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732A - 태양광 모듈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모듈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732A
KR20180033732A KR1020160123042A KR20160123042A KR20180033732A KR 20180033732 A KR20180033732 A KR 20180033732A KR 1020160123042 A KR1020160123042 A KR 1020160123042A KR 20160123042 A KR20160123042 A KR 20160123042A KR 20180033732 A KR20180033732 A KR 201800337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printing layer
resin
bas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4688B1 (ko
Inventor
김윤조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3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4688B1/ko
Publication of KR20180033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4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4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29C47/005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9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flattening,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B29C55/1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 B29C55/14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successively firstly parallel to the direction of feed and then transversely theret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52Forming heat-sealable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C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TO ENHANCE THEIR PIGMENTING OR FILLING PROPERTIES ;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PREPARATION OF INORGANIC MATERIALS WHICH ARE NO SINGLE CHEMICAL COMPOUNDS AND WHICH ARE MAINLY USED AS PIGMENTS OR FILLERS
    • C09C1/00Treatment of specific inorganic materials other than fibrous fillers; Preparation of carbon black
    • C09C1/44Carbon
    • C09C1/48Carbon bla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16Coatings
    • H01L31/02161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167Coating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1Encapsulation of modul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encapsulation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용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불소필름/PET필름/불소필름 또는 PET/PET/PE로 적층 되는 구조에서, 단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루프탑(Rooftop)제품에서 요구되는 심미성을 만족시킬 수 있고, 태양 전지의 열 흡수가 적어 전력 변화 효율이 높은 새로운 태양광모듈용 백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태양광 모듈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BACKSHEET FOR PV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용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불소필름/PET필름/불소필름 또는 백색 폴리에스테르필름/투명 폴리에스테르필름/백색 폴리에틸렌필름으로 적층 되는 구조에서, 단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대체가 가능하며,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인쇄층을 포함하여 루프탑(roof top)제품에서 요구되는 심미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태양광모듈용 백시트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전지는 실리콘이나 각종 화합물에서 출발하여 태양전지(Solar cell) 형태가 되면 전기를 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하나의 셀로는 충분한 출력을 얻지 못하므로 각각의 셀을 직렬 혹은 병렬 상태로 연결해야 하는데 이렇게 연결된 상태를 '태양광 모듈'이라 부른다.
태양광 모듈은 유리, 제 1 밀봉재, 솔라셀(solar cell), 제 2 밀봉재, 백 시트(back sheet)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 1 밀봉재 및 제 2 밀봉재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등이 사용된다.
종래, TPT(Tedlar/PET/Tedlar) 타입의 백시트는 Tedlar필름과 PET필름을 적층하기 위하여 각각 접착제를 통하여 적층하는 공정이 필요하며, 또한 백색 폴리에스테르필름/투명 폴리에스테르필름/백색 폴리에틸렌필름 타입의 백시트에서도 각각의 필름을 적층하기 위해 접착제를 통한 적층 공정이 필요하다. 기존 백시트에 사용되는 Tedlar필름은 가격이 고가이므로 현재 백시트의 제조공정 비용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백시트의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제조단가를 낮추기 위하여 가격이 높고, 수급이 원활하지 못한 불소필름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불소필름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발현하기 위한 연구 및 적층필름의 수를 줄여서 백시트를 구성하는 필름 가격과 공정 비용을 줄이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또한, 현재 태양광용 제품에 있어서 루프 탑(Roof top)제품의 성장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지붕에 설치함으로 인해 외관상의 심미성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 백시트에서 외관상의 심미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유색 필름을 사용하거나, 혹은 봉지재에 유색 안료를 넣어서 색상을 부여함으로써, 태양전지 셀과의 색상차이에 의한 심미성 저하를 개선하고자 하였으며, 특히 블랙 색상이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색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태양광 발전 과정 중에 열의 흡수가 용이하여 솔라셀의 온도를 높이게 되며, 이로 인한 발전효율의 저감을 유발하여 결과적으로 태양광 모듈의 발전효율을 낮추게 된다. 그리고 봉지제에 유색안료를 넣어 색상을 발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태양광의 흡수를 방해하여 이 또한 발전효율을 낮추게 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6-0025244 및 10-2016-0026107에서는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표면층을 두고, 그 위에 일정한 패턴의 반사층을 두어 태양광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심미적인 효과를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6-0028101에서는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반사층을 두고, 그 위에 블랙 패턴층을 두어, 반사광을 이용한 태양광 효율 향상 및 블랙 패턴층을 이용한 심미적인 효과를 구현하고자 하였으나, 기존의 백시트 제조공정과 비교하여 적층 공정을 줄이는 것이 불가능하고, 봉지재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와 직접 접촉하여 접착하게 되는 표면층 및 반사층 또는 반사층 및 블랙패턴층의 접착력이 떨어져 백시트와의 박리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의 보호를 위한 핵심 소재인 백시트를 기존에 투명필름과 백색필름을 적층하는 구조로 사용되던 것에서, 본원발명의 단층 필름 구조로 변경할 수 있는 백시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단층으로 이루어지면서 종래 적층구조의 필름을 사용하는 것과 동등 유사한 물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태양광모듈에 적용 시 솔라셀과 동일한 색상을 나타내도록 일부에만 인쇄층을 형성하고,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솔라셀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열의 흡수에 의해 솔라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외관상 솔라셀과 동일한 색상의 백시트가 적용되어 심미성이 우수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이 투명필름의 단층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 전면 수광형 태양광모듈뿐만 아니라 양면 수광형 태양광모듈에 사용 가능하도록 태양전지가 위치하는 부분이 투명하고, 가시광선 투과율이 우수하며, 자외선 차단성이 우수하며, 내습성이 우수하여, 태양광모듈의 수광효율을 높이고,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의 노후 및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봉지재와의 접착성이 향상된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고유점도가 0.80 ~ 1.4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제 1 컴파운딩칩, 고유점도가 0.80 ~ 1.4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제 2 컴파운딩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고유점도가 0.63 ~ 0.9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미연신 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일축연신 후, 폭방향으로 이축연신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바인더수지, 유기용매 및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인쇄층용 조성물을 상기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도포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는 단층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이루어져 제조 원가가 절감되고, 전면 수광형 태양광 모듈뿐만 아니라 양면 수광형 태양광 모듈 모두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인쇄층이 일부분에만 인쇄되도록 함으로써, 열의 흡수에 의해 솔라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외관상 솔라셀과 동일한 색상의 백시트가 적용되어 심미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는 태양열 흡수에 의한 모듈 내 온도 상승이 적어 모듈의 전력 변화 효율성이 5%이상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는 봉지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유연성이 우수한 인쇄층을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되며,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의 일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의 일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의 일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의 일 양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양태를 적용한 인쇄 패턴의 상세를 나타낸 것으로 전체 인쇄 패턴의 일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3의 양태를 적용한 인쇄 패턴의 상세를 나타낸 것으로 전체 인쇄 패턴의 일 양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포함한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이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층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은 백색도가 80이상, 고유점도가 0.60 ~ 0.85 dl/g, 150℃에서 30분 후, 기계방향 열수축율이 2.0%이하, 121℃, RH 100%에서 50시간 후 기계방향 신도 유지율이 40%이상인 백색필름(A) 또는 UV투과도가 360㎚에서 5%이하, 고유점도가 0.60 ~ 0.85 dl/g, 150℃에서 30분 후, 기계방향 열수축율이 2.0%이하, 121℃, RH 100%에서 50시간 후 기계방향 신도 유지율이 40%이상인 투명필름(B)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광안정제, 무기입자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광안정제의 함량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체 중량 중 0.15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무기입자의 함량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체 중량 중 3 ~ 2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은 두께가 150 ~ 350㎛이고, 상기 인쇄층은 두께가 1 ~ 35㎛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인쇄층은 바인더수지로 유리전이 온도가 10 ℃이상인 열경화성 수지, 또는 상기 열경화성수지와 유리전이 온도가 40℃이상인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흑색안료는 카본블랙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인쇄층은 유리전이온도가 10℃ 이상인 폴리우레탄계수지와 유리전이온도가 40℃ 이상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수지의 혼합수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흑색안료는 인쇄층 내에 5 ~ 6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인쇄층은 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는 인쇄층, ⅱ)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고, 연속적인 패턴을 가지는 인쇄층, ⅲ) 솔라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인쇄층 및 ⅳ) 해도(sea island) 형태로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인쇄층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인쇄층은 태양광 모듈의 솔라셀과 일부 중첩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일 양태는 a) 고유점도가 0.80 ~ 1.4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제 1 컴파운딩칩, 고유점도가 0.80 ~ 1.4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제 2 컴파운딩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고유점도가 0.63 ~ 0.9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미연신 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일축연신 후, 폭방향으로 이축연신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바인더수지, 유기용매 및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인쇄층용 조성물을 상기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도포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일 양태에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연신 전 또는 일축 연신 후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일 양태에서, 상기 c)단계에서 도포는 스크린 인쇄방식, 오프셋 방식, 디지털 프린팅 방식,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코팅, 스프레이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의 일 양태를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10)상에 인쇄층(20)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인쇄층(20)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10) 표면의 일부에만 형성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는 인쇄층, ⅱ)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고, 연속적인 패턴을 가지는 인쇄층, ⅲ) 솔라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인쇄층 및 ⅳ) 해도(sea island) 형태로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인쇄층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해도(sea island)형태는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이 도(island)를 이루고, 인쇄층이 형성된 부분이 해(sea)를 이루며, 상기 도(island) 부분에 태양광모듈의 솔라셀(30)이 위치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해(sea) 부분과 솔라셀은 일부 중첩되는 것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인쇄층은 태양광 모듈의 솔라셀과 일부 중첩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부 중첩된다는 것은 솔라셀이 도(island)부분의 경계를 벗어나 해(sea) 부분의 인쇄층과 일부 겹쳐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태양광 모듈의 태양전지(솔라셀)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영역에 인쇄층이 형성되는 것 일 수 있으며, 상기 도(island)부분의 크기가 태양전지의 크기보다 같거나 작게 하여 솔라셀 사이의 간격이 모두 흑색으로 보이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과 같이 하나 이상의 솔라셀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솔라셀의 둘레에 대응되는 부분에 인쇄층(20)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으며,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라셀의 형태 및 레이 아웃(lay-out)에 따라 해(sea) 부분과 도(island)부분이 완전히 구분되어 있지 않고, 인쇄층의 일부가 불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백시트의 단면을 나타내는 일 양태로, 기재필름(10)의 일면에 인쇄층(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쇄층(20)과 인쇄층(20) 사이에 솔라셀(30)이 위치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상기 도 2의 양태를 적용한 인쇄 패턴의 일 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전체 인쇄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도 3의 양태를 적용한 인쇄 패턴의 일 양태를 나타낸 것으로, 전체 인쇄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백시트를 이용하여 태양전지 모듈에 적용 시 상기 인쇄층(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해당하는 기재필름(10)부분에 솔라셀이 위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인쇄층과 솔라셀이 일부 중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양전지의 구조나 형태에 따라 인쇄층의 모양은 달라질 수 있으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은 투명필름 또는 백색필름으로 이루어진 단층필름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이 투명필름인 경우는 지표면에 도달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노후 및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는 벤조페논계 화합물(Benzophenone),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Benzotriazole), 벤조옥사지논계 화합물(Benzoxazinone), 벤조에이트계 화합물(Benzoate), 페닐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Phenyl Salicylates) 및 힌더드아민계 화합물(Hindered Am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광안정제를 포함함으로써, 전면 수광형 태양광 모듈뿐만 아니라, 양면 수광형 태양광 모듈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광안정제는 자외선 파장영역인 280 ~ 360nm의 자외선을 차단하여, 자외선 투과율이 5%이하인 물성을 발현하기 위한 함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총 중량 중 0.15 ~ 1.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좋게는 0.3 ~ 1.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자외선 투과율이 5%이하, 더욱 구체적으로 0.1 ~ 5%인 범위에서 기재필름이 노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광안정제는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제조 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좋게는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컴파운딩 칩을 제조하고, 이를 폴리에스테르 칩과 혼합하고 용융압출하여 필름을 제조함으로써 광안정제의 분산성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이 투명필름인 경우, UV 투과도가 360nm에서 5%이하, 고유점도가 0.60 ~ 0.85 dl/g, 150℃에서 30분 후, 기계방향 열수축율이 2.0%이하, 121℃, RH 100%에서 50시간 후 기계방향 신도 유지율이 4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UV 투과도가 360nm에서 5%이하인 것이 자외선에 대한 광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투과도가 5% 초과인 경우 장기간 사용에 따른 백시트의 물성저하 및 분해를 유발할 수 있다.
고유점도는 0.60 ~ 0.85 dl/g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에서 내구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므로 태양광모듈에 적용 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기계방향 열수축율이 2.0%이하, 바람직하게는 0.5 ~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0%인 것이 좋으며,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열특성이 저하되어 열에 의한 물성변화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121℃, RH100%에서 50시간 후, 기계방향의 신도 유지율이 40 ~ 99%, 바람직하게는 70 ~ 99%인 것이 좋으며, 40% 미만인 경우는 시간에 따른 물성저하가 급속하게 일어나 장기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필름으로 상기 UV 투과도, 고유점도, 열수축율 및 신도유지율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내후성이 매우 향상되어 태양광모듈의 백시트로 적용시 일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내후성이 10% 이상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은 두께가 150 ~ 350㎛인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두께에서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므로 좋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은 백색필름으로 이루어진 단층필름인 것일 수 있다. 백색필름인 경우는 전면수광형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전면 기판을 통해 흡수된 빛 중 솔라셀에 도달하지 못하고 백시트로 도달되는 빛을 다시 솔라셀로 되돌려 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이 백색필름인 경우는 기재필름 내 무기입자를 포함하며,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무기입자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이산화티탄, 황산바륨,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아연,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인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탈크, 카올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중 더욱 좋게는 루타일형(Rutile) 이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것이 광흡수 영역이 장파장 쪽으로 쉬프트하여 UV에 의한 광분해를 억제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그 함량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전체 함량 중 3 ~ 20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 백색도 및 반사율이 낮아 단층필름으로 백시트에 적용하기 곤란하며, 20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 캐스팅 시트의 높은 결정화 진행으로 시트가 브리틀하고 잘 깨져 연신하기가 곤란하여 제막 안정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충분한 반사율을 갖는 필름이 된다 하더라도 태양전지 백시트용으로 쓰일 때 요구되는 특성인 장기내구성, 즉 PCT특성이 저하되어 백시트로 사용이 곤란하다.
상기 무기입자는 평균입경이 0.1 ~ 0.5㎛, 특히 바람직한 것은 0.15 ~ 0.3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미만인 경우 미세 입자들의 재응집 현상으로 인한 분산성 불량을 초래하여 필름 제막 공정의 필터가 자주 막혀 조업성이 크게 떨어질 수 있으며, 0.5㎛이상인 경우 입도가 너무 커져 연신 공정 시 입자간 간격이 커지기 때문에 연신성이 떨어져 파단 등 조업성이 불량하고, 동일한 함량을 적용하더라도 반사율이 낮아 요구되는 반사율을 달성하기 위해 입자함량을 증가시킬 경우 제조원가 상승, 공정성 저하 등으로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백색필름의 경우 필요에 따라 필름의 반사율 및 백색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형광 증백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벤족사졸계(Benzoxazol) 형광증백제를 필름 전체 함량 중 100 ~ 500ppm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백색도가 우수하여 광반사 효율이 좋으며, UV안정성이 우수하여 외부에 장기 노출 시 황변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벤족사졸계(Benzoxazol) 형광증백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2,5-티오펜디일비스(5-tert-부틸-1,3-벤조옥사졸), 4,4'-비스(2-메톡시스티릴)-1,1'-비페닐, 2,2'-(1,2-에텐디일디-4,1-페닐렌)비스벤조옥사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의 상업화된 예로는 이스트먼사(Eastman)의 OB-1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백색필름인 경우에도 투명필름과 마찬가지로 광안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이 백색필름인 경우, 백색도가 80이상, 고유점도가 0.60 ~ 0.85 dl/g, 150℃에서 30분 후, 기계방향 열수축율이 2.0%이하, 121℃, RH 100%에서 50시간 후 기계방향 신도 유지율이 40%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색도 80이상, 바람직하게는 90 ~ 110,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105인 것이 좋으며, 80 미만인 경우는 목적으로 하는 광반사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적으며, 상기 백색도 범위에서 광반사효율이 상승함에 따라 태양광모듈에서의 광전환에 의한 발전 효율을 0.2 ~ 0.5% 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고유점도는 0.60 ~ 0.85 dl/g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에서 내구성 및 내후성이 우수하므로 태양광모듈에 적용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기계방향 열수축율이 2.0%이하, 바람직하게는 0.5 ~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0%인 것이 좋으며, 2.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열특성이 저하되어 열에 의한 물성변화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121℃, RH100%에서 50시간 후, 기계방향의 신도 유지율이 40% 이상, 구체적으로 40 ~ 99%, 바람직하게는 70 ~ 99%인 것이 좋으며, 40% 미만인 경우는 시간에 따른 물성저하가 급속하게 일어나 장기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필름으로 상기 백색도, 고유점도, 열수축율 및 신도유지율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내후성이 매우 향상되어 태양광모듈의 백시트로 적용시 일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내후성이 10% 이상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은 두께가 150 ~ 350㎛인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두께에서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므로 좋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통상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레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이 사용가능하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주쇄 중의 주요한 결합인 모노머 잔기와 모노머 잔기를 결합하는 공유결합이 에스테르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고분자의 총칭으로서, 통상, 디카르본산 화합물과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또는 디카르본산에스테르 유도체와 디히드록시 화합물을 축합 중합시킴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디카르본산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이소프탈산, 디페닐디카르본산, 디페닐설폰디카르본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본산, 5-나트륨설포이소프탈산, 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본산, 수산, 호박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다이머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본산, 시클로헥산디카르본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본산, 파라옥시안식향산 등의 옥시카르본산 등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디카르본산에스테르 유도체로는, 상기 디카르본산 화합물의 에스테르화물,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디메틸, 테레프탈산디에틸, 테레프탈산2-하이드록시에틸메틸에스테르,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디메틸, 이소프탈산디메틸, 아디핀산디메틸, 말레인산디메틸, 다이머산디메틸 등을 들 수가 있다.
상기 하이드록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의 지방족 하이드록시 화합물,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의 지환족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비스페놀 A, 비스페놀 S 등의 방향족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등을 들 수가 있다.
이들 중에서도, 디카르본산 화합물로서는 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본산, 이소프탈산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디하이드록시 화합물로서는 네오펜틸글리콜,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테레프탈산 또는 테레프탈산디메틸과 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기재필름은 내가수분해 특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기 내가수분해 특성이 우수한 필름을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내가수분해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축합 중합 시 발생하는 올리고머의 함량이 적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공지의 내가수분해특성을 향상시키는 열처리를 추가로 가해, 폴리에스테르의 수분함량을 줄이고, 수축률을 줄여줌으로써 내가수분해특성을 더욱 우수하게 할 수도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광안정제 또는 무기입자와의 컴파운딩 칩 제조 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는 0.80 ~ 1.40 dl/g 인 것이 바람직하며, 기재필름의 제조 시, 컴파운딩 칩과 함께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는 0.63 ~ 0.90 dl/g인 것이 바람직하다. 컴파운딩 칩 제조 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유점도가 0.80 dl/g 미만일 경우, 필름제조 시 컴파운딩 칩의 점도 저하에 의해 가공성이 저하되고,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으며, 기재필름 제조시의 수지의 고유점도가 0.63 dl/g미만인 경우는 낮은 고유점도로 인해 가공 시 전단응력이 감소함에 따라 점도가 낮아지고, 가공성은 향상되지만, 내구성 및 내후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고, 0.90 dl/g를 초과하는 경우는 기존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생산 기대를 사용하여 제조 시 높은 토출 압력, 연신 시 파단 발생에 의해 생산성이 나빠질 수 있다.
[프라이머 코팅층]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폴리우레탄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프라이머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앞서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에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프라이머층은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제조 시 일축 또는 이축 연신 과정에서 인라인 도포되어 연신 후 열처리 과정에서 경화 및 건조되어 도막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신 전 또는 일축 연신 후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층을 형성함으로써 인쇄층과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간의 접착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태양광 모듈 제조 시,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프라이머층이 봉지재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와의 높은 접착력으로 인해 태양광 모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코팅층에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와 같은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코팅층의 일 양태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 2 ~ 20 중량%, 실리콘 웨팅제 0.1 ~ 1.0 중량%, 실리카 입자 0.1 ~ 1.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분산 조성물을 제조하여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한 후, 연신 및 열처리공정을 거쳐 건조 도포 두께를 30 ~ 120nm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방법은 메이어바 방식, 그라비아 방식 등 공지의 도포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술폰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과 디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는 글리콜 성분이 공중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으로,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술폰산 알칼리 금속 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성분은 프탈산, 테레프탈산, 테레프탈산디메틸, 이소프탈산, 이소프탈산 디메틸, 2,5-디메틸테레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르복실산, 비페닐디카르복실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시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 등의 지환족 디카르복실산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술폰산 알칼리 금속염 화합물은 일예로, 술포테레프탈산, 5-술포 이소프탈산, 4-술포 이소프탈산, 4-술포 나프탈렌산-2,7-디카르복실산 등의 알칼리 금속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전체 산 성분 중 6 ~ 20몰% 포함될 수 있다. 6 몰%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물에 대한 수지의 분산 시간이 길어지고, 분산성이 낮으며, 20몰%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내수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글리콜 성분은 디에틸렌글리콜과 탄소수 2~8의 지방족 또는 탄소수 6~12의 지환족 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2-프로필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3-시클로헥산디메탄올, 1,2-시클로헥산디메탄올, 1,6-헥산디올, P-자일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때 디에틸렌글리콜을 전체 글리콜 성분 중 20 ~ 80 몰%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코팅층의 일 양태는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2 ~ 20 중량%, 실리콘 웨팅제 0.1 ~ 1.0 중량%, 실리카 입자 0.1 ~ 1.0 중량% 및 잔량의 물이 포함되도록 수분산 조성물을 제조하여 기재 필름상에 도포한 후, 연신 및 열처리공정을 거쳐 건조 도포 두께를 30 ~ 120nm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방법은 메이어바 방식, 그라비아 방식 등 공지의 도포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선형 디올 및 말단기가 3개 이상인 분지형 글리콜과 이소시아네이트계 단량체를 중합시킨 프리폴리머를 수분산이 가능하도록 무기산염기로 블로킹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분지형 글리콜은 관능기가 3개 또는 3개 이상인 글리콜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프라이머 코팅층은 일부 또는 전부가 무기산염기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가 2개인 선형 프리폴리머 10 ~ 75 중량%와 일부 또는 전부가 무기산염기로 블로킹되어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말단기가 3개 이상인 분지형 프리폴리머 25 ~ 90 중량%로 이루어진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와 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코팅조성물이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지형 프리폴리머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도록 함으로써 봉지재와의 접착성이 우수한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분지형 프리폴리머의 함량이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과도한 겔화에 의해 점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수분산 조성물을 제조하기 어렵고, 필름 표면에 코팅 시 표면에 크랙이 발생하는 등의 표면외관에 결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은 일예로, 폴리올 39 ~ 45중량%, 트리메틸올 프로판 0.3 ~ 1.2 중량% 및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 50 ~ 57 중량%를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를 말단기로 갖는 프리폴리머를 제조한 후, 무기산염을 3 ~ 4 중량%를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 말단에 황산염의 이온성기를 블록킹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 또는 폴리에테르계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계폴리올을 사용한다.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올로는 카르본산, 세바신산 또는 산무수물과 다가알코올의 반응으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올 등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은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디올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트리메틸올 프로판은 3관능기를 갖는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0.3 ~ 1.2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 중량%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가교밀도가 떨어지며, 안티블로킹성(Anti-Blocking)이 떨어질 수 있고, 1.2 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가교밀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연신성이 나빠지게 되어 코팅 외관이 우수하지 못하며, 접착력이 나빠질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은 50 ~ 57 중량%를 사용하는 범위에서 3관능기를 갖는 프리폴리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무기산염은 황산수소나트륨(Sodium Hydrogen Sulfat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3 ~ 4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코팅층의 일 양태는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우레탄계 수지 2 ~ 20 중량%, 실리콘 웨팅제 0.1 ~ 1.0 중량%, 실리카 입자 0.1 ~ 1.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도록 수분산 조성물을 제조하여 기재 필름상에 도포한 후, 연신 및 열처리공정을 거쳐 건조 도포 두께를 30~120nm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방법은 메이어바 방식, 그라비아 방식 등 공지의 도포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혼합비는 9:1 ~ 6:4 중량비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와 폴리우레탄계 수지의 혼합물 2 ~ 20중량%, 실리콘 웨팅제 0.1 ~ 1.0 중량%, 실리카 입자 0.1 ~ 1.0 중량% 및 잔량의 물이 포함되도록 수분산 조성물을 제조하여, 기재 필름상에 도포한 후, 연신 및 열처리공정을 거쳐 건조 도포 두께를 30~120nm의 두께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 방법은 메이어바 방식, 그라비아 방식 등 공지의 도포방법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인쇄층]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인쇄층은 바인더수지, 유기용매 및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흑색잉크 조성물을 도포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바인더수지는 열경화 수지 단독 또는 열경화성 수지와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수지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열경화성 수지로는 폴리우레탄계 수지가 바람직하며, 열경화성 폴리우레탄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우레탄 등을 포함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가 10℃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리전이온도 10 ~ 5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전이온도(Tg)가 10℃ 미만인 경우 인쇄층의 전사가 손쉽게 일어나며, 유리전이온도(Tg)가 50℃초과인 경우 너무 강직하여 (Brittle) 인쇄층이 구부려질 경우 쉽게 깨질 수 있어 작업성이 떨어질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수지가 바람직하며, 열가소성 폴리비닐클로라이드는 폴리비닐클로라이드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물, 폴리비닐클로라이드호모폴리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Tg)가 40℃이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40℃미만인 경우, 인쇄층의 블로킹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수지와의 혼합수지로 사용함에 있어서 폴리비닐클로라이드수지와 폴리우레탄수지를 20:80 ~ 80:20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에서 사용함으로써 흑색 안료의 균일 분산성을 확보하고, 인쇄층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접착력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확보 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상기 바인더 수지를 용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솔벤트 나프타, 디메틸포름아미드,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아세트산에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디옥산, 시클로헥사논, n-헥산, 톨루엔, 크실렌,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흑색안료는 카본블랙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평균 입경이 15 ~ 58nm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인쇄층의 표면을 평탄하게 하는데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인쇄층 내에 5 ~ 6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목적으로 하는 심미성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적절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포 방법은 스크린 인쇄방식, 오프셋 방식, 디지털 프린팅 방식,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코팅, 스프레이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등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흑색안료 조성물은 흑색안료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분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인쇄층은 두께가 1 ~ 35㎛인 것이 기재필름과의 단차가 적으면서 충분한 함량의 흑색안료를 포함하므로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방법]
본 발명의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a) 고유점도가 0.80 ~ 1.4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제 1 컴파운딩칩, 고유점도가 0.80 ~ 1.4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제 2 컴파운딩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고유점도가 0.63 ~ 0.9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미연신 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일축연신 후, 폭방향으로 이축연신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바인더수지, 유기용매 및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인쇄층용 조성물을 상기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도포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a)단계는 제 1 컴파운딩칩, 제 2 컴파운딩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고유점도가 0.63 ~ 0.9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를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a)단계는 고유점도가 0.63 ~ 0.9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고유점도가 0.8 ~ 1.4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벤조페논계 화합물(Benzophenone),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Benzotriazole), 벤조옥사지논계 화합물(Benzoxazinone), 벤조에이트계 화합물(Benzoate), 페닐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Phenyl Salicylates) 및 힌더드아민계 화합물(Hindered Am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광안정제를 혼련한 제 1 컴파운딩 칩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는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이 투명필름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a)단계에서, 고유점도가 0.63 ~ 0.9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고유점도가 0.8 ~ 1.4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무기입자를 혼련한 제 2컴파운딩 칩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는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이 백색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상기 a)단계에서, 고유점도가 0.63 ~ 0.9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고유점도가 0.8 ~ 1.4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벤조페논계 화합물(Benzophenone),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Benzotriazole), 벤조옥사지논계 화합물(Benzoxazinone), 벤조에이트계 화합물(Benzoate), 페닐살리실레이트계 화합물(Phenyl Salicylates) 및 힌더드아민계 화합물(Hindered Ami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광안정제를 혼련한 제 1 컴파운딩 칩 및 고유점도가 0.8 ~ 1.4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무기입자를 혼련한 제 2 컴파운딩 칩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는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이 백색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으로,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연신배율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각각 2 ~ 6배인 것일 수 있으며, 연신 후 이완 및 열고정하는 단계를 추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미연신 시트를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연신 후, 열처리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방법으로 연신 및 열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연신은 80℃ ~ 110℃로 가열된 롤 사이에서 롤 간의 주속차이를 이용하여 2 ~ 6배 연신하고, 폭 방향으로 연신은 95℃ ~ 160℃에서 2 ~ 6배 연신하고, 이완 및 열처리는 200℃ ~ 240℃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기재필름은 두께가 150 ~ 350㎛인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b)단계에서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은 필름 연신공정에 따라 필름에 도포되는 시기를 달리하는데, 축차이축 연신의 경우에는 필름의 길이 방향 연신 이후에 상기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고 필름 폭 방향으로의 연신이 진행되며, 동시이축 연신의 경우에는 미연신 시트에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을 도포한 후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방향으로의 연신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c)단계는 인쇄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린 인쇄방식, 오프셋 방식, 디지털 프린팅 방식,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코팅, 스프레이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에서 선택되는 방법으로 인쇄층용 조성물을 인쇄하여 형성하는 것일 수 있으며, 두께는 1 ~ 35㎛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쇄층용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물성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 기재필름의 고유점도
필름을 160± 2℃에서 오르쏘 클로로 페놀(Ortho Chloro Phenol)로 녹인 후, 25℃의 조건에서 자동점도 측정기(Skyvis-4000)를 이용하여 점도관에서의 시료 점도를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 1로 시료의 고유 점성도(intrinsic viscosity, I.V.)를 구하였다. 고유점도의 단위는 dl/g이다.
[계산식 1]
고유점성도(IV) = {(0.0242× Rel)+0.2634}× F
Figure pat00001
2) UV 투과도
분광광도계(Varian社, UV-Vis Spectrophotometer Cary 5000)를 사용하여, 200nm ~ 800nm파장에서의 투과율을 측정하고, 360nm에서의 투과율을 확인하였다.
상기 360nm에서의 투과율을 UV투과도로 명시하였다.
3) 백색도 (Whiteness Index)
필름 Roll 전폭에서 길이방향(MD)으로 1m이내에서 측정 시료 10장을 채취한 뒤, 분광측색기(Datacolor社, Datacolor 600)을 이용하여 필름 시료 낱장의 백색도(Whiteness Index)를 각각 측정한 후,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한 8개 시료의 평균값을 구하여, 이를 백색도(Whiteness Index)로 하였다.
4) PCT(Pressure Cooker Test)후, MD방향 신도 유지율
상기 PCT 테스트는 121℃, RH100%에서 5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며, MD방향 신도 유지율의 단위는 %이다.
필름 Roll의 길이 방향으로 5m이내의 길이 범위 내에서 세로 방향은 필름의 MD방향으로 하고 가로 방향은 TD방향으로 하여 300mm × 200mm 크기로 측정시료를 2매 채취한다. 우선 채취된 1매의 시료에 대해 MD방향과 TD방향의 길이를 300mm×15mm 크기로 하여 물성 측정용 시료를 만든 후, 측정 시료폭을 15mm, 시료장 (Gauge Length) 50mm, 인장속도(Cross head-up speed) 500mm/min로 하여 만능인장 시험기(Instron社 Tensile Test Machine)을 이용하여 PCT 처리 전 필름의 기계방향(MD)에 대한 절단 신도를 10회 측정한 후,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하고 평균값을 구하였다.
MD방향 300mm, TD방향 200mm로 채취된 다른 1매의 시료에 대해 하나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하여 TD방향으로 연속하여 15mm의 간격으로 MD방향에 대해 200mm길이가 되게 칼로 시료를 자르고 이를 10회 반복하여 시료크기(MD×TD)가 200mm×15mm인 잘라진 필름이 하나의 시료에 매달려 있는 형상이 되게 한 후, TD방향의 절단 시작점으로 부터 270mm위치에 펀칭을 하여 구멍을 내고, 이를 오토클레이브 내의 시료걸이에 매달아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하여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서 넣은 후, 121℃×100% RH× 2bar 압력의 고온ㆍ고습 조건으로 50시간 동안 시료를 에이징(Aging) 시킨다. 에이징(Aging)이 완료되면 이를 오토클레이브(Autoclave)에서 꺼내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시료에서 에이징 전에 칼로 미리 잘라놓은 200mm×15mm 크기의 작은 시료를 채취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측정 시료폭을 15mm, 시료장 (Gauge Length) 50mm, 인장속도(Cross head-up speed) 500mm/min로 하여 만능인장 시험기(Instron社 Tensile Test Machine)을 이용하여 PCT 처리후 필름의 기계방향(MD)에 대한 절단 신도를 10회 측정한 후, 최대값 및 최소값을 제외하고 평균값을 구하였다.
상기 PCT 처리전 및 PCT 처리후 MD방향의 신도값을 이용하여 PCT후 MD방향 신도유지율을 하기 계산식 2에 따라 구하였다.
[계산식 2]
Figure pat00002
5) 열수축율 (150℃×30분)
필름의 기계방향(MD) 및 폭방향(TD)에 대해 200mm × 200mm의 정방향으로 재단하여 필름의 기계방향 및 폭방향의 길이를 측정한 후, 이를 150℃의 오븐(Oven)중에 무하중 상태에서 30분간 열수축 시킨 후, 열수축된 필름의 기계방향(MD) 및 폭방향(TD)의 길이를 측정하여 필름의 기계방향(MD) 및 폭방향(TD)의 열수축율을 하기 계산식 3에 따라 구하였다.
[계산식 3]
Figure pat00003
6) 접착성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기재필름 상에 형성된 인쇄층에 대해 Cross Hatch Cutter(YCC-230/1)을 이용하여 1cm×1cm크기에 100개의 칸이 형성되도록 한 후, 접착력 평가 테이프인 Nichban사 No.405을 이용하여 접착력을 평가하였다.
접착력 평가 테이프를 100개의 격자위에 단단하게 밀착시켜 부착 시킨 후, 3분뒤에 접착력평가 테이프를 떼어내는 행위를 3회 반복한 후, 기재필름에 잔존하고 있는 격자의 수를 카운팅하여 계산식 4에 따라 접착력을 구하였다.
[계산식 4]
Figure pat00004
7) 모듈 제조 및 효율성 평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필름을 이용하여 모듈을 제조한 후, 이의 효율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두께 2.5㎜ 저철분 강화유리, 두께 500㎛ EVA봉지재, 6인치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 태양전지 셀, 두께 500㎛ EVA봉지재, 상기 실시예의 인쇄층이 형성된 필름 혹은 비교예의 필름을 순차적으로 적층하고 진공 라미네이터에서 5분간 진공, 10분간 150℃에서 가압 압착하여, 예상출력 200W의 태양전지 모듈을 제작하였다.
Spire社의 SPI-SUNSIMULATOR 4600i 제품을 사용하여 모듈에서의 개방전압(Voc), 단락전류(Isc), 정격전압(Vpm), 정격전류(Ipm)를 측정하였다.
제조된 모듈의 전력 변화 효율을 평가하기 위해 우선 계산식5에 따라 모듈의 전력(Pmax)을 구하였으며, 계산식6에 따라 비교예의 전력치를 기준으로 실시예의 효율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계산식 5]
Figure pat00005
[계산식 6]
Figure pat00006
[제조예 1] 제 1 컴파운딩칩의 제조
고유점도 0.95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 90중량%와 벤조옥사지논 (Benzoxazinone)계 광안정제를 10중량% 혼합하여 리본믹서에서 30rpm으로 10분간 혼련한 후, 공급구가 두 개, 벤트구가 한 개 있는 동방향 회전형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70℃에서 용융압출하여 제 1 컴파운딩 칩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제 2 컴파운딩칩의 제조
고유점도 0.95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 50중량%와 평균입경이 0.22㎛인 루타일형(Rutile) 이산화티탄 50중량%를 혼합하여 리본믹서에서 30rpm으로 10분간 혼련한 후, 공급구가 두 개, 벤트구가 한 개 있는 동방향 회전형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70℃에서 용융압출하여 제 2 컴파운딩 칩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1) 기재필름의 제조
상기 제 1 컴파운딩칩 15중량%와 고유점도 0.80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85중량%를 압출기에 넣고, 280℃에서 용융하였다. 이후, 티다이를 통하여 압출하면서 20℃의 캐스팅롤에서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길이방향으로 3.4배 연신한 후, 연속하여 폭방향으로 3.8배 연신하고 230℃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두께 160㎛의 기재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2) 인쇄층 형성
흑색안료로 평균입경 27㎚인 카본블랙 20 중량%, 혼합수지 20 중량% 및 혼합용매를 60중량%를 혼합하여 인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수지는 유리전이온도 74℃, 중량평균분자량 27,000g/mol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수지와, 유리전이온도 23℃, Shore Hardness 54D, 비중 1.21인 폴리우레탄수지를 50 : 50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혼합용매는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사이클로 헥사논을 중량비로 1 : 1 : 1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인쇄층용 조성물을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기재필름에 도포하고, 건조 온도 80℃에서, 분당 10M의 공정속도로 두께 3㎛의 인쇄층을 인쇄하였다.
이때, 인쇄는 도 5와 같이, 태양광모듈 조립 시 태양전지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필름의 물성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모듈의 전력(Pmax)으로 부터 구해진 모듈의 효율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1) 기재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1에서 길이방향으로 3.4배 연신한 후, 하기 방법으로 제조된 프라이머 코팅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바코팅(Bar Coating) 방법으로 필름에 도포하고, 연속하여 폭방향으로 3.8배 연신한 후, 230℃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두께 80㎚의 프라이머 코팅층이 형성된 두께 160㎛의 기재 필름을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2) 프라이머 코팅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의 제조
(1) 폴리에스테르 바인더의 제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2,6-Naphtalene dicarboxly acid) 40mol(26몰%), 소듐 2,5-디카르복시벤젠설포네이트(sodium 2,5-dicarboxylbenzene sulfonate) 5몰(3.3몰%), 디메틸테레프탈산 5몰(3.3몰%)와 비스[4(2-히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Bis[4(2-hydroxyethoxy)phenyl]fluorene) 20몰(13.3몰%),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KAO CORPORATION사의 제품(상품명85P)) 10몰(6.6몰%), 에틸렌글리콜 70몰(46.6몰%)를 무용매 상태에서 혼합하여 이를 반응기에 넣고 170℃에서 250℃까지 분당 1℃ 승온하면서 반응시켜 에스테르화 반응을 진행하고, 260℃까지 승온하는 것과 동시에 반응기 내 압력을 1mmHg로 감압하여 부생성물인 디올을 회수하면서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여 고유점도가 1.0 인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테르수지의 고유점도는 테트라 클로로 에탄 : 페놀 중량비 = 1 : 1 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고, 35℃에서 점도관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수지 20중량%에 물 80중량%를 넣고, 분산시켜 고형분 함량이 20 중량%인 프라이머 코팅층용 폴리에스테르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2) 폴리우레탄 바인더의 제조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디올(Polyethyleneadipate Diol) 40중량%, 트리메틸올프로판(Trimethylol Propane) 0.6중량%,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examethylene Diisocyanate) 55.9중량%를 반응시켜 이소시아네이트 관능기를 말단기로 갖는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제조한 후, 이온성기로 소듐 하이드로겐 설페이트(Sodium Hydrogen Sulfate) 3.5중량%를 프리폴리머의 말단 관능기인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켜 이온성기를 갖으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4,400 g/mol인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폴리우레탄 20중량%를 물 80중량%에 분산 시켜 고형분이 20 중량%인 프라이머 코팅층용 폴리우레탄 바인더를 제조하였다.
(3) 코팅 조성물의 제조
상기 폴리에스테르 바인더와 폴리우레탄 바인더를 85 : 15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액 5중량%, 실리콘계 웨팅제 0.3중량%, 평균입경이 140㎚인 콜로이드 실리카 입자 0.3중량%를 증류수에 첨가하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프라이머 코팅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 인쇄층 형성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필름의 물성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모듈의 전력(Pmax)으로 부터 구해진 모듈의 효율성을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1) 필름의 제조
상기 제 2 컴파운딩칩 30중량%와 고유점도 0.80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70중량%를 압출기에 넣고, 280℃에서 용융하였다. 이후, 티다이를 통하여 압출하면서 20℃의 캐스팅롤에서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길이방향으로 3.0배 연신한 후, 연속하여 폭방향으로 3.4배 연신하고 225℃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두께 310㎛의 기재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2) 인쇄층 형성
흑색안료로 평균입경 27㎚인 카본블랙 10 중량%, 유리전이온도 74℃, 중량평균분자량 27,000g/mol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수지와 유리전이온도 23℃, Shore Hardness 54D, 비중 1.21인 폴리우레탄수지를 40 : 60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수지 30 중량%, 용매로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사이클로 헥사논을 중량비로 1 : 1 : 1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60중량%를 혼합하여 인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인쇄층용 조성물을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기재필름의 일면에 도포하고, 건조 온도 80℃에서, 분당 5M의 공정속도로 두께 15㎛의 인쇄층을 인쇄하였다.
이때, 인쇄는 도 6과 같이, 태양광모듈 조립시 태양전지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필름의 물성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모듈의 전력(Pmax)으로 부터 구해진 모듈의 효율성을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1) 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3에서 길이방향으로 3.0배 연신한 후, 실시예 2와 동일한 프라이머 코팅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바코팅(Bar Coating) 방법으로 필름에 도포하고, 연속하여 폭방향으로 3.4배 연신한 후, 225℃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프라이머 코팅층이 형성된 두께 310㎛의 기재 필름을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2) 인쇄층 형성
상기 실시예3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필름의 물성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모듈의 전력(Pmax)으로 부터 구해진 모듈의 효율성을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1) 필름의 제조
상기 제 1 컴파운딩칩 10중량%와, 제 2 컴파운딩칩 10 중량% 및 고유점도 0.80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80중량%를 압출기에 넣고, 280℃에서 용융하였다. 이후, 티다이를 통하여 압출하면서 20℃의 캐스팅롤에서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길이방향으로 3.2배 연신한 후, 연속하여 폭방향으로 3.6배 연신하고 225℃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두께 200㎛의 기재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2) 인쇄층 형성
흑색안료로 평균입경 27㎚인 카본블랙 10 중량%, 유리전이온도 74℃, 중량평균분자량 27,000g/mol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수지와 유리전이온도 23℃, Shore Hardness 54D, 비중 1.21인 폴리우레탄수지를 60 : 40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수지 35 중량%, 용매로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및 사이클로 헥사논을 중량비로 1 : 1 : 1로 혼합한 혼합용매를 55중량%를 혼합하여 인쇄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인쇄층용 조성물을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기재필름에 도포하고, 건조 온도 80℃에서, 분당 4M의 공정속도로 두께 30㎛의 인쇄층을 인쇄하였다.
이때, 인쇄는 도 6과 같이, 태양광모듈 조립 시 태양전지가 위치하는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필름의 물성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모듈의 전력(Pmax)으로 부터 구해진 모듈의 효율성을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1) 필름의 제조
상기 실시예 5에서 길이방향으로 3.2배 연신한 후, 실시예 2와 동일한 프라이머 코팅층 형성용 코팅 조성물을 바코팅(Bar Coating) 방법으로 필름에 도포하고, 연속하여 폭방향으로 3.6배 연신한 후, 225℃에서 열처리를 행하여 프라이머 코팅층이 형성된 두께 200㎛의 기재 필름을 제조한 점을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2) 인쇄층 형성
상기 실시예5와 동일한 방법으로 인쇄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필름의 물성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모듈의 전력(Pmax)으로 부터 구해진 모듈의 효율성을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고유점도 0.95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 90중량%와 평균입경이 27㎚인 카본 블랙 10중량%를 혼합하여 리본믹서에서 30rpm으로 10분간 혼련한 후, 공급구가 두 개, 벤트구가 한 개 있는 동방향 회전형 이축 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270℃에서 용융압출하여 컴파운딩 칩을 제조하였다.
상기 컴파운딩 칩 10중량%와 고유점도 0.80dl/g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칩 90중량%를 압출기에 넣고, 280℃에서 용융하여 실시예6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별도의 프라이머층 및 인쇄층을 형성하지는 않았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모듈의 전력(Pmax)으로 부터 구해진 모듈의 효율성을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구분 기재
필름의 고유
점도
(dl/g)
UV
투과도
(%)
백색도 MD신도
유지율
(%)
MD 열수축율
(%)
접착력 (%) 모듈
효율성
(%)
실시예1 0.71 1.32 73.5 67.2 1.1 8 105
실시예2 0.70 1.35 72.7 62.5 1.0 100 106
실시예3 0.64 0.08 96.3 50.2 1.0 6 108
실시예4 0.65 0.09 95.8 43.1 0.9 100 109
실시예5 0.66 0.32 87.8 51.3 1.2 5 107
실시예6 0.67 0.33 86.9 44.2 1.1 100 108
비교예1 0.64 0.00 7.8 21.4 1.2 0 100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의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는 태양전지가 위치하지 않는 부분에만 흑색 안료를 도포하여 줌으로 인해 외관상의 심미적인 아름다움을 부여해줌과 동시에 블랙 필름을 사용한 비교예1에 비하여 태양열의 흡수에 의한 모듈내 온도 상승이 적어 모듈의 전력변화 효율성이 5%이상 크게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블랙필름을 적용한 비교예1에 비하여 실시예 1 내지 6의 필름은 PCT처리후의 MD신도 유지율이 높아 내가수분해 특성이 우수하며, 이를 통해 외부 환경에 대한 내후성 또한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흑색 안료를 도포하여 형성된 인쇄층에 대한 접착력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실시예 2,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6과 같이 필름 제조공정 중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360㎚에서 UV투과도 5% 이하 또는 백색도 80이상, 고유점도 0.60~0.85dl/g, 150℃에서 30분후, 기계방향 수축율이 2%이하, 121℃ RH100%에서 50시간 후 기계방향 신도유지율이 40%이상인 필름을 사용하여 태양광 모듈에 적용되는 솔라셀과 동일한 색상을 나타내도록 해도형상으로 연속적인 패턴을 갖는 인쇄층을 형성하고,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 솔라셀이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열의 흡수에 의해 솔라셀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모듈의 전력변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외관상 솔라셀과 동일한 색상의 인쇄층을 가지는 백시트를 적용함으로써 심미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10 : 기재필름
20 : 인쇄층
30 : 태양전지 셀

Claims (15)

  1.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과,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이의 일면 또는 양면에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층이 형성된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은 백색도가 80이상, 고유점도가 0.60 ~ 0.85 dl/g, 150℃에서 30분 후, 기계방향 열수축율이 2.0%이하, 121℃, RH 100%에서 50시간 후 기계방향 신도 유지율이 40%이상인 백색필름(A) 또는
    UV투과도가 360㎚에서 5%이하, 고유점도가 0.60 ~ 0.85 dl/g, 150℃에서 30분 후, 기계방향 열수축율이 2.0%이하, 121℃, RH 100%에서 50시간 후 기계방향 신도 유지율이 40%이상인 투명필름(B)인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광안정제, 무기입자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안정제의 함량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체 중량 중 0.15 내지 1.5 중량%인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입자의 함량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전체 중량 중 3 ~ 20 중량%인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은 두께가 150 ~ 350㎛이고, 상기 인쇄층은 두께가 1 ~ 35㎛인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바인더수지로 유리전이 온도가 10 ℃이상인 열경화성 수지, 또는 상기 열경화성수지와 유리전이 온도가 40℃이상인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흑색안료는 카본블랙인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유리전이온도가 10℃ 이상인 폴리우레탄계수지와 유리전이온도가 40℃ 이상인 폴리비닐클로라이드계 수지의 혼합수지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흑색안료는 인쇄층 내에 5 ~ 6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이격 배치되어 형성되는 인쇄층, ⅱ)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고, 연속적인 패턴을 가지는 인쇄층, ⅲ) 솔라셀의 테두리를 따라 상기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인쇄층 및 ⅳ) 해도(sea island) 형태로 폴리에스테르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형성되는 인쇄층에서 선택되는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태양광 모듈의 솔라셀과 일부 중첩되는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
  13. a) 고유점도가 0.80 ~ 1.4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광안정제를 포함하는 제 1 컴파운딩칩, 고유점도가 0.80 ~ 1.4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와 무기입자를 포함하는 제 2 컴파운딩칩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 및 고유점도가 0.63 ~ 0.90 dl/g인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미연신 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일축연신 후, 폭방향으로 이축연신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바인더수지, 유기용매 및 흑색안료를 포함하는 인쇄층용 조성물을 상기 기재필름 표면의 일부분에만 도포하여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의 제조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상기 연신 전 또는 일축 연신 후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의 제조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도포는 스크린 인쇄방식, 오프셋 방식, 디지털 프린팅 방식, 롤 코팅, 그라비아 코팅, 리버스 코팅, 스프레이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에서 선택되는 것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60123042A 2016-09-26 2016-09-26 태양광 모듈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4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042A KR102544688B1 (ko) 2016-09-26 2016-09-26 태양광 모듈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042A KR102544688B1 (ko) 2016-09-26 2016-09-26 태양광 모듈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732A true KR20180033732A (ko) 2018-04-04
KR102544688B1 KR102544688B1 (ko) 2023-06-15

Family

ID=61975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042A KR102544688B1 (ko) 2016-09-26 2016-09-26 태양광 모듈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46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1243A (zh) * 2018-08-24 2019-01-11 杭州福禧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背板废膜及其边角料再利用的方法
IT201900012165A1 (it) * 2019-07-17 2021-01-17 Invent S R L Pannello fotovoltaico perfezionato
KR20220127139A (ko) * 2021-03-10 2022-09-1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해수용 태양전지 백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787A (ko) * 2012-03-14 2014-11-26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JP2015003466A (ja) * 2013-06-21 2015-01-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5182282A1 (ja) * 2014-05-28 2015-12-03 東レ株式会社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60028101A (ko) *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백시트
KR20170003008A (ko) * 2015-06-30 2017-01-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5787A (ko) * 2012-03-14 2014-11-26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태양전지 이면 봉지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JP2015003466A (ja) * 2013-06-21 2015-01-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5182282A1 (ja) * 2014-05-28 2015-12-03 東レ株式会社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60028101A (ko) * 2014-09-03 2016-03-11 주식회사 엘지화학 백시트
KR20170003008A (ko) * 2015-06-30 2017-01-0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81243A (zh) * 2018-08-24 2019-01-11 杭州福禧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背板废膜及其边角料再利用的方法
IT201900012165A1 (it) * 2019-07-17 2021-01-17 Invent S R L Pannello fotovoltaico perfezionato
KR20220127139A (ko) * 2021-03-10 2022-09-1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해수용 태양전지 백시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4688B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859B1 (ko) 태양광 모듈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TWI506803B (zh) 太陽能電池背面封裝片及太陽能電池模組
KR101662872B1 (ko) 태양전지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US9608153B2 (en) Multilayer white polyester film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film and use of this film as part of a back sheet for photovoltaic cells
US8912427B2 (en) Polyester film for sealing backside of solar cell
WO2012029760A1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61386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2544688B1 (ko) 태양광 모듈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7243B1 (ko) 박막 태양광모듈의 전면 유리 대체용 복합 플라스틱 필름
WO2012043000A1 (ja) 太陽電池裏面保護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TWI499064B (zh) 太陽能電池用白色聚酯薄膜、使用其之太陽能電池背面封裝片及太陽能電池模組
JP2011139036A (ja) 太陽電池用易接着性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バックシート
TWI684523B (zh) 太陽能電池用白色聚酯薄膜、使用其之太陽能電池背面密封片及太陽能電池模組
JP2015188015A (ja) 太陽電池裏面保護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太陽電池裏面保護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3214778A (ja) 太陽電池裏面保護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8125321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シート、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20100132351A (ko) 이축연신 폴리에스터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