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145A - 박리성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박리성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145A
KR20180041145A KR1020187005516A KR20187005516A KR20180041145A KR 20180041145 A KR20180041145 A KR 20180041145A KR 1020187005516 A KR1020187005516 A KR 1020187005516A KR 20187005516 A KR20187005516 A KR 20187005516A KR 20180041145 A KR20180041145 A KR 20180041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composition
solids
weight
acrylic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6525B1 (ko
Inventor
슈준 쉬
유런 양
야오방 리
얀 궈
밍큐 유
바오킹 젱
Original Assignee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filed Critical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041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0Aqueous medium with the aid of macromolecular disper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08F2/30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non-io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08K5/175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containing COOH-groups; Esters or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45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2Five-membered rings
    • C08K5/3475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467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more than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08K5/3477Six-membered rings
    • C08K5/3492Triaz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e.g. temporary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8Cellulose derivatives
    • C08L1/26Cellulos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특히 UV 노출 후 양호한 박리성 및 바람직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코팅 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박리성 코팅 조성물.

Description

박리성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박리성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박리성 코팅(제거가능한 보호성 코팅물이라고도 함)은 일정한 기간 동안, 예를 들면, 날카로운 물체와의 접촉, 변색 가능한 색상 바디를 지닌 물체, 및 산성비와 자외선(UV)과 같은 부정적인 환경 조건으로 인해 표면이 손상되는 것으로부터 보호해준다. 코팅물을 보호해야 하는 시간 간격이 수개월 또는 심지어 수년이 될 수 있지만, 이러한 일시적 코팅은 그들이 제공하는 보호 수준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제거 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거가능한 보호성 코팅물의 필요성은 예를 들면, 차량, 선박, 가전제품, 컴퓨터, 가구, 스포츠 장비, 및 이들이 제조되는 부품, 뿐만 아니라 건축 자재의 생산, 저장 및 유통 중에 존재한다. 여전히 본래의 표면을 드러내려면, 코팅된 선박에 "조립 라인에서 막 벗어난" 외관을 유지하기 위해,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하부 층에 손상을 주지 않으면서, 노동 집약적인 프로세스에 의존하지 않고, 임의의 추가의 물질(예를 들면, 용매, 산, 염기, 및 수성 세제)의 사용, 또는 폐기물 스트림의 생성 없이 전체 코팅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WO2008/063411A2는 자동차 및 다른 생성물의 외부 표면을 보호하기 위한 박리성 보호성 코팅 조성물을 개시한다. 코팅 조성물은 폴리비닐 부티랄 피막형성제, 및 증량제를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 또는 용액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 또는 용액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나, UV 노출 후 수득된 박리성 코팅은 평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를 들면, UV 노출의 유해한 효과로부터 기판을 보호하는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 필름은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단일 시트로서 쉽게 제거된다.
본 발명은 기판의 표면에 적용되어, 예를 들면 UV 노출과 같은 다양한 부정적인 환경 조건에 부딪쳐서 표면이 바람직하게는 연속 시트로서, 쉽게 제거가능한 것으로부터 보호를 제공하는 코팅물을 형성할 수 있는 박리성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코팅 조성물로 박리성 코팅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박리성 코팅 조성물로서,
(a) 아크릴 (공)폴리머의 수성 분산물로서, 상기 수성 분산물이 수용성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안정제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아크릴 (공)폴리머가 중합 단위로서, 산-작용기를 함유하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 (공)폴리머의 수성 분산물;
(b) pH 3 내지 pH 8에서 등전점을 갖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c)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1 고형물 중량% 내지 15 고형물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코어-쉘 폴리머 입자의 분산물로서, 상기 폴리머 입자가 건조시 적어도 하나의 공극을 포함하는, 코어 -쉘 폴리머 입자의 분산물; 및
(d) 광 흡수제, 광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제2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박리성 코팅 조성물로서,
(a)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60 고형물 중량% 내지 95 고형물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아크릴 (공)폴리머의 상기 수성 분산물로서, 상기 분산물은 수용성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공)폴리머는 산-작용기를 함유하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의 중합 단위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아크릴 (공)폴리머의 상기 수성 분산물;
(b) pH 3 내지 pH 8에서 등전점을 갖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c)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1 고형물 중량% 내지 15 고형물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코어-쉘 폴리머 입자의 분산물로서, 상기 폴리머 입자가 건조시 적어도 하나의 공극을 포함하는, 코어-쉘 폴리머 입자의 분산물; 및
(d)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의 광 흡수제, 광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제3 측면에서, 본 발명은 박리성 코팅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1) 기판의 표면의 제1 및 제2 측면에 박리성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2) 코팅 조성물을 건조시키거나 또는 건조되게 하는 단계.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아크릴 (공)폴리머의 수성 분산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아크릴 (공)폴리머는 중합 단위로서, 하나 이상의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산 모노머를 포함하는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를 지칭한다. 아크릴 (공)폴리머는 결합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은 (메트)아크릴산, (메트)알킬 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및 그것의 변형된 형태 예컨대 (메트)하이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이 문서에서, 단어 "(메트)아크릴"은 "메타크릴" 및 "아크릴" 둘다를 지칭한다.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은 메타크릴산 및 아크릴산 둘다를 지칭하고,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틸 아크릴레이트 둘다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아크릴 (공)폴리머는 중합 단위로서, 하나 이상의 비이온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이온성 모노머는 pH가 1 내지 14 사이에서 이온성 전하를 띠지 않는 모노머를 지칭한다. 적합한 비이온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산의 (메트)알킬 또는 알케닐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레일(메트)아크릴레이트, 팔미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트)아크릴레이트, 노닐(메트)아크릴레이트, 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기타 동종의 것; (메트)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부틸 아크릴레이트는 비이온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로서 사용된다. 다른 적합한 비이온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는 예를 들면, 스티렌 및 치환된 스티렌 예컨대 .알파.-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t-부틸 스티렌, 비닐톨루엔; 에틸렌, 프로필렌, 1-데센; 또는 다른 비닐 모노머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부티레이트, 비닐 버사테이트 및 다른 비닐 에스테르, 염화비닐, 비닐리덴 염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아크릴 (공)폴리머는 하나 이상의 다중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다중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의 예는 부타디엔,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디비닐 벤젠,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다중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는 아크릴 (공)폴리머의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중합 단위로서, 0 내지 5중량%, 0.1% 내지 3중량%, 또는 0.5% 내지 1.5중량%로 존재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서 유용한 아크릴 (공)폴리머는 중합 단위로서, 산-작용기를 함유하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음"은 산-작용기를 함유하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가 아크릴 (공)폴리머의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중합 단위로서, 0 내지 1중량%,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0.1중량% 미만으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산-작용기를 함유하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옥시프로피온산; (메트)아크릴옥시프로피온산; 이타콘산; 아코니트산; 말레산 또는 무수물; 푸마르산; 크로톤산;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모노메틸 푸마레이트; 모노부틸 푸마레이트; 모노메틸 이타코네이트를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카복실산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2-포스포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비닐 포스폰산, 및 알릴 포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설폰산의 나트륨 염; 2-아크릴아미도-2-메틸-1-프로판 설폰산의 암모늄 염; 나트륨 비닐 설포네이트; 알릴 에테르 설포네이트의 나트륨 염을 포함하는 디하이드로젼 포스페이트 모노머와 같은 인 산 모노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서 유용한 아크릴 (공)폴리머는 아크릴 폴리머, 스티렌-아크릴 코폴리머, 비닐아세테이트-아크릴 코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아크릴 (공)폴리머는 아크릴 (공)폴리머의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중합 단위로서, 60% 내지 100중량%,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00중량%의, (메트) 알킬 또는 (메트)아크릴산의 알케닐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및 0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중량%의 상기 기재된 스티렌 및 치환된 스티렌 또는 비닐 모노머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아크릴 (공)폴리머는 아크릴 (공)폴리머의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중합 단위로서, 15% 내지 85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 및 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중량%의, 스티렌, 치환된 스티렌, 또는 비닐 모노머, 예컨대 스티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및 15% 내지 85중량%,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중량%, 및 더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50중량%의, (메트)아크릴산의 하나 이상의 (메트) 알킬 또는 알케닐 에스테르, 예컨대 부틸 아세테이트로부터 선택된 비이온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포함한다.
상기 기재된 모노머의 유형 및 수준은, 중합 단위로서, 상이한 용도에 적합한 유리전이 온도(Tg)를 갖는 아크릴 (공)폴리머를 제공하도록 선택되어질 수 있다. 아크릴 (공)폴리머의 Tg는 -10℃ 내지 30℃, -5℃ 내지 25℃ 또는 0℃ 내지 20℃의 범위일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Tg 값은 폭스 방정식(T.G. Fox, Bull. Am. Physics Soc., Volume 1, Issue No. 3, page 123 (1956))을 사용하여 계산된 값이다. 예를 들면, 모노머 M1 및 M2의 코폴리머의 Tg를 계산하기 위해,
Figure pct00001
여기서 T g (calc.)는 코폴리머에 대해 계산된 유리전이 온도이고, w(M 1 )는 코폴리머 내 모노머 M1의 중량 분율이고, w(M 2 )는 코폴리머 내 모노머 M2의 중량 분율이고, T g (M 1 )는 M1의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이고 T g (M 2 )는 M2의 호모폴리머의 유리전이 온도이고, 모든 온도는 K이다. 모노머의 유리전이 온도는 예를 들면, 문헌[J. Brandrup 및 E.H. Immergut(Interscience Publishers)에 의해 편집된 "Polymer Handbook"]에서 찾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유용한 아크릴 (공)폴리머 분산물은 안정제로서 수용성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를 포함한다. 적합한 수용성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메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는 안정제로서 사용된다. 분산물 중 수용성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에테르의 양은 아크릴 (공)폴리머의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0.1중량% 이상, 0.5중량% 이상, 또는 심지어 0.8중량% 이상, 및 동시에, 2중량% 이하, 1.5중량% 이하, 또는 심지어 1.0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아크릴 (공)폴리머의 수성 분산물은 상기에 기재된 모노머의 현탁 중합 또는 유화 중합과 같이 당해 기술에서 잘 알려진 중합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유화 중합은 문헌[D. C. Blackley, Emulsion Polymerization (Wiley, 1975)]에 상세하게 논의된 바람직한 방법이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문헌[H. Warson, The Applications of Synthetic Resin Emulsions, Chapter 2(Ernest Berm Ltd., London 1972)]에 논의되었다. 아크릴 (공)폴리머 입자의 수성 분산물을 제조하기 위한 유화 중합 기술은 폴리머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다중 단계 중합 방법을 포함한다. 각각의 모노머에 대해서, 수성 분산물의 제조에 사용된 모노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한 모노머의 농도는 아크릴 (공)폴리머의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한 공중합된 모노머의 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안정제로서 수용성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에테르는 유화 중합을 위해 다른 성분과 혼합되기 전에 먼저 물에 용해될 수 있다. 유화 중합은 계면활성제의 존재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및/또는 비이온성 유화제, 예를 들면, 알킬, 아릴, 알킬아릴 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염; 알킬 설폰산; 설포석시네이트 염; 지방산; 에틸렌성 불포화 계면활성제 모노머; 및 에톡실레이트화된 알코올 또는 페놀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된 계면활성제의 양은 모노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0.1% 내지 6중량%이다.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된다. 유화 중합 공정에 적합한 온도는 100℃ 미만, 30℃ 내지 95℃의 범위, 또는 50℃ 및 90℃의 범위일 수 있다. 모노머의 혼합물은 순수하게 또는 물 중 에멀젼으로서 첨가될 수 있다. 모노머 혼합물은 하나 이상의 첨가물로 또는 반응 기간에 걸쳐 계속해서, 선형으로 또는 비선형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첨가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모노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중합 이전 또는 중합 중에 첨가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일부는 또한 중합 후에 첨가될 수 있다.
유화 중합 공정에서, 자유 라디칼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자유 라디칼 개시제의 예는 과산화수소, 나트륨 과산화물, 칼륨 과산화물, t-부틸 하이드로퍼옥사이드, 큐멘 하이드로퍼옥사이드, 암모늄 및/또는 알칼리 금속 퍼설페이트, 나트륨 퍼보레이트, 과인산, 및 그것의 염; 칼륨 과망간산염, 및 과산화이황산의 암모늄 또는 알칼리 금속 염을 포함한다. 자유 라디칼 개시제는 전형적으로 모노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3.0중량%의 수준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환원제와 결합된 상기 기재된 개시제를 포함하는 산화환원 시스템은 유화 중합 공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환원제의 예는 나트륨 설폭실레이트 포름알데하이드, 아스코르브산, 이소아스코르브산, 황-함유 산의 알칼리 금속 및 암모늄 염, 예컨대 아황산나트륨, 바이설파이트, 티오설페이트, 하이드로설파이트, 설파이드, 하이드로설파이드 또는 디티오나이트, 포르마딘설핀산, 하이드록시메탄설폰산, 아세톤 바이설파이트, 글라이콜산, 글라이옥실산 수화물, 락트산, 글리세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및 상기 산의 염을 포함한다. 철, 구리, 망간, 은, 백금, 바나듐, 니켈, 크로뮴, 팔라듐, 또는 코발트의 금속 염을 촉매하는 산화환원 반응이 사용될 수 있다. 금속용 킬레이트제는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화 중합 공정에서, 하나 이상의 사슬 이동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사슬 이동제의 예는 3-머캅토프로피온산, 도데실 메르캅탄, 메틸 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부틸 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벤젠티올, 아젤라산 알킬 메르캅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존재하는 경우, 사슬 이동제는 모노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중량%, 0.05% 내지 3중량%, 또는 0.1% 내지 2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유화 중합이 완료된 후, 중화제로서 유기 염기 및/또는 무기 염기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염기는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산화아연, 모노-에탄올아민, 트리에틸 아민, 디에틸 아민, 디메틸 아민, 나트륨 보레이트, 칼륨 보레이트, 알루미늄 수산화물,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중화제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수성 아크릴 (공)폴리머 분산물은 수성 아크릴 (공)폴리머 분산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70중량%의 고형물, 35% 내지 60중량%의 고형물, 또는 40% 내지 50중량%의 고형물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유용한 수성 아크릴 (공)폴리머 분산물은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고형물 중량% 이상, 75 고형물 중량% 이상, 또는 심지어 80 고형물 중량% 이상, 및 동시에, 95 고형물 중량% 이하, 90 고형물 중량% 이하, 또는 심지어 85 고형물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코어-쉘 폴리머 입자의 분산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입자는 건조시, 하나 이상의 공극을 포함한다. 그와 같은 공극 입자는 종종 상기 Blackley 또는 Warson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유화 중합 공정에 의해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불투명한 폴리머"로서 당해 기술에 언급된다. 더 구체적으로, 불투명한 폴리머는 가장 통상적으로 수성 다단계 유화 중합을 통해 형성되어 코어-쉘 폴리머 입자를 형성한다. 코어-쉘 폴리머 입자의 코어는 건조 시, 가시광을 산란시킬 수 있는, 즉 그것이 포함된 조성물에 불투명도를 제공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공극을 포함한다. 코어-쉘 입자의 하나 이상의 공극은, 건조 시, 예를 들면, 코어 폴리머의 완전한 또는 부분적인 가수분해 및 용해에 의해, 상기 입자의 후속 붕괴가 제한된 산, 염기 또는 비이온성 유기 제제 등으로 코어 폴리머를 팽윤시킴으로써, 그리고 유사한 방법으로 생성된다. 코어-쉘 입자는 바람직하게는 수성 다단계 유화 중합에 의해 형성되고, 그 다음 염기로 팽윤된다. 그와 같은 다단계 공정은 미국특허 번호 4,427,836; 4,468,498; 4,469,825; 4,594, 363; 4,677,003; 4,910,229; 4,920,160; 4,970,241; 5,157,084; 5,494,971; 5,510,422; 6,139,961; 6,632,531; 6,896,905 및 8,470,910; 뿐만 아니라 유럽특허 출원 EP 267,726, EP 331,421 및 EP 915,108에 개시되어 있다.
일 구현예에서, 코어-쉘 폴리머 입자는 다단계 폴리머이다. 바람직한 다단계 폴리머의 단계는 코어 단계 폴리머("코어"), 및 쉘 단계 폴리머("쉘")를 포함한다. 코어 및 쉘 각각은 독립적으로, 1 초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중간 단계일 수 있다. 중간 단계 폴리머는 존재할 때, 코어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캡슐화하고 그 자체는 쉘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캡슐화된다. 중간 단계는 코어의 존재하에 유화 중합을 수행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다단계 폴리머의 코어는 에멀젼 폴리머이고 중합 단위로서, 코어 폴리머의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100중량%, 20% 내지 60중량%, 또는 30% 내지 50중량%의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및 0 내지 95중량%의 적어도 1종의 비이온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포함한다. 코어 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적어도 5중량%의 적어도 1종의 친수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함유하는 코어는 일반적으로 적합한 팽윤 정도를 일으킬 것이다. 코어 폴리머는 단일 단계 또는 다단계 중합의 단계로 제조될 수 있거나 순서대로 복수의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코어 폴리머를 제조하기에 유용한, 적합한 친수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는 산-작용기를 함유하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예컨대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옥시프로피온산; (메트)아크릴옥시프로피온산; 이타콘산; 아코니트산; 말레산 또는 무수물; 푸마르산; 크로톤산; 모노메틸 말레에이트; 모노메틸 푸마레이트; 모노부틸 푸마레이트; 모노메틸 이타코네이트 및 기타 동종의 것을 포함하는 적어도 1종의 카복실산기를 함유하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코어 폴리머를 제조하기에 적합한 비이온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는 아크릴 (공)폴리머에 사용하기 위해 상기 기재된 것들을 포함한다.
단일 단계 공정 또는 몇 개의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의해 수득되든 상관없이 코어는 비-팽윤된 조건에서 직경 50 나노미터(nm) 내지 1.0 마이크론 또는 100 nm 내지 300 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코어가 사전 형성된 또는 씨드 폴리머로부터 수득되는 경우, 씨드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30 nm 내지 200 nm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다. 코어는 또한, 코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0.1% 내지 20중량% 또는 0.1% 내지 10중량%의 다중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함유할 수 있고, 여기서 사용된 양은 일반적으로 사용된 친수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의 양에 대략적으로 직접 비례한다. 대안적으로, 코어 폴리머는 코어 폴리머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60중량%의 부타디엔을 함유할 수 있다. 적합한 다중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는 알킬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크릴레이트, 예컨대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1-트리메틸올 프로판 디(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 벤젠; 비닐 (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및 기타 동종의 것을 포함한다.
다단계 폴리머의 쉘을 형성할 때 중합 단위로서 사용되는 모노머, 및 쉘에서 그것의 상대 비율은 코어를 팽윤시킬 수 있는 수성 또는 기체성 휘발성 또는 고정된 기본 팽윤제를 투과할 수 있는 모노머이어야 한다. 다중 쉘이 이용되는 경우, 쉘의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서 모든 쉘의 총 조성물로 취해진다. 스티렌은 바람직한 모노머이다. 대안적인 구현예에서, 쉘은 쉘의 중량을 기준으로, 다중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한다. 적합한 다중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는 코어 폴리머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본원에 개시된 것들이다. 쉘은 중합 단위로서 쉘의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35%, 0% 내지 10%, 또는 0.1% 내지 10중량%의 하나 이상의 산-작용기를 함유하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예컨대 코어 폴리머에서 사용하기 위해 기재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쉘 폴리머 중 산-작용성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의 비율은 코어 폴리머에서의 그것의 비율의 1/3을 초과하지 않는다. 존재하는 경우, 코어 대 중간 단계의 중량 비는 전형적으로 1:0.5 내지 1:10의 범위 또는 1:1 내지 1:7의 범위이다. 코어 대 쉘의 중량 비는 전형적으로 1:5 내지 1:20의 범위 또는 1:8 내지 1:15의 범위이다. 쉘 폴리머의 양은, 쉘 폴리머가 단일 단계 또는 복수의 단계로 형성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전형적으로 비팽윤 조건(pH를 약 6 이상으로 올리기 위한 임의의 중화 이전)에서 예컨대 70 nm 내지 4.5 마이크론, 100 nm 내지 3.5 마이크론, 200 nm 내지 2.0 마이크론, 또는 300 nm 내지 2000 nm의 다단계 폴리머 입자의 전체 크기를 제공한다. 친수성 코어 폴리머가 완전히 캡슐화되는 경우, 1 시간 및 실온의 분석 조건하에서 알칼리 금속 염기로 적정되지 않는다. 캡슐화의 정도는 쉘 중합 과정 중에 샘플을 제거하고 수산화나트륨으로 적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코어-쉘 라텍스 폴리머 입자의 공극은 쉘을 침투하고 코어를 확장시키는 수성 기본 팽윤제로 산-함유 코어를 팽윤시킴으로써 생산된다. 이러한 확장은 코어의 외주부가 쉘의 내주부의 기공 내부로 부분적으로 합쳐지는 것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쉘 및 전체 입자 전체를 부분적으로 확대 또는 부풀게한다. 팽윤제가 건조에 의해 제거될 때, 코어의 수축은 미세 공극을 발생시키며, 그것의 크기는 쉘의 이전의 크기로의 복원에 대한 저항에 따라 좌우된다. 코어에 대한 적합한 팽윤제는 예를 들면, 암모니아, 수산화암모늄,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예컨대 수산화나트륨), 및 휘발성 더 낮은 지방족 아민(예컨대 트리메틸아민 및 트리에틸아민)을 포함한다. 팽윤 단계는 임의의 다단계 쉘 중합 단계 중에, 임의의 단계적 중합 단계 사이, 또는 다단계 중합 방법의 마지막에서 발생할 수 있다.
건조 시, 하나 이상의 공극을 함유하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코어-쉘 폴리머 입자는 예를 들면 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입수가능한 ROPAQUE™ 불투명한 폴리머(ROPAQUE는 The Dow Chemical Company의 상표명이다), Arkema의 CELOCOR™ 불투명한 폴리머, Hankuck Latices Co., Ltd.의 HIQUE™ 불투명한 폴리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조성물에서 이러한 코어-쉘 폴리머 입자의 양은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1 고형물 중량% 이상, 2 고형물 중량% 이상, 3 고형물 중량% 이상, 또는 심지어 5 고형물 중량% 이상, 및 동시에, 15 고형물 중량% 이하, 12 고형물 중량% 이하, 10고형물 중량% 이하, 또는 심지어 8 고형물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양쪽성 계면활성제 (즉, 양친매성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산성 및 염기성 작용기를 모두 가지며 당해 기술에서 예를 들면, 문헌[Amphoteric Surfactants, ed. B.R. Bluestein and C.L. Hilton, Surfactant Series Vol. 12 Marcel Dekker NY, NY(1982)]에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pH = 3 내지 pH = 8에서 등전점을 갖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등전점은 각각의 양쪽성 계면활성제에 대한 특징적인 pH에서 발생하고, 계면활성제 분자 상의 음전하가 동일한 분자 상의 양전하에 의해 정확하게 균형잡힌 pH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약산성 작용기, 특히 카복시 작용기를 갖는 것들을 포함한다. 카복시 모이어티는 완전히 양성자화된 (카복실산) 형태로, 적어도 1종의 양이온 유형의 염으로서, 그리고 양성자화된 형태와 염 형태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카복실산 모이어티는 또한, 분자내 염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분자내 염은 음이온성으로 충전된 모이어티, 반대 이온(즉, 양이온)이 또한 동일한 분자에 부착된 모이어티를 갖는 분자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유용한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아미노카복실산, 양쪽성 이미다졸린 유도체, 베타인, 및 거대분자 양쪽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들 부류의 임의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플루오로카본 치환체, 실록산 치환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추가의 유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문헌[Amphoteric Surfactants, ed. B.R. Bluestein and C.L. Hilton, Surfactant Series Vol. 12 Marcel Dekker NY, NY (1982)]에서 찾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유용한 아미노카복실산은 양성자화된 형태 또는 카복실레이트 형태로 존재하는 카복시 모이어티를 가질 수 있다. 분자 상에 1 초과의 카복시기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 카복시기는 모두 양성자화된 형태, 카복실레이트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양성자화된 형태와 카복실레이트 형태의 일부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더욱이, 양성자화된 카복시 모이어티 대 비양성자화된 카복시 모이어티의 비율은 소정의 시스템에서 하나의 분자에서 또 다른 것으로, 그렇지 않으면 동일한 분자로 다양할 수 있다. 카복실레이트 모이어티에 대한 반대 이온으로서 존재하는 양이온은 리튬, 나트륨, 칼륨, 아민(즉, 아민의 양성자화 또는 다른 4차 치환으로부터 유래된 암모늄 양이온), 아연, 지르코늄, 칼슘, 마그네슘, 및 알루미늄의 양이온을 포함한다. 임의의 아미노카복실산은 양성자화된 (암모늄) 형태 또는 유리 아민 형태(즉, 탈양성자화된 기본적인, 2차, 또는 3차 아민)로 존재하는 아미노 모이어티를 가질 수 있다. 1 초과 아미노기가 분자 상에 존재하는 경우, 이들 아미노기는 모두 양성자화된 형태, 유리 아민 형태로 존재할 수 있거나, 양성자화된 형태 및 유리 아민 형태의 일부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양성자화된 아민 모이어티 대 비양성자화된 아민 모이어티의 비율은 주어진 시스템에서 하나의 분자에서 또 다른 분자, 그렇지 않으면 동일한 분자로 다양할 수 있다. 암모늄 모이어티에 대해 반대 이온으로서 존재하는 음이온은 염화물, 브로마이드, 설페이트, 카보네이트, 수산화물, 포르메이트,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및 다른 카복실레이트 음이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유용하고 적합한 아미노카복실산은 예를 들면, R1-NH-CH2COOH의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α-아미노카복실산(식 중, R1은 C4-C20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알케닐, 또는 플루오로 또는 실리콘 작용성 소수성 물질 그룹임); 및 R1-NH-CH2CH2COOH 및 R1N(CH2CH2COOH)2의 일반적인 구조를 갖는 β-아미노카복실산을 포함하며; 식 중, R1은 α-아미노카복실산에 대해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다. β-아미노카복실산은 Henkel Corporation(펜실베니아, 킹 오브 프러시아)의 DERIPHAT™라는 이름으로 시판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DERIPHAT 양쪽성 물질은 일반 식 R2-NHCH2CH2COOH를 가지며, 식 중, R2은 코코넛 지방산의 잔기, 탈로우 지방산의 잔기, 라우르산, 미리스트산, 올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리놀레산, 다른 C4-C20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알케닐,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하고 적합한 아미노카복실산의 예는 나트륨-N-코코-β-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N-코코-β-아미노프로피온산; N-라우릴/미리스틸-(3-아미노프로피온산; 디나트륨-N-탤로우-β-이미노디프로피오네이트, R2N(CH2CH2COONa)2; 디나트륨 -N-라우릴-β-이미노디프로피오네이트; 및 N-라우릴-β-이미노디프로피온산의 부분적인 나트륨 염, 및 R2N(CH2CH2COOH)(CH2CH2COONa)을 포함한다. 유용한 폴리아미노카복실산은 R3C(=O)NHC2H4(NHC2H4)xHCH2COOH 및 R3-치환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를 포함하며, 여기서 R3은 C4-C20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또는 알케닐이고, x는 0 내지 3이다.
본 발명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유용한 양쪽성 이미다졸린 유도체는 5-원 고리의 1 및 3 위치에서 질소 원자 및 2, 3 위치에 이중 결합을 갖는 다양하게 치환된 2-알킬-2-이미다졸린 및 2-알케닐-2-이미다졸린으로부터 유래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알킬 또는 알케닐기는 C4-C20 선형 또는 분지형 사슬일 수 있다. 양쪽성 이미다졸린 유도체는 나트륨 클로로아세테이트,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산과 같은 알킬화제와의 추가 반응을 허용하는 조건 하에서 이미다졸린 고리가 가수분해되는 반응을 통해 제조된다. 1-(2-하이드록시에틸)-2-(R4)-2-이미다졸린(R4 = 코코넛 지방산 잔류물)과 아크릴산 또는 아크릴산 에스테르와의 반응으로부터 유래된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코코암포카복시프로피온산; R4-C(=O)NHCH2CH2N(CH2CH2OH)(CH2CH2COONa); 코코암포프로피오네이트;
R4-C(=O)NHCH2CH2N(CH2CH2COOH)(CH2CH2OCH2CH2COOH); R4-C(=O)NHCH2CH2N(CH2CH2COONa)(CH2CH2OCH2CH2COONa); 코코암포글리시네이트,
R4-C(=O)NHCH2CH2N(CH2CH2OH)(CH2COONa); 코코암포카복시프로피오네이트; 코암포카복시글리시네이트; 및 [R4-C(=O)NHCH2CH2N+(CH2CH2OH)(CH2COONa)2]OH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유용한 베타인은 적어도 1종의 4차 암모늄 양이온 및 적어도 1종의 카복시 음이온을 함유하는 표면-활성 분자내 염을 지칭한다. 베타인의 명명법은 베타인이라고 불리는 단일 화합물(트리메틸암모니오)아세테이트에서 비롯되며 분자내 염으로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 유용하고 적합한 베타인은 예를 들면, 일반 식: R5CONHCH2CH2CH2N+(CHs)2CH2COO-; R5-O-CH2-N+(CH3)2CH2COO-; 및 R5N+(CH3)2CH2COO-의 화합물을 포함하며, 식 중, R5은 C4-C20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 알케닐, 또는 플루오로 또는 실리콘 작용성 소수성 물질 그룹이다. 베타인의 구체적인 예는 Solvay Chemicals로부터 이용가능한 N-도데실-N,N-디메틸글리신 및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MONATERIC™ CAB, 및 MIRANOLTM CM-SF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플루오로카본 치환체가 상기 기재된 양쪽성 계면활성제에 결합되는 경우, 이들 치환체는 6 내지 18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형 또는 비분지형 퍼플루오로알킬기이다. 그러나, 이들 치환체는 그 대신으로 부분적으로 불소화될 수 있다. 이들은 또한, 아릴 작용기를 가질 수 있다. 적합한 플루오로카본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예는 3M으로부터 이용가능한 불소화된 알킬 FLUORAD™ FC100 및 DuPont로부터 이용가능한 불소화된 알킬 ZONYL™ FSK를 포함한다.
전형적인 실록산 작용성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하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R은 양쪽성 모이어티를 나타내고 n은 3 내지 50이고 m + n은 3 내지 50이다. 일 예는 Goldschmidt Chemical Corporation으로부터 이용가능한 폴리알킬 베타인 폴리실록산 코폴리머 ABIL™ B9950이다.
본 발명에 유용한 거대분자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단백질, 단백질 가수분해물, 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유도체, 전분 유도체, 및 합성 양쪽성 올리고머 및 폴리머, 예컨대 문헌[Chapter 5 of Amphoteric Surfactants, ed. B.R. Bluestein and C.L. Hilton, Surfactant Series Vol. 12 Marcel Dekker, NY, 1982]에 기재된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한 유용성은 카복시 작용기를 갖는 거대분자 양쪽성 물질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 중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아크릴 (공)폴리머의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6.0중량%, 0.25% 내지 5.0중량%, 또는 0.5%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광 흡수제, 광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바람직하게는 자외선(UV) 광 흡수제 또는 UV 광안정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광 흡수제 및 광안정제는 힌더드 아민; 벤조페논; 트리아진; 옥사닐라이드; 벤조트리아졸, 구체적으로 하이드록시페닐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상표명 "TINUVIN"의 BASF로부터 입수가능한 수많은 것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의 전형적인 예는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 벤조트리아졸, 바람직하게는 TINUVIN 1130이다. 적합한 UV 광안정제의 예로는 비스-(1-옥틸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닐) 세바케이트(예컨대 TINUVIN 123) 및 2,4-비스[N-부틸-N-(1-사이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아미노]-6-(2-하이드록시에틸아민)-1,3,5-트리아진(예컨대 TINUVIN 152)을 포함한다. 코팅 조성물에서 광 흡수제 및 광안정제는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 0.2% 내지 5중량%, 또는 0.5% 내지 1.5중량%의 조합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소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소포제"는 발포체의 형성을 감소시키거나 방해하는 화학 첨가제를 지칭한다. 소포제는 실리콘계 소포제, 광유계 소포제, 에틸렌 옥사이드/프로필렌 옥사이드계 소포제, 알킬 폴리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소포제는 예를 들면, Evonik Industrials로부터 둘다 이용가능한 TEGOTM Air실시예 902 W 및 TEGO Foam실시예 1488 폴리에테르 실록산 코폴리머 에멀젼, BYK 로부터 이용가능한 BYKTM-024 실리콘 소포제, San Nopco로부터 이용가능한 NOPCO™ NDW 및 NXZ 광유 소포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소포제는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1중량%, 0.01% 내지 0.8중량%, 또는 0.1 내지 0.5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레올로지 조절제"로도 공지된 하나 이상의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증점제는 폴리비닐 알코올(PVA), 점토 물질, 산 유도체, 산 코폴리머, 우레탄 회합성 증점제(UAT), 폴리에테르 우레아 폴리우레탄(PEUPU),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PEPU),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증점제의 예로는 알칼리 팽윤성 에멀젼(ASE) 예컨대 나트륨 또는 암모늄 중화된 아크릴산 폴리머; 소수성으로 변형된 알칼리 팽윤성 에멀젼(HASE) 예컨대 소수성으로 변형된 아크릴산 코폴리머; 연관 증점제 예컨대 소수성으로 변형된 에톡실레이트화된 우레탄(HEUR); 및 셀룰로오스 증점제 예컨대 메틸 셀룰로오스 에테르,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소수성으로-변형된 하이드록시 에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복시메틸 2-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2-하이드록시에틸 메틸 셀룰로오스, 2-하이드록시부틸 메틸 셀룰로오스, 2-하이드록시에틸 에틸 셀룰로오스, 및 2-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증점제는 HEUR을 기반으로 한다. 증점제는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3중량%, 0.1% 내지 2중량%, 또는 0.3% 내지 1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유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유착제"는 주위 조건하에 폴리머 입자를 연속 필름 내로 융합시키는 느린-증발 용매를 지칭한다. 적합한 유착제의 예는 2-n-부톡시에탄올, 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헥실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n-프로필 에테르, n-부틸 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유착제는 디프로필렌 글리콜 n-부틸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n-부틸 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유착제는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10중량%, 0.1% 내지 9중량%, 또는 1% 내지 8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코팅 조성물의 pH 값을 약 7 내지 11 또는 약 7 내지 9의 범위로 조정하기에 충분한 양으로 사용되는, 상기 기재된 하나 이상의 중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코어-쉘 폴리머 입자와 상이한 무기 충전제 또는 추가의 유기 충전제를 포함하지 않거나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충전제는 이로부터 수득된 코팅 필름의 박리성을 손상시키기 않는 양으로 코팅 조성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코팅 조성물은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5% 미만, 바람직하게는 2중량%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중량% 미만,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0.5중량% 미만의 조합된 양으로 무기 충전제 또는 추가의 유기 충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기 충전제 및 추가의 유기 충전제의 예로는 실리카 졸, 폴리에틸렌(PE) 왁스 예컨대 The Keim-Additive Co.로부터 이용가능한 ULTRALUBE™ E-340 PE 왁스 에멀젼, BYK Additives and Instruments로부터 이용가능한 CERAFLOUR™ 929 미분화된 PE 왁스, Deuteron Co.로부터 이용가능한 DEUTERON™ MK 폴리우레아 소광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된 성분이외에,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하기 첨가제의 임의의 하나 또는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완충액, 분산제, 휴멕턴트, 살흰곰팡이제, 살생물제, 피막방지제, 착색제, 유동제, 산화방지제, 가소제, 평활제, 및 분쇄 비히클. 이들 첨가제는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0 내지 5중량% 또는 0.01% 내지 2중량%의 조합된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코팅 기술 분야에 공지된 기술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아크릴 (공)폴리머의 수성 분산물, 양쪽성 계면활성제, 코어-쉘 폴리머 입자의 분산물, 광 흡수제 및/또는 광안정제를 혼합함으로써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다른 선택적인 성분이 첨가될 수 있다. 수성 코팅 조성물 중 성분은 본 발명의 수성 코팅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해서 임의의 순서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언급된 선택적인 성분 중 임의의 성분은 또한, 혼합 중 또는 혼합되기 전에 조성물에 첨가되어 수성 코팅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그것으로부터 수득된 코팅 즉, 기판에 도포된 코팅 조성물을 건조한 후 양호한 박리성을 갖는 코팅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QUV 노출 전 그리고 심지어 노출 후에도 실시예 부분에 기재된 박리 시험에 따라, 4 이상, 또는 심지어 5의 박리성 수준으로 코팅을 제공한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금속 표면 또는 도장된 금속 표면에 도포될 때 2 뉴튼/인치(N/in) 미만, 바람직하게는 1 N/in 미만의 박리 강도를 갖는다. 용어 "도장된 금속 표면"은 금속 표면이 용제 코팅물, 예컨대 용제 에폭시 코팅물 및 2-성분 폴리우레탄 코팅물, 또는 수성 아크릴 코팅물에 의해 코팅된 것을 의미한다. 박리 강도는 하기 실시예 부분에 기재된 FINAT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코팅의 높은 인장 강도는 또한 코팅이 그것의 사용 기간 동안 충분한 내구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현예에서, 코팅 조성물은 JG/T172-2005 방법에 따라 적어도 8 MPa, 적어도 12 MPa, 또는 적어도 13 MPa의 인장 강도를 갖는 코팅을 제공한다. 박리성 코팅을 제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형성하는 단계, 코팅 조성물을 기판에 도포하는 단계, 및 도포된 코팅 조성물을 건조 또는 건조시켜 박리성 코팅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은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코팅 조성물을 기판에 도포하는 단계, 및 도포된 코팅 조성물을 건조시키거나 또는 건조되게 하는 단계.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브러싱, 침지, 롤링 및 분무를 포함하는 현직 수단에 의해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코팅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분무에 의해 도포된다. 분무 예컨대 공기-분무화된 스프레이, 공기 스프레이, 에어리스 스프레이, 고용적 저압 스프레이, 및 정전 분무 예컨대 정전 벨 적용, 및 수동 또는 자동 방법에 대한 표준 분무 기술 및 설비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이 기판에 도포된 후에, 코팅 조성물은 실온에서(20 내지 25℃), 또는 고온, 예를 들면, 35℃ 내지 60℃에서 건조 또는 건조시켜 박리성 필름(즉, 박리성 코팅)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성 코팅 조성물은 다양한 기판에 도포 및 접착될 수 있다. 적합한 기판의 예로는 목재, 금속, 플라스틱, 발포체, 돌, 엘라스토머 기판, 유리, 패브릭, 콘크리트, 시멘트성 기판, 또는 미리-코팅된 기판을 포함한다. 코팅 조성물은 다양한 코팅 적용, 예컨대 선박 및 보호 도장, 자동차 코팅물, 목재 코팅물, 일반적인 금속 코팅물, 코일 코팅물, 지붕 코팅물, 플라스틱 코팅물, 분말 코팅물, 캔 코팅물, 및 토목용 코팅물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선박 코팅물에 특히 적합하다. 수성 코팅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른 코팅물과의 조합으로 사용하여 다층 코팅물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하기 실시예에 기재될 것이며, 여기서 모든 부 및 백분율은 달리 구체화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하기 물질은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이용가능한 ROPAQUE Ultra E 불투명한 중공 구형체 폴리머 안료("Ultra E")는 코어 쉘 구조를 지니며 유기 충전제로서 사용되는 폴리머 입자를 포함한다.
Everlight Chemical로부터 이용가능한 EVERSORBTM AQ1 ("AQ1")은 벤조트리아졸과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HALS)의 혼합물이다.
Everlight Chemical로부터 이용가능한 EVERSORB AQ3 ("AQ3")은 변형된 벤조트리아졸이고 UV 흡수제로 사용된다.
Everlight Chemical로부터 이용가능한 EVERSORB AQ4 ("AQ4")는 HALS이다.
Solvay Chemicals로부터 이용가능한 MIRATAINE™ CAB ("CAB")은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이고 양친매성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된다.
Eastman Chemical Company로부터 이용가능한 텍사놀™ 에스테르 알코올은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모노이소부티레이트이고 유착제로서 사용된다.
The San Nopco로부터 이용가능한 NOPCO™ NDW는 광유이고 소포제로서 사용된다.
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이용가능한 ANGUS™ AMP-95 ("AMP-95")는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고 중화제로서 사용된다(ANGUS는 The Dow Chemical Company의 상표명이다).
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이용가능한 ACRYSOL™ TT615는 소수성으로 변형된 알칼리 팽윤성 에멀젼이고 레올로지 조절제로서 사용된다(ACRYSOL은 The Dow Chemical Company의 상표명이다).
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이용가능한 KATHON™ LX-150은 이소티아졸론이고 살생물제로서 사용된다(KATHON은 The Dow Chemical Company의 상표명이다).
BASF Chemicals로부터 이용가능한 DISPONIL™ SLS("SLS")는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이고 알킬 페닐 에톡실레이트(APEO)가 없는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된다.
The Solvay Chemicals로부터 이용가능한 RHODAFAC™ RS-610 포스페이트 염은 폴리옥시에틸렌 트리데실 에테르 포스페이트 염이고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된다.
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이용가능한 트리톤™ X-405("X-405")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옥틸페닐 에테르이고 계면활성제로서 사용된다(트리톤은 The Dow Chemical Company의 상표명이다).
DEUTERON™ MK 폴리우레아 소광제("MK")는 Deuteron Co.로부터 이용가능하고 유기 충전제로서 사용된다.
Akzo Nobel Company로부터 이용가능한 BINDZIL™ 2040은 실리카 디옥사이드 에멀젼이고 무기 충전제로서 사용된다.
BYK Additives and Instruments로부터 이용가능한 CERAFLOUR™ 929는 미분화된 변형된 폴리에틸렌(PE) 왁스이고 유기 충전제로서 사용된다.
GE Toshiba Silicones로부터 이용가능한 SILQUEST™ A-171("A-171")은 비닐트리메톡시실란이고 가교결합제로서 사용된다.
DuPont로부터 이용가능한 Ti-순수한™ R-706은 표면 개질된 이산화티타늄 분말이고 무기 충전제로서 사용된다.
하기 표준 분석적 설비 및 방법은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다.
박리 시험
박리 시험은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필름의 제거 또는 박리의 용이성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코팅 조성물은 용제 에폭시 사전-코팅된 패널 상에 분무되어 약 300 내지 400 ㎛의 두께를 가진 습성 필름을 형성한다. 30 분(min) 플래시 건조 후, 패널을 약 2 시간 동안 80℃ 의 오븐에 넣는다. 수득된 패널은 약 100 내지150 ㎛의 건조 필름 두께를 갖는다.
상기 수득된 패널의 일부를 직접 시험하여 필름(즉, QUV 노출 전의 박리성)의 박리성을 측정한다. 상기 수득된 다른 패널을 추가로 QUV 가속화된 풍화 테스터(Q-Lab Co.에 의해 제조된 모델: QUV/분무-67)의 QUV 챔버에 넣어서 2-주 노출시켰다. 그 다음, QUV 노출 후 패널을 꺼내서 24 시간 동안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그 다음 QUV 노출 후 박리성을 결정하기 위해 시험한다. 노출 전후의 필름의 박리성은 아래와 같이 결정된다.
필름을 패널(각각 QUV 이전 패널 및 QUV 이후 패널)로부터 손으로 박리시키고 제거의 용이성(즉, 박리성)을 위해 1 내지 5의 척도로 등급을 매긴다:
등급 1은 필름을 손으로 제거하기 매우 어렵고 공구의 도움으로 제거되는 경우 제거 공정 중에 조각으로 부서지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등급 2는 필름을 손으로 떼어내기가 어렵고 연속 시트로 벗겨지지 않고 조각으로 부서지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등급 3은 필름을 많은 노력으로 손으로 떼어내고 패널에 잔류 조각을 20%초과로 남겨둘 수 있음을 의미한다;
등급 4는 필름을 적은 노력으로 손으로 떼어내고 연속 시트로 벗겨지거나 5% 미만으로 잔류 조각을 남겨둘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및
등급 5는 필름을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연속 시트로서 거의 노력없이 제거된다는 것을 의미한다(즉 필름이 파단되지 않음).
인장 시험
코팅 조성물은 도포기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종이 상에 도포되고 400 ㎛ 두께의 습성 필름을 형성한다. 습성 필름을 일정한 온도 및 습도 조건(25℃ 50%RH)하에서 14일 동안 건조한다. 수득된 건조 필름(두께: 150 ± 50㎛)의 인장 강도는 Universal Testing Machine(AI-7000M, Gotech Testing Machines Co., Ltd.)을 사용하여 JG/T 172-2005 방법(중국)에 따라 측정한다. 적어도 8 MPa의 인장 강도를 갖는 필름이 바람직하다.
박리 강도 시험
박리 강도(180°)는 Universal Mechanical Tester Instron Model 5943을 사용하여 FINAT 시험 방법(no. 1, FINAT Technical Handbook 7th edition, 2005)에 따라 측정된다(조(jaw) 분리 속도: 분당 300mm, ±2%의 정확도, 시험 온도: 23±2℃ ).
금속판 및 용제의 에폭시 사전-코팅된 금속판을 먼저 철저하게 청소한다. 코팅 조성물을 금속 시험 플레이트 또는 사전-코팅된 금속판에 각각 도포하고 실온에서 7 일 동안 건조시킨다. 그 다음, 기계 방향으로 25 mm 폭과 175 mm의 최소 길이를 갖는 코팅 스트립이 수득된다(건식 코팅 필름 두께: 약 150±50 ㎛). 그 다음, 코팅 스트립은 코팅 필름을 180°각도로 박리하여 시험한다. 적어도 3 개의 코팅 스트립을 각각의 샘플에 대해 측정하고 박리 강도의 평균 값을 보고한다.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의 제조
모노머 혼합물의 제조: The Dow Chemical Company(ECOSURF는 The Dow Chemical Company의 상표명임)으로부터 이용가능한 에톡실레이트화된 프로폭실화된 알코올을 포함하는 ECOSURFTM SA-9 계면활성제(26.28 그램(g), 99.97중량%의 고형물)를 교반하면서 모노머 탱크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 비닐 아세테이트(VA)(1532.88g) 및 부틸 아크릴레이트(BA)(270.00g)를 수득한 계면활성제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여 모노머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TERGITOLTM 15-S-40 계면활성제(91.44g, 70.0중량%의 고형물)를 함유하는 용액, The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이용가능한 2차 알코올 에톡실레이트(테르지톨은 The Dow Chemical Company의 상표명임),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HEC)(15.84g) 및 탈이온화된(DI) 물(253.08g)을 열전쌍, 냉각 콘덴서 및 진탕기가 구비된 4-구, 5 리터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85℃로 가열시켰다. 모든 HEC가 용해되었을 때, NOPCO NDW(99.8%, 2.16g)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촉진제로서 수성 제일철 설페이트 용액(3.24g 탈이온수 중 0.01g 제일철 설페이트)을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초기 촉매로서 수성 나트륨 퍼설페이트(SPS) 용액(28.08g 탈이온수 중 0.95g SPS)을 플라스크에 추가로 첨가하였다. 그 다음 상기 수득된 모노머 혼합물을 220 분 이내에 플라스크에 직접 공급하였다. 온도는 75 내지 77℃로 유지하였다. 그 다음 170.0 g 탈이온수 중 수성 SPS 촉매 용액(170g 탈이온수 중 0.95g SPS) 및 아세트산나트륨의 수성 완충 용액(5.00g) 및 아세트산(2.45g)을 220분에 걸쳐 0.88 g/min의 속도로 플라스크에 공급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76 ℃에서 10분 동안 유지한 다음, 제1 체이서 촉매로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t-BHP)(12.56g 탈이온수 중 0.24g t-BHP) 및 제1 체이서 활성제로서 중황산나트륨(SBS)(5.75g 탈이온수 중 0.15g SBS)을 냉각하는 동안 샷으로서 첨가하였고, 그 다음, 70℃ 초과에서 약 20분 동안 유지하였다. 그 다음 제2 체이서 촉매(8.2g 탈이온수 중 2.3g t-BHP) 및 제2 체이서 활성제(8.2g 탈이온수 중1.65g SBS)를 0.3 g/min의 속도로 공급하였다. 수득한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켜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계산된 Tg: 20℃ 입자 크기: 약 380 nm, 고형물: 55.0%)을 수득하였다.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I의 제조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동일한 절차에 따라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I를 제조하였다. 단, 모노머 혼합물은 아래와 같이 제조하였다:
모노머 혼합물의 제조: 교반하면서 모노머 탱크 중 450.5 g의 탈이온수에 ECOSURF SA-9 계면활성제(26.28g, 99.97중량%의 고형물)를 첨가하였다. 그 다음 VA(1000.88g), BA(780.00g), 아크릴산(AA)(30.1g) 및 A-171(15.8g)을 수득한 계면활성제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여 모노머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I는 하기 특성을 갖는다: 계산된 Tg: 10℃ 입자 크기: 280 nm, 및 고형물: 55%.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II의 제조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은 동일한 절차에 따라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II를 제조하였다. 단, 모노머 혼합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모노머 혼합물의 제조: 교반하면서 모노머 탱크 중 450.5g 탈이온수에 ECOSURF SA-9 계면활성제(26.28g, 99.97중량%의 고형물)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스티렌(ST)(885.88g) 및 BA(880.00g)을 수득한 계면활성제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여 모노머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II은 하기 특성을 갖는다: 계산된 Tg: 22℃ 입자 크기: 380 nm, 및 고형물: 55%.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V의 제조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를 제조하기 위해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동일한 절차를 따라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V를 제조하였다. 단, 모노머 혼합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모노머 혼합물의 제조: 교반하면서 모노머 탱크 중 450.5 g 탈이온수에 ECOSURF SA-9 계면활성제(26.28g, 99.97중량%의 고형물)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MMA)(885.88g) 및 BA(880.00g)을 수득한 계면활성제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여 모노머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V는 하기 특성을 갖는다: 계산된 Tg: 22℃ 입자 크기: 380 nm, 및 고형물: 55%.
실시예 (Ex) 1
AMP-95를 상기 수득된 아크릴 라텍스 결합제 I에 첨가하여 결합제를 약 7 내지 9의 pH 값으로 중화시켰다. 고속 분사기를 사용하여 400 내지 800 rpm의 속도 범위로 진탕하면서 Ultra E(10.0g 30중량%의 고형물)를 30분에 걸쳐 결합제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 텍사놀 유착제(2.0g, 100중량%의 고형물)을 2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CAB 계면활성제(2.0g, 35중량%의 고형물)와 AQ1 광 흡수제(1.0g, 90중량%의 고형물)의 혼합물을 30분에 걸쳐 추가로 공급하였다. 그 다음 ACRYSOL TT-615 레올로지 조절제(0.8g, 30중량%의 고형물)을 20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마지막으로, KATHON LX-150 살생물제(0.50g, 1.4중량%의 고형물) 및 NOPCO NDW 소포제(0.50g, 20중량%의 고형물)을 첨가시켜 코팅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내지 8 및 비교(Comp) 실시예 A 내지 K
실시예 2 내지 8의 코팅 조성물 및 비교 실시예 A 내지 I를 표 1 내지 3에 제공된 제형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동일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 실시예 J 및 K의 코팅 조성물을 상기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동일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 안료는 코팅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성분과 혼합되기 전에 Dow Chemical Company로부터 이용가능한 OROTAN™ CA-2500 다중산 분산제(OROTAN은 The Dow Chemical Company의 상표명임)에 의해 분산되었다.
수득된 코팅 조성물을 상기 기재된 시험 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수득된 코팅 필름의 특성은 표 1 내지 3에 나타낸다.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 실시예 A, C 및 D는 QUV 노출 후 요구된 박리성을 달성하지 못했다. 산 모노머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비교 실시예 B의 코팅 조성물에 대한 결합제 II는 또한 QUV 노출 후 불량한 박리성을 갖는 코팅을 제공했다.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SLS, RS-610 또는 X-405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은 QUV 노출 전후에 불량한 박리성을 갖는 코팅을 제공했다(비교 실시예 E 내지 G). 유기 충전제 예컨대 PE 왁스 및 폴리우레아 분말을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비교 실시예 H 및 I)은 또한 QUV 노출 전후에 불량한 박리성을 갖는 코팅을 제공했다. 무기 충전제 예컨대 실리카 졸 및 TiO2 둘다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코팅물은 QUV 노출 후 불량한 박리성을 나타냈다(비교 실시예 J 및 K).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8의 코팅 조성물은 모두 QUV 노출 전 또는 후에도 만족할만한 박리성 및 요망된 인장 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의 코팅 조성물의 박리 강도는 상기 기재된 시험 방법에 따라 평가되었다. 실시예 1의 코팅 조성물은 금속판 또는 사전-코팅된 금속판에 도포될 때 1 N/in 미만의 박리 강도를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ct00003
표 2
Figure pct00004
표 3
Figure pct00005

Claims (13)

  1. 박리성 코팅 조성물로서,
    (a) 아크릴 (공)폴리머의 수성 분산물로서, 상기 수성 분산물이 수용성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공)폴리머가, 중합 단위로서, 산-작용기를 함유하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상기 아크릴 (공)폴리머의 수성 분산물;
    (b) pH 3 내지 pH 8에서 등전점을 갖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c)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1 고형물 중량% 내지 15 고형물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코어-쉘 폴리머 입자의 분산물로서, 상기 폴리머 입자가 건조 시 적어도 하나의 공극을 포함하는, 상기 코어-쉘 폴리머 입자의 분산물; 및
    (d) 광 흡수제, 광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박리성 코팅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쉘 폴리머 입자는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3 고형물 중량% 내지 10 고형물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박리성 코팅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가 아미노 카복실산; 플루오로카본 치환체, 실록산 치환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치환된 아미노 카복실산; 양쪽성 이미다졸린 유도체; 플루오로카본 치환체, 실록산 치환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치환된 양쪽성 이미다졸린 유도체; 베타인; 플루오로카본 치환체, 실록산 치환체, 또는 이들의 조합물로 치환된 베타인;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인, 박리성 코팅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에테르가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에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메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박리성 코팅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안정제의 농도는 상기 아크릴 (공)폴리머의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2중량%의 범위로 존재하는, 박리성 코팅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공)폴리머가 -10℃ 내지 30℃의 Tg를 갖는, 박리성 코팅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공)폴리머의 수성 분산물이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60 고형물 중량% 내지 95 고형물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박리성 코팅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제 또는 상기 광안정제는 힌더드 아민,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트리아진, 옥사닐라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박리성 코팅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중량%의 광 흡수제, 광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박리성 코팅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유착제, 소포제, 레올로지 조절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박리성 코팅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 조성물이, 도장된 금속 표면에 도포될 때, 2 N/in 미만의 박리 강도를 갖는, 박리성 코팅 조성물.
  12. 박리성 코팅 조성물로서,
    (a)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60 고형물 중량% 내지 95 고형물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아크릴 (공)폴리머의 수성 분산물로서, 상기 분산물이 수용성 비이온성 셀룰로오스 에테르 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아크릴 (공)폴리머가 산-작용기를 함유하는 모노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의 중합 단위를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상기 아크릴 (공)폴리머의 수성 분산물;
    (b) pH 3 내지 pH 8에서 등전점을 갖는 양쪽성 계면활성제;
    (c)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1 고형물 중량% 내지 15 고형물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코어-쉘 폴리머 입자의 분산물로서, 상기 폴리머 입자가 건조 시 적어도 하나의 공극을 포함하는, 코어-쉘 폴리머 입자의 분산물; 및
    (d) 상기 코팅 조성물의 총 고형물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의 광 흡수제, 광안정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박리성 코팅 조성물.
  13. 박리성 코팅물 제조 방법으로서,
    (1) 청구항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의 박리성 코팅 조성물을 기판의 표면에 도포하는 단계, 및
    (2) 상기 코팅 조성물을 건조시키거나 또는 건조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박리성 코팅물 제조 방법.
KR1020187005516A 2015-08-18 2015-08-18 박리성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565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87308 WO2017028196A1 (en) 2015-08-18 2015-08-18 Peelable coating composition and process for mak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145A true KR20180041145A (ko) 2018-04-23
KR102356525B1 KR102356525B1 (ko) 2022-01-27

Family

ID=5805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516A KR102356525B1 (ko) 2015-08-18 2015-08-18 박리성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47869B2 (ko)
EP (1) EP3337864B1 (ko)
JP (1) JP6661751B2 (ko)
KR (1) KR102356525B1 (ko)
CN (1) CN107849385B (ko)
WO (1) WO20170281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259B1 (ko) * 2021-11-18 2022-12-05 회명산업 주식회사 박리형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3801B1 (ko) * 2017-03-10 2019-06-27 에코물산 주식회사 침투성 표면강화제와 세라믹 코팅제를 이용한 바닥의 폴리싱 공법
KR101993784B1 (ko) * 2017-03-10 2019-07-01 에코물산 주식회사 세라믹 코팅제를 이용한 바닥의 폴리싱 공법
CN109777232B (zh) * 2019-01-07 2020-04-03 海洋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水性改性丙烯酸防腐涂料及其制备方法
US11739224B2 (en) 2020-01-28 2023-08-29 Behr Process Corporation Water based peelable paint for architecture coatings
TWI726719B (zh) * 2020-05-12 2021-05-01 彰洋材料股份有限公司 可剝離保護膜與反光可剝離保護膜之組成物及其噴霧製品
CN112759718B (zh) * 2020-12-30 2023-05-26 广东卓和高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剥离树脂及其制备方法
CO2021001029A1 (es) 2021-01-29 2021-02-26 Glasst Innovation Company S A S Recubrimiento removible a base de agua
CN113402914B (zh) * 2021-06-21 2022-06-28 无锡博加电子新材料有限公司 一种镀锡板临时防护用uv涂料
CN115197792A (zh) * 2022-08-19 2022-10-18 广州亦盛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水基型清洗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138A (ja) * 1992-08-28 1994-03-15 Mitsui Toatsu Chem Inc 空隙を有するエマルション粒子
EP1354911A1 (en) * 2002-04-15 2003-10-22 Nippon Paint Co., Ltd. process for formation of coating film on plastic material and coated article
KR100673325B1 (ko) * 1999-09-27 2007-01-23 가부시키가이샤 린레이 박리가능한 코팅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27836A (en) 1980-06-12 1984-01-24 Rohm And Haas Company Sequential heteropolymer dispersion and a particulate material obtainable therefrom, useful in coating compositions as a thickening and/or opacifying agent
US4468498A (en) 1980-06-12 1984-08-28 Rohm And Haas Company Sequential heteropolymer dispersion and a particulate materal obtainable therefrom, useful in coating compositions as a thickening and/or opacifying agent
US4469825A (en) 1983-03-09 1984-09-04 Rohm And Haas Company Sequential heteropolymer dispersion and a particulate material obtainable therefrom, useful in coating compositions as an opacifying agent
US4594363A (en) 1985-01-11 1986-06-10 Rohm And Haas Company Production of core-sheath polymer particles containing voids, resulting product and use
US4677003A (en) 1985-04-30 1987-06-30 Rohm And Haas Company Microsuspension process for preparing solvent core sequential polymer dispersion
CA1298013C (en) 1986-11-06 1992-03-24 Martin Vogel Process for preparing core-shell particle dispersions
JPH0721011B2 (ja) 1987-06-25 1995-03-08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中空重合体粒子の製造方法
GB8718036D0 (en) 1987-07-30 1987-09-03 Tioxide Group Plc Polymeric particles
CA1303437C (en) 1988-02-29 1992-06-16 Nobuo Kawahashi Hollow polymer particles,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and use thereof as pigment
US4970241A (en) 1988-05-20 1990-11-13 Rohm And Haas Company Multi-stage opacifying polymer particles containing non-polymeric acid absorbed therein
US5157084A (en) 1990-10-12 1992-10-20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of making hollow polymer latex particles
SG84480A1 (en) 1992-04-10 2001-11-20 Rohm & Haas Polymeric particles
US5494971A (en) 1994-08-12 1996-02-27 Rohm And Haas Company Encapsulated hydrophilic polymers and their preparation
US20020165108A1 (en) * 1997-11-03 2002-11-07 Raadgevend Chemie Bureau Rsb V.O.F. Removable protective coating
US6020435A (en) 1997-11-05 2000-02-01 Rohm And Haas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polymer core shell type emulsions and polymers formed therefrom
JP2000053874A (ja) * 1998-03-31 2000-02-22 Daicel Chem Ind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水性組成物、感熱性粘着剤及び感熱性粘着シ―ト
EP0959176B1 (en) 1998-05-18 2012-09-05 Rohm And Haas Company Hollow sphere organic pigment for paper or paper coatings
AU775470B2 (en) * 2000-03-03 2004-08-05 Rohm And Haas Company Removable coating composition and preparative method
EP1642941B1 (en) 2000-03-03 2012-09-12 Rohm and Haas Company Removable coating composition and preparative method
US6632531B2 (en) 2001-02-15 2003-10-14 Rohm And Haas Company Porous particles, their aqueous dispersions, and method of preparation
US6896905B2 (en) 2001-02-15 2005-05-24 Rohm And Haas Company Porous particles, their aqueous dispersions, and method of preparation
WO2003002674A1 (en) * 2001-06-27 2003-01-09 Pennzoil-Quaker State Company Coating composition
US20060001726A1 (en) * 2001-10-05 2006-01-05 Cabot Corporation Printable conductive features and processes for making same
DE10155184A1 (de) * 2001-11-12 2003-05-22 Bayer Ag Emulsionspolymerisate als Abziehlack
US8263231B2 (en) 2006-11-10 2012-09-11 Cal-West Specialty Coatings, Inc. Peel-off coating compositions
ATE499420T1 (de) * 2007-06-05 2011-03-15 Akzo Nobel Coatings Int Bv Abziehbare temporäre beschichtung
EP2202281B1 (en) 2008-12-29 2011-10-19 Rohm and Haas Company High gloss extended alkyd emulsion paints
KR20120001749A (ko) 2009-04-10 2012-01-04 로레알 Uv 보호 조성물 및 사용 방법
JP2014522301A (ja) * 2011-05-25 2014-09-04 ディバーシー・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表面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並びにこれを作製及び使用する方法
JP2016521679A (ja) 2013-06-18 2016-07-25 ロレアル 化粧用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138A (ja) * 1992-08-28 1994-03-15 Mitsui Toatsu Chem Inc 空隙を有するエマルション粒子
KR100673325B1 (ko) * 1999-09-27 2007-01-23 가부시키가이샤 린레이 박리가능한 코팅용 조성물
EP1354911A1 (en) * 2002-04-15 2003-10-22 Nippon Paint Co., Ltd. process for formation of coating film on plastic material and coated artic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259B1 (ko) * 2021-11-18 2022-12-05 회명산업 주식회사 박리형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23123A1 (en) 2018-08-09
EP3337864A4 (en) 2019-04-17
CN107849385A (zh) 2018-03-27
JP2018529801A (ja) 2018-10-11
CN107849385B (zh) 2020-04-24
EP3337864A1 (en) 2018-06-27
WO2017028196A1 (en) 2017-02-23
JP6661751B2 (ja) 2020-03-11
KR102356525B1 (ko) 2022-01-27
EP3337864B1 (en) 2020-04-15
US10647869B2 (en)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6525B1 (ko) 박리성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6459299B (zh) 水性分散液和包含其的涂料组合物
CN110088150B (zh) 水性聚合物分散体和包含其的水性涂料组合物
CN1311274A (zh) 可去除涂料组合物和制备方法
CN110997833B (zh) 水性涂料组合物
WO2016095200A1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and process of making the same
JP6678254B2 (ja) 水性ポリマー分散液およびそれを含む水性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6626193B2 (ja) 保存安定性水性組成物及びその作製方法
KR101800106B1 (ko) 코어-쉘 에멀젼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WO2018207078A1 (en) Styrene butadiene latex binder for waterproofing applications
KR20170083055A (ko) 폴리머 분산물 및 고 안료 체적률 페인트 내에서의 상기 폴리머 분산물의 적용
CN112262187B (zh) 水性聚合物分散体及其制备方法
US20200048473A1 (en) Resin emulsion for damping paint, damping paint, and method for producing resin emulsion for damping paint
EP3918016B1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
CA3238474A1 (en) Aqueous polymer composition
WO2022141151A1 (en) Aqueous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