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3323B1 - 상호 연동된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상호 연동된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3323B1
KR102563323B1 KR1020230072433A KR20230072433A KR102563323B1 KR 102563323 B1 KR102563323 B1 KR 102563323B1 KR 1020230072433 A KR1020230072433 A KR 1020230072433A KR 20230072433 A KR20230072433 A KR 20230072433A KR 102563323 B1 KR102563323 B1 KR 102563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board
user input
electronic
user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일한
Original Assignee
최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일한 filed Critical 최일한
Priority to KR102023007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33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3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3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을 연동하여 상기 전자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보조 칠판 상에 반영하고, 상기 보조 칠판 상의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전자 칠판 상에 반영하며, 전자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보조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이 가해진 지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수신하고, 판서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 1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판서를 시작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 상에 판서 내용을 표시하며, 전자 문서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 2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 문서화 작업 모드로 진입하였으며 문서화할 영역을 지정할 것을 요청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며, 문서화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 상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대한 전자 문서화 작업을 실행하고, 결과물을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상호 연동된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HANDWRITING RECOGNITION-BASED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DISPLAY SYSTEM UTILIZING INTERLOCKING ELECTRONIC BLACKBOARDS AND AUXILIARY BLACKBOARDS}
본 문서는 상호 연동된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의 일부 영역을 지정하여 해당 구역의 판서만 문서화시키고, 나머지 구역의 내용은 저장하지 않는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교육 환경은 디지털 환경으로 인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디지털 교과서가 보급 되고,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기기를 활용한 교육 환경도 빠른 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 칠 판을 대신하여 다양한 정보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전자칠판이 본격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전자칠판은 화 면 상에 강의내용 또는 발표 내용의 문서를 띄우고, 판서 및 글쓰기 기능을 제공하는 등 강의에 필요한 각종 기 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이나 펜 등의 터치를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전자기기의 개발 및 보급에 따라, 학교, 학원 또는 세미나 등에서 장시간 동안 발표 및 강의 되고 있는 내용을 비디오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동영상으로 녹화하거나, 또는 강사가 강의하는 도중 판서(板書)한 내용을 전자칠판 등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인쇄할 수 있게 되었다.
발표자 또는 강사는, 자신이 발표할 강의 내용을 사전에 프레젠테이션용 전자문서 파일로 작성한 후, 개 인용 컴퓨터(PC)와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를 연결 사용하여 대형 영상화면을 통해 보다 효율적으로 발표 하는 사례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 칠판은 해당 전자 칠판에 기록한 내용을 센서나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인식하고, 이를 전자 문서화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1-0057757호(2001. 07.05)를 참조하면, 종래의 카메라와 같은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전자 칠판에 기록된 내용을 영상화한 후 이를 무선 송신 장치를 통해 컴퓨터 등에 저장할 수 있는 기술 이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전자 칠판은 기록한 내용을 센서나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 인식하고, 이를 전자 문서화할 수 있다. 다만 문서화시키는 영역이 따로 지정되어 있지 않고 전자 칠판 전체를 문서화시키거나 또는 사각형의 형태로 규격화된 부분만 문서화가 가능한 한계가 있다.
이 경우 전자 문서화할 필요성이 있는 판서들이 거리를 두고 떨어져있으며, 그 사이에 다른 판서(예: 낙서,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기록)가 존재하는 상황에서 문서화할 필요성이 있는 판서들 중 일부를 문서화하지 않거나 또는 다른 판서(예: 낙서,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기록)까지 모두 문서화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본 문서에 따른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은 전자 문서화할 필요성이 있는 판서들이 거리를 두고 떨어져있는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전자 문서화하여 저장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을 연동하여 상기 전자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보조 칠판 상에 반영하고, 상기 보조 칠판 상의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전자 칠판 상에 반영하며, 전자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보조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이 가해진 지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수신하고, 판서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 1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판서를 시작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 상에 판서 내용을 표시하며, 전자 문서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 2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 문서화 작업 모드로 진입하였으며 문서화할 영역을 지정할 것을 요청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며, 문서화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 상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대한 전자 문서화 작업을 실행하고, 결과물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문서에 따른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은 전자 문서화할 필요성이 있는 판서들이 거리를 두고 떨어져있는 상황에서 효율적으로 전자 문서화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필요한 내용만을 담은 문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자 칠판을 효율적으로 제어하여 판서 내용을 저장하거나 효과적으로 출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된 구성 중 일부가 생략 또는 치환 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시스템(100)의 각 구성 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메모리(130)는 다양한 파일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120)의 동작에 따라 저장된 파일 데이터들은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시스템(10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130)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의 동작들은 메모리(130)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을 로딩(loading)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시스템(100)은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을 연동하여 상기 전자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보조 칠판 상에 반영하고, 상기 보조 칠판 상의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전자 칠판 상에 반영하며, 전자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보조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이 가해진 지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수신하고, 판서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 1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판서를 시작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 상에 판서 내용을 표시하며, 전자 문서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 2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 문서화 작업 모드로 진입하였으며 문서화할 영역을 지정할 것을 요청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며, 문서화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 상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대한 전자 문서화 작업을 실행하고, 결과물을 출력할 수 있다.
종래에는 문서화할 영역을 따로 지정할 수 없거나, 사각형의 형태로 문서화할 영역을 지정하는 한계가 있어서, 전자 문서화하고 싶은 필기 내용 또는 필기 영역이 따로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 필요한 필기 내용만 문서화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문서에 따른 시스템은 문서화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사각형이 아닌 다양한 모양(예: 다각형, 구름 모양)의 영역을 지정하여 문서화시킬 수 있어서 필요한 필기 내용만 문서화하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칠판은 보조 칠판보다 상대적으로 영역의 크기가 크고 관객 또는 학생들이 볼 수 있는 방향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보조 칠판은 전자 칠판보다 상대적으로 영역의 크기가 작고 관객 또는 학생들이 보기는 어렵고, 사용자(예: 강연자 또는 교수자)가 개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전자 칠판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온(on) 되는 상황에서 교사, 과목 및 수업일시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며, 전자 칠판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오프(off)되는 상황에서 상기 전자 칠판 상에 사용자 입력에 따른 판서 내용이 존재함에 기반하여 상기 메모리(130) 상에 사용자 인증에 대한 정보와 함께 판서 내용을 임시로 저장하며, 이후 사용자 인증에 기반하여 이전 수업에서 저장 또는 삭제되지 않은 판서 내용이 존재하는지 상기 메모리 상에서 검색을 수행하고,상기 메모리 상에서 검색된 임시 판서 내용이 존재함에 기반하여 상기 보조 칠판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전자 칠판 상에도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증 후 이전에 임시 저장된 최신 필기 내용을 바로 전자 칠판과 보조 칠판으로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우선 사용자(예: 교수자)가 먼저 볼 수 있는 보조 칠판 상에 표시를 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다른 사람들(예: 학생)이 볼 수 있는 전자 칠판 상에 표시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프로세서(120)가 사용자로부터 이전에 임시 저장된 최신 필기 내용을 표시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입력을 받는 경우 전자 칠판 상에 이전 임시 저장된 필기 내용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이 작동되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지문 및 사용자의 서체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지문 또는 사용자의 서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정보가 수신됨에 기반하여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지문 또는 사용자의 서체를 사전에 입력받지 않고서도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상기 제 1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판서를 시작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이후 사용자 입력을 터치 신호로 변환하여 터치 신호가 발생된 좌표에 기반하여 판서 내용을 생성하며, 상기 제 2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판서가 끝나고 전자 문서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이후 사용자 입력을 터치 신호로 변환하여 터치 신호가 발생된 좌표에 기반하여 전자 문서화를 수행할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판서를 일시 중단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 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판서가 일시 중단된 것으로 결정하고, 이후 사용자 입력을 터치 신호로 변환하지 않으며, 판서를 일시 중단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 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만을 터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판서를 다시 시작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 상의 모든 영역에 대해 사용자 입력을 터치 신호로 변환하고, 터치 신호가 발생된 좌표에 기반하여 판서 내용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방법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순서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발명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 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 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 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동작 210에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칠판 및 보조 칠판을 연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을 연동하여 상기 전자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보조 칠판 상에 반영하고, 상기 보조 칠판 상의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전자 칠판 상에 반영할 수 있다.
전자 칠판은 보조 칠판보다 상대적으로 영역의 크기가 크고 관객 또는 학생들이 볼 수 있는 방향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보조 칠판은 전자 칠판보다 상대적으로 영역의 크기가 작고 관객 또는 학생들이 보기는 어렵고, 사용자(예: 강연자 또는 교수자)가 개인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을 의미할 수 있다.
동작 220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이 가해진 지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보조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이 가해진 지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23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 1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판서를 시작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판서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 1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판서를 시작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 상에 판서 내용을 표시할 수 있다.
동작 240에서, 프로세서(120)는 제 2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문서화할 영역을 지정할 것을 요청하는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문서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 2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 문서화 작업 모드로 진입하였으며 문서화할 영역을 지정할 것을 요청하는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동작 250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대해 전자 문서화 작업을 실행하고, 결과물을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문서화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 상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대한 전자 문서화 작업을 실행하고, 결과물을 출력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방법을 흐름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의 흐름도에서 프로세스 단계들, 방법 단계들, 알고리즘들 등이 순차적인 순서로 설명되었지만, 그러한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은 임의의 적합한 순서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들, 방법들 및 알고리즘들의 단계들이 본 발명에서 기술된 순서로 수행 될 필요는 없다. 또한, 일부 단계들이 비동시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서 설명되더라도,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러 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묘사에 의한 프로세스의 예시는 예시된 프로세스 가 그에 대한 다른 변화들 및 수정들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 또는 그의 단계들 중 임의의 것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에 필수적임을 의미하지 않으며, 예시된 프로세스가 바람직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동작 310에서, 프로세서(예: 도 1의 프로세서(120))는 전자 칠판이 켜질 때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칠판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온(on) 되는 상황에서 교사, 과목 및 수업일시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할 수 있다.
동작 320에서, 프로세서(120)는 전자 칠판이 꺼질 때 메모리 상에 사용자 인증에 대한 정보와 함께 판서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전자 칠판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오프(off)되는 상황에서 상기 전자 칠판 상에 사용자 입력에 따른 판서 내용이 존재함에 기반하여 상기 메모리 상에 사용자 인증에 대한 정보와 함께 판서 내용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동작 330에서,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증에 기반하여 메모리(예: 도 1의 메모리(130)) 상에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 인증에 기반하여 이전 수업에서 저장 또는 삭제되지 않은 판서 내용이 존재하는지 상기 메모리 상에서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340에서, 프로세서(120)는 임시 판서 내용이 존재함에 기반하여 보조 칠판 상에 표시하고, 전자 칠판 상에도 표시할 것인지 묻는 가이드를 표시할 수 있다.

Claims (3)

  1.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세서;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을 연동하여 상기 전자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상기 보조 칠판 상에 반영하고, 상기 보조 칠판 상의 사용자 입력을 상기 전자 칠판 상에 반영하며,
    상기 전자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보조 칠판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이 가해진 지점에 대한 좌표 정보를 수신하고,
    판서를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 1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판서를 시작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 상에 판서 내용을 표시하며,
    전자 문서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 2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전자 문서화 작업 모드로 진입하였으며 문서화할 영역을 지정할 것을 요청하는 가이드를 표시하며,
    상기 제 1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판서를 시작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이후 사용자 입력을 터치 신호로 변환하여 터치 신호가 발생된 좌표에 기반하여 판서 내용을 생성하며,
    상기 제 2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판서가 끝나고 전자 문서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이후 사용자 입력을 터치 신호로 변환하여 터치 신호가 발생된 좌표에 기반하여 전자 문서화를 수행할 영역을 결정하고,
    판서를 일시 중단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 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판서가 일시 중단된 것으로 결정하고, 이후 사용자 입력을 터치 신호로 변환하지 않으며,
    판서를 일시 중단하는 것으로 설정된 제 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만을 터치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 3 버튼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면 판서를 다시 시작하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 상의 모든 영역에 대해 사용자 입력을 터치 신호로 변환하고, 터치 신호가 발생된 좌표에 기반하여 판서 내용을 생성하며,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이 작동되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서체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의 서체에 대한 사용자 정보가 수신됨에 기반하여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전자 칠판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온(on) 되는 상황에서 교사, 과목 및 수업일시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을 요청하며,
    상기 전자 칠판의 디스플레이 패널이 오프(off)되는 상황에서 상기 전자 칠판 상에 사용자 입력에 따른 판서 내용이 존재함에 기반하여 상기 메모리 상에 사용자 인증에 대한 정보와 함께 판서 내용을 임시로 저장하며,
    이후 사용자 인증에 기반하여 이전 수업에서 저장 또는 삭제되지 않은 판서 내용이 존재하는지 상기 메모리 상에서 검색을 수행하고,
    상기 메모리 상에서 검색된 임시 판서 내용이 존재함에 기반하여 상기 보조 칠판 상에 표시하고, 상기 전자 칠판 상에도 표시할 것인지 여부를 묻는 가이드를 제공하며,
    문서화할 영역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반하여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 상의 전부 또는 일부 영역에 대한 전자 문서화 작업을 실행하고, 결과물을 출력하는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칠판 및 상기 보조 칠판이 작동되는 상황에서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지문 및 사용자의 서체에 대한 데이터를 획득하여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하고,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지문 또는 사용자의 서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사용자 정보가 수신됨에 기반하여 상기 메모리 상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인증 여부를 결정하는 시스템.

KR1020230072433A 2023-06-05 2023-06-05 상호 연동된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 KR102563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433A KR102563323B1 (ko) 2023-06-05 2023-06-05 상호 연동된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433A KR102563323B1 (ko) 2023-06-05 2023-06-05 상호 연동된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3323B1 true KR102563323B1 (ko) 2023-08-02

Family

ID=8756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433A KR102563323B1 (ko) 2023-06-05 2023-06-05 상호 연동된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3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842B1 (ko) * 2023-10-24 2024-01-19 주식회사 스마트터치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284A (ko) * 2014-06-11 2015-12-2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적 메뉴 표시기능을 가지는 전자칠판 장치
KR20180065181A (ko) * 2016-12-07 2018-06-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기기 기반의 협업 판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88083A (ko) * 2019-01-14 202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67823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플랙스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34774B1 (ko) * 2022-09-02 2023-05-26 (주) 아하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에 따라 능동적으로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자칠판 및 그것의 온오프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284A (ko) * 2014-06-11 2015-12-22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응적 메뉴 표시기능을 가지는 전자칠판 장치
KR20180065181A (ko) * 2016-12-07 2018-06-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기기 기반의 협업 판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88083A (ko) * 2019-01-14 202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10067823A (ko) *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 플랙스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단위영역별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디지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534774B1 (ko) * 2022-09-02 2023-05-26 (주) 아하 디지털 교재의 진도 정보에 따라 능동적으로 온오프를 제어하는 전자칠판 및 그것의 온오프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842B1 (ko) * 2023-10-24 2024-01-19 주식회사 스마트터치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4925B1 (ko) 화면 상에서의 콘텐츠 조작 기법
US8698873B2 (en) Video conferencing with shared drawing
CN107273002B (zh) 手写输入答题方法、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297550B (zh) 一种标注显示方法、装置、投屏设备、终端和存储介质
WO201612140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WO2016117321A1 (en) Electronic information board apparatus and method
US1001315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8881231B2 (en) Automatically performing an action upon a login
KR102563323B1 (ko) 상호 연동된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
CN100579213C (zh) 远程支持装置、远程支持系统和远程支持方法
WO2016121310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electronic whiteboard
US11620414B2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image processing system
CN113950822A (zh) 实体活动表面的虚拟化
WO2019033657A1 (zh) 板书显示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965743B2 (en) Synchronized annotations in fixed digital documents
US9632696B2 (en) Presentation system to facilitate the association of handwriting input by a participant user with a page of a presentation
JP2000259338A (ja) 入力システム、表示システム、プレゼンテ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情報記憶媒体
US9021149B2 (en)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20150138077A1 (en) Display system and display controll device
CN113784045B (zh) 聚焦互动方法、装置、介质和电子设备
US10762344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whiteboard changes as interactive directives for vectorization software
JP2016062607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934297B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JP2019175509A (ja) データ入力装置、データ入力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入力システム
JP2019133559A (ja) データ入力装置、データ入力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入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