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490A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490A
KR20180041490A KR1020160133711A KR20160133711A KR20180041490A KR 20180041490 A KR20180041490 A KR 20180041490A KR 1020160133711 A KR1020160133711 A KR 1020160133711A KR 20160133711 A KR20160133711 A KR 20160133711A KR 20180041490 A KR20180041490 A KR 20180041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mmunication device
control
process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1700B1 (ko
Inventor
김대범
박상민
윤종화
임채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1700B1/ko
Priority to US15/648,051 priority patent/US10378943B2/en
Priority to EP17860063.1A priority patent/EP3526092B1/en
Priority to PCT/KR2017/007780 priority patent/WO2018070646A1/en
Priority to CN201780063687.5A priority patent/CN109843684B/zh
Publication of KR20180041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1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45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the transfer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9/00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 G01F9/02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wherein the other variable is the speed of a vehicle
    • G01F9/023Measuring volume flow relative to another variable, e.g. of liquid fuel for an engine wherein the other variable is the speed of a vehicle with electric, electro-mechanic or electron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67D7/0401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fuelling vehicles, i.e. without human interven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5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docking at a fixed facility, e.g. base station or loading b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light or radio wave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60W2420/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주유소에 존재하는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에 연계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해 차량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차량에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토록 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기 차량이 외부에서 용이하기 인식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기 등이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ADAS(Advanced Driving Assist System)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 운행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와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차량이 주유를 수행할 경우, 차량이 자율적으로 주유를 충전할 수 있는 자율주유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최적화된 방법으로 자율주유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주유소 내에서 자율주행을 통해 자율주유를 수행할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으 또 다른 일 목적은 자율주유를 수행할 때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자율주유와 관련된 최적화된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주유소에 존재하는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에 연계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주유소 내에서 자율주행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자율주행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제어권을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자율주행모드가 선택되면, 주유량 또는 주유금액을 선택하도록 형성된 제1 화면정보 및 상기 주유소 내에서 주유위치를 선택하도록 형성된 제2 화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유량 또는 상기 주유금액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제어권을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제어권을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을 상기 주유소 내에서 자율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을 시작하면, 상기 주유소 내에서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유소 내에서 주유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주유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주유를 수행하는 중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유 중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주유를 완료하는 주유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유소에서 주유 가능한 자리가 없는 경우,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대기시간 및 대기 중 수행 가능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주유가 완료된 경우,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을 상기 주유소 중 일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일 영역에 정차한 경우,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제어권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제어권은, 상기 주유소에서 요구하는 결제가 모두 완료된 경우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제어권이 수신되면, 차량의 수동운전이 가능함을 알리는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화면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이후 수신되는 사용자의 운전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카메라 및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주유소 내에서 상기 차량을 자율주행 시키는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주유소와 관련된 서버에서 생성된 제2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제어명령 및 상기 제2 제어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을 상기 주유소 내에서 자율주행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을 자율주행하고, 상기 제1 제어명령에 따른 차량 제어와 상기 제2 제어명령에 따른 차량 제어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1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주유소에 존재하는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에 연계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주유소 내에서 자율주행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를 상기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자율주행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차량의 제어권을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을 상기 주유소 내에서 자율주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주행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와 차량 간의 새로운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차량 주행중 운전자가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여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2, 도 13, 도 14 및 도 15는 도 9에서 살펴본 제어방법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제공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행 시스템(700)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1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주차 시스템(750)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1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운행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210),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출력부(25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0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 영역, 시트(seat)의 일 영역, 각 필러(pillar)의 일 영역, 도어(door)의 일 영역, 센타 콘솔(center console)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head lining)의 일 영역, 썬바이저(sun visor)의 일 영역, 윈드 쉴드(windshield)의 일 영역 또는 윈도우(window)의 일 영역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스쳐 입력부(212)는, 복수의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또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구조광(Structured light) 방식 또는 디스패러티(Disparity)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스티어링 휠, 센테 페시아, 센타 콘솔, 칵픽 모듈, 도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 심박동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및 햅틱 출력부(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입력부(21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51a 내지 251g)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521a, 251b, 251e), 시트의 일 영역(251d), 각 필러의 일 영역(251f), 도어의 일 영역(251g),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251c), 윈도우의 일영역(251h)에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252)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25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프로세서(2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O)는, 차선(OB10), 타 차량(OB11), 보행자(OB12), 이륜차(OB13), 교통 신호(OB14, OB15),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주행 차선, 주행 차선의 옆 차선, 대향되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일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차선(Lane)을 형성하는 좌우측 선(Lin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타 차량(OB11)은, 차량(100)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차량(OB11)은, 차량(100)보다 선행 또는 후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OB12)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하고, 2개의 바퀴를 이용해 움직이는 탈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바퀴를 가지는 탈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륜차(OB13)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일 수 있다.
교통 신호는, 교통 신호등(OB15), 교통 표지판(OB14), 도로면에 그려진 문양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빛은, 타 차량에 구비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일 수 있다. 빛은, 가로등에서 생성된 빛을 수 있다. 빛은 태양광일 수 있다.
도로는, 도로면, 커브, 오르막, 내리막 등의 경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지면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가로등, 가로수, 건물, 전봇대, 신호등,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지형물은, 산, 언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및 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31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310a),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310b) 또는 360도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을 프로세서(37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100)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은,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적외선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 광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전자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초음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적외선 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복수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프로세서(3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45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송 관리 서버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닛이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통신 장치(4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0)에 프로세서(4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4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조향 입력 장치(510),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차량(100)내 각종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 샤시 구동부(620), 도어/윈도우 구동부(630), 안전 장치 구동부(640), 램프 구동부(650) 및 공조 구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 장치(6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파워 트레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동력원 구동부(611) 및 변속기 구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차량(100)의 동력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 기반의 모터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전진(D), 후진(R), 중립(N) 또는 주차(P)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변속기 구동부(612)는, 전진(D) 상태에서, 기어의 물림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샤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조향 구동부(621), 브레이크 구동부(622) 및 서스펜션 구동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브레이크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휠에 걸리는 제동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복수의 서스펜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차량(100) 내의 도어 장치(door apparatus) 또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도어 구동부(631) 및 윈도우 구동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도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어의 개방,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트렁크(trunk) 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썬루프(sunroof)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632)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차량(100) 내의 각종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에어백 구동부(641), 시트벨트 구동부(642) 및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641)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구동부(641)는, 위험 감지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차량(100) 내의 시트벨트 장치(seatbelt appar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위험 감지시, 시트 밸트를 이용해 탑승객이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에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후드 리프트 및 보행자 에어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보행자와의 충돌 감지시,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에어백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650)는, 차량(100) 내의 각종 램프 장치(lamp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차량(100)의 각종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운행 시스템(700)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및 주차 시스템(750)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스템(700)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하위 개념일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차량 구동 장치(60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부(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100)은 차량 제어 장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는,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봤을 때,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는 제어부(170)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제어 장치(800)는, 제어부(170)와 독립된 별도의 구성일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가 제어부(170)와 독립된 구성요소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는 차량(100)의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 제어 장치(800)를 제어부(170)와 독립된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 제어 장치(800)에 대하여 설명하는 기능(동작) 및 제어방법은, 차량의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 장치(800)와 관련하여 설명한 모든 내용은, 제어부(170)에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차량 제어 장치(800)는,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 및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 및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별도의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8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는 통신부(810), 카메라(820), 센싱부(830), 디스플레이부(840) 및 프로세서(8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10)는, 앞서 설명한 통신장치(400)일 수 있다. 통신부(810)는, 외부에 존재하는 통신 가능한 장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장치와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부(810)는, 주유소(또는 전기충전소)에 존재하는 통신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810)는, 주유소에 존재하는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영역에 진입하면, 프로세서(870)(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주요소에 존재하는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영역에 진입함에 따라, 상기 통신장치에서 송출된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주유소에 존재하는 통신장치는, 주기적으로(또는 특정 시간마다, 또는 항상) 주유소에 진입하는 차량과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하거나, 차량(100)이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영역(또는 주유소)으로 진입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통신부(810)와 주유소에 존재하는 통신장치는, 상호 데이터, 정보, 제어권, 제어명령, 제어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810)는, 차량 내(또는 차량 제어 장치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차량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모듈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의 구성요소와 통신(또는 전기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카메라(820)는, 차량 주변을 촬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840)는, 앞서 설명한,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포함된 카메라(310)일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카메라(82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또는 프리뷰 영상)에 근거하여, 차량(100)을 자율주행(또는 자율주유)시킬 수 있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카메라(82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 및 차량 주변 환경 등과 같은 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을 자율주행시킬 수 있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820)를 통해 수신된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정보는, 차량(100)이 자율주행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에 포함된 센싱부(830)는, 도 7에서 설명한 오브젝트 검출장치(300)일 수도 있고, 차량(100)에 구비된 센싱부(12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830)는, 차량에 구비된 오브젝트 검출장치(300) 또는 차량(100)에 구비된 센싱부(120)는 독립된 별개의 센싱부일 수 있다. 상기 센싱부(830)가 독립된 센싱부인 경우라도, 상기 센싱부(830)는, 도 7에서 설명한 센싱부(120) 또는 오브젝트 장치(300)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830)는, 상기 오브젝트 검출장치(300)에 포함된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센싱부(120)에 포함된 다양한 종류의 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가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센싱부(830)는, 본 발명의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 정보(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차량의 주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 차량의 무게, 차량의 탑승인원, 차량의 제동력, 차량의 최대 제동력, 차량의 주행모드(자율주행모드인지 수동주행인지 여부), 차량의 주차모드(자율주차모드, 자동주차모드, 수동주차모드), 차량 내에 사용자가 탑승해있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주변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중인 노면의 상태(마찰력), 날씨, 전방(또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 전방(또는 후방) 차량의 상대속도, 주행중인 차선이 커브인 경우 커브의 굴곡률, 차량 주변밝기, 차량을 기준으로 기준영역(일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 상기 일정영역으로 객체가 진입/이탈하는지 여부, 차량 주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주변정보(또는 주변 환경정보)는, 차량의 외부 정보(예를 들어, 주변밝기, 온도, 태양위치, 주변 피사체(사람, 타차량, 표지판 등) 정보, 주행중인 노면의 종류, 지형지물, 차선(Line) 정보, 주행차로(Lane) 정보), 자율주행/자율주차/자동주차/수동주차 모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변정보는,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오브젝트)와 차량(100)까지의 거리, 상기 객체의 종류, 차량이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 주차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객체(예를 들어, 주차선, 노끈, 타차량, 벽 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싱부(830)가 차량 제어 장치(800)에 별도로 구비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서(870)가 센싱부(830)를 통해 어느 정보를 획득한다는 것은, 프로세서(870)가 오브젝트 검출장치(300) 및 차량(100)에 구비된 센싱부(12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어느 정보를 획득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센싱부(830)를 통해 센싱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100)을 자율주행(또는 자율주유)시킬 수 있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센싱부(830)를 통해 센싱된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 및 차량 주변 환경 등과 같은 자율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을 자율주행시킬 수 있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싱부(830)를 통해 센싱된 정보는, 자율주행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명령을 생성하기 위한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부(840)는, 차량(100) 내에 구비된 표시장치로서, 앞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251)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840)는,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1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는 통신부(810)(또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통신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주유소의 통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다양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되는 다양한 정보(화면정보,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래픽 객체, 이미지 등)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800)는, 통신부(810), 카메라(820), 센싱부(830), 디스플레이부(840)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세서(8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70)는, 도 7에서 설명한 제어부(170)일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 및 도 8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에 포함된 프로세서(870)는, 주유소에 존재하는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에 연계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보는, 차량(100)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에 연계된 동작(기능)은,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복수의 동작(기능)들 중 해당 정보에 연계(포함)된 특정 동작(또는 특정 기능)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가 주유소에서 차량을 제어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0,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2, 도 13, 도 14 및 도 15는 도 9에서 살펴본 제어방법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100)이 기름(예를 들어, 휘발유)을 연료로 이용하는 주유소를 대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주유소는, 전기충전소, 수소충전소 및 태양열충전소 등 차량에서 이용하는 연료를 충전할 수 있는 모든 장소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차량(100)의 연료를 충전하는 것이 가능한 주유소(1000) 내에서 사용자의 운전 조작 없이 자율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자율주행은, 사용자의 개입이 없는 자율주유(또는 자동주유) 또는 자율충전(또는, 자동충전)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개입이 없이 기름을 충전하는 자율주유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 자율주유는, 사용자의 개입 없이, 전기, 수소, 태양열 등 차량(100)에서 이용하는 모든 종류의 연료를 충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주유소(1000)에는, 주유소와 관련된 서버(1010), 상기 서버로부터 생성된 정보(신호, 제어명령, 제어신호, 데이터 등)를 차량(100)(또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장치(1020), 차량의 연료를 충전하는 주유기(또는 주유장치, 충전기, 충전장치 등)(1030)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주유소(1000)에는, 카메라 및 센싱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카메라 및 센싱부는, 도 7에서 설명한 카메라(310) 및 센싱부(120)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를 통해 수신된 영상 및 상기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정보는, 서버(1010)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서버(1010)는, 주유소(1000) 내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주유소(1000) 외부에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1010)는, 통신장치(1020)와 통신 가능하도록 유/무선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통신장치(1020)를 통해 정보(신호, 제어명령, 데이터 등)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주유소(1000)에 진입하는 차량(100) 또는 이동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10)는, 주유소(1000)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10)는, 주유소(1000)에서 보유중인(또는 제공할 수 있는) 연료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1010)는, 연료의 양, 입고되는 연료의 양, 차량에게 제공된 연료의 양, 연료 단가, 연료를 차량에 주입하는 주유기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주유기 제고번호, 시간당 주유가능량, 주유기의 소모품 교체시기 등)를 저장하고,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10)는, 주유소(1000)에 구비된 카메라 및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주유소(1000)에 진입하는 차량(100)을 자율주행 시킬 수 있는(또는, 제어할 수 있는)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1010)에서 생성된 제어명령은, 일 예로, 주유소의 통신장치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서버(1010)가 주유소에 구비된 카메라 및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주유소(1000)에 진입한 차량(100)을 자율주행(또는, 자율주유)시킬 수 있는 자율주행을 이용한 자율주유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장치(1020)는, 도 7에서 설명한 본 차량에 구비되는 통신장치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통신장치(1020)와 서버(1010)가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장치(1020)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서버(1010)일 수 있다.
상기 통신장치(1020)는, 주유소(1000)에 진입하는 차량(1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주유소(1000)의 일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주유기(1030)는, 차량에 직접적으로 연료를 주유(충전)할 수 있는 장치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유기(1030)는, 서버(1010) 및 차량(100)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주유기(1030)는, 서버(1010) 및 차량(10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차량(100)에 주입해야할 연료의 양을 설정하고, 상기 양만큼 상기 연료를 상기 차량에 주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유기(10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연료가 상기 차량(100)에 주입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차량(100)에 연료를 주입할 수도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주유기(1030)의 주유 호스와 주유기 손잡이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차량(100)의 주유구로 상기 주유기 손잡이를 삽입하고, 상기 설정된 연료의 양만큼 연료를 상기 차량으로 주입할 수 있다.
주유기가 스스로 차량으로 연료를 주입하는 자동주유기의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주유소(1000)는, 주유소(1000)로 진입하는 차량을 제어하여 자율주행(자율주유)를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주유소(1000) 내에서 자율주행(자율주유)를 수행할 수 있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에서는, 차량(10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와 주유소(1000)에 존재하는 통신장치(1020)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910).
여기서, 통신장치(1020)와 차량(10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는 것은, 차량(10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와 주유소와 관련된 서버(1010)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주유소와 관련된 서버(1010)와 차량(10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는 주유소(1000)에 존재하는 통신장치(1020)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어느 정보(신호, 제어명령, 데이터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근거하여, 주유소(1000)에 존재하는 통신장치(102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주유소(1000)에 구비된 통신장치(1020)와 통신 가능한 영역(a1, a2)에 차량(100)이 진입하면, 상기 통신장치(1020)로부터 통신을 연결하기 위한 신호를 통신부(8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870)는,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장치(102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주유소의 서버(1010)는, 카메라 및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차량(100)이 주유소(1000)의 통신장치(1020)와 통신 가능한 영역(a1, a2)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서버(1010)는, 상기 차량(100)이 상기 통신 가능한 영역(a1, a2)에 진입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를 통신장치(1020)를 통해 차량(100)으로(또는 외부로) 송출할 수도 있고, 상기 차량(100)이 상기 영역(a1, a2) 중 특정 영역(a2)에 일정시간 이상 정차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신호를 통신장치(1020)를 통해 차량(100)으로(또는 외부로) 송출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일정시간은, 상기 신호를 차량으로 송출하기 위해 차량(100)이 상기 특정 영역(a2)에 대기해야 하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변경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통신장치(1020)(또는 서버(1010))와 차량(10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는, 차량(100)에 탑승한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 장치(800)의 디스플레이부(840)에는, 주유소(1000)에 진입하는 것이 감지되면(또는 사용자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주유소(1000)에 구비된 통신장치(1020)(또는 서버(1010))와 통신 연결을 할 것인지 문의하는 화면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이후, 통신 연결이 요청되면, 프로세서(870)는, 통신부(810)를 통해 상기 주유소(1000)에 존재하는 통신장치(1020)와 통신 연결을 위한 신호를 상기 통신장치(1020)(또는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서는, 통신장치(10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에 연계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920).
주유소(1000)에 존재하는 통신장치(1020)(또는 서버(1010))와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100))이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면, 차량(100)은, 상기 통신장치(1020)와 연결된 서버(101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할 수 있다. 즉, 서버(1010)는, 주유소(1000)로 진입하는 차량(100)에 대하여, 상기 차량(100)이 자율주행(또는 자율주유)을 수행하도록 상기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장치(10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는, 서버(1010)에서 생성되어 통신장치(1020)로 전달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에 연계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을 제어한다는 것은, 통신장치(1020)를 통한 서버(1010)의 제어에 의해 차량(100)이 주유소(1000) 내에서 자율주행(또는 자율주유)를 수행한다는 것 및 상기 서버(1010)에서 생성된 정보와 관련된 화면정보를 차량의 디스플레이부(840)에 표시한다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제어 장치(800)는, 도 11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84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차량(100)이 상기 통신장치(1020)와 통신 가능한 영역(a1 또는 a2)에 진입하면, 상기 주유소(1000) 내에서 자율주행(또는 자율주유)를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1110)를 상기 통신장치(1020)(또는 서버(10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상기 정보(111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정보(1110)에는, 상기 주유소(1000) 내에서 차량이 자율적으로 주유를 수행하는 자율주행(또는 자율주유)를 선택할 수 있는 제1 그래픽 객체(1110a) 및 사용자에 의해 주행(주유)를 수행하는 수동주행(또는 수동주유)를 선택할 수 있는 제2 그래픽 객체(1110b)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840)에서 제1 그래픽 객체(1110a)가 선택되면, 자율주행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840)를 통해 자율주행모드가 선택되면, 통신부(810)를 통해 차량(100)의 제어권을 통신장치(1020)(또는 서버(10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디스플레이부(840)를 통해 자율주행모드가 선택되면, 도 11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유량 또는 주유금액을 선택하도록 형성된 제1 화면정보(1120) 및 도 11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주유소(1000) 내에서 주유 위치를 선택하도록 형성된 제2 화면정보(1130)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화면정보(1120) 및 상기 제2 화면정보(1130)는, 사용자 설정 또는 주유소와 관련된 서버에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주유소(1000)가 연료를 가득 채우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화면정보(1120)를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해당 주유소(1000)에서 주유 위치를 서버(1010)에서 자동으로 결정하도록 설정된 경우, 상기 제2 화면정보(1130)를 차량에 존재하는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화면정보(1120)에는, 해당 차량(100)의 연료통의 최대크기 및 센싱부(830)를 통해 센싱된 현재 남아있는 연료 양에 근거하여, 현재 차량(100)의 연료와 관련된 정보(1120a)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제1 화면정보(1120)에는, 통신장치(102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주유소(1000)에서 제공하는 연료의 단가 및 충전속도 등과 같은 주유와 관련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해당 주유소에서 얼마만큼 주유를 할지 보다 쉽게 결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1 화면정보를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1 화면정보(1120)을 통해 주유량 또는 주유금액이 선택되면, 선택된 주유량 또는 선택된 주유금액에 대응하는 금액을 기 연계된 결제수단 정보을 통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해당 결제수단은, 일 예로, 사용자가 이전에 차량과 관련된 결제를 수행하도록 미리 등록해놓은 결제수단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이동 단말기 정보 또는 카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이동 단말기 정보 또는 카드정보를 주유소와 관련된 서버(1010) 또는 외부 결제서버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하고, 결제승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상기 주유량 또는 상기 주유금액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100)의 제어권을 상기 통신장치(10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것은, 디스플레이부(840)를 통해 자율주행모드가 선택되면 차량의 제어권을 통신장치(1020)(또는 서버(1010))로 전송하는 것이지만, 이에 더하여, 프로세서(870)는, 자율주행모드가 선택되고, 결제가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차량(100)의 제어권을 통신장치(1020)(또는 서버(101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화면정보(1130)에는, 통신장치(102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100)이 진입한 주유소(1000)와 관련된 지도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도정보에는, 해당 주유소(1000)에서 사용 가능한 주유기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1130a), 사용 불가능한 주유기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1130b) 및 현재 차량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1130c)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2 화면정보(1130)에서 사용 가능한 주유기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1130a)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그래픽 객체(1130a)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장치(102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1010)는 통신장치(1020)로부터 수신된 그래픽 객체(1130a)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해당 차량(100)이 주유할 주유위치(주유기)를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 화면정보(1130)가 미출력되도록 설정된 경우, 서버(1010)는, 현재 주유소(1000) 내에서 사용 가능한 주유기 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차량(100)이 주유할 주유위치(주유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제어권을 통신장치(1020)로 전송한 후 상기 통신장치(1020)(또는 서버(101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차량(100)을 주유소(1000) 내에서 자율주행(자율주유)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주유소(1000)에서 통신장치(1020)와 통신 가능한 영역(a2)에서 차량(100)의 제어권을 통신장치(1020)로 전송한 후, 상기 통신장치(1020)로부터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차량(100)을 자율주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명령은, 제2 화면정보(1130)에서 선택된 주유위치로 차량을 이동시키기 위한 조향정보 및 속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어명령에 포함된 조향정보 및 속도정보 등에 근거하여, 차량(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은 서버(10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100)을 주유소(1000) 내에서 자율주행(자율주유)시키기 위한 제어명령은 프로세서(870)에 의해 생성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도 11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100)이 자율주행을 시작하면, 상기 주유소(1000) 내에서 상기 차량(100)이 자율주행하는 경로(1140a)를 나타내는 정보(1140)를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1140)에는, 현재 주유소(1000) 내에서 자율주행중인 차량(100)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1140b)도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자율주행중인 차량(100)이 위치가 이동되면, 상기 그래픽 객체(1140b)도 이동시켜 표시할 수 있다.
서버(1010)는, 통신장치(1020)를 통해 차량(100)의 제어권을 수신하면, 주유소(1000)에 구비된 카메라 및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100) 주변 정보 및 주유소(1000) 내 상태정보(주유소 내 객체의 위치, 주유기 위치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서버(1010)는, 상기 센싱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버(1010)는, 통신장치(1020)를 통해 상기 생성된 제어명령을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1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전송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차량을 주유소(1000) 내에서 자율주행(또는 자율주유)시킬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100)이 주유소 내에서 주유위치(1030c)에 도착하면, 통신장치(1020)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100)에 구비된 주유구를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제2 화면정보(1130)에서 선택된 주유 가능한 주유기를 나타내는 그래픽 객체(1130a)에 대응하는 주유위치(주유기)에 도착하면, 차량(100)에 구비된 주유구(1200)를 열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주유가 완료되면, 통신장치(10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열려있는 차량(100)의 주유구(1200)를 닫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프로세서(870)는,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100)이 주유를 수행하는 중 통신장치(10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유 중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정보(1300)를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화면정보(1300)에는, 주유를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알리는 정보(1300a) 및 주유 중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피 객체(1300b)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화면정보(1300)는, 주유를 완료하는 주유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주유를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관련된 정보를 서버(1010)로부터 통신장치(102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상기 주유를 완료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일정시간(예를 들어, 5분) 이상인 경우, 상기 화면정보(1300)를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화면정보(1300)에서 어느 하나의 서비스가 선택되면, 프로세서(870)는, 상기 선택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장치(102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장치(1020)를 통해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서버(1010)는 상기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제어명령을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택된 서비스가 세차인 경우, 프로세서(870)는, 통신장치(1020)(또는 서버(1010))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주유가 끝난 차량을 세차가 가능한 장소로 자율주행시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선택된 서비스가 점검인 경우, 프로세서(870)는, 통신장치(1020)(또는 서버(1010))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차량을 점검하는 것이 가능한 장소로 차량(1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주유뿐만 아니라 차량과 관련된 서비스도 편하게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도 1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유소(1000)에서 주유 가능한 자리가 없는 경우, 도 1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통신장치(102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대기시간(1400a) 및 대기 중 수행 가능한 서비스(1400b)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화면정보(1400)를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할 수 있다.
서버(1010)는 주유소(1000)에서 주유 가능한 주유기가 없는 경우, 현재 주유중인 주유기의 상태 및 주유기 위치에 근거하여, 주유소에 진입한 차량(100)이 주유를 시작하도록 대기해야 하는 시간정보를 산출하고, 산출된 시간정보를 통신장치(1020)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800)(차량(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10)는, 대기 중 상기 차량(100)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통신장치(1020)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800)(차량(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수신된 시간정보 및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대기시간을 알리는 정보(1400a) 및 대기중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객체(1400b)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화면정보(1400)를 차량(100)의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대기시간동안 아무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프로세서(870)는, 도 11b 및 도 11c에서 설명한 화면정보 중 어느 하나를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도 15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100)의 주유가 완료된 경우, 통신장치(1020)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차량(100)을 주유소(1000) 중 일 영역(a3)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 영역(a3)은, 주유소에 구비된 통신장치(1020)와 차량 제어 장치(80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한 영역 중 출구 근처에 위치한 일 영역일 수 있다.
서버(1010)는, 차량(100)에 대한 주유가 완료되면, 차량을 주유소(1000)에서 나갈 수 있도록 차량(100)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어명령을 통신장치(1020)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800)(차량(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수신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차량(100)을 상기 일 영역(a3)으로 자율주행시켜 이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차량(100)이 상기 일 영역(a3)에 정차한 경우, 통신장치(1020)로부터 차량(100)의 제어권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10)는, 차량의 주유가 완료되면, 차량(100)의 수동주행이 가능하도록, 차량의 제어권을 통신장치(1020)를 통해 차량(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위에서는, 차량(100)을 주유소(1000)의 일 영역(a3)으로 이동시킨 후 차량의 제어권을 차량 제어 장치(800)(차량(100))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제어권은, 차량의 주유가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서버(1010)에서 차량 제어 장치(800)(차량(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840)에는, 주유가 완료되면, 결제를 수행할 수 있는 화면정보(1500)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화면정보(1500)는, 서버(1010)에서 통신장치(1020)를 통해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화면정보(1500)에는, 도 15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제금액(1500a) 및 결제수단을 선택할 수 있는 그래픽 객체(1500b)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차량(100)의 제어권은, 주유소(1000)에서 요구하는 결제가 모두 완료된 경우, 통신장치(1020)로부터 차량(10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도 15의 (b)는, 결제가 주유가 완료된 후에 수행되는 일 예를 설명하는 도면일 수 있다.
서버(1010)는, 주유가 완료되고, 차량(100)을 일 영역(a3)으로 이동시킨 후 결제가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차량의 제어권을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의 제어권이 서버(1010)에서 차량(10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로 회수되면, 차량의 디스플레이부(840)에는, 도 15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권이 회수되었음을 알리는 정보(1510)(또는, 차량의 수동제어가 가능함을 알리는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870)는, 상기 차량의 제어권이 통신장치(1020)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정보(1510)를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도 15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100)의 제어권이 수신되면, 차량(100)의 수동운전이 가능함을 알리는 화면정보(1510)를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상기 화면정보(1510)가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된 이후(즉, 차량의 제어권이 수신된 이후) 수신되는 사용자의 운전조작에 근거하여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의 운전조작에 의해 수동주행할 수 있다.
한편, 차량(100)은 주유소의 서버(1010)로부터 생성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자율주행(자율주유)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차량 제어 장치(800)에 포함된 카메라(820) 및 센싱부(830)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생성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자율주행(자율주유)가 가능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 장치(800)의 프로세서(870)는, 차량 제어 장치(800)에 구비된 카메라(820) 및 센싱부(83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주유소(1000) 내에서 차량(100)을 자율주행(자율주유)시키는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통신장치(1020)를 통해 주유소와 관련된 서버(1010)에서 생성된 제2 제어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 제어명령은, 주유소(1000)에 설치된 카메라 및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에 근거하여 서버(1010)에서 차량(100)을 자율주행(자율주유)시키도록 생성된 제어명령일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통신장치(1020)를 통해 서버(1010)에서 생성된 제2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제1 제어명령 및 제2 제어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차량(100)을 주유소(1000) 내에서 자율주행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명령과 제2 제어명령은, 서로 생성된 위치가 다르고, 제어명령을 생성하는데 이용된 정보(예를 들어, 영상 및 센싱 데이터)가 다르므로, 일정 구간에서는 서로 다른 차량제어를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870)는, 일 예로, 통신장치(102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제어명령(즉, 주유소와 관련된 서버(1010)에서 생성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차량(100)을 자율주행할 수 있다. 이는, 차량의 제어권이 서버로 전송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제1 제어명령에 따른 차량 제어와 상기 제2 제어명령에 따른 차량 제어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1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유소의 카메라에서 수신된 영상에서는 촬영되지 않은 객체가 차량 제어 장치의 카메라(820)에서 수신된 영상에서는 촬영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어명령에 따른 차량 제어와 제2 제어명령에 따른 차량 제어가 서로 다른 시점이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870)는, 제1 제어명령에 따른 차량 제어를 수행하여 주유소 내에서 차량을 자율주행시킬 수 있다.
이후, 제1 제어명령에 따른 차량 제어와 제2 제어명령에 따른 차량 제어가 다시 일치하는 경우, 프로세서(870)는, 상기 제2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보다 안전하게 차량을 주유소 내에서 자율주행시킬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프로세서(870)는,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되는 모든 화면정보(예를 들어, 도면부호 1110, 1120, 1130, 1140, 1300, 1400, 1500, 1510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디스플레이부(840)에서 출력 가능한 모든 화면정보가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출력되도록, 통신부(810)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 상기 모든 화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10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와 통신 가능한(또는,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또는 기 인증된)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소유주의 이동 단말기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차량(100) 내에 운전자가 탑승한 경우에는 차량의 디스플레이부(840)에 화면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운전자가 상기 차량(100) 밖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화면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운전자가 탑승중임에 따라 서버(또는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화면정보가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중인 상태에서, 센싱부(830)를 통해 운전자가 차량에서 내리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중인 화면정보를 상기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840)에 출력이 유지될 수도 있고, 사라질 수도 있다. 일 예로, 상기 화면정보는, 운전자 이외의 동승자가 차량(100)에 탑승중인 경우, 출력이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화면정보가 사라지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840)는 다른 화면정보가 출력되거나, 비활성화 상태(예를 들어, 오프(off))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도 11b의 (b)에서 설명한 주유량 또는 주유금액을 선택하도록 형성된 화면정보(1120)가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출력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을 통해 결제가 완료되는 경우, 현재 차량에 구비된 연료량 정보, 결제된 금액에 따른 주유량(연료 충전량) 정보 및 선택된 주유량(연료 충전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더 표시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정보는, 디스플레이부(840)를 통해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840) 및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주유소 접근시 차량(100)이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이거나, 주유소 진입 후 운전자가 미탑승인 경우, 자동으로 자율주유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차량(100)이 자율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연료량이 일정량 이하인 경우, 현재 차량의 위치에 근거하여(또는, 사용자 선택에 근거하여) 어느 하나의 주유소를 선택하고, 선택된 주유소로 차량을 자율주행시킬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자율주행으로 차량(100)이 상기 주유소에 진입하면, 주유소 내에서의 별도의 주행모드 선택 없이, 바로 자율주유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차량(100)이 주유소(1000)에 진입한 후 사용자가 별도의 선택 없이 차량(100)에서 하차하면, 자동으로 자율주유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자율주행모드로 차량이 주유소로 진입하거나, 주유소에 진입한 후 운전자가 하차하는 경우, 도 11b의 (a)에 도시된 화면정보(1110)의 출력 없이(즉, 디스플레이부(840)(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한 사용자 선택 없이) 자율주유모드로 바로 진입할 수 잇다.
일 예로, 프로세서(870)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주유소가 차량(100)을 자율주행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요소(예를 들어, 서버, 통신장치)가 구비된 주유소인 경우 자동으로 자율주유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840)(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한 주유소 내에서의 주행모드 선택 없이 자율주유모드에 진입한 경우, 차량의 디스플레이부(840) 또는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는 도 11b의 (a)에서 설명한 화면정보(1110)가 미출력될 수 있다.
또한, 주유량 또는 주유금액은, 차량(10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에 기 설정된 주유량 또는 기 설정된 주유금액으로 선택되거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870)는, 차량이 자동으로 자율주유모드에 진입하면, 이동 단말기(또는 디스플레이부(840))에 주유량 또는 주유금액을 선택하도록 형성된 화면정보(1120) 및 주유위치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한 화면정보(1130)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자동으로 자율주유모드에 진입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840) 및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할 수 있다.
운전자가 차량(100)에서 하차함에 따라 자율주유모드에 자동으로 진입한 경우, 프로세서(870)는, 상기 운전자가 차량(100)에 탑승하면, 현재 자율주유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 또는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840)(또는 이동 단말기)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정보는, 일 예로, 주유가 완료된 후 또는 차량이 주유소(1000)의 특정 영역(a3)에 위치한 경우 또는 상기 특정 영역(a3)에서 결제가 완료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840)(또는 이동 단말기)에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주행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와 차량 간의 새로운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차량 주행중 운전자가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여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차량 제어 장치(800)는, 차량(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차량 제어 장치(800)의 동작 또는 제어방법은, 차량(100)(또는 제어부(170))의 동작 또는 제어방법으로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제어방법(또는 차량제어장치(800)의 제어방법)은, 주유소에 존재하는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계 및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정보에 연계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100)의 제어방법(또는 차량제어장치(800)의 제어방법)은, 차량이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영역에 진입하면, 주유소 내에서 자율주행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를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자율주행모드가 선택되면, 차량의 제어권을 통신장치로 전송하고,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차량을 주유소 내에서 자율주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 단계는, 차량 제어 장치(800)뿐만 아니라, 차량(100)에 구비된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차량 제어 장치(800)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 구성 또는 제어방법들은, 차량(100)에 구비된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모든 제어방법은, 차량의 제어방법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주유소에 존재하는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에 연계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주유소 내에서 자율주행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를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자율주행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차량의 제어권을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자율주행모드가 선택되면, 주유량 또는 주유금액을 선택하도록 형성된 제1 화면정보 및 상기 주유소 내에서 주유위치를 선택하도록 형성된 제2 화면정보 중 어느 하나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유량 또는 상기 주유금액에 대한 결제가 완료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제어권을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제어권을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한 후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을 상기 주유소 내에서 자율주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을 시작하면, 상기 주유소 내에서 상기 차량이 자율주행하는 경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주유소 내에서 주유위치에 도착하면,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주유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주유를 수행하는 중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주유 중 수행 가능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주유를 완료하는 주유시간이 일정시간 이상일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주유소에서 주유 가능한 자리가 없는 경우,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근거하여 대기시간 및 대기 중 수행 가능한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된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주유가 완료된 경우,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을 상기 주유소 중 일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이 상기 일 영역에 정차한 경우,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제어권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제어권은,
    상기 주유소에서 요구하는 결제가 모두 완료된 경우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량의 제어권이 수신되면, 차량의 수동운전이 가능함을 알리는 화면정보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고,
    상기 화면정보가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된 이후 수신되는 사용자의 운전조작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카메라 및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주유소 내에서 상기 차량을 자율주행 시키는 제1 제어명령을 생성하며,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주유소와 관련된 서버에서 생성된 제2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제1 제어명령 및 상기 제2 제어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을 상기 주유소 내에서 자율주행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을 자율주행하고,
    상기 제1 제어명령에 따른 차량 제어와 상기 제2 제어명령에 따른 차량 제어가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제1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19. 주유소에 존재하는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에 연계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통신장치와 통신 가능한 영역에 진입하면, 상기 주유소 내에서 자율주행을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정보를 상기 차량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자율주행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차량의 제어권을 상기 통신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을 상기 주유소 내에서 자율주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60133711A 2016-10-14 2016-10-14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861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711A KR101861700B1 (ko) 2016-10-14 2016-10-14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15/648,051 US10378943B2 (en) 2016-10-14 2017-07-12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EP17860063.1A EP3526092B1 (en) 2016-10-14 2017-07-19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a vehicle
PCT/KR2017/007780 WO2018070646A1 (en) 2016-10-14 2017-07-19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N201780063687.5A CN109843684B (zh) 2016-10-14 2017-07-19 车辆上安装的车辆控制装置和车辆的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3711A KR101861700B1 (ko) 2016-10-14 2016-10-14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490A true KR20180041490A (ko) 2018-04-24
KR101861700B1 KR101861700B1 (ko) 2018-05-28

Family

ID=61903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3711A KR101861700B1 (ko) 2016-10-14 2016-10-14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78943B2 (ko)
EP (1) EP3526092B1 (ko)
KR (1) KR101861700B1 (ko)
CN (1) CN109843684B (ko)
WO (1) WO201807064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583B1 (ko) * 2019-05-24 2020-03-04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한 결제를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0105872A1 (ko) * 2018-11-21 2020-05-2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차량 내부에서의 결제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9427B2 (en) * 2017-08-03 2019-10-0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etermining a fuel quantity to charge a vehicle battery
US10948920B2 (en) * 2017-08-23 2021-03-16 Blackberry Limited Methods and systems for autonomous vehicle refuelling
KR102494364B1 (ko) * 2017-09-26 2023-02-03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차량 제어 시스템, 차량 외장형 전자 제어 유닛, 차량 제어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US10978024B2 (en) * 2017-10-17 2021-04-13 Pilot Travel Centers, LLC Speed of service system
WO2019136404A1 (en) 2018-01-05 2019-07-11 Todd Petersen Transportation systems and related methods
EP3784535A4 (en) * 2018-04-25 2022-09-28 Tanku Ltd. METHOD AND SYSTEM FOR CARRYING OUT REFUELING OPERATIONS
US20190047841A1 (en) * 2018-09-28 2019-02-14 Intel Corporation Data exchange and re-supply infrastructure for vehicles
ES2764165A1 (es) * 2018-11-30 2020-06-02 Seat Sa Unidad central de vehiculo
JP2022518615A (ja) * 2019-02-18 2022-03-15 ニコラ・コーポレーション 水素充填及び充電のための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20210033311A (ko) * 2019-09-18 2021-03-2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결제 시스템 및 방법
US11443260B1 (en) 2019-10-07 2022-09-13 Dbd Design Inc. System for managing an integrated drive-through restaurant and carwash facility providing estimated wait times via a graphical user interface
DE102019219826A1 (de) * 2019-12-17 2021-06-1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tankung eines Fahrzeugs
CN113060695A (zh) * 2021-04-22 2021-07-02 陈文义 一种四加油位的加油机及其应用的加油系统
CN113391637A (zh) * 2021-07-20 2021-09-14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DE102021208098A1 (de) 2021-07-27 2023-02-02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anken eines Fahrzeuges an einer Wasserstofftankstell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99660A (ja) * 1999-09-30 2001-04-13 Toshiba Corp 無線通信によるガソリンスタンドに対する管理システム
JP2003281243A (ja) * 2002-03-26 2003-10-03 Osaka Gas Co Ltd 車両用の燃料ガス供給管理システム
JP2006168509A (ja) * 2004-12-15 2006-06-29 Mazda Motor Corp 自動走行制御装置
JP2007233771A (ja) * 2006-03-01 2007-09-13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自律移動型の車両誘導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9161232A (ja) * 2008-01-09 2009-07-23 Denso Corp 車両用給油システム及び燃料の車載管理装置
US20170113845A9 (en) * 2010-02-06 2017-04-27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Spout forming strip remnant
KR101532855B1 (ko) 2011-01-31 2015-06-30 도요타 지도샤(주) 차량 제어 장치
JP5340335B2 (ja) * 2011-03-24 2013-11-13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FR2977977B1 (fr) * 2011-07-13 2013-08-30 Trixell Procede de commande d'un detecteur photosensible par detection automatique d'un rayonnement incident
JP2013185854A (ja) * 2012-03-06 2013-09-19 Nissan Motor Co Ltd 充電施設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298223B1 (ko) 2012-06-01 2013-08-22 김현민 전기자동차용 무선충전 시스템 및 그충전방법
JP5972066B2 (ja) * 2012-06-21 2016-08-17 三菱電機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
JP5755607B2 (ja) * 2012-07-27 2015-07-29 株式会社東芝 磁気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239085B2 (en) * 2012-08-03 2016-01-19 Caterpillar Inc. Reduced parasitic hydraulic fan system with reversing capability
KR20140073131A (ko) 2012-12-06 2014-06-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Cctv카메라 연동의 자동 주차 제어 방법
US9632210B2 (en) * 2013-05-07 2017-04-25 Googl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cting weather conditions using vehicle onboard sensors
US9169114B2 (en) * 2013-04-15 2015-10-27 Charles Roland Butler, Jr. Automated system for fueling vehicles
EP2894532B1 (en) * 2014-01-10 2018-12-26 Honda Research Institute Europe GmbH Sensor cleaning system for an autonomous robot device, base station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1660103B1 (ko) 2014-04-22 2016-09-30 중소기업은행 주유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9720418B2 (en) * 2014-05-27 2017-08-01 Here Global B.V. Autonomous vehicle monitoring and control
KR20160015028A (ko) 2014-07-30 2016-02-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격 자율주행 제어 시스템, 원격 자율주행 제어를 지원하는 차량용 장치 및 차량의 원격 자율주행을 제어하는 방법
CN104778788A (zh) * 2015-04-22 2015-07-15 王礼 汽车自动加油并付费系统
US9805519B2 (en) * 2015-08-12 2017-10-31 Madhusoodhan Ramanujam Performing services on autonomous vehicles
CN105894669A (zh) * 2016-04-28 2016-08-24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无人驾驶车辆自动加油的方法、装置及系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5872A1 (ko) * 2018-11-21 2020-05-2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차량 내부에서의 결제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시스템
JP2022511432A (ja) * 2018-11-21 2022-01-31 パーキングクラウド・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車両内部における決済のための電子装置及びシステム
KR102084583B1 (ko) * 2019-05-24 2020-03-04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한 결제를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WO2020242140A1 (ko) * 2019-05-24 2020-12-03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한 결제를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1700B1 (ko) 2018-05-28
CN109843684B (zh) 2022-05-27
EP3526092A4 (en) 2020-06-17
EP3526092B1 (en) 2024-03-27
WO2018070646A1 (en) 2018-04-19
EP3526092A1 (en) 2019-08-21
CN109843684A (zh) 2019-06-04
US20180106654A1 (en) 2018-04-19
US10378943B2 (en) 2019-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700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4261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7969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74871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22009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57796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46940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92416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09204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7362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49352B1 (ko)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의 동작 방법
KR20190086601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79695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78105A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910385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41173A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71776A (ko) 자율 주행 차량
KR20180051225A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08422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890677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90055559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19681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88263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29816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1916731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