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6164A -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 - Google Patents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36164A KR20180036164A KR1020160126413A KR20160126413A KR20180036164A KR 20180036164 A KR20180036164 A KR 20180036164A KR 1020160126413 A KR1020160126413 A KR 1020160126413A KR 20160126413 A KR20160126413 A KR 20160126413A KR 20180036164 A KR20180036164 A KR 201800361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external force
- weight
- coupled
- calf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25—Supports for both feet or both hands performing simultaneously the same movement, e.g. single pedal or single handle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에 따르면,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구비되어 발이 지지되는 전방지지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구비되되, 상기 전방지지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후방지지부; 상기 후방지지부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종아리가 지지되는 종아리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지지부에 발이 지지되고, 종아리 지지부에 종아리가 지지되어, 무릎과 발 사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방지지부에 발이 지지되고, 종아리 지지부에 종아리가 지지되어, 무릎과 발 사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신장에 따라 종아리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회전부를 이용하여 보관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전방지지부에 발이 지지되고, 종아리 지지부에 종아리가 지지되어, 무릎과 발 사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신장에 따라 종아리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회전부를 이용하여 보관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체 근육을 단련하기 위하여 스쿼트 동작을 수행한다.
이 스쿼트 동작은, 허벅지가 무릎과 수평이 될 때까지 앉았다 섰다 하는 동작으로, 가장 기본적인 하체 운동이다.
그러나, 스쿼트 동작을 할 때, 몸의 중심이 뒤로 가기 때문에 자세를 취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그 자세를 유지하면서 장시간 동작을 취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렇기 때문에 스쿼트 동작을 장시간 진행하지 못하고 쉽게 포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사용자의 몸무게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스쿼트 동작에서 바벨 등과 같이 무게를 추가하여 운동할 수 없어 보다 효율적인 운동이 이루어지는데에 부족한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지지부에 발이 지지되고, 종아리 지지부에 종아리가 지지되어, 무릎과 발 사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신장에 따라 종아리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회전부를 이용하여 보관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이 고정되는 동시에 종아리부분이 종아리 지지부의 일측면에 지지됨에 따라, 사용자가 바벨과 같은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무게를 추가한 후에 운동이 가능하며, 이에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방지지부와 종아리 지지부에 신체를 지지시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력가압부를 통하여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축과 회전바는 서로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회전될 수도 있으며,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일체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방식 및 난위도에 따라 다양하게 회전을 조절하며 다양한 운동을 구사할 수 있는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에 따르면,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구비되어 발이 지지되는 전방지지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구비되되, 상기 전방지지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후방지지부; 상기 후방지지부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종아리가 지지되는 종아리 지지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고, 일측에 결합되는 무게추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외력을 가하는 외력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지지부에 발이 지지되고, 종아리 지지부에 종아리가 지지되어, 무릎과 발 사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 및 상기 외력가압부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력가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돌출된 측면돌출부와, 상기 측면돌출부에 상부로 돌출된 상부돌출부와, 상기 상부돌출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상부돌출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되며, 무게추가 결합되는 무게조절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시키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게조절부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된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무게추가 결합되는 결합바 및 상기 회전바의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결합바에 결합되는 무게추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추지지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고, 다수의 회전조절공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축의 회전력이 회전판에 전달되도록 상기 회전조절공에 삽입되는 연결핀 및 상기 지지축의 타단에 결합되며, 외력이 가해지는 외력쿠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축은,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핀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력쿠션부는, 상기 지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핀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핀과,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돌출되되, 상기 지지프레임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외력지지봉 및 상기 외력지지봉에 결합되는 제2쿠션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종아리 지지부가 삽입되어 상하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상하부방향으로 관통된 길이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길이조절공과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종아리 지지부는, 상기 길이조절공에 삽입되되, 상기 연통공까지 삽입되어 상기 종아리가 지지될 수 있는 높이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부와 후방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쪽 중 어느 한쪽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후방지지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부와 전방지지부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한 회전부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를 밀거나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몸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지면에 지지되고, 상기 몸체는, 상기 회전부가 지면에 지지됨에 따라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방지지부는, 상부에 상기 지지프레임의 끝단으로 돌출된 지면지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프레임은, 세워지면, 상기 지면지지부의 끝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세워진 상태로 유지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종아리 지지부는, 상기 후방지지부에 삽입되는 삽입프레임과, 상기 삽입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된 판형상의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면에 구비된 제1쿠션부재를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전방지지부에 발이 지지되고, 종아리 지지부에 종아리가 지지되어, 무릎과 발 사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신장에 따라 종아리 지지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회전부를 이용하여 보관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발이 고정되는 동시에 종아리부분이 종아리 지지부의 일측면에 지지됨에 따라, 사용자가 바벨과 같은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무게를 추가한 후에 운동이 가능하며, 이에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전방지지부와 종아리 지지부에 신체를 지지시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력가압부를 통하여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지지축과 회전바는 서로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회전될 수도 있으며,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일체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방식 및 난위도에 따라 다양하게 회전을 조절하며 다양한 운동을 구사할 수 있는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전방지지부와 종아리 지지부의 조절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회전부를 통해 이동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지면지지부에 의해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외력가압부를 이용한 등 스트레칭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외력가압부에 줄을 연결하여 잡아당기는 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외력가입부를 이용하여 다리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외력가압부를 이용하여 어깨로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전방지지부와 종아리 지지부의 조절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회전부를 통해 이동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지면지지부에 의해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외력가압부를 이용한 등 스트레칭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외력가압부에 줄을 연결하여 잡아당기는 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외력가입부를 이용하여 다리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외력가압부를 이용하여 어깨로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전방지지부와 종아리 지지부의 조절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회전부를 통해 이동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지면지지부에 의해서 세워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는, 지지프레임(10), 전방지지부(20), 후방지지부(30) 및 종아리 지지부(40)를 포함한다.
먼저, 지지프레임(10)은 지면에 지지되며, 후술할 전방지지부(20)와 후방지지부(30)가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10)은, 몸체(11)와, 회전부(12) 및 손잡이(13)를 포함한다.
몸체(11)는 판형상으로 형성되거나 구조물로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된다.
회전부(12)는, 몸체(11)의 일단에 구비되어 회전가능하다. 예를 들어, 회전부(12)는 바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회전부(12)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몸체(11)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지면에 지지되고, 지면에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는 지면에 지지되지 않는다.
손잡이(13)는, 몸체(11)의 타단에 구비되어 몸체(11)를 밀거나 잡아당길 수 있다.
즉, 몸체(11)는, 회전부(12)가 지면에 지지됨에 따라 회전부(12)의 회전에 의해 이동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를 이동시키고자 할 때, 용이하게 몸체(11)를 세우고, 바퀴를 이용해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10)은, 미끄럼방지부재(14)를 더 포함한다.
미끄럼방지부재(14)는, 지지프레임(10)의 상측면에 구비되어, 전방지지부(20)로부터 지지되는 발의 바닥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미끄럼을 방지한다.
그리고, 미끄럼방지부재(14)는, 지지프레임(10)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지지프레임(10)이 밀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미끄럼을 방지한다.
전방지지부(20)는 지지프레임(10)의 상부로 구비되어 발이 지지된다.
이때, 전방지지부(20)는, 수직부재(21), 수평부재(22) 및 전후길이조절부(24)를 포함한다.
수직부재(21)는,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수평부재(22)는, 수직부재(21)의 상부에 구비되고, 전후방향으로 관통공(23)이 형성된다.
전후길이조절부(24)는, 수평부재(22)의 관통공(23)에 삽입되는 삽입부재(25)와, 삽입부재(25)의 일단에 양쪽으로 돌출되어 발등이 지지가능한 발등지지부(26)를 포함한다.
이때, 발등지지부(26)는, 지지프레임(10)과 이격된다.
사용자는, 발등지지부(26)와 지지프레임(10)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발을 넣고, 발바닥은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고, 발등은 발등지지부(26)에 지지된다. 즉, 사용자가 발을 발등지지부(26)와 지지프레임(10) 사이의 공간에 넣고 앉게 되면, 사용자의 발이 안정적으로 발등지지부(26)와 지지프레임(10)에 지지되는 동시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삽입부재(25)의 전후이동을 통해 발등지지부(26)와 종아리 지지부(40) 사이의 이격거리가 조절가능하다.
또한, 전방지지부(20)는, 상부에 지지프레임(10)의 끝단으로 돌출된 지면지지부(50)가 형성된다.
이때, 도 5를 참조하면, 지면지지부(50)는, 지지프레임(10)이 세워지면, 지면지지부(50)의 끝단이 지면에 지지되어 세워진 상태로 유지가능하게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는, 회전부(12)를 통해서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지면지지부(50)에 의해 세워진 상태에서 회전부(12)를 통해 이동되지 않고 세워진 상태로 보관가능하다. 이에 따라 공간활용이 용이하다.
한편, 후방지지부(30)는, 지지프레임(10)의 상부로 구비되되, 전방지지부(2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또한, 후방지지부(30)는, 후술할 종아리 지지부(40)가 삽입되어 상하길이조절 가능하도록 상하부방향으로 관통된 길이조절공(31)이 형성된다.
이때, 지지프레임(10)은, 길이조절공(31)과 연통되는 연통공(1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할 종아리 지지부(40)는, 길이조절공(31)에 삽입되되, 연통공(15)까지 삽입되어 종아리가 지지될 수 있는 높이가 조절가능하다.
특히, 사용자의 발목부터 무릎 사이의 길이는 많이 차이나지 않으나, 어린이와 성인의 경우는 차이가 나기 때문에 신장이 작은 어린이와 신장이 큰 성인이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종아리 지지부(40)의 높이를 최소로 맞출 수 있도록 연통공(15)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전방지지부(20)와 후방지지부(30)는, 지지프레임(10)의 길이방향 중앙부를 중심으로 양쪽 중 어느 한쪽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다.
또한, 후방지지부(30)는, 지지프레임(10)의 중앙부와 전방지지부(20) 사이에 구비된다.
이는, 사용자가 운동할 때, 사용자의 체중이 후방으로 집중이 되는데, 본 발명의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가 후방으로 뒤집어 지지 않도록 하며, 안정적으로 지지프레임(10)이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종아리 지지부(40)는, 후방지지부(30)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종아리가 지지된다.
종아리 지지부(40)는, 삽입프레임(41), 지지부재(42) 및 제1쿠션부재(43)를 포함한다.
삽입프레임(41)은, 후방지지부(30)에 형성된 길이조절공(31)에 삽입된다. 이때, 삽입프레임(41)이 길이조절공(31)에 삽입되는 위치에 따라 삽입프레임(41)의 상하위치를 조절가능하며, 고정하는 방식은 삽입프레임(41)과 후방지지부(30)의 길이조절공(31)을 관통하는 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재(42)는, 삽입프레임(41)의 일측에 구비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쿠션부재(43)는, 지지부재(42)의 일측면에 구비된다. 이때, 제1쿠션부재(43)는, 지지부재(42)가 전방지지부(20)를 마주하는 일측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아리 지지부(40)는, 제1쿠션부재(43)를 감싸는 커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아리 지지부(40)는, 판형상의 지지부재(42)에 제1쿠션부재(43)를 구비함에 따라,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앉을 때, 허벅지와 종아리가 90°이상으로 앉을 수 있다. 이는, 운동효과를 더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종아리 지지부(40)의 지지부재(42) 타측면에는 지지부재(42)를 지지하는 보강대(44)가 더 구비된다. 이때, 보강대(44)는 지지부재(42)의 상부를 제외한 중간부 내지 하부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보강대(44)가 지지부재(42)의 타측면 상부에 구비되면, 사용자가 앉을 때, 90°이상으로 앉게 되면 보강대(44)의 두께 때문에 허벅지의 눌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허벅지 근육으로 앉은 상태를 버텨야 하는데 허벅지의 후방 지지부분이 넓어짐에 따라 운동의 효과를 낮출 수 있다.
즉, 보강대(44)는 지지부재(42)의 중간부 내지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는, 전방지지부(20)에 발이 지지되고, 종아리 지지부(40)에 종아리가 지지되어, 무릎과 발 사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신장에 따라 종아리 지지부(4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한 사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회전부(12)를 이용하여 보관과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외력가압부를 이용한 등 스트레칭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외력가압부에 줄을 연결하여 잡아당기는 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외력가입부를 이용하여 다리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의 외력가압부를 이용하여 어깨로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는, 외력가압부(100)를 더 포함한다.
외력가압부(100)는, 지지프레임(10)의 측면에 구비되고, 일측에 결합되는 무게추(144)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외력을 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는, 전방지지부에 발이 지지되고, 종아리 지지부에 종아리가 지지되어, 무릎과 발 사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 및 외력가압부(100)에 외력을 가하여 무게추(144)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가능한 것이다.
다시 말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릎과 발이 사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등을 외력가압부(100)에 지지한 후, 무릎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누웠다가 일어나는 복근운동 및 스트레칭 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동보조기구의 외측에서 줄 이용하여 운동할 수 있다. 즉, 줄의 일단을 외력가압부(100)의 타측에 결합하고, 줄의 타단을 잡아당겨 무게추(144)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동보조기구의 길이방향으로 바닥을 향해 엎드린 상태에서, 종아리를 외력가압부(100)의 타측에 지지시킨 후, 다리를 들어올려 무게추(144)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할 수 있다.
더불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운동보조기구의 외측에서 외력가압부(100)의 타측이 어깨에 지지되게 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나며 무게추(144)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는, 전방지지부와 종아리 지지부에 신체를 지지시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력가압부(100)를 통하여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운동을 할 수 있는 외력가압부(1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외력가압부(100)는, 몸체(11)0와, 상부돌출부(120)와, 회전축(130)와, 무게조절부(140) 및 외력전달부(15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지지프레임(10)의 몸체(11) 측면에 돌출형성된다. 이 몸체(11)0는, 후술할 상부돌출부(120)가 직립할 수 있도록 바닥에 지지된다.
상부돌출부(120)는, 몸체(11)0에 상부로 돌출된다. 이때, 상부돌출부(120)는 수직으로 돌출되되 지지프레임(10)의 몸체(11)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돌출된다.
회전축(130)은, 상부돌출부(120)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무게조절부(140)는, 상부돌출부(1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130)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축(130)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되며, 무게추(144)가 결합된다.
이러한, 무게조절부(140)는, 회전바(141), 결합바(142) 및 추지지바(143)를 포함한다.
회전바(141)는, 회전축(130)의 일단에 결합되어 회전축(130)과 일체로 되되,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결합바(142)는, 회전바(141)의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무게추(144)가 결합된다. 이때, 결합바(142)는, 다수의 무게추(144)가 결합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추지지바(143)는, 회전바(141)의 측면에 돌출되어 결합바(142)에 결합되는 무게추(144)의 외측면을 지지한다.
즉, 추지지바(143)는, 무게추(144)의 외측면을 지지함에 따라, 무게추(144)가 결합바(142)에 결합된 후, 회전바(141)가 회전함에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이에 따라, 무게조절부(140)는 회전축(130)이 회전함과 동시에 일체로 회전되어 무게추(144)의 무게만큼 사용자가 들어올릴 수 있는 것이다.
외력전달부(150)는, 지지프레임(10)의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1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회전축(130)으로 전달시킨다.
이러한, 외력전달부(150)는, 회전판(151), 지지축(153), 연결핀(155) 및 외력쿠션부(160)를 포함한다.
회전판(151)은, 회전축(130)의 타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고, 다수의 회전조절공(152)이 형성된다. 이때, 회전판(151)은, 원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축(130)의 중심축과 일치되도록 회전축(13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조절공(152)은, 회전판(15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원형배열되며 형성된다.
지지축(153)은, 회전판(151)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지지축(153)은,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핀결합공(154)이 형성된다. 이는, 후술할, 슬라이딩부재(161)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함이다.
연결핀(155)은, 지지축(153)의 일단에 결합되며, 지지축(153)의 회전력이 회전판(151)에 전달되도록 회전조절공(152)에 삽입된다.
즉, 연결핀(155)이 회전판(151)의 회전조절공(152)으로부터 이탈되면, 지지축(153)은 회전판(151)과 별도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회전판(151)과 회전축(130) 및 무게조절부(140)는 회전축(13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체로 회전되나, 지지축(153)은 회전판(151)에 결합되되 독립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연결핀(155)은 지지축(153)에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지지축(153)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된다. 그리고, 연결핀(155)이 지지축(153)과 회전될 때는, 연결핀(155)이 원형배열된 회전조절공(152)의 반경과 동일하게 회전되며 어느 위치에서나 회전조절공(152)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축(153)과 회전바(141)는 서로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체로 회전(도 8 내지 10 참조)될 수도 있으며, 소정의 각도를 갖으며 회전축(130)을 중심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일체로 회전(도 11 내지 12 참조)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사용자의 운동방식 및 난위도에 따라 다양하게 회전을 조절하며 운동할 수 있어 매우 용이하다.
외력쿠션부(160)는, 지지축(153)의 타단에 결합되며, 외력이 직접적으로 가해진다.
즉, 사용자는, 도 8 내지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력쿠션부(160)에 등, 종아리, 어깨 등을 지지하여 외력을 가할 수 있고, 줄을 연결하고 줄을 잡아당여 외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외력쿠션부(160)는, 슬라이딩부재(161), 위치고정핀(162), 외력지지봉(163) 및 제2쿠션부재(164)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재(161)는, 지지축(153)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위치고정핀(162)은, 슬라이딩부재(161)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핀결합공(15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부재(161)를 고정시킨다. 이때, 위치고정핀(162)은 슬라이딩부재(161)의 외측으로 벗어나 핀결합공(154)으로 삽입되거나, 슬라이딩부재(161)를 관통하여 핀결합공(154)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외력지지봉(163)은, 슬라이딩부재(161)에 돌출되되, 지지프레임(10)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제2쿠션부재(164)는, 외력지지봉(163)에 결합된다. 또한, 제2쿠션부재(164)는 사용자가 등, 어깨, 종아리를 지지할 때 쿠션역할을 할 수 있어, 용이하게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상술하는 과정에서 기술된 구성의 작동순서는 반드시 시계열적인 순서대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각 구성 및 단계의 수행 순서가 바뀌어도 본 발명의 요지를 충족한다면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지지프레임
11: 몸체
12: 회전부 13: 손잡이
14: 미끄럼방지부재 15: 연통공
20: 전방지지부 21: 수직부재
22: 수평부재 23: 관통공
24: 전후길이조절부 25: 삽입부재
26: 발등지지부 30: 후방지지부
31: 길이조절공 40: 종아리 지지부
41: 삽입프레임 42: 지지부재
43: 제1쿠션부재 44: 보강대
50: 지면지지부
100 : 외력가압부 110 : 측면돌출부
120 : 상부돌출부 130 : 회전축
140 : 무게조절부 141 : 회전바
142 : 결합바 143 : 추지지바
144 : 무게추 150 : 외력전달부
151 : 회전판 152 : 회전조절공
153 : 지지축 154 : 핀결합공
155 : 연결핀 160 : 외력쿠션부
161 : 슬라이딩부재 162 : 위치고정핀
163 : 외력지지봉 164 : 제2쿠션부재
12: 회전부 13: 손잡이
14: 미끄럼방지부재 15: 연통공
20: 전방지지부 21: 수직부재
22: 수평부재 23: 관통공
24: 전후길이조절부 25: 삽입부재
26: 발등지지부 30: 후방지지부
31: 길이조절공 40: 종아리 지지부
41: 삽입프레임 42: 지지부재
43: 제1쿠션부재 44: 보강대
50: 지면지지부
100 : 외력가압부 110 : 측면돌출부
120 : 상부돌출부 130 : 회전축
140 : 무게조절부 141 : 회전바
142 : 결합바 143 : 추지지바
144 : 무게추 150 : 외력전달부
151 : 회전판 152 : 회전조절공
153 : 지지축 154 : 핀결합공
155 : 연결핀 160 : 외력쿠션부
161 : 슬라이딩부재 162 : 위치고정핀
163 : 외력지지봉 164 : 제2쿠션부재
Claims (5)
-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구비되어 발이 지지되는 전방지지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구비되되, 상기 전방지지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된 후방지지부;
상기 후방지지부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종아리가 지지되는 종아리 지지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구비되고, 일측에 결합되는 무게추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외력을 가하는 외력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지지부에 발이 지지되고, 종아리 지지부에 종아리가 지지되어, 무릎과 발 사이를 고정한 상태에서 앉았다 일어나는 운동 및 상기 외력가압부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무게추를 들어올리는 운동을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가압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면에 돌출된 측면돌출부와,
상기 측면돌출부에 상부로 돌출된 상부돌출부와,
상기 상부돌출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과,
상기 상부돌출부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과 일체로 회전되며, 무게추가 결합되는 무게조절부 및
상기 지지프레임의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을 상기 회전축으로 전달시키는 외력전달부를 포함하는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조절부는,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결합된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하단에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무게추가 결합되는 결합바 및
상기 회전바의 측면에 돌출되어 상기 결합바에 결합되는 무게추의 외측면을 지지하는 추지지바를 포함하는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력전달부는,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고, 다수의 회전조절공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일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축의 회전력이 회전판에 전달되도록 상기 회전조절공에 삽입되는 연결핀 및
상기 지지축의 타단에 결합되며, 외력이 가해지는 외력쿠션부를 포함하는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핀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외력쿠션부는,
상기 지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재의 외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핀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재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핀과,
상기 슬라이딩부재에 돌출되되, 상기 지지프레임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외력지지봉 및
상기 외력지지봉에 결합되는 제2쿠션부재를 포함하는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6413A KR101853558B1 (ko) | 2016-09-30 | 2016-09-30 |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26413A KR101853558B1 (ko) | 2016-09-30 | 2016-09-30 |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6164A true KR20180036164A (ko) | 2018-04-09 |
KR101853558B1 KR101853558B1 (ko) | 2018-04-30 |
Family
ID=61978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26413A KR101853558B1 (ko) | 2016-09-30 | 2016-09-30 |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3558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04754A1 (ko) * | 2018-06-28 | 2020-01-02 | 이진희 | 스쿼트 운동장치 |
KR102106968B1 (ko) * | 2018-11-05 | 2020-05-06 | 구경식 |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기구 |
CN113784762A (zh) * | 2018-09-21 | 2021-12-10 | 理查德·索林 | 下蹲锻炼用附接器材及其使用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4815526U (zh) * | 2015-04-14 | 2015-12-02 | 伍慧红 | 一种健身器 |
-
2016
- 2016-09-30 KR KR1020160126413A patent/KR10185355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004754A1 (ko) * | 2018-06-28 | 2020-01-02 | 이진희 | 스쿼트 운동장치 |
CN113784762A (zh) * | 2018-09-21 | 2021-12-10 | 理查德·索林 | 下蹲锻炼用附接器材及其使用方法 |
KR102106968B1 (ko) * | 2018-11-05 | 2020-05-06 | 구경식 | 의자 겸용 다기능 운동기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3558B1 (ko) | 2018-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20874B1 (ko) | 스쿼트운동을 위한 운동보조기구 | |
US7648473B1 (en) | Traction extension table | |
US20050245370A1 (en) | Powerwalk plus | |
US10272289B2 (en) | Lower extremity receiving device for providing enhanced leg mobility during lower body exercise | |
US20100292058A1 (en) | Multi-function exercise device | |
KR20090067007A (ko) | 운동 기구 | |
JP2017528297A (ja) | 身体運動のための装置 | |
KR101853558B1 (ko) | 무게추를 이용한 스쿼트 운동보조기구 | |
EP2589417A1 (en) | Lateral deltoid exercise machine with rocking user support | |
KR102071893B1 (ko) | 스쿼트 및 로망체어 운동이 가능한 복합운동기구 | |
US20170014679A1 (en) | Abdominal Strengthening Apparatus | |
KR20090022794A (ko) | 복근 운동기구 | |
KR102191270B1 (ko) | 하체 운동기구 | |
KR20210042232A (ko) | 스쿼트운동기구 | |
JP3202923U (ja) | スクワット・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 | |
JP2002200194A (ja) | 運動具 | |
KR101864064B1 (ko) | 다기능 운동기구 | |
CN214286552U (zh) | 锻炼装置 | |
JP2006239395A (ja) | 筋力訓練機 | |
KR20140052148A (ko) | 링크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 |
JP2007244578A (ja) | 筋力訓練機 | |
JP2005211323A (ja) | 筋力トレーニング器具 | |
KR102434907B1 (ko) | 아령 들어올리기 | |
KR20050026770A (ko) | 하체 운동기구 | |
KR101552878B1 (ko) | 허리스트레칭이 가능한 물구나무서기 운동기구용 등받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