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753A - 학습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교육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학습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교육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753A
KR20180035753A KR1020180033985A KR20180033985A KR20180035753A KR 20180035753 A KR20180035753 A KR 20180035753A KR 1020180033985 A KR1020180033985 A KR 1020180033985A KR 20180033985 A KR20180033985 A KR 20180033985A KR 20180035753 A KR20180035753 A KR 20180035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answer
moving picture
point
que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3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혜영
Original Assignee
영어와 어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어와 어휘(주) filed Critical 영어와 어휘(주)
Publication of KR20180035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7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상이하게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컨텐츠 및 컨텐츠와 관련된 질문으로 제작된 동영상을 재생하고,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동영상 재생 중 질문이 재생되는 지점마다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며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답변에 대해 정답여부를 판단하여, 정답률 또는 오답률이 기설정된 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변경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학습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교육용 단말기{Device for playing video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학습 이해도에 따라 스마트하게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학습용으로 개발된 다양한 동영상이나 컨텐츠 들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KR 10-1634068 B1
학습용 동영상과 컨텐츠에 대한 이해도는 사람마다 다르며, 학습용 동영상과 컨텐츠를 이해할 수 있는 기본 지식도 사람마다 다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교육용 동영상 및 컨텐츠 재생시 개인별 학습 이해도 및 개인별 학습 배경 지식에 따라 동영상의 재생 패턴이 달라지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교육용 동영상 및 컨텐츠 재생시, 동영상 및 컨텐츠와 연관된 질문이나 질의를 동영상에 삽입한다. 일 예로 15분짜리의 동영상의 경우, 3분, 3분 30초, 5분, 7분 02초, 9분 및 14분 03초의 위치 각각에 동영상 또는 컨텐츠와 연관된 질문을 삽입하고,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여 사용자의 이해도를 평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이해도에 대한 평가는 하나의 동영상에 삽입된 모든 질문에 대해 사용자의 답변을 모두 수신한 이후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이해도에 대한 평가는 사용자가 답변의 오답률에 따라 하나의 동영상의 일부만이 재생된 경우에도 수행이 가능하다.
일 예로 15분 짜리의 동영상을 재생중에 사용자가 3분, 3분 30초 및 5분의 위치에 삽입된 질문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모두 오답을 수신한 경우, 동영상은 더 이상 재생이 되지 않고 다시 최초 지점부터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또한, 3분, 3분 30초 및 5분의 위치에 삽입된 질문이 모두 유사한 학습 내용인 경우, 예를 들어 to 부정사에 관한 내용, 동영상에서는 to 부정사의 기본 개념 또는 to 부정사를 이해할 수 있는 보충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보충 영상을 모두 시청한 후 또는 본 영상과 마찬가지로 보충 영상의 이해도에 대한 테스트가 모두 완료된 이후에, 본 영상의 최초 지점으로 돌아가거나 또는 보충 영상의 이해도에 따라 본 영상의 동영상 재생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15분 짜리의 동영상을 재생중에 사용자가 3분 위치에 삽입된 질의에 대해서는 정답을 보내왔으나, 3분 30초 및 5분의 위치에 삽입된 질문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모두 오답을 수신한 경우, 동영상은 3분 위치에 삽입된 질의가 끝난 바로 다음 지점으로 리와인드(rewind)되어 재생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15분 짜리의 동영상을 재생중에 3분, 3분 30초, 5분 및 7분 02초에 삽입된 질의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모두 오답을 수신한 경우, 단말기는 14분 03초 이전의 동영상 재생을 스킵하고, 14분 03초의 질문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14분 03초에 삽입된 질문에 대해 정답을 제시한 경우, 동영상은 계속 플레이된다. 반면, 사용자가 14분 03초에 삽입된 질문에 대해 오답을 제시한 경우, 7분 02초 질문 바로 직후로 리와인드(rewind)되어 재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으로 제작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동영상 재생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이 재생되는 지점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의 상기 동영상에 대한 이해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해도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답변을 모두 수신한 이후, 상기 사용자의 답변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이해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으로 제작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을 제공하는 서버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답변에 기초하여 상기 동영상의 타임라인 중 재생 시점을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결정된 재생 시점부터 동영상이 재생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동영상을 시청하는 개개인의 학습 이해도에 기반하여 동영상을 재생하고, 학습 이해도가 낮은 경우 관련된 보충 학습을 제시하여 개개인에게 특화된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말기가 동작하는 시스템도를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에서 제공하는 질문에 대해 사용자가 오답을 제시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에서 제공하는 질문에 대해 사용자에게 답변제한시간을 안내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에서 사용자에게 5번째 질문을 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제출한 답변의 오답률이 기설정된 비율을 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제시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제출한 답변의 오답률이 기설정된 비율을 넘는 경우, 동영상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동영상의 재생 위치에 관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동영상에서 제공하는 모든 질문에 대해 답변을 모두 마친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제시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 내지 1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동영상에서 제공하는 모든 질문에 대해 답변을 제시한 타임라인, 사용자가 제출한 답변 및 사용자가 동영상 서버로부터 수신한 채점결과를 각각 도시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말기가 동작하는 시스템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말기가 동작하는 시스템은 동영상제공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한다. 동영상제공서버(100)와 사용자 단말기(200)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컴퓨터, 노트북, 테블릿, 핸드헬드 장치, 사물형인터넷 장치(IoT), 웨어러블 장치 등을 포함한다.
동영상제공서버(100)는 동영상 제작부(110), 메모리(120), 동영상 제어부(130), 사용자답변 수신부(140) 및 이해도측정부(150)를 포함하며, 이 외에 일반적으로 서버가 포함하는 프로세서(미 도시) 등의 기타 구성을 포함한다.
동영상 제작부(110)는 도 2 에 도시된 일 실시예와 같은 동영상을 제작한다. 메모리(120)는 동영상 제작부(110)에서 제작한 동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동영상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의 재생 지점을 제어하도록 구현된다.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답변을 기초로 동영상의 재생 지점을 제어할 수 있다. 재생 지점을 제어하는 일 실시예는 도 6 및 11을 참고한다.
사용자답변 수신부(140)는 동영상 제작부(110)에서 제작한 동영상 내에 포함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다.
이해도 측정부(150)는 사용자답변 수신부(140)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답변의 일부 또는 전부를 기초로 사용자가 제시한 답변이 정답인지 오답인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오답률을 누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해도 측정부(150)는 동영상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문 각각의 정답을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답변과 기저장된 정답과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의 답변이 정확한지 판단하여 사용자의 이해도를 판단, 측정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해도 측정부(150)는 사용자가 동영상 내의 5개의 질문 중 3개의 질문에 대해 오답을 제시한 경우, 사용자의 오답률은 60%, 사용자의 이해도는 40%라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이해도는 사용자가 제출한 정답의 비율로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이해도 측정부(150)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질문에 대해 모두 오답을 제시한 경우, 동영상 제어부(130)에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변경해달라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이해도 측정부(150)는 사용자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질문에 대해 모두 오답을 제시한 경우, 또는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질문에 대해 기설정된 오답률 이상이 측정된 경우, 동영상 제어부(130)에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변경해달라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세히, 동영상 내의 1번째, 2번째 및 3번째 문제에 대해 모두 오답을 제시한 경우, 사용자의 오답률은 100%, 사용자의 이해도는 0%라고 판단한 후, 동영상 제어부(130)에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1번째 질문과 관련한 컨텐츠의 시작 시점으로 변경해달라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해도 측정부(150)에서 동영상 제어부(130)에 요청하는 동영상 재생시점에 관한 데이터는 도 6 및 11과 같이 미리 기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답변이 제출되지 않은 경우, 해당 시점 이후의 동영상이 재생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답변이 오답인 경우에는, 해당 질문과 관련된 컨텐츠를 다시 재생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답변이 오답인 경우에도, 사용자가 동영상 내에 포함된 모든 문제에 대한 답변을 제시할 때까지 기다린 후, 사용자가 틀린 질문에 관한 컨텐츠만 선택적 또는 순차적으로 다시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 제어부(130)는 이해도 측정부(150)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이해도에 기초하여 재생지점을 선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동영상 제어부(130)는 이해도 측정부(150)에서 판단한 사용자의 오답률이 6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동영상 제어부(13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200)에서 사용자가 제시한 답변들 중 최초로 제시한 오답과 관련한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재생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오답을 제시한 컨텐츠를 다시 시청하고, 그와 관련된 질문을 반복적으로 다시 풀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동영상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제공서버는 도 2의 형태로 제작된 동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2 를 참고하면, 동영상(S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210, 220, 2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210, 220, 23)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211, 213, 221, 223, 231)을 포함한다.
또한, 동영상(S2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210, 220, 230)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211, 213, 221, 223, 231) 각각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는 답변수신구간(212, 214, 222, 224, 2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답변수신구간(212, 214, 222, 224, 232)은 기설정된 시간 구간을 지닌다.
일 실시예로서, 제 1 컨텐츠(210)와 연관된 제 1_1질문(211)에 대한 답변수신구간인 제 1_1답변(212) 구간은 t2 지점에서 시작하여 t3 지점에서 종료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제 1_1답변(212) 구간인 t2 지점에서 t3 지점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서 사용자로부터 답변을 수신하는 경우, 답변수신구간의 시간이 종료하지 않더라도 t3 지점으로 이동하여 제 1_2질문(213)을 재생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제 1_1답변(212) 구간의 종료지점인 t3 지점에서 사용자로부터 답변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t3 지점 이후의 동영상 재생을 멈추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210, 220, 230)는 제 1 컨텐츠(210), 제 2 컨텐츠(220) 및 제 3 컨텐츠(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컨텐츠(210)는 영어 문법 중 "동사의 시제"에 관한 컨텐츠일 수 있다. 제 2 컨텐츠(220)는 영어 문법 중 "to 부정사"에 관한 컨텐츠일 수 있다. 제 3 컨텐츠(230)는 영어 문법 중 "동명사"에 관한 컨텐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S200)은 각각의 컨텐츠(210, 220, 230)와 관련된 질문(211, 213, 221, 223, 23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제 1 컨텐츠(210)가 "동사의 시제"에 관한 컨텐츠인 경우, 제 1 컨텐츠(210)와 관련된 제 1_1질문(211) 및 제 1_2질문(213)은 각각 '동사의 과거 완료', '동사의 현재진행'에 관한 질문으로, "동사의 시제"라는 컨텐츠(210)와 연관된 내용을 질문으로 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제 1 컨텐츠(210)와 관련된 질문이 2개(211, 213)인 경우 질문과 답변과의 관계는 제 1_1 질문(211)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답변 제 1_1답변(212)을 수신한 이후에 제 1_2 질문(213)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답변 제 1_2답변(214)을 수신하도록 동영상(S200)을 제작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제 2 컨텐츠(220)와 관련된 질문이 2개(221, 223)인 경우 질문과 답변과의 관계는 제 2_1 질문(221)과 제 2_2질문(223)을 순차적으로 제시한 이후, 제 2_1답변(222) 및 제 2_2답변(224)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도록 동영상(S200)을 제작할 수 있다.
다만 주의할 것은 도 2에서는 제 2_1 질문(221)과 제 2_2질문(223)을 순차적으로 제시하고, 제 2_1답변(222) 및 제 2_2답변(224)를 순차적으로 수신하는 일 실시예가 개시되어 있으나 랜덤하게 제시하거나 또는 동시에 제시하는 등의 변형이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제 3 컨텐츠(230)와 관련된 질문을 제 3 컨텐츠(230)의 재생 중에 함께 제시가 가능하다. 일 예로, 제 3 컨텐츠(230)가 t10 지점에서 시작되어 재생되고 있는 중, t11 시점에서 제 3 컨텐츠(230)와 동일한 화면에 제 3_1질문(231)이 표시될 수 있다. 제 3_1질문(231)이 제 3 컨텐츠(230)가 재생되고 있는 화면의 일부에 오버랩될 수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단말기의 내부 구성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단말기(300)는 동영상재생부(310), 사용자답변수신부(320) 및 동영상재생시점제어부(330)을 포함한다.
동영상재생부(310)는 동영상제공서버(100)로부터 수신한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구현되고, 질문재생부(3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질문재생부(311)는 단말기(300)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라 동영상재생부(310)에서 재생하는 동영상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문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재생할 수 있다.
사용자답변수신부(320)는 동영상재생부(310)에서 재생되는 동영상 내에 포함된 질문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여 동영상제공서버(100)에 전송한다.
동영상 재생시점제어부(330)는 동영상제공서버(100)로부터 동영상의 재생시점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받아, 현재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제어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제공서버(100)는 사용자답변수신부(32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답변을 기초로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결정한다. 동영상 재생시점제어부(330)는 동영상제공서버(100)로부터 동영상 재생시점을 수신받아, 현재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제어한다. 구체적인 일 실시예는 도 6 및 11을 참고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질문에 대해 사용자가 오답을 제시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단말기에는 컨텐츠와 질문이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재생이 가능하다. 도 4는 사용자 단말기에 컨텐츠와 질문이 한 화면에 제시된 일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00:00:00초부터 00:00:36초까지 재생되는 "영어학습"에 관한 컨텐츠를 시청한 후, 00:00:36초에 제시된 질문을 시청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는 기설정된 답변수신구간을 지닌다. 도 4를 참고하면, 답변수신구간은 00:00:36초에서 00:00:46초 구간이다. 사용자는 00:00:36초에서 00:00:46초 구간 사이에서 어느 때나 답변을 제출할 수 있다.
단말기는 00:00:36초에서 00:00:46초 구간에서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답이 오답인 경우,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오답을 제출하였음을 알리는 알림창을 화면에 표시한 후, 00:00:00초부터 00:00:36초까지 "영어학습"에 관한 컨텐츠를 다시 재생시킬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상세히, 동영상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질문마다 사용자가 제출한 답변이 정확한지를 파악하고, 답변이 틀린 경우 동영상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동영상의 재생 위치를 제어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단말기는 t0부터 t1 구간에 제 1 컨텐츠(610)를 재생하고, t1에서 t2 구간에 제 1_1질문(611)을 재생할 수 있다. 이 후, t2에서 t3의 답변수신구간(612)동안 사용자로부터 답변을 수신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오답을 제출한 경우에는 t0 시점으로 동영상 재생시점을 리와인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S610). t0부터 t1 구간 동안 제 1 컨텐츠(610)가 다시 재생된 후, 사용자가 제 1_1질문(611)에 대해 정답을 제출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는 제 1_2질문(613)이 재생된다. 사용자가 제 1_1질문(611)에 대해 다시 오답을 제출한 경우, t0 시점으로 동영상 재생시점을 리와인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S610).
t4에서 t5의 답변수신구간(614)동안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답변이 정답인 경우, 단말기는 t5에서 t6 구간에 제 2 컨텐츠(620)를 재생한다. 이후, t6에서 t7 구간 동안 제 2 컨텐츠(620)와 관련된 제 2_1질문(621)을 재생하고, t7에서 t8 구간동안 제 2 컨텐츠(620)와 관련된 제 2_2질문(622)을 재생할 수 있다.
이 후, t8에서 t9의 답변수신구간(623)동안 제 2_1질문(621)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고, t9에서 t10의 답변수신구간(624)동안 제 2_2질문(622)에 대한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t9에서 t10의 답변수신구간(624)동안 제 2_2질문(622)에 대해 오답을 제출한 경우, 단말기는 제 2_2질문(622)과 관련된 제 2 컨텐츠(620)의 시작시점 t5로 재생시점을 리와인드할 수 있다(S620). 마찬가지로, 제 3 컨텐츠(630)와 관련된 질문(631)에 대한 답변수신구간 t12에서 t13 구간(632)에서 사용자로부터 오답을 수신한 경우, 단말기는 제 3 컨텐츠(630)의 시작시점 t10으로 재생시점을 리와인드할 수 있다(S630). 주의할 것은 답변수신구간이 t12에서 t13로 정해져 있는 경우, t12와 t13 시간 구간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서 사용자로부터 답변을 수신하는 경우, 단말기는 답변수신구간이 경과되지 않더라도, 사용자의 답변이 오답인 경우 사용자로부터 답변을 수신한 지점(633)에서 바로 제 3 컨텐츠(630)의 시작시점 t10으로 재생시점을 리와인드할 수 있다(S630).
도 7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에서 제공하는 질문에 대해 사용자에게 답변제한시간을 안내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동사"에 관한 컨텐츠가 재생되고, "동사"와 관련된 질문 "퀴즈 4"가 재생되고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는 기설정된 사용자 답변제한시간(710)을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동영상에서 사용자에게 5번째 질문을 제시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9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 8의 일 실시예와 같이 사용자가 5개의 질문을 받고, 5개의 질문에 대해 답변하였으나, 오답률이 기설정된 비율, 예를 들어 60%, 보다 높은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알림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도 9와 같은 알림(910)이 표시된 후, 사용자가 오답을 제시한 최초 질문과 관련된 컨텐츠의 재생시점으로 동영상을 리와인드 할 수 있다.
도 10 은 도 9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영상을 리와인드하여 컨텐츠의 재생시점을 조정하는 권한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인터페이스(1010, 10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제출한 답변의 오답률이 기설정된 비율을 넘는 경우, 동영상 제공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동영상의 재생 위치에 관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동영상 제공서버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동영상에 포함된 질문(1110, 1120, 1130, 1140, 1150)에 대한 답변을 모두 저장하고 있다. 사용자 "홍길동"이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질문에 답변하면, 동영상 제공서버는 기저장된 정답과 사용자의 답변을 비교하여 채점을 수행한다. 그리고, 동영상 제공서버의 이해도측정부에서 정답률 또는 오답률을 측정한다. 도 11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답률을 측정하여, 순차적으로 수신한 사용자 답변의 정답률이 기설정된 정답률, 예를 들어 35%, 미만인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서 동영상을 재생해야할 재생시점, t3 시점(S1130), 을 단말기에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수신한 t3시점(S1130)으로 현재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제어한다.
도 13 내지 15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동영상에서 제공하는 모든 질문에 대해 답변을 제시한 타임라인, 사용자가 제출한 답변 및 사용자가 동영상 서버로부터 수신한 채점결과를 각각 도시한다.
도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단말기에서 각 답변수신구간동안 사용자로부터 답변을 수신하는 지점을 도시한다. 상세히, 제 1_1답변은 t2와 t3 구간 중 t2a(1310)지점에서 사용자로부터 답변을 수신한다. 사용자로부터 답변을 수신하면, t2a(1310)부터 t3 구간은 스킵이 가능하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제 1_2답변은 t4와 t5구간 사이에서 수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t5지점(1320)까지 사용자가 답변이 없었던 경우, 동영상의 재생을 멈추거나. 또는 제 1_2답변과 관련된 컨텐츠의 시작시점으로 동영상을 리와인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로서, 제 2_1답변, 제 2_2답변 내지 제 3_1답변 역시 각각 사용자로부터 답변을 수신한 지점 t8a(1330), t9a(1340) 및 t12a(1350) 지점 이후의 답변수신구간은 스킵이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로부터 모든 답변을 수신하기 이전까지 동영상 재생의 리와인드를 하지 않는 경우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 사용자로부터 동영상 내의 질문에 대한 모든 답변을 수신한 경우, 사용자에게 도 14의 화면과 같이 제출한 답변에 대해 확인하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의 실수로 오답을 클릭한 경우 답변을 정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시할 수 있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동영상에서 제공하는 모든 질문에 대해 답변을 모두 마친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제시되는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2의 화면은 도 14의 화면이 표시된 이후에 표시될 수도 있고, 도 14의 화면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질문에 대해 모든 답변을 제출한 경우에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 12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모든 질문에 대해 답변을 제출한 이후 정답 확인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다.
사용자 단말기에는 동영상 내의 각 질문에 대한 정답과 사용자의 답변 그리고 채점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5에 표시된 바와 달리 사용자가 오답을 제출한 질문(1510, 1520)에 대해서는 사용자에게 정답을 공개하지 않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사용자가 오답을 제출한 질문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클릭을 할 경우, 해당 질문과 관련된 컨텐츠의 재생시작시점, 예를 들어 t3 및 t5,으로 리와인드되도록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사용자의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상이하게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으로 제작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동영상 재생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이 재생되는 지점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및
    동영상제공서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의 답변에 대해 정답여부를 판단하고, 정답률 또는 오답률이 기설정된 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새로운 재생시점을 수신한 후, 상기 새로운 재생시점으로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는 사용자의 이해도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재생지점을 선택, 제어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새로운 재생시점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시작시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의 시작 시점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재생시점 중에서 상기 동영상제공서버가 선택한 시점이며,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는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에서 재생되는 질문마다 상기 사용자의 답변의 정답여부를 판단하고, 오답이 발생할 때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오답을 제출한 컨텐츠의 최초 재생시점으로 동영상을 리와인드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에서 재생되는 질문마다 상기 사용자의 답변의 정답여부를 판단하고, 누적적으로 복수 개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답변의 정답률이 기설정된 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최초로 제시한 오답과 연관된 컨텐츠의 최초 재생시점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동영상 사용자가 동영상 내에 포함된 모든 문제에 대한 답변을 제시할 때까지 기다린 후, 상기 동영상 제공서버의 동영상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가 틀린 질문에 관한 컨텐츠만 선택적 또는 순차적으로 다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방식 중 하나로 구현되고,
    상기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마다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단말기에서 동영상의 재생을 멈추고, 수신하지 못한 답변과 관련된 컨텐츠의 재생시점으로 동영상이 리와인드(Rewind) 되며,
    이 경우 리와인드 대상이 되는 재생시점의 후보는 복수 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시작시점과 적어도 하나의 질문의 시작 시점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사용자의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상이하게 재생하는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와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질문으로 제작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동영상 재생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이 재생되는 지점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에 대해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및
    동영상제공서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의 답변에 대해 정답여부를 판단하고, 정답률 또는 오답률이 기설정된 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로부터 새로운 재생시점을 수신한 후, 상기 새로운 재생시점으로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는 사용자의 이해도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재생지점을 선택, 제어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새로운 재생시점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시작시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의 시작 시점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재생시점 중에서 상기 동영상제공서버가 선택한 시점이며,
    동영상제공서버에서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오답을 연속하여 수신한 경우, 상기 동영상의 새로운 재생시점을 포워딩된 시점으로 설정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포워딩된 시점까지의 동영상 재생을 스킵하고,
    상기 포워딩된 시점부터 동영상에서 재생되는 질문에 대한 정답을 확인하여, 정답인 경우 상기 포워딩된 시점 이후를 계속하여 재생하고, 오답인 경우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상기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오답을 마지막으로 수신한 지점으로 리와인드하여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제공서버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사용자의 답변에 대해 정답여부를 판단하고, 정답률 또는 오답률이 기설정된 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새로운 재생시점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시작시점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의 시작 시점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재생시점 중에서 상기 동영상제공서버가 선택한 시점이며,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는 사용자의 이해도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재생지점을 선택, 제어하도록 구현되고,
    상기 동영상제공서버는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에서 재생되는 질문마다 상기 사용자의 답변의 정답여부를 판단하고, 오답이 발생할 때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오답을 제출한 컨텐츠의 최초 재생시점으로 동영상을 리와인드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에서 재생되는 질문마다 상기 사용자의 답변의 정답여부를 판단하고, 누적적으로 복수 개 수신한 상기 사용자의 답변의 정답률이 기설정된 값을 벗어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의 재생시점을 최초로 제시한 오답과 연관된 컨텐츠의 최초 재생시점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상기 동영상 사용자가 동영상 내에 포함된 모든 문제에 대한 답변을 제시할 때까지 기다린 후, 상기 동영상 제공서버의 동영상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가 틀린 질문에 관한 컨텐츠만 선택적 또는 순차적으로 다시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방식 중 하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질문 각각마다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고, 상기 기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사용자의 답변을 수신하지 못하면 상기 단말기에서 동영상의 재생을 멈추고, 수신하지 못한 답변과 관련된 컨텐츠의 재생시점으로 동영상이 리와인드(Rewind) 되며,
    이 경우 리와인드 대상이 되는 재생시점의 후보는 복수 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의 시작시점과 적어도 하나의 질문의 시작 시점을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80033985A 2015-12-09 2018-03-23 학습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교육용 단말기 KR201800357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175405 2015-12-09
KR1020150175405 2015-12-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893A Division KR20170068367A (ko) 2015-12-09 2016-07-21 학습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교육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753A true KR20180035753A (ko) 2018-04-06

Family

ID=592791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893A KR20170068367A (ko) 2015-12-09 2016-07-21 학습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교육용 단말기
KR1020180033985A KR20180035753A (ko) 2015-12-09 2018-03-23 학습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교육용 단말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2893A KR20170068367A (ko) 2015-12-09 2016-07-21 학습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교육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700683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9236A (zh) * 2019-05-29 2019-10-25 昆明纯全教育信息咨询有限公司 微视频教学方法中的视频播放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服务器
CN110379235A (zh) * 2019-05-29 2019-10-25 昆明纯全教育信息咨询有限公司 微视频教学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学员持有的终端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84670A1 (en) * 2017-12-22 2019-06-27 Magic Leap, Inc. Methods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3d videos in a virtual, augmented, or mixed reality environment
CN108156471A (zh) * 2017-12-28 2018-06-12 重庆柚瓣家科技有限公司 反馈式适老化视频直播系统及方法
KR102414966B1 (ko) * 2019-11-29 2022-07-04 주식회사 플랙스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43672B1 (ko) * 2021-08-12 2022-09-15 주식회사 로보그램 블록 코딩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79236A (zh) * 2019-05-29 2019-10-25 昆明纯全教育信息咨询有限公司 微视频教学方法中的视频播放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服务器
CN110379235A (zh) * 2019-05-29 2019-10-25 昆明纯全教育信息咨询有限公司 微视频教学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学员持有的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367A (ko) 2017-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5753A (ko) 학습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교육용 단말기
US10595090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nd efficient interactive experience
US92103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multimedia
US8667529B2 (en) Presentation of audiovisual exercise segments between segments of primary audiovisual content
CN111541947A (zh) 教学视频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20160071546A1 (en) Method of Active-View Movie Technology for Creating and Playing Multi-Stream Video Files
CN104703055A (zh) 一种视频播放定位方法及装置
KR20120028380A (ko) 개별적으로 레코딩된 장면의 순차적인 병렬 배치를 위한 시스템
CN107785037B (zh) 使用音频时间码同步媒体内容的方法、系统和介质
US20160217109A1 (en) Navigable web page audio content
KR201600400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제어 방법
CN113055624A (zh) 课程回放的方法、服务器、客户端及电子设备
CN104811582A (zh) 多智能设备同步播放的方法和装置
CN112887790A (zh) 一种视频快速交互与播放的方法
JP2023181234A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作成装置、教育端末、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教育プログラム
KR20170068366A (ko) 학습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교육용단말기
WO2008067134A2 (en) Video interface for learning an activity
US20100316359A1 (en) ENHANCING DVDs BY SHOWING LOOPING VIDEO CLIPS
CN112135159A (zh) 公屏演播方法、装置、智能终端及储存介质
US20220353588A1 (en) Program searching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or blindness
JP5688517B2 (ja) 電子教材分析サーバ、電子教材分析方法、及び、電子教材分析サーバ用プログラム
JP7153143B2 (ja) 映像提供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05122106A1 (ja) 学習支援システム
CN112445556B (zh) 一种演示文稿播放时间提醒方法及装置
CN113645470A (zh) 视频播放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