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842B1 -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 - Google Patents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842B1
KR102626842B1 KR1020230142550A KR20230142550A KR102626842B1 KR 102626842 B1 KR102626842 B1 KR 102626842B1 KR 1020230142550 A KR1020230142550 A KR 1020230142550A KR 20230142550 A KR20230142550 A KR 20230142550A KR 102626842 B1 KR102626842 B1 KR 102626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ial
electronic whiteboard
landmarks
extracte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2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트터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트터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트터치
Priority to KR1020230142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료 유출 또는 용도를 벗어나는 사용 등의 문제점으로 보안의 필요성의 증대되는 상황에서, 전자칠판의 일부 기능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을 요구하도록 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되, 비용 효율적으로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A user authentication method of electronic board}
본 발명은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자료 유출 또는 용도를 벗어나는 사용 등의 문제점으로 보안의 필요성의 증대되는 상황에서, 전자칠판의 일부 기능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인증을 요구하도록 하여 보안성을 강화하되, 비용 효율적으로 보안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로부터 입력되거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신호/영상데이터를 다양한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그 방식에 따라서 TV, 모니터, 휴대용 미디어 플레이어 등 다양하게 구현된다.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양한 기능이 추가 및 보강되고 있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을 터치하거나 또는 광 빔을 주사 가능한 포인팅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전자칠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칠판은 터치수단(예를 들어, 전자펜, 신체 등)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패널 상에 텍스트, 그림 또는 도형 등을 입력하여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판서 기능을 갖는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칠판은 사용자와 인터렉티브(interactive)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므로 상품 전시, 홍보관, 박물관, 매장, 길안내, 전자 교실 등에 사용되어 점차 사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그 크기도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전자칠판의 상용화가 대두되면서, 마찬가지로 자료 유출 또는 용도를 벗어나는 사용 등의 문제점 등으로 전자칠판의 보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자칠판의 중요한 기능인 쓰고 그리고 지우고의 기능은 누구나 사용할 수가 있어야 하고 쉽게 조작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 인증없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술한 기능 이외에 탐색/실행/복사/전송 등 다양한 기능 등은 접근이 허용된 사용자에 한정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교실에 설치된 전자칠판을 조작하여 성인 컨텐츠를 이용하거나 사행성 게임 등을 하여 본래 칠판의 기능 외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는, 학생들이 선생들이 사용하는 디지털 교안을 불법 복사하여 유출하거나 허락되지 않은 교수 자료를 학생들이 불법 복제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전자칠판의 활용도가 높은 학원의 경우, 막대한 자금을 투자한 교육 컨텐츠를 학원생들이 불법 복제하거나, 각 학원 강사들의 킬러 교안 자료를 불법 복제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전자칠판의 활용도가 높은 기업체의 경우에도, 전자칠판을 이용한 주요 회의에서 사용한 각종 자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고, 나아가 전자칠판을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자칠판의 내구성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인 안면인식 인증방법으로 보안을 강화시키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다. 안면인식 인증방법은 전자칠판 등에 장착된 카메라로 사용자의 안면을 인식하여 정당한 사용자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안면인식 인증방법에는 상대적으로 고가의 인증방법과 저가의 인증방법 등 적용될 수 있는 가격대가 다양하다. 저가의 안면인식 인증방법은 저가이기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으나 그 보안의 정도가 허술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고가의 안면인식 인증방법으로 경우 고가이기에 그 보안성의 정도가 높아질 수 있으나 비용 측면에서 그 적용이 쉽지는 않다. 특히, 전자칠판의 판매가격대를 고려하건대 전자칠판에 고가의 안면인식 인증방법을 적용하기에는 비용 측면에서 그 한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자칠판의 판매가격대를 고려하여 저가의 안면인식 인증방법을 적용하면서 동시에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기술적 특징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 10-2023-0143686 A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전자칠판의 판매가격 대비 저렴한 가격대의 안면인식 인증방법을 적용하면서 동시에 보안성을 높일 수 있는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은, (a) 전자칠판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되어 안면이미지가 생성되는 단계; (b)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안면이미지에서 안면피쳐가 추출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안면피쳐가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안면피쳐에 대응되는지 여부가 상기 전자칠판의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단계; 및 (d)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안면이미지에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다수의 안면랜드마크가 추출되어,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안면이미지 상에 상기 다수의 안면랜드마크가 표현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e)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안면이미지 상에 표현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 중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선택되고, 선택된 상기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에서 선택된 순서대로 순서가 정해진 상태의 안면패턴이 생성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생성된 안면패턴이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안면패턴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상기 전자칠판의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수의 안면피쳐 및 다수의 안면패턴이 기설정되어 있되, 하나의 안면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하나의 안면피쳐와 상기 하나의 안면이미지로부터 생성된 하나의 안면패턴이 한 쌍으로 연관된 방식으로, 상기 기설정된 다수의 안면피쳐 각각에 연관되어 각각의 안면패턴이 기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전자칠판의 제어부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안면피쳐가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안면피쳐에 대응된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d), (e) 및 (f)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전자칠판의 제어부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안면피쳐가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안면피쳐에 대응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f) 단계에서의 기설정된 안면패턴은 상기 (c) 단계에서의 기설정된 안면피쳐가 추출된 특정 안면이미지와 동일한 특정 안면이미지로부터 생성된 안면패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안면피쳐는,
(a-1) 상기 전자칠판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사람의 안면이 촬영되어 안면이미지가 생성되는 단계; 및 (b-1)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a-1) 단계에서 생성된 안면이미지에서 안면피쳐가 추출되며, 상기 추출된 안면피쳐가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기설정되며,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안면패턴은,
(c-1)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a-1) 단계에서 생성된 안면이미지에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가 추출되어,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안면이미지 상에 상기 다수의 안면랜드마크가 표현되는 단계; 및 (d-1)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안면이미지 상에 표현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 중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선택되어 선택되는 순서대로 순서가 정해진 상태의 안면패턴이 생성되고, 생성된 상기 안면패턴이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기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에서 추출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는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다수의 안면이미지마다 그 위치가 서로 다르고, 상기 (c-1) 단계에서 추출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는 상기 (a-1) 단계에서 생성된 다수의 안면이미지마다 그 위치가 서로 다르며,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d) 단계에서 추출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 중에서 선택된 순서대로 상기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선택되면서 상기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연결되어 연결선이 구성된 상태로 안면패턴이 생성되고,
상기 (d-1) 단계에서, 상기 (c-1) 단계에서 추출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 중에서 선택된 순서대로 상기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선택되면서 상기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연결되어 연결선이 구성된 상태로 안면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해결수단으로 인하여, 안면인식 인증방법과 더불어 사용자 개개인의 고유의 안면랜드마크가 활용되어 생성된 안면패턴으로 인증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전자칠판의 판매가격대에 맞는 저가의 안면인식 인증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사용자 개개인의 안면 고유의 특성이 고려되어 생성된 안면패턴으로 인증절차를 거치는 바, 이중 인증절차로 전자칠판의 보안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전자칠판을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계정설정등록에 대한 절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안면이미지에 안면랜드마크가 표현된 상태, 그리고 이러한 안면랜드마크에서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순서대로 선택된 상태로 형성되는 안면패턴이 형성된 상태를 일례로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 도 1을 참조하여 사용자의 계정을 설정등록하는 과정(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안면피쳐 및 안면패턴이 기설정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1-1. 안면이미지가 생성되는 단계
전자칠판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되어 안면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안면이미지가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1-2. 안면이미지로부터 안면피쳐가 추출되는 단계
생성된 안면이미지로부터 안면의 세부 고유한 특징들이 표현된 안면피쳐가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생성된 안면이미지에서 딥러닝 방식으로 안면피쳐가 추출될 수 있다.
추출된 사용자 개개인의 안면피쳐는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전자칠판 사용 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안면피쳐로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전자칠판 사용 권한이 필요한 기능은 모든 기능에 적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전자칠판에 쓰고 그리고 지우고의 기능 등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외한 탐색/실행/복사/전송 등의 기능에 한정될 수 있다.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개개인의 고유의 안면피쳐는, 이후 사용자가 전자칠판에 사용자 인증할 때 비교 대상이 될 수 있다.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개개인의 고유의 안면피쳐를 통한 안면인식 인증방법은 전자칠판의 판매가격 대비하여 비교적 저가로 적용될 수 있는 인증방법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증시 사용자의 안면이미지에서 추출된 안면피쳐와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등록된 사용자의 안면피쳐가 대응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비교적 고가의 안면인식 인증방법보다 그 인증의 정도가 낮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안면인식 인증방법은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저가의 안면인식 인증방법을 구현하는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전자칠판의 판매가격대를 고려하여 충분히 전자칠판에 적용될 수 있는 안면인식 인증방법일 수 있다.
범용적으로 저가로 적용될 수 있는 안면인식 인증방법에 따른 낮은 보안성에 대한 문제는 후술할 안면랜드마크를 통해 생성되는 안면패턴을 통한 이중 인증으로 해결될 수 있다.
1-3. 안면이미지로부터 안면랜드마크가 추출되는 단계
생성된 안면이미지로부터 안면의 특징적인 부분들을 나타내는 다수의 점들로 표현되는 다수의 안면랜드마크가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생성된 안면이미지에서 딥러닝 방식으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가 추출될 수 있고, 추출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가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안면이미지 상에 표현될 수 있다.
다수의 안면랜드마크는 안면이미지 상에서 표현되는 안면에서 특징적인 부분에 표현된 다수의 점들일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는 사용자 개개인의 고유의 안면이미지에서 특징적인 랜드마크들일 수 있다. 일례로, 소정의 프로그램을 통해 눈꼬리, 콧등, 눈썹끝, 턱의 맨하단, 안면윤곽 곳곳 등 사용자 개개인의 고유의 특징적인 부분이 소정의 프로그램을 통해 인식되고, 인식된 사용자 개개인의 고유의 특징적인 부분이 다수의 안면랜드마크들로 추출되어 안면이미지 상에서 표현될 수 있다.
딥러닝 방식으로 안면이미지로부터 다수의 안면랜드마크가 추출되는 경우, 480여 개의 안면에 있는 고유한 특징적인 랜드마크들이 추출될 수 있다. 그러나 후술할 안면패턴을 생성시키기 위해서는 너무 많은 랜드마크들이 불필요한 바, 안면이미지로부터 추출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 중에서 소수 특징적인 몇 개의 안면랜드마크들(이하,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만이 추출되어 표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도 3 및 도 4 참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안면이미지 상에 다수의 안면랜드마크들만이 추출되어 표현되는 경우, 전체적으로 추출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 중에서 사용자 개개인의 고유한 특징에 해당하는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눈꼬리, 콧등, 눈썹끝, 턱의 맨하단, 안면윤곽 곳곳 등)만이 추출되어 표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다른 경우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된 안면이미지에서 추출되어 안면이미지 상에서 표현되는 특징적 안면랜드마크의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만으로 추출되어 표현되는 경우, 그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에 각각의 고유번호가 부여될 수 있는데, 이러한 고유번호는 후술할 안면패턴을 생성시키는데 필요한 구성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이 추출된 안면이미지는 상술한 안면피쳐가 추출된 안면이미지와 동일한 안면이미지일 수 있다. 즉, 어느 한 사용자의 안면이미지에서 하나의 안면피쳐가 추출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다시 그 어느 한 사용자의 안면이미지에서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이 추출될 수 있다. 이렇게 동일한 안면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정 안면피쳐와 특정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은 서로 연관성 있는 안면피쳐와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일 수 있다. 결국, 어느 하나의 안면피쳐에 해당되는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이 생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안면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안면피쳐와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을 통해 생성된 안면패턴은 한 쌍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서로 연관되어 저장될 수 있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어느 한 안면피쳐에는 이에 해당하는 안면패턴이 한 쌍으로 저장된 상태일 수 있다.
1-4. 안면패턴이 생성되는 단계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안면이미지 상에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이 표현된 상태에서,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 중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선택될 수 있되, 선택되는 순서대로 순서가 정해진 상태의 안면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에 부여된 고유번호로서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눈꼬리(고유번호 3), 볼중앙(고유번호 5), 입술끝(고유번호 8), 광대뼈(고유번호 2) 방식으로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에 고유번호가 부여되고, 사용자가 눈끝, 광대뼈, 볼중앙 순서대로 선택한 경우, 안면패턴은 3-2-5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개개인 간의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의 위치가 서로 다르고,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 중에서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선택되어 선택된 순서대도 순서가 정해진 안면패턴이 생성되는 바, 사용자 개개인 고유의 안면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안면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 중에서 선택된 순서대로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선택되면서, 선택된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에 부여된 고유번호들 간의 순서(일례로, 3-2-5)에 해당되는 안면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안면이미지에서 추출된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 중에서 선택된 순서대로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선택되면서, 선택된 순서대로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연결되어 연결선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선으로 구성된 안면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도 4 참조).
생성된 안면패턴은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사용자가 전자칠판 사용시 사용자 인증절차에서 안면패턴이 동일한지 여부에 대한 비교 대상으로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개개인의 고유한 안면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자신의 안면이미지 상에 표현된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사용자의 안면 중 특징적인 부분을 나타내는 안면랜드마크들)을 이용하여, 자신의 안면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특징적인 부분을 선택하거나(일례로, 사용자가 자신하고 있는 눈과 코에 집중하고 싶은 경우 눈과 코에 표현된 안면랜드마크들을 선택하는 방식),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 중 자신만의 독특한 안면 형태를 구성하는 몇몇 안면랜드마크들을 선택할 수 있다(일례로, 눈과 눈썹 등에 집중하고 싶은 경우, 눈과 눈썹에 표현된 안면랜드마크들을 선택하여 눈 주변에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로 안면패턴이 생성되도록 하는 방식).
나아가, 안면패턴이 사용자 개개인마다 서로 다를 수 있어, 보안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 개개인의 안면이미지가 다르기 때문에, 이에 표현되는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도 위치가 다른 상태로 안면이미지 상에 표현될 수 있다(안면패턴 생성시키고자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를 선택하기 전, 안면이미지 상에 표현되는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의 위치가 사용자마다 다르기 때문에, 안면이미지 상에 표현되는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의 전체 형태가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성향에 맞게 사용자 자신만의 독특한 안면패턴을 생성시켜 기설정시킬 수 있는 바, 보안성의 강도가 한층 증대될 수 있다.
결국, 상술한 과정을 거쳐 사용자 개개인의 안면피쳐와 이에 연관된 안면패턴이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기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2. 도 2를 참조하여 사용자 인증방법을 설명한다.
2-1. 안면이미지가 생성되는 단계
사용자가 전자칠판을 사용하고자 사용자 인증절차가 진행되는 경우, 전자칠판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되어 안면이미지가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안면이미지가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2-2. 안면이미지로부터 안면피쳐가 추출되는 단계
생성된 안면이미지로부터 안면의 세부 고유한 특징들이 표현된 안면피쳐가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일례로, 생성된 안면이미지에서 딥러닝 방식으로 안면피쳐가 추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 개개인의 고유의 안면피쳐를 통한 안면인식 인증방법은 전자칠판의 판매가격 대비하여 비교적 저가로 적용될 수 있는 인증방법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인증시 사용자의 안면이미지에서 추출된 안면피쳐와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등록된 사용자의 안면피쳐가 대응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비교적 고가의 안면인식 인증방법보다 그 인증의 정도가 낮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안면인식 인증방법은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저가의 안면인식 인증방법을 구현하는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전자칠판의 판매가격대를 고려하여 충분히 전자칠판에 적용될 수 있는 안면인식 인증방법일 수 있다.
범용적으로 저가로 적용될 수 있는 안면인식 인증방법에 따른 낮은 보안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후술한 안면패턴을 통한 이중 인증절차가 진행될 수 있다.
2-3. 추출된 안면피쳐가 기설정된 안면피쳐에 대응되는지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추출된 사용자 개개인의 안면피쳐가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기설정된 다수의 안면피쳐 중 어느 하나의 안면피쳐에 대응되는지 전자칠판의 제어부에서 판단될 수 있다. 안면피쳐 대응여부는 안면피쳐가 비교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면 어떠한 프로그램도 가능하다. 일례로, 임베디디 디바이스인 ghostfacenet일 수 있다.
안면피쳐는 카메라로 촬영된 안면이미지로부터 생성된 것으로, 동일한 사용자일지라도 계정설정등록할 때의 안면이미지와 전자칠판 사용시 촬영된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기설정된 안면피쳐와 대응되는지 여부는 완전한 일치보다는 안면피쳐 간의 일치가 일정 이상 정도(일례로, 95% 이상이면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이면 서로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안면피쳐가 기설정된 안면피쳐에 대응된다고 전자칠판의 제어부에서 판단되는 경우, 그 안면이미지로부터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이 추출되어 그 안면이미지 상에 표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안면피쳐가 기설정된 안면피쳐에 대응되지 않는다고 전자칠판의 제어부에서 판단되는 경우, 다시 안면이미지가 촬영되는 등 처음 단계로 되돌아 갈 수 있다.
2-4.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로부터 안면랜드마크가 추출되는 단계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로부터 추출된 안면피쳐가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어느 하나의 안면피쳐에 대응된다고 전자칠판의 제어부에서 판단된 경우, 촬영되어 생성된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로부터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이 추출되어, 생성된 안면이미지 상에 표현될 수 있다.
소정의 프로그램을 통해 안면이미지로부터 사용자 개개인의 고유한 특징적 부분이 인식되고, 인식된 사용자 개개인의 고유의 특징적인 부분이 다수의 안면랜드마크들로 추출되어 안면이미지 상에서 표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징적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 각각에 고유번호가 부여된 상태일 수 있다.
기타 안면이미지로부터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이 추출되는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1-3 단계의 설명에 따른다.
2-5. 안면패턴이 생성되는 단계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안면이미지 상에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이 표현된 상태에서,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 중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선택될 수 있되, 선택되는 순서대로 순서가 정해진 상태의 안면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자신 안면이미지 상에 표현된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을 보고, 사용자 자신이 이전에 기설정하였던 안면패턴과 동일한 안면패턴을 생성시키는 단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안면패턴은 선택된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에 부여된 고유번호들 간의 순서(일례로, 3-2-5)에 해당되는 안면패턴일 수 있거나, 선택된 순서대로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연결되어 연결선을 구성된 안면패턴일 수 있다(도 4 참조).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로부터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이 생성될 때, 사용자 안면에서 특징적인 부분이 소정의 프로그램(안면랜드마크 생성 프로그램)에 의해 인식된 상태에서, 고유번호가 부여된 상태의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이 안면이미지 상에 표현될 수 있다.
안면패턴을 기설정하는 과정 중에 어느 특징적 부분(일례로, 눈꼬리)이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인식되고 특정 고유번호(일례로, 3)를 부여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절차 과정에서도 사용자의 안면이미지로부터 소정의 프로그램을 통해 어느 특징적 부분(일례로, 눈꼬리)이 인식되면, 이에 해당하는 고유번호(일례로, 안면이미지에서 눈꼬리로 인식되었는 바, 눈꼬리에 해당되는 고유번호 3이 부여되는 방식)가 부여될 수 있다.
안면패턴은 이러한 방식으로 부여된 고유번호에서,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순서대로 순서가 정해진 패턴일 수 있다.
기타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로부터 안면패턴이 생성되는 기술적 특징은 상술한 1-4 단계의 설명에 따른다.
2-6. 생성된 안면패턴이 기설정된 안면패턴에 해당되는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사용자가 자신의 안면이미지 상에 표현된 특징적 안면랜드마크들 중에서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를 선택하여 생성된 안면패턴이,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안면패턴에 해당하는지 전자칠판의 제어부에 의해 판단된다.
여기에서의 기설정된 안면패턴은, 안면피쳐 인증시 인증된 사용자의 기설정된 안면피쳐에 해당되는 기설정된 안면패턴으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안면피쳐에 연관되어 저장된 안면피쳐이다. 즉, 사용자가 계정설정시 자신의 안면피쳐를 기설정하면서, 안면피쳐 기설정한 이후 기설정한 자신의 안면패턴이다.
사용자의 안면패턴이 기설정된 사용자의 안면패턴에 해당되는 경우,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며, 그렇치 않는 경우 다시 안면패턴 생성 단계로 되돌아 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자칠판의 사용에 대한 사용자 인증시, 안면피쳐로서 1차적 인증절차를 거치고(안면인식 인증방법), 안면피쳐가 인증된 경우 그 안면피쳐에 해당되는 안면패턴이 인증되어야 최종적으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되는 바, 전자칠판의 판매가격 대비 적정 수준의 범용적인 안면인식 인증방법을 적용하더라도, 안면패턴 인증을 통한 이중 인증절차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높은 보안성과 더불어 비용 효율적으로 전자칠판의 사용자 인증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a) 전자칠판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사용자의 안면이 촬영되어 안면이미지가 생성되는 단계;
    (b)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안면이미지에서 안면피쳐가 추출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안면피쳐가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안면피쳐에 대응되는지 여부가 상기 전자칠판의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단계;
    (d)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안면이미지에서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다수의 안면랜드마크가 추출되어,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안면이미지 상에 상기 다수의 안면랜드마크가 표현되는 단계;
    (e)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안면이미지 상에 표현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 중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선택되고, 선택된 상기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에서 선택된 순서대로 순서가 정해진 상태의 안면패턴이 생성되는 단계; 및
    (f) 상기 (e) 단계에서 생성된 안면패턴이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안면패턴에 해당되는지 여부가 상기 전자칠판의 제어부에 의해 판단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수의 안면피쳐 및 다수의 안면패턴이 기설정되어 있되, 하나의 안면이미지로부터 추출된 하나의 안면피쳐와 상기 하나의 안면이미지로부터 생성된 하나의 안면패턴이 한 쌍으로 연관된 방식으로, 상기 기설정된 다수의 안면피쳐 각각에 연관되어 각각의 안면패턴이 기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전자칠판의 제어부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안면피쳐가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안면피쳐에 대응된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d), (e) 및 (f) 단계가 진행되며,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전자칠판의 제어부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추출된 안면피쳐가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안면피쳐에 대응된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f) 단계에서의 기설정된 안면패턴은 상기 (c) 단계에서의 기설정된 안면피쳐가 추출된 특정 안면이미지와 동일한 특정 안면이미지로부터 생성된 안면패턴인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안면피쳐는,
    (a-1) 상기 전자칠판에 장착된 카메라에 의해 사람의 안면이 촬영되어 안면이미지가 생성되는 단계; 및
    (b-1)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a-1) 단계에서 생성된 안면이미지에서 안면피쳐가 추출되며, 상기 추출된 안면피쳐가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기설정되며,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설정된 안면패턴은,
    (c-1)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a-1) 단계에서 생성된 안면이미지에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가 추출되어,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안면이미지 상에 상기 다수의 안면랜드마크가 표현되는 단계; 및
    (d-1) 상기 전자칠판의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 안면이미지 상에 표현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 중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선택되어 선택되는 순서대로 순서가 정해진 상태의 안면패턴이 생성되고, 생성된 상기 안면패턴이 상기 전자칠판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기설정되는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추출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는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다수의 안면이미지마다 그 위치가 서로 다르고, 상기 (c-1) 단계에서 추출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는 상기 (a-1) 단계에서 생성된 다수의 안면이미지마다 그 위치가 서로 다르며,
    상기 (e) 단계에서, 상기 (d) 단계에서 추출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 중에서 선택된 순서대로 상기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선택되면서 상기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연결되어 연결선이 구성된 상태로 안면패턴이 생성되고,
    상기 (d-1) 단계에서, 상기 (c-1) 단계에서 추출된 다수의 안면랜드마크 중에서 선택된 순서대로 상기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선택되면서 상기 2개 이상의 안면랜드마크가 연결되어 연결선이 구성된 상태로 안면패턴이 생성되는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
KR1020230142550A 2023-10-24 2023-10-24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 KR102626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2550A KR102626842B1 (ko) 2023-10-24 2023-10-24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2550A KR102626842B1 (ko) 2023-10-24 2023-10-24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842B1 true KR102626842B1 (ko) 2024-01-19

Family

ID=8971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2550A KR102626842B1 (ko) 2023-10-24 2023-10-24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68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3832A (ko) * 2007-06-26 2008-12-31 (주)이에스비 액정표시장치상의 특정 패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내장하여위치를 판독하는 전자펜과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KR20150087959A (ko) * 2014-01-23 2015-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563323B1 (ko) * 2023-06-05 2023-08-02 최일한 상호 연동된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13832A (ko) * 2007-06-26 2008-12-31 (주)이에스비 액정표시장치상의 특정 패턴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내장하여위치를 판독하는 전자펜과 이를 이용한 전자칠판
KR20150087959A (ko) * 2014-01-23 2015-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563323B1 (ko) * 2023-06-05 2023-08-02 최일한 상호 연동된 전자칠판 및 보조칠판을 활용한 필기 인식 기반 정보 송수신 및 표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26437A1 (en) Video presentation, digital compositing, and streaming techniques implemented via a computer network
CN106128212B (zh) 基于增强现实技术的书法学习系统及方法
US8358320B2 (en) Interactive transcription system and method
KR102112959B1 (ko) 증강 현실과 가상 현실을 이용한 시험지 처리 시스템 및 그 처리 방법
Ullah et al. Profile based student authentication in online examination
US11429707B1 (e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ignatures
CN106683506A (zh) 一种用于网络教学平台的音视频交互系统
CN105931506A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儿童涂色系统及其显示方法
Dumas et al. Myidea-multimodal biometrics database, description of acquisition protocols
KR20190125597A (ko) 홍채인식형 hmd를 이용한 강의 시스템
US2009024896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and using virtual flash cards
CN113950822A (zh) 实体活动表面的虚拟化
Winkler et al. SurfacePhone: a mobile projection device for single-and multiuser everywhere tabletop interaction
McMenemy et al. A hitchhiker's guide to virtual reality
Sun et al. Mr. Piano: a portable piano tutoring system
KR101700317B1 (ko) 도트 코드 기반의 필기 인식 전자펜을 이용한 교육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26842B1 (ko) 전자칠판 사용자 인증방법
Laviole et al. Nectar: Multi-user spatial augmented reality for everyone: three live demonstrations of educative applications
CN105549208A (zh) 一种具有360度裸眼3d效果的数字化名片及其制作方法
Goretti et al. A phygital approach to playful experience in learning process for kids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CN108205946A (zh) 一种基于增强现实的钢琴教学方法、设备及钢琴
Labayen et al. Smowl: a tool for continuous student validation based on face recognition for online learning
AU2021102093A4 (en) A virtual reality (vr) simulation training system
Akazawa et al. A learning support system for 9× 9 multiplication table with Kinect
Farshchi et al. A safe authentication system for distance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