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060A -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060A
KR20180035060A KR1020160125060A KR20160125060A KR20180035060A KR 20180035060 A KR20180035060 A KR 20180035060A KR 1020160125060 A KR1020160125060 A KR 1020160125060A KR 20160125060 A KR20160125060 A KR 20160125060A KR 20180035060 A KR20180035060 A KR 20180035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ice
heating
inner pot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667B1 (ko
Inventor
이미영
민윤경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60125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6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5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전기 압력 밥솥을 이용한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은, 쌀과 물을 넣은 내솥의 하부온도를 50℃ 이하의 임의의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한 후 불림시간 동안 유지하는 불림 단계; 상기 하부온도가 140℃ 이상의 임의의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하는 가열 단계; 상기 하부온도가 임의의 시간 동안 110℃ 이상의 임의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뜸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METHOD FOR COOKING RICE USING ELECTRIC PRESSURE RICE COOKER AS IF RICE IS COOKED USING IRON POT}
본 발명은 전기 압력 밥솥의 취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압력 밥솥을 이용하여 가마솥 밥맛을 구현하는 취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급되어 사용되는 전기 압력 밥솥의 취사 방법은, 내솥에 쌀과 물을 넣고 뚜껑을 닫은 후 시작 버튼이 조작되면, 증기 배출 밸브를 폐쇄한 상태에서 내솥을 가열하여 내솥 내부의 압력을 상승시키는 단계와, 내솥 내부 압력이 상승한 상태에서 계속 가열하여 쌀을 익히는 단계와, 쌀이 익은 시점에서 가열을 종료하고 뜸을 들이는 단계와, 뜸이 완료되면 증기 배출 밸브를 일정 시간 동안 개방하여 내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단계와, 이후의 보온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동작하는 일반적인 전기 압력 밥솥은, 내솥 내부의 압력을 높여 취사를 수행하여 밥알의 퍼짐이 적으면서 찰기와 끈기가 많은 찰진밥을 만들도록 설계되어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특별한 밥맛의 밥을 취사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무쇠 가마솥으로 밥을 지은듯한 가마솥 밥맛을 전기 압력 밥솥을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기 압력 밥솥을 이용한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은, 쌀과 물을 넣은 내솥의 하부온도를 140℃ 이상의 임의의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하는 가열 단계; 및 상기 하부온도가 임의의 시간 동안 110℃ 이상의 임의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뜸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열 단계의 이전에, 쌀과 물을 넣은 상기 내솥의 상기 하부온도를 50℃ 이하의 임의의 온도로 소정의 불림시간 동안 유지하는 불림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가열 단계는, 상기 히터를 임의의 출력으로 동작시키면서, 상기 하부온도가 특정 온도 구간을 통과하고 또한 상기 내솥의 상부에서 감지되는 증기에 의한 상부온도가 특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내솥에 담긴 쌀과 물의 취사분량을 판정하는 취사분량판정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단계는, 판정된 상기 취사분량에 대응하여 가열출력, 제어시간, 및 제어온도가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 단계는, 상기 취사분량판정 공정을 수행한 후, 상기 내솥을 최대허용출력의 80~100%에 해당하는 출력으로 가열하는 가열2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뜸 단계는, 5~10분의 임의의 시간 동안 상기 하부온도를 120℃ 이상의 임의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압력 밥솥을 이용하여 무쇠 가마솥으로 지은듯한 가마솥 밥맛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 밥맛 구현 취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 밥맛 구현 취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그 기능을 고려하여 예시적으로 명명된 것이므로, 용어 자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예측하고 한정하여 이해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취사하고자 하는 가마솥밥이라는 것은, 예를 들면 무쇠로 만든 가마솥을 이용하여 지을 수 있는 밥으로서, 기존의 압력밥솥으로 지은 밥에 비하여 찰기는 약간 떨어지지만, 얇은 눌음이 있으며 밥알이 탱글탱글하고 윤기가 있는 상태의 밥을 말한다.
가마솥으로 밥을 짓게 되면, 무쇠의 비교적 빠른 열전도율에 의하여 가열하는 열이 빠르게 쌀과 물에 전달된다. 또한, 무쇠는 열을 어느 정도 함유하고 서서히 방출하는 특성도 있다. 한편, 무쇠 가마솥으로 밥을 지을 때는, 장작불과 같이 강한 화력으로 가열하는 방식을 구현해야 한다.
따라서, 전기 압력 밥솥을 이용하여 가마솥밥맛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가열 단계에서는 강한 열을 빠르게 인가하여야 하고, 약간의 눌음도 발생시켜야 하며, 가열 단계가 중단되면 열을 빠르게 낮추어야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 밥맛 구현 취사 방법은 불림 단계, 가열 단계 및 뜸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단계는 취사분량판정 공정과 가열1 공정과 지연 공정과 가열2 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뜸 단계의 이후에는, 증기배출 단계와 취사완료 및 보온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쌀과 물을 내솥에 담고, 내솥을 밥솥 본체에 안착시키고, 내솥과 본체를 덮는 뚜껑을 덮고, 잠금 수단을 작동시켜 뚜껑을 잠그고, 조작 수단을 조작하여 가마솥밥 취사 기능을 입력한다.
이때, 전기 압력 밥솥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은 증기배출 밸브를 폐쇄하여 내솥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여 밀폐시키게 된다. 이후로는 증기배출 밸브가 폐쇄된 밀폐 상태에서 가마솥밥맛을 구현하기 위한 각 단계 및 공정이 수행된다.
여기서, 증기배출 밸브는 솔레노이드와 같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서 내솥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킴으로써, 내솥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하기 위한 수단이다.
전기 압력 밥솥은, 증기배출 밸브와는 별도로, 무게추에 의해 증기를 차단하거나 배출하는 배출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증기배출 밸브는 무게추를 강제로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증기배출 단계에서 마이컴의 제어에 의해 무게추가 들어올려짐으로써 증기가 배출될 수도 있다.
전기 압력 밥솥의 마이컴은, 가마솥 밥맛 취사 기능이 입력되면, 내솥의 하부에서 감지되는 온도(하부온도)와, 내솥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뚜껑에서 감지되는 온도(상부온도)와, 내솥을 가열하기 위해 배치된 히터에 인가되는 전력량 또는 히터에 의한 가열 동작에 의해 내솥으로 인가되는 열량 또는 전력의 출력량과, 타이머에 의해 측정되는 시간에 근거하여 가마솥 밥맛 취사를 수행하게 된다.
가장 먼저 수행되는 절차는 불림 단계이다(불림 단계는 필요에 따라서, 예를 들면, 쾌속 가마솥 밥맛 취사 등의 경우에는 생략될 수도 있다).
불림 단계는 쌀알에 수분을 충분히 침투시키기 위한 과정으로서, 히터를 임의의 미리설정된 출력으로 동작시켜서 하부온도가 임의의 불림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하고, 소정의 불림시간 동안 히터를 적절한 출력량으로 일정하게 동작시키거나 또는 온/오프시켜서 상기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불림 단계에서의 가열 출력은 강불1출력일 수 있으며, 이는 전기 압력 밥솥의 히터에서 출력할 수 있는 최대 허용 출력의 80~100%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00%이다.
또한, 불림온도는 50℃ 이하의 임의의 온도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45℃이다. 일반적인 전기 압력 밥솥은, 불림온도를 60~65℃의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수행하고 있는데, 본 발명에 따라 가마솥 밥맛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45℃ 근방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불림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불림시간은 7~12분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9분이다.
미리설정된 불림시간 동안 불림 단계가 수행되었으면, 가열 출력을 상승시켜 내솥을 고온으로 가열하는 가열 단계가 수행된다. 가열 단계는, 취사분량판정 공정과 가열1 공정과 지연 공정과 가열2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취사분량판정 공정은, 히터를 미리정해진 방식에 의해 출력을 조정하거나 일정한 출력(즉, 강불2출력)으로 동작시키고, 감지되는 하부온도가 특정의 온도 구간을 통과하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강불2출력은 전기 압력 밥솥의 최대허용출력의 80~100%의 출력으로 히터를 동작시키는 상태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100%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가열 출력은, 히터에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제어하는 방식,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PWM 제어하거나, 듀티 제어하거나, 사인파형의 전압에서 각 파형을 PWM 제어하는 방식 등의, 임의의 방식으로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취사분량판정 공정에서 강불2출력으로 내솥을 가열할 때, 내솥이 가열되어 하부온도가 제3온도를 통과하여 제4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즉, 제3온도와 제4온도 사이의 온도 구간을 통과하는 시간)이 측정될 수 있으며, 이 시간에 근거하여 내솥에 담겨진 쌀과 물의 분량, 즉 몇인분의 밥에 해당하는지 판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간은, 하부온도가 제3온도를 통과하여, 제4온도에 도달하고 및 내솥의 상부 또는 뚜껑의 내부(내솥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서 감지되는 상부온도(또는, 제2온도)가 특정 온도 예를 들면 40~55℃ 사이의 임의의 온도에 도달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이렇게 시간 측정의 종료 시점을 2가지 조건의 교집합으로 설정함으로써 더욱 정확한 취사분량 판정이 가능하다.
또다른 취사분량 판정 방법으로는, 정해진 시간 동안 임의의 출력으로 히터를 동작시킨 후 발생한 온도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도 고려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온도는 예를 들면, 60~70℃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5℃일 수 있다. 또한, 제4온도는 예를 들면, 110~120℃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15℃일 수 있다.
판정되는 취사분량은 인분수로 판정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2인분, 4인분, 6인분, 8인분, 10인분 중 하나로 판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정된 인분수에 따라서, 이후의 각 세부 단계에서 가열출력, 시간, 하부온도 기준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인분수가 높아질수록, 가열출력을 높이거나, 가열하는 시간 또는 대기하는 시간을 늘리거나, 하부온도 기준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취사분량판정 공정에서 하부온도가 제4온도에 도달하여 분량판정이 완료되면, 마이컴은 판정된 인분수에 대응하는 출력으로 내솥을 가열하여 이어지는 가열1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가열1 단계는, 밥솥의 최대허용출력의 80~100% 범위의 강불3출력으로 히터를 동작시킴으로써 빠른 속도로 내솥을 가열한다. 가열1 단계는 하부온도가 115~130℃ 범위의 제5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된다.
여기서, 강불3출력은 가마솥의 열전도율에 의해 가열에 의해 인가된 열을 내부의 쌀과 물에 빠르게 전도하는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최대허용출력에 근접한 높은 출력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하부온도가 제5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제5온도 또는 제5온도로부터 일정 범위 낮은 온도를 지연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지연 공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지연 공정에서는, 히터를 정지상태로 유지하여 자연적으로 식힐 수 있다. 또는, 임의의 출력으로 히터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여, 하부온도(즉, 제5온도일 수 있음)를 서서히 하강시키거나 필요한 경우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연시간은 1~5분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2분일 수 있다.
지연시간 동안 지연 공정이 수행되었으면, 내솥을 다시 강하게 가열하는 가열2 공정을 수행한다. 가열2 공정은, 히터를 최대허용출력의 65~90% 범위의 강불4출력으로 동작시키고, 이로써 하부온도를 급격히 상승시킨다.
가열2 공정은 상승하는 하부온도가 제6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수행된다. 제6온도는 140℃ 이상의 임의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0~175℃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제6온도는, 가열1 단계의 제어온도인 제5온도에 비하여 또는 지연 공정의 종료시점에서 측정된 하부온도에 비하여, 25~35℃ 범위의 온도차를 갖는 높은 온도로 선택될 수 있다. 즉, 추가로 가열할 때 강한 출력으로 큰 온도차가 발생하게 함으로써, 가마솥의 급격히 가열되면서 고온으로 가열되는 특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지연 공정을 추가하고 가열 단계를 가열1 공정과 가열2 공정으로 구분함으로써, 가마솥으로 밥을 지을 때, 2회에 나누어 불을 지피는 효과, 즉 잦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밥물을 효과적으로 잦아들게 하여 가마솥 밥맛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하부온도가 제6온도에 도달하면, 미리설정된 뜸시간 동안 내솥을 식히는 뜸 단계가 수행된다. 실제의 가마솥은 가열이 중단되면 비교적 빨리 식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마이컴은, 히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거나, 최대허용출력의 0~10% 범위의 약불1출력으로 히터를 동작시켜 내솥의 하부온도를 낮춘다.
뜸 단계를 수행하는 시간은 7~12분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10분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가마솥 밥맛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뜸 단계에서 미리설정된 임의의 시간 동안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5~10분 범위의 임의의 시간 동안 내솥의 하부온도를 110℃ 이상의 임의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분 동안 120℃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시간 동안 뜸 단계가 수행되었으면, 증기배출 밸브를 개방하여 내솥 내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증기배출 단계가 이어질 수 있다.
증기배출 단계는 4~6분 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증기배출 시간을 비교적 길게 유지함으로써, 대기하는 시간을 부여하여 취사가 완료된 후 가마솥 밥의 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눌음 상태가 향상되고, 취사된 밥에 남은 약간의 물기가 바닥쪽으로 이동하여 바닥에 눌어붙은 밥알도 말랑말랑한 식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뜸 단계의 시작 온도(또는, 가열2 공정의 제어 온도)인 제6온도로부터 증기배출 단계를 완료하는 시점(또는, 취사완료로 판정되는 시점)까지의 하부온도의 온도차는 45~55℃ 범위로 크게 되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온도가 빠르게 식는 가마솥의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증기배출 단계가 완료되면, 마이컴은 가마솥밥맛 취사를 완료하고, 사용자에게 취사가 완료되었음을 안내하고, 보온 단계로 전환된다. 보온 단계에서는 임의의 출력으로 취사된 밥을 가열하여 임의의 온도로 보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보여준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마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인 바,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전기 압력 밥솥을 이용한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으로서:
    쌀과 물을 넣은 내솥의 하부온도를 140℃ 이상의 임의의 온도가 될 때까지 가열하는 가열 단계;
    상기 하부온도가 임의의 시간 동안 110℃ 이상의 임의의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뜸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의 이전에, 쌀과 물을 넣은 상기 내솥의 상기 하부온도를 50℃ 이하의 임의의 온도로 소정의 불림시간 동안 유지하는 불림 단계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는,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히터를 임의의 출력으로 동작시키면서, 상기 하부온도가 특정 온도 구간을 통과하고 또한 상기 내솥의 상부에서 감지되는 증기에 의한 상부온도가 특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에 근거하여 상기 내솥에 담긴 쌀과 물의 취사분량을 판정하는 취사분량판정 공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각 단계는, 판정된 상기 취사분량에 대응하여 가열출력, 제어시간, 및 제어온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단계는,
    상기 취사분량판정 공정을 수행한 후, 상기 내솥을 최대허용출력의 80~100%에 해당하는 출력으로 가열하는 가열2 공정을 더 포함하는,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뜸 단계는, 5~10분의 임의의 시간 동안 상기 하부온도를 120℃ 이상의 임의의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
KR1020160125060A 2016-09-28 2016-09-28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 KR101879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60A KR101879667B1 (ko) 2016-09-28 2016-09-28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60A KR101879667B1 (ko) 2016-09-28 2016-09-28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60A true KR20180035060A (ko) 2018-04-05
KR101879667B1 KR101879667B1 (ko) 2018-07-19

Family

ID=6197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060A KR101879667B1 (ko) 2016-09-28 2016-09-28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6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875A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전기 보온밥솥의 누룽지 취사 공정 제어방법
KR19980068431A (ko) * 1997-02-19 1998-10-15 김광호 전기압력밥솥의 취사제어방법
KR100716448B1 (ko) * 2006-01-04 2007-05-10 웅진쿠첸 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밥맛 조절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875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라디에이터
KR100725229B1 (ko) * 2000-10-17 2007-06-04 주식회사 부방테크론 전기 압력밥솥의 취사공정 제어방법
KR101126277B1 (ko) * 2009-12-29 2012-03-19 주식회사 리홈 전기 밥솥의 연속 취사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3875A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전기 보온밥솥의 누룽지 취사 공정 제어방법
KR19980068431A (ko) * 1997-02-19 1998-10-15 김광호 전기압력밥솥의 취사제어방법
KR100716448B1 (ko) * 2006-01-04 2007-05-10 웅진쿠첸 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밥맛 조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667B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67312B (zh) 用于烹饪器具的煮粥控制方法及烹饪器具
CN108402891A (zh) 一种食物烹饪方法及其烹饪器具
DK2537418T3 (en) A process for preparing a food by means of steam
KR101943392B1 (ko) 전기 압력 밥솥의 돌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
CN103637028B (zh) 电蒸锅及其烹饪方法
CN106551630A (zh) 烹饪器具及其上盖、烹饪器具的焖烧控制方法
KR100997758B1 (ko) 전기압력밥솥
CN108338670B (zh) 压力烹饪器具及其控制装置和方法
KR101879667B1 (ko) 전기 압력 밥솥의 가마솥밥맛 구현 취사 방법
JP6341080B2 (ja) 電気炊飯器
KR101617301B1 (ko) 전기 압력 밥솥의 죽 조리 방법
JP2014223140A (ja) 炊飯器および炊飯制御方法
JP2006314356A (ja) 蒸し調理機能付き炊飯器
JP2015217056A (ja) 炊飯器
CN107224191A (zh) 一种自动保温的电饭锅及其保温控制方法
JP4107149B2 (ja) 炊飯器
KR102433974B1 (ko) 전기 밥솥의 취사방법
CN107536460A (zh) 烹饪器具和用于烹饪器具的加热控制方法
CN108926223A (zh) 电饭煲及其焖饭控制方法
KR102389578B1 (ko) 전기 압력밥솥
KR101594311B1 (ko) 전기 압력 조리기
CN108266762A (zh) 一种带红外测温装置的微波炉
JP2009165852A (ja) 圧力式自動餃子焼機及び餃子調理方法
JP2003135284A (ja) サツマイモ等食品加熱調理保温装置
KR102530770B1 (ko) 취반기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