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3086A - 스마트 테이블 - Google Patents

스마트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3086A
KR20180043086A KR1020160135956A KR20160135956A KR20180043086A KR 20180043086 A KR20180043086 A KR 20180043086A KR 1020160135956 A KR1020160135956 A KR 1020160135956A KR 20160135956 A KR20160135956 A KR 20160135956A KR 20180043086 A KR20180043086 A KR 201800430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ound
control module
sensor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1924B1 (ko
Inventor
전병훈
이건호
유창현
이웅건
정승일
정광영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5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924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0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0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12Furni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using reflection of acoustic waves
    • G01S15/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he target
    • G01S15/58Velocity or trajectory determination systems; 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systems
    • G01S15/62Sense-of-movement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02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 G01S17/50Systems of measurement based on relative movement of targ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1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스마트 테이블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은, 스마트 테이블로서, 상기 스마트 테이블에 구비되어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마트 테이블의 적어도 일 지점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동작(motion)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 감지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사운드의 음량 및 음역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테이블{SMART TABLE}
본 실시예들은 스피커가 내장된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테이블은 식사, 공부, 회의 등을 위해 사용되는 가구로서, 사용자들은 테이블에 앉아 음악을 감상하면서 식사를 하거나 녹음 파일 또는 집중력 향상을 위한 사운드를 들으면서 공부를 할 수 있으며, 또한 동영상을 청취하면서 회의에 참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스피커를 테이블 주변에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 등을 제어하기 위해 스피커 또는 리모컨에 마련된 버튼을 클릭하여야 하였으며, 이 경우 버튼 클릭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고 사용자의 작업(예를 들어, 공부, 회의 등) 효율 및 집중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1104호(2013.10.1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운드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사운드의 음량, 음역대 등을 간편하게 제어 가능한 스마트 테이블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 테이블로서, 상기 스마트 테이블에 구비되어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마트 테이블의 적어도 일 지점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동작(motion)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 감지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사운드의 음량 및 음역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테이블이 제공된다.
상기 스마트 테이블은,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센서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동작 감지 센서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터치 센서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재감지함에 따라 상기 동작 감지 센서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동작 감지 센서가 상기 잠금 상태인지 또는 상기 잠금 해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테이블은, 상기 사운드의 음량 또는 음역대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거나 상기 빛의 밝기를 달리하는 조명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 및 복수의 초음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적외선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사운드의 음량을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초음파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사운드의 음역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각 초음파 센서에서 감지된 입력값을 상호 비교하여 복수의 음역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사운드의 음역대를 선택된 상기 음역대로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초음파 센서 각각은, 각 초음파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이 상호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리거 핀(trigger pin)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마트 테이블에 스피커 및 동작 감지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동작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스피커의 동작을 간편하게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예를 들어, 공부, 회의 등) 효율 및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터치 센서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함에 따라 동작 감지 센서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함으로써, 동작 감지 센서에서 불필요한 동작까지 감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 또는 음역대에 따라 조명 모듈에서 발광하는 빛의 색깔 또는 밝기를 달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사운드에 관한 정보(음량, 음역대 등)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저음, 중음, 고음의 3가지 음역대만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각 초음파 센서에서 감지된 입력값을 상호 비교하여 복수의 음역대(필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요구 및 취향에 따른 다양한 음역대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 초음파 센서에서 트리거 핀을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각 초음파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들 간의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의 외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도 3의 음량 제어에 따라 조명 모듈에서 출력되는 빛의 밝기 및 색깔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소거 여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역대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100)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100)의 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100)은 스피커가 내장된 테이블로서, 일반적인 테이블과 마찬가지로 원형 또는 사각형의 판과 이를 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테이블(100)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102), 하나 이상의 동작 감지 센서(104, 106), 제어 모듈(108), 터치 센서(110), 조명 모듈(112), 전원부(114), 확장 콘센트(116) 및 지지 받침대(118)를 포함한다.
스피커(102)는 사운드를 출력하는 기기로서, 스마트 테이블(100)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스피커(102)는 예를 들어, 제1 스피커(102a) 및 제2 스피커(102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스피커(102a)는 스마트 테이블(100)의 좌측에 구비되고 제2 스피커(102b)는 스마트 테이블(100)의 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스피커(102)의 개수 및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서는 스피커(102)가 스마트 테이블(100)에 내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피커(102)는 스마트 테이블(100)의 외면에 안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스피커(102)는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미도시, 예를 들어 스마트폰, MP3 등), 오디오 기기(미도시, 예를 들어, 텔레비전, 라디오 등) 등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사운드 또는 오디오 기기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피커(102)는 유선 통신을 위한 커넥터(미도시),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모듈(미도시), 와이파이 모듈(미도시)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스피커(102)는 사용자가 별도의 버튼을 누름에 따라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동작(motion)에 따라 간편하게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작업(예를 들어, 공부, 회의 등) 효율 및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동작 감지 센서(104, 106)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스마트 테이블(100)의 적어도 일 지점에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동작 감지 센서(104, 106)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 및 복수의 초음파 센서(10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센서(104)는 제1 적외선 센서(104a) 및 제2 적외선 센서(104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적외선 센서(104a) 및 제2 적외선 센서(104b)는 스마트 테이블(10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센서(106)는 제1 초음파 센서(106a), 제2 초음파 센서(106b) 및 제3 초음파 센서(106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초음파 센서(106a), 제2 초음파 센서(106b) 및 제3 초음파 센서(106c)는 스마트 테이블(100)의 외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적외선 센서(104) 및 초음파 센서(106)의 개수 및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적외선 센서(104) 및 초음파 센서(106)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 모듈(108)은 상기 적외선 센서(104) 및 초음파 센서(106)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 음역대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동작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을 위 방향으로 올리는 동작, 사용자가 손을 아래 방향으로 내리는 동작, 사용자가 손을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 사용자가 손을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 등이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사용자의 동작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적외선 센서(104a, 104b)는 설정된 거리 이내의 대상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의 유무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으며, 각 초음파 센서(106a, 106b, 106c)는 대상체의 유무 및 대상체가 해당 초음파 센서(106a, 106b, 106c)로부터 얼마만큼 떨어져 있는지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104a, 104b)는 사운드의 음량 제어, 음소거 제어, 후술할 조명 모듈(112)에서 발광되는 빛의 선택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초음파 센서(106a, 106b, 106c)는 대상체까지의 거리 측정이 가능하므로 각 초음파 센서(106a, 106b, 106c)와 대상체까지의 상대적인 거리를 이용하여 사운드의 음역대 제어(즉, 이퀄라이저 기능)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센서(106a, 106b, 106c) 각각은 초음파 센서(106a, 106b, 106c)에서 출력되는 신호들 간의 중첩(또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트리거 핀(미도시, trigger pin)을 통해 사용자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초음파 센서(106a, 106b, 106c)는 대상체로 초음파를 송신하고 상기 대상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에코 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에코 신호를 수신하기까지 걸린 시간을 토대로 초음파 센서(106a, 106b, 106c)와 대상체 간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에서는 복수의 초음파 센서(106a, 106b, 106c)를 사용하므로 각 초음파 센서(106a, 106b, 106c)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즉, 초음파들)이 상호 중첩되어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초음파 센서(106a, 106b, 106c) 각각이 순차적으로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초음파 센서(106a, 106b, 106c)는 상호 통신함으로써 소정 시간 대기한 후 순차적으로 신호 송신 및 수신을 번갈아가며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초음파 센서(106a, 106b, 106c)에서 출력되는 신호들간 중첩 및 간섭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동작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순차적 신호 송수신 과정은 예를 들어, 초당 10번씩 반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동작 감지의 정확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제어 모듈(108)은 동작 감지 센서(104, 106)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 및 음역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 감지 센서(104, 106)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 및 복수의 초음파 센서(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108)은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을 제어하며, 복수의 초음파 센서(106)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역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모듈(108)은 이와 같은 사운드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 Micro Controller Unit) 또는 오디오 해커 킷(Audio Hacker Kit)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MCU 또는 오디오 해커 킷은 신호의 증폭, 변환 등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구비할 수 있다. 제어 모듈(108)은 스피커(102), 동작 감지 센서(104, 106), 터치 센서(110), 조명 모듈(112) 등과 연결되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운드의 음량 제어(음소거 제어), 음역대 제어, 음질 변환(예를 들어, 24비트의 음질을 8비트로 압축), 녹음, 구간 반복 재생, 곡 선택/곡 넘김/곡 되돌리기, 각 나라의 언어별 음성 안내, 조명 모듈(112)의 발광 제어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모듈(108)은 적외선 센서(104) 또는 초음파 센서(106)에서 감지된 동작에 관한 입력값을 상기 적외선 센서(104) 또는 초음파 센서(106)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입력값을 상기 입력값에 대응되는 코드값으로 변환한 후 스피커(102)에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102)는 제어 모듈(108)로부터 상기 코드값을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 음역대 등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적외선 센서(104)에서 감지된 동작이 “사용자가 손을 위 방향으로 올리는 동작”인 경우, 제어 모듈(108)은 “사용자가 손을 위 방향으로 올리는 동작”에 관한 입력값을 적외선 센서(104)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입력값을 상기 입력값에 대응되는 코드값(예를 들어, 010100)으로 변환한 후 스피커(102)에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102)는 제어 모듈(108)로부터 수신된 코드값에 따라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초음파 센서(106)에서 감지된 동작이 “사용자가 손을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인 경우, 제어 모듈(108)은 “사용자가 손을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관한 입력값을 초음파 센서(106)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입력값을 상기 입력값에 대응되는 음역대의 코드값(예를 들어, 100110)으로 변환한 후 스피커(102)에 전달할 수 있다. 스피커(102)는 제어 모듈(108)로부터 수신된 코드값에 따라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역대를 미리 설정된 저음 음역대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08)은 각 초음파 센서(106a, 106b, 106c)에서 감지된 입력값을 상호 비교하여 복수의 음역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제1 초음파 센서(106a)가 저음에 대응되고 제2 초음파 센서(106b)가 중음에 대응되고 제3 초음파 센서(106c)가 고음에 대응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제1 초음파 센서(106a)에서 감지된 입력값이 설정된 유효값(예를 들어, 30cm 이내에서 대상체 감지시 측정되는 입력값)보다 작을 때 제2 초음파 센서(106b) 및 제3 초음파 센서(106c)는 사용자의 손과 같은 대상체가 감지된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초음파 센서(106a)에서 감지된 입력값이 설정된 유효값보다 작은 경우 제2 초음파 센서(106b)에서 상기 유효값보다 작은 입력값을 입력을 기다리며, 제2 초음파 센서(106b)에서 감지된 입력값이 설정된 유효값보다 작은 경우 제3 초음파 센서(106c)에서 상기 유효값보다 작은 입력값을 입력을 기다릴 수 있다. 제3 초음파 센서(106c)에서 감지된 입력값이 설정된 유효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 모듈(108)은 음역대(필터) 선택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08)은 제1 초음파 센서(106a), 제2 초음파 센서(106b) 및 제3 초음파 센서(106c)에서 감지된 입력값 각각을 상호 비교하고, 각 입력값들 간의 상대적인 차이를 기반으로 입력값 각각을 “높음” 또는 “낮음”으로 분류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역대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동작 제1 초음파
센서에서 감지된
입력값
제2 초음파
센서에서 감지된
입력값
제3 초음파
센서에서 감지된
입력값
음역대
(필터)
높음 낮음 낮음
낮음 높음 낮음
낮음 낮음 높음
높음 높음 낮음
높음 낮음 높음
낮음 높음 높음
예를 들어, 제1 초음파 센서(106a)에서 감지된 입력값이 낮고 제2 초음파 센서(106b) 및 제3 초음파 센서(106c)에서 감지된 입력값이 높은 경우, 제어 모듈(108)은 사운드의 중음 및 고음을 증가시키고 저음을 감소시키는 필터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사운드의 음역대를 표 1의 ⑥ 음역대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제어 모듈(108)은 조명 모듈(112)에서 발광하는 빛의 색깔이 선택된 상기 음역대에 대응되는 색으로 전환되도록 조명 모듈(112)을 제어할 수 있다. 위 예시에서, 조명 모듈(112)은 “초록색(중음) + 파랑색(고음) = 청록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사용자의 동작 및 음역대의 개수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사용자의 동작 및 음역대의 개수는 초음파 센서(106)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더 늘릴 수 있다.
종래에는 미리 정해진 3가지의 필터(High Pass Filter, Band Pass Filter, Low Pass Filter) 중 어느 하나를 수동적으로 선택할 수 밖에 없어 사용자가 원하는 분위기의 사운드가 출력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High Pass Filter의 경우 높은 음역대의 악기 소리가 부각되어 들리지만 드럼, 베이스와 같은 낮은 소리는 거의 들리지 않게 되며, Low Pass Filter의 경우 드럼, 베이스 소리만 부각되어 보컬 혹은 높은 음역대의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저음, 중음, 고음의 3가지 음역대만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각 초음파 센서(106)에서 감지된 입력값을 상호 비교하여 복수의 음역대(필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사용자의 요구 및 취향에 따른 다양한 음역대의 선택이 가능해진다.
터치 센서(110)는 동작 감지 센서(104, 106)를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데 사용되는 센서로서, 스마트 테이블(10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08)은 터치 센서(110)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함에 따라 동작 감지 센서(104, 106)를 잠금 상태 또는 홀드 상태(즉, 동작 감지 센서(104, 106)에서 사용자의 동작 인식이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08)은 터치 센서(110)에서 사용자의 터치를 재감지함에 따라 동작 감지 센서(104, 106)를 잠금 해제 상태(즉, 동작 감지 센서(104, 106)에서 사용자의 동작 인식이 가능한 상태)로 다시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110)는 LED(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동작 감지 센서(104, 106)가 잠금 상태인지 또는 잠금 해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LED를 통해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 센서(110)를 터치함에 따라 동작 감지 센서(104, 106)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터치 센서(110)는 상기 LED를 통해 빨간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 센서(110)를 다시 터치함에 따라 동작 감지 센서(104, 106)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터치 센서(110)는 상기 LED를 통해 초록색의 빛을 발광(또는 빛을 차단)할 수 있다.
조명 모듈(112)은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 또는 음역대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거나 상기 빛의 밝기를 달리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 모듈(112)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마트 테이블(10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조명 모듈(112)의 형상 및 배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시로서, 조명 모듈(112)은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거나 상기 빛의 밝기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08)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이 증가하는 경우, 제어 모듈(108)은 조명 모듈(112)에서 발광되는 빛의 밝기가 증가하도록 조명 모듈(112)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조명 모듈(112)은 제어 모듈(108)로부터 상기 사운드의 음량에 관한 코드값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값에 따라 상기 빛의 색깔 또는 밝기를 달리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조명 모듈(112)은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역대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거나 상기 빛의 밝기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08)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역대가 상술한 표 1의 ⑥ 음역대로 변환되는 경우, 제어 모듈(108)은 조명 모듈(112)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깔이 청록색으로 전환되도록 조명 모듈(112)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조명 모듈(112)은 제어 모듈(108)로부터 상기 사운드의 음역대에 관한 코드값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코드값에 따라 상기 빛의 색깔 또는 밝기를 달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 또는 음역대에 따라 조명 모듈(112)에서 발광하는 빛의 색깔 또는 밝기를 달리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사운드에 관한 정보(음량, 음역대 등)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원부(114)는 스피커(102), 동작 감지 센서(104, 106), 제어 모듈(108), 터치 센서(110), 조명 모듈(112) 등에 전원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스피커(102), 동작 감지 센서(104, 106), 제어 모듈(108), 터치 센서(110), 조명 모듈(112) 등은 전원부(114)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할 수 있다. 전원부(114)는 콘센트 또는 확장 콘센트(116)에 연결될 수 있다.
확장 콘센트(116)는 전원 공급을 위한 부품으로서, 전원부(114)에 연결될 수 있다. 확장 콘센트(116)는 멀티 충전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며, 복수의 USB 단자(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확장 콘센트(116)는 스마트 콘센트(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콘센트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 받침대(118)는 스마트 테이블(100)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로서, 스마트 테이블(100)의 내면에 소정 간격을 두고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지지 받침대(118)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지지 받침대(118)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10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방법들은 예를 들어, 전술한 스마트 테이블(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제1 적외선 센서(104a)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S304 단계에서, 제2 적외선 센서(104b)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S306 단계에서, 제1 적외선 센서(104a) 및 제2 적외선 센서(104b)는 상호 통신함으로써 S302 단계와 S304 단계 사이의 소요 시간(즉, 제1 적외선 센서(104a)에서 동작을 감지한 시간과 제2 적외선 센서(104b)에서 동작을 감지한 시간 사이의 차)이 설정된 값(예를 들어, 1.5초)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S306 단계의 판단 결과, S302 단계와 S304 단계 사이의 소요 시간이 설정된 값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S308 단계에서, 제1 적외선 센서(104a) 및 제2 적외선 센서(104b)는 해당 센서에서 감지된 동작에 관한 입력값을 제어 모듈(108)에 전달한다.
만약, S306 단계의 판단 결과, S302 단계와 S304 단계 사이의 소요 시간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적외선 센서(104a) 및 제2 적외선 센서(104b)는 해당 센서에서 감지된 동작에 관한 입력값을 제어 모듈(108)에 전달하지 않으며, S302 단계 및 S304 단계가 반복 수행된다. S302 단계와 S304 단계 사이의 소요 시간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적외선 센서(104a) 및 제2 적외선 센서(104b)에서 감지된 동작은 사용자의 동작(예를 들어, 손동작)이 아닌 일시적인 장애물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동작이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5초)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을 가정하여 S302 단계 및 S304 단계가 상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행되는 경우에만 제어 모듈(108)이 동작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제어 모듈(108)은 상기 입력값을 이용하여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08)은 상기 입력값을 상기 입력값에 대응되는 코드값으로 변환한 후 스피커(102)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사운드의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음량 제어에 따라 조명 모듈(112)에서 출력되는 빛의 밝기 및 색깔을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402 단계에서,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a, 104b)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동시에 감지한다.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a, 104b)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동시에 감지하는 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으로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a, 104b)를 모두 가린 경우일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조명 모듈(112)은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a, 104b)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동시에 감지함에 따라 미리 저장된 백색의 빛을 발광한다.
S406 단계에서, 제1 적외선 센서(104a)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S408 단계에서, 제2 적외선 센서(104b)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S410 단계에서, 제1 적외선 센서(104a) 및 제2 적외선 센서(104b)는 상호 통신함으로써 S406 단계와 S408 단계 사이의 소요 시간(즉, 제1 적외선 센서(104a)에서 동작을 감지한 시간과 제2 적외선 센서(104b)에서 동작을 감지한 시간 사이의 차)이 설정된 값(예를 들어, 1.5초)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S410 단계의 판단 결과, S406 단계와 S408 단계 사이의 소요 시간이 설정된 값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S412 단계에서, 제1 적외선 센서(104a) 및 제2 적외선 센서(104b)는 해당 센서에서 감지된 동작에 관한 입력값을 제어 모듈(108)에 전달한다.
만약, S410 단계의 판단 결과, S406 단계와 S408 단계 사이의 소요 시간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적외선 센서(104a) 및 제2 적외선 센서(104b)는 해당 센서에서 감지된 동작에 관한 입력값을 제어 모듈(108)에 전달하지 않으며, S404 단계 내지 S408 단계가 반복 수행된다.
S414 단계에서, 제어 모듈(108)은 상기 입력값을 이용하여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08)은 상기 입력값을 상기 입력값에 대응되는 코드값으로 변환한 후 스피커(102)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사운드의 음량을 제어할 수 있다.
S416 단계에서, 제어 모듈(108)은 상기 입력값 및 이에 따른 음량에 따라 조명 모듈(112)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08)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이 증가하는 경우, 제어 모듈(108)은 조명 모듈(112)에서 발광되는 빛의 밝기가 증가하도록 조명 모듈(112)을 제어할 수 있다.
S418 단계에서,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a, 104b)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동시에 감지한다.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a, 104b)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동시에 감지하는 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으로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a, 104b)를 모두 가린 경우일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조명 모듈(112)은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a, 104b)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동시에 감지함에 따라 미리 저장된 색깔의 빛을 발광한다. 상기 저장된 색깔은 S404 단계에서의 색깔과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명 모듈(112)은 S404 단계에서와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10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소거 여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502 단계에서,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a, 104b)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동시에 감지한다.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a, 104b)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동시에 감지하는 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으로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a, 104b)를 모두 가린 경우일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제1 적외선 센서(104a) 및 제2 적외선 센서(104b)는 해당 센서에서 감지된 동작에 관한 입력값을 제어 모듈(108)에 전달한다.
S506 단계에서, 제어 모듈(108)은 상기 입력값에 따라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이 0이 되도록 스피커(102)를 오프시키고 조명 모듈(112)에서 출력되는 빛이 차단되도록 조명 모듈(112)을 오프시킨다.
S508 단계에서,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a, 104b)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동시에 감지한다.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a, 104b)에서 사용자의 동작을 동시에 감지하는 것은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손으로 복수의 적외선 센서(104a, 104b)를 모두 가린 경우일 수 있다.
S510 단계에서, 제1 적외선 센서(104a) 및 제2 적외선 센서(104b)는 해당 센서에서 감지된 동작에 관한 입력값을 제어 모듈(108)에 전달한다.
S512 단계에서, 제어 모듈(108)은 상기 입력값에 따라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량이 복원되도록 스피커(102)를 온시키고 조명 모듈(112)에서 출력되는 빛이 복원되도록 조명 모듈(112)을 온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테이블(10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역대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S602 단계에서, 제1 초음파 센서(106a)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S604 단계에서, 제2 초음파 센서(106b)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S606 단계에서, 제3 초음파 센서(106c)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한다.
S608 단계에서, 제1 초음파 센서(106a), 제2 초음파 센서(106b) 및 제3 초음파 센서(106c)는 상호 통신함으로써 S602 단계 내지 S606 단계의 소요 시간이 설정된 값(예를 들어, 1.5초)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S608 단계의 판단 결과, S602 단계 내지 S606 단계의 소요 시간이 설정된 값 이내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S610 단계에서, 제1 초음파 센서(106a), 제2 초음파 센서(106b) 및 제3 초음파 센서(106c)는 해당 센서에서 감지된 동작에 관한 입력값을 제어 모듈(108)에 전달한다.
만약, S608 단계의 판단 결과, S602 단계 내지 S606 단계의 소요 시간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초음파 센서(106a), 제2 초음파 센서(106b) 및 제3 초음파 센서(106c)는 해당 센서에서 감지된 동작에 관한 입력값을 제어 모듈(108)에 전달하지 않으며, S602 단계 내지 S606 단계가 반복 수행된다. S602 단계 내지 S606 단계의 소요 시간이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초음파 센서(106a), 제2 초음파 센서(106b) 및 제3 초음파 센서(106c)에서 감지된 동작은 사용자의 동작(예를 들어, 손동작)이 아닌 일시적인 장애물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의 동작이 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1.5초) 이내에 이루어지는 것을 가정하여 S602 단계 내지 S606 단계가 상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행되는 경우에만 제어 모듈(108)이 동작할 수 있다.
S612 단계에서, 제어 모듈(108)은 상기 입력값을 이용하여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역대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모듈(108)은 상기 입력값을 상기 입력값에 대응되는 음역대의 코드값으로 변환한 후 스피커(102)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사운드의 음역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08)은 제1 초음파 센서(106a), 제2 초음파 센서(106b) 및 제3 초음파 센서(106c)에서 감지된 입력값 각각을 상호 비교하고, 각 입력값들 간의 상대적인 차이를 기반으로 입력값 각각을 “높음” 또는 “낮음”으로 분류함으로써 사용자의 동작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되는 음역대를 선택할 수 있다.
S614 단계에서, 제어 모듈(108)은 상기 입력값 및 이에 따른 음역대에 따라 조명 모듈(112)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 모듈(108)의 제어에 따라 스피커(10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의 음역대가 상술한 표 1의 ⑥ 음역대로 변환되는 경우, 제어 모듈(108)은 조명 모듈(112)에서 발광되는 빛의 색깔을 청록색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스마트 테이블
102a : 제1 스피커
102b : 제 2 스피커
104a : 제1 적외선 센서
104b : 제2 적외선 센서
106a : 제1 초음파 센서
106b : 제2 초음파 센서
106c : 제3 초음파 센서
108 : 제어 모듈
110 : 터치 센서
112 : 조명 모듈
114 : 전원부
116 : 확장 콘센트
118 : 지지 받침대

Claims (8)

  1. 스마트 테이블로서,
    상기 스마트 테이블에 구비되어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피커;
    상기 스마트 테이블의 적어도 일 지점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동작(motion)을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 감지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사운드의 음량 및 음역대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테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센서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함에 따라 상기 동작 감지 센서를 잠금 상태로 전환시키고 상기 터치 센서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를 재감지함에 따라 상기 동작 감지 센서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시키는, 스마트 테이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동작 감지 센서가 상기 잠금 상태인지 또는 상기 잠금 해제 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는, 스마트 테이블.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의 음량 또는 음역대에 따라 서로 다른 색깔의 빛을 발광하거나 상기 빛의 밝기를 달리하는 조명 모듈을 더 포함하는, 스마트 테이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작 감지 센서는, 복수의 적외선 센서 및 복수의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테이블.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복수의 적외선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사운드의 음량을 제어하며, 상기 복수의 초음파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상기 사운드의 음역대를 제어하는, 스마트 테이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각 초음파 센서에서 감지된 입력값을 상호 비교하여 복수의 음역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사운드의 음역대를 선택된 상기 음역대로 제어하는, 스마트 테이블.
  8.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의 초음파 센서 각각은, 각 초음파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들이 상호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리거 핀(trigger pin)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는, 스마트 테이블.
KR1020160135956A 2016-10-19 2016-10-19 스마트 테이블 KR101871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956A KR101871924B1 (ko) 2016-10-19 2016-10-19 스마트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5956A KR101871924B1 (ko) 2016-10-19 2016-10-19 스마트 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086A true KR20180043086A (ko) 2018-04-27
KR101871924B1 KR101871924B1 (ko) 2018-06-27

Family

ID=62081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5956A KR101871924B1 (ko) 2016-10-19 2016-10-19 스마트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9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362A (ko) 2018-06-01 2019-12-11 김판주 분실물 알리미 테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4901B1 (ko) * 2018-10-29 2020-09-10 나영기 스마트 테이블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778A (ko) * 2000-05-23 2001-12-07 이정숙 다용도 테이블
KR100845531B1 (ko) * 2007-06-29 2008-07-10 (주)하기소닉 이방성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자동충전을 위한 접속 방법
KR20110056000A (ko) * 2009-11-20 201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11104A (ko) 2012-03-30 2013-10-10 이동원 노트북 테이블
KR20140092616A (ko) * 2013-01-16 2014-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20150017893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잠금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6778A (ko) * 2000-05-23 2001-12-07 이정숙 다용도 테이블
KR100845531B1 (ko) * 2007-06-29 2008-07-10 (주)하기소닉 이방성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자동충전을 위한 접속 방법
KR20110056000A (ko) * 2009-11-20 2011-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11104A (ko) 2012-03-30 2013-10-10 이동원 노트북 테이블
KR20140092616A (ko) * 2013-01-16 2014-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장치
KR20150017893A (ko) * 2013-08-08 2015-0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잠금 화면 처리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362A (ko) 2018-06-01 2019-12-11 김판주 분실물 알리미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924B1 (ko)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9854B2 (en) Audio routing system for routing audio data to and from a mobile device
US10733988B2 (en) Lighting and sound system
EP1338087B1 (en) Automatic mute by baby monitor
KR20090094603A (ko) 무선 오디오 출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무선 오디오출력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KR101554220B1 (ko) 휴대단말기의 근접 센서를 이용한 데이터 출력 방법 및 장치
US2013001098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entertainment equipment based on performer position
KR101871924B1 (ko) 스마트 테이블
JP2018508096A (ja) デバイス制御のための近接検出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1652287B2 (en) Antenna systems for wireless communication in luminaires
CN107889322B (zh) 自动调整式方向控制系统及其方法
US9674599B2 (en) Headphone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audio signals
US9374639B2 (en) Audio apparatus and method of changing sound emission mode
JP2010158007A (ja) 無線マイク用送受信装置
JP4798096B2 (ja) カラオケ装置
US20070041598A1 (en) System for location-sensitive reproduction of audio signals
KR102371633B1 (ko) 리모컨의 위치 탐색 방법
KR102282922B1 (ko) 초경량 무선 단말 및 그것을 이용한 다자간 통신 방법
JPH09149984A (ja) ゲーム機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1518820B1 (ko) 휴대단말기 모션 제어 크래들 및 그 제어방법
KR20090122602A (ko) 무선 마이크 시스템
US20170280221A1 (en) Audio emanation device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audio signals
JP4025750B2 (ja) 赤外線通信装置
US20220150654A1 (en) Display device and surround sound system
WO2023056299A1 (en) Spatial mapping of media playback system components
KR20080110431A (ko) 휴대용 단말의 기능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