하여, 그 실제 입력 하중이 기준 입력 하중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이 내구 입력 주행모드 인 것으로 설정한다.
상기 내구 입력 주행모드에서 제어기(90)는 도 4에서와 같이, 구속 제어부(30)의 모터(31)에 제2 구동신호를 인가하여 모터(31)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모터(31)의 구동으로서 리드 스크류(33)는 다른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캠부재(43)는 리드 스크류(33)가 회전함에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캠부재(43)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캠부재(43)의 캠 경사면(41)이 구속판(39b)의 캠 접촉면(39d)에 접촉된 상태로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그 캠 경사면(41)과 캠 접촉면(39d)이 상호 일치되게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구속부재(37)의 구속판(39b)은 캠부재(43)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시(1)의 최대 압축 영역을 초과하는 하중(내구 입력 하중)이 링크부재(10)에 입력되는 내구 입력 주행모드 시, 구속 제어부(30)를 통해 상측 및 하측 판재(11, 12)의 변형을 유도함으로써 내구 입력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내구 입력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시(1)의 최대 압축 영역을 초과하는 하중이 링크부재(10)에 입력되는 내구 입력 주행모드 시, 내구 입력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면서 내구 입력 하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NVH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간단한 구성으로서 내구 입력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함과 아울러 내구 입력 하중을 저감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중량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200)는 차량의 리어 현가장치로서 커플드 토션빔 액슬(Coupled Torsion Beam Axle: CTBA) 타입의 현가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토션 빔(113)과 연결되는 트레일링 암으로서의 링크 바디(115)와, 부시(1)가 장착되는 부시 브라켓(9)을 포함하는 링크부재(110)를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토션 빔(113)은 이의 양단이 링크 바디(115)에 용접 접합되고, 링크 바디(115)에는 액슬 및 댐퍼/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 브라켓(114)이 용접 접합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링크부재(110)는 링크 바디(115)의 전방 측에서 부시 브라켓(9)과 링크 바디(115)를 연결하는 상측 및 하측 판재(111, 112)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111, 112)는 이의 양단이 부시 브라켓(9) 및 링크 바디(115)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측 및 하측 판재(111, 112)의 중앙 부분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라운드지게 굴곡진 굴곡부(117)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굴곡부(117)는 상측 및 하측 판재(111, 112)의 변형을 유도하는 곡률 구간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200)에 의하면, 일반 주행모드에서는 링크부재(110)에 입력되는 입력 하중을 부시(1)의 압축 변형만으로 완충 및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시(1)의 최대 압축 영역을 초과하는 하중(내구 입력 하중)이 링크부재(110)에 입력되는 내구 입력 주행모드 시, 굴곡부(117)를 통해 상측 및 하측 판재(111, 112)의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구 입력 주행모드 시 굴곡부(117)를 통해 상측 및 하측 판재(111, 112)의 변형을 유도하며, 상측 및 하측 판재(111, 112)의 변형으로서 내구 입력 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그 내구 입력 하중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부시 9... 부시 브라켓
10, 110... 링크부재 11, 111... 상측 판재
12, 112... 하측 판재 15... 곡률 구간
30... 구속 제어부 31... 모터
32... 구동축 33... 리드 스크류
35... 구속단 37... 구속부재
38... 고정 로드 39a... 상판
39b... 구속판 39d... 캠 접촉면
41... 캠 경사면 43... 캠부재
45... 센서 90... 제어기
113... 토션빔 114... 장착 브라켓
115... 링크 바디 117... 굴곡부

Claims (13)

  1.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재는 소정의 곡률 구간을 형성하고, 상하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며 배치되는 상측 및 하측 판재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재에는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의 변형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구속 제어부가 구비되되,
    상기 구속 제어부는, 상기 상측 판재에 대응하여 상기 하측 판재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리드 스크류와, 상기 상측 판재에 하측 판재를 향하여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구속단과, 상기 하측 판재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속단 사이에 배치되고,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며 상기 구속단에 밀착되는 구속부재와, 상기 리드 스크류에 스크류 결합되고, 상기 구속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구속부재를 선택적으로 탄성 변형시키는 캠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부시를 통하여 차체 측과 액슬 측에 연결되고,
    상기 차체 및 액슬 측에 각각 대응하는 양단에는 상기 부시를 설치하기 위한 부시 브라켓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는,
    상기 부시 브라켓에 연결되며, 차체 및 액슬 측의 양단 사이에 상기 곡률 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굴곡지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5. 삭제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제어부는,
    상기 부시의 최대 압축 영역을 초과하는 하중이 상기 링크부재에 입력될 때,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고, 상기 상측 및 하측 판재의 변형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 제어부는,
    상기 상측 판재에 설치되며, 상기 링크부재에 입력되는 하중을 감지하고 그 감지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스트레인 게이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에는 상기 구속부재의 단부와 접촉하는 캠 경사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구속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캠 경사면과 접촉하는 캠 접촉면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151234A 2015-10-29 2015-10-29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KR102249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234A KR102249587B1 (ko) 2015-10-29 2015-10-29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234A KR102249587B1 (ko) 2015-10-29 2015-10-29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117A KR20170050117A (ko) 2017-05-11
KR102249587B1 true KR102249587B1 (ko) 2021-05-07

Family

ID=5874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234A KR102249587B1 (ko) 2015-10-29 2015-10-29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5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0604B1 (ko) * 2017-12-08 2022-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멀티 링크식 후륜 현가장치용 어퍼 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0616A (ja) 2006-04-10 2006-09-14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スタビライザ
JP2007153099A (ja) * 2005-12-05 2007-06-21 Honda Motor Co Ltd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8542A (ko) * 2006-08-24 2008-02-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후륜 트레일링 암
KR100986080B1 (ko) * 2008-09-08 2010-10-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3099A (ja) * 2005-12-05 2007-06-21 Honda Motor Co Ltd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2006240616A (ja) 2006-04-10 2006-09-14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スタビライ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0117A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869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amper having an insert
US93709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spension damping including negative stiffness
US11001113B2 (en) Dual-rate leaf spring suspension for a vehicle
CN102848873B (zh) 用于车辆的轮悬架结构
KR101726377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US4972920A (en) Wheel suspension of a motorcycle
US8505942B2 (en) Adjustable spring assembly
KR102249587B1 (ko) 현가 장치용 링크 구조체
KR101640680B1 (ko) 차량 서스펜션시스템용 완충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서스펜션시스템 보조장치
KR102474609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및 그것을 포함하는 현가장치
JP2017508659A (ja) スプリングアーム装置
GB2514258A (en) Leaf spring assembly for a vehicle
KR101283605B1 (ko) 능동형 롤 제어장치
US10759245B2 (en) Axle/suspension system with down stop
KR102579356B1 (ko) 복합재 스프링을 구비한 차량용 현가장치
US11548336B1 (en) Suspension system having rebound control for a vehicle
KR100527720B1 (ko) 버스용 후륜 현가장치
KR20200008405A (ko) 캠버 특성이 개선된 맥퍼슨 서스펜션
KR100471830B1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0962200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KR100757812B1 (ko) 현가장치
KR101620961B1 (ko) 스트럿의 휨 방지장치
KR102440604B1 (ko) 멀티 링크식 후륜 현가장치용 어퍼 암
KR100589189B1 (ko) 현가 장치의 범퍼 스토퍼 구조
Javir et al. Design and static analysis composite leaf sp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