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407A - 가이드 와이어 - Google Patents

가이드 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407A
KR20180038407A KR1020177003508A KR20177003508A KR20180038407A KR 20180038407 A KR20180038407 A KR 20180038407A KR 1020177003508 A KR1020177003508 A KR 1020177003508A KR 20177003508 A KR20177003508 A KR 20177003508A KR 20180038407 A KR20180038407 A KR 20180038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layer
end portion
guide wire
outer diameter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490B1 (ko
Inventor
게이스케 우시다
도시유키 요시다
Original Assignee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인텍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8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 A61B2017/22042Details of the tip of the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058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 A61M2025/09083Basic structures of guide wires having a coil around a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33Guide wires having specific material compositions or coatings; Materials with specific mechanical behaviours, e.g. stiffness, strength to transmit tor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75Guide wires having specific characteristics at the distal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61M2025/09191Guide wires made of twisted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가이드 와이어의 삽입성을 유지하면서, 가이드 와이어의 회전 성능(가이드 와이어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수지층의 선단으로부터 박리될(벗겨질) 우려도 저감된 가이드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가이드 와이어(1)에서는, 수지층(40)이, 코일체(30)의 외주를 피복하고, 굵은 외경(D1)을 가지는 후단부(42)와, 후단부(42)보다도 선단측에서 코어 샤프트(10)와 코일체(30)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후단부(42)보다도 가는 외경(D2)을 가지는 선단부(46)와, 후단부(42)와 선단부(46)와의 사이에서 선단측을 향해 외경이 D1으로부터 D2로 축소되는 테이퍼부(44)를 가지며, 또한, 선단부(46)에서의 코일체(30)는, 수지층(40)에 피복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의 삽입성을 유지하면서, 가이드 와이어(1)의 회전 성능(가이드 와이어(1)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수지층(40)이, 그 선단(47)으로부터 박리될(벗겨질) 우려도 저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이드 와이어{GUIDE WIRE}
본 발명은, 혈관이나 소화 기관에 삽입되는 가이드 와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혈관, 담관(膽管), 췌관(膵管) 등에 협착부(狹窄部) 또는 폐색부(閉塞部)가 형성되면, 혈액, 담즙(膽汁)(담액(膽液)), 췌액(膵液) 등의 흐름이 나빠져 버린다. 이러한 협착부 또는 폐색부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카테터를 이용한 치료 방법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테터를 협착부 또는 폐색부로 안내하기 위해서, 가이드 와이어가 이용된다. 가이드 와이어와 혈관, 담관, 췌관 등의 관벽과의 마찰 저항이 높은 경우, 시술자는, 가이드 와이어를 협착부 또는 폐색부까지 삽입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그래서, 가이드 와이어를 협착부 또는 폐색부까지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코일체 전체 길이에 걸쳐서, 코일체의 외주를 피복하는 수지층을 구비한 가이드 와이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를 참조).
특허 문헌 1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코일체의 외주에 전체 길이에 걸쳐서 수지막(樹脂膜)(수지층)이 피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특허 문헌 2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코일체의 외주에 전체 길이에 걸쳐서 수지 피막층이 피복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마찰 저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를 협착부 또는 폐색부까지 삽입하기 쉬운 한편, 코일체 전체 길이가 수지층에 피복되어 있음으로써, 가이드 와이어의 회전 성능이 나쁘다(가이드 와이어의 조작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나, 가이드 와이어의 선단부의 강성이 높아지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제2007-7553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공개 제2008-307367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가이드 와이어의 삽입성을 유지하면서, 가이드 와이어의 회전 성능(가이드 와이어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수지층의 선단으로부터 박리될(벗겨질) 우려도 저감된 가이드 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는, 이하에 열거되는 수단에 의해 해결이 된다.
본 발명의 형태 1은, 코어 샤프트와, 상기 코어 샤프트의 외주에 권회(卷回)된 코일체와, 상기 코일체의 외주를 피복하고, 굵은 외경을 가지는 후단부와, 상기 후단부보다도 선단측에서 상기 코어 샤프트와 상기 코일체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후단부보다도 가는 외경을 가지는 선단부와, 상기 후단부와 상기 선단부와의 사이에서 선단측을 향해 외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수지층을 구비하며, 상기 선단부에서의 상기 코일체는, 상기 수지층에 피복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이드 와이어이다.
본 발명의 형태 2는, 상기 수지층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코어 샤프트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형태 1에 기재된 가이드 와이어이다.
본 발명의 형태 3은, 상기 수지층의 상기 선단부에는, 상기 선단부의 상기 외경보다도 굵은 외경을 가지는 팽륭(膨隆, 부풀어 오르고 튀어나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형태 1 또는 형태 2에 기재된 가이드 와이어이다.
본 발명의 형태 4는, 상기 수지층의 상기 테이퍼부와 상기 수지층의 상기 후단부와의 경계에, 상기 코어 샤프트와 상기 코일체와 상기 수지층을 고착하는 고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형태 1 내지 형태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이드 와이어이다.
본 발명의 형태 5는, 상기 코일체는, 복수의 소선이 나선 모양으로 귄회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지층의 상기 선단부는,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 코일체의 인접하는 상기 소선 사이에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형태 1 내지 형태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이드 와이어이다.
본 발명의 형태 6은, 상기 코일체는, 상기 수지층의 상기 후단부에 위치하는 가는 코일 외경을 가지는 소경부(小徑部)와, 상기 수지층의 상기 선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경부보다도 굵은 코일 외경을 가지는 대경부(大徑部)와, 상기 수지층의 상기 테이퍼부에 위치하고, 선단측을 향해 코일 외경이 확대되는 확경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코일체의 상기 대경부에서의 상기 코일 외경은, 상기 수지층의 상기 후단부에서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형태 1 내지 형태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이드 와이어이다.
본 발명의 형태 1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코일체의 외주를 피복하고, 굵은 외경을 가지는 후단부와, 후단부보다도 선단측에서 코어 샤프트와 코일체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후단부보다도 가는 외경을 가지는 선단부를 가지는 수지층을 구비하며, 선단부에서의 코일체가, 수지층에 피복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했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의 삽입성을 유지하면서, 가이드 와이어의 회전 성능(가이드 와이어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수지층이 선단으로부터 박리될(벗겨질) 우려도 저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2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수지층의 선단부가, 코어 샤프트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된 혈관, 담관, 췌관 등에 삽입한 경우에도, 수지층의 선단이 코일체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우려나, 수지층이 선단으로부터 박리될(벗겨질)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3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수지층의 선단부에, 선단부의 외경보다도 굵은 외경을 가지는 팽륭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된 혈관, 담관, 췌관 등에 삽입했을 때에, 수지층이 선단으로부터 박리되려고(벗겨지려고) 한 경우에도, 수지층의 선단부에 마련된 팽륭부가 코일체의 내주면에 걸려, 앵커(anchor) 효과에 의해, 수지층이 박리될(벗겨질) 우려를 더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4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수지층의 테이퍼부와 수지층의 후단부와의 경계에, 코어 샤프트와 코일체와 수지층을 고착하는 고착부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를 협착부 또는 폐색부까지 삽입할 때, 수지층의 테이퍼부와 수지층의 후단부와의 경계에서, 혈관, 담관, 췌관 등의 관벽과의 마찰 저항이 높아진다. 사전에, 고착부에 의해 수지층을 코일체 및 코어 샤프트와 고착하고 있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의 삽입시에서의 테이퍼부와 후단부와의 경계에서의 수지층의 박리(벗겨짐)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5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코일체가, 복수의 소선이 나선 모양으로 귄회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지층의 선단부는, 횡단면에서 볼 때, 코일체의 인접하는 소선 사이에 들어가 있다. 그 때문에, 수지층의 선단부와 코일체와의 앵커 효과에 의해, 수지층의 박리(벗겨짐)를 더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 6의 가이드 와이어에서는, 코일체가, 수지층의 후단부에 위치하는 가는 코일 외경을 가지는 소경부와, 수지층의 선단부에 위치하고, 소경부보다도 굵은 코일 외경을 가지는 대경부와, 수지층의 테이퍼부에 위치하고, 선단측을 향해 코일 외경이 확대되는 확경부를 가지고 있으며, 코일체의 대경부에서의 코일 외경은, 수지층의 후단부에서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를 만곡된 혈관, 담관, 췌관 등에 삽입한 경우에도, 수지층의 테이퍼부와 수지층의 후단부와의 경계가, 혈관, 담관, 췌관 등의 관벽에 접촉될 우려가 저감되고, 그 결과, 가이드 와이어의 삽입시에서의 테이퍼부와 후단부와의 경계에서의 수지층의 박리(벗겨짐)를 더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제4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의 변형예이다.
도 8은, 제5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제6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D-D단면도이다.
도 11은, 제7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의 도 10에 상당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8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도 4를 참조하면서, 제1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1)를 설명한다. 도 1에서는, 도면에 나타낸 좌측이 체내에 삽입되는 선단측(원위측(遠位側)), 우측이 의사 등의 시술자에 의해서 조작되는 후단측(근위측(近位側))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A-A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B-B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C-C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가이드 와이어(1)는, 예를 들면, 카테터를 협착부(狹窄部) 또는 폐색부(閉塞部)로 안내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가이드 와이어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 와이어(1)는, 주로, 코어 샤프트(10)와, 선단 고착부(20)와, 코일체(30)와, 수지층(樹脂層)(40)으로 이루어진다.
코어 샤프트(10)는, 스테인리스강(SUS304, SUS316 등)이나 Ni-Ti합금의 초탄성 합금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코일체(30)는, 코어 샤프트(10)의 외주에, 방사선 불투과성을 가지는 소선(31)을 권회(卷回)하여 형성되어 있다. 코일체(30)를 구성하는 소선(31)에 이용하는 재료로서, 예를 들면, 금, 백금, 텅스텐, 이들 원소로 이루어지는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코일체(30)가 방사선 불투과성의 소선(31)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시술자는, 방사선 투시 화상(畵像)하에서 코일체(30)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선단 고착부(20)는, 코어 샤프트(10)의 선단과 코일체(30)의 선단을 고착하고 있으며, 납재(材)(알루미늄합금 납, 은 납, 금 납 등)나 금속 납땜(Au-Sn합금, Ag-Sn합금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지층(40)은, 코일체(30)의 외주를 피복하고, 굵은 외경(D1)을 가지는 후단부(42)와, 후단부(42)보다도 선단측에서 코어 샤프트(10)와 코일체(30)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후단부(42)보다도 가는 외경(D2)을 가지는 선단부(46)와, 후단부(42)와 선단부(46)와의 사이에서 선단측을 향해 외경이 D1으로부터 D2로 축소되는 테이퍼부(44)를 가진다.
이 수지층(40)에 이용하는 재료로서,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PTFE 등의 불소계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층(40)의 선단부(46)는, 코어 샤프트(10)와 코일체(30)와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층(40)의 테이퍼부(44)는, 선단측에서 코일체(30)의 내부에 위치하는 한편, 후단측에서 코일체(30)의 외주에 위치한다. 도 1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층(40)의 후단부(42)는, 코일체(30)의 외주에 위치한다.
코일체(30)의 외주면(35)은, 선단측에서는 수지층(40)에 피복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한편, 후단측에서는 수지층(40)의 테이퍼부(44)와 후단부(42)에 피복되어 있다(도 1을 참조). 그 때문에, 수지층(40)의 선단부(46)에서의 코일체(30)는, 수지층(40)에 피복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1)는, 수지층(40)의 후단부(42)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의 삽입성을 유지하면서, 수지층(40)에 피복되어 있지 않고, 노출된 코일체(30)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1)의 회전 성능(가이드 와이어(1)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수지층(40)의 선단부(46)가 코일체(30)의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1)를 혈관, 담관, 췌관 등에 삽입했을 때에, 수지층(40)이, 그 선단(47)으로부터 박리될(벗겨질) 우려도 저감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2)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가이드 와이어(1)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가이드 와이어(2)에서는, 수지층(40a)은, 코일체(30)의 외주를 피복하고, 굵은 외경(D1)을 가지는 후단부(42a)와, 후단부(42a)보다도 선단측에서 코어 샤프트(10)와 코일체(30)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후단부(42a)보다도 가는 외경(D3)을 가지는 선단부(46a)와, 후단부(42a)와 선단부(46a)와의 사이에서 선단측을 향해 외경이 D1으로부터 D3로 축소되는 테이퍼부(44a)를 가진다. 그리고, 수지층(40a)의 선단부(46a)가, 코어 샤프트(10)에 고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2)를 만곡된 혈관, 담관, 췌관 등에 삽입한 경우에도, 수지층(40a)의 선단(47a)이 코일체(30)의 소선(31) 사이로부터 외부로 돌출될 우려나, 수지층(40a)이, 그 선단(47a)으로부터 박리될(벗겨질) 우려를 더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서, 제3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3)를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가이드 와이어(2)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가이드 와이어(3)에서는, 수지층(40b)이, 후단부(42a)와 테이퍼부(44a)와 선단부(46a)를 가지고 있고, 이 선단부(46a)의 선단(47a)에는, 선단부(46a)의 외경(D3)보다도 굵은 외경(D4)을 가지는 팽륭부(5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수지층(40b)의 선단부(46a) 및 팽륭부(50)는, 코어 샤프트(10)에 고착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3)에서는, 팽륭부(50)는, 수지층(40b)과 동일한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팽륭부(50)는, 수지층(40b)의 선단부(46a)와는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괜찮다.
팽륭부(50)가, 수지층(40b)의 선단(47a)에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가이드 와이어(3)를 만곡된 혈관, 담관, 췌관 등에 삽입했을 때에, 수지층(40b)이 선단(47a)으로부터 박리되려고(벗겨지려고) 한 경우에도, 수지층(40b)의 선단부(46a)에 마련된 팽륭부(50)가 코일체(30)의 내주면(36)에 걸려, 앵커(anchor) 효과에 의해, 수지층(40b)이 박리될(벗겨질) 우려를 더 저감할 수 있다.
또, 도 6에 나타낸 가이드 와이어(3)에서는, 수지층(40b)의 선단부(46a) 및 팽륭부(50)가, 코어 샤프트(10)에 고착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7의 제4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륭부(50a)만이 코어 샤프트(10)에 고착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에 나타낸 가이드 와이어(1)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가이드 와이어(4)에서는, 수지층(40c)이, 후단부(42)와 테이퍼부(44)와 선단부(46)를 가지고 있으며, 이 선단부(46)의 선단(47)에는, 선단부(46)의 외경(D2)보다도 굵은 외경(D4)을 가지는 팽륭부(50a)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4)에서는, 팽륭부(50a)는, 수지층(40c)와 동일한 재료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팽륭부(50a)는, 수지층(40c)의 선단부(46)와는 다른 재료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팽륭부(50a)가, 수지층(40c)의 선단(47)에 마련되어 있음으로써, 가이드 와이어(4)를 만곡된 혈관, 담관, 췌관 등에 삽입했을 때에, 수지층(40c)이 선단(47)으로부터 박리되려고(벗겨지려고) 한 경우에도, 수지층(40c)의 선단부(46)에 마련된 팽륭부(50a)가 코일체(30)의 내주면(36)에 걸려, 앵커 효과에 의해, 수지층(40c)이 박리될(벗겨질) 우려를 더 저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서, 제5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5)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가이드 와이어(1)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가이드 와이어(5)에서는, 수지층(40)의 테이퍼부(44)와 수지층(40)의 후단부(42)와의 경계에, 코어 샤프트(10)와 코일체(30)와 수지층(40)을 고착하는 고착부(60)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 와이어(5)에서는, 사전에, 고착부(60)에 의해, 수지층(40)이, 코일체(30) 및 코어 샤프트(10)와 고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5)를 협착부 또는 폐색부까지 삽입할 때, 수지층(40)의 테이퍼부(44)와 수지층(40)의 후단부(42)와의 경계에서, 혈관, 담관, 췌관 등의 관벽과의 마찰 저항이 높아지는 경우에도, 가이드 와이어(5)의 삽입시에, 테이퍼부(44)와 후단부(42)와의 경계에서, 수지층(40)이 박리되는(벗겨지는) 것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또, 가이드 와이어(5)에서는, 고착부(60)로서, 접착제를 이용하고 있지만, 그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서, 제6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6)를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가이드 와이어(1)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가이드 와이어(6)에서는, 코일체(30a)가, 10개의 소선(31a)이 나선 모양으로 귄회되어 형성되어 있다(도 10을 참조).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층(40d)은, 코일체(30a)의 외주를 피복하고, 굵은 외경(D1)을 가지는 후단부(42b)와, 후단부(42b)보다도 선단측에서 코어 샤프트(10)와 코일체(30a)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후단부(42b)보다도 가는 외경(D5)을 가지는 선단부(46b)와, 후단부(42b)와 선단부(46b)와의 사이에서 선단측을 향해 외경이 D1으로부터 D5로 축소되는 테이퍼부(44b)를 가진다.
도 9의 D-D단면인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층(40d)의 선단부(46b)는, 횡단면에서 볼 때, 코일체(30a)의 인접하는 소선(31a)의 소선 사이(32)에 들어가고 있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6)에서는, 수지층(40d)의 선단부(46b)와 코일체(30a)와의 앵커 효과에 의해(환언하면, 수지층(40d)의 선단부(46b)가, 인접하는 소선(31a)의 소선 사이(32)에 걸려 있음으로써), 수지층(40)의 선단부(46b)가 박리되는(벗겨지는) 것을 더 저감할 수 있다.
또, 도 10에 나타낸 가이드 와이어(6)에서는, 코일체(30a)가, 10개의 소선(31a)이 나선 모양으로 귄회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 11의 제7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체(30a) 대신에, 7개의 소선(31b)을 나선 모양으로 권회한 연선(撚線)(31c)을 미리 준비해 두고, 이 연선(31c)을 10개 묶어 나선 모양으로 귄회하여 형성한 코일체(30b)를 이용해도 좋다. 이 때,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지층(40e)의 선단부(46c)는, 횡단면에서 볼 때, 코일체(30b)의 인접하는 연선(31c)의 소선 사이(32a)에 들어가 있다.
이것에 의해, 가이드 와이어(7)에서는, 수지층(40e)의 선단부(46c)와 코일체(30b)와의 앵커 효과에 의해(환언하면, 수지층(40e)의 선단부(46c)가, 인접하는 연선(31c)의 소선 사이(32a)에 걸려 있음으로써), 수지층(40e)의 선단부(46c)가 박리 되는(벗겨지는) 것을 더 저감할 수 있다.
코일체(30a)를 구성하는 소선(31a), 또는, 코일체(31b)를 구성하는 소선(31b)에 이용하는 재료로서, 가이드 와이어(1)의 소선(30)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금, 백금, 텅스텐, 이들 원소로 이루어지는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또, 코일체(30a)를 구성하는 소선(31a)의 갯수는, 10개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이면 괜찮다. 또, 코일체(30b)를 구성하는 연선(31c)의 갯수도, 10개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이면 괜찮다. 게다가, 이 연선(31c)을 구성하는 소선(31b)의 갯수도, 7개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이면 괜찮다.
다음으로, 도 12를 참조하면서, 제8 실시 형태의 가이드 와이어(8)를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가이드 와이어(2)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하면, 가이드 와이어(8)에서는, 코일체(30c)가, 수지층(40a)의 후단부(42a)에 위치하는 가는 코일 외경(D6)을 가지는 소경부(62)와, 수지층(40a)의 선단부(46a)에 위치하고, 소경부(62)보다도 굵은 코일 외경(D7)을 가지는 대경부(66)와, 수지층(40a)의 테이퍼부(44a)에 위치하고, 선단측을 향해 코일 외경이 D6로부터 D7로 확대되는 확경부(64)를 가지고 있다. 또, 코일체(30c)의 대경부(66)에서의 코일 외경(D7)은, 수지층(40a)의 후단부(42a)에서의 외경(D1)보다도 크게 되어 있다(D7>D1).
그 때문에, 가이드 와이어(8)를 만곡된 혈관, 담관, 췌관 등에 삽입한 경우에도, 수지층(40a)의 테이퍼부(44a)와 수지층(40a)의 후단부(42a)와의 경계가, 혈관, 담관, 췌관 등의 관벽에 접촉될 우려가 저감되고, 그 결과, 가이드 와이어(8)의 삽입시에서의 수지층(40a)의 박리(벗겨짐)를 더 저감할 수 있다.
또, 가이드 와이어(3, 4)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와이어(5, 6, 7, 8)에서, 선단부(46, 46a, 46b, 46c)의 선단(47, 47a, 47b)에, 팽륭부(50, 50a)를 마련해도 좋다.
또, 가이드 와이어(5)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와이어(2, 3, 4, 6, 7, 8)에서, 테이퍼부(44a, 44b)와 후단부(42a, 42b)와의 경계에, 코어 샤프트(10)와 코일체(30, 30a, 30b, 30c)와 수지층(40a~40e)을 고착하는 고착부(60)를 마련해도 괜찮다.
게다가, 가이드 와이어(8)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와이어(1, 3, 4, 5, 6, 7)에서, 코일체(30, 30a, 30b)가, 수지층(40~40e)의 후단부(42, 42a, 42b)에 위치하는 가는 코일 외경(D6)을 가지는 소경부(62)와, 수지층(40~40e)의 선단부(46~46c)에 위치하고, 소경부(62)보다도 굵은 코일 외경(D7)을 가지는 대경부(66)와, 수지층(40~40e)의 테이퍼부(44, 44a, 44b)에 위치하고, 선단측을 향해 코일 외경이 D6로부터 D7로 확대되는 확경부(64)를 가지고, 또한, 코일체(30, 30a, 30b)의 대경부(66)에서의 코일 외경(D7)이, 수지층(40~40e)의 후단부(42, 42a, 42b)에서의 외경(D1)보다도 크게 해도 괜찮다(D7>D1).
또, 상기에서 설명한 가이드 와이어(1~8)에서는, 수지층(40~40e)의 선단부(46~46c)의 선단(47, 47a, 47b)은, 선단 고착부(20)로부터 후단측으로 이간(離間)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지층(40~40e)의 선단부(46~46c)의 선단(47, 47a, 47b)과 선단 고착부(20)을 서로 고착해도 좋다.
1~8 : 가이드 와이어 10 :코어 샤프트
20 : 선단 고착부 30, 30a, 30b, 30c : 코일체
31, 31a, 31b : 소선 31c : 연선
32, 32a : 소선 사이 35 : 외주면
40, 40a, 40b, 40c, 40d, 40e : 수지층
42, 42a, 42b : 후단부 44, 44a, 44b : 테이퍼부
46, 46a, 46b, 46c : 선단부 47, 47a, 47b : 선단
50, 50a : 팽륭부 60 : 고착부
62 : 소경부 64 : 확경부
66 : 대경부

Claims (6)

  1. 코어 샤프트와,
    상기 코어 샤프트의 외주에 권회(卷回)된 코일체와,
    상기 코일체의 외주를 피복하고, 굵은 외경(外徑)을 가지는 후단부와, 상기 후단부보다도 선단측에서 상기 코어 샤프트와 상기 코일체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후단부보다도 가는 외경을 가지는 선단부와, 상기 후단부와 상기 선단부와의 사이에서 선단측을 향해 외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부를 가지는 수지층(樹脂層)을 구비하며,
    상기 선단부에서의 상기 코일체는, 상기 수지층에 피복되어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이드 와이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상기 선단부는, 상기 코어 샤프트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이드 와이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상기 선단부에는, 상기 선단부의 상기 외경보다도 굵은 외경을 가지는 팽륭부(膨隆部)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이드 와이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의 상기 테이퍼부와 상기 수지층의 상기 후단부와의 경계에, 상기 코어 샤프트와 상기 코일체와 상기 수지층을 고착하는 고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이드 와이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일체는, 복수의 소선(素線)이 나선 모양으로 귄회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지층의 상기 선단부는, 횡단면에서 볼 때, 상기 코일체의 인접하는 상기 소선 사이에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이드 와이어.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코일체는, 상기 수지층의 상기 후단부에 위치하는 가는 코일 외경을 가지는 소경부(小徑部)와, 상기 수지층의 상기 선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소경부보다도 굵은 코일 외경을 가지는 대경부(大徑部)와, 상기 수지층의 상기 테이퍼부에 위치하고, 선단측을 향해 코일 외경이 확대되는 확경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코일체의 상기 대경부에서의 상기 코일 외경은, 상기 수지층의 상기 후단부에서의 외경보다도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가이드 와이어.
KR1020177003508A 2016-09-05 2016-09-05 가이드 와이어 KR1021314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75978 WO2018042652A1 (ja) 2016-09-05 2016-09-05 ガイドワ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407A true KR20180038407A (ko) 2018-04-16
KR102131490B1 KR102131490B1 (ko) 2020-07-07

Family

ID=6128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508A KR102131490B1 (ko) 2016-09-05 2016-09-05 가이드 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92474B2 (ko)
EP (1) EP3508246B1 (ko)
JP (1) JP6319777B1 (ko)
KR (1) KR102131490B1 (ko)
CN (1) CN108064179B (ko)
WO (1) WO20180426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72641A (zh) * 2017-09-30 2020-07-03 朝日英达科株式会社 导丝
WO2019155550A1 (ja) * 2018-02-07 2019-08-1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US20230135237A1 (en) * 2021-04-16 2023-05-04 Bard Peripheral Vascular, Inc. Strength-adjustable guidewi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060A (ja) * 1989-06-29 1991-03-05 Cook Inc ワイヤーガイド
US5549580A (en) * 1995-01-23 1996-08-27 Cordis Corporation Catheter having a flexible distal t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5830155A (en) * 1995-10-27 1998-11-03 Cordis Corporation Guidewire assembly
JP2007075531A (ja) 2005-09-16 2007-03-29 Piolax Medical Device:Kk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2008307367A (ja) 2007-05-11 2008-12-25 Terumo Corp ガイドワイヤ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4929A (en) * 1983-07-13 1985-11-26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Catheter guide wire with short spring tip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4922924A (en) * 1989-04-27 1990-05-08 C. R. Bard, Inc. Catheter guidewire with varying radiopacity
US5107852A (en) * 1990-04-02 1992-04-28 W. L. Gore & Associates, Inc. Catheter guidewire device having a covering of fluoropolymer tape
US5178158A (en) * 1990-10-29 1993-01-12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Convertible guidewire-catheter with soft tip
US5443907A (en) * 1991-06-18 1995-08-22 Scimed Life Systems, Inc. Coating for medical insertion guides
DE69429670T2 (de) * 1993-08-23 2002-08-22 Boston Scient Corp Verbesserter ballonkatheter
US5840046A (en) * 1996-06-21 1998-11-24 Medtronic, Inc. Guidewire having hydrophilic coating
US6183420B1 (en) * 1997-06-20 2001-02-06 Medtronic Ave, Inc. Variable stiffness angioplasty guide wire
US20040082879A1 (en) * 2000-01-28 2004-04-29 Klint Henrik S. Endovascular medical device with plurality of wires
US20040064069A1 (en) * 2002-09-30 2004-04-01 Reynolds Brian R. Medical device with support member
US8167821B2 (en) * 2003-02-26 2012-05-01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ultiple diameter guidewire
US7407507B2 (en) * 2003-06-18 2008-08-05 Nipro Corporation Balloon catheter suited to kissing techniques
JP3940161B1 (ja) * 2006-07-03 2007-07-04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医療用ガイドワイヤとマイクロカテーテルとの組立体、および医療用ガイドワイヤとバルーンカテーテルとガイディングカテーテルとの組立体
US7896820B2 (en) * 2006-12-26 2011-03-01 Terumo Kabushiki Kaisha Guide wire
JP2008237253A (ja) * 2007-03-23 2008-10-09 Terumo Corp ガイドワイヤ
CN101674861B (zh) * 2007-05-09 2012-07-04 独立行政法人科学技术振兴机构 导丝以及支架
GB0802634D0 (en) * 2008-02-13 2008-03-19 Renishaw Plc Catheter
US8002715B2 (en) * 2008-05-30 2011-08-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device including a polymer sleeve and a coil wound into the polymer sleeve
JP5147569B2 (ja) * 2008-06-30 2013-02-20 テルモ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CN102341143B (zh) * 2009-03-19 2016-08-03 日本来富恩株式会社 医用导丝
US8403867B2 (en) * 2009-05-14 2013-03-26 Medtronic Vascular, Inc. Concentric guidewire assembly
KR101512541B1 (ko) * 2009-05-20 2015-04-15 니혼라이프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의료용 가이드 와이어
JP5024908B2 (ja) * 2010-01-21 2012-09-12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WO2011117852A1 (en) * 2010-03-26 2011-09-29 Flip Technologies Limited A catheter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atheter
JP4896245B2 (ja) * 2010-03-31 2012-03-14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2012005704A (ja) * 2010-06-25 2012-01-12 Asahi Intecc Co Ltd バルーンカテーテル
JP5382953B2 (ja) * 2011-01-28 2014-01-08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ガイドワイヤ
JP5424499B2 (ja) * 2011-04-18 2014-02-26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2013013449A (ja) * 2011-06-30 2013-01-24 Asahi Intecc Co Ltd ガイドワイヤ
JP2013106854A (ja) * 2011-11-22 2013-06-06 Asahi Intecc Co Ltd ガイドワイヤ
JP5404840B2 (ja) * 2012-03-29 2014-02-05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6046804B2 (ja) * 2013-04-01 2016-12-21 テルモ株式会社 コイル、ガイドワイヤおよびコイルの製造方法
JP5954748B2 (ja) * 2014-04-25 2016-07-20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JP6344762B2 (ja) * 2014-05-21 2018-06-20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カテーテ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1060A (ja) * 1989-06-29 1991-03-05 Cook Inc ワイヤーガイド
US5549580A (en) * 1995-01-23 1996-08-27 Cordis Corporation Catheter having a flexible distal t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5830155A (en) * 1995-10-27 1998-11-03 Cordis Corporation Guidewire assembly
JP2007075531A (ja) 2005-09-16 2007-03-29 Piolax Medical Device:Kk 医療用ガイドワイヤ
JP2008307367A (ja) 2007-05-11 2008-12-25 Terumo Corp ガイドワ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8246A4 (en) 2020-07-22
US10792474B2 (en) 2020-10-06
JPWO2018042652A1 (ja) 2018-09-06
EP3508246A1 (en) 2019-07-10
CN108064179A (zh) 2018-05-22
WO2018042652A1 (ja) 2018-03-08
US20180064913A1 (en) 2018-03-08
KR102131490B1 (ko) 2020-07-07
CN108064179B (zh) 2020-10-30
EP3508246B1 (en) 2021-08-11
JP6319777B1 (ja) 2018-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4748B2 (ja) カテーテル
JP4743800B2 (ja) カテーテル
EP3162405B1 (en) Catheter
JPH06504706A (ja) カテーテルガイドワイヤ
KR20180048436A (ko) 카테터
KR20170018761A (ko) 카테터 및 벌룬 카테터
KR20180038407A (ko) 가이드 와이어
CN113181513B (zh) 导丝
US10821264B1 (en) Mixed coil catheter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5110716B2 (ja) カテーテル
US11484687B2 (en) Catheter
US11027094B2 (en) Tubular body and catheter having tubular body
EP3744379B1 (en) Catheter
JP2018038832A (ja) ガイドワイヤ
JP7407490B2 (ja) カテーテル及びカテーテルの作製方法
US20200238055A1 (en) Guide wire
WO2022118845A1 (ja) カテーテル
JP2024040728A (ja) カテーテル
JP2024027763A (ja) 医療用長尺体
JP2024036701A (ja) カテーテ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