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45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452A
KR20180043452A KR1020160136012A KR20160136012A KR20180043452A KR 20180043452 A KR20180043452 A KR 20180043452A KR 1020160136012 A KR1020160136012 A KR 1020160136012A KR 20160136012 A KR20160136012 A KR 20160136012A KR 20180043452 A KR20180043452 A KR 20180043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heet
assembly
light
disposed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4862B1 (ko
Inventor
정상운
이지나
이현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6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4862B1/ko
Priority to US15/657,482 priority patent/US10712493B2/en
Priority to CN201710968836.4A priority patent/CN107966850A/zh
Priority to EP17197255.7A priority patent/EP3324110A1/en
Publication of KR20180043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4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81Mechanical or electrical aspects of the light guide and light source in the lighting device peculiar to the adaptation to planar light guides, e.g. concerning packaging
    • G02B6/0086Positioning aspects
    • G02B6/0088Positioning aspects of the light guide or other optical sheets in the pack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1Diffusing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6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for producing polarisation effects, e.g. by a surface with polarizing properties or by an additional polariz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8Direct backlight including particular frames or suppor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수신하고,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 상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광학 시트 및 제2 광학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 각각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바디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와 중첩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와 전면적으로 중첩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학 부재들의 조립성이 향상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모니터, TV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제공받은 광을 상부로 표시하는 표시 패널, 광을 확산 및 집광하여 표시 패널로 제공하는 광학 시트 및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된 광의 투과율을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광학 시트는 프리즘 시트, 확산 시트 및 보호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백라이트 어셈블리의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광을 집광하고, 확산 시트는 프리즘 시트에 의해 집광된 광을 확산 시킨다. 보호 시트는 외부의 마찰로부터 프리즘 시트를 보호한다.
본 발명은 암 상태에서의 콘트라스트 비가 향상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수신하고,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 상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광학 시트 및 제2 광학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 각각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바디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와 중첩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와 전면적으로 중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광학 시트는 상기 제2 광학 시트보다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도광부,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도광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도광부의 상기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1 조립체, 상기 제1 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조립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상기 제1 조립체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도광부는,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바디부의 하면과 접촉하는 출광면, 상기 출광면과 대향하는 바닥면, 및 상기 출광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상기 복수의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들은, 상기 광원과 마주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을 수신하는 입광면, 상기 입광면과 대향하는 대광면, 및 상기 입광면과 상기 출광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립체는 상기 대광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제2 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조립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3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조립체에 의하여 상기 제2 조립체의 상면의 일부가 노출된다.
상기 제1 조립체의 상기 상면의 상기 일부는 제1 지지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지지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2 조립체의 상기 상면의 상기 일부는 제2 지지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2 지지면 및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3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3 조립체의 상면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상면을 커버한다.
상기 제1 조립체의 상기 상면은 상기 도광부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정의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지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조립체에 상기 제1 광학 시트를 고정하는 제1 접착 부재, 상기 제2 지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조립체에 상기 제2 광학 시트를 고정하는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제3 조립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조립체에 상기 제3 광학 시트를 고정하는 제3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은 상기 도광부의 상기 상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과 단차를 갖고, 상기 단차는 상기 제1 접착 부재의 두께와 동일하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도광부,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도광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의 상면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경사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경사진 상기 조립부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4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하면을 상기 경사진 상기 조립부의 상면에 고정한다.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를 상기 도광판과 결합하는 접착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도광부,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도광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구조체는, 상기 조립부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기저체, 상기 제1 기저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기저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상기 제1 기저체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기저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하고, 프레임 형상을 갖는 제1 바닥 몰드,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일측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상기 일측의 상기 제2 방향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바닥 몰드, 및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외측으부터 절곡되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측면들을 감싸는 측벽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닥 몰드에 의하여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상면의 일부가 노출된다.
상기 제1 광학 시트는 상기 제2 광학 시트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하면은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상기 상면의 상기 일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상면 및 상기 제2 바닥 몰드의 상면과 접촉한다.
상기 제1 광학 시트는 상기 제2 광학 시트보다 상부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프레임 형상을 갖는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바닥 몰드,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일측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상기 일측의 상기 제2 방향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바닥 몰드 및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외측으부터 절곡되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측면들을 감싸는 측벽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닥 몰드에 의하여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하면의 일부가 노출된다.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상면은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상기 하면의 상기 일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바닥 몰드의 하면과 접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광학 시트는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배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도광부,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도광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도광부의 상기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1 조립체, 상기 제1 조립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조립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상기 제1 조립체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반사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 하부에 배치되는 제4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광학 시트는, 상기 바디부들과 중첩하는 제4 바디부, 및 상기 날개부들과 중첩하는 제4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날개부는, 상기 제4 바디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1 기저체, 상기 제1 기저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기저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상기 제1 기저체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기저체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은 상기 제4 광학 시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유닛들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 상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광학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 각각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측들 중 2개 이상의 외측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와 중첩하는 복수의 날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들 각각이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들 각각이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부분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들 각각은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들 각각과 전면적으로 중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광학 시트 하부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도광부, 및 상기 도광부의 외측면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측면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조립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들 각각은, 상기 도광부의 상기 측면들 각각과 연결되는 제1 조립체, 상기 제1 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부의 상기 측면들과 연결된 상기 제1 조립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체들에 의하여 상기 제1 조립체들 각각의 상면의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들 각각의 하면이 상기 제1 조립체의 상기 상면의 상기 일부와 접촉되고,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들 각각의 하면이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상면 및 상기 제2 조립체의 상면을 커버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바디부의 하면과 접촉하는 출광면, 상기 출광면과 대향하는 바닥면, 및 상기 출광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상기 복수의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들은, 상기 광원이 배치되는 입광면, 상기 입광면과 대향하는 대광면, 및 상기 입광면과 상기 출광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립체들 각각은 상기 대광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 시트들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 및 도광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 및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 광학 시트가 도광판에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광학 시트가 도광판에 안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광학 시트가 도광판에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 광학 시트가 도광판에 안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3 광학 시트가 도광판에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3 광학 시트가 도광판에 안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 및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g는 도 11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이 도광판 상에 배치되는 과정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 및 도광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 및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 및 몰드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은 도 14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 및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는 도 14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 및 몰드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 및 몰드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 및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 및 도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 및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 및 광학 시트들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의 단면도이다.
도 24은 도 22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 및 광학 시트들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 제 1 구성요소 또는 제 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 제 2 구성요소 또는 제 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개략도인 평면도 및 단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고,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제1 방향(DR1)으로 장변을 갖고, 제2 방향(DR2)으로 단변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0)는 윈도우 부재(100), 편광층(200), 표시 패널(300), 백라이트 유닛(BLU), 몰드 프레임(700) 및 수납 부재(80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1000)에서 영상이 제공되는 방향을 상부 방향으로 정의하고, 상부 방향의 반대 방향을 하부 방향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 및 하부 방향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제3 방향(DR3)과 평행하다. 제3 방향(DR3)은 후술할 구성 요소들의 전면과 배면을 구분하는 기준 방향일 수 있다. 그러나, 상부 방향이나 하부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써,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는 편광층(200) 및 표시 패널(300)이 제공하는 영상을 투과시키는 투광부(TA) 및 투광부(TA)에 인접하고, 영상이 투과되지 않는 차광부(CA)를 포함한다. 투광부(TA)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 상에서 표시 장치(1000)의 중심부에 배치된다. 차광부(CA)는 투광부(TA)의 주변부에 배치되어 투광부(TA)를 둘러싸는 프레임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000)의 윈도우 부재(100)는 투광부(TA)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차광부(CA)가 삭제될 수 있다. 이 경우, 윈도우 부재(100)의 상면 전체로 영상을 투과될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는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을 포함하는 재질일 수 있다.
윈도우 부재(100)의 하부에 표시 패널(300)이 배치된다.
상기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300)에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 및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DA)이 정의된다. 표시 영역(DA)은 상기 평면 상에서, 표시 패널(300)의 중앙에 정의되어, 윈도우 부재(100)의 투광부(TA)와 중첩된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도록 정의되어 윈도우 부재(100)의 차광부(CA)와 중첩된다.
표시 패널(300)은 표시 기판(310) 및 대향 기판(32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300)은 표시 기판(310) 및 대향 기판(320)이 합착된 형태를 갖는다.
표시 기판(310)은 표시 영역(DA)에 배치되는 복수의 화소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화소들(미도시)은 전기적 신호를 인가받아 이미지를 구현한다.
표시 기판(310)의 성격에 따라, 즉, 표시 기판(310)의 화소들의 구성에 따라, 표시 패널(300)의 종류가 결정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수광형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300)은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일 수 있다. 즉, 표시 패널(300)은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패널(30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 습윤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전기 영동 표시 패널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 표시 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등 다양한 표시 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대향 기판(320)은 표시 기판(310)을 봉지하는 봉지 기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대향 기판(320)의 기능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대향 기판(320)은 터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대향 기판(320)은 생략될 수 있다.
편광층(200)은 윈도우 부재(100) 및 표시 패널(300)의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편광층(200)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편광층(200)은 표시 패널(3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편광층(200)은 표시 기판(310) 및 대향 기판(320)의 사이에 배치되는 In-Cell 편광층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편광층(200)은 편광층(200)에 입사되는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 또는 투과시킨다. 편광층(200)은 소정의 방향을 갖는 광축(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BLU)은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300)로 광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BLU)은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일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BLU)은 광원(LS), 도광판(400), 복수의 광학 시트들(500) 및 반사 시트(600)를 포함한다.
광원(LS)은 제1 방향(DR1)에서 도광판(400)의 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일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광원(LS)은 복수의 광원 유닛들(LSU) 및 광원 기판(LSS)를 포함한다. 광원 유닛들(LSU)은 표시 패널(300)에 제공되기 위한 광을 생성하여 도광판(400)에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광원 유닛들(LSU)은 LED(Light Emitting Diede)이 점광원으로서 사용된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광원 유닛들(LSU)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광원 유닛들(LSU)은 자외선 램프(Ultra violet lamp), 또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광원 유닛(LSU)은 복수개가 아닌 하나의 LED가 점광원으로서 제공되거나, 복수의 LED 그룹들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광원 유닛들(LSU)은 선광원 일 수 있다.
광원 유닛들(LSU)은 광원 기판(LSS) 상에 실장될 수 있다. 광원 기판(LSS)은 도광판(400)의 측면들 중 적어도 일 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다. 광원 기판(LSS)에는 광원 유닛들(LSU)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배선이 인쇄될 수 있다. 광원 기판(LSS)은 광원 유닛들(LSU)에 연결된 광원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제어부(미도시)는 표시 패널(300)에 표시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로컬 디밍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로컬 디밍 신호에 응답하여 광원 유닛들(LSU)이 생성하는 광의 휘도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광원 제어부(미도시)가 별도의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위치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광판(400)은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도광판(400)은 광원(LS)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의 진행 방향을 표시 패널(300)이 배치된 상부 방향으로 향하도록 변경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도광판(400)은 도광판(400)의 하면 또는 상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패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미도시)은 볼록한 형상 또는 삼각형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패턴(미도시)은 도광판(400)으로 입사되는 광은 반사 또는 집광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원(LS)으로부터 도광판(400)으로 제공된 광은 패턴(미도시)에 의하여 반사 또는 집광되어 도광판(400)의 상부로 출사될 수 있다.
도광판(400)은 가시 광선 영역에서 광 투과율이 높은 물질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도광판(400)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polymethyl methacrylate) 등의 투명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질 있다. 도광판(400)에 관하여, 이하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광판(400) 및 표시 패널(300) 사이에 복수의 광학 시트들(500)이 배치된다. 도광판(400)으로부터 광학 시트들(500)로 제공된 광은 광학 시트들(500)에 의하여 확산 및 집광되어 표시 패널(300)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 시트들(500)은 제1 광학 시트(510), 제2 광학 시트(520) 및 제3 광학 시트(530)를 포함한다. 제1 광학 시트(510)는 도광판(400)과 제2 광학 시트(520)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광학 시트(520)는 제1 광학 시트(510)와 제3 광학 시트(530)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세 개의 광학 시트들이 설명되나, 본 발명은 광학 시트들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500)은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510)는 확산 시트일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510)는 도광판(400)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제2 광학 시트(520)는 프리즘 시트일 수 있다. 제2 광학 시트(520)는 제1 광학 시트(510)에 의하여 확산된 광을 평면 상에 수직한 상부 방향으로 집광할 수 있다.
또한, 제3 광학 시트(530)는 보호 시트일 수 있다. 제3 광학 시트(530)는 외부의 마찰로부터 제2 광학 시트(520)의 프리즘들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광학 시트들 각각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광학 시트(530)는 프리즘 시트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500)은 복수개의 프리즘 시트들(520, 5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 시트들(500)은 확산, 집광 및 보호 기능 외에 다른 광학적 역할을 하는 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들(500)에 관하여 이하, 도 3 및 도 4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광판(400)의 하부에는 반사 시트(600)가 배치된다. 반사 시트(600)는 도광판(400)의 하부로 방출되는 광을 상부 방향으로 반사시킨다. 반사 시트(600)는 광을 반사하는 물질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반사 시트(600)는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몰드 프레임(700)은 광학 시트들(500)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몰드 프레임(700)은 틀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몰드 프레임(700)은 평면 상에서, 비표시 영역(NDA)과 오버랩되고, 도광판(400)의 상면 상에서 가장 자리 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700)은 편광층(200), 표시 패널(300) 및 백라이트 유닛(BLU)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몰드 프레임(700)은 생략될 수 있다.
몰드 프레임(700)은 바닥 몰드(710) 및 측벽 몰드(720)를 포함한다. 바닥 몰드(710)는 광학 시트들(500) 및 표시 패널(300)의 사이에 배치되어, 광학 시트들(500) 및 표시 패널(300)을 이격시킨다. 바닥 몰드(710)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정의된 평면과 평행한 프레임 형상을 갖는다. 바닥 몰드(710)의 상면에 편광층(200) 및 표시 패널(300)이 안착될 수 있다. 바닥 몰드(710)는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할 수 있다.
측벽 몰드(720)는 바닥 몰드(710)의 외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측벽 몰드(720)는 편광층(200) 및 표시 패널(300)의 측면들을 감쌀 수 있다.
수납 부재(800)는 표시 장치(1000)의 최하단에 배치되어 백라이트 유닛(BLU)을 수납한다. 수납 부재(800)는 바닥부(810) 및 바닥부(810)와 연결된 복수의 측벽부들(8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수납 부재(800)의 측벽부들(820)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 상에 광원(LS)이 배치될 수 있다. 수납 부재(800)는 강성을 갖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차광 부재(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광 부재(A)는 광원(LS), 몰드 프레임(700)의 하면 및 광학 시트들(500)의 측면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 부재(A)는 광원(LS)에서 제공되는 광 중 도광판(400)으로 제공되지 않고, 상부를 향하는 광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차광 부재(A)는 광원(LS)에서 제공되는 광이 광학 시트들(500)의 측면들로 제공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차광 부재(A)는 방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차광 부재(A)는 광원(LS)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표시 장치(10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 및 도광판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 및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광판(400)은 도광부(410) 및 조립부(420)를 포함한다. 도광부(410)는 판 형상을 갖는다. 도광부(410)의 적어도 일부는 표시 영역(DA)과 전면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조립부(420)는 제1 방향(DR1)에서 도광부(410)의 일측면과 연결된다. 조립부(420)는 비표시 영역(NDA)과 전면적으로 중첩한다. 상기 일측면에는 광원(LS)이 배치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광원(LS)은 제1 방향(DR1)에서 도광부(410)의 타측에 배치되어 도광부(410)의 타측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광부(410)로 제공된 광이 조립부(420)에 의하여 경로가 변경되더라도, 비표시 영역(NDA) 내에서 경로가 변경되므로, 표시 영역(DA) 상에서 도광부(410)로 제공된 광을 상부로 가이드하는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원(LS)은 도광부(410)를 사이에 두고 조립부(420)과 대향할 수 있다. 즉, 광원(LS)은 제1 방향(DR1)에서 도광부(410)의 타측면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광부(410)의 측면들 중 조립부(420)가 배치되는 도광부(410)의 일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측면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립부(420)는 제1 조립체(421), 제2 조립체(422) 및 제3 조립체(423)을 포함한다. 조립부(420)는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보았을 때, 계단식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립체(421)는 도광부(410)의 상기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일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제1 조립체(421)의 상면은 도광부(410)의 상면과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1 조립체(421)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도광부(41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조립체(422)는 제1 조립체(421) 상부에 배치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2 조립체(422)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조립체(421)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방향(DR2)에서 제2 조립체(422)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조립체(421)의 길이의 2/3일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2 조립체(422)는 제1 조립체(421)와 전면적으로 중첩된다. 상기 중첩된 영역은 제1 중첩 영역으로 정의된다. 제1 중첩 영역은 제2 방향(DR2)에서 조립부(420)의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제2 조립체(422)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조립체(421)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조립체(422)에 의하여 제1 조립체(421)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제1 조립체(421)의 상면의 일부는 제1 지지면(S1)으로 정의된다. 제1 지지면(S1)은 제1 조립체(421)의 상면 상에서 제2 방향(DR2)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3 조립체(423)는 제2 조립체(422) 상부에 배치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3 조립체(423)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2 조립체(422)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방향(DR2)에서 제3 조립체(423)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조립체(421)의 길이의 1/3일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3 조립체(423)는 제2 조립체(422)와 전면적으로 중첩된다. 상기 중첩된 영역은 제2 중첩 영역으로 정의된다. 제2 중첩 영역은 제1 중첩 영역과 전면적으로 중첩되며, 제2 방향(DR2)에서 조립부(420)의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정의된다.
구체적으로, 제3 조립체(423)는 제2 방향(DR2)에서 제2 조립체(422)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3 조립체(423)에 의하여 제2 조립체(422)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제2 조립체(422)의 상면의 일부는 제2 지지면(S2)으로 정의된다. 제2 지지면(S2)은 제2 조립체(422)의 상면 상에서 제2 방향(DR2)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3 조립체(423)의 상면은 제3 지지면(S3)으로 정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중첩 영역 및 제2 중첩 영역은 제2 방향(DR2)에서 조립부(420)의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정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중첩 영역 및 제2 중첩 영역은 제2 방향(DR2)에서 조립부(420)의 중앙부에 정의될 수 있다. 즉, 제2 조립체(422) 및 제3 조립체(423)가 제2 방향(DR2)에서 제1 조립체(421)의 상면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들(500)은 도광판(400)의 상부에 배치되어 도광판(400)의 상면을 커버한다. 제1 광학 시트(510), 제2 광학 시트(520) 및 제3 광학 시트(530) 각각은 바디부(511, 521, 531) 및 날개부(512, 522, 532)를 포함한다. 평면 상에서, 바디부(511, 521, 531)는 도광판(400)의 도광부(410)와 중첩하고, 날개부(512, 522, 532)는 도광판(400)의 조립부(420)와 중첩한다. 바디부(511, 521, 531)는 도광부(410)로부터 수신되는 광을 확산 및 집광하여 표시 패널(300)로 제공한다. 평면 상에서, 날개부(512, 522, 532)는 비표시 영역(NDA)의 일부와 중첩한다. 날개부(512, 522, 532)는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기 조립부(420)와 맞물리는 계단식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510)는 제1 바디부(511) 및 제1 날개부(512)를 포함한다. 제1 바디부(511)는 도광부(410)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도광부(410)의 상면을 커버한다. 제1 날개부(512)는 제1 방향(DR1)에서 제1 바디부(5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1 바디부(511)의 일측을 따라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다. 제1 날개부(512)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디부(511)의 타측으로 편향되도록 제1 바디부(511)와 연결된다.
제2 광학 시트(520)는 제2 바디부(521) 및 제2 날개부(522)를 포함한다. 제2 바디부(521)는 제1 바디부(511)의 상면에 안착되어 제1 바디부(511)의 상면을 커버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2 바디부(521)는 제1 바디부(511)과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즉, 평면 상에서, 제2 바디부(521) 및 제1 바디부(511)는 서로 중첩할 수 있다. 제2 날개부(522)는 제1 방향(DR1)에서 제2 바디부(521)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2 바디부(521)의 일측을 따라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다. 제2 날개부(522)는 제2 방향(DR2)에서 제2 바디부(521)의 타측으로 편향되도록 제2 바디부(521)와 연결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1 날개부(512)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2 날개부(522)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1 날개부(512)는 제2 날개부(522)와 전면적으로 중첩한다.
제3 광학 시트(530)는 제3 바디부(531) 및 제3 날개부(532)를 포함한다. 제3 바디부(531)는 제2 바디부(521)의 상면에 안착되어 제2 바디부(521)의 상면을 커버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3 바디부(531)는 제2 바디부(521)과 형상 및 크기가 동일할 수 있다. 제3 날개부(532)는 제1 방향(DR1)에서 제3 바디부(531)의 일측에 연결되어, 제3 바디부(531)의 일측을 따라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2 날개부(522)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3 날개부(532)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2 날개부(522)는 제3 날개부(532)와 전면적으로 중첩한다.
제2 방향(DR2)에서 제3 날개부(532)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3 바디부(53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3 바디부(531) 및 제3 날개부(532)가 결합된 형상은 하나의 시트 형상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날개부(512) 및 제2 날개부(522)가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디부(511) 및 제2 바디부(521)의 타측으로 편향되도록 연결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날개부(512) 및 제2 날개부(522)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디부(511) 및 제2 바디부(521)의 중앙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제1 광학 시트가 도광판에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제1 광학 시트가 도광판에 안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1 광학 시트(510)는 도광판(400)의 상면에 안착되어 도광판(400)의 상면을 커버한다. 제1 바디부(511)의 하면은 도광부(410)의 상면과 접촉하여 도광부(410)의 상면을 커버하고, 제1 날개부(511)의 하면은 제1 조립체(421)의 제1 지지면(S1)과 접촉하여 제1 지지면(S1)을 커버할 수 있다. 이 때, 제1 광학 시트(510)의 두께는 제2 조립체(422)의 두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1 광학 시트(510)의 상면과 제2 지지면(S2)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제2 광학 시트가 도광판에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제2 광학 시트가 도광판에 안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2 광학 시트(520)는 제1 광학 시트(510) 상면에 안착되어 제1 광학 시트(510) 및 제2 지지면(S2)을 커버한다. 제2 바디부(521)의 하면은 제1 바디부(511)의 상면과 접촉하여 제1 바디부(511)의 상면을 커버하고, 제2 날개부(522)의 하면은 제2 조립체(422)의 제2 지지면(S2) 및 제1 날개부(512)의 상면과 접촉하여 제2 지지면(S2) 및 제1 날개부(512)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이 때, 제2 광학 시트(520)의 두께는 제3 조립체(423)의 두께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 광학 시트(520)의 상면과 제3 지지면(S3)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제3 광학 시트가 도광판에 안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3 광학 시트가 도광판에 안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3 광학 시트(530)는 제2 광학 시트(520) 상면에 안착되어 제2 광학 시트(520) 및 제3 지지면(S3)을 커버한다. 제3 바디부(531)의 하면은 제2 바디부(521)의 상면과 접촉하여 제2 바디부(521)의 상면을 커버하고, 제3 날개부(532)의 하면은 제3 조립체(423)의 제3 지지면(S3) 및 제2 날개부(522)의 상면과 접촉하여 제3 지지면(S3) 및 제2 날개부(522)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 시트들(500) 각각의 날개부들(512, 522, 532)이 서로 단차를 갖는 제1 내지 제3 지지면들(S1, S2, S3)을 각각 커버함으로써, 도광판(400)의 조립부(420)에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광학 시트들(500)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1000)의 표시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시트들(500)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광학 시트(510), 제2 광학 시트(520) 및 제3 광학 시트(530)의 두께는 모두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내지 제3 광학 시트들(510, 520, 530) 각각의 기능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광학 시트(510)의 두께는 0.12mm이고, 제2 광학 시트(520)의 두께는 0.155mm의 두께이고, 제3 광학 시트(530)의 두께는 0.39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광학 시트들(510, 520, 530) 각각의 날개부(512,522,532)의 제1 방향(DR1) 길이는 제1 내지 제3 광학 시트들(510, 520, 530)이 조립부(420)에 체결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소값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내지 제3 광학 시트들(510, 520, 530) 각각의 날개부(512,522,532)의 제1 방향(DR1) 길이는 2mm 이상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 및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g는 도 11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이 도광판 상에 배치되는 과정이 도시된 도면들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생략된 부분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다. 또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제1 접착 부재(AD1), 제2 접착 부재(AD2) 및 제3 접착 부재(AD3)를 더 포함한다. 제1 접착 부재(AD1), 제2 접착 부재(AD2) 및 제3 접착 부재(AD3)는 접착 물질을 포함한다. 예시적으로, 제1 접착 부재(AD1), 제2 접착 부재(AD2) 및 제3 접착 부재(AD3)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도 11 및 도 12a를 참조하면, 제1 조립체(421)의 상면은 도광부(41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면(S1-1)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은 도광부(410)의 상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제1 지지면(S1-1) 상에 제1 접착 부재(AD1)가 배치된다. 제1 지지면(S1-1)과 도광부(410)의 상면에 의해 형성된 단차의 높이는 제1 접착 부재(AD1)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착 부재(AD1)의 상면은 도광부(410)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c를 참조하면, 제1 광학 시트(510)가 도광판(400)의 상면에 안착되어 도광부(400)의 상면 및 제1 접착 부재(AD1)의 상면을 커버한다. 제1 바디부(511)의 하면은 도광부(410)의 상면과 접촉하고, 제1 날개부(511)의 하면은 제1 접착 부재(AD1)와 접촉한다. 제1 접착 부재(AD1)에 의하여 제1 조립체(421)에 제1 날개부(512)가 고정될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510)가 안착됨에 따라, 제2 조립체(422)의 상면은 제1 광학 시트(51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지지면(S2-1)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은 제1 광학 시트(510)의 상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d를 참조하면, 제2 지지면(S2-1) 상에 제2 접착 부재(AD2)가 배치된다. 제2 지지면(S2-1)과 제1 광학 시트(510)의 상면에 의해 형성된 단차의 높이는 제2 접착 부재(AD2)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접착 부재(AD2)의 상면은 제1 광학 시트(510)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e를 참조하면, 제2 광학 시트(520)가 제1 광학 시트(510) 상면에 안착되어 제1 광학 시트(510)의 상면 및 제2 접착 부재(AD2)의 상면을 커버한다. 제2 바디부(521)의 하면은 제1 바디부(511)의 상면과 접촉하고, 제2 날개부(522)의 하면은 제2 접착 부재(AD2) 및 제1 날개부(512)의 상면과 접촉한다. 제2 접착 부재(AD2)에 의하여 제2 조립체(422)에 제2 날개부(522)가 고정될 수 있다.
제2 광학 시트(520)가 안착됨에 따라, 제3 조립체(423)의 상면은 제2 광학 시트(520)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지지면(S3-1)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은 제2 광학 시트(520)의 상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f를 참조하면, 제3 지지면(S3-1) 상에 제3 접착 부재(AD3)가 배치된다. 제3 지지면(S3-1)과 제2 광학 시트(520)의 상면에 의해 형성된 단차의 높이는 제3 접착 부재(AD3)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접착 부재(AD3)의 상면은 제2 광학 시트(520)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g를 참조하면, 제3 광학 시트(530)가 제2 광학 시트(520) 상면에 안착되어 제2 광학 시트(520)의 상면 및 제3 접착 부재(AD3)의 상면을 커버한다. 제3 바디부(531)의 하면은 제2 바디부(521)의 상면과 접촉하고, 제3 날개부(532)의 하면은 제3 접착 부재(AD3) 및 제2 날개부(522)의 상면과 접촉한다. 제3 접착 부재(AD3)에 의하여 제3 조립체(423)에 제3 날개부(532)가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접착 부재들(AD1, AD2, AD3)이 조립부(420) 상에 배치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접착 부재들(AD1, AD2, AD3)이 서로 연결되어, 한번의 접착 공정으로 제1 내지 제3 접착 부재들(AD1, AD2, AD3)을 동시에 조립부(420)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백라이트의 제작 공정이 보다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 조립체들(421, 422, 423) 각각의 상면이 도광부(410)의 상면, 제1 및 제2 광학 시트들(510, 520)의 상면과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접착 부재들(AD1, AD2, AD3)의 두께에 따른 단차를 보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 시트들(500)의 유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시트들(500)의 조립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 및 도광판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13b는 도 13a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 및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조립부(420-2)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을 갖는다. 조립부(420-2)는 제1 방향(DR1)에서 도광부(410-2)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4 지지면(S4)으로 정의되는 조립부(420-2)의 상면(S4)은 도광부(410-2)의 상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지지면(S4)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은 도광부(410-2)의 상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접착 구조체(ADC)를 더 포함한다. 접착 구조체(ADC)의 단면 형상은 계단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착 구조체(ADC)는 제1 접착 부재(AD1-2), 제2 접착 부재(AD2-2) 및 제3 접착 부재(AD3-2를 포함한다. 제1 접착 부재(AD1-2)는 조립부(420-2)의 제4 지지면(S4)에 안착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AD1-2)는 제4 지지면(S4)과 전면적으로 중첩된다.
제2 접착 부재(AD2-2)는 제1 접착 부재(AD1-2)의 상부에 배치되어, 제2 방향(DR2)에서 제1 접착 부재(AD1-2)의 일측을 커버한다. 제2 방향(DR2)에서 제2 접착 부재(AD2-2)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접착 부재(AD1-2)의 길이보다 짧다.
제3 접착 부재(AD3-2)는 제2 접착 부재(AD2-2) 상부에 배치되며, 제2 방향(DR2)에서 제2 접착 부재(AD2-2)의 일측을 커버한다. 제2 방향(DR2)에서 제3 접착 부재(AD3-2)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2 접착 부재(AD2-2)의 길이보다 짧다.
제4 지지면(S4)과 도광부(410-2)의 상면에 의하여 형성된 단차의 높이는 제1 접착 부재(AD1-2)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지지면(S4) 상에 접착 구조체(ADC)가 안착될 경우, 제1 접착 부재(AD1-2)의 상면은 도광부(410-2)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 구조체(ADC)의 상면 및 도광부(410-2) 상면에 광학 시트들(500)이 안착될 수 있다. 접착 구조체(ADC)에 의하여 광학 시트들(500) 각각의 날개부들(512, 522, 532)이 조립부(420-2)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의 조립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 및 몰드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은 도 14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 및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6는 도 14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 및 몰드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4 내지 도 1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700-3)은 바닥 몰드(710) 및 측벽 몰드(720)를 포함한다.
바닥 몰드(710)는 표시 패널(300)의 비표시 영역(NDA)과 전면적으로 중첩한다. 바닥 몰드(710)는 제1 바닥 몰드(711), 제2 바닥 몰드(712) 및 제3 바닥 몰드(713)을 포함한다. 제1 바닥 몰드(711)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정의된 평면과 평행한 프레임 형상을 갖는다. 제1 바닥 몰드(711)의 상면에 표시 패널(300)이 안착될 수 있다.
제2 바닥 몰드(712)는 제1 방향(DR1)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일측의 하부에 배치된다. 즉, 제2 바닥 몰드(712)의 상면은 제1 방향(DR1)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하면의 일측의 일부와 중첩한다.
제2 방향(DR2)에서 제2 바닥 몰드(712)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방향(DR2)에서 제2 바닥 몰드(712)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길이의 2/3일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2 바닥 몰드(712)는 제1 바닥 몰드(711)와 전면적으로 중첩한다.
상기 중첩된 영역은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정의된다. 즉, 제2 바닥 몰드(712)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하면의 일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바닥 몰드(712)에 의하여 제1 바닥 몰드(711)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하면의 일부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3 바닥 몰드(713)은 제2 방향(DR2)에서 제2 바닥 몰드(712)의 일측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3 바닥 몰드(713)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2 바닥 몰드(712)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2 방향(DR2)에서 제3 바닥 몰드(713)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길이의 1/3일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3 바닥 몰드(713)는 제2 바닥 몰드(712)와 전면적으로 중첩한다.
상기 중첩된 영역은 제2 방향(DR2)에서 제2 바닥 몰드(712)의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정의된다. 즉, 제3 바닥 몰드(713)는 제2 방향(DR2)에서 제2 바닥 몰드(712)의 하면의 일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3 바닥 몰드(713)에 의하여 제2 바닥 몰드(712)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제2 바닥 몰드(712)의 하면의 일부는 제2 방향(DR2)에서 제2 바닥 몰드(712)의 타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바닥 몰드(711), 제2 바닥 몰드(712) 및 제3 바닥 몰드(713)가 중첩된 영역은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일측으로 편향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바닥 몰드(711), 제2 바닥 몰드(712) 및 제3 바닥 몰드(713)가 중첩된 영역은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중앙부에 정의될 수 있다. 즉, 제2 바닥 몰드(712) 및 제3 바닥 몰드(713)가 제1 방향(DR1)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일측에 배치되고,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시트들(500-3)은 제1 광학 시트(510-3), 제2 광학 시트(520-3) 및 제3 광학 시트(530-3)를 포함한다. 제1 광학 시트(510-3)는 제1 바닥 몰드(711) 및 제2 광학 시트(520-3) 사이에 배치된다. 제2 광학 시트(520-3)는 제1 광학 시트(510-3) 및 제3 광학 시트(530-3) 사이에 배치된다.
제1 광학 시트(510-3)는 제2 바닥 몰드(712)에 의하여 노출되는 제1 바닥 몰드(711)의 하면을 커버한다.
제2 광학 시트(520-3)는 제3 바닥 몰드(713)에 의하여 노출되는 제2 바닥 몰드(712)의 하면의 일부 및 제1 광학 시트(510-3)의 하면을 커버한다.
제3 광학 시트(530-3)는 제3 바닥 몰드(713)의 하면 및 제2 광학 시트(520-3)의 하면을 커버한다.
측벽 몰드(720)는 바닥 몰드(710)의 외측으로부터 절곡되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측벽 몰드(720)의 하면은 제3 광학 시트(530-3)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측벽 몰드(720)는 제1 내지 제3 광학 시트들(510-3, 520-3, 530-3)의 측면들을 감쌀 수 있다.
도 1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 및 몰드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 및 몰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몰드 프레임(700-4)은 바닥 몰드(710) 및 측벽 몰드(720)를 포함한다.
바닥 몰드(710)는 제1 바닥 몰드(711), 제2 바닥 몰드(712) 및 제3 바닥 몰드(713)을 포함한다. 제1 바닥 몰드(711)는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으로 정의된 평면과 평행한 프레임 형상을 갖는다. 제1 바닥 몰드(711)는 표시 패널(300)의 비표시 영역(NDA)과 중첩한다. 제1 바닥 몰드(711)에 광학 시트들(500)이 안착될 수 있다.
제2 바닥 몰드(712)는 제1 방향(DR1)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일측의 상부에 배치된다. 즉, 제2 바닥 몰드(712)의 하면은 제1 방향(DR1)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상면의 일측의 일부와 중첩한다.
제2 방향(DR2)에서 제2 바닥 몰드(712)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2 바닥 몰드(712)는 제1 바닥 몰드(711)와 전면적으로 중첩한다.
상기 중첩된 영역은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정의된다. 즉, 제2 바닥 몰드(712)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2 바닥 몰드(712)에 의하여 제1 바닥 몰드(711)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제1 바닥 몰드(711)의 상면의 일부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바닥 몰드(711)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3 바닥 몰드(713)는 제2 방향(DR2)에서 제2 바닥 몰드(712)의 일측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3 바닥 몰드(713)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2 바닥 몰드(712)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평면 상에서, 제3 바닥 몰드(713)는 제2 바닥 몰드(712)와 전면적으로 중첩한다.
상기 중첩된 영역은 제2 방향(DR2)에서 제2 바닥 몰드(712)의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정의된다. 즉, 제3 바닥 몰드(713)는 제2 방향(DR2)에서 제2 바닥 몰드(712)의 상면의 일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제3 바닥 몰드(713)에 의하여 제2 바닥 몰드(712)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제2 바닥 몰드(712)의 상면의 일부는 제2 방향(DR2)에서 제2 바닥 몰드(712)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1 광학 시트(510)는 제2 바닥 몰드(712)에 의하여 노출되는 제1 바닥 몰드(711)의 상면을 커버한다.
제2 광학 시트(520)는 제3 바닥 몰드(713)에 의하여 노출되는 제2 바닥 몰드(712)의 상면의 일부 및 제1 광학 시트(510)의 상면을 커버한다.
제3 광학 시트(530)는 제3 바닥 몰드(713)의 상면 및 제2 광학 시트(520)의 상면을 커버한다.
측벽 몰드(720)는 바닥 몰드(710)의 외측으로부터 절곡되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갖는다. 측벽 몰드(720)의 상면은 제3 광학 시트(530)의 상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측벽 몰드(720)는 제1 내지 제3 광학 시트들(510, 520, 530)의 측면들을 감쌀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측벽 몰드(720)의 상면은 제3 광학 시트(530)의 상면보다 높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벽 몰드(720)는 광학 시트들(500)뿐 아니라, 표시 패널(300) 및 편광층(200)의 측면들을 감쌀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 및 도광판의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 및 도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400-5)의 조립부(420)는 제1 조립체(421) 및 제2 조립체(422)를 포함한다. 제2 방향(DR2)에서 제1 조립체(421)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도광부(41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1 조립체(421)는 도광부(410)의 상기 일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일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제2 조립체(422)는 제1 조립체(421) 상부에 배치된다. 제2 조립체(422)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조립체(421)의 일측에 편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립체(422)의 상면은 제2 방향(DR2)을 따라 경사질 수 있다. 즉, 제1 방향(DR1)에서 바라본 제2 조립체(422)의 단면은 삼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백라이트 유닛은 제2 조립체(422)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4 접착 부재(AD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AD4)는 제1 날개부(512)의 하면 전체, 제2 날개부(522)의 하면의 일부, 제3 날개부(532)의 하면의 일부와 접촉되어, 제1 내지 제3 날개부들(512, 522, 532)을 제2 조립체(422)와 결합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조립체(421)의 상면의 일부는 도광부(410)의 상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조립체(421)의 상면 상에서, 제2 방향(DR2)에서 타측에 배치되는 제1 조립체(421)의 상면의 일부는 도광부(410)의 상면보다 낮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접착 부재(AD4)로 복수개의 광학 시트들(500)을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립의 용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 및 광학 시트들의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400-6)은 도광부(410-6) 및 복수의 조립부들(420-6)을 포함한다. 도 19에서는 두 개의 조립부들(420-6)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조립부들(420-6)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립부들(420-6)은 제1 방향(DR1)에서 도광부(410-6)의 양측면과 연결된다. 조립부들(420-6)이 연결되는 도광부(410-6)의 상기 양측면에는 광원(LS)이 배치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광원(LS)은 조립부들(420-6)이 연결되는 도광부(410-6)의 상기 양측면을 제외한 다른 두 측면들 중 어느 한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조립부들(420-6) 각각의 조립체들의 구성은 상기 도 3 및 도 4에서 전술된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조립부들(420-6) 각각의 조립체들의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500)은 제1 광학 시트(510-6), 제2 광학 시트(520-6) 및 제3 광학 시트(530-6)을 포함한다.
제1 광학 시트(510-6)는 제1 바디부(511) 및 복수의 제1 날개부들(512)을 포함한다. 제1 날개부들(512)은 제1 방향(DR1)에서 제1 바디부(511)의 양측과 연결된다.
제2 광학 시트(520-6)는 제2 바디부(521) 및 복수의 제2 날개부들(522)을 포함한다. 제2 날개부들(512)은 제1 방향(DR1)에서 제2 바디부(521)의 양측과 연결된다.
제3 광학 시트(530-6)는 제3 바디부(531) 및 복수의 제3 날개부들(532)을 포함한다. 제3 날개부들(532)은 제1 방향(DR1)에서 제3 바디부(531)의 양측과 연결된다.
도 21에서는 제1 내지 제3 바디부들(511, 521, 531) 각각에 연결되는 두 개의 날개부들(512, 522, 523)이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바디부들(511, 521, 531) 각각에 연결되는 날개부들(512, 522, 523)의 개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날개부들(512, 522, 523) 각각의 구성은 상기 도 3 및 도 4에서 전술된 날개부들(512, 522, 523) 각각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날개부들(512, 522,523) 각각의 구성은 설명을 생략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의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의 단면도이다. 도 24은 도 22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2 내지 도 24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시트들(500-7)은 제1 광학 시트(510), 제2 광학 시트(520) 및 제4 광학 시트(540)를 포함한다. 제4 광학 시트(540)는 제1 광학 시트(5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510) 및 제2 광학 시트(520)는 전술되었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4 광학 시트(540)는 제4 바디부(541) 및 제4 날개부(542)를 포함한다. 제4 날개부(542)는 제1 방향(DR1)에서 제4 바디부(541)의 일측에 연결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4 날개부(542)의 단면은 계단식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4 날개부(542)는 제1 기저체(542a), 제2 기저체(542b) 및 제3 기저체(542c)를 포함한다.
제1 기저체(542a)는 제1 방향(DR1)에서 제4 바디부(541)의 일측에 연결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1 기저체(542a)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4 바디부(541)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기저체(542b)는 제1 기저체(542a)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2 기저체(542b)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기저체(542a)의 길이보다 짧다. 제2 기저체(542b)는 제1 기저체(542a)의 상면 상에서 제2 방향(DR2)의 일측에 편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저체(542b)에 의하여 제1 기저체(542a)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제1 기저체(542a)의 상면의 일부는 제1 지지면(SS1)으로 정의된다. 제1 지지면(SS1)은 제1 기저체(542a)의 상면 상에서 제2 방향(DR2)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3 기저체(542c)는 제2 기저체(542b)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3 기저체(542c)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2 기저체(542c)의 길이보다 짧다. 제3 기저체(542c)는 제2 기저체(542b)의 상면 상에서 제2 방향(DR2)의 일측에 편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저체(542c)에 의하여 제2 기저체(542b)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제2 기저체(542b)의 상면의 일부는 제2 지지면(SS2)으로 정의된다. 제2 지지면(SS2)은 제2 기저체(542b)의 상면 상에서 제2 방향(DR2)의 타측에 배치된다. 제2 기저체(542c)의 상면은 제3 지지면(SS3)으로 정의된다.
제1 광학 시트(510)는 제4 광학 시트(540) 상부에 배치된다. 제1 바디부(511)는 제4 바디부(541)의 상면을 커버하고, 제1 날개부(512)는 제4 날개부(542)의 제1 지지면(SS1)을 커버할 수 있다.
제1 지지면(SS1) 및 제2 지지면(SS2)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차의 높이는 제1 광학 시트(51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학 시트(510)의 상면은 제2 지지면(SS2)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학 시트(520)는 제1 광학 시트(51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 바디부(521)는 제1 바디부(511)의 상면을 커버하고, 제2 날개부(522)는 제1 날개부(512)의 상면 및 제2 지지면(SS2)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지지면(SS2) 및 제3 지지면(SS3)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차의 높이는 제2 광학 시트(52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광학 시트(520)의 상면은 제3 지지면(SS3)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3 광학 시트가 제2 광학 시트(5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광학 시트는 도 3에서 전술된 제3 광학 시트(53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3 광학 시트는 제2 광학 시트(520)의 상면 및 제3 지지면(SS3)을 커버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백라이트 유닛(BLU)은 광원(LS-8), 복수의 광학 시트들(500-8) 및 반사 시트(600-8)을 포함한다.
광원(LS)은 복수의 광원 유닛들(LSU) 및 광원 유닛들(LSU)이 실장된 광원 기판들(LSS)을 포함한다. 광원 기판들(LSS)은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고, 제1 방향(DR1)을 따라 배열된다. 광원 기판들(LSS) 각각에 실장된 광원 유닛들(LSU)은 제2 방향(DR2)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반사 시트(600-8)는 광원(LS)의 상부에 배치된다. 반사 시트(600-8)에 복수의 홀들(H)이 형성될 수 있다. 광원 기판들(LSS)에 실장된 광원 유닛들(LSU)은 각각 대응하는 반사 시트(600-8)의 홀들(H)에 삽입될 수 있다.
광학 시트들(500-8)은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광학 시트들(500-7)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광학 시트들(500-8)이 몰드 프레임의 바닥 몰드(710)의 형상에 의해 몰드 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 및 광학 시트들의 사시도이다. 도 25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은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광판(400-9)은 도광부(410-9) 및 조립부(420-9)를 포함한다. 도광부(410-9)는 전술된 도광부(410)과 구성 및 역할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조립부(420-9)는 제1 조립체(421) 및 제2 조립체(422)를 포함한다. 제1 조립체(421)는 제1 방향(DR1)에서 도광부(410-9)의 일측에 배치된다. 제1 조립체(421)의 제3 방향(DR3)에서의 두께는 도광부(410-9)의 제3 방향(DR3)에서의 두께와 동일하다. 제1 조립체(421)의 하면은 도광부(410-9)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립체(422)는 제1 조립체(421)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 방향(DR2)에서 제2 조립체(422)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조립체(421)의 길이보다 짧다. 제2 조립체(422)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조립체(421)의 일측에 편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립체(422)에 의하여 제1 조립체(421)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노출된 제1 조립체(421)의 하면의 일부는 제5 지지면(S5)으로 정의된다. 제5 지지면(S5)은 제1 조립체(421)의 하면 상에서 제2 방향(DR2)의 타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5 지지면(S5)은 제1 조립체(421)의 하면 전체 넓이의 1/2일 수 있다. 즉, 제2 방향(DR2)에서 제2 조립체(422)의 길이는 제2 방향(DR2)에서 제1 조립체(421)의 의 1/2일 수 있다.
제1 광학 시트(510)는 도광판(400-9)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1 광학 시트(510)의 제1 바디부(511)는 도광부(410-9)의 하면을 커버하고, 제1 날개부(512)는 제5 지지면(S5)을 커버할 수 있다.
제5 지지면(S5)및 제2 조립체(422)의 하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단차의 높이는 제1 광학 시트(510)의 두께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광학 시트(510)의 하면은 제2 조립체(422)의 하면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광학 시트(520)는 제1 광학 시트(5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 광학 시트(520)의 제2 바디부(521)는 제1 바디부(511)의 하면을 커버하고, 제2 날개부(522)은 제1 날개부(512)의 하면 및 제2 조립체(422)의 하면을 커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광학 시트(510) 및 제2 광학 시트(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반사 시트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광학 시트(510) 및 제2 광학 시트(5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반사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광학 시트들(500-9)의 유동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시트들(500-9)의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표시 장치 100: 윈도우 부재
200: 편광층 300: 표시 패널
310: 표시 기판 320: 대향 기판
400: 도광판 410: 도광부
420: 조립부 421: 제1 조립체
422: 제2 조립체 423: 제3 조립체
500: 광학 시트 510: 제1 광학 시트
511: 제1 바디부 512: 제1 날개부
520: 제2 광학 시트 521: 제2 바디부
522: 제2 날개부 530: 제3 광학 시트
531: 제3 바디부 532: 제3 날개부
600: 반사 시트 700: 몰드 프레임
710: 바닥 몰드 720: 측벽 몰드
711: 제1 바닥 몰드 712: 제2 바닥 몰드
713: 제3 바닥 몰드 800: 수납 부재
810: 바닥부 820: 측벽부
A: 차광 부재 DA: 표시 영역
NDA: 비표시 영역 TA: 투광 영역
CA: 차광 영역 AD: 접착 부재
LS: 광원 LSU: 광원 유닛
LSS: 광원 기판

Claims (25)

  1. 광을 생성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제공된 광을 수신하고,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 상에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으로 구분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광학 시트 및 제2 광학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 각각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바디부;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바디부의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와 중첩하는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길이는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와 전면적으로 중첩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는 상기 제2 광학 시트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도광부;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도광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도광부의 상기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1 조립체;
    상기 제1 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조립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상기 제1 조립체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조립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바디부의 하면과 접촉하는 출광면;
    상기 출광면과 대향하는 바닥면; 및
    상기 출광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복수의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들은,
    상기 광원과 마주하여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광을 수신하는 입광면;
    상기 입광면과 대향하는 대광면; 및
    상기 입광면과 상기 출광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립체는 상기 대광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제3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제2 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2 조립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3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조립체에 의하여 상기 제2 조립체의 상면의 일부가 노출되는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체의 상기 상면의 상기 일부는 제1 지지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지지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2 조립체의 상기 상면의 상기 일부는 제2 지지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2 지지면 및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제3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3 조립체의 상면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립체의 상기 상면은 상기 도광부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을 정의하는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조립체에 상기 제1 광학 시트를 고정하는 제1 접착 부재;
    상기 제2 지지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조립체에 상기 제2 광학 시트를 고정하는 제2 접착 부재; 및
    상기 제3 조립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조립체에 상기 제3 광학 시트를 고정하는 제3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은 상기 도광부의 상기 상면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과 단차를 갖고,
    상기 단차는 상기 제1 접착 부재의 두께와 동일한 표시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도광부;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도광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의 상면은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경사진 표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진 상기 조립부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4 접착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접착 부재는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하면을 상기 경사진 상기 조립부의 상면에 고정하는 표시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를 상기 도광판과 결합하는 접착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도광부;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도광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구조체는,
    상기 조립부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기저체;
    상기 제1 기저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기저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상기 제1 기저체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기저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하고, 프레임 형상을 갖는 제1 바닥 몰드;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일측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상기 일측의 상기 제2 방향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바닥 몰드; 및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외측으부터 절곡되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측면들을 감싸는 측벽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닥 몰드에 의하여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상면의 일부가 노출되는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는 상기 제2 광학 시트보다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하면은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상기 상면의 상기 일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상면 및 상기 제2 바닥 몰드의 상면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는 상기 제2 광학 시트보다 상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비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프레임 형상을 갖는 몰드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정의되는 평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바닥 몰드;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일측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상기 일측의 상기 제2 방향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바닥 몰드; 및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외측으부터 절곡되어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측면들을 감싸는 측벽 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바닥 몰드에 의하여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하면의 일부가 노출되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상면은 상기 제1 바닥 몰드의 상기 하면의 상기 일부와 접촉하고,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는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하면 및 상기 제2 바닥 몰드의 하면과 접촉하는 표시 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는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배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도광부; 및
    상기 제1 방향에서 상기 도광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조립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도광부의 상기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1 조립체;
    상기 제1 조립체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조립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상기 제1 조립체의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조립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반사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 하부에 배치되는 제4 광학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광학 시트는,
    상기 바디부들과 중첩하는 제4 바디부; 및
    상기 날개부들과 중첩하는 제4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날개부는,
    상기 제4 바디부의 일측면과 연결되는 제1 기저체;
    상기 제1 기저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방향에서 상기 제1 기저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져, 상기 제1 기저체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제2 기저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제4 광학 시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광원 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광원 유닛들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의하여 정의되는 평면 상에서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는 표시 장치.
  23. 광을 생성하는 광원;
    평면 상에서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이 정의되고,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제2 광학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 및 상기 제2 광학 시트 각각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외측들 중 2개 이상의 외측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부와 중첩하는 복수의 날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들 각각이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부분의 길이는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들 각각이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바디부에 연결된 부분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들 각각은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들 각각과 전면적으로 중첩하는 표시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학 시트 하부에 배치되는 도광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도광부; 및
    상기 도광부의 외측면들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측면들과 연결되는 복수의 조립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들 각각은,
    상기 도광부의 상기 측면들 각각과 연결되는 제1 조립체;
    상기 제1 조립체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도광부의 상기 측면들과 연결된 상기 제1 조립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를 갖는 제2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립체들에 의하여 상기 제1 조립체들 각각의 상면의 일부가 노출되고,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들 각각의 하면이 상기 제1 조립체의 상기 상면의 상기 일부와 접촉되고, 상기 제2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들 각각의 하면이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날개부의 상면 및 상기 제2 조립체의 상면을 커버하는 표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1 광학 시트의 상기 바디부의 하면과 접촉하는 출광면;
    상기 출광면과 대향하는 바닥면; 및
    상기 출광면과 상기 바닥면을 연결하는 상기 복수의 측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들은,
    상기 광원이 배치되는 입광면;
    상기 입광면과 대향하는 대광면; 및
    상기 입광면과 상기 출광면을 연결하는 제1 측면 및 제2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립체들 각각은 상기 대광면, 상기 제1 측면 및 상기 제2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표시 장치.
KR1020160136012A 2016-10-19 2016-10-19 표시 장치 KR102024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012A KR102024862B1 (ko) 2016-10-19 2016-10-19 표시 장치
US15/657,482 US10712493B2 (en) 2016-10-19 2017-07-24 Display apparatus
CN201710968836.4A CN107966850A (zh) 2016-10-19 2017-10-18 显示装置
EP17197255.7A EP3324110A1 (en) 2016-10-19 2017-10-19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012A KR102024862B1 (ko) 2016-10-19 2016-10-19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452A true KR20180043452A (ko) 2018-04-30
KR102024862B1 KR102024862B1 (ko) 2019-09-25

Family

ID=60143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012A KR102024862B1 (ko) 2016-10-19 2016-10-1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12493B2 (ko)
EP (1) EP3324110A1 (ko)
KR (1) KR102024862B1 (ko)
CN (1) CN10796685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835A (ko) * 2017-12-06 2019-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1312A1 (zh) * 2017-05-03 2018-11-08 瑞仪光电(苏州)有限公司 背光模块及显示设备
JP7050641B2 (ja) * 2018-09-28 2022-04-08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7791A1 (en) * 2003-06-18 2004-12-23 Shih-Hsien Chen Thin backlight module
KR20060080546A (ko) * 2005-01-05 2006-07-10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백라이트 유닛 및 그것을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1186179A (ja) * 2010-03-09 2011-09-22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20120019139A (ko) * 2010-08-25 2012-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50062796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9747B1 (ko) 1996-08-23 2000-01-15 윤종용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장치
KR100783609B1 (ko) * 2001-07-10 200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0813473B1 (ko) * 2002-05-25 2008-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050049196A (ko) 2003-11-21 2005-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TWI320120B (en) * 2005-09-26 2010-02-01 Backlight module and diffusion module and diffuser thereof
JP2007163556A (ja) 2005-12-09 2007-06-28 Hitachi Displays Ltd 液晶表示装置
KR101255545B1 (ko) * 2006-01-24 2013-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램프 지지 유닛과 이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액정 표시 장치
US7393129B2 (en) 2006-03-29 2008-07-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TWI345660B (en) 2006-10-16 2011-07-21 Chimei Innolux Corp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same
KR100879852B1 (ko) 2007-01-17 2009-01-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액정 표시장치
KR20110097086A (ko) * 2010-02-24 2011-08-3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719693B1 (ko) * 2010-05-11 2017-03-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6011243A (zh) * 2011-11-10 2016-10-12 霍夫曼-拉罗奇有限公司 用于治疗、诊断和监测阿尔茨海默病的方法
KR20140018607A (ko) * 2012-08-02 2014-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별도 광원을 사용하는 표시 장치
JP5532104B2 (ja) 2012-10-18 2014-06-25 オムロ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液晶表示装置及びモバイル機器
CN203082680U (zh) * 2012-11-30 2013-07-2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模组及使用该背光模组的显示装置
CN203275838U (zh) * 2013-05-31 2013-11-06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光学膜及背光源
KR20150064559A (ko) * 2013-12-03 2015-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03595046U (zh) * 2013-12-04 2014-05-14 合肥福映光电有限公司 用于背光模组的光学膜片
CN203705675U (zh) * 2014-01-17 2014-07-09 苏州三星显示有限公司 光学膜片层叠组件、背光模组及液晶显示器
TWI522694B (zh) * 2014-01-29 2016-02-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背光模組及包含其之顯示器
EP2913708A1 (en) * 2014-02-28 2015-09-02 Funai Electric Co., Ltd. Display device
CN104089216B (zh) * 2014-06-05 2017-0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背光源和显示装置
JP6190790B2 (ja) * 2014-10-15 2017-08-30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面状照明装置
KR102232783B1 (ko) 2014-10-16 2021-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CN204065622U (zh) * 2014-10-16 2014-12-31 信利半导体有限公司 背光源
KR20160100006A (ko) * 2015-02-13 2016-08-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용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N205301764U (zh) * 2016-01-11 2016-06-08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背光源模组及显示装置
US10459155B2 (en) * 2016-06-28 2019-10-29 Radiant Opto-Electronics (Suzhou) Co., Ltd.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57791A1 (en) * 2003-06-18 2004-12-23 Shih-Hsien Chen Thin backlight module
KR20060080546A (ko) * 2005-01-05 2006-07-10 엔이씨 엘씨디 테크놀로지스, 엘티디. 백라이트 유닛 및 그것을 이용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1186179A (ja) * 2010-03-09 2011-09-22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KR20120019139A (ko) * 2010-08-25 2012-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50062796A (ko) * 2013-11-29 2015-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6835A (ko) * 2017-12-06 2019-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66850A (zh) 2018-04-27
US20180106960A1 (en) 2018-04-19
KR102024862B1 (ko) 2019-09-25
EP3324110A1 (en) 2018-05-23
US10712493B2 (en) 2020-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6576B2 (en) Touch panel,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ouch panel-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621535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5909920B2 (ja) 照明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134048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fingerprint module
CN112485947B (zh) 显示模组及显示装置
US20090267889A1 (en) Display device
KR20160119382A (ko) 표시 장치
KR20170115223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9086761B2 (en) Display apparatus
US8432378B2 (en) Touch panel display with light source modules and camera for touch point detection
JP2017003972A (ja) 曲面型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90204684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9823509B2 (en) Display device
KR20150068135A (ko) 표시 장치
CN112771416A (zh) 电子设备
KR20180043452A (ko) 표시 장치
KR20180042505A (ko) 백라이트 유닛
US10754082B2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70080924A (ko) 표시 장치
JP2017157467A (ja) 面光源装置、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70034040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09026713A (ja)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2490010B1 (ko) 표시 장치
KR20160141110A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20190120850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