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044A -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044A
KR20180035044A KR1020160125026A KR20160125026A KR20180035044A KR 20180035044 A KR20180035044 A KR 20180035044A KR 1020160125026 A KR1020160125026 A KR 1020160125026A KR 20160125026 A KR20160125026 A KR 20160125026A KR 20180035044 A KR20180035044 A KR 20180035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vehicle
driving mode
processor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009B1 (ko
Inventor
김성환
노은경
한민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009B1/ko
Priority to EP17178016.6A priority patent/EP3300979B1/en
Priority to US15/663,227 priority patent/US10606268B2/en
Priority to CN201710740649.0A priority patent/CN107867296B/zh
Publication of KR20180035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082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es of prope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0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driver
    • B60K35/8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r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for ensuring comfort, stability and safety or drive control systems for propelling or retard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098Details of control systems ensuring comfort, safety or stabilit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0Interpretation of driver requests or dem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1Handover processes from occupants to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5Handover processes
    • B60W60/0059Estimation of the risk associated with autonomous or manual driving, e.g. situation too complex, sensor failure or driver incapacit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 G05D1/024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in combination with a las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46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a video camera in combination with image processing mea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or al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automatic pilot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6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 G05D1/027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internal positioning means comprising intertial navigation means, e.g. azimut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098Interfacing with an on-board device of a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B60K2360/563
    • B60K2360/566
    • B60K2360/569
    • B60K2360/5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04In digital systems, e.g. discrete-time systems involving sampling
    • B60W2050/0005Processor details or data handling, e.g. memory registers or chip archite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63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64Manual parameter input, manual setting means, manual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using a remote, e.g. cordless, transmitter or receiver unit, e.g. remote keypad or mobile ph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Switching between manual and automatic parameter input, and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5Automatic parameter input, automatic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5Automatic parameter input, automatic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95Automatic control mode ch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or light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2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045Occupant permis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15Selection or confirmation of op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1Physiology, e.g. weight, heartbeat, health or special ne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25Direction of ga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6/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data
    • B60W2556/45External transmission of data to or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4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이동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탑승하는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치이다. 대표적으로 자동차를 예를 들 수 있다.
한편, 차량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각종 센서와 전자 장치 등이 구비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용자의 운전 편의를 위해 차량 운전자 보조 시스템(ADAS :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나아가, 자율 주행 자동차(Autonomous Vehicle)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차량에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을 할 때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에는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토록 하는 전조등, 브레이크를 밟을 때 점등되는 브레이크등, 우회전 또는 좌회전 시 사용되는 방향지시등과 같이 램프를 이용하여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차량의 전방 및 후방에는 자기 차량이 외부에서 용이하기 인식될 수 있도록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기 등이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ADAS(Advanced Driving Assist System)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짐에 따라, 차량 운행에 있어서 사용자 편의와 안전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대한 일환으로, 이동 단말기와 차량 간의 다양한 UI/UX(User Interface/User Experience)에 대한 기술개발과, 차량이 운전자의 조작 없이 스스로 주행하는 자율주행에 대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차량이 자율주행을 수행하는 자율주행모드와 운전자의 조작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수동주행모드 사이의 전환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제어방법 및 UI/UX에 대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최적화된 방법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차량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최적화된 방법으로 차량의 주행모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는, 이동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운전자의 시선을 센싱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운전자의 시선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센싱된 상기 운전자의 시선이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일정시간 이상 응시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의 시선이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일정시간 이하로 응시하는 경우,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 항목이 출력되고, 상기 복수의 메뉴 항목 각각은 기 설정된 뎁스(depth)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일정뎁스 이상을 갖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자율주행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자율주행모드를 상기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일정각도이상 기울어지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기울어지는 것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기울어지는 시점에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상기 기 설정된 기능의 실행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중인 화면정보를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제1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키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제1 종류와 다른 제2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제2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더라도, 상기 이동 단말기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된 이벤트가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가해지더라도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차량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차량 사이의 유선 연결이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기 설정된 움직임으로 움직여지는 것에 감지되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이동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계 및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주행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와 차량 간의 새로운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차량 주행중 운전자가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여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a, 도 10b, 도 10c,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2a, 도 12b, 도 13a, 도 13b, 도 13c, 도 14a, 도 14b, 도 15 및 도 16은 도 9에서 살펴본 제어방법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자동차, 오토바이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차량에 대해 자동차를 위주로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외부의 다양한 각도에서 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브젝트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 차량(10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조향 입력 장치(51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자율 주행 차량일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자율 주행 모드 또는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주행 상황 정보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제공된 오브젝트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서 생성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차량(10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수신되는 주행 상황 정보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외부 디바이스에서 제공되는 정보,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메뉴얼 모드에서 자율 주행 모드로 전환되거나, 자율 주행 모드에서 메뉴얼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차량(100)이 자율 주행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행 시스템(700)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율 주행 차량(1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주차 시스템(750)에서 생성되는 정보, 데이터 또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차량(100)이 메뉴얼 모드로 운행되는 경우, 자율 주행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차량(100)은 운행될 수 있다.
전장(overall length)은 차량(100)의 앞부분에서 뒷부분까지의 길이, 전폭(width)은 차량(100)의 너비, 전고(height)는 바퀴 하부에서 루프까지의 길이를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전장 방향(L)은 차량(100)의 전장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폭 방향(W)은 차량(100)의 전폭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 전고 방향(H)은 차량(100)의 전고 측정의 기준이 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운전 조작 장치(500), 차량 구동 장치(600), 운행 시스템(700), 내비게이션 시스템(770), 센싱부(120), 인터페이스부(130), 메모리(140), 제어부(17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100)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과 사용자와의 소통을 위한 장치이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에게 차량(100)에서 생성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통해, UI(User Interfaces) 또는 UX(User Experience)를 구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입력부(210), 내부 카메라(220), 생체 감지부(230), 출력부(250) 및 프로세서(2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입력부(20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데이터는, 프로세서(270)에 의해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 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00)는,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일 영역, 시트(seat)의 일 영역, 각 필러(pillar)의 일 영역, 도어(door)의 일 영역, 센타 콘솔(center console)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head lining)의 일 영역, 썬바이저(sun visor)의 일 영역, 윈드 쉴드(windshield)의 일 영역 또는 윈도우(window)의 일 영역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200)는, 음성 입력부(211), 제스쳐 입력부(212), 터치 입력부(213) 및 기계식 입력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11)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 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스쳐 입력부(212)는,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스쳐 입력부(212)는, 복수의 적외선 광을 출력하는 광출력부 또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스쳐 입력부(212)는, TOF(Time of Flight) 방식, 구조광(Structured light) 방식 또는 디스패러티(Disparity)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제스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입력부(213)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터치 입력부(213)는 디스플레이부(251)와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차량(100)과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버튼, 돔 스위치(dome switch), 조그 휠 및 조그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에 의해 생성된 전기적 신호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에 제공될 수 있다.
기계식 입력부(214)는, 스티어링 휠, 센테 페시아, 센타 콘솔, 칵픽 모듈, 도어 등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카메라(220)는, 차량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시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차량 내부 영상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감지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생체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지문 정보, 심박동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출력부(250)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부(252) 및 햅틱 출력부(25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다양한 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 입력부(213)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HUD(Head Up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가 HUD로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51)는 투사 모듈을 구비하여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투사되는 이미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윈드 쉴드 또는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소정의 투명도를 가지면서, 소정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도를 가지기 위해,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 TFEL(Thin Film Elecroluminescent), 투명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투명 LCD(Liquid Crystal Display), 투과형 투명디스플레이, 투명 LED(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는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251a 내지 251g)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스티어링 휠의 일 영역, 인스투루먼트 패널의 일 영역(521a, 251b, 251e), 시트의 일 영역(251d), 각 필러의 일 영역(251f), 도어의 일 영역(251g), 센타 콘솔의 일 영역, 헤드 라이닝의 일 영역, 썬바이저의 일 영역에 배치되거나, 윈드 쉴드의 일영역(251c), 윈도우의 일영역(251h)에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2)는, 프로세서(270) 또는 제어부(170)로부터 제공되는 전기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음향 출력부(252)는, 하나 이상의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출력부(253)는, 촉각적인 출력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햅틱 출력부(253)는, 스티어링 휠, 안전 벨트,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출력을 인지할 수 있게 동작할 수 있다.
프로세서(27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복수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2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프로세서(2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 외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이다.
오브젝트는, 차량(100)의 운행과 관련된 다양한 물체들일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브젝트(O)는, 차선(OB10), 타 차량(OB11), 보행자(OB12), 이륜차(OB13), 교통 신호(OB14, OB15), 빛, 도로, 구조물, 과속 방지턱, 지형물, 동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주행 차선, 주행 차선의 옆 차선, 대향되는 차량이 주행하는 차선일 수 있다. 차선(Lane)(OB10)은, 차선(Lane)을 형성하는 좌우측 선(Line)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타 차량(OB11)은, 차량(100)의 주변에서 주행 중인 차량일 수 있다. 타 차량은,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차량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타 차량(OB11)은, 차량(100)보다 선행 또는 후행하는 차량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한 사람일 수 있다. 보행자(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OB12)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사람일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의 주변에 위치하고, 2개의 바퀴를 이용해 움직이는 탈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륜차(OB12)는, 차량(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2개의 바퀴를 가지는 탈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륜차(OB13)는, 인도 또는 차도상에 위치하는 오토바이 또는 자전거일 수 있다.
교통 신호는, 교통 신호등(OB15), 교통 표지판(OB14), 도로면에 그려진 문양 또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빛은, 타 차량에 구비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일 수 있다. 빛은, 가로등에서 생성된 빛을 수 있다. 빛은 태양광일 수 있다.
도로는, 도로면, 커브, 오르막, 내리막 등의 경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조물은, 도로 주변에 위치하고, 지면에 고정된 물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구조물은, 가로등, 가로수, 건물, 전봇대, 신호등, 다리를 포함할 수 있다.
지형물은, 산, 언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오브젝트는, 이동 오브젝트와 고정 오브젝트로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오브젝트는, 타 차량, 보행자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오브젝트는, 교통 신호, 도로, 구조물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및 프로세서(3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카메라(310)는, 차량 외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모노 카메라, 스테레오 카메라(310a), AVM(A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310b) 또는 360도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프런트 윈드 쉴드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프런트 범퍼 또는 라디에이터 그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후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리어 글라스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리어 범퍼, 트렁크 또는 테일 게이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는, 차량 측방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차량의 실내에서 사이드 윈도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카메라(310)는, 사이드 미러, 휀더 또는 도어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310)는, 획득된 영상을 프로세서(370)에 제공할 수 있다.
레이다(320)는, 전자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파 발사 원리상 펄스 레이더(Pulse Radar) 방식 또는 연속파 레이더(Continuous Wave Radar)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연속파 레이더 방식 중에서 신호 파형에 따라 FMCW(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방식 또는 FSK(Frequency Shift Keyong)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전자파를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레이더(32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라이다(330)는, 구동식 또는 비구동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차량(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비구동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라이다(330)는, 광 스티어링에 의해, 차량(100)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내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차량(100)은 복수의 비구동식 라이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레이저 광 매개로, TOF(Time of Flight) 방식 또는 페이즈 쉬프트(phase-shift) 방식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라이다(33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초음파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은, 초음파를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34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적외선 송신부, 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40)는, 적외선 광을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검출된 오브젝트의 위치, 검출된 오브젝트와의 거리 및 상대 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350)는, 차량의 전방, 후방 또는 측방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차량의 외부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획득된 영상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전자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전자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레이저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레이저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초음파가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초음파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송신된 적외선 광이 오브젝트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반사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트래킹할 수 있다. 프로세서(370)는, 적외선 광에 기초하여, 오브젝트와의 거리 산출, 오브젝트와의 상대 속도 산출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복수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3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및 적외선 센서(350) 각각은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에 프로세서(3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는, 차량(100)내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오브젝트 검출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여기서, 외부 디바이스는, 타 차량, 이동 단말기 또는 서버일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송신 안테나, 수신 안테나, 각종 통신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Radio Frequency) 회로 및 RF 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근거리 통신부(410), 위치 정보부(420), V2X 통신부(430), 광통신부(440), 방송 송수신부(450) 및 프로세서(47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유닛이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410)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형성하여, 차량(100)과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 정보부(420)는, 차량(100)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유닛이다. 예를 들면, 위치 정보부(42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DGPS(Differential 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V2X 통신부(430)는, 서버(V2I : Vehicle to Infra), 타 차량(V2V : Vehicle to Vehicle) 또는 보행자(V2P : Vehicle to Pedestrian)와의 무선 통신 수행을 위한 유닛이다. V2X 통신부(430)는, 인프라와의 통신(V2I), 차량간 통신(V2V), 보행자와의 통신(V2P) 프로토콜이 구현 가능한 RF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광통신부(440)는, 광을 매개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유닛이다. 광통신부(440)는, 전기 신호를 광 신호로 전환하여 외부에 발신하는 광발신부 및 수신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전환하는 광수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발신부는, 차량(100)에 포함된 램프와 일체화되게 형성될 수 있다.
방송 송수신부(450)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거나, 방송 관리 서버에 방송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유닛이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70)는, 통신 장치(400)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400)는, 복수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거나, 프로세서(470)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통신 장치(400)에 프로세서(470)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통신 장치(400)는, 차량(100)내 다른 장치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통신 장치(4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함께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경우,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는, 텔레 매틱스(telematics) 장치 또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로 명명될 수 있다.
통신 장치(4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운전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이다.
메뉴얼 모드인 경우, 차량(100)은, 운전 조작 장치(500)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운행될 수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조향 입력 장치(510),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진행 방향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조향 입력 장치(510)는, 회전에 의해 조향 입력이 가능하도록 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조향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가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사용자로부터 차량(100)의 감속을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속 입력 장치(530) 및 브레이크 입력 장치(570)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가속 입력 장치 또는 브레이크 입력 장치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또는 버튼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운전 조작 장치(5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차량(100)내 각종 장치의 구동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 샤시 구동부(620), 도어/윈도우 구동부(630), 안전 장치 구동부(640), 램프 구동부(650) 및 공조 구동부(6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구동 장치(600)는,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파워 트레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파워 트레인 구동부(610)는, 동력원 구동부(611) 및 변속기 구동부(612)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차량(100)의 동력원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석 연료 기반의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엔진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엔진의 출력 토크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1)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엔진 출력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 에너지 기반의 모터가 동력원인 경우, 동력원 구동부(610)는, 모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동력원 구동부(61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모터의 회전 속도, 토크 등을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변속기 구동부(612)는, 변속기의 상태를, 전진(D), 후진(R), 중립(N) 또는 주차(P)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이 동력원인 경우, 변속기 구동부(612)는, 전진(D) 상태에서, 기어의 물림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샤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샤시 구동부(620)는, 조향 구동부(621), 브레이크 구동부(622) 및 서스펜션 구동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100) 내의 조향 장치(steerin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조향 구동부(621)는, 차량의 진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차량(100) 내의 브레이크 장치(brake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의 동작을 제어하여, 차량(100)의 속도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브레이크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브레이크 구동부(622)는, 복수의 휠에 걸리는 제동력을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차량(100) 내의 서스펜션 장치(suspension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도로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서스펜션 장치를 제어하여, 차량(100)의 진동이 저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스펜션 구동부(623)는, 복수의 서스펜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차량(100) 내의 도어 장치(door apparatus) 또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윈도우 구동부(630)는, 도어 구동부(631) 및 윈도우 구동부(63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도어 장치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도어의 개방,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트렁크(trunk) 또는 테일 게이트(tail gate)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 구동부(631)는, 썬루프(sunroof)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 구동부(632)는, 윈도우 장치(window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복수의 윈도우의 개방 또는 폐쇄를 제어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차량(100) 내의 각종 안전 장치(safety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안전 장치 구동부(640)는, 에어백 구동부(641), 시트벨트 구동부(642) 및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백 구동부(641)는, 차량(100) 내의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에어백 구동부(641)는, 위험 감지시, 에어백이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차량(100) 내의 시트벨트 장치(seatbelt appar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트벨트 구동부(642)는, 위험 감지시, 시트 밸트를 이용해 탑승객이 시트(110FL, 110FR, 110RL, 110RR)에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후드 리프트 및 보행자 에어백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행자 보호 장치 구동부(643)는, 보행자와의 충돌 감지시, 후드 리프트 업 및 보행자 에어백 전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램프 구동부(650)는, 차량(100) 내의 각종 램프 장치(lamp apparatus)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100) 내의 공조 장치(air cinditioner)에 대한 전자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조 구동부(660)는, 차량 내부의 온도가 높은 경우, 공조 장치가 동작하여, 냉기가 차량 내부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구동 장치(60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차량(100)의 각종 운행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운행 시스템(700)은, 자율 주행 모드에서 동작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은, 주행 시스템(710), 출차 시스템(740) 및 주차 시스템(750) 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설명되는 구성 요소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하거나, 설명되는 구성 요소 중 일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운행 시스템(700)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운행 시스템(700)의 각 유닛은, 각각 개별적으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하위 개념일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시스템(7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 통신 장치(400), 차량 구동 장치(600) 및 제어부(17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주행 시스템(71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행을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출차 시스템(74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출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으로부터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오브젝트 검출 장치(300)로부터 오브젝트 정보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주차 시스템(75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신호를 제공받아, 차량 구동 장치(600)에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차량(100)의 주차를 수행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정보는, 맵(map) 정보, 설정된 목적지 정보, 상기 목적지 설정 따른 경로 정보, 경로 상의 다양한 오브젝트에 대한 정보, 차선 정보 및 차량의 현재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메모리,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내비게이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통신 장치(400)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내비게이션 시스템(77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하위 구성 요소로 분류될 수도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자세 센서(예를 들면, 요 센서(yaw sensor), 롤 센서(roll sensor), 피치 센서(pitch sensor)), 충돌 센서, 휠 센서(wheel sensor), 속도 센서, 경사 센서, 중량 감지 센서, 헤딩 센서(heading sensor),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포지션 모듈(position module), 차량 전진/후진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타이어 센서, 핸들 회전에 의한 스티어링 센서, 차량 내부 온도 센서, 차량 내부 습도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가속 페달 포지션 센서, 브레이크 페달 포지션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차량 자세 정보, 차량 충돌 정보, 차량 방향 정보, 차량 위치 정보(GPS 정보), 차량 각도 정보, 차량 속도 정보, 차량 가속도 정보, 차량 기울기 정보, 차량 전진/후진 정보, 배터리 정보, 연료 정보, 타이어 정보, 차량 램프 정보, 차량 내부 온도 정보, 차량 내부 습도 정보, 스티어링 휠 회전 각도, 차량 외부 조도, 가속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브레이크 페달에 가해지는 압력 등에 대한 센싱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센싱부(120)는, 그 외, 가속페달센서, 압력센서, 엔진 회전 속도 센서(engine speed sensor), 공기 유량 센서(AFS), 흡기 온도 센서(ATS), 수온 센서(WTS), 스로틀 위치 센서(TPS), TDC 센서, 크랭크각 센서(CA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3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13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13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1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13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0)는 유닛에 대한 기본데이터, 유닛의 동작제어를 위한 제어데이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40)는, 하드웨어적으로,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 일 수 있다.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의 처리 또는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 등, 차량(100) 전반의 동작을 위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140)는, 제어부(17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제어부(170)의 하위 구성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차량(1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ECU(Electronic Contol Unit)로 명명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 공급부(190)는, 차량 내부의 배터리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차량(100)에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제어부(17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100)은 차량 제어 장치(8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는,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봤을 때,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는 제어부(170)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 제어 장치(800)는, 제어부(170)와 독립된 별도의 구성일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가 제어부(170)와 독립된 구성요소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는 차량(100)의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량 제어 장치(800)를 제어부(170)와 독립된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차량 제어 장치(800)에 대하여 설명하는 기능(동작) 및 제어방법은, 차량의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 장치(800)와 관련하여 설명한 모든 내용은, 제어부(170)에도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차량 제어 장치(800)는,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 및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 일부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 및 차량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별도의 명칭과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800)에 포함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는 통신부(810), 인터페이스부(820), 센싱부(830), 카메라(840) 및 프로세서(8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810)는, 앞서 설명한 통신장치(400)일 수 있다. 통신부(810)는, 차량(100)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100))와 이동 단말기는, 통신부(810)를 통해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800)와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요청에 의해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연결되거나, 이전에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적이 있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차량 내부로 진입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무선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810)는, 차량 내(또는 차량 제어 장치 내)에 구비될 수도 있고, 별도의 모듈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의 구성요소와 통신(또는 전기적인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820)는, 앞서 설명한 인터페이스부(130)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820)는 차량(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부(820)는 이동 단말기와 연결 가능한 포트를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포트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 이경우, 인터페이스부(820)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820)와 이동 단말기는 포트를 통해 유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유선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820)는, 이동 단말기(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다는 관점에서 봤을 때, 통신부(810)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부(820)는 연결된 이동 단말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인터페이스부(8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7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820)는 전원 공급부(190)에서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이동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에 포함된 센싱부(830)는, 도 7에서 설명한 오브젝트 검출장치(300)일 수도 있고, 차량(100)에 구비된 센싱부(12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830)는, 차량에 구비된 오브젝트 검출장치(300) 또는 차량(100)에 구비된 센싱부(120)는 독립된 별개의 센싱부일 수 있다. 상기 센싱부(830)가 독립된 센싱부인 경우라도, 상기 센싱부(830)는, 도 7에서 설명한 센싱부(120) 또는 오브젝트 장치(300)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부(830)는, 상기 오브젝트 검출장치(300)에 포함된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센싱부(120) 중 적어도 두 개가 조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센싱부(830)는, 본 발명의 차량(100)과 관련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차량과 관련된 정보는, 차량 정보(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차량의 주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는, 차량의 주행속도, 차량의 무게, 차량의 탑승인원, 차량의 제동력, 차량의 최대 제동력, 차량의 주행모드(자율주행모드인지 수동주행인지 여부), 차량의 주차모드(자율주차모드, 자동주차모드, 수동주차모드), 차량 내에 사용자가 탑승해있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의 주변정보는, 예를 들어, 차량이 주행중인 노면의 상태(마찰력), 날씨, 전방(또는 후방) 차량과의 거리, 전방(또는 후방) 차량의 상대속도, 주행중인 차선이 커브인 경우 커브의 굴곡률, 차량 주변밝기, 차량을 기준으로 기준영역(일정영역) 내에 존재하는 객체와 관련된 정보, 상기 일정영역으로 객체가 진입/이탈하는지 여부, 차량 주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인증된 사용자인지 여부)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의 주변정보(또는 주변 환경정보)는, 차량의 외부 정보(예를 들어, 주변밝기, 온도, 태양위치, 주변 피사체(사람, 타차량, 표지판 등) 정보, 주행중인 노면의 종류, 지형지물, 차선(Line) 정보, 주행차로(Lane) 정보), 자율주행/자율주차/자동주차/수동주차 모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변정보는, 차량 주변에 존재하는 객체(오브젝트)와 차량(100)까지의 거리, 상기 객체의 종류, 차량이 주차 가능한 주차공간, 주차공간을 식별하기 위한 객체(예를 들어, 주차선, 노끈, 타차량, 벽 등)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센싱부(830)가 차량 제어 장치(800)에 별도로 구비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서(870)가 센싱부(830)를 통해 어느 정보를 획득한다는 것은, 프로세서(870)가 오브젝트 검출장치(300) 및 차량(100)에 구비된 센싱부(12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어느 정보를 획득한다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센싱부(830)는, 차량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또는 가해지는) 사용자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센싱부(830)에 포함된 내부 카메라(220), 카메라(310), 레이다(320), 라이다(330), 초음파 센서(340), 적외선 센서(350) 등을 이용하여 운전자(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는지 여부, 운전자가 이동 단말기를 응시하는지 여부 및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카메라(840)는, 차량 내부를 촬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840)는, 앞서 설명한, 내부 카메라(220)일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카메라(84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또는 프리뷰 영상)에 근거하여, 차량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상기 카메라(84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운전자(또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는지 여부, 운전자의 시선, 운전자가 이동 단말기를 응시하는지 여부 및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 등을 센싱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센싱부(830) 및 카메라(840)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와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센싱(결정, 추출, 검출, 판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에는, 통신부, 인터페이스부, 터치 스크린, 센싱부, 제어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차량 제어 장치(또는 차량)과 통신이 가능하도록 유/무선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정보는, 수신된 사용자 입력의 종류, 시간, 위치 등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수신되면,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터치가 가해진 지점, 터치가 가해진 시간 및 터치의 종류 등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또는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센싱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센싱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센싱부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기울어짐, 사용자의 시선 등을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기울어짐, 사용자의 시선 등은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의 센싱부를 통해 센싱된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또는 차량)으로 전송할 수 있다.
차량 제어 장치(800)의 프로세서(870)는, 통신부(810)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결정(센싱, 추출, 판단,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800)는, 통신부(810), 인터페이스부(820), 센싱부(830), 카메라(840) 등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프로세서(8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70)는, 도 7에서 설명한 제어부(170)일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도 7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 및 도 8에서 설명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에 포함된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가 이동 단말기에 가해지는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차량의 주행모드를 변경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9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10a, 도 10b, 도 10c, 도 11a, 도 11b, 도 11c, 도 12a, 도 12b, 도 13a, 도 13b, 도 13c, 도 14a, 도 14b, 도 15 및 도 16은 도 9에서 살펴본 제어방법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에서는 이동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계가 진행된다(S91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통신부(810)를 통해 차량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이동 단말기와 유/무선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사용자 요청에 근거하여(또는, 이동 단말기가 차량 내에 진입하면, 또는 이동 단말기가 차량 내에 거치되면), 이동 단말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통신부(8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870)는, 인터페이스부(820)를 통해 이동 단말기와 유선 연결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와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차량 제어 장치(800)와 이동 단말기는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근거하여,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이후, 본 발명에서는, 차량(100)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단계가 진행된다(S92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차량(100)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차량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1000)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870)는, 센싱부(830) 및 카메라(8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0)에 수신되는(가해지는) 사용자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의 센싱부(또는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센싱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센싱된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0)에 수신되는(가해지는) 사용자 입력을 결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100)은, 수동주행모드 및 자율주행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차량(100)의 주행모드는, 수동주행모드 및 자율주행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수동주행모드는, 운전자의 운전 조작에 의해 차량이 주행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수동주행모드에서는,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의 조작에 의해 차량의 조향이 변경되고, 브레이크 페달 및 가속 페달의 조작에 의해 차량의 속도가 가변될 수 있다.
자율주행모드(또는 자동주행모드)는, 운전자의 운전 조작과는 무관하게, 차량이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근거하여 스스로 차량이 주행되는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자율주행모드는, 일정구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목적지까지의 구간 중 적어도 일부분에서 차량이 스스로 주행(운행)을 할 수 있는 모드일 수 있다.
자율주행모드에서는, 일 예로, 운전자의 운전 조작이 있더라도, 차량의 조향이나 속도가 가변되지 않고, 자율 주행을 수행하도록 기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차량이 주행될 수 있다.
수동주행모드와 자율주행모드는 일반적인 기술분야에 속하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 제어 장치(800)의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이동 단말기(또는 차량 내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센싱(결정, 추출, 검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은 다양한 종류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은, 이동 단말기에 가해지는 터치, 제스처,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이동, 회전, 기울어짐,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응시하는 시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차량 제어 장치(또는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840) 및 센싱부(830, 12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센싱되거나,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카메라,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센싱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10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 입력을 센싱하더라도,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에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 중 차량의 주행모드를 변경하도록 미리 설정된 사용자 입력을 의미할 수 있다.
기 설정된 조건은, 운전자의 시선이 일정 시간 이상 이동 단말기를 향하는지 여부, 이동 단말기에서 선택되는 메뉴의 뎁스가 일정뎁스 이상인지 여부, 이동 단말기가 일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지는지 여부,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된 이벤트의 종류, 이동 단말기가 기 설정된 움직임으로 움직여지는지 여부 및 이동 단말기의 유선 연결이 해제되는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근거하여, 차량(100)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변경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에서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근거하여 차량의 주행모드를 변경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100))에는 운전자의 시선을 센싱하는 카메라(840)(또는 내부 카메라(220))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카메라(840)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00)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을 센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운전자의 시선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0)의 제어부는, 이동 단말기(10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운전자의 시선을 센싱할 수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100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센싱된 운전자의 시선과 관련된 정보를 차량 제어 장치(800)(또는 차량(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운전자의 시선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운전자의 시선을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자의 시선은, 카메라(840) 및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뿐만 아니라, 센싱부(830, 120) 또는 이동 단말기의 센싱부를 통해서도 센싱될 수 있다.
이러한 운전자의 시선은, 일 예로,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경우 센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운전자의 시선은, 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인 경우에도 센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70)는, 카메라(840)(또는 센싱부(830)) 및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또는 센싱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센싱된 상기 운전자의 시선이 이동 단말기(1000)를 일정시간(t1) 이상 응시하는 것에 근거하여,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센싱된 운전자의 시선이 이동 단말기(1000)를 일정시간(t1) 이상 응시하면,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반면, 프로세서(870)는, 도 10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운전자의 시선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0)를 일정시간(t1) 이하로(또는 미만으로) 응시하는 경우,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차량이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운전자의 시선이 이동 단말기(1000)를 일정시간(t1) 이하로 응시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일정시간(t1)은,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를 응시하는 시간을 의미하며,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일정시간(t1)은, 법규 규제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0b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에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 항목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메뉴 항목은,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메뉴 항목 각각은 기 설정된 뎁스(depth)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뎁스(depth)란, 해당 메뉴 항목에 연계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터치를 가하는 횟수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1 뎁스를 갖는 메뉴 항목(1뎁스 메뉴)는, 해당 항목에 연계된 기능을 실행하거나, 해당 항목에 연계된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기 위해 한번의 터치 입력을 필요로 하는 항목일 수 있다. 다른 예로, 2 뎁스를 갖는 메뉴 항목(2뎁스 메뉴)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또는, 특정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화면정보를 터치 스크린에 출력하기 위해) 최소 두 번의 터치 입력을 필요로 하는 항목일 수 있다. 2 뎁스 이상을 갖는 메뉴 항목은, 하위 메뉴 항목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뎁스는, 메뉴 항목의 하위에 연계된 메뉴 항목의 계층 수에 근거하여 정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높은 뎁스를 갖는 메뉴 항목일 수록,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터치 입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운전중인 운전자가 높은 뎁스를 갖는 메뉴 항목을 통해 원하는 기능을 실행하려면 할수록, 전방을 주시하지 않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에서 일정뎁스 이상을 갖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0)는, 터치 스크린에 출력된 복수의 메뉴 항목 중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이 선택(터치)되면, 선택된 메뉴 항목과 관련된 정보(예를 들어, 뎁스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차량 제어 장치(8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차량 제어 장치(800)의 프로세서(870)는, 상기 메뉴 항목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의 뎁스를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에서 선택된 메뉴 항목이 일정뎁스 이상을 갖는 메뉴 항목인 경우,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의 (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0)에 출력된 복수의 메뉴 항목 중 일정뎁스(예를 들어, 2 depth) 이상을 갖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0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0)에 출력된 복수의 메뉴 항목 중 일정뎁스 미만인 메뉴 항목(예를 들어, 1 depth menu)가 선택되면,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는, 이동 단말기를 일정시간 이상 응시하거나, 일정 뎁스 이상을 갖는 메뉴 항목을 선택함에 따라 전방을 응시하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경우,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여 운행의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자율주행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자율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0)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함에 따라 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시점(예를 들어, 사용자 시선이 이동 단말기에서 벗어나는 시점 또는 일정뎁스 이상의 메뉴 항목이 선택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t2)이 경과하면, 프로세서(870)는, 도 10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 전환(또는 복원)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수동주행모드로의 전환이 안전한 상황에서 보다 편리하게 수동주행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는 것에 근거하여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870)는, 도 11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0)가 사용자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일정각도이상 기울어지면, 도 11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도 11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 내부에 거치된 이동 단말기가 일 방향으로(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운전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이상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일정각도는,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이 연계된 이동 단말기가 기울어지는 각도일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870)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일 방향으로 일정각도이상 기울어지는 것에 근거하여,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때, 도 11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0)에서는 이동 단말기(1000)가 기울어지는 것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0)의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이동 단말기 본체가 일 방향으로 일정각도이상 기울어지면 기 설정된 기능(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 지도정보 출력, 음악 재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런 기 설정된 기능은, 이동 단말기(1000)의 제어부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차량 제어 장치(800)의 프로세서(870)의 제어에 의해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이동 단말기(1000)가 일 방향으로 일정각도이상 기울어지면,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기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도록 이동 단말기(10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일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고, 이동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 단말기가 일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기울어지는 것은,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포함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는, 기 설정된 기능이 실행된 실행화면(1100b)이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는, 기울어지기 전에는 제1 화면정보(예를 들어, 지도 정보(1100a))가 출력되다가, 사용자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일 방향으로 일정각도이상 기울어짐에 따라 기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면, 상기 실행된 기능의 실행화면(1100b)이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운전중인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고, 이동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기 설정해놓은 기능을 보다 직관적이고 쉽게 실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1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1000)가 기울어지는 시점에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이 불가능한 경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1000)가 일 방향으로 일정각도이상 기울어지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0)가 기울어지는 시점에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센싱부(830) 또는 카메라(840)가 정상적인 동작이 불가능한 경우(또는 고장난 경우), 또는 센싱부(830) 또는 카메라(840)를 통해 센싱된 차량의 주변 환경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이 불가능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주변 환경이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상황은, 예를 들어, 안개가 심하게 끼었거나, 비가 일정량 이상 내리거나, 눈이 일정량 이상 내리거나, 도로가 공사중인 경우 또는 차선 식별이 불가능한 경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0)에는, 도 11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가 기울어짐에 따라 실행되도록 기 설정된 기능의 실행이 제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는 상기 기 설정된 기능의 실행이 제한되었음을 알리는 정보 또는 차량의 주행모드가 자율주행모드로 전환되지 못했음을 알리는 정보(1110)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정보(1110)는,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출력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870)의 제어에 의해 출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870)는, 자율주행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가능한 상황으로 전환되면,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고, 이동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기능을 수행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도 11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가 일 방향(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운전자를 향하는 방향)과 다른 타 방향(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조수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도 11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1000)가 상기 타 방향으로 일정각도이상 기울어지면,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시키는 것이 아닌, 수동주행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0)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0)가 상기 타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지면,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기 설정된 기능(예를 들어, 동영상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8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0)가 상기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중인 화면정보(1100a)를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51, 251b)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1000)가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운전자를 향하는 일 방향과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지면(또는 회전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1000)가 기울어지기 전에 출력중인 제1 화면정보(1100a)를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251)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870)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0)가 일정각도 이상 기울어짐에 따라 실행된 기 설정된 기능의 실행화면(1100b)을 이동 단말기(1100b)의 터치 스크린에 출력시킬 수 있다.
상기 실행화면(1100b)은,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출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1000)가 사용자에 의해 일 방향(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운전자를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이상 기울어지면,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1000)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일 방향과 반대되는 타 방향으로 일정각도이상 기울어지면,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가 타 방향(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조수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이상 기울어지면, 이동 단말기(1000)에 출력중이던 화면정보를 운전자가 계속 시청할 수 있도록, 상기 화면정보를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이동시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운전자를 위한 정보출력을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수석에 탑승한 동승자의 편의도 향상시킬 수 있는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근거하여 차량의 주행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를 센싱(결정, 검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870)는,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1000)로부터 이동 단말기(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부(810)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1000)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정보에 근거하여, 이동 단말기(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또는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10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근거하여,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1000)에서 제1 종류의 애플리케이션(1200a)이 실행되면(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이 제1 종류의 애플리케이션(1200a)이면), 도 12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1000)에서 상기 제1 종류와 다른 제2 종류의 애플리케이션(1200b)이 실행되면(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0)에서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이 제2 종류의 애플리케이션(1200b)이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종류의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제2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고, 법규 규제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은, 수동 주행에 위협을 최소로 주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지도 애플리케이션, 내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또는 음악 재생 애플리케이션, 음성 통화 애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은, 수동 주행에 위협을 많이 주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일 예로, 동영상 재생 애플리케이션, 이미지 출력 애플리케이션, 게임 애플리케이션, DMB 애플리케이션, 영상 통화 애플리케이션 등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열거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설정에 의해 결정/변경 가능하다.
즉,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에서 제1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유지시키고, 제2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1000)에서 상기 제2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더라도, 상기 이동 단말기가 기 설정된 방향(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타 방향,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조수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1000)에서 상기 제2 종류의 애플리케이션(1200b)이 실행되더라도, 도 12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이동 단말기(1000)가 기 설정된 방향(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이 운전석이 아닌 조수석을 향하는 방향)으로 일정각도이상 기울어지면,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수동주행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관련된 차량 제어 장치(800)는, 이동 단말기(1000)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가해지면,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0)에서 이벤트(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 전화, 영상통화, 메신저, 메시지 수신, 알림정보 수신, 팝업메시지 수신 등)가 발생되면, 이동 단말기(1000)의 터치 스크린에는 발생된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1300)가 출력될 수 있다.
이후, 도 13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벤트와 관련된 정보(1300)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0)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가해지면,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1000)에서 발생된 이벤트가 특정 이벤트인 경우(또는 기 설정된 이벤트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가해지더라도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특정 이벤트는,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가능한 모든 종류의 이벤트 중 수동 운전에 영향을 적게 주는 이벤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이벤트는, 호신호 수신, 음성 통화 수신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도 13b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0)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된 후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변경하지 않고, 도 13b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870)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이동 단말기와 차량(또는 차량 제어 장치)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터치에 응답하여,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c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에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이동 단말기(1000)와 차량(100) 사이의 통신(예를 들어, 유/무선 통신,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도 13c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가해지는 터치에 응답하여,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870)는,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후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가해지고,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것이 감지되면, 발생된 이벤트가 특정 이벤트라도,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에 대한 응답이 이동 단말기에 수신된 경우,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발생된 이벤트가 운행에 영향을 적게 주는 특정 이벤트(예를 들어, 음성 통화, 호신호 수신)인 경우, 이에 대한 응답이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면,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로 유지시킬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은, 발생된 이벤트가 상기 특정 이벤트일지라도, 수동 운전 조작에 방해를 주도록, 차량과 이동 단말기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이동 단말기가 운전자(사용자)에 의해 움직여지는 것이 감지되면,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된 이벤트에 응답하는 경우에도, 보다 안전하게 차량을 운행할 수 있는 차량과 관련된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프로세서(870)는, 도 14a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와 차량(100)(또는 차량 제어 장치(800))가 유선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차량 사이의 유선 연결이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도 14a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유선 연결된 이동 단말기를 충전중인 상태에서, 상기 충전이 중단되면(또는, 상기 유선 연결이 분리되면), 차량의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가 기 설정된 움직임으로 움직여지는 것이 감지되면,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이동 단말기(1000)가 기 설정된 움직임(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들어올려지는 움직임 또는 이동 단말기가 일정거리 이상 이동되는 움직임)이 센싱되면,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1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는 것이 감지되면,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프로세서(870)는, 와치형 이동 단말기(1600)가 기 설정된 움직임(예를 들어, 운전자가 와치형 이동 단말기(1600)를 일정시간 이상 응시하거나, 와치형 이동 단말기(1600)가 특정 궤도를 형성하면서 이동하는 움직임)으로 움직여지면, 차량의 주행모드를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870)는, 통신부(810)를 통해, 앞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가해지는) 사용자 입력(또는 터치) 또는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 등을 센싱(결정, 검출,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살펴본 다양한 조건 및 실시 예들은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상태 해제,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에 응답한 터치,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등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차량의 주행모드 전환(즉, 수동주행모드에서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 또는 자율주행모드에서 수동주행모드로의 전환)은, 차량이 주행중인 것을 전제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차량이 정차중인 상태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조작에 따라 차량의 주행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와 차량 간의 새로운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차량 주행중 운전자가 이동 단말기를 조작하는 경우 차량의 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여 차량 운행의 안전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차량 제어 장치(800)는, 차량(10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차량 제어 장치(800)의 동작 또는 제어방법은, 차량(100)(또는 제어부(170))의 동작 또는 제어방법으로 동일/유사하게 유추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0)의 제어방법(또는 차량제어장치(800)의 제어방법)은, 이동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계 및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위 단계는, 차량 제어 장치(800)뿐만 아니라, 차량(100)에 구비된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살펴본 차량 제어 장치(800)가 수행하는 모든 기능, 구성 또는 제어방법들은, 차량(100)에 구비된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모든 제어방법은, 차량의 제어방법에 적용될 수도 있고, 제어 장치의 제어방법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프로세서 또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이동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통신부; 및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차량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운전자의 시선을 센싱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운전자의 시선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센싱된 상기 운전자의 시선이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일정시간 이상 응시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운전자의 시선이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일정시간 이하로 응시하는 경우,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메뉴 항목이 출력되고,
    상기 복수의 메뉴 항목 각각은 기 설정된 뎁스(depth)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일정뎁스 이상을 갖는 메뉴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자율주행모드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자율주행모드를 상기 수동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일정각도이상 기울어지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기울어지는 것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기능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기울어지는 시점에 자율주행모드로의 전환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는, 상기 기 설정된 기능의 실행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일 방향과 다른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타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에 표시중인 화면정보를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종류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제1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키고,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제1 종류와 다른 제2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제2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더라도, 상기 이동 단말기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가해지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된 이벤트가 특정 이벤트인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터치 스크린에 터치가 가해지더라도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차량 사이의 통신이 연결되지 않은 경우, 상기 터치에 응답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상기 차량 사이의 유선 연결이 해제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기 설정된 움직임으로 움직여지는 것에 감지되면,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상기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제어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차량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20. 이동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계; 및
    차량의 주행모드가 수동주행모드인 상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에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이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수동주행모드를 자율주행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60125026A 2016-09-28 2016-09-28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22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26A KR101922009B1 (ko) 2016-09-28 2016-09-28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EP17178016.6A EP3300979B1 (en) 2016-09-28 2017-06-27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15/663,227 US10606268B2 (en) 2016-09-28 2017-07-28 Vehicle control device mounted o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CN201710740649.0A CN107867296B (zh) 2016-09-28 2017-08-25 安装在车辆上的车辆控制装置和控制该车辆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026A KR101922009B1 (ko) 2016-09-28 2016-09-28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044A true KR20180035044A (ko) 2018-04-05
KR101922009B1 KR101922009B1 (ko) 2018-11-26

Family

ID=5926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026A KR101922009B1 (ko) 2016-09-28 2016-09-28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06268B2 (ko)
EP (1) EP3300979B1 (ko)
KR (1) KR101922009B1 (ko)
CN (1) CN107867296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201B1 (ko) * 2018-08-22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로봇 및 차량용 로봇의 제어방법
KR102159943B1 (ko) * 2019-04-11 2020-09-25 울산과학기술원 2차사고를 방지하는 자율주행 안전삼각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8557B1 (fr) * 2016-03-07 2018-03-30 Valeo Comfort And Driving Assistance Equipement electronique d'aide au stationne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WO2018074586A1 (ja) * 2016-10-21 2018-04-26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運転支援装置、自動運転車、自動運転支援方法および自動運転支援プログラム
US20200066070A1 (en) * 2016-11-29 2020-02-27 Jaguar Land Rover Limited Improvements relating to hearing assistance in vehicles
US10172145B2 (en) * 2017-01-31 2019-01-0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hone-as-a-key localization based on object detection
US10412581B2 (en) 2017-02-14 2019-09-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cure session communication between a mobile device and a base station
US20180229654A1 (en) * 2017-02-16 2018-08-16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Sensing application use while driving
JP7210906B2 (ja) * 2018-05-31 2023-01-24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の自動運転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780888B2 (en) * 2018-06-12 2020-09-22 Rivian IP Holiding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an autonomous vehicle in a guardian mode
US10816635B1 (en) * 2018-12-20 2020-10-27 Autonomous Roadway Intelligence, Llc Autonomous vehicle localization system
CN109871169A (zh) * 2019-03-04 2019-06-11 上海卓易科技股份有限公司 Ui界面调整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US11470265B2 (en) 2019-12-16 2022-10-11 Plusai, Inc. System and method for sensor system against glare and control thereof
US11077825B2 (en) 2019-12-16 2021-08-03 Plusai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anti-tampering mechanism
US11313704B2 (en) 2019-12-16 2022-04-26 Plusai, Inc. System and method for a sensor protection assembly
US11650415B2 (en) 2019-12-16 2023-05-16 Plusai, Inc. System and method for a sensor protection mechanism
US11754689B2 (en) 2019-12-16 2023-09-12 Plusai,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ensor adjustment need
US11724669B2 (en) 2019-12-16 2023-08-15 Plusai, Inc. System and method for a sensor protection system
US11738694B2 (en) 2019-12-16 2023-08-29 Plusai, Inc. System and method for anti-tampering sensor assembly
JP7255507B2 (ja) * 2020-01-31 2023-04-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CN111565250B (zh) * 2020-03-25 2021-05-25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智能车载接听电话的方法、系统及车辆
CN111547065B (zh) * 2020-05-07 2022-01-11 新石器慧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无人车辆远程控制器控制方法、控制器及控制系统
CN112162547B (zh) * 2020-06-24 2023-05-26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自动泊出方法、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12606795B (zh) * 2020-12-28 2022-06-0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传动系防盗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588610B1 (ko) * 2021-06-29 2023-10-17 주식회사 이노핀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연계된 주식 거래 시스템 및 그에 의한 방법
CN113815637A (zh) * 2021-08-28 2021-12-21 济南臻真技术研究所 基于驾驶辅助功能调度通知的方法,设备及存储介质
US11772667B1 (en) * 2022-06-08 2023-10-03 Plusai, Inc. Operating a vehicle in response to detecting a faulty sensor using calibration parameters of the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76632B2 (ja) * 1998-08-25 2008-04-16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用表示装置
US7899610B2 (en) 2006-10-02 2011-03-01 Inthinc Technology Solu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onfiguring an electronic control unit of a motor vehicle to optimize fuel economy
DE102009054100A1 (de) * 2009-11-20 2010-06-17 Daimler Ag Steuern einer Kommunikationseinrichtung eines Fahrzeugs in Abhängigkeit von einem Fahrerassistenzsystem
DE102012016039B4 (de) * 2012-08-14 2022-06-30 Audi Ag Autonomer Betrieb eines Kraftfahrzeugs in einer Waschstraße
US8918240B2 (en) * 2013-03-15 2014-12-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for operating hybrid vehicle
JP6163017B2 (ja) * 2013-05-29 2017-07-1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危険報知システム
DE102013012777A1 (de) 2013-07-31 2015-02-05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Nutzen eines Kommunikationsendgeräts in einm Kraftfahrzeug beim aktivierten Autopiloten und Kraftfahrzeug
DE102013012779A1 (de) 2013-07-31 2015-02-05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Fahrerassistenzeinrichtung zum autonomen Führen eines Kraftfahrzeugs und Kraftfahrzeug
US9238467B1 (en) * 2013-12-20 2016-01-19 Lytx, Inc. Automatic engagement of a driver assistance system
KR101562235B1 (ko) 2014-01-21 2015-10-22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 운전 중 휴대단말 사용 감지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그를 구비한 휴대단말
JP6265146B2 (ja) * 2014-05-27 2018-01-24 株式会社デンソー 注意喚起装置
JP2016090274A (ja) * 2014-10-30 2016-05-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警報装置、警報システム及び携帯端末
KR102332055B1 (ko) 2014-12-01 2021-11-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디스플레이 장치 지향 방향 조절 시스템 및 방법
KR101624191B1 (ko) * 2014-12-08 2016-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7789B1 (ko) 2014-12-19 2021-08-10 인포뱅크 주식회사 차량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US10705521B2 (en) * 2014-12-30 2020-07-0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utonomous driving inte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201B1 (ko) * 2018-08-22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에 구비된 차량용 로봇 및 차량용 로봇의 제어방법
KR102159943B1 (ko) * 2019-04-11 2020-09-25 울산과학기술원 2차사고를 방지하는 자율주행 안전삼각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88577A1 (en) 2018-03-29
CN107867296B (zh) 2020-09-01
US10606268B2 (en) 2020-03-31
EP3300979B1 (en) 2019-05-15
EP3300979A1 (en) 2018-04-04
CN107867296A (zh) 2018-04-03
KR101922009B1 (ko)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009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89523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891599B1 (ko) 자율 주행 차량의 제어방법과 서버
KR102013590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59300B1 (ko) 차량용 스마트 키 및 시스템
KR101979269B1 (ko)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의 동작 방법
KR101949352B1 (ko) 자율 주행 차량 및 자율 주행 차량의 동작 방법
KR20190033368A (ko) 주행 시스템 및 차량
KR10197362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10385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85832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79275B1 (ko) 타 차량에 대한 정보 획득 방법, 차량 정보 제공 방법 및 통신 장치
KR20190041172A (ko) 자율주행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72235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190019439A (ko) 차량 운전 보조 장치 및 차량
KR20180106227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212777B1 (ko) 영상 출력 장치
KR102005443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KR102017801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20220018102A (ko) 차량 제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차량
KR101929816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10239166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16731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차량의 제어방법
KR101951424B1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46228A (ko) 차량에 구비된 차량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