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978A - 무기 구동부 및 비상 무기 정지부를 갖춘 무기 구동부 - Google Patents

무기 구동부 및 비상 무기 정지부를 갖춘 무기 구동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6978A
KR20180036978A KR1020187003811A KR20187003811A KR20180036978A KR 20180036978 A KR20180036978 A KR 20180036978A KR 1020187003811 A KR1020187003811 A KR 1020187003811A KR 20187003811 A KR20187003811 A KR 20187003811A KR 20180036978 A KR20180036978 A KR 20180036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pin
drive
weapon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8156B1 (ko
Inventor
후베르트 슈나이더
Original Assignee
라인메탈 바페 뮤니션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5012981.3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5012981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5008798.3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5008798B4/de
Application filed by 라인메탈 바페 뮤니션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라인메탈 바페 뮤니션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36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6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7/00Auxiliary mechanisms for bringing the breech-block or bolt or the barrel to the starting position before automatic firing; Drives for externally-powered guns; Remote-controlled gun chargers
    • F41A7/08Drives for externally-powered guns, i.e. drives for moving the breech-block or bolt by an external force during automatic fi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7/00Safety arrangements, e.g. safeties
    • F41A17/18Hang-fire preven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 Earth Drill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Slide Fasteners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무기(100)를 위한 구동부(10)가 제안되는데, 상기 구동부는 구동 캠(1) 및 이 구동 캠(1) 내에서 안내되는 커넥팅 로드 유닛(2)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캠(1)은 무기(10)의 발사 사이클을 한정한다. 커넥팅 로드(2.1) 이외에, 커넥팅 로드 유닛(2)은 전방 핀(2.2) 및 후방 핀(2.3), 즉 스트럿 핀(2.3)을 포함한다. 커넥팅 로드 유닛의 전방 핀(2.2)을 이용하여, 커넥팅 로드 유닛(2)은 구동 캠(1) 내에 결합된다. 전방 핀(2.2)은 또한 크랭크(3)에 연결되는데, 크랭크는 외부 구동부(4)에 의해 구동된다. 스트럿 핀(2.3)은 무기(10)의 브리치 블록(11)의 전체 제어 슬라이더(12)에 연결된다. 커넥팅 로드 유닛(2)의 커넥팅 로드 슬라이더(2.6)는 홈(2.5)을 갖는데, 이 홈 내에서 스트럿 핀(2.3)이 안내되고, 커넥팅 로드(2.1)는 스트럿 핀(2.3) 뒤에 놓이는 피봇 지점(2.4)에서 관절식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브리치 블록(11)이 정지되어 있을 때, 스트럿 핀(2.3)은 전체 제어 슬라이더(12) 내에서 그리고 커넥팅 로드 유닛(2) 내의 홈(2.5) 내에서 피봇하게 된다. 비상 정지 디바이스(20)는 운동학적 기구(23)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는 탄환이 발사될 때 핀(21)을 연장시키며 전체 제어 슬라이더(12)가 함께 이동되는 것을 보장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어떠한 탄환도 발사되지 않는 경우, 핀(21)은 연장되지 않고 전체 제어 슬라이더(12)는 움직이지 않게 된다. 구동부(100)의 부품은 이러한 경우에 지속적으로 이동한다.

Description

무기 구동부 및 비상 무기 정지부를 갖춘 무기 구동부
본 발명은 외부 구동식 무기용 구동부에 관한 것이며, 탄환이 발사되지 않을 때의 무기 신속 정지부 또는 비상 정지부에 관한 것이다.
DE 10 2006 022 622 A1은, 무기 배럴(weapon barrel)에서의 탄약의 선형적인 급송을 위한 기능 제어기를 개시하고 있다. 구동부 자체는 리볼빙 체인(revolving chain)이다.
추가적인 구동부는 DE 10 2007 048 468 A1에 개시되어 있다. 무기의 유휴 시간(idle time)을 위한 기능 제어기 및 이에 따른 노리쇠(breech)의 기능 제어기는, 여기서 역시 콘트롤 링크(control link) 및 드라이브 링크(drive link)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콘트롤 링크는 노리쇠에 대해 평행한 수평방향 평면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드라이브 링크는 콘트롤 링크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된다.
DE 10 2008 060 214 A1은 외부 구동식 무기용 크랭크 구동부를 설명하고 있다. 종료 위치에서의 노리쇠의 유휴 시간을 구현하기 위해, 커넥팅 로드 및 크랭크는, 서로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크랭크 반경은 크랭크의 회전 시에 변하게 된다. 커넥팅 로드의 반경방향 안내는 제어 곡선부에 의해 행해진다.
DE 10 2008 060 217 A1은, 크랭크 하우징 내에 제어 곡선부를 갖춘 구동부를 공개하고 있는데, 상기 제어 곡선부는 노리쇠의 원하는 운동의 설정 그리고 또한 유휴 시간의 설정을 위해 다양한 영역/섹터로 세분된다.
DE 10 2007 048 470 A1은 예컨대 체인인 구동부 내로 통합되는 신속 정지부를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신속 정지부는 무기의 노리쇠의 급송부에서 대향측 상의 편향기를 작동시키며, 체인의 구동 경로에 결합된다. 탄환이 발사 완료되고 이에 따라 무기 또는 무기 하우징의 반동이 발생하게 되면, 편향기는 다시 비활성화되며, 구동부는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지속하여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탄환이 발사되지 않으면, 편향기는 그 위치에 남아있게 된다. 구동 캠은 최대로 편향기까지 이동하여 정지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편향기가 구성되며, 예컨대 버퍼링(buffering)되고, 이에 따라 구동부 및 편향기의 파손이 방지된다.
DE 10 2008 060 215 A1은 신속 정지부를 갖춘 구동부를 설명하고 있다. 탄환이 발사되면, 주퇴 운동부(recoiling mass)는 캐리지(carriage)가 움직이게 하며, 이에 따라 구동부의 캠은 그 후방을 향한 이동으로 노리쇠(또는 브리치 캐리어)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불발탄이 있고 반동이 없는 경우에 있어서, 캐리지는 그 위치에 남아있게 되고, 구동부의 캠은 노리쇠 없이 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무기를 위해 내부에 수용되는 구동부 및 비상 정지부를 제시하려는 목적에 기초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구성은 종속 청구항으로부터 파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발사 중에 그리고 무기 반동 중에 노리쇠의 긴 부동 시간(dead time) 또는 충분히 긴 사점(dead point)을 갖는 구동부를 제공한다는 사상에 기초한 것이다. 이러한 사상의 결과로서, 유리하게는, 좁은 구성의 무기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되는 비상 정지부 또는 신속 정지 디바이스는, 심지어 탄환이 발사되지 않은 경우에도(불발탄의 경우), 방해를 받지 않는 방식에서와 같이 구동부가 지속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그 결과로서, 상기 구동부에 대한 가능한 손상이 사전에 배제된다.
상기 구동부는, 커넥팅 로드가 안내되는 구동 곡선부를 갖는다. 상기 구동 곡선부는 무기의 발사 사이클을 한정하며, 이에 따라 노리쇠의 유휴 시간을 한정한다. (발사 방향에서 볼 때) 전방 위치에 있어서, 노리쇠는 비활성화되며 잠기게 된다. 탄환이 발사 완료된 이후, 노리쇠는 잠금 해제 되고, 그 후방 위치로 이동되며, 빈 탄피는 밖으로 안내된 후 배출된다. 상기 후방 위치에 있어서, 노리쇠는 다시 비활성화되고, 새로운 탄약이 무기 내로 도입된다. 비활성화, 잠금, 발사의 기동 등에 관한, 노리쇠 이동의 기본적인 원리는, DE 10 2008 060 217 A1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노리쇠가 무기 시스템 내에서 휴지 중인 시간 동안, 즉 노리쇠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시간 동안, 커넥팅 로드의 전방 핀은 각각의 경우에 무기 및 노리쇠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곡선의 영역 또는 부분에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부분 또는 영역의 반경은 구동 곡선부 내에서 안내되는 커넥팅 로드(베어링)의 길이만큼 길다. 2개의 반경의 런 인(run-in) 곡선/런 아웃(run-out) 곡선은, 노리쇠와 관련된 각각의 작동, 예컨대 노리쇠의 신속한 비활성화 또는 신속하게 개시되는 노리쇠의 복귀 등의 신속한 응답을 달성할 수 있도록 작게 선택된다. 구동 곡선부와 커넥팅 로드의 핀 사이에는 크랭크가 수용되는데, 이 크랭크는 핀의 비-원형 이동을 허용한다.
커넥팅 로드는, 전술한 전방 핀 이외에, 후방 구동부를 포함하며, 후방 구동부 뒤에 위치하는 피봇 지점에서 피봇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다. 전방 핀은 노리쇠의 구동 곡선부 내에서 이동한다. 후방 구동부는 브리치 슬라이드(breech slide)에 횡방향으로 통합되는 홈 내에서 안내된다. 후방 구동부 뒤에 위치하는, 커넥팅 로드의 피봇 지점에 의해 커넥팅 로드의 후방 구동부는 우측으로/좌측으로 피봇하게 되며, 이에 따라 후방 구동부는 브리치 캐리어 또는 노리쇠의 홈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설명한 바와 같은 구동 곡선부의 설계를 허용한다. 상기 구동 곡선부 그리고 또한 무기는 이에 따라 좁은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커넥팅 로드의 피봇 가능한 후방 구동부는, 노리쇠의 유지 슬라이드(캐리어)로서 역할을 하는 전체 제어 슬라이드에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후방 구동부는 전체 제어 슬라이드 아래에 있는 홈형 가이드(goove-like guide) 내에서 안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상 정지 디바이스는 상기 구동부 내에 수용된다. 이를 위해, 구동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제어 슬라이드 상의 견고한 돌출부 또는 고정 러그(fixed lug)로 이루어지며, 상기 러그 또는 돌출부는 전체 제어 슬라이드 및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의 전체 폭을 가로질러 도달하며,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cross slide)는 예컨대 전체 제어 슬라이드 내의 T자형 슬롯에서 안내된다. 노리쇠를 전진시키기 위해, 후방 구동부는 노리쇠를 따라 이동하도록 견고한 러그에 작용하며, 탄환이 발사 완료된 경우, 노리쇠가 복귀될 때, 그 후방 위치로 노리쇠를 이동시키기 위해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에 작용한다. 이를 위해, 크로스 슬라이드는, 후방 구동부가 슬라이드를 따라 노리쇠와 함께 후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위치로 밀리게 된다. 대조적으로, 탄환이 발사되지 않은 경우, 전체 제어 슬라이드의 이동은 사전에 배제된다. 이러한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피봇 가능한 커넥팅 로드 자체에 의해 크로스 슬라이드가 눌리게 되거나 눌리지 않게 된다. 특히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는 리세스(recess)를 갖는다. 탄환이 발사된 경우,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는 변위되며, 이에 따라 또한 리세스도 변위된다. 상기 리세스는,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후방 구동부를 리세스 전방에 있는 측면과 접촉 상태로 유지시킨다. 그러나, 탄환이 검출되지 않으면(예컨대, 불발탄인 경우), 변위되지 않은 상태이며 이에 따라 후방으로 멀리 이동된 후방 구동부는 상기 리세스를 통해 활주하게 된다. 노리쇠는 그 전방의 잠금 위치에 남게 된다. 이에 따라, 전술한 이동 또는 상기 이동의 부재는 비상 정지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비상 정지 디바이스는, 핀을 포함하며, 탄환이 발사되었을 때 핀을 수축시키는 반면 탄환이 발사되지 않았을 때에는 노리쇠가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수축을 방지하는 것인 운동학적 시스템을 더 포함한다.
구동부의 핀은 변위 또는 무-변위를 위해 노리쇠의 전체 제어 슬라이드에 통합된다. 탄환이 발사되었으면, 상기 핀은 반동에 의해 구동부의 경로로 강제되며, 이에 따라 구동부는 핀을 변위시키고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스가 활주하도록 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와 상기 크로스 슬라이드는 축방향으로 중첩되어, 커넥팅 로드 또는 구동부 및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가 전체 제어 슬라이드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 및 전체 제어 슬라이드의 추가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핀은 다시 강제되며 크로스 슬라이드는 그 원래 위치로 다시 이동하게 된다. 이는, 무기 크래들 또는 메인 무기 하우징 내에 통합되는 램프, 경사부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어떠한 탄환도 탐지되지 않으면, 상기 핀은 외부로 강제되지 않으며 그 원래 위치에 남게 된다. 구동부 또는 그 일부는 이때 상기 핀 아래로 핀을 통해 활주하며, 상기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를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의 위치에 남겨둔다. 결과적으로, 상기 구동부는, 구동부가 노리쇠와 함께 이동할 수 없도록, 크로스 슬라이드에 있는 리세스에 대해 배향되며, 그 후방 이동에 있어서 크로스 슬라이드에 있는 리세스에 의해 안내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팅 로드의 구동부는 스프링 로딩 방식(spring-loaded manner)으로 커넥팅 로드에 장착된다.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는 추가적으로 경사부를 갖는다. 이는, 구동부가 경사부를 따라 안내되고 스프링 부하 때문에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후속하여, 상기 구동부는 고정식 러그에 작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 변형은, 어떠한 반동도 발생하지 않을 때 상기 구동부가 계속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큰 장점을 나타낸다. 구동부가 노리쇠의 구동 디바이스에 부딪히면, 구동부는, 크로스 슬라이드에 있는 리세스를 통해, 고정식 러그를 따라 그리고 구동 디바이스로부터 다시 외부로, 구동 디바이스의 크로스 슬라이드 아래로 크로스 슬라이드를 통해 활주한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면, 기계적인 중단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구조적 해법은, 구동부의 역방향 이동(방향의 변경)에 의해, 제어된 방식으로 무기 배럴로부터 불발탄을 추출하기 위해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가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는 후방으로부터 크로스 슬라이드의 표면에 작용하며, 노리쇠와 함께 이동한다.
탄환이 발사될 때 핀을 외부로 강제하고 전체 제어 슬라이드가 함께 이동하는 것을 보장하는 운동학적 시스템에 의해 형성되는 비상 정지 디바이스가 제안된다. 반대로, 탄환이 발사되지 않았을 때, 상기 핀은 외부로 강제되지 않으며 전체 제어 슬라이드는 이동되지 않는다. 상기 구동부의 부품은 이러한 과정에서 계속 움직일 수 있다. 구동 곡선부 및 이 구동 곡선부에서 안내되는 커넥팅 로드를 갖춘, 무기용 구동부가 또한 제안되는데, 상기 구동 곡선부는 무기의 발사 사이클을 한정한다. 상기 커넥팅 로드는, 커넥팅 로드 샤프트 이외에도, 전방 핀 및 구동 핀으로서의 후방 핀을 포함한다. 커넥팅 로드의 전방 핀을 이용하여, 커넥팅 로드는 구동 곡선부와 결합된다. 전방 핀은 또한 크랭크에 연결되는데, 크랭크는 외부 구동부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구동 핀은 무기의 노리쇠의 전체 제어 슬라이드에 연결된다. 상기 커넥팅 로드의 커넥팅 로드 슬라이드는 홈을 가지며, 이 홈 내에서 상기 구동 핀이 안내되고 상기 구동 핀은 구동 핀 뒤에 위치하는 피봇 지점에서 관절식으로 결합되며, 이에 따라 구동 핀은 노리쇠의 유휴 시간 동안 커넥팅 로드에 있는 홈에서 그리고 전체 제어 슬라이드에서 피봇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과 함께 예시적인 실시예를 이용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외부 구동식 무기에서의 노리쇠 구동부(breech drive)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노리쇠 구동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노리쇠 구동부를 무기의 전체 제어 슬라이드(overall control slide)에 부착하는 것에 관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노리쇠 구동부에 수용되는 비상 정지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발사 방향에 대한 비상 정지 디바이스 카운터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비상 정지 디바이스를 측면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노리쇠 구동부에 수용되는 핀에 대한 도면으로서, 비상 정지 디바이스에 의해 릴리스(release)되는 핀을 원 위치에서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무기 크래들(weapon cradle)에 비상 정지 디바이스를 통합시키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구동 곡선부(1) 및 구동 곡선부(1) 내에서 안내되는 커넥팅 로드(2)를 갖춘, 무기(100)(도 8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음)를 위한 구동부(10)를 도시한 것이다. 구동 곡선부(1)는 무기(100)의 발사 사이클을 한정하며, 즉 무기(100)의 노리쇠(11)의 유휴 시간을 한정한다. 상기 구동 곡선부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원형이다. 구동 곡선부(1)는 4개의 영역(1.1 내지 1.4)으로 세분된다. 발사 방향에서 볼 때, 노리쇠(11)에 대해 대체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영역(1.1)은, 무기 배럴[전방에 있는 노리쇠(11)]에 대해 잠겨 있는 그 전방 위치에서 노리쇠(11)의 유휴 시간을 설정한다. 여기서는 반경(r1)에 의해 형성되는 후방 위치(1.3)에 있어서, 노리쇠(11)는 후방에 있다[후방에 있는 노리쇠(11)]. 그 결과로서, 후방 위치에서의 노리쇠(11)의 부동 시간(dead time)이 영향을 받는다. 측방향 직선 영역(1.2, 1.4)은 각각 원하는 기능 이후 노리쇠(11)의 전방 이동 및 후방 이동을 한정한다. 구동 곡선부(1)의 형상에 의해, 노리쇠(11)의 이동 프로파일 및 노리쇠(11)의 역전 위치에서의 대기 시간(유휴 시간)의 유지 정도가 정해진다.
커넥팅 로드(2)는, 커넥팅 로드 샤프트(2.1) 이외에도, 전방 핀(2.2), 후방 핀(2.3), 및 후방 핀 뒤에 위치하는 피봇 지점(2.4)을 갖는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커넥팅 로드(2)는 (발사 방향에서 볼 때) 구동 곡선부(1)에서 전방 핀(2.2)과 결합되며, 구동 곡선부 내에서 이동하게 된다. 전방 핀(2.2)은 크랭크(3)에 연결되는데, 크랭크는 외부 구동부(4)(상세하게 제시되어 있지는 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중심(M)에 대해 구동되는 크랭크(3)는 핀(2.2)을 이동시킨다. 크랭크(3)는 특히 홈(3.1) 내에 수용되며, 이 홈에서, 크랭크(3)는 커넥팅 로드(2)의 전방 핀(2.2)을 비-원형의 구동 곡선부(1) 내에서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활주할 수 있다. 커넥팅 로드(2) 또는 커넥팅 로드 샤프트(2.1)는 노리쇠(11)의 유휴 시간 내에 피봇 지점(2.4)을 중심으로 피봇하게 되며, 이에 따라 후방 핀(2.3)의 피봇이 유발되는데, 후방 핀은 커넥팅 로드(2)의 커넥팅 로드 캐리지(2.6)에 있는 홈(2.5) 내에서 연장되게 된다. 커넥팅 로드 캐리지(2.6)는 바람직하게는 구동부(10)의 하우징에서의 커넥팅 로드(2)의 원활한 활주를 위해, 커넥팅 로드 캐리지(2.6)의 코너에 통합되는 4개의 슬라이딩 롤러(2.8)를 갖는다.
전체 제어 슬라이드(12)(도 3)는 바람직하게는 2개의 제어 곡선부(12.3 및 12.4)를 포함하는데, 전방 제어 곡선부(12.3)는 노리쇠(11)의 비활성화부 및 잠금부를 포함한다. 후방 제어 곡선부(12.4)는 노리쇠(11)에 통합되는 발사용 핀(보다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지는 않음)을 릴리스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전술한 제어 곡선부(12.4) 내에서 U자 형상의 커넥팅 로드(12.5)가 안내되는 경우에 있어서, U자형 커넥팅 로드는 위로부터 노리쇠(11)에 있는 리세스(11.1)에 또는 브리치 헤드(breech head)에 결합된다. 전방 제어 곡선부(12.3)에 의해 상방으로 강제되는 브리치 블록(보다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지는 않음)에 의해 그 전방의 비활성화 위치에 노리쇠(11)가 잠겨 있으면, 발사용 핀은 제2 제어 곡선부(12.4)에 의해 릴리스된다. 이를 위해, 커넥팅 로드(12.5)는 후방의 제2 제어 곡선부(12.4)를 따라 리세스(11.1)로부터 외부로 안내된다.
전체 제어 슬라이드(12)의 저부에는, 홈 형태의 가이드(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음)가 통합된다. 커넥팅 로드(2)는 노리쇠(11)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체 제어 슬라이드(12)에 있는 홈 형태의 가이드에서 커넥팅 로드의 구동 핀(2.3)과 결합되며, 커넥팅 로드(2)의 피봇 지점(2.4)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도 3은 노리쇠의 전방 위치에서의 노리쇠(11)를 도시한 것이며, 여기서 노리쇠는 잠겨 있다.
노리쇠(11)는 다음과 같이 이동된다.
탄약(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음)이 노리쇠(11)에 제공되는, 노리쇠의 후방 위치로부터 노리쇠(11)를 이동시키기 위해, 전방 핀(2.2)은 발사 방향에서 볼 때 후방 영역(1.3)에 있으며, 이때 구동 곡선부(1)의 반경은 r1이다. 노리쇠(11)를 전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 핀(2.3)은, 전체 제어 슬라이드(12)의 구동부로서, 전체 제어 슬라이드(12)에 있는 홈에 작용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반경(r1)은 바람직하게는 커넥팅 로드(2)의 베어링만큼 크고, 그 결과로서 커넥팅 로드(2)의 데드 스트로크(dead stroke)가 방지된다. 전체 제어 슬라이드(12)는 노리쇠(11)의(노리쇠 시스템의) 이동 슬라이드로서의 역할을 한다. 전방 핀(2.2)은 구동 곡선부(1)의 직선 영역(1.2)을 따라 전방을 향해 이동하며, 이에 따라 노리쇠(11)의 구동 핀(2.3) 및 커넥팅 로드(2)를 통해 이동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노리쇠(11)는 탄약(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음)과 함께 이동하며, 무기(100)의 무기 배럴(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음)에 탄약을 공급한다. 일단 전방 핀(2.2)이, 무기(100)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 곡선부(1)의 전방 영역(1.1)에 도달하면, 노리쇠(11)는 이 영역(1.1) 내로 진입할 때 비활성화되고, 노리쇠(11)는 잠기게 되며 탄환이 발사된다. 이러한 단계에 있어서, 무기의 반동이 또한 발생한다. 구동 핀(2.3)은 추가적으로 커넥팅 로드에 있는 홈(2.5)에서 그리고 전체 제어 슬라이드(12)에 있는 홈에서 피봇하게 된다. 이 영역(1.1)에서의 커넥팅 로드(2)의 진동 운동은 크랭크(3)에 의해 보상된다. 전방 핀(2.2)이 구동 곡선부(1)의 횡방향 연장 영역(1.1)으로부터 빠져나와 직선 영역(1.4) 내로 진행할 때, 노리쇠(11)는 잠금 해제되며, 노리쇠(11)는 구동 핀(2.3) 및 전체 제어 슬라이드(12)에 의해 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노리쇠(11)는 탄피와 함께 이동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탄피 부분이 방출된다. 핀(2.2)이 구동 곡선부(1.3)의 후방 영역으로 다시 이동하면, 노리쇠(11)는 비활성화되며, 핀(2.2)이 계속 이동함에 따라 구동 핀(2.3)은 커넥팅 로드(2)에 있는 홈(2.5)에서 그리고 전체 제어 슬라이드(12)에 있는 홈에서 피봇하게 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부(10)에는 비상 정지 디바이스(20)가 마련되는데, 이 비상 정지 디바이스는, 불발탄 또는 무기 결함의 경우에 노리쇠(11)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비상 정지 디바이스(20)는 기능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구동부(10)의 부품과 협동한다. 전체 제어 슬라이드(12) 아래에 있는 홈 형태의 가이드 또는 리세스 대신, 전체 제어 슬라이드(12)는 이제 고정식 러그(12.1) 및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22; cross slide)를 갖는다. 고정식 러그(12.1)를 통해, 노리쇠(11)는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22)는 노리쇠(11)를 뒤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도 3).
비상 정지 디바이스(20)는 운동학적 시스템(kinematic system; 23)을 포함하는데, 이 운동학적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23.1), 이 가이드(23.1)의 곡선부(23.1.1) 내에서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 로드(23.2), 및 적어도 하나의 레버(23.3)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비상 정지 디바이스(20)는 핀(21)과 협동하는데, 이 핀은, 탄환이 발사될 때 크로스 슬라이드(22)가 이동되는 것, 그리고 탄환이 발사되지 않았을 때 크로스 슬라이드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보장한다. 이 핀(21)은 크로스 슬라이드(22)에 수용된다(도 7a).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22)는 특히 리세스(22.1)를 갖는다(도 5). 구동 핀(2.3)은 리세스(22.1)의 전방에 있는 영역에서 크로스 슬라이드(22)와 중첩된다.
탄환이 발사되면,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22) 및 이에 따른 리세스(22.1)는 변위되도록 의도된다. 그 결과로서, 리세스(22.1)는 영향을 받지 않은 상태로 남게 되며, 구동 핀(2.3)은 리세스(22.1)의 전방에 있는 크로스 슬라이드(22)의 활주면과 접촉한 상태로 남게 된다. 구동 핀(2.3)은 이에 따라 후방을 향해 후방을 따라 노리쇠(11)를 이동시킬 수 있다. 후방을 향한 노리쇠(11)의 지속적인 이동에 있어서,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22) 및 핀(21)은 다시 원래 위치로 이동된다. 이는, 무기 크래들 또는 메인 무기 하우징 내에 통합되는 [핀(21)을 위한] 램프(ramp; 25) 및/또는 [크로스 슬라이드(22)를 위한] 경사부(24)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탄환이 발사되지 않으면(예컨대, 불발탄이면), 크로스 슬라이드(22)는 변위되지 않도록 의도된다. 그 결과로서, 구동 핀(2.3)은 리세스(22.1)를 통해 활주하게 되는데, 상기 리세스는 이때 변위되지 않는다. 노리쇠(11)는 노리쇠의 전방 잠금 위치에 남게 된다.
핀(21)을 외부로 강제하기 위해, 운동학적 시스템(23)이 마련되는데, 이 운동학적 시스템은 탄환이 발사될 때의 무기 반동 때문에 핀(21)을 외부로 강제한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운동학적 시스템(23)(도 4 내지 도 6)은 전체 제어 슬라이드(12) 측에 배치된 가이드(23.1), 구동 곡선부(23.1.1) 내에서 안내되는 커넥팅 로드(23.2), 및 레버(23.3)에 의해 형성된다.
무기의 반동은, 커넥팅 로드(23.2)가 하위 곡선 부분으로부터 상위 곡선 부분으로, 즉 상방으로, 제어 곡선부(23.1.1)를 따라 안내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레버(23.3)는 레버 이동에 있어서 핀(21) 위로 밀리게 된다. 레버는 전체 제어 슬라이드 측에서 전체 제어 슬라이드(12)로부터 외부로 강제되고(도 7b), 커넥팅 로드 샤프트(2.1)의 경로 또는 구동 핀(2.3)의 경로로 밀리게 된다. 크로스 슬라이드(22)의 변위는 커넥팅 로드 샤프트(2.1)의 피봇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구동 핀(2.3)이 이동하게 되는 홈(2.5)의 영역에서 커넥팅 로드 샤프트는 측방향 후육부(thickened portion)를 가지며, 이 후육부를 이용하여 커넥팅 로드 샤프트(2.1)는 크로스 슬라이드(22)의 연장 핀(21)에 작용한다. 피봇 가능한 커넥팅 로드 샤프트(2.1)는 핀(21)과 함께 이동하며, 이에 따라 크로스 슬라이드(22)는 후육부와 함께 이동한다.
무기(10)의 반동이 없다면, 운동학적 시스템(23)은 작용하지 않고, 핀(21)은 그 원래 위치에 남게 된다(도 7a). 피봇 가능한 커넥팅 로드 샤프트(2.1)는 핀(21) 아래로 활주하며, 크로스 슬라이드(22)는 그 원래 위치에 남게 된다. 구동 핀(2.3)은 피봇에 의해 크로스 슬라이드(22)에 있는 리세스(22.1)에 도달하며, 상기 리세스(22.1)를 통해 안내된다. 노리쇠(11)는 전방 위치에 남게 되며, 후방을 향해 후방을 따라 이동하지 않는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팅 로드(2)의 구동 핀(2.3)은 스프링 로딩 방식(spring-loaded manner)으로 커넥팅 로드(2)에 장착된다.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22)는 추가적으로 경사부(22.2)를 갖는다. 이는, 구동 핀(2.3)이 경사부(22.2)를 따라 안내되고 커넥팅 로드가 계속 움직일 때 스프링 부하 때문에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22) 아래로 내려갈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8은 비상 정지 디바이스(20)를 무기(100)의 무기 하우징(30)에 통합하는 한 가지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통합 방식은, 도 8에서는, 비상 정지 디바이스(20)가 발사 방향에서 볼 때 우측에서 무기(100)에 통합되는 반면, 도 4 내지 도 6에서는 좌측에서 통합된다는 점에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상이하다. 국지적인 통합은, 커넥팅 로드(2)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좌우된다. 커넥팅 로드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비상 정지 디바이스는 좌측에 설치된다. 그러나, 커넥팅 로드(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전술한 통합은 우측에서 이루어진다.

Claims (13)

  1. 구동 곡선부(1) 및 이 구동 곡선부(1)에서 안내되는 커넥팅 로드(2)를 갖춘, 무기(100)를 위한 무기 구동부(10)로서, 상기 구동 곡선부(1)는 무기(10)의 발사 사이클을 한정하며, 상기 커넥팅 로드(2)는, 커넥팅 로드 샤프트(2.1) 이외에도, 전방 핀(2.2) 및 구동 핀(2.3)으로서의 후방 핀(2.3)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 로드(2)는 전방 핀(2.2)을 이용하여 구동 곡선부(1)에서 결합되며, 구동 곡선부 내에서 안내되고, 상기 전방 핀(2.2)은 외부 구동부(4)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3)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 핀(2.3)은 무기(100)의 노리쇠(11; breech)의 전체 제어 슬라이드(12)에 연결되고, 전체 제어 슬라이드(12) 아래에 통합된 홈 형태의 가이드에 결합될 수 있으며, 커넥팅 로드(2)의 커넥팅 로드 캐리지(2.6; connecting rod carriage)를 특징으로 하고, 커넥팅 로드(2)가 노리쇠(11)의 유휴 시간 내에 피봇 지점(2.4)을 중심으로 피봇하게 되어, 커넥팅 로드(2)의 커넥팅 로드 캐리지(2.6)에 있는 홈(2.5)에서 연장되는 구동 핀(2.3)이 피봇하게 하고, 커넥팅 로드(2)는 노리쇠(11)를 이동시키기 위해 구동 캠(2.3)을 이용하여 전체 제어 슬라이드(12)에 있는 홈 형태의 가이드 내에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구동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로드 캐리지(2.6)는 바람직하게는 커넥팅 로드 캐리지(2.6)의 코너에 통합되는 4개의 슬라이딩 롤러(2.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구동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곡선부(1)는 노리쇠(11)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영역(1.1) 및 반경(r1)을 갖는 영역(1.3)을 포함하며, 이들 영역(1.1, 1.3)은 노리쇠(11)의 유휴 시간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구동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r1)은 구동 곡선부에서 안내되는 커넥팅 로드(2)의 길이만큼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구동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전체 제어 슬라이드(12)는 고정식 러그(12.1) 및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22)를 가지며, 고정식 러그(12.1)를 통해, 노리쇠(11)는 전방을 향해 이동하게 되고,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22)는 노리쇠(11)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구동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22)는 리세스(22.1)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구동부.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22)는 측방향으로 통합된 핀(2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구동부.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탄환이 발사될 때 핀(21)을 외부로 강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운동학적 시스템(23)을 갖는 비상 정지 디바이스(20)
    를 특징으로 하는 무기 구동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학적 시스템(23)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23.1), 이 가이드(23.1)의 제어 곡선부(23.1.1) 내에서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팅 로드(23.2), 및 적어도 하나의 레버(23.3)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구동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로드(2)의 구동 핀(2.3)은 스프링 로딩 방식(spring-loaded manner)으로 커넥팅 로드(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구동부.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형 크로스 슬라이드(22)는 경사부(22.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구동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무기 구동부(10)를 갖춘 무기.
  13. 제12항에 있어서, 경사부 또는 램프(ramp; 24, 25)가 메인 무기 하우징에 또는 무기 크래들(30)에 통합되며, 상기 경사부 또는 상기 램프(24, 25)는 크로스 슬라이드(22) 및 핀(21)을 그 원래 위치로 다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구동부.
KR1020187003811A 2015-07-10 2016-07-05 무기 구동부 및 비상 무기 정지부를 갖춘 무기 구동부 KR1024181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12981.3A DE102015012981A1 (de) 2015-07-10 2015-07-10 Waffenantrieb sowie Waffenantrieb mit einem Waffennotstopp
DE102015012981.3 2015-07-10
DE102015008798.3 2015-07-10
DE102015008798.3A DE102015008798B4 (de) 2015-07-10 2015-07-10 Waffenantrieb sowie Waffenantrieb mit einem Waffennotstopp
PCT/EP2016/065858 WO2017009114A1 (de) 2015-07-10 2016-07-05 Waffenantrieb sowie waffenantrieb mit einem waffennotstop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6978A true KR20180036978A (ko) 2018-04-10
KR102418156B1 KR102418156B1 (ko) 2022-07-08

Family

ID=563451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811A KR102418156B1 (ko) 2015-07-10 2016-07-05 무기 구동부 및 비상 무기 정지부를 갖춘 무기 구동부
KR1020187003814A KR102418158B1 (ko) 2015-07-10 2016-07-05 무기 구동부 및 무기 비상 정지부를 갖춘 무기 구동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814A KR102418158B1 (ko) 2015-07-10 2016-07-05 무기 구동부 및 무기 비상 정지부를 갖춘 무기 구동부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0365054B2 (ko)
EP (2) EP3320293B1 (ko)
KR (2) KR102418156B1 (ko)
CN (2) CN107850410B (ko)
CA (1) CA2991453C (ko)
ES (1) ES2740199T3 (ko)
HR (1) HRP20191605T1 (ko)
LT (1) LT3320292T (ko)
PL (1) PL3320292T3 (ko)
PT (2) PT3320293T (ko)
RS (1) RS59153B1 (ko)
SI (1) SI3320292T1 (ko)
TR (1) TR201909932T4 (ko)
WO (2) WO20170091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20293B1 (de) * 2015-07-10 2024-01-10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Waffenantrieb sowie waffenantrieb mit einem waffennotstopp
DE102015017135B4 (de) * 2015-07-10 2023-08-03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Schlagwerk zum Auslösen eines Schlagbolzens
IT201900002627A1 (it) * 2019-02-25 2020-08-25 Leonardo Spa Gruppo otturatore per un’arma da fuoco e relativa arma da fuoco.
CN110174024B (zh) * 2019-03-29 2020-09-15 宋九宏 便携式武器的安全控制系统
DE102019131439A1 (de) 2019-11-21 2021-05-27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Verschluss eines Waffensystems und Waffensystem mit dem Verschlus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9722A1 (de) * 2007-10-09 2009-04-23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Schnellstopp für einen antrieb einer waffe mit vorzugsweise linearer munitionszuführung
WO2010063357A1 (de) * 2008-12-04 2010-06-10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Verschlussantrieb für eine waffe mit linearer verschluss- bzw. munitionszuführung
WO2011066894A1 (de) * 2009-12-04 2011-06-09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Verschlussantrieb für eine waff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8607A (en) * 1977-04-21 1983-12-06 Hughes Helicopters, Inc. Single barrel externally powdered gun
US4357857A (en) * 1979-07-05 1982-11-09 Paccar Inc. Loading apparatus for rapid fire weapon
US4481858A (en) * 1981-09-18 1984-11-13 Hughes Helicopters, Inc. Single barrel externally powered gun
US4665793A (en) * 1982-05-28 1987-05-19 Hughes Helicopters, Inc. Weapon with next round select feed system
US4563936A (en) * 1982-05-28 1986-01-14 Hughes Helicopters, Inc. Weapon with next round select feed system
US4697496A (en) * 1985-06-17 1987-10-06 Hughes Helicopter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beltless ammunition in a twin-barreled gun
FR2664687B1 (fr) * 1990-07-12 1992-09-25 Giat Ind Sa Dispositif de securite pour arme automatique.
FR2691531B1 (fr) * 1992-05-22 1994-08-12 Giat Ind Sa Arme automatique à chambre basculante pour le tir de munitions cylindriques télescopées.
DE102006022622A1 (de) 2006-05-12 2007-11-15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Funktionssteuerung insbesondere für das lineare Zuführen einer Munition in ein Waffenrohr
DE102007048468A1 (de) 2007-10-09 2009-04-16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Antrieb für eine Waffe mit vorzugsweise linearer Munitionsführung
US8297167B2 (en) * 2008-11-21 2012-10-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Reciprocally-cycled, externally-actuated weapon
DE102008060217A1 (de) * 2008-12-04 2010-06-10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Verschlussantrieb für eine Waffe
DE102008060216A1 (de) * 2008-12-04 2010-06-10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Antrieb und Schnellstopp für eine Waffe mit vorzugsweise linearer Verschluss- bzw. Munitionszuführung
DE102008060215A1 (de) 2008-12-04 2010-06-10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Antrieb und Schnellstop für eine Waffe mit vorzugsweise linearer Verschluss- bzw. Munitionszuführung
US8336531B2 (en) * 2009-06-01 2012-12-25 Mattel, Inc. Reconfigurable toy gun with a slidable barrel
DE102015017135B4 (de) * 2015-07-10 2023-08-03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Schlagwerk zum Auslösen eines Schlagbolzens
EP3320293B1 (de) * 2015-07-10 2024-01-10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Waffenantrieb sowie waffenantrieb mit einem waffennotstopp
DE102015008799B4 (de) * 2015-07-10 2021-05-27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Rückstoßverstärker einer fremdangetriebenen Maschinenwaffe, insbesondere eines Maschinengeweh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9722A1 (de) * 2007-10-09 2009-04-23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Schnellstopp für einen antrieb einer waffe mit vorzugsweise linearer munitionszuführung
WO2010063357A1 (de) * 2008-12-04 2010-06-10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Verschlussantrieb für eine waffe mit linearer verschluss- bzw. munitionszuführung
WO2011066894A1 (de) * 2009-12-04 2011-06-09 Rheinmetall Waffe Munition Gmbh Verschlussantrieb für eine waff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1909932T4 (tr) 2019-07-22
CN107850410B (zh) 2020-04-24
PT3320292T (pt) 2019-09-05
EP3320292B1 (de) 2019-06-12
US10365054B2 (en) 2019-07-30
ES2740199T3 (es) 2020-02-05
PT3320293T (pt) 2024-03-04
US20180128564A1 (en) 2018-05-10
CN107850409A (zh) 2018-03-27
RS59153B1 (sr) 2019-10-31
SI3320292T1 (sl) 2019-10-30
EP3320292A1 (de) 2018-05-16
KR20180036979A (ko) 2018-04-10
US10641564B2 (en) 2020-05-05
WO2017009115A1 (de) 2017-01-19
CN107850410A (zh) 2018-03-27
HRP20191605T1 (hr) 2019-12-13
CN107850409B (zh) 2020-04-21
KR102418156B1 (ko) 2022-07-08
US20180231338A1 (en) 2018-08-16
CA2991453C (en) 2023-04-04
KR102418158B1 (ko) 2022-07-08
EP3320293B1 (de) 2024-01-10
CA2991453A1 (en) 2017-01-19
LT3320292T (lt) 2019-07-25
WO2017009114A1 (de) 2017-01-19
PL3320292T3 (pl) 2019-11-29
EP3320293A1 (de)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6978A (ko) 무기 구동부 및 비상 무기 정지부를 갖춘 무기 구동부
AU2009321871B2 (en) Drive and quick stop for a weapon with preferably linear breech or ammunition feed
JP5330537B2 (ja) 好ましくは直線状の砲尾または砲弾供給部を備えた武器の駆動部および急停止部
CA2785947C (en) Rotary lug breech and weapon
JP5538521B2 (ja) ブリーチ構成用のブリーチガイド装置及びブリーチガイド装置を備えた速射型武器
US4869150A (en) Device for forward oriented case ejection in an externally driven automatic cannon
US11815325B2 (en) Breechblock of a weapon system and weapon system with the breechblock
DE2045583A1 (de) Automatische Feuerwaffe mit einer durch den Auswurf gesteuerten Rammer vorrichtung
US5726376A (en) Breechblock system for a gun
KR20220048989A (ko) 브리치블록 및 브리치블록을 갖는 무기 시스템
US2792761A (en) Gun feeding mechanism
US830510A (en) Cartridge extracting and ejecting mechanism for guns.
JPS5853279B2 (ja) チエンシキボルトアクシヨンキコウ
RU2705746C1 (ru) Запирающий механизм огнестрельного оружия
US20220290934A1 (en) Automatic pist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