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966B1 -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966B1
KR102414966B1 KR1020200004439A KR20200004439A KR102414966B1 KR 102414966 B1 KR102414966 B1 KR 102414966B1 KR 1020200004439 A KR1020200004439 A KR 1020200004439A KR 20200004439 A KR20200004439 A KR 20200004439A KR 102414966 B1 KR102414966 B1 KR 102414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voice
instructor
terminal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823A (ko
Inventor
정윤진
윤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플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플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플랙스
Publication of KR2021006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교수자 단말로부터 학습 콘텐츠 및 학습 콘텐츠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교수자 단말로부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교수자 단말에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및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SMART DEVICE BASED DIGITIAL EDUCATION SERVICE CAPABLE OF PRODUCING CONTENTS PER UNIT REGION}
본 발명은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마트 단말에서 일반인인 교수자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별도의 툴이나 프로그램 없이 동영상을 제작 및 편집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전통적인 면대면 교육의 중요성은 앞으로도 지속되겠지만, 면대면 교육 외의 다양한 교육 방법을 원격교육(Distance Education)이라는 광의의 의미로 정의한다면, 현대교육에서 원격교육이 차지하는 역할은 특별하다. 최근까지 원격교육은 인터넷 기술을 통해 빠른 속도로 발전해왔고, 인공지능 등의 신기술과의 융합으로 획기적인 변신을 시도 중이다. 다양한 웹 관련 스마트기기들의 출현과 사물인터넷의 빠른 발전은 스마트러닝(Smart-Learning)으로 통칭되는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학습방법으로 발전하였는데, 이는 학습자의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하고,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한 경험 제공으로 학습자의 흥미도와 집중도 및 이해도를 높여 학습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이때, 학습 콘텐츠를 제작 및 편집하는 기술이 없어도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고 편집할 수 있는 플랫폼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7-0130729호(2017년11월29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6-0137384호(2016년11월30일 공개)에는, 동영상 데이터에 사용자가 입력한 속성 정보 및 이미지 분석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기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 구간 전부 또는 일부에 매칭시켜 결합된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동영상 데이터의 편집을 수행하는 구성과, 외국어 학습 동영상 제작, 동영상 편집 및 검수하여 업로드하는 구성이 각각 개시된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학습 콘텐츠는 각각의 챕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각 챕터 중 어느 부분만 모르는 경우 또는 어느 부분만을 학습하고자 하는 경우, 챕터에 관련된 콘텐츠를 플레이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부분을 찾아야 한다. 마찬가지로, 학습 콘텐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도 하나의 챕터 단위로 제작을 하기 때문에, 제작 후 오류가 있는 경우 오류가 있는 부분만을 찾아서 편집을 하는 과정에 시간 및 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된다. 또, 교수자를 촬영한 콘텐츠와, 교수자가 판서를 한 콘텐츠의 동기화를 이루는 과정이 요구되므로, 일반인이 편집 프로그램을 전문가와 같이 익히지 않는 경우, 만약 전문가가 된다고 할지라도 재생시간보다 편집시간이 더 길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구비 및 훈련과정 없이도 스마트 단말 기반으로 학습 콘텐츠를 제작 및 편집할 수 있는 직관적이면서 유연한 플랫폼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학습 콘텐츠의 재생 뿐만 아니라 직관적인 제작 및 편집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라도 누구나 학습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 단위로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매핑 및 업로드하고, 구간편집 및 싱크(Sync)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편집을 위해 전체 영상을 다시 제작하거나, 편집기술이 없어 구간편집을 하지 못하는 상황을 배제할 수 있으며, 학습자도 자신이 모르는 영역에 대해서만 학습 콘텐츠를 스트리밍받을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교수자 단말로부터 학습 콘텐츠 및 학습 콘텐츠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교수자 단말로부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교수자 단말에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및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스마트 디바이스를 기반으로 학습 콘텐츠의 재생 뿐만 아니라 직관적인 제작 및 편집 플랫폼을 제공함으로써,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라도 누구나 학습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 단위로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수집하여 매핑 및 업로드하고, 구간편집 및 싱크(Sync)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편집을 위해 전체 영상을 다시 제작하거나, 편집기술이 없어 구간편집을 하지 못하는 상황을 배제할 수 있으며, 학습자도 자신이 모르는 영역에 대해서만 학습 콘텐츠를 스트리밍받을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학습이 가능하여, 교수자 및 학습자 모두 효율적인 콘텐츠 제작 및 소비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가 교수자 단말에서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가 학습자 단말에서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5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5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학습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학습 콘텐츠에서 문제풀이 및 답의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 문제의 답을 학습자로부터 입력받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를 선택하여 선호 데이터를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고,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선호 데이터에 매칭되는 교수자 리스트를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교수자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교수자를 선택하여 구독(Subscribe)을 신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학습 콘텐츠를 출력할 때,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매핑되어 저장된, 교수자가 업로드한 판서, 음성, 음성판서 등의 콘텐츠를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스트리밍받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음성판서란, 교수자의 음성 및 판서가 싱크 및 트랜스코딩된 콘텐츠이며, 음성과 판서의 합성명사이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학습진도율, 오답율, 오답과 고빈도 시험출제의 교집합 부분에 대응하는 분석 데이터 및 제공 데이터를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제공받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500)로부터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는 서버일 수 있다. 물론,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저작권이 등록되거나 저작권을 이전받은 경우 학습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의 관리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업로드받을 수도 있다. 이때, 출처는 저작권 계약관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학습 콘텐츠를 저장한 후,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에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영역에 대한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입력받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선택된 영역에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된 경우, 이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된 영역 상에, 또는 선택된 영역을 중심으로 상하좌우나 모서리 등에 배치하여 오버레이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학습자 단말(100)에서 해당 영역을 출력하고 있고, 학습자 단말(100)에서 구독을 선택한 교수자 단말(400)의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가 존재하는 경우, 이를 출력된 해당 영역에 도출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교재일지라도 학습자가 선택한 교수가 누구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가 스트리밍될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교수자의 성향 및 학습자의 성향을 분석하여 매칭을 실시하고 매칭 결과를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하여 구독할 교수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학습자의 학습률, 오답률, 학습영역, 비학습영역 등을 각각 구분하고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를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교수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를 업로드할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영역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학습자가 설명을 원하는 영역, 학습자가 선호하는 설명방법, 학습자가 선호하는 영상의 길이 등을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체 또는 부분 재녹음 및 재촬영하는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재촬영이란,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터치 스크린에 출력되는 영역 상에 터치펜(Pen)으로 다시 판서를 한 일련의 영상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촬영을 하는 것은, 컴퓨터 화면을 녹화한다고도 설명하기도 한다. 물론, 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500)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5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가 교수자 단말에서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가 학습자 단말에서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부(310), 선택부(320), 매핑부(330), 출력부(340), 스트리밍부(350), 편집부(360), 변경부(370), 구독부(380), 및 분석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500)로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500)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학습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단말(400), 및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5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저장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500)로부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310)는, 학년, 과목, 챕터 등을 분류하여 각각의 학습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인쇄된 책이라면 전자책(E-BOOK) 형태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선택부(320)는, 교수자 단말(400)로부터 학습 콘텐츠 및 학습 콘텐츠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 이때, 학습 콘텐츠는, A 과목에, B,C,D,E 등의 학습지나 교과서가 존재한다면, B,C,D,E와 같이 강의나 교수를 할 책을 의미한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영역은 복수의 페이지로 이루어진 학습지나 교과서에서 어느 하나의 페이지 중 일부 또는 전체일 수 있다. 또는, 복수의 페이지 자체일 수도 있으며 이는 교수자가 선택하는 것에 따라 어느 하나의 영역인 단위영역이 설정되는 것이므로 영역의 크기나 종류 등에 제한을 두지는 않는다. 만약, 교수자가 1500페이지짜리 민법책에서 75페이지를 선택했고, 75페이지 중 일부를 선택했다면, 이 선택된 일부가 어느 하나의 영역이 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미리 나뉘어진 문단 단위 또는 문제 단위일 수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선택부(320)에서 교수자 단말(400)로부터 학습 콘텐츠 및 학습 콘텐츠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을 때, 교수자 단말(400)로부터 어느 하나의 영역을 드래그하여 크롭(Crop)함으로써 영역을 선택받을 수 있다. 물론, 크롭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방법으로 한정하지는 않는다.
매핑부(330)는, 교수자 단말(400)로부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교수자 단말(400)에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할 수 있다. 음성은 교수자 단말(400)에 내장된 마이크 또는 외장되거나 연동된 마이크를 이용하여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응하고, 판서는, 터치패널 상에 입력되는 선, 점, 텍스트, 그림 등을 영상 프레임으로 녹화한, 즉 화면을 그대로 떠서 녹화한 비디오 데이터이다. 그리고, 음성판서는, 음성과 판서의 합성명사로, 말 그대로 음성과 판서가 결합된 형태이다. 예를 들어, 교수자가 A 영역을 선택하고, 선택된 A 영역이 출력된 상태에서 그 위에 필기를 하면서 설명을 하는 경우에는, 일련의 순차적인 영상 프레임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가 생성되면서 마이크로는 음성 데이터, 즉 오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는데, 이 경우를 음성판서라 한다.
매핑부(330)는, 교수자 단말(400)로부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교수자 단말(400)에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할 때, 판서 또는 음성판서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 상에 오버레이되고 판서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화면 녹화를 할 수 있고, 이를 어느 하나의 영역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매핑부(330)는, 교수자 단말(400)로부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교수자 단말(400)에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할 때, 음성과 판서가 동시에 진행되는 음성판서가 선택된 경우, 교수자 단말(400)의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교수자 단말(400)의 패드에 입력되는 판서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싱크(Sync)로 정합시켜 저장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는, 패드에 입력되는 판서, 즉 화면녹화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오디오 데이터가 교수자 단말(400)을 통하여 한 번에, 즉 동시에 들어오기 때문에 시간 동기화(Timing Synchronization)가 요구되지 않지만, 만약 이시녹음 및 녹화를 하거나 판서나 음성 어느 하나만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화면녹화본과 음성을 동기화시키는 것은 또 다른 문제이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부분의 교수자가 판서를 하면서 이를 소리내어 읽는다는 점에 착안하여, 판서의 내용에 대응하는 텍스트와,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한(Speak to Text) 결과를 비교하여 싱크를 맞추는 방법을 이용하기로 한다. 물론, 음성과 판서의 내용을 정합시키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때, 판서의 내용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이루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으로부터 하나의 글자가 써지기까지 몇 개의 프레임을 사용하였는지, 몇 초의 구간인지 등을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프레임에서 추출된 하나의 글자가 완성된 프레임을 기준으로, 글자가 시작된 프레임을 찾는다. 예를 들어, f를 썼다고 가정하면, f가 완료된 시점, 즉 다음 글자가 시작되는 시점 이전까지의 지점을 기준으로, f가 시작된 시점을 찾아 "에프"로 발음한 발화 구간을 찾고, 이를 대응시켜주는 것이다.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텍스트를 추출하고 싱크를 맞추는 기술은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STT나 TTS 등도 다양하게 공지 및 상용화된 프로그램이 존재하므로 본 발명에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출력부(340)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예를 계속 인용하면, 75페이지의 일부가 선택되었고, 판서로만 설명하는, 즉 비디오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에는, 선택된 일부 영역의 우측 상단 모서리에 판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아이콘의 위치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교수자가 임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때에도, 디폴트로 고정된 위치는 상술한 우측 상단 모서리일 수 있다.
스트리밍부(350)는, 출력부(340)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한 후, 학습자 단말(100)에서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학습자 단말(100)로 스트리밍시킬 수 있다. 이때, 스트리밍부(350)는, 트랜스코딩(Transcoding) 성능을 높이도록 CPU 기반 트랜스코더와 GPU 기반 트랜스코더를 동시에 사용하는 듀얼 트랜스코딩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트랜스코딩이란, 학습자와 같은 사용자가 여러가지 프로그램이나 액티브 엑스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학습자 단말(100)에 적합한 포맷으로 원본 동영상을 변환해주는 기술이다.
트랜스코딩은 압축률이나 압축방법에 따라 네트워킹 자원 및 컴퓨팅 자원이 급격하게 달라지는데, 단일 서버 기반에서는 충분한 네트워킹 자원이나 컴퓨팅 자원이 수급되지 않는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GPU는 CPU보다 단위면적당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에, 적응적으로 QoS 유지가 가능해진다는 점을 이용한다. 우선, 듀얼 트랜스코딩 방법은 트랜스코딩 요청을 처리하기 전에, 스트리밍부(350)에서 워크로드(Workload)를 예측하여 해당 요청에 대한 QoS 유지가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트랜스코딩 요청에 대한 워크로드 예측을 위해 선형 회귀 분석 방법을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QoS 유지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CPU 또는 GPU 트랜스코더 중 보다 적합한 타입의 장치에 작업을 할당함으로써 연산 자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단일 서버가 보다 많은 사용자의 요청을 QoS 유지 하에 제공할 수 있다.
편집부(360)는, 출력부(340)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한 후, 교수자 단말(400)로부터 아이콘이 선택되고, 편집 이벤트가 출력된 경우, 편집할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구간을 설정받을 수 있다. 이때, 편집부(360)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구간이 설정되고, 제작 이벤트가 출력된 경우, 교수자 단말(400)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설정된 구간에 삽입하여 트랜스코딩(Transcoding)할 수 있다. 만약, 음성판서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의 조합이기 때문에, 임의의 구간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시간 동기화의 경우가 아니라면, 오디오 데이터와 비디오 데이터가 모두 수정이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편집부(360)는, 오디오 데이터의 임의의 구간과 비디오 데이터의 임의의 구간을 모두 삭제하고, 새로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삽입하여 전체 영상을 다시 트랜스코딩할 수 있다.
변경부(370)는, 출력부(340)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한 후, 교수자 단말(400)에서,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변경된 위치 상에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할 수 있다. 이때,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에 대응하는 아이콘은 각각 다를 수 있다. 물론, 교수자가 해당 영역을 설명하는 방법을 이미지나 텍스트를 사용했다면, 이미지나 텍스트 또한 어느 하나의 영역에 대응하는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 있고 추가될 수 있다. 또한, 각 아이콘은 다중표시될 수 있다. 즉, 교수자는 다양한 방법으로 어느 영역을 설명할 수 있으므로 다중선택 및 다중표시가 가능하다.
구독부(380)는, 출력부(340)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한 후, 학습자 단말(100)에서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학습 콘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류자가 태깅된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리스트를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독부(380)는,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리스트에 포함된 교수자가 제작한 콘텐츠와, 학습자 단말(100)에서 선호도가 선택된 선호 데이터를, 텍스트, 이미지, 음성, 판서, 음성판서, 및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로 분석하여 학습 스타일 매칭률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에 대한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학습자가 구독을 선택하기 전에, 설명 방법은 텍스트, 이미지,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것이 좋은지, 설명시간은 5분 이내, 10분 이내, 20분 이내 등으로 몇 분이나 몇 시간이 좋은지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물론, 입력받지 않더라도 학습자가 끝까지 시청한 판서, 음성, 및 음성판서의 시간이 몇 분인지를 체크함으로써 자동으로 히스토리 로그를 분석할 수도 있다. 그리고, 교수자가 어느 종류의 매체나 미디어를 사용하여 설명을 하는지, 그 시간은 몇 분 또는 몇 시간인지를 확인하여 매칭을 할 수 있다.
구독부(380)는,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리스트 중 구독(Subscribe)할 교수자를 선택받을 수 있다. 그리고, 구독부(380)는, 학습자 단말(100)에서 학습 콘텐츠를 출력할 때, 선택된 교수자가 제작한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할 수 있다. 만약, A 학습자가, B,C,D,E 교수자를 선택했고, Z 영역을 공부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Z 영역을 설명한 교수자가 E, F, G, H라면, E, F, G, H가 올린 매체나 미디어를 모두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구독을 신청한 E의 설명에 대응하는 아이콘만을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학습자의 성향에 따라 원하는 설명만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학습자가 자신이 원하는 교수자의 설명을 찾아 헤매는 일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다.
분석부(390)는, 저장부(310)에서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500)로부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 후, 학습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개념 키워드를 태깅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교수자 단말(400)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다르다. 분석부(390)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시스템 상에서 정해진 분류 체계 및 분할 체계에 따라 분할된 영역이고, 교수자 단말(400)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은 임의로 설정한 영역이기 때문에 그 사이즈나 크기 또는 포함하는 개념도 각기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용어이지만 서로 다른 의미로 해석하기로 한다.
이때, 분석부(390)는, 학습자 단말(100)에서 학습 콘텐츠를 출력한 후 학습자 단말(100)에서 입력한 정답과 기 저장된 정답을 비교한 후, 정답률에 기초하여 학습 이해도를 산출할 수 있고, 오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학습자 단말(100)로 재전송하여 학습이 진행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분석부(390)는, 학습량이 설정되어 있다면, 어느 부분을 학습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정량 또는 정성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일 학습할 개념이, A, B, C, D, E 개념이고, A, C만 학습자 단말(100)에서 출력되었고 B, D, E는 진행되지 않았다면, B, D, E라는 키워드를 제공하여 어느 부분을 안했는지를 정성적으로 알려준다. 정량적인 분석은, 페이지를 기준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술한 예를 계속 인용하면, 개념 5개 중 2 개인 40%만 완료되었고 3개는 학습을 진행하지 않았으므로, 진도율 40%로 나타낼 수 있다.
분석부(390)는, 출력부(340)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한 후, 기 저장된 시험 고빈도 키워드와, 오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태깅된 개념 키워드과 일치하는 경우, 학습자 단말(100)에서 시험출제 탭(Tap)의 페이지에 출력되도록 오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리스트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빈도 키워드가 A, B, C, D, E이고, 학습자 단말(100)에서 틀린 문제에 대응하는 키워드가 D, E라고 가정하면, D, E를 오답노트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고빈도 키워드에 대응하는 문제를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문제로 별도 페이지에 제공할 수도 있고, 고빈도 문제를 또 다른 별도의 페이지에서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500)로부터 학습 콘텐츠를 수집하고 디지털화하고, 교수자 단말(400)에서 이에 대한 설명을 업로드하면, 학습자 단말(100)은, 각 영역에 대한 교수자별 설명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고, 아이콘이 선택되는 경우, 이에 매핑되어 저장된 설명을 스트리밍받을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교수자는, 지역별로 수업하는 스타일을 비교해서 강의를 제작할 수 있고, 국정과 검정의 경우 참고서별로 강의 제작을 할 수 있으며, 교과서 또는 참고서 모두 강의를 만들거나, 인기 높은 교재를 택하여 강의를 제작할 수도 있으며, 이해 과목과 암기 과목에 대해서 학습 자료를 선택하여 학습 자료를 제작할 수 있고, 기본 과정과 심화 과정의 경우 재생 시간을 분별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시험에 자주 나오는 단원이나 차시의 경우 학습 자료를 충실하게 제작할 수 있고, 평점이 높은 이유와 질문이 나오는 유형을 파악하여 맞춤형 강의로 제작할 수 있으며, 시험 기간에 대비하여 주제별 강의를 제작할 수 있고, 과목별 시험 범위에 따라서 족집게 시험 강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한편, 학습자는, 지역별로 학업열을 파악할 수 있고, 학교급별 및 학년별로 어떠한 과목(교과서)을 수업하는지 알 수 있고, 특정 교과서의 경우 참고서를 병행하는 정도를 알 수 있으며, 어떤 학습 자료 유형을 선호하는지 알 수 있고, 학습 자료가 영상일 경우 재생 시간 선호도를 알 수 있으며, 어떤 단원이 중요한지, 어떠한 차시가 중요하다는 것을 체득할 수 있고, 강의로 제작된 학습 자료의 이해 정도를 파악가능하며, 학교별, 과목별 시험 범위, 임의의 학습 페이지에서 체류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스타일은 물론 학습자의 공부하는 시간을 히스토리 로그로 저장 및 분석할 수 있다. 도 3c는 아이콘의 종류를 나타내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a를 참조하면, 교수자 단말(400)은, 임의의 영역, 도 4a의 화면상으로는 3 번 문제의 극한값 영역(점선 영역)을 선택할 수 있고, 지정한 영역 확인을 하고 나면, 도 4b와 같이 어떠한 종류의 설명을 할 것인지, 즉 어떠한 종류의 콘텐츠를 제작할 것인지를 선택한다. 이때의 콘텐츠는, 상술한 학습 콘텐츠와는 다르다. 학습 콘텐츠는, 교과서나 참고서 자체이고, 제작할 콘텐츠는 교수자가 녹음 또는 녹화하는 오디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이다. 그 전에 분류, 정규교과과정 중 어느 과정인지, 몇 학년의 문제인지, 어느 과목인지, 기본인지 심화인지 등을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몇 분간 설명을 할 것인지를 고르는 항목이 나오는데, 그 이유는 열심히 설명한다고 1 시간 동안 설명했는데, 막상 학생들은 듣지 않으면 제작할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호하는 단위시간을 보여줌으로써 교수자가 해당 시간 이내에 설명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교수자 단말(400)에서 시작을 누르면, 화면 녹화 및 마이크 녹음이 시작된다. 이때, 교수자는 판서를 하면서 동시에 설명에 대응하는 음성을 발화하는데, 이때 교수자 단말(400)은, 화면 녹화와 음성 녹음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해 캐시 영역에 저장해두거나 메모리에 로딩해둔다. 이때, 교수자 단말(400)에서 도 4d와 같이 제작이 완료되었다는 버튼이 선택되면,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저장 또는 로딩된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트랜스코딩을 실시하며 아이콘을 학습 콘텐츠에 오버레이하도록 한다. 복수의 교수자가 동일한 문제에 참여했을 경우에는, 도 3a와 같이 복수의 아이콘이 도시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학습자가 교수자를 선택하여 구독한 경우에는, 구독한 교수자의 아이콘만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에도 모든 교수자가 업로드한 판서, 음성, 및 음성판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모두 일률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편집을 해야 하는 경우에는, 도 4e와 같이 교수자 단말(400)에서 선택을 할 수 있고, 음성판서(판서+음성)이 선택된 경우, 도 4f와 같이 아이콘을 선택하고 편집할 부분 또는 전체를 선택한 후, 재녹화나 재녹음을 할 수 있다. 물론, 아이콘의 위치를 옮기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더 부가되어야 할 설명이 있다면 지속적으로 해당 영역에 중복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동일한 영역에 다중 아이콘 또는 중복 아이콘이 생성될 수도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학습자 단말(100)에서 학습을 하는 과정을 나타내는데, 우측 상단에 위치한 종이가 겹쳐진 사시도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선택되면, 복수의 메뉴가 방사형으로 확장된다. 이때, 어떠한 교수자를 선택할 것인지를 도 5b와 같이 선택하도록 하고, 리스트업 된 교수자 중 숨기기할 교수자와 보여질 교수자를 각각 별도로 선택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보이기에 선택된 교수자를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나머지를 숨김처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숨김처리가 블록(Block)의 개념으로 적용되는 경우, 블록된 교수자가 업로드한 데이터는 해당 학습자 단말(100)에서 다시는 피드(Feed)로도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d와 같이 추천 교수자의 리스트와 교수자에 대한 정보가 각각 표시되고, 도 5e에서 상세 매칭률을 선택하는 경우, 어느 부분이 맞는지를 볼 수 있어 선택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5f와 같이 페이지, 예를 들어, A 수학 교과서 75페이지의 인기자료가 평점이나 구독자수 또는 시청수에 기반하여 정렬 및 출력될 수 있고, 페이지 통계, 예를 들어, 75 페이지의 복수의 영역 중 어느 부분이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지 등이 출력될 수 있고, 학습자 단말(100)에서는 노트 저장을 선택하는 것만으로도 요약노트나 족집게 노트를 만들 수 있다.
도 5g와 같이 각 영역을 분리하여 분석 결과를 표시해주고, 어느 부분을 스킵했는지 또는 제대로 이해를 못했는지를 출력해줌으로써, 다시 그 영역으로 돌아갈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h와 같이 음성판서의 아이콘, 예를 들어 카메라 표시의 아이콘이 학습자 단말(100)에서 선택되는 경우, 학습자 단말(100)에서는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스트리밍하는 음성판서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한다. 그리고, 도 5i와 같이 학습자 단말(100)은, 모르는 부분을 물어볼 수도 있고, 평점을 줄 수도 있으며, 추천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5의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6을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한다(S6100).
그리고,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는, 교수자 단말로부터 학습 콘텐츠 및 학습 콘텐츠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고(S6200), 교수자 단말로부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교수자 단말에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한다(S6300).
마지막으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한다(S6400).
상술한 단계들(S6100~S64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6100~S64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6의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교수자 단말로부터 학습 콘텐츠 및 상기 학습 콘텐츠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상기 교수자 단말로부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교수자 단말에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 및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해,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학습자 단말에서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학습 콘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류자가 태깅된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리스트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리스트에 포함된 교수자가 제작한 콘텐츠와,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선호도가 선택된 선호 데이터를, 텍스트, 이미지, 음성, 판서, 음성판서, 및 재생시간을 포함하는 파라미터로 분석하여 학습 스타일 매칭률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리스트 중 구독(Subscribe)할 교수자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상기 학습 콘텐츠를 출력할 때, 상기 선택된 교수자가 제작한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습 콘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학습 콘텐츠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분리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개념 키워드를 태깅하여 저장하는 단계;
    학습자 단말에서 상기 학습 콘텐츠를 출력한 후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입력한 정답과 기 저장된 정답을 비교한 후, 정답률에 기초하여 학습 이해도를 산출하는 단계;
    오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상기 학습자 단말로 재전송하여 학습이 진행되도록 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기 저장된 시험 고빈도 키워드와, 상기 오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태깅된 개념 키워드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시험출제 탭(Tap)의 페이지에 출력되도록 상기 오답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리스트업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의 학습률, 오답률, 학습영역, 비학습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상기 학습 콘텐츠를 출력할 때, 상기 선택된 교수자가 제작한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리스트 중 선택되지 않은 교수자가 제작한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상기 학습 콘텐츠에 오버레이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학습자 단말에서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스트리밍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수자 단말로부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교수자 단말에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는,
    음성과 판서가 동시에 진행되는 음성판서가 선택된 경우, 상기 교수자 단말의 마이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와, 상기 교수자 단말의 패드에 입력되는 판서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싱크(Sync)로 정합시켜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교수자 단말로부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를 선택받고, 상기 교수자 단말에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매핑되도록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판서 또는 음성판서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 상에 오버레이되고 판서에 대응하는 입력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교수자 단말로부터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고, 편집 이벤트가 출력된 경우, 편집할 상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구간을 설정받는 단계;
    상기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의 구간이 설정되고, 제작 이벤트가 출력된 경우, 상기 교수자 단말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설정된 구간에 삽입하여 트랜스코딩(Transcoding)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수자 단말로부터 학습 콘텐츠 및 상기 학습 콘텐츠 내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는,
    상기 교수자 단말로부터 어느 하나의 영역을 드래그하여 크롭(Crop)함으로써 영역을 선택받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영역에 상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교수자 단말에서, 상기 음성, 판서, 및 음성판서 중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 변경된 위치 상에 상기 선택된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오버레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자의 학습률, 오답률, 학습영역, 비학습영역에 대한 분석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비학습영역에 속한 학습 개념의 키워드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학습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학습 콘텐츠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류자가 태깅된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리스트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선택된 학습 콘텐츠 내 포함된 특정 아이콘을 선택 받으면 상기 특정 아이콘을 기준으로 복수의 메뉴가 방사형으로 확장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리스트를 출력하는 아이콘을 선택 받는 경우,
    보이기 및 숨기기 메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리스트와 함께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 리스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교수자에 대해 상기 보이기 또는 숨기기 메뉴가 선택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복수의 메뉴 중 추천 교수자 메뉴를 출력하는 아이콘을 선택 받는 경우,
    추천 교수자 리스트 및 상세 매칭률을 포함하는 교수자에 대한 정보가 각각 표시되는 단계; 및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상세 매칭률이 선택되면, 상기 학습 스타일 매칭률을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004439A 2019-11-29 2020-01-13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149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343 2019-11-29
KR20190157343 2019-1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823A KR20210067823A (ko) 2021-06-08
KR102414966B1 true KR102414966B1 (ko) 2022-07-04

Family

ID=76399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439A KR102414966B1 (ko) 2019-11-29 2020-01-13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9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7617B1 (ko) * 2021-10-12 2023-05-02 (주)중앙교육 Html5 기반 이러닝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24749B1 (ko) * 2022-07-19 2024-01-12 임철수 교육화면배포부가 구성된 교육시스템
KR102563323B1 (ko) * 2023-06-05 2023-08-02 최일한 상호 연동된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780B1 (ko) * 2011-02-14 2013-06-07 김영대 가상 강의실 강의 방법 및 장치
KR101703321B1 (ko) * 2015-01-09 2017-02-06 주식회사 에스티유니타스 복합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8367A (ko) * 2015-12-09 2017-06-19 영어와 어휘(주) 학습 이해도에 따라 동영상을 재생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교육용 단말기
CN110019392B (zh) * 2017-11-07 2021-07-23 北京大米科技有限公司 在网络教学系统中推荐教师的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780B1 (ko) * 2011-02-14 2013-06-07 김영대 가상 강의실 강의 방법 및 장치
KR101703321B1 (ko) * 2015-01-09 2017-02-06 주식회사 에스티유니타스 복합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823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iang The affordances of digital multimodal composing for EFL learning
US11151892B2 (en) Internet teaching platform-based following teaching system
CN109801194B (zh) 一种具有远程评价功能的跟随教学方法
KR102414966B1 (ko)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50080556A (ko) 통합된 가르침과 학습의 생성, 전달, 사용 및 활용을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4240165A (zh) 一种网络教育资源开发与应用平台
CN109697906B (zh) 一种基于互联网教学平台的跟随教学方法
GB2521800A (en)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information,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method and learning apparatus
Khee et al. Students’ perception towards lecture capture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buenca et al. MoocCast: evaluating mobile-screencast for online courses
Badan et al. Multimedia Technologies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under Pandemic.
Alzubi The role of multimedia tools in Hashemite Kingdom of Jordan education classroom teaching in the digital era
KR101198091B1 (ko) 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orumb et al. Blended learning concept and its applications to engineering education
JP7041958B2 (ja) 教育支援システム及び教育支援方法
CN113487921B (zh) 一种用于校内课后服务的作业辅导系统及方法
Farmer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ies: A curricular guide for middle and high school librarians
Kovačević Digital Content Creation as a Part of ESP Courses
KR101116837B1 (ko) 학교 방송 시스템
KR102527617B1 (ko) Html5 기반 이러닝 콘텐츠 제작 서비스 제공 시스템
Bettenfeld et al. Instrumentation of learning situation using automated speech transcription: A prototyping approach
US20220319152A1 (en) Methods for generating cognitive building blocks
Chanialidis The Use of Technology and Social Media in Teaching Statistics
French Students as Critical Media Makers: Practical Strategies for Creating Detournement with Students
JP2022081588A (ja) 教育支援システム及び教育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