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8373A -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8373A
KR20180038373A KR1020170123952A KR20170123952A KR20180038373A KR 20180038373 A KR20180038373 A KR 20180038373A KR 1020170123952 A KR1020170123952 A KR 1020170123952A KR 20170123952 A KR20170123952 A KR 20170123952A KR 20180038373 A KR20180038373 A KR 20180038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contact plate
contact
m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요시 엔도
고지 하나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8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8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4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square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20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 H01R24/22Coupling parts carrying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only to wire or cable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8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meander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485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 H01R24/7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with additional earth or shiel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는 접지 단자와 신호 단자를 구비한다. 접지 단자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부에 지지되고, +Y측의 개구로부터, 상대측 접지 단자가 삽입되는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대측 접지 단자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 도전성의 탄성 접촉판을 구비한다. 신호 단자는, 본체부와 상이한 본체부와, 본체부의 내부에 지지되고, +Y의 개구로부터, 상대측 신호 단자가 삽입되는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대측 신호 단자가 접촉하는 접촉부를 갖는 도전성의 접촉판을 구비한다. 개구로부터 접촉부까지의 치수는 개구로부터 접촉부까지의 치수보다 짧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CONNECTOR AND CONNECTOR UNIT}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전력의 공급이나 신호의 전송에 이용되는 커넥터를 삽입·발출하는 경우,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반도체나 전자 부품에 전기적 과잉 스트레스가 가해질 우려가 있다.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끼워맞춤에 따라서, 신호 단자끼리의 접촉보다 이전에 접지 단자끼리가 접촉하는 동시에, 수 커넥터와 암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해제할 때, 신호 단자끼리가 멀어진 후에 접지 단자끼리가 멀어지는 FMLB(First Mate Last Break) 구조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평6-80277 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암 커넥터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수용된 전원 단자 및 접지 단자를 구비한다. 이 접지 단자는, 그 선단이, 전원 단자의 선단보다 길어지도록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접지 단자의 선단의 길이의 분만큼, 하우징의 사이즈를 크게(길게) 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커넥터 전체가 커질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의 사정 하에 이루어진 것이며, FMLB 구조를 구비하면서,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의 대형화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커넥터는,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의 내부에 지지되고, 제 1 한쪽 개구로부터, 제 1 상대측 단자가 삽입되는 제 1 다른쪽의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 1 상대측 단자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갖는 도전성의 제 1 접촉판을 구비하는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본체부와 상이한 제 2 본체부와, 상기 제 2 본체부의 내부에 지지되고, 제 2 한쪽 개구로부터 제 2 상대측 단자가 삽입되는 제 2 다른쪽의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 2 상대측 단자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갖는 도전성의 제 2 접촉판을 구비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다른쪽의 개구로부터 상기 제 1 접촉부까지의 제 1 치수는 상기 제 2 다른쪽의 개구로부터 상기 제 2 접촉부까지의 제 2 치수보다 짧다.
상기 제 1 접촉판의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 2 접촉판의 연장되는 방향에 평행이며,
상기 제 1 본체부의 상기 제 1 다른쪽의 개구와, 상기 제 2 본체부의 상기 제 2 다른쪽의 개구는 상기 제 1 접촉판의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면 상에 마련되어도 좋다.
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제 1 접촉판의 선단에 마련되어도 좋다.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접촉판을 향하여 아치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접촉판에 대향하는 아치형상 접촉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촉판은, 그 선단이 상기 아치형상 접촉판을 향하여 만곡되며, 또한 만곡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구비하여도 좋다.
상기 제 1 접촉판과 상기 제 1 본체부는 단일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접촉판은 상기 제 1 본체부와는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 1 단자를 수용하는 제 1 단자 수용부와, 상기 제 2 단자를 수용하는 제 2 단자 수용부를 구비하고, 절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갖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커넥터 유닛은,
제 1 관점에 따른 커넥터와,
도전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상대측 단자 및 상기 제 2 상대측 단자를 갖고, 상기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상대측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따라서, 상기 제 1 상대측 단자가 상기 제 1 접촉부에 접촉하고 나서, 상기 제 2 상대측 단자가 상기 제 2 접촉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상기 제 1 상대측 단자 및 상기 제 2 상대측 단자를 돌출시켜 지지하는, 절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대측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상대측 단자의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에서, 상기 제 1 상대측 단자의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뺀 값은, 상기 제 2 치수에서 상기 제 1 치수를 뺀 값보다 작아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서는, 제 1 단자의 제 1 치수를 제 2 단자의 제 2 치수보다 짧게 하는 동시에, 제 1 단자를 접지 단자로서 기능시키는 것에 의해, 제 1 단자의 전체의 길이를 길게 하는 일이 없이, FMLB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FMLB 구조를 구비하면서,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 유닛의 분해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
도 4의 (A)는 커넥터의 정면도이며, 도 4의 (B)는 접지 단자 및 신호 단자의 하우징 내에서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5의 (A)는 접지 단자의 사시도이며, 도 5의 (B)는 접지 단자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접지 단자의 정면도이며, 도 6의 (B)는 접지 단자의 선단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접지 단자의 탄성 접촉판의 단면도이며, 도 8의 (B)는 본체부의 천정판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접지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9의 (A)는 접지 단자의 탄성 접촉판의 작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부분 1)이며, 도 9의 (B)는 접지 단자의 탄성 접촉판의 작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부분 2)이다.
도 10의 (A)는 신호 단자의 단면도이며, 도 10의 (B)는 신호 단자의 선단을 확대한 단면도이며, 도 10의 (C)는 접지 단자 및 신호 단자의 하우징 내에서의 배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의 (A)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부분 1)이며, 도 11의 (B)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접지 단자의 선단을 확대한 단면도(부분 1)이며, 도 11의 (C)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단자의 선단을 확대한 단면도(부분 3)이다.
도 12의 (A)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부분 2)이며, 도 12의 (B)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접지 단자의 선단을 확대한 단면도(부분 2)이며, 도 12의 (C)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 단자의 선단을 확대한 단면도(부분 2)이다.
도 13은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부분 3)이다.
도 14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부분 4)이다.
도 15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부분 1)이다.
도 16은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부분 2)이다.
도 17의 (A)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부분 3)이며, 도 17의 (B)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접지 단자의 선단을 확대한 단면도(부분 1)이며, 도 17의 (C)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단자의 선단을 확대한 단면도(부분 1)이다.
도 18의 (A)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부분 4)이며, 도 18의 (B)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접지 단자의 선단을 확대한 단면도(부분 2)이며, 도 18의 (C)는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 단자의 선단을 확대한 단면도(부분 2)이다.
도 19는 커넥터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변형예에 따른 커넥터 유닛의 분해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유닛(10) 및 커넥터(30)에 대해, 도 1 내지 도 2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XYZ 좌표를 설정하고, 적절히 참조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Y축 방향은, 커넥터(30)를 끼워맞추게 할 때, 상대측 커넥터(20)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끼워맞춤 방향(D1)에 평행이다. XZ 평면은 끼워맞춤 방향(D1)에 직교하는 면이다.
커넥터 유닛(10)은, 예를 들면, 자동차에 장비되는 전자 회로 부품끼리의 접속에 이용된다. 커넥터 유닛(10)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20)와, 커넥터(30)를 구비한다.
상대측 커넥터(20)는 커넥터(30)에 끼워맞춘다. 이 상대측 커넥터(20)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 커넥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대측 커넥터(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대측 하우징(21)과, 2개의 상대측 접지 단자(25)와, 14개의 상대측 신호 단자(26)를 구비한다.
상대측 하우징(21)은 +Y 방향으로 개구되는 끼워맞춤 구멍(22)이 형성된 대략 상자 형상의 부재이다. 상대측 하우징(21)의 끼워맞춤 구멍(22)에는, 커넥터(30)가 삽입된다. 상대측 하우징(21)의 천정 벽부(23)의 +Y측 근방에는, 고정부(24)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4)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축 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경사면과, Y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에 거의 평행한 고정면이 형성되어 있다.
상대측 접지 단자(25) 및 상대측 신호 단자(26)는 도전성의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대측 접지 단자(25) 및 상대측 신호 단자(26)는 수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대측 접지 단자(25)와 상대측 신호 단자(26)는 동일 사이즈 및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대측 접지 단자(25) 및 상대측 신호 단자(26)에는, +Y측의 단부(25a, 26a) 및 -Y측의 단부(25b, 26b)가 형성되어 있다. +Y측의 단부(25a, 26a)는 상대측 하우징(21)의 내부의 공간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대측 접지 단자(25)의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LP1)는 상대측 신호 단자(26)의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LP2)와 동일하다. -Y측의 단부(25b, 26b)는 상대측 하우징(21)의 -Y측의 후단면으로부터 -Y 방향에 평행하게 돌출되며, 대략 S자 형상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단부(25b, 26b)는 배선 기판(S)에 납땜되는 외부 리드부로서 이용된다.
커넥터(3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와이어(W)가 접속된다. 커넥터(30)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하우징(31)과, 2개의 접지 단자(40)(제 1 단자)와, 14개의 신호 단자(50)(제 2 단자)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30)의 단자는 접지를 위한 접지 단자(40)와,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 단자(50)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커넥터(30)는 접지 단자(40)를 갖지 않으며, 신호 단자(50)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다른 용도의 단자, 예를 들면,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하우징(31)은 Y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1)에는, 아암부(32)와, 아암부(32)에 마련된 피고정부(33)와, 접지 단자(40) 및 신호 단자(50)를 삽입하는 삽입구(34)와, 고정 해제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아암부(32)는 하우징(31)의 길이 방향인 Y축 방향으로 연장설치하고, 또한 +Z 방향으로 돌출되어 마련되어 있다. 아암부(32)는 상대측 커넥터(20)와 커넥터(30)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따라서, 휘도록 마련되어 있다.
피고정부(33)는, 상대측 커넥터(20)와 커넥터(30)가 끼워맞추어졌을 때에, 고정부(24)가 고정하는 고정 대상이다. 피고정부(33)에는, 고정부(24)의 경사면과 동등한 경사 각도의 경사면과, XY 평면에 거의 평행한 평탄면과, XZ 평면에 거의 평행한 피고정면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34)는 하우징(31)의 후단면(+Y측의 단면)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구(34)는, 접지 단자(40) 및 신호 단자(50)의 합계 개수에 맞추어, 16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하나의 삽입구(34)는 하우징(31)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 수용실(35) 중 하나에 통하고 있다.
도 4의 (A) 및 (B)의 하우징(31)의 선단측에서 본 정면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31)에는, 8열 2단의 합계 16실의 단자 수용실(35)이 형성되어 있다. 16실의 단자 수용실(35)은 모두 동일 사이즈 및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단 중앙 근방의 2실의 단자 수용실(35)(제 1 단자 수용부)에는, 접지 단자(40)가 수용된다. 그 이외의 단자 수용실(35)(제 2 단자 수용부)에는, 신호 단자(50)가 수용된다. 하단의 단자 수용실(35)에 수용되어 있는 신호 단자(50)는, 상단의 단자 수용실(35)에 수용되어 있는 접지 단자(40) 및 신호 단자(50)와 상하가 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하단에 수용된 신호 단자(50)의 후술하는 본체부(51)의 바닥판이, 상단에 수용된 접지 단자(40)의 후술하는 본체부(41)의 바닥판(41-2), 및 상단에 수용된 신호 단자(50)의 본체부(51)의 바닥판에 대향한다.
접지 단자(40)는 구리, 구리 합금 등의 도전성의 판재를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접지 단자(40)는, 도 5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암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접지 단자(40)는 본체부(41)(제 1 본체부)와, 탄성 접촉판(42)(제 1 접촉판)과, 아치형상 접촉판(43)과, 도체 스웨이징부(44)와, 피복 고정부(45)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41), 탄성 접촉판(42), 도체 스웨이징부(44), 및 피복 고정부(45)는 단일의 판재를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아치형상 접촉판(43)은 다른 단일의 판재를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41)는, 도 5의 (B) 및 도 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천정판(41-1), 바닥판(41-2), 한쌍의 측판(41R, 41L)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1)는 +Y측의 개구(41a)(제 1 한쪽의 개구)와, -Y측의 개구(41b)(제 1 다른쪽의 개구)의 양 개구를 구비한다.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측의 개구(41b)는 상대측 접지 단자(25)가 삽입되는 개구이다.
탄성 접촉판(42)은,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41)의 천정판(41-1)에 대향하며, 본체부(41)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탄성 접촉판(42)은, 본체부(41)의 개구(41a)로부터 개구(41b)를 향하여,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탄성 접촉판(42)은, 도 7, 도 8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부(42a)와, 접촉판 본체부(42b)와, 중앙 선단부(60)와, 한쌍의 양측 선단부(70R, 70L)와, 접촉부(C1)(제 1 접촉부)를 구비한다. 접촉부(C1)는 상대측 접지 단자(25)와 접촉하는 부위이다. 또한, 도 8의 (B)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천정판(41-1)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기부(42a)는, 도 8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41)의 측판(41R)으로부터 연장되며, 천정판(41-1)의 하면(-Z측의 면)에 오버랩되어 배치되어 있다. 기부(42a)는 XY 평면에 평행한 면을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판 본체부(42b)는 기부(42a)로부터 -Y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촉판 본체부(42b)는 기부(42a)보다 하방에 오프셋되어 있는 XY 평면에 평행한 면을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촉판 본체부(42b)로부터는, 중앙 선단부(60)와 한쌍의 양측 선단부(70R, 70L)가 연장되어 있다.
중앙 선단부(60)는 하측으로 만곡되는 제 1 연장부(61)와,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도록 절곡되는 제 2 연장부(62)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연장부(62)의 하면에는, 상대측 접지 단자(25)와 접촉하는 부위인 접촉부(C1)가 마련되어 있다.
양측 선단부(70R, 70L)는 중앙 선단부(60)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양측 선단부(70L)는 XY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부(71)와, XY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평행부(72)를 구비한다. 평행부(72)는 천정판(41-1)의 하면(-Z측의 면)과 오버랩되어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양측 선단부(70R)에도, XY 평면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부와, XY 평면에 대하여 평행한 평행부를 구비한다. 양측 선단부(70R)의 평행부는 천정판(41-1)의 하면(-Z측의 면)에 오버랩되어 배치되어 있다. 양측 선단부(70L)는 양측 선단부(70R)와, YZ 평면에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탄성 접촉판(42)은,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성한다.
우선, 탄성 접촉판(42)을 작성하는 작업자는, 도 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선단부(60)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접촉판(142)을 준비한다. 이 접촉판(142)은 후술하는 신호 단자(50)의 접촉판(52)과 동등한 사이즈, 형상의 것이다. 이어서, 작업자는 접촉판(142)에 절취부(142a)를 형성한다. 이 때, 양측 선단부(70R, 70L)가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의 선단부(160)에 굽힘 가공을 실시하여, 도 9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 선단부(60)를 형성한다. 이상에 의해, 중앙 선단부(60)를 갖는 탄성 접촉판(42)이 완성된다.
신호 단자(50)의 접촉판(52)과 동등한 접촉판(142)에 가공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중앙 선단부(60)를 갖는 탄성 접촉판(42)이 용이하게 얻어진다. 이 때문에, 종래의 형상의 단자를 유용할 수 있는 동시에, 커넥터(30)의 제조에 따른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양측 선단부(70R, 70L)의 형성후에, 중앙 선단부(60)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 접촉판(42)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면, 평판형상의 접촉판(142)에 절취부(142a)를 형성한 후에, 양측 선단부(70R, 70L)와 중앙 선단부(60)를 동시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 이외의 방법이어도 좋다.
아치형상 접촉판(43)은 탄성을 갖는 판 스프링 부재이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41)에 삽입된 상대측 접지 단자(25)를 +Z 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아치형상 접촉판(43)은, 본체부(41)의 바닥판에 오버랩시키도록, 본체부(41)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아치형상 접촉판(43)은 본체부(41)의 개구(41b)로부터 개구(41a)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아치형상 접촉판(43)은 탄성 접촉판(42)을 향하여 아치형상으로 돌출되며, 탄성 접촉판(42)에 대향하고 있다.
도체 스웨이징부(44)와 피복 고정부(45)는 와이어(W)를 스웨이징하기 위한 와이어 스웨이징부를 구성한다. 도체 스웨이징부(44)는, 스웨이징에 의해, 와이어(W)의 절연 피복선에 있어서의 심선의 선단부에 압착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피복 고정부(45)는, 스웨이징에 의해, 와이어(W)의 절연 피복선의 단부를 가압하여, 인발력으로부터 도체 스웨이징부(44)와 심선의 접속을 보호한다. 도체 스웨이징부(44) 및 피복 고정부(45)와 본체부(4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체 스웨이징부(44)에 압착된 심선과 본체부(41)에 삽입된 상대측 접지 단자(25)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신호 단자(50)는, 도 10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접지 단자(40)의 탄성 접촉판(42)은 선단 형상이 상이한 단자이다. 신호 단자(50)는 구리, 구리 합금 등의 도전성의 판재를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신호 단자(50)는, 접지 단자(40)와 마찬가지로, 암 단자로 구성되어 있다. 신호 단자(50)는 본체부(51)(제 2 본체부)와, 접촉판(52)(제 2 접촉판)과, 아치형상 접촉판(53)과, 도체 스웨이징부(54)와, 피복 고정부(55)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51), 접촉판(52), 도체 스웨이징부(54), 및 피복 고정부(55)는 단일의 판재를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구성된다. 아치형상 접촉판(53)은 다른 단일의 판재를 굽힘 가공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51)는 접지 단자(40)의 본체부(41)와 동등한 부재이다. 본체부(51)는 천정판, 바닥판, 한쌍의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51)는 +Y측의 개구(51a)(제 2 한쪽 개구)와 -Y측의 개구(51b)(제 2 다른쪽의 개구)를 구비한다. -Y측의 개구(51b)는 상대측 신호 단자(26)가 삽입되는 개구이다. 또한, 개구(51b)는, 도 10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 단자(40)의 본체부(41)의 개구(41b)와 함께, Y축 방향에 직교하는 면(S1) 상에 마련되어 있다.
도 10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판(52)은 본체부(51)의 천정판에 오버랩된 제 1 판부(52a) 및 제 3 판부(52c)와, 본체부(51)의 천정판으로부터 멀어져 배치된 제 2 판부(52b)를 갖고, 본체부(51)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접촉판(52)은, 본체부(51)의 개구(51a)로부터 개구(51b)를 향하여, 제 3 판부(52c), 제 2 판부(52b) 및 제 1 판부(52a)의 순서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도 10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판(52)의 연장 방향(DE2)은 Y축 방향에 평행한 동시에, 접지 단자(40)의 탄성 접촉판(42)의 연장 방향(DE1)과도 평행이다. 또한,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촉판(52)은 본체부(51)의 개구(51b)로부터 삽입된 상대측 신호 단자(26)와 접촉하는 접촉부(C2)(제 2 접촉부)를 구비한다. 접촉부(C2)는 접촉판(52)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다.
아치형상 접촉판(53)은, 도 10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 단자(40)의 아치형상 접촉판(43)과 동등한 부재이다. 아치형상 접촉판(53)은 탄성을 갖는 판 스프링 부재이며, 본체부(51)에 삽입된 상대측 신호 단자(26)를 -Z 방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아치형상 접촉판(53)은, 본체부(51)의 바닥판에 오버랩시키도록, 본체부(51)의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아치형상 접촉판(53)은 본체부(51)의 개구(51b)로부터 개구(51a)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아치형상 접촉판(53)은 접촉판(52)을 향하여 아치형상으로 돌출되며, 접촉판(52)에 대향하고 있다.
도체 스웨이징부(54)와 피복 고정부(55)는 와이어(W)를 스웨이징하기 위한 와이어 스웨이징부를 구성한다. 도체 스웨이징부(54) 및 피복 고정부(55)는 접지 단자(40)의 도체 스웨이징부(44) 및 피복 고정부(45)와 동등한 부재이다.
도 6의 (B) 및 도 10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부(41)의 개구(41b)로부터 접촉부(C1)까지의 치수(L1)(제 1 치수)는 본체부(51)의 개구(51b)로부터 접촉부(C2)까지의 치수(L2)(제 2 치수)보다 짧다. 또한, 도 5의 (B) 및 도 10의 (A)에 도시하는, 접지 단자(40)의 전체 길이(F1)는 신호 단자(50)의 전체 길이(F2)와 동일하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지 단자(40)의 전체 길이(F1)는 신호 단자(50)의 전체 길이(F2)와 거의 동일한 길이이면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커넥터 유닛(10)의 상대측 커넥터(20)와 커넥터(30)의 끼워맞춤 방법에 대해 도 11 내지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30)를 끼워맞춤 방향(D1)으로 이동시켜 가면, 접지 단자(40)의 치수(L1)가 신호 단자(50)의 치수(L2)보다 짧기 때문에, 우선, 도 11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 단자(40)의 탄성 접촉판(42)의 접촉부(C1)가 상대측 접지 단자(25)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상대측 접지 단자(25)와 접지 단자(40)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도 11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측 신호 단자(26)와 신호 단자(50)의 접촉판(52)은 비접촉 상태이다. 즉, 상대측 신호 단자(26)와 신호 단자(50)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30)를 끼워맞춤 방향(D1)으로 이동시켜 가면,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 접촉판(42)의 중앙 선단부(60)는 휨 방향(A1)으로 휜다. 그리고, 상대측 접지 단자(25)에, 접지 단자(40)의 탄성 접촉판(42)이 접촉하는 것에 의해 도통 상태가 유지되면서, 상대측 접지 단자(25)는 접지 단자(40)의 내부에 삽입되어 간다. 이 때,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측 신호 단자(26)에, 신호 단자(50)의 접촉판(52)의 접촉부(C2)가 접촉된다. 이에 의해, 상대측 신호 단자(26)와 신호 단자(50)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30)를 끼워맞춤 방향(D1)으로 이동시켜 가면, 상대측 하우징(21)의 고정부(24)에, 하우징(31)의 피고정부(33)가 접촉한다. 그리고, 고정부(24)의 경사면에 피고정부(33)가 안내되는 것에 의해, 아암부(32)가 휘어, 화살표(A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고정부(33)가 하측(-Z측)으로 압입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30)를 끼워맞춤 방향(D1)으로 이동시켜 가면, 아암부(32)의 휨이 해소되어, 아암부(32)의 탄성 회복에 의해, 피고정부(33)는 화살표(A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Z측)으로 되돌려진다. 그 결과, 고정부(24)의 고정면과 피고정부(33)의 피고정면이 대향하며, 고정부(24)가 피고정부(33)에 고정된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 유닛(10)의 상대측 커넥터(20)와 커넥터(30)의 끼워맞춤은 완료된다.
다음에, 커넥터 유닛(10)의 상대측 커넥터(20)와 커넥터(30)의 끼워맞춤의 해제 방법에 대하여, 도 15 내지 도 18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상대측 커넥터(20)와 커넥터(30)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경우,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커넥터(30)의 고정 해제부(36)를 화살표(A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른다. 그러면, 아암부(32)가 휘어, 피고정부(33)가 하측(-Z측)으로 압입된다. 그 결과, 고정부(24)와 피고정부(33)의 고정이 해제된다.
그리고, 커넥터(30)를,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 해제부(36)를 누른 채로, 분리 방향(D2)으로 이동시켜, 상대측 커넥터(20)로부터 인발해간다.
또한,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30)를 분리 방향(D2)으로 이동시켜 가면, 신호 단자(50)의 치수(L2)가 접지 단자(40)의 치수(L1)보다 길기 때문에, 우선 도 17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신호 단자(50)의 접촉판(52)이 상대측 신호 단자(26)로부터 멀어진다. 이에 의해, 상대측 신호 단자(26)와 신호 단자(50)는 비도통 상태가 된다. 이 때,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측 접지 단자(25)에, 접지 단자(40)의 탄성 접촉판(42)이 접촉되어 있으며, 도통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 18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넥터(30)를 분리 방향(D2)으로 이동시켜 가면, 도 1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 단자(40)의 탄성 접촉판(42)이 상대측 접지 단자(25)로부터 멀어진다. 이에 의해, 상대측 접지 단자(25)와 접지 단자(40)는 비도통 상태가 된다. 이 때, 도 18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측 신호 단자(26)와 신호 단자(50)는 이미 비도통 상태이므로, 접지 단자(40) 및 신호 단자(50) 모두 비도통 상태가 된다.
또한, 커넥터(30)를 분리 방향(D2)으로 이동시켜 가는 것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측 커넥터(20)로부터 커넥터(30)가 분리된다. 이상에 의해, 커넥터 유닛(10)의 상대측 커넥터(20)와 커넥터(30)의 끼워맞춤이 해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지 단자(40)의 내부의 치수(L1)를 신호 단자(50)의 내부의 치수(L2)보다 짧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접지 단자(40)의 전체 길이(F1)를 길게 하는 일이 없이, FMLB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접지 단자(40)의 전체 길이(F1)에 맞추어, 하우징(31)을 대형화하는 일이 없다. 결과적으로, FMLB 구조를 구비하면서, 커넥터(30) 및 커넥터 유닛(10)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커넥터(30) 및 커넥터 유닛(10)의 소형화를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대측 접지 단자(25)의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LP1)를 상대측 신호 단자(26)의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LP2)와 동일하게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돌출되는 부분이 길이(LP1 또는 LP2)에 맞춰져서, 상대측 하우징(21)을 대형화시킬 일이 없다. 결과적으로, 상대측 커넥터(20)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유닛(10)에 있어서는, 커넥터(30) 및 커넥터 유닛(10)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상대측 커넥터(20)와 커넥터(30)의 끼워맞춤에 따라서, 상대측 신호 단자(26)와 신호 단자(50)의 접촉보다 이전에, 상대측 접지 단자(25)와 접지 단자(40)를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커넥터(30) 및 커넥터 유닛(10)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상대측 커넥터(20)와 커넥터(30)의 끼워맞춤을 해제할 때에는, 상대측 신호 단자(26)와 신호 단자(50)가 멀어진 후에, 상대측 접지 단자(25)와 접지 단자(40)를 멀어지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대측 커넥터(20)에 접속되어 있는 배선 기판(S)이나, 와이어(W)에 접속되어 있는 반도체나 전자 부품에 전기적 과잉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지 단자(40)와 신호 단자(50)는, 탄성 접촉판(42) 및 접촉판(52)의 선단 형상 이외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도 19에 도시하는, FMLB 구조를 갖지 않는 커넥터(30)의 하우징(31)으로부터 신호 단자(50)를 분리하고, 접지 단자(40)를 조립하는 것에 의해, FMLB 구조를 갖는 커넥터(30)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31)의 설계 변경이 필요하지 않으며, 커넥터(30)의 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지 단자(40)를 분리하고, 신호 단자(50)를 조립하거나 신호 단자(50)를 분리하고, 접지 단자(40)를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커넥터(30)의 하우징(31)에 대해서도, 본 실시형태의 접지 단자(40) 등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30)에 대한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지 단자(40)는, -Y측의 선단에, 접촉부(C1)가 마련된 탄성 접촉판(42)을 갖고 있다. 접지 단자(40)는, 신호 단자(50)에 대하여, 이 탄성 접촉판(42)의 선단 형상이 상이하기만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신호 단자(50)에 약간의 가공을 실시하는 것만으로도, FMLB 구조를 갖는 커넥터(30)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측 접지 단자(25)의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LP1)는 상대측 신호 단자(26)의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LP2)와 동일하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대측 신호 단자(26)의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LP2)에서 상대측 접지 단자(25)의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LP1)를 뺀 값(LP2-LP1)이, 치수(L2)로부터 치수(L1)를 뺀 값(L2-L1)보다 작으면, 길이(LP1, LP2)와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LP2-LP1)<(L2-L1)}. 예를 들면, 종래의 커넥터(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넥터)의 구조와는 반대로, 상대측 신호 단자(26)의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LP2)는 상대측 접지 단자(25)의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LP1)보다 길어도 좋다. 이 때 감산값(LP2-LP1)이 감산값(L2-L1)보다 작으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커넥터 유닛(10)과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대측 커넥터(20)와 커넥터(30)의 끼워맞춤에 따라서, 상대측 신호 단자(26)와 신호 단자(50)의 접촉보다 이전에, 상대측 접지 단자(25)와 접지 단자(40)를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접지 단자(40)의 탄성 접촉판(42)과 본체부(41)는 단일의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 접촉판(42)과 본체부(41)는 다른 판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탄성 접촉판(42) 및 본체부(41)와, 아치형상 접촉판(43)도 다른 부재라도 좋으며, 단일의 판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신호 단자(50)의 접촉판(52)과 본체부(51)는 단일의 판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접촉판(52)과 본체부(51)는 다른 판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접촉판(52) 및 본체부(51)와, 아치형상 접촉판(53)도 다른 부재라도 좋고, 단일의 판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커넥터(30)는 2개의 접지 단자(40)와, 14개의 신호 단자(50)를 구비한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지 단자(40) 및 신호 단자(50)의 개수는 임의이다. 커넥터(30)는 본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개수 이외의 접지 단자(40) 및 신호 단자(50)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접지 단자(40)는 8열 2단의 단자 수용실(35) 중 상단 중앙 근방의 2실에 수용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지 단자(40)는 다른 단자 수용실(35)에 수용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이 없이, 여러 가지 실시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0: 커넥터 유닛 20: 상대측 커넥터
21: 상대측 하우징 22: 끼워맞춤 구멍
23: 천정 벽부 24: 고정부
25: 상대측 접지 단자(제 1 상대측 단자)
25a, 25b: 단부
26: 상대측 신호 단자(제 2 상대측 단자)
26a, 26b: 단부 30: 커넥터
31: 하우징 32: 아암부
33: 피고정부 34: 삽입구
35: 단자 수용실 36: 고정 해제부
40: 접지 단자(제 1 단자) 41: 본체부(제 1 본체부)
41a: 개구(제 1 한쪽 개구) 41b: 개구(제 1 다른쪽 개구)
41-1: 천정판 41-2: 바닥판
41R, 41L: 측판 42: 탄성 접촉판(제 1 접촉판)
42a: 기부 42b: 접촉판 본체부
43: 아치형상 접촉판 44: 도체 스웨이징부
45: 피복 고정부 50: 신호 단자(제 2 단자)
51: 본체부(제 2 본체부) 51a: 개구(제 2 한쪽 개구)
51b: 개구(제 2 다른쪽 개구) 52: 접촉판(제 2 접촉판)
52a: 제 1 판부 52b: 제 2 판부
52c: 제 3 판부 53: 아치형상 접촉판
54: 도체 스웨이징부 55: 피복 고정부
60: 중앙 선단부 61: 제 1 연장부
62: 제 2 연장부 70R, 70L: 양측 선단부
71: 경사부, 72: 평행부
142: 접촉판 142a: 절취부
160: 선단부 S: 배선 기판
W: 와이어 C1: 접촉부(제 1 접촉부)
C2: 접촉부(제 2 접촉부) L1: 치수(제 1 치수)
L2: 치수(제 2 치수) L2-L1: 감산값(뺀 값)
F1, F2: 전체 길이 LP1, LP2: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
LP2-LP1: 감산값(뺀 값) D1: 끼워맞춤 방향
D2: 분리 방향 A1: 휨 방향
A2 내지 A4: 화살표 DE1, DE2: 연장 방향

Claims (9)

  1.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의 내부에 지지되고, 제 1 한쪽의 개구로부터, 제 1 상대측 단자가 삽입되는 제 1 다른쪽의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 1 상대측 단자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를 갖는 도전성의 제 1 접촉판을 구비하는 제 1 단자와,
    상기 제 1 본체부와 상이한 제 2 본체부와, 상기 제 2 본체부의 내부에 지지되고, 제 2 한쪽 개구로부터 제 2 상대측 단자가 삽입되는 제 2 다른쪽의 개구를 향하여 연장되며, 상기 제 2 상대측 단자가 접촉하는 제 2 접촉부를 갖는 도전성의 제 2 접촉판을 구비하는 제 2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다른쪽의 개구로부터 상기 제 1 접촉부까지의 제 1 치수는 상기 제 2 다른쪽의 개구로부터 상기 제 2 접촉부까지의 제 2 치수보다 짧은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판의 연장되는 방향은 상기 제 2 접촉판의 연장되는 방향에 평행이며,
    상기 제 1 본체부의 상기 제 1 다른쪽의 개구와, 상기 제 2 본체부의 상기 제 2 다른쪽 개구는 상기 제 1 접촉판의 연장되는 방향에 직교하는 면 상에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부는 상기 제 1 접촉판의 선단에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는, 상기 제 1 접촉판을 향하여 아치형상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 1 접촉판에 대향하는 아치형상 접촉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촉판은, 그 선단이 상기 아치형상 접촉판을 향하여 만곡되며, 또한 만곡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판과 상기 제 1 본체부는 단일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판은 상기 제 1 본체부와는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자를 수용하는 제 1 단자 수용부와, 상기 제 2 단자를 수용하는 제 2 단자 수용부를 구비하고, 절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갖는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도전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상대측 단자 및 상기 제 2 상대측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상대측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와 상기 상대측 커넥터의 끼워맞춤의 진행에 따라서, 상기 제 1 상대측 단자가 상기 제 1 접촉부에 접촉하고 나서, 상기 제 2 상대측 단자가 상기 제 2 접촉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커넥터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는, 상기 제 1 상대측 단자 및 상기 제 2 상대측 단자를 돌출시켜 지지하는, 절연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상대측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상대측 단자의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에서, 상기 제 1 상대측 단자의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뺀 값은, 상기 제 2 치수에서 상기 제 1 치수를 뺀 값보다 작은
    커넥터 유닛.
KR1020170123952A 2016-10-06 2017-09-26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KR201800383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98516 2016-10-06
JP2016198516A JP6451714B2 (ja) 2016-10-06 2016-10-06 コネクタ、コネクタユニット、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8373A true KR20180038373A (ko) 2018-04-16

Family

ID=6002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952A KR20180038373A (ko) 2016-10-06 2017-09-26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102615A1 (ko)
EP (1) EP3306753A1 (ko)
JP (1) JP6451714B2 (ko)
KR (1) KR20180038373A (ko)
CN (1) CN107919585A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3445A (fr) * 1972-02-08 1973-04-16 Elco Corp Fiche femelle pour broche de contact de section carree
JPS61186188U (ko) * 1985-05-10 1986-11-20
JPS63138678A (ja) * 1986-12-01 1988-06-1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S63261685A (ja) * 1987-04-07 1988-10-28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多端子コネクタ
JPH0380985U (ko) * 1989-12-11 1991-08-19
JP2570932Y2 (ja) * 1991-12-06 1998-05-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ディップコネクタ
JPH0680277U (ja) * 1993-04-23 1994-11-0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源供給用コネクタ構造
JP2953961B2 (ja) * 1994-09-28 1999-09-27 東北日本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3728639B2 (ja) * 1997-05-09 2005-12-21 日本モレックス株式会社 雌型電気端子
US6056604A (en) * 1998-07-29 2000-05-02 Framatome Connectors Interlock, Inc.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with a contact spring biased against a side of the receptacle without spreading a seam in the side of the receptacle
US6247975B1 (en) * 1998-12-14 2001-06-19 Framatome Connectors Interlock, Inc. Multi-piece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JP2001102113A (ja) * 1999-09-30 2001-04-1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接続装置
JP3699057B2 (ja) * 2002-05-09 2005-09-28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シーケンシャル接続コネクタ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付加コンタクト
US7537497B2 (en) * 2005-09-26 2009-05-2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Multi-piece electrical receptacle terminal
US7267583B1 (en) * 2006-09-19 2007-09-11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JP5706352B2 (ja) * 2012-02-03 2015-04-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02615A1 (en) 2018-04-12
CN107919585A (zh) 2018-04-17
JP6451714B2 (ja) 2019-01-16
EP3306753A1 (en) 2018-04-11
JP2018060724A (ja)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16071B1 (en) Connector assembly
JP5001740B2 (ja) 電気コネクタ
US8062041B2 (en) Connector
JP6341225B2 (ja) 端子及びコネクタ
KR20120022624A (ko) 전기 커넥터 및 회로 보드 어셈블리
JP2014513391A (ja) ばね部材による先行して行われる接地接続
US20130323955A1 (en) Connector terminal and card edge type connector including this connector terminal
JP2010157368A (ja) 電気コネクタ
KR20180072533A (ko) 커넥터 장치
JP2009164105A (ja) 第1コネクタ、第2コネクタ及び電気接続装置
TW200832830A (en) Connector
CN106257753B (zh) 电力连接器以及配置为与电力连接器配合的可插拔连接器
KR20180073480A (ko) 커넥터 및 커넥터의 제조 방법
JP2010157367A (ja) 電気コネクタ
US9437946B2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s
KR101488892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WO2014148134A1 (ja) Usb規格準拠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20180038373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유닛
JP5650487B2 (ja) コネクタ
US11146004B2 (en) Connector assembly
JP4551276B2 (ja) ロック機構付きプラグ
EP2862238B1 (en) Connector terminal
US20240022021A1 (en)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JP7326928B2 (ja) 端子及びコネクタ
JP7002437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