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2331A - 핸들 및 프리저 - Google Patents

핸들 및 프리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2331A
KR20180042331A KR1020187007663A KR20187007663A KR20180042331A KR 20180042331 A KR20180042331 A KR 20180042331A KR 1020187007663 A KR1020187007663 A KR 1020187007663A KR 20187007663 A KR20187007663 A KR 20187007663A KR 20180042331 A KR20180042331 A KR 20180042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andle
door lock
pin
free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5162B1 (ko
Inventor
타다시 오카다
에이이치 모리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헬스케어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헬스케어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헬스케어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42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5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5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E05B65/0046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with a bifurcated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05B13/106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for 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05B13/108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for 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the lock coaxial with spi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25Devices for forcing the wing firmly against its seat or to initiate the opening of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3/00Fastening knobs or handles to lock or latch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013Locks with rotary bolt without provision for l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00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freez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핸들(100)은, 체결핀(110)을 구비하는 본체 베이스(102), 회동축(118)을 구비하는 도어 베이스(104), 도어록 위치와 도어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하는 손잡이부(106), 도어록 해제 위치를 결정하는 회동 스토퍼(136)를 구비한다. 손잡이부(106)는 체결홈(130)을 구비한다. 체결홈(130)은, 도어록 해제 위치에서 수평 방향을 향하는 개방단(132)을 구비한다. 도어록 위치에서는 체결홈(130)과 체결핀(110)이 체결되어 도어(4)의 개폐가 규제되고, 도어록 해제 위치에서는 체결홈(130)과 체결핀(110)의 체결이 해제되어 도어(4)의 개폐가 허용된다. 회동 스토퍼(136)는,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연직 방향으로 체결핀(110)이 개방단(132)의 연장되어 있는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손잡이부(106)를 위치 결정한다. 체결홈(130)은, 손잡이부(106)의 변위시에 체결핀(110)을 가압하는 압출면(138)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핸들 및 프리저
본 발명은 핸들과, 이 핸들을 구비하는 프리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저장실 내가 -80℃ 이하의 초저온으로 냉각되는 프리저의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핸들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핸들은, 프리저 본체측에 마련된 래치받이와 도어측에 마련된 래치부가 체결되는 것에 의해, 도어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었다. 또한, 손잡이부의 회동에 의해 래치받이와 래치부의 체결과 그 해제가 전환되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2006-275447호 공보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프리저용 핸들에 대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종래의 핸들에는 프리저의 사용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본원은 이와 같은 상황에 비추어, 그 목적은, 프리저의 사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원의 일 실시예는 핸들이다. 해당 핸들은, 앞면에 개구를 구비하는 프리저 본체와,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이 프리저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직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도어를 구비하는 프리저용 핸들이고, 프리저 본체와 도어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측의 프리저 본체의 측면에 고정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핀을 구비하는 본체 베이스; 프리저 본체와 도어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측의 도어의 측면에 고정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을 구비하는 도어 베이스;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어의 개폐를 규제하는 도어록 위치와 도어의 개폐를 허용하는 도어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손잡이부; 및 손잡이부의 도어록 해제 위치를 결정하는 회동 스토퍼를 구비한다. 손잡이부는, 손잡이부의 회동에 의해 체결핀이 내부를 이동하는 체결홈을 구비하고, 체결홈은, 손잡이부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수평 방향을 향하면서 도어의 개폐에 의해 체결핀이 퇴출 또는 진입하는 개방단을 구비하고, 손잡이부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서 도어록 위치로 변위하면 체결홈과 체결핀이 체결되어 도어의 개폐가 규제되고, 손잡이부가 도어록 위치에서 도어록 해제 위치로 변위하면 체결홈과 체결핀의 체결이 해제되어 도어의 개폐가 허용된다. 회동 스토퍼는, 손잡이부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연직 방향으로 체결핀이 개방단의 연장되어 있는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손잡이부를 위치 결정한다. 체결홈은, 손잡이부가 도어록 위치에서 도어록 해제 위치로 변위할 때, 손잡이부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의 체결핀과 회동축의 수평 방향 거리보다, 손잡이부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수평 방향 거리가 커지도록 체결핀을 가압하는 압출면을 구비한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는 프리저이다. 해당 프리저는, 개구를 구비하는 프리저 본체와,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도어와, 상기 실시예의 핸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리저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프리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핸들의 정면도이다.
도 3은 핸들의 배면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핸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손잡이부의 각 회동 위치에 있어서의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손잡이부의 각 회동 위치에 있어서의 핸들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제3보안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도면에 도시되는 동일 또는 동등한 구성 요소, 부재, 처리에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적절히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는,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닌 예시이며, 실시예에 기술되는 모든 특징이나 그 조합은, 꼭 발명의 본질적인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중요하지 않은 부재의 일부는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프리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저(1)는, 저장실 내를 -80℃ 정도의 초저온까지 냉각할 수 있는 냉동기이다. 프리저(1)는, 프리저 본체(2)와, 도어(4)와, 핸들(100)을 구비한다. 프리저 본체(2)는, 수직형 단열 케이스체이고 앞면에 개구(2a)를 구비하고, 내부에 저장실(2b)을 구비한다. 저장실(2b)은, 개구(2a)를 통해 외부에 연통된다. 도어(4)는, 수평 방향(도 1의 화살표 Y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이 프리저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예를 들면 도어(4)는, 종래 공지의 힌지 기구(6)를 통해 프리저 본체(2)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어(4)는, 연직 방향의 축 Ax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구(2a)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다.
핸들(100)은, 프리저 본체(2)와 도어(4)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측의 각각의 측면(2c) 및 측면(4c), 즉 힌지 기구(6)가 마련되는 측과는 반대측의 프리저(1)의 측면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저(1)의 정면에서 보아 우측면에 힌지 기구(6)가 마련되고, 좌측면에 핸들(100)이 마련되어 있다. 힌지 기구(6)와 핸들(100)의 장착 위치는 반대여도 좋다. 핸들(100)은, 도어(4)를 개폐할 때 조작된다. 이하, 핸들(100)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핸들(100)의 정면도이다. 도 3은 핸들(100)의 배면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핸들(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핸들(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여기서는 편의상, 프리저(1)의 측면이 배열되는 방향(도 1의 화살표 Y 방향)을 핸들(100)의 정면-배면 방향이라고 하고 있다. 또한, 프리저(1)의 측면에 접하는 측을 핸들(100)의 배면이라고 하고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본체 베이스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프리저(1)용의 핸들(100)은, 본체 베이스(102)와, 도어 베이스(104)와, 손잡이부(106)를 구비한다. 본체 베이스(102)는 프리저 본체(2)에 고정된다. 도어 베이스(104)는 도어(4)에 고정된다. 손잡이부(106)는 도어 베이스(104)에 연결된다.
본체 베이스(102)는, 프리저 본체(2)와 도어(4)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측의 프리저 본체(2)의 측면(2c)에 고정된다. 본체 베이스(102)는, 평판부(108)와, 체결핀(110)과, 돌기부(112)를 구비한다. 평판부(108)는, 한쪽의 메인 표면이 프리저 본체(2)의 측면(2c)에 당접하여, 나사 등의 체결 부재(114)에 의해 프리저 본체(2)에 고정된다. 체결핀(110)은, 평판부(108)에 고정되어 수평 방향(도 1의 화살표 Y 방향, 즉 측면(2c)의 거의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돌기부(112)는, 평판부(108)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손잡이부(106)측, 더욱 구체적으로는 손잡이부(106)의 규제 부재(140)측, 혹은 도어 베이스(104)측으로 돌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부(112)는 체결핀(110)보다도 손잡이부(106)측으로, 나아가서는 평판부(108)보다도 손잡이부(106)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본체 베이스(102)는, 주로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도어 베이스(104)는, 프리저 본체(2)와 도어(4)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측의 도어(4)의 측면(4c)에 고정된다. 도어 베이스(104)는, 평판부(116)와, 회동축(118)을 구비한다. 평판부(116)는, 한쪽의 메인 표면이 도어(4)의 측면(4c)에 당접한다. 평판부(116)에는, 제1삽통 구멍(120)이 마련된다. 제1삽통 구멍(120)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122)가 삽통되는 것에 의해, 도어 베이스(104)는 도어(4)에 고정된다. 회동축(118)은, 평판부(116)에 고정되어 수평 방향(도 1의 화살표 Y 방향, 즉 측면(4c)의 거의 법선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어 베이스(104)는, 주로 금속 재료로 형성된다.
손잡이부(106)는, 회동축(118)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손잡이부(106)는, 본체 베이스(102) 및 도어 베이스(104)를 덮는 중공 구조의 커버부(124)와, 커버부(124)로부터 연직 방향(도 1의 화살표 Z의 방향) 상방으로 연장되는 파지부(126)를 구비한다. 커버부(124)는 저면을 갖는 통형상이고, 외주면에 파지부(126)가 마련된다. 커버부(124)는, 통의 개방단이 프리저(1)측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커버부(124)는, 통의 저면에 회동축(118)의 삽통 구멍(128)을 구비한다. 삽통 구멍(128)에 회동축(118)이 삽통되는 것에 의해, 손잡이부(106)는 도어 베이스(10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손잡이부(106)는, 주로 수지 재료로 형성된다.
손잡이부(106)는, 회동축(118)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어(4)의 개폐를 규제하는 도어록 위치와 도어(4)의 개폐를 허용하는 도어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도 4에는 도어록 위치에 있는 손잡이부(106)가 도시되어 있다. 후술하는 도 7(A)에는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는 손잡이부(106)가 도시되어 있다. 프리저(1)의 사용자는, 파지부(126)를 프리저(1)의 정면-배면 방향(도 1의 화살표 X의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것에 의해, 손잡이부(106)를 도어록 위치와 도어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106)는, 커버부(124) 내에 체결홈(130)을 구비한다. 체결홈(130)은,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체결홈(130)은, 개방단(132)을 구비한다. 개방단(132)은, 커버부(124)의 외주면과 체결홈(130)이 접하는 영역에 있어서, 커버부(124)의 외주면이 절삭된 부분에 상당한다. 체결홈(130)에는, 개방단(132)을 통해 체결핀(110)이 진입 또는 퇴출할 수 있다. 체결홈(130)에 진입한 체결핀(110)은, 손잡이부(106)의 회동에 의해 체결홈(130)의 내부를 이동한다.
또한, 커버부(124)에는, 삽통 구멍(128)의 주변부에 있어서 도어 베이스(104)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4)가 마련된다. 한편, 도어 베이스(104)에는, 회동축(118)의 주변부에 있어서 커버부(124)측으로 돌출되는 회동 스토퍼(136)가 마련된다. 돌출부(134)와 회동 스토퍼(136)는, 손잡이부(106)의 회동에 의해 상대적으로 변위하여,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양자가 당접한다. 따라서, 돌출부(134) 및 회동 스토퍼(136)는, 손잡이부(106)의 도어록 해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부재로서 기능한다.
여기서,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서, 핸들(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는 손잡이부(106)의 각 회동 위치에 있어서의 핸들(10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손잡이부(106)는, 도 6(A)에 나타내는 도어록 위치와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도어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다.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 체결핀(110)이 체결홈(130)의 내부에 위치하여 양자가 체결된다. 체결핀(110)은, 체결홈(130)의 가장 안쪽까지 진입해 있다. 체결핀(110)과 체결홈(130)이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4)의 개폐가 규제된다. 개방단(132)은,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연직 방향 하방을 향한다.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6)가 회동축(118)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체결핀(110)이 개방단(132)을 향해 체결홈(130) 내를 이동한다. 이 때, 체결핀(110)은, 체결홈(130)의 측면이면서 체결핀(110)과 회동축(118) 사이에 위치하는 압출면(138)에 당접하면서 이동한다. 압출면(138)은, 체결핀(110)측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상을 구비한다. 예를 들면, 압출면(138)은, 회동축(118)을 중심으로 한 타원의 일부로 구성된다. 이 때문에, 압출면(138)은,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서 도어록 해제 위치로 변위할 때, 프리저 본체(2)와 도어(4)가 이격하는 방향(도 1의 화살표 X의 방향)으로 체결핀(110)을 가압한다. 또한, 손잡이부(106)의 회동에 수반하여, 돌출부(134)는 회동 스토퍼(136)에 접근해 간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6)는, 돌출부(134)가 회동 스토퍼(136)에 당접할 때까지 회동한다. 돌출부(134)가 회동 스토퍼(136)에 당접하는 위치가, 손잡이부(106)의 도어록 해제 위치이다. 개방단(132)은,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수평 방향(도 1의 화살표 X의 방향,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리저(1)의 배면 방향)을 향한다. 회동 스토퍼(136)는,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연직 방향으로 체결핀(110)이 개방단(132)의 연장되어 있는 범위 H 내에 위치하도록 손잡이부(106)를 위치 결정한다. 이에 의해, 체결핀(110)과 체결홈(130)의 체결이 해제되어, 도어(4)의 개폐가 허용된다.
체결핀(110)은, 손잡이부(106)의 회동에 수반하여 압출면(138)에 가압되면서 체결홈(130) 내를 이동하여, 체결홈(130)의 개방단(132) 근방에 도달한다. 체결핀(110)이 압출면(138)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의 체결핀(110)과 회동축(118)의 수평 방향 거리 R1(도 6(A) 참조)보다,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체결핀(110)과 회동축(118)의 수평 방향 거리 R2가 커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출면(138)에 의해 체결핀(110)이 가압되어, 본체 베이스(102) 및 도어 베이스(104)가 고정되는 측면(2c, 4c)의 측에 있어서 프리저 본체(2)와 도어(4)가 비접촉이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어(4)의 프리저 본체(2)측을 향하는 메인 표면의 주변부에 패킹 등의 밀폐 부재가 마련되는 경우에는, "도어"에는 밀폐 부재도 포함된다. 따라서, "프리저 본체(2)와 도어(4)가 비접촉이 되는" 상태란, 프리저 본체(2)와 도어(4)에 마련되는 밀폐 부재가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프리저 본체(2)의 개구(2a)의 외주면에 밀폐 부재가 마련되는 경우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연직 방향에 있어서 체결핀(110)은 개방단(132)의 연장되어 있는 범위 H 내에 위치한다. 이 때문에,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4)를 축 Ax1(도 1 참조)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도어(4)를 개방할 수 있다. 도어(4)의 개방 동작에 의해, 체결핀(110)은 체결홈(130)으로부터 퇴출한다. 도어(4)가 닫힐 때는, 역 동작이 실행된다. 즉,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어(4)의 폐쇄 동작에 의해 체결핀(110)이 체결홈(130)에 진입한다. 그리고, 손잡이부(106)가 회동축(118)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체결핀(110)이 체결홈(130) 내를 이동하여 가장 안쪽에 도달한다. 그 결과, 손잡이부(106)는 도어록 해제 위치에서 도어록 위치로 변위한다.
따라서, 핸들(100)에서는,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서 도어록 위치로 변위하면 체결홈(130)과 체결핀(110)이 체결되어 도어(4)의 개폐가 규제되고,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서 도어록 해제 위치로 변위하면 체결홈(130)과 체결핀(110)의 체결이 해제되어 도어(4)의 개폐가 허용된다.
한편, 손잡이부(106)는, 도 6(A)에 나타내는 도어록 위치에 있어서 회동축(118)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는 방향으로 부하가 작용하도록, 무게 중심이 설정되어 있다. 즉, 손잡이부(106)에 외적 부하가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손잡이부(106)에는, 체결핀(110)이 체결홈(130) 내를 개방단(132)과는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의 부하가 작용하고 있다. 이에 의해, 손잡이부(106)에 외적 부하가 작용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의 손잡이부(106)의 의도하지 않은 회동을 억제하여, 체결핀(110)이 체결홈(130)의 개방단(132)측에 위치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손잡이부(106)가 의도하지 않고 도어록 해제 위치로 변위하여, 이에 의해 도어(4)가 개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내는 프리저(1)에 있어서, 프리저 본체(2)의 개구(2a)는, 도어(4)에 의해 막혀진다. 또한, 저장실(2b)의 기밀성을 유지하기 위해, 프리저 본체(2)와 도어(4) 사이에는 탄성체인 패킹이 마련된다. 도어(4)는, 이 패킹을 가압한 상태로 프리저 본체(2)의 개구(2a)를 막는다. 따라서, 도어(4)에는, 패킹의 반발력에 의해 프리저 본체(2)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체결홈(130)에 있어서의 프리저 본체(2)측의 측면과 체결핀(110)은, 패킹의 반발력에 기인하는 소정의 체결력을 가지고 체결되어 있다. 한편, 저장실(2b) 내의 냉각 등에 의해 저장실(2b) 내의 압력이 높아지면, 도어(4)가 프리저 본체(2)측으로 가압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패킹의 반발력에 기인하는 체결핀(110)과 체결홈(130)의 체결력이 약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부(106)의 무게 중심을 설정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부(106)가 의도하지 않고 도어록 해제 위치로 변위하여, 도어(4)가 개방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핸들 복귀 록 기구]
도 5,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서 핸들(100)이 구비하는 핸들 복귀 록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핸들 복귀 록 기구는,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는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기 위한 기구이다.
손잡이부(106) 및 도어 베이스(104)는, 하나가 규제 부재(140)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가 규제 부재 받음부(142)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부(106)가 규제 부재 받음부(142)를 구비하고, 도어 베이스(104)가 규제 부재(140)를 구비한다. 또한, 손잡이부(106)에 마련되는 돌출부(134)가 규제 부재 받음부(142)로서 기능한다. 즉, 돌출부(134)는, 손잡이부(106)의 도어록 해제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기구와, 핸들 복귀 록 기구로 겸용된다.
규제 부재(140)는, 한쪽의 부재(본 실시예에서는 도어 베이스(104))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규제 부재(140)는, 도어 베이스(104)의 평판부(116)에 고정되는 회동축(14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규제 부재(140)는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규제 부재 받음부(142)에 당접하여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1자세(도 7(B) 참조)와, 규제 부재 받음부(142)로부터 이격하여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는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자세(도 7(A) 참조)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또한,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부재(140)는, 체결핀(110)이 체결홈(130)으로부터 퇴출한 상태에서 제1자세이고, 체결핀(110)이 체결홈(130)에 진입하면 제2자세로 전환된다. 즉, 도어(4)의 개도에 따라 규제 부재(140)의 제1자세와 제2자세가 자동으로 전환된다. 그리고, 도어(4)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는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로 변위하는 것이 규제된다.
이 규제 부재(140)의 변위는 다음과 같이 하여 실현된다. 즉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100)은, 제1자세를 취하도록 규제 부재(140)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146)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이어싱 부재(146)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회동축(144)이 삽통되는 것에 의해 도어 베이스(104)에 고정된다. 바이어싱 부재(146)를 구성하는 코일 스프링은, 일단이 도어 베이스(104)에 체결되고, 타단이 규제 부재(140)에 체결된다. 또한,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베이스(102)에 마련되는 돌기부(112)는, 연직 방향에서 회동축(144)과 어긋난 위치이면서 규제 부재(140)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규제 부재(140)는 거의 V자 모양의 부재이다. 그리고, V자의 정점 근방에 회동축(144)이 배치된다. 또한, V자의 한쪽의 단부가 규제 부재 받음부(142)에 당접한다. 또한, V자의 다른 한쪽의 단부가 돌기부(112)에 의해 가압된다. 규제 부재(140)는, V자의 정점이 받침점, 한쪽의 단부가 작용점, 다른 한쪽의 단부가 힘점이 된다.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결핀(110)이 체결홈(130)으로부터 퇴출한 상태에서는, 돌기부(112)와 규제 부재(140)가 이격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규제 부재(140)는, 바이어싱 부재(146)의 바이어싱력에 의해 제1자세를 취한다. 제1자세에서는, 규제 부재(140)의 한쪽의 단부가, 손잡이부(106)의 회동에 수반하여 변위하는 규제 부재 받음부(142)의 궤도 상에 진출하여 규제 부재 받음부(142)에 당접한다. 한편,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4)가 프리저 본체(2)에 접근하여 체결핀(110)이 체결홈(130)에 진입하면, 도어(4)의 프리저 본체(2)로의 접근에 수반하여 돌기부(112)가 바이어싱 부재(146)의 바이어싱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규제 부재(140)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규제 부재(140)는 제2자세로 전환된다. 규제 부재(140)는, 다른 한쪽의 단부가 돌기부(112)에 의해 가압되는 것에 의해, V자의 정점을 받침점으로 하여 회동하여, 한쪽의 단부가 규제 부재 받음부(142)의 궤도 상으로부터 퇴피한다.
한편, 손잡이부(106)가 회동하여 도어록 위치로 변위하는 과정에서는, 도어(4)와 프리저 본체(2)는 서서히 접근해 간다. 이 때문에,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규제 부재(140)는 돌기부(112)에 의해 계속 가압되어 제2자세가 유지된다.
[제1보안 기구]
도 2,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서 제1보안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1보안 기구는, 도어록 위치에 있는 손잡이부(106)의 회동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도어(4)의 개방을 방지하는 기구이다.
핸들(100)은, 도어 베이스(104)에 대해 손잡이부(106)를 고정하는 록 기구(148)를 구비한다. 록 기구(148)는, 돌출부(134)와, 록핀(150)과, 고정 베이스(152)와, 회동축(154)과, 록핀 회동부(156)를 구비한다. 돌출부(134)는, 손잡이부(106)와 함께 회동하여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회동 스토퍼(136)에 당접하고(도 7(A) 참조),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 회동 스토퍼(136)로부터 이격한다(도 6(A) 참조).
록핀(150)은 일 방향으로 긴 부재이고, 일단측에 삽통 구멍(158)을 구비하고, 타단측에 헤드부(160)를 구비하고, 도중 부분에 체결 슬릿(162)을 구비한다. 헤드부(160)는, 록핀(150)의 연장되어 있는 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한다. 체결 슬릿(162)은, 거의 록핀(150)의 연장되어 있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삽통 구멍(158)에 회동축(154)이 삽통되는 것에 의해, 록핀(150)은 회동축(15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동축(154)은, 고정 베이스(152)에 고정된다. 고정 베이스(152)는, 나사 등의 체결 부재(164)에 의해 손잡이부(106)에 고정된다.
록핀 회동부(156)는, 거의 원주 형상의 부재이고 커버부(124)를 관통하도록 마련된다. 록핀 회동부(156)는, 커버부(124)의 내측에 배치되는 일단측에 체결 돌기(166)를 구비하고, 커버부(124)의 외측에 노출되는 타단측에 열쇠 구멍(168)을 구비한다. 록핀(150)의 체결 돌기(166)는, 록핀(150)의 체결 슬릿(162)에 삽입된다. 열쇠 구멍(168)에 열쇠(170)를 삽입하여 돌리는 것에 의해, 록핀 회동부(156)를 회동시킬 수 있다. 록핀 회동부(156)의 회동은, 체결 돌기(166) 및 체결 슬릿(162)을 통해 록핀(150)에 전달되어, 록핀(150)이 회동축(154)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핀(150)은,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생기는 돌출부(134)와 회동 스토퍼(136) 사이의 공간에 헤드부(160)를 진입시킬 수 있다. 돌출부(134)와 회동 스토퍼(136) 사이에 헤드부(160)가 진입하는 것에 의해, 회동 스토퍼(13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돌출부(134)의 변위가 규제된다. 이 때문에, 손잡이부(106)의 도어록 위치에서 도어록 해제 위치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사용자가 열쇠(170)를 사용하여 록핀 회동부(156)를 회동시키면, 도 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핀(150)이 회동축(154)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헤드부(160)가 돌출부(134)와 회동 스토퍼(136)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퇴피한다. 이에 의해,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134)는 회동 스토퍼(136)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게 된다. 즉, 손잡이부(106)를 도어록 위치에서 도어록 해제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게 된다.
[제2보안 기구]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제2보안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제2보안 기구는, 맹꽁이 자물쇠 등의 자물쇠를 사용하여 핸들(100)을 잠그는 것에 의해, 도어(4)의 개방을 방지하는 기구이다.
도어 베이스(104)는, 도어 베이스(104)에 대해 손잡이부(106)를 고정하기 위한 자물쇠(미도시)가 장착되는 제1잠금 구멍(172)을 구비한다. 또한, 손잡이부(106)는, 제1잠금 구멍(172)과 함께 자물쇠가 장착되는 제2잠금 구멍(174)을 구비한다.
제1잠금 구멍(172)과 제2잠금 구멍(174)은, 도어 베이스(104) 및 손잡이부(106)가 나란히 배열되는 방향(도 1의 화살표 Y 방향)으로,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 중첩되고,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어긋나도록, 서로의 위치 관계가 정해져 있다. 제1잠금 구멍(172)과 제2잠금 구멍(174)이 중첩된 상태에서, 즉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자물쇠의 샤클이 제1잠금 구멍(172)에 이어 제2잠금 구멍(174)에 삽통되어, 혹은 제2잠금 구멍(174)에 이어 제1잠금 구멍(172)에 삽통되어 잠긴다. 이에 의해, 손잡이부(106)의 도어록 위치에서 도어록 해제 위치로의 변위가 규제된다.
[제3보안 기구]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서 제3보안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및 도 8(B)는 제3보안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3보안 기구는, 도어 베이스(104) 및 손잡이부(106)의 도어(4)로부터의 떼어내는 것을 규제하는 것에 의해, 도어(4)의 개방을 방지하는 기구이다.
손잡이부(106)는, 체결 부재(122)가 삽통되는 제2삽통 구멍(176)을 구비한다. 제2삽통 구멍(176)은, 손잡이부(106)가 연결된 상태의 도어 베이스(104)를 도어(4)에 고정할 때, 체결 부재(122)가 삽통되는 구멍이다. 작업자는, 제2삽통 구멍(176)을 통해 커버부(124) 내에 체결 부재(122)를 삽입하고, 도어 베이스(104)의 제1삽통 구멍(120)(도 3 참조)에 체결 부재(122)를 삽통하는 것에 의해, 도어 베이스(104) 및 손잡이부(106)를 도어(4)에 고정할 수 있다.
제1삽통 구멍(120)과 제2삽통 구멍(176)은, 도어(4), 도어 베이스(104) 및 손잡이부(106)가 나란히 배열되는 방향(도 1의 화살표 Y 방향)으로,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중첩되고,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 어긋나도록, 서로의 위치 관계가 정해져 있다. 이 때문에,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2삽통 구멍(176)이 체결 부재(122)로부터 어긋난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체결 부재(122)에 액세스할 수 없다. 한편,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작업자는 제2삽통 구멍(176)을 통해 체결 부재(122)를 액세스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체결 부재(122)를 떼어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삽통 구멍(120) 및 제2삽통 구멍(176)이 4개씩 마련되고, 그 중 3개에 대해서는,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중첩되고,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 어긋나도록, 위치 관계가 정해져 있다. 한편, 최하단에 위치하는 나머지에 1개에 대해서는,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 중첩되고,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어긋나도록, 위치 관계가 정해져 있다.
이는,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제1삽통 구멍(120) 혹은 체결 부재(122)와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 스페이스의 형편상, 제2삽통 구멍(176)을 마련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해당 위치에 제2삽통 구멍(176)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손잡이부(106)의 대형화가 필요하다. 즉, 손잡이부(106)의 주변부 근방에 위치하는 제1삽통 구멍(120)에 대응하는 제2삽통 구멍(176)을,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 해당 제1삽통 구멍(120)과 중첩되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손잡이부(106)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1개의 제2삽통 구멍(176)은, 손잡이부(106)의 회동에 수반하여 변위할 때의 궤도 상에, 회동축(144)이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이 때문에, 제2삽통 구멍(176)을 통해 회동축(144)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회동축(144)의 유지보수시 등에, 손잡이부(106)의 전부 혹은 일부를 떼어내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핸들(100)은, 도어록 위치와 도어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손잡이부(106)를 구비한다. 손잡이부(106)에 마련되는 체결홈(130)은,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수평 방향을 향하는 개방단(132)을 구비한다. 개방단(132)에는, 도어(4)의 개폐에 의해 체결핀(110)이 퇴출 또는 진입한다. 핸들(100)은,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서 도어록 위치로 변위하면 체결홈(130)과 체결핀(110)이 체결되어 도어(4)의 개폐를 규제한다. 또한,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서 도어록 해제 위치로 변위하면 체결홈(130)과 체결핀(110)의 체결이 해제되어 도어(4)의 개폐를 허용한다.
핸들(100)은, 손잡이부(106)의 도어록 해제 위치를 결정하는 회동 스토퍼(136)를 구비한다. 회동 스토퍼(136)는,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연직 방향으로 체결핀(110)이 개방단(132)의 연장되어 있는 범위 H 내에 위치하도록 손잡이부(106)를 위치 결정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4)의 개폐시에 체결핀(110)과 개방단(132)의 세밀한 위치 조정을 하지 않고 도어(4)를 개폐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저(1)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도어(4)를 닫을 때, 체결핀(110)을 원활하면서 확실하게 개방단(132)으로부터 체결홈(130) 내에 진입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체결핀(110)과 손잡이부(106)가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체결홈(130)은 압출면(138)을 구비한다. 압출면(138)은,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서 도어록 해제 위치로 변위할 때,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의 체결핀(110)과 회동축(118)의 수평 방향 거리 R1보다,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체결핀(110)과 회동축(118)의 수평 방향 거리 R2가 커지도록 체결핀(110)을 가압한다.
프리저(1)의 저장실(2b) 내는, 외부에 대해 밀폐되어 저온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저장실(2b) 내는 부압이 되기 쉽다. 또한, 일반적으로 프리저 본체(2)와 도어(4) 사이에는 마그넷 패킹이 개재한다. 나아가, 프리저 본체(2)와 도어(4)의 접속부에는 서리나 얼음 등이 고착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요인에 의해, 도어(4)를 개방하기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에 대해 핸들(100)은, 압출면(138)에 의해 프리저 본체(2)와 도어(4)가 이격되는 방향으로 체결핀(110)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도어(4)의 개방 조작을 어시스트한다. 이 때문에, 도어(4)의 개방 조작에 필요한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저(1)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압출면(138)에 의해 체결핀(110)이 가압되어, 본체 베이스(102) 및 도어 베이스(104)가 고정되는 측면(2c, 4c)의 측에 있어서 프리저 본체(2)와 도어(4)가 비접촉이 된다. 이에 의해, 더욱 확실하게 도어(4)의 개방 조작에 필요로 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압출면(138)은, 체결핀(110)과 회동축(118) 사이에 위치하고, 체결핀(110)측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상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압출면(138)이 체결핀(110)을 가압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부하이고, 손잡이부(106)의 회동의 방해가 되는 부하를, 손잡이부(106)의 도어록 위치에서 도어록 해제 위치로의 변위하는 동안, 균등화할 수 있다.
한편, 압출면(138)은, 체결핀(110)측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상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출면(138)은, 체결핀(110)을 가압하여 프리저 본체(2)와 도어(4)를 비접촉으로 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예를 들면, 압출면(138)은,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서 도어록 해제 위치로의 변위 도중에 있는 상태에서, 체결핀(110)과 압출면(138)의 접점보다도 체결핀(110)측으로 밀어내도록 경사지는 평면 또는 곡면을 구비한다. 압출면(138)의 형상 자체는, 일단측에서 타단측에 걸쳐 굴절되지 않고 연장되는 평면 형상이어도 좋고(즉 단일의 평면으로 구성됨), 일단측과 타단측 사이에 굴절부를 구비해도 좋다(즉 복수의 평면으로 구성됨). 압출면(138)이 굴절부를 구비하는 경우, 압출면(138)은, 예를 들면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체결핀(110)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이어도 좋고, 오목한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핸들(100)은, 핸들 복귀 록 기구를 구비한다. 즉, 손잡이부(106) 및 도어 베이스(104) 중의 하나가 규제 부재(140)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가 규제 부재 받음부(142)를 구비한다. 규제 부재(140)는, 제1자세와 제2자세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다. 제1자세는,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규제 부재 받음부(142)에 당접하여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자세이다. 제2자세는, 규제 부재 받음부(142)로부터 이격하여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는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는 자세이다.
핸들(100)이 핸들 복귀 록 기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도어(4)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의도에 반하여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로 되돌아가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의해,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로 돌아간 상태에서 도어(4)가 닫혀, 손잡이부(106)와 체결핀(110)이 충돌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규제 부재(140)는, 체결핀(110)이 체결홈(130)으로부터 퇴출한 상태에서 제1자세이고, 체결핀(110)이 체결홈(130)에 진입하면 제2자세로 전환된다. 즉, 도어(4)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서 도어록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손잡이부(106)가 고정되고, 도어(4)가 닫힐 때 도어(4)의 변위에 동기하여 손잡이부(106)의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도어(4)의 개도에 따라 자동으로 핸들 회동의 규제와 그 해제를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리저(1)의 사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100)은, 제1자세를 취하도록 규제 부재(140)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146)를 구비한다. 또한 본체 베이스(102)는, 손잡이부(106)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112)를 구비한다. 돌기부(112)는, 도어(4)의 프리저 본체(2)로의 접근에 수반하여 바이어싱 부재(146)의 바이어싱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규제 부재(140)를 가압한다. 이에 의해, 규제 부재(140)는 제2자세로 전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도어(4)의 개도에 따른 핸들 회동의 규제와 그 해제의 변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핸들(100)은 제1보안 기구를 구비한다. 즉, 도어 베이스(104)에 대해 손잡이부(106)를 고정하는 록 기구(148)를 구비한다. 록 기구(148)는, 돌출부(134)와 록핀(150)을 구비한다. 돌출부(134)는, 손잡이부(106)와 함께 회동하여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회동 스토퍼(136)에 당접하고,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 회동 스토퍼(136)로부터 이격한다. 록핀(150)은,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돌출부(134)와 회동 스토퍼(136) 사이에 진입하여 손잡이부(106)의 변위를 규제한다. 이에 의해, 프리저(1)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100)은 제2보안 기구를 구비한다. 즉, 도어 베이스(104)는, 자물쇠가 장착되는 제1잠금 구멍(172)을 구비한다. 손잡이부(106)는, 제1잠금 구멍(172)과 함께 자물쇠가 장착되는 제2잠금 구멍(174)을 구비한다. 제1잠금 구멍(172)과 제2잠금 구멍(174)은,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 중첩되고,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어긋나도록, 서로의 위치 관계가 정해져 있다. 이에 의해, 프리저(1)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핸들(100)은 제3보안 기구를 구비한다. 즉, 도어 베이스(104)는, 도어(4)의 측면(4c)에 당접하는 평판부(116)와, 도어 베이스(104)를 도어(4)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부재(122)가 삽통되는 제1삽통 구멍(120)을 구비한다. 손잡이부(106)는, 체결 부재(122)가 삽통되는 제2삽통 구멍(176)을 구비한다. 제1삽통 구멍(120)과 제2삽통 구멍(176)은,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중첩되고, 손잡이부(106)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 어긋나도록, 서로의 위치 관계가 정해져 있다. 이에 의해, 프리저(1)의 보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의 지식에 기초하여 각종의 설계 변경 등의 다양한 변형을 더할 수도 있고, 다양한 변형이 더해진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대한 변형의 추가에 의해 생기는 새로운 실시예는, 조합되는 실시예 및 변형 각각의 효과를 겸비한다.
본 발명은 핸들 및 프리저에 이용 가능하다.
1: 프리저
2: 프리저 본체
2a: 개구
4: 도어
100: 핸들
102: 본체 베이스
104: 도어 베이스
106: 손잡이부
110: 체결핀
112: 돌기부
118: 회동축
120: 제1삽통 구멍
130: 체결홈
132: 개방단
134: 돌출부
136: 회동 스토퍼
138: 압출면
140: 규제 부재
142: 규제 부재 받음부
146: 바이어싱 부재
148: 록 기구
150: 록핀
172: 제1잠금 구멍
174: 제2잠금 구멍
176: 제2삽통 구멍

Claims (11)

  1. 앞면에 개구를 구비하는 프리저 본체와,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측이 상기 프리저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직 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도어를 구비하는 프리저용 핸들이고,
    상기 프리저 본체와 상기 도어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측의 상기 프리저 본체의 측면에 고정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핀을 구비하는 본체 베이스;
    상기 프리저 본체와 상기 도어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측의 상기 도어의 측면에 고정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동축을 구비하는 도어 베이스;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를 규제하는 도어록 위치와 상기 도어의 개폐를 허용하는 도어록 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의 도어록 해제 위치를 결정하는 회동 스토퍼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손잡이부의 회동에 의해 상기 체결핀이 내부를 이동하는 체결홈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수평 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도어의 개폐에 의해 상기 체결핀이 퇴출 또는 진입하는 개방단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서 도어록 위치로 변위하면 상기 체결홈과 상기 체결핀이 체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가 규제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위치에서 도어록 해제 위치로 변위하면 상기 체결홈과 상기 체결핀의 체결이 해제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가 허용되고,
    상기 회동 스토퍼는,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연직 방향으로 상기 체결핀이 상기 개방단의 연장되어 있는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손잡이부를 위치 결정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위치에서 도어록 해제 위치로 변위할 때,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체결핀과 상기 회동축의 수평 방향 거리보다,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수평 방향 거리가 커지도록 상기 체결핀을 가압하는 압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면에 의해 상기 체결핀이 가압되어, 상기 본체 베이스 및 상기 도어 베이스가 고정되는 측면의 측에 있어서 상기 프리저 본체와 상기 도어가 비접촉이 되는 핸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면은, 상기 체결핀과 상기 회동축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체결핀측으로 돌출되는 곡면 형상을 구비하는 핸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도어 베이스는, 하나가 규제 부재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가 규제 부재 받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어느 한 부재에 대해 변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규제 부재 받음부에 당접하여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규제하는 제1자세와, 상기 규제 부재 받음부로부터 이격하여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는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위치로 변위하는 것을 허용하는 제2자세 사이에서 전환 가능한 핸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 부재는, 상기 체결핀이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퇴출한 상태에서 상기 제1자세이고, 상기 체결핀이 상기 체결홈에 진입하면 상기 제2자세로 전환되는 핸들.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자세를 취하도록 상기 규제 부재를 바이어싱하는 바이어싱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본체 베이스는, 상기 손잡이부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의 상기 프리저 본체로의 접근에 수반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바이어싱 부재의 바이어싱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규제 부재를 가압하여, 상기 규제 부재가 상기 제2자세로 전환되는 핸들.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베이스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를 고정하는 록 기구를 구비하는 핸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록 기구는,
    상기 손잡이부와 함께 회동하여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동 스토퍼에 당접하고,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회동 스토퍼로부터 이격하는 돌출부와,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와 상기 회동 스토퍼 사이에 진입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도어록 위치에서 도어록 해제 위치로의 변위를 규제하는 록핀을 구비하는 핸들.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베이스는, 상기 도어 베이스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를 고정하기 위한 자물쇠가 장착되는 제1잠금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제1잠금 구멍과 함께 상기 자물쇠가 장착되는 제2잠금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1잠금 구멍과 상기 제2잠금 구멍은, 상기 도어 베이스 및 상기 손잡이부가 나란히 배열되는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 중첩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어긋나도록 서로의 위치 관계가 정해져 있는 핸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베이스는, 상기 도어의 측면에 당접하는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 베이스를 상기 도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부재가 삽통되는 제1삽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체결 부재가 삽통되는 제2삽통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제1삽통 구멍과 상기 제2삽통 구멍은, 상기 도어, 상기 도어 베이스 및 상기 손잡이부가 나란히 배열되는 방향으로,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중첩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도어록 위치에 있을 때 어긋나도록 서로의 위치 관계가 정해져 있는 핸들.
  11. 개구를 구비하는 프리저 본체;
    상기 개구를 개폐 가능하게 막는 도어; 및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핸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저.
KR1020187007663A 2015-10-20 2016-10-06 핸들 및 프리저 KR102045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06700 2015-10-20
JP2015206700 2015-10-20
PCT/JP2016/079736 WO2017068984A1 (ja) 2015-10-20 2016-10-06 ハンドル及びフリー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331A true KR20180042331A (ko) 2018-04-25
KR102045162B1 KR102045162B1 (ko) 2019-11-14

Family

ID=58557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663A KR102045162B1 (ko) 2015-10-20 2016-10-06 핸들 및 프리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09135B2 (ko)
EP (1) EP3339779B1 (ko)
JP (1) JP6392466B2 (ko)
KR (1) KR102045162B1 (ko)
CN (1) CN108027195B (ko)
WO (1) WO20170689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4202A (zh) * 2020-11-13 2023-04-28 普和希控股公司 锁装置及制冷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907A (ja) * 1994-08-17 1996-03-05 Atsushi Miyahara 施錠出来る引き違いサッシュ用戸締クレセント
US20060220392A1 (en) * 2005-03-30 2006-10-05 Sanyo Electric Co., Ltd. Door unit for cold storage
KR20110075997A (ko) * 2009-12-29 2011-07-06 (주)대한과학 냉동장치용 도어의 핸들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51553A (en) * 1925-07-31 1927-12-06 Arcade Mfg Co Refrigerator latch
US1658481A (en) * 1926-10-28 1928-02-07 Ekman Andrew Latch
US2212563A (en) * 1938-08-19 1940-08-27 Kason Hardware Corp Refrigerator door latch
US2256447A (en) * 1939-05-05 1941-09-16 Nat Lock Co Refrigerator latch
CH234749A (de) * 1942-03-25 1944-10-31 Hermes Patentverwertungs Gmbh Verriegelbares Türschloss für Kühlschränke.
US2394784A (en) * 1942-11-11 1946-02-12 Detroit Steel Products Co Closure construction
US2753204A (en) * 1953-08-24 1956-07-03 Stanley Works Latch
US4082077A (en) * 1976-07-22 1978-04-04 Litton Systems, Inc. Oven door latch
DE9319253U1 (de) * 1993-12-15 1994-06-23 Siemens Ag Steck- und Ziehvorrichtung für eine Gehäuseabdeckung
US6543820B2 (en) * 2000-12-18 2003-04-08 Gsle Development Corporation Latching device and method
US7100951B2 (en) * 2004-08-18 2006-09-05 Tyrone Marine Hardware Co., Ltd. Water gate locker
JP3761560B1 (ja) * 2004-11-01 2006-03-29 シャープ株式会社 扉開閉機構
DE102011010249A1 (de) * 2011-02-03 2012-08-09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Medizinisches Gerät
JP2013104246A (ja) * 2011-11-15 2013-05-30 Nishimura Seiko:Kk 扉ロック装置
CN102817513A (zh) * 2012-09-07 2012-12-12 铜陵日科电子有限责任公司 仓门快速锁紧机构
KR101736348B1 (ko) * 2013-07-30 2017-05-16 인테바 프로덕츠 엘엘씨. 전자 오버라이드를 가지는 차량 도어 래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0907A (ja) * 1994-08-17 1996-03-05 Atsushi Miyahara 施錠出来る引き違いサッシュ用戸締クレセント
US20060220392A1 (en) * 2005-03-30 2006-10-05 Sanyo Electric Co., Ltd. Door unit for cold storage
KR20110075997A (ko) * 2009-12-29 2011-07-06 (주)대한과학 냉동장치용 도어의 핸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9779B1 (en) 2020-01-08
EP3339779A4 (en) 2018-10-17
JPWO2017068984A1 (ja) 2018-05-24
CN108027195B (zh) 2020-09-01
WO2017068984A1 (ja) 2017-04-27
CN108027195A (zh) 2018-05-11
US20180216376A1 (en) 2018-08-02
KR102045162B1 (ko) 2019-11-14
JP6392466B2 (ja) 2018-09-19
US10309135B2 (en) 2019-06-04
EP3339779A1 (en)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7694B2 (en) Cabinet for a recreational vehicle
US10400479B2 (en) Door zoom-up latch having adjustable backset and digital door lock device having same
US11739559B2 (en) Exit trim with simplified lever handing
BR212019008386Y1 (pt) Trinco de compressão com retenção de chave
WO2018032690A1 (zh) 左右开门机构及冰箱
KR20180042331A (ko) 핸들 및 프리저
US4048822A (en) Locks for doors and the like
WO2015078316A1 (zh) 双向开门装置及具有该装置的冰箱
US20170292774A1 (en) Refrigerator
KR100659975B1 (ko) 냉동고용 폭발방지 도어 안전잠금장치
KR100479006B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20140093448A (ko) 냉장고
KR102004434B1 (ko) 냉장고
JP6737682B2 (ja) 冷却貯蔵庫の扉
KR100783838B1 (ko) 버스용 냉온장고 뚜껑의 로킹구조
CN112878815B (zh) 一种平开冷库门
KR100260916B1 (ko) 냉장고의 도어 록킹장치
JP2520300B2 (ja) 左右両開扉装置
JP2001032589A (ja) 扉用電気錠
JP3040326U (ja) 左右兼用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2022057127A (ja) 収納装置
KR102036106B1 (ko) 냉장고
JP2001311578A (ja) 冷却貯蔵庫
KR200358646Y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장치
KR19990029025U (ko) 잠금장치를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