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540A -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셔터 기구 - Google Patents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셔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540A
KR20180033540A KR1020187005048A KR20187005048A KR20180033540A KR 20180033540 A KR20180033540 A KR 20180033540A KR 1020187005048 A KR1020187005048 A KR 1020187005048A KR 20187005048 A KR20187005048 A KR 20187005048A KR 20180033540 A KR20180033540 A KR 20180033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arm
pair
convex portion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179B1 (ko
Inventor
테츠로 나가미
아키노리 츠카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1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01Details
    • G11B17/0405Closing mechanism, e.g. do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3Direct insertion, i.e. without external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3Containers for flat record carriers
    • G11B23/0301Details
    • G11B23/0308Shutt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캠용 볼록부(44)가 암(6)의 캠홈(61) 내를 활주함으로써, 셔터(2)가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의 2개의 위치에 있을 때에 암(6)이 암(5)에 가까워지고, 셔터(2)가 당해 2개의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하고 있을 때에 암(6)이 암(5)으로부터 멀어지기 때문에 스프링(7)이 크게 변위하고, 셔터(2)의 조작감이 생긴다.

Description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셔터 기구
본 발명은 CD(Compact Disc) 등의 미디어를 삽입하는 삽입구로부터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셔터 기구를 구비한 미디어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셔터 기구의 한 예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개폐 장치가 있다. 이 개폐 장치에서는 한 쌍의 링크 부재가 얇은 판금으로 구성되고, 일단부에 부착볼트의 나사부를 통과시키는 관통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각 링크 부재는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자유롭게 슬라이드 섀시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링크 부재는 타단부가 서로 회전 자유롭게 연결하여 있음과 함께, 쌍방의 긴변방향에 따라 이동 자유롭게 타단부끼리가 서로 연결하여 있다. 한 쌍의 링크 부재의 타단부 사이에는 스프링이 걸쳐져 있다. 이 스프링은 타단부끼리를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한 쌍의 링크 부재를 가세하고 있다.
이 개폐 장치에서, 부착볼트의 나사부가 슬라이드 섀시의 슬라이드 구멍 내를 이동하고, 또한, 링크 부재가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슬라이드 섀시에 대해 회전함과 함께 링크 부재의 타단부끼리가 회전 및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슬라이드 섀시를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전면 패널에 대해 슬라이드시킨다.
특허 문헌 1 : 국제공개 제2006/106648호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개폐 장치에서는 슬라이드 섀시의 슬라이드 거리가 짧고, 한 쌍의 링크 부재의 회전량이 적다. 그때문에 슬라이드 섀시가 삽입구를 막는 폐쇄위치 또는 개방하는 개방위치에 있을 때와, 슬라이드 섀시가 슬라이드하고 있을 때에서, 스프링이 늘거나 줄거나 하는 변위량에 큰 차이가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유저가 슬라이드 섀시를 슬라이드시킬 때에 개폐쇄위치와 슬라이드 도중에서 조작감에 차가 생기기 어렵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슬라이드 섀시를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에서 유지하는 스프링의 유지력이 약하다는 과제도 있다.
슬라이드 섀시를 유지하는 힘을 강하게 하기 위해 스프링의 힘을 강하게 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스프링의 힘을 강하게 하면, 부착볼트와 관통 구멍과의 마찰력이 커지고 활주 저항도 커지기 때문에 원활한 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부착볼트와 관통 구멍은 금속끼리의 활주이기 때문에 이음의 원인이 된다. 또한, 마찰력이 커짐에 의해 내구성이 악화한다. 또한, 스프링의 힘을 강하게 하였다고 하여도, 셔터의 개폐 동작시의 조작감에 차가 생기기 어렵다. 그때문에 강한 스프링을 이용하는 일 없이, 슬라이드 섀시의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에서 강한 유지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암의 회전량이 적어도 스프링을 크게 변위시켜서 셔터의 개폐 동작시의 조작감에 차를 발생시키는 것, 또한, 강한 스프링을 이용하지 않아도 셔터의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에서 강한 유지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허 문헌 1의 링크 부재 및 슬라이드 섀시는 본 발명의 암 및 셔터에 상당한다.
본 발명에 관한 미디어 재생 장치는 미디어를 삽입하는 삽입구가 마련된 패널과, 한 쌍의 베이스홈, 회전축 볼록부, 가이드 볼록부 및 캠용 볼록부가 마련되고, 패널의 배면에 고정된 베이스와, 한 쌍의 베이스홈에 계합하는 한 쌍의 샤프트가 마련되고, 당해 한 쌍의 샤프트가 한 쌍의 베이스홈 내를 활주함으로써, 패널의 정면에서 삽입구를 막는 폐쇄위치 및 삽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슬라이드하는 셔터와, 각각의 일단부가 한 쌍의 샤프트에 계합하고, 각각의 타단부끼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거나 하는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계합한 한 쌍의 암과, 한 쌍의 암을 끌어당겨 모으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한 쌍의 암 중의 일방의 암은 베이스의 회전축 볼록부에 회전 가능하게 계합하는 회전축구멍이 마련되고, 셔터의 슬라이드에 응하여 회전축 볼록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암이고, 한 쌍의 암 중의 타방의 암은 베이스의 가이드 볼록부에 회전 가능하면서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는 긴구멍 형상의 계합구멍 및 베이스의 캠용 볼록부에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는 곡선형상의 캠홈이 마련되고, 셔터의 슬라이드에 응하여, 가이드 볼록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원근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캠용 볼록부가 캠홈 내를 활주함으로써 셔터가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의 2개의 위치에 있을 때에 일방의 암에 가까워지고 당해 2개의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하고 있을 때에 일방의 암으로부터 멀어지는 암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방의 암은 베이스의 회전축 볼록부에 회전 가능하게 계합하는 회전축구멍이 마련되고, 셔터의 슬라이드에 응하여 회전축 볼록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타방의 암은 베이스의 가이드 볼록부에 회전 가능하면서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는 긴구멍 형상의 계합구멍 및 베이스의 캠용 볼록부에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는 곡선형상의 캠홈이 마련되고, 셔터의 슬라이드에 응하여, 가이드 볼록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원근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캠용 볼록부가 캠홈 내를 활주함으로써 셔터가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의 2개의 위치에 있을 때에 일방의 암에 가까워지고 당해 2개의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하고 있을 때에 일방의 암으로부터 멀어진다. 이에 의해 셔터가 2개의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하고 있을 때에 일방의 암으로부터 타방의 암이 멀어지고, 스프링이 크게 변위하기 때문에 셔터의 개폐 동작시의 조작감에 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캠홈은 셔터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는 한 쌍의 암을 개방향으로 가세하고, 셔터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는 한 쌍의 암을 폐방향으로 가세하는 캠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스프링의 힘을 강하게 하지 않아도 유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셔터 기구가 마련된 미디어 재생 장치의 셔터가 닫혀진 때의 정면도.
도 2는 셔터 기구의 셔터가 열려진 때의 정면도.
도 3은 셔터 기구의 셔터가 닫혀진 때의 배면도.
도 4는 셔터 기구를 배면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로서, 셔터가 닫혀진 때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셔터 기구를 배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6은 셔터의 배면측에 마련된 샤프트를 확대한 외관 사시도.
도 7A는 셔터 기구의 일방의 암의 배면도, 도 7B는 평면도.
도 8A는 셔터 기구의 또 일방의 암의 배면도, 도 8B는 평면도.
도 9A는 셔터 기구의 셔터가 닫혀진 때의 배면도, 도 9B는 캠홈과 캠용 볼록부의 확대도.
도 10A는 셔터 기구의 셔터가 슬라이드하고 있는 도중의 배면도, 도 10B는 캠홈과 캠용 볼록부의 확대도.
도 11A는 셔터 기구의 셔터가 열려진 때의 배면도, 도 11B는 캠홈과 캠용 볼록부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관해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셔터 기구(1)가 마련된 미디어 재생 장치(10)의 셔터(2)가 닫혀진 때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셔터 기구(1)의 셔터(2)가 열려진 때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셔터 기구(1)의 셔터(2)가 닫혀진 때의 배면도이다.
미디어 재생 장치(10)의 전면(前面)의 패널(3)에는 CD 등의 미디어를 출입하는 삽입구(31)와, 셔터(2)가 슬라이드하는 방향으로 늘어난 2개의 가이드홈(32)이 마련되어 있다. 도시례의 삽입구(31)는 CD를 출입하는 개구부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메모리를 넣었다 뺐다 하는 커넥터 등이라도 좋다. 개구부로부터 미디어 재생 장치(10) 내부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또는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해 패널(3)의 외측에 셔터(2)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셔터(2)가 삽입구(31)를 막는 위치 즉 도 1에 도시하는 셔터(2)의 위치를 「폐쇄위치」라고 부르고, 셔터(2)가 삽입구(31)를 개방하는 위치 즉 도 2에 도시하는 셔터(2)의 위치를 「개방위치」라고 부른다.
또한, 셔터 기구(1)를 미디어 재생 장치(10)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지만, 셔터 기구(1)를 어떤 장치에 적용하여도 좋다.
도 4는 셔터 기구(1)를 배면측에서 본 외관 사시도이고, 셔터(2)가 닫혀진 때를 나타낸다. 도 5는 셔터 기구(1)를 배면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패널(3)의 배면측에는 미디어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판독하여 재생하는 재생부가 있지만,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셔터 기구(1)는 셔터(2)와, 베이스(4)와, 암(5, 6)과, 스프링(7)을 구비하고 있다. 암(5, 6)과 스프링(7)은 셔터(2)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의 2개의 위치로 슬라이드시켜서 유지하는 링크 기구를 구성한다.
셔터(2)의 배면측에는 패널(3)의 2개의 가이드홈(32) 및 베이스(4)의 2개의 베이스홈(41)에 삽입되는 2개의 샤프트(8)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6에 셔터(2)의 배면측에 마련된 샤프트(8)를 확대한 외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샤프트(8)에는 근원측부터 선단측을 향하여, 원통부(81), 중경부(82), 소경부(83) 및 선단부(84)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81)는 가이드홈(32)의 폭보다도 약간 소경이다. 중경부(82)는 원통부(81)보다 소경이다. 소경부(83)는 중경부(82)보다도 소경이다. 선단부(84)는 원통부(81)와 같은 지름이다. 2개의 샤프트(8)의 각 원통부(81)가 셔터(2)의 2개의 가이드홈(32)에 계합하여 가이드홈(32) 내를 활주함에 의해 셔터(2)가 패널(3)에 대해 가이드홈(32)과 같은 슬라이드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다. 또한, 원통부(81)가 가이드홈(32)에서의 슬라이드 방향의 양단부에 당접함에 의해 셔터(2)가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에서 위치 결정된다.
패널(3)의 배면측에는 2개의 나사(9)에 의해 박판 판금의 베이스(4)가 부착되어 있다. 이 베이스(4)에는 2개의 샤프트(8)에 계합하는 2개의 베이스홈(41)이 마련되어 있다. 베이스홈(41)은 슬라이드부(45) 및 대경부(46)로 이루어진다. 슬라이드부(45)는 가이드홈(32)을 마주 보는 위치에 형성되고, 셔터(2)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늘어난 형상이고, 그 폭은 샤프트(8)의 중경부(82)의 지름보다 넓고, 원통부(81)의 지름보다 좁다. 대경부(46)는 슬라이드부(45)의 단부로부터 셔터(2)의 슬라이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고, 샤프트(8)의 선단부(84)의 지름보다도 대경이다. 또한, 베이스(4)에는 암(5)의 회전 중심축이 되는 회전축 볼록부(42)와, 암(6)의 회전 및 후술하는 원근 방향으로의 이동의 가이드가 되는 가이드 볼록부(43)와, 암(6)의 캠홈(61)에 계합하는 캠용 볼록부(44)가 드로잉 가공으로 시행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4)에는 회전축 볼록부(42)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홈(47)이 마련되어 있다.
암(5, 6)은 베이스(4)의 배면, 즉 재생부에 대향하는 면에 부착되어 있다.
도 7A는 암(5)의 배면도, 도 7B는 암(5)의 평면도이다. 이 암(5)은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M) 등의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고, 회전축구멍(51), 샤프트 계합구멍(52), 스프링 훅(53), 암 계합구멍(54) 및 훅 부(55)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구멍(51)은 베이스(4)의 회전축 볼록부(42)와 계합한다. 샤프트 계합구멍(52)은 암(5)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각구멍부(52a) 및 둥근구멍부(52b)로 이루어지는 열쇠구멍 형상이고, 샤프트(8)에 계합한다. 각구멍부(52a)의 폭은 샤프트(8)의 소경부(83)의 지름보다 넓고, 중경부(82)의 지름보다 좁다. 둥근구멍부(52b)는 샤프트(8)의 선단부(84)의 지름보다도 대경이다. 스프링 훅(53)은 암(5)의 배면측에서 회전축구멍(51)과 샤프트 계합구멍(52)의 사이에 마련되고, 스프링(7)의 일단부를 걸어서 고정한다. 암 계합구멍(54)은 암(5)에서의 샤프트 계합구멍(52)과는 반대의 타단부에 형성된, 암(5)과 암(6)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거나 하는 원근 방향으로 길다란 긴구멍이고, 암(6)의 볼록부(65)와 계합한다. 훅 부(55)는 탄성을 가지며, 암(5)의 정면 측, 즉 베이스(4)측에 형성되고 원호홈(47)에 계합한다. 도시례에서는 훅 부(55)를 스냅핏트 형상으로 함으로써 탄성을 갖게 하고 있다.
도 8A는 암(6)의 배면도, 도 8B는 암(6)의 평면도이다. 이 암(6)도, 암(5)과 마찬가지로 수지 성형되어 있고, 캠홈(61), 계합구멍(62), 샤프트 계합구멍(63), 스프링 훅(64) 및 볼록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캠홈(61)은 셔터(2)의 슬라이드 방향에 개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61a)가 형성된 곡선형상이고, 베이스(4)의 캠용 볼록부(44)에 계합한다. 계합구멍(62)은 암(5)과 암(6)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거나 하는 원근 방향으로 길다란 긴구멍이고, 베이스(4)의 가이드 볼록부(43)에 계합하여 암(6)의 회전 및 원근 방향으로의 이동의 가이드가 된다. 샤프트 계합구멍(63)은 암(6)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각구멍부(63a) 및 둥근구멍부(63b)로 이루어지는 열쇠구멍 형상이고, 샤프트(8)에 계합한다. 각구멍부(63a)의 폭은 샤프트(8)의 소경부(83)의 지름보다 넓고, 중경부(82)보다 좁다. 둥근구멍부(63b)는 샤프트(8)의 선단부(84)의 지름보다 대경이다. 스프링 훅(64)은 암(6)의 배면측에서 계합구멍(62)과 샤프트 계합구멍(63)의 사이에 마련되고, 스프링(7)의 타단부를 걸어서 고정한다. 볼록부(65)는 암(6)에서의 샤프트 계합구멍(63)과는 반대의 타단부에 형성되고, 암(5)의 암 계합구멍(54)에 계합한다.
스프링(7)은 인장 스프링이고, 일단부가 암(5)의 스프링 훅(53)에 부착되고, 타단부가 암(6)의 스프링 훅(64)에 부착되어 있다. 이 스프링(7)에 의해 암(5)과 암(6)에는 서로를 끌어당겨 모으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고 있다.
다음에 셔터 기구(1)의 조립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셔터(2)에 고정된 각각의 샤프트(8)기, 패널(3)의 가이드홈(32)에 각각 삽입되고, 셔터(2)가 개방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계속해서, 가이드홈(32)을 관통한 각각의 샤프트(8)기, 베이스(4)의 각각의 베이스홈(41)의 대경부(46)에 끼워넣어지고, 베이스(4)가 도 5의 A방향으로 슬라이드됨에 의해 샤프트(8)가 대경부(46)로부터 베이스홈(41)의 슬라이드부(45)로 이동된 후, 나사(9)에 의해 패널(3)과 베이스(4)가 고정된다. 이에 의해 패널(3)의 정면측에 셔터(2)가 부착되고, 패널(3)의 배면측에 베이스(4)가 부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패널(3)의 가이드홈(32)에는 샤프트(8)의 원통부(81)가 계합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4)의 베이스홈(41)은 샤프트(8)의 중경부(82)에 계합하고 있고, 베이스(4)는 원통부(81)와 선단부(84) 사이에 위치한다. 원통부(81) 및 선단부(84)의 지름과, 베이스홈(41)의 폭과의 대소 관계에 의해 이 상태에서 샤프트(8)가 베이스(4)에 유지된다.
계속해서, 암(6)이 베이스(4)에 부착된다. 그때, 우선, 암(6)의 샤프트 계합구멍(63)의 둥근구멍부(63b)에 샤프트(8)의 선단부(84)가 삽입되고, 암(6)이 A방향으로 슬라이드됨에 의해 샤프트(8)가 각구멍부(63a)로 이동된다. 계속해서, 계합구멍(62)이 가이드 볼록부(43)에 끼워넣어지고, 캠홈(61)이 캠용 볼록부(44)에 끼워넣어져서, 암(6)이 베이스(4)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암(6)의 각구멍부(63a)에 샤프트(8)의 소경부(83)가 계합하고 있다.
계속해서, 암(5)이 베이스(4)에 부착된다. 그때, 우선, 암(5)의 샤프트 계합구멍(52)의 둥근구멍부(52b)에 샤프트(8)의 선단부(84)가 삽입되고, 암(5)이 A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슬라이드됨에 의해 샤프트(8)가 각구멍부(52a)로 이동된다. 계속해서, 회전축구멍(51)이 회전축 볼록부(42)에 끼워넣어지고, 암 계합구멍(54)이 볼록부(65)에 끼워넣어지고, 스냅핏트 형상을 한 훅 부(55)가 원호홈(47)에 끼워넣어져서, 암(5)이 베이스(4)에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암(5)의 각구멍부(52a)에 샤프트(8)의 소경부(83)가 계합하고 있다.
그 후, 스프링(7)이 암(5)의 스프링 훅(53)과, 암(6)의 스프링 훅(64)에 부착되어, 셔터 기구(1)의 조립이 완성된다.
종래에는 암(5, 6)을 베이스(4)에 부착하기 위해 나사, E링 또는 커트와셔 등의 체결 부재가 필요하고, 조립성이 나빴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샤프트 계합구멍(52, 63)에 샤프트(8)의 소경부(83)가 끼워넣어지고, 소경부(83)보다도 대경의 선단부(84)가 샤프트 계합구멍(52, 63) 주변에 당접하여 들뜸을 억제한다. 또한, 암(5)이 암(6)에 덮이도록 겹쳐져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암(5)이 암(6)의 들뜸을 억제한다. 또한, 암(5)은 스냅핏트 형상의 훅 부(55)가 원호홈(47)에 계합함에 의해 베이스(4)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고서, 조립성이 우수한 셔터 기구(1)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셔터 기구(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9A는 셔터 기구(1)의 셔터(2)가 닫혀진 때의 배면도, 도 9B는 캠홈(61)과 캠용 볼록부(44)의 확대도이다. 도 10A는 셔터 기구(1)의 셔터(2)가 개방위치와 폐쇄위치의 사이를 슬라이드하고 있는 도중의 배면도, 도 10B는 캠홈(61)과 캠용 볼록부(44)의 확대도이다. 도 11A는 셔터 기구(1)의 셔터(2)가 열려진 때의 배면도, 도 11B는 캠홈(61)과 캠용 볼록부(44)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9∼도 11에서는 패널(3)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1, 도 3 및 도 9A와 같이 셔터(2)가 폐쇄위치에 있으며 삽입구(31)가 막혀진 상태에서는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한 하중이, 암(5)과 암(6)을 서로 끌어당기도록 작용한다. 이 하중에 의해 암(5)은 회전축 볼록부(42)에 계합하는 회전축구멍(51)을 지점으로 하여 도 3의 +B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고, 암(6)은 가이드 볼록부(43)에 계합하는 계합구멍(62)을 지점으로 하여 도 3의 +C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 가세력이 각각의 샤프트(8)에 작용하고, 원통부(81)가 가이드홈(32)의 단부에 꽉 눌리고, 셔터(2)가 닫히는 방향으로 눌려지게 된다.
또한, 스프링 훅(53, 64)을 암(5, 6)의 가능한 한 외측(外側), 또한, 암(5, 6)의 셔터(2)에 가까운 측의 정면이 아니라 셔터(2)로부터 먼 측의 배면에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스프링(7)의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암(5, 6)이 재생부측으로 솟아오르기 쉬워지고, 셔터(2)가 패널(3)에 꽉 눌려진다. 따라서, 셔터(2)의 덜컹거림이 억제되고, 진동 등에 의한 셔터(2)와 패널(3)의 두드리는 소리에 의한 이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암(5)의 가능한 한 외측이란, 회전축구멍(51)보다도, 샤프트 계합구멍(52)에 계합하는 샤프트(8)에 가까운 위치라고 한다. 또한, 암(6)의 가능한 한 외측이란, 계합구멍(62)보다도, 샤프트 계합구멍(63)에 계합하는 샤프트(8)에 가까운 위치라고 한다.
셔터(2)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미디어를 삽입구(31)에 삽입하기 위해 유저가 셔터(2)에 작용하고 있는 가세력을 거슬러서 셔터(2)에 힘을 가하여 여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유저가 셔터(2)를 슬라이드시키려고 한 힘이, 각각의 샤프트(8)를 통하여 암(5, 6)에 작용하여, 도 9A의 상태의 암(5)은 회전축구멍(51)을 지점으로 하여 -B 방향으로 회전하고, 암(6)은 계합구멍(62)을 지점으로 하여 -C 방향으로 회전한다.
셔터(2)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7)의 하중에 의해 캠홈(61)의 돌출부(61a)보다도 단(端)에 베이스(4)의 캠용 볼록부(44)가 계합하고, 도 9B의 상태가 되어 있다. 유저가 셔터(2)를 슬라이드시켜, 암(6)이 - C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용 볼록부(44)가 돌출부(61a)의 사면을 올라가면서 캠홈(61) 내를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도 10B의 상태가 된다. 이때, 도 10A와 같이, 긴구멍 형상의 계합구멍(62) 내를 가이드 볼록부(43)가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암(6)이 암(5)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즉 스프링(7)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캠용 볼록부(44)가 돌출부(61a)를 타고 올라가기 직전에는 스프링(7)이 최대로 늘어난 상태가 되고, 스프링 반력이 최대가 된다. 그 때문에 암(6)의 회전 시작부터 도중까지는 급격하게 회전에 대항하는 힘이 늘어나게 되고, 셔터(2)를 슬라이드 시키는데 필요로 하는 힘도 증가한다. 또한, 도 9B의 상태에서 도 10B의 상태로 천이할 때, 캠홈(61)이, 암(6) 및 이 암(6)과 타단부끼리가 계합하고 있는 암(5)을 폐방향으로 가세하는 캠으로서 기능하여, 셔터(2)를 폐쇄위치로 유지하는 강한 힘이 생긴다.
그 후, 캠용 볼록부(44)가 돌출부(61a)를 타고넘은 때에는 도 10B로부터 도 11B의 상태로 이전될려고, 스프링(7)의 반력에 의해 급속하게 캠용 볼록부(44)가 돌출부(61a)를 상대적으로 미끄러 내려가면서 캠홈(61) 내를 이동한다. 그때문에 암(6)은 계합구멍(62)을 지점으로 하여, -C 방향으로 급속하게 회전한다. 암(5)과 암(6)은 암 계합구멍(54)과 볼록부(65)와의 계합에 의해 링크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개략 축대칭의 움직임이 된다. 따라서, 암(6)의 -C 방향으로의 급속한 회전에 맞추어서, 암(5)도, 회전축구멍(51)을 지점으로 하여 -B 방향으로 급속하게 회전한다. 암(5) 및 암(6)에 계합된 샤프트(8)는 가이드홈(32)에 따라 D방향으로 이동하고, 마찬가지로 셔터(2)는 개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샤프트(8)의 원통부(81)가 가이드홈(32)의 단부에 당접하면, 도 2 및 도 11A와 같이 셔터(2)가 개방위치에 있으며 삽입구(3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정지한다.
셔터(2)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7)의 하중이, 암(5)과 암(6)을 서로 끌어당기도록 작용한다. 이 하중에 의해 암(5)은 회전축 볼록부(42)에 계합하는 회전축구멍(51)을 지점으로 하여 도 3의 -B 방향으로 가세되고, 암(6)은 가이드 볼록부(43)에 계합하는 계합구멍(62)을 지점으로 하여 도 3의 -C 방향으로 가세된다. 이 가세력이 각각의 샤프트(8)에 작용하고, 원통부(81)가 가이드홈(32)의 단부에 꽉 눌리고, 셔터(2)가 개방향으로 눌려지게 된다. 또한, 캠홈(61)기, 암(6) 및 이 암(6)과 타단부끼리가 계합하고 있는 암(5)을 개방향으로 가세하는 캠으로서 기능하여, 셔터(2)를 개방위치로 유지한 강한 힘이 생긴다.
셔터(2)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유저가 셔터(2)에 작용하고 있는 가세력에 거슬러서 셔터(2)를 닫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면, 도 11A의 상태의 암(5)은 회전축구멍(51)을 지점으로 하여 +B 방향으로 회전하고, 암(6)은 계합구멍(62)을 지점으로 하여 +C로 회전한다. 셔터(2)가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 이동할 때의 셔터 기구(1)의 동작은 셔터(2)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의 셔터 기구(1)의 동작 방향이 반대가 된 것뿐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 의해 실시의 형태 1에 관한 미디어 재생 장치(10)는 미디어를 삽입하는 삽입구(31)가 마련된 패널(3)과, 한 쌍의 베이스홈(41), 회전축 볼록부(42), 가이드 볼록부(43) 및 캠용 볼록부(44)가 마련되고, 패널(3)의 배면에 고정된 베이스(4)와, 한 쌍의 베이스홈(41)에 계합하는 한 쌍의 샤프트(8)가 마련되고, 당해 한 쌍의 샤프트(8)가 한 쌍의 베이스홈(41) 내를 활주함으로써, 패널(3)의 정면에서고 삽입구(31)를 막는 폐쇄위치 및 삽입구(31)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슬라이드하는 셔터(2)와, 각각의 일단부가 둥근구멍부(52b, 63b)에 의해 한 쌍의 샤프트(8)에 계합하고, 각각의 타단부끼리가 암 계합구멍(54)과 볼록부(65)에 의해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거나 하는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계합한 암(5, 6)과, 암(5, 6)을 끌어당겨 모으는 스프링(7)을 구비하고 있다. 일방의 암(5)은 베이스(4)의 회전축 볼록부(42)에 회전 가능하게 계합하는 회전축구멍(51)이 마련되고, 셔터(2)의 슬라이드에 응하여 회전축 볼록부(4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구성이다. 타방의 암(6)은 베이스(4)의 가이드 볼록부(43)에 회전 가능하면서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는 긴구멍 형상의 계합구멍(62) 및 베이스(4)의 캠용 볼록부(44)에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는 곡선형상의 캠홈(61)이 마련되고, 셔터(2)의 슬라이드에 응하여, 가이드 볼록부(43)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원근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캠용 볼록부(44)가 캠홈(61) 내를 활주함으로써 셔터(2)가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의 2개의 위치에 있을 때에 일방의 암(5)에 가까워지고 당해 2개의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하고 있을 때에 일방의 암(5)으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셔터(2)가 2개의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하고 있을 때에 암(5)으로부터 암(6)이 멀어지고, 스프링(7)이 크게 변위하기 때문에 셔터(2)의 슬라이드 거리가 짧고 암(5, 6)의 회전량이 적어도, 셔터(2)가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에 있을 때와 슬라이드하고 있을 때에 조작감의 차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캠홈(61)은 셔터(2)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는 암(5, 6)을 개방향으로 가세하고, 셔터(2)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는 암(5, 6)을 폐방향으로 가세하는 캠으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스프링(7)의 힘을 강하게 하지 않아도 유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강한 스프링(7)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해진다. 또한, 스프링(7)의 힘이 작용하는 활주부분의 마찰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프링(7)의 힘에 의해 암(5, 6)을 끌어당겨 모으는 링크 기구를 이용하였기 때문에 셔터(2)의 슬라이드 방향에 대한 기울어짐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캠홈(61)이 마련된 암(6)은 수지로 구성되고, 캠용 볼록부(44)가 마련된 베이스(4)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 캠홈(61)과 캠용 볼록부(44)는 다른 재질끼리의 활주이기 때문에 마찰이 감소하고 조작감이 향상함과 함께, 활주시의 이음을 저감할 수도 있다. 또한, 캠홈(61)을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캠용 볼록부(44)의 편마모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면, 일방의 암(5)은 셔터(2)로부터 먼 배면, 또한, 회전축구멍(51)보다 샤프트(8)에 가까운 위치에 스프링 훅(53)이 마련되어 있다. 타방의 암(6)은 셔터(2)로부터 먼 배면, 또한, 계합구멍(62)보다 샤프트(8)에 가까운 위치에 스프링 훅(64)이 마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스프링(7)이 인장한 힘이, 셔터(2)를 패널(3)에 꽉누르는 힘으로 되고, 셔터(2)의 덜컹거림이 억제되고, 이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실시의 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변형, 또는 실시의 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생략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셔터 기구(1)는 미디어 재생 장치(10)에 적용하는 것으로 한하지 않고, 셔터에 의한 개폐를 필요로 하는 각종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그 경우, 셔터 기구(1)는 적어도, 한 쌍의 베이스홈(41), 회전축 볼록부(42), 가이드 볼록부(43) 및 캠용 볼록부(44)가 마련된 베이스(4)와, 한 쌍의 베이스홈(41)에 계합하는 한 쌍의 샤프트(8)가 마련되고, 당해 한 쌍의 샤프트(8)가 한 쌍의 베이스홈(41) 내를 계합함으로써,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에 상당하는 베이스(4)상의 2개의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하는 셔터(2)와, 각각의 일단부가 한 쌍의 샤프트(8)에 계합하고, 각각의 타단부끼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거나 하는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계합한 암(5, 6)과, 암(5, 6)을 끌어당겨 모으는 스프링(7)을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그리고, 일방의 암(5)은 베이스(4)의 회전축 볼록부(42)에 회전 가능하게 계합하는 회전축구멍(51)이 마련되고, 셔터(2)의 슬라이드에 응하여 회전축 볼록부(42)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구성으로 한다. 타방의 암(6)은 베이스(4)의 가이드 볼록부(43)에 회전 가능하면서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는 긴구멍 형상의 계합구멍(62) 및 베이스(4)의 캠용 볼록부(44)에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는 곡선형상의 캠홈(61)이 마련되고, 셔터(2)의 슬라이드에 응하여, 가이드 볼록부(43)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원근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캠용 볼록부(44)가 캠홈(61) 내를 활주함으로써 셔터(2)가 2개의 위치에 있을 때에 암(5)에 가까워지고 2개의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하고 있을 때에 암(5)으로부터 멀어지는 구성으로 한다. 이 구성의 경우에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셔터(2)의 조작감의 차를 발생시킬 수 있고, 또한, 스프링(7)의 힘을 강하게 하지 않아도 유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에 관한 셔터 기구는 개구부를 개폐하는 셔터의 조작감을 발생시킴과 함께, 셔터의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에서 강한 유지력을 발생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차량 등의 진동이 있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장치에 이용하는데 적합하다.
1 : 셔터 기구 2 : 셔터
3 : 패널 4 : 베이스
5 : 암 6 : 암
7 : 스프링 8 : 샤프트
9 : 나사 10 : 미디어 재생 장치
31 : 삽입구 32 : 가이드홈
41 : 베이스홈 42 : 회전축 볼록부
43 : 가이드 볼록부 44 : 캠용 볼록부
45 : 슬라이드부 46 : 대경부
47 : 원호홈 51 : 회전축구멍
52 : 샤프트 계합구멍 52a : 각구멍부
52b : 둥근구멍부 53 : 스프링 훅
54 : 암 계합구멍 55 : 훅 부
61 : 캠홈 61a : 돌출부
62 : 계합구멍 63 : 샤프트 계합구멍
63a : 각구멍부 63b : 둥근구멍부
64 : 스프링 훅 65 : 볼록부
81 : 원통부 82 : 중경부
83 : 소경부 84 : 선단부

Claims (4)

  1. 미디어를 삽입하는 삽입구가 마련된 패널과,
    한 쌍의 베이스홈, 회전축 볼록부, 가이드 볼록부 및 캠용 볼록부가 마련되고, 상기 패널의 배면에 고정된 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홈에 계합하는 한 쌍의 샤프트가 마련되고, 당해 한 쌍의 샤프트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홈 내를 활주함으로써, 상기 패널의 정면에서 상기 삽입구를 막는 폐쇄위치 및 상기 삽입구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슬라이드하는 셔터와,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샤프트에 계합하고, 각각의 타단부끼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거나 하는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계합한 한 쌍의 암과,
    상기 한 쌍의 암을 끌어당겨 모으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암 중의 일방의 암은 상기 베이스의 회전축 볼록부에 회전 가능하게 계합하는 회전축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셔터의 슬라이드에 응하여 상기 회전축 볼록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암이고,
    상기 한 쌍의 암 중의 타방의 암은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 볼록부에 회전 가능하면서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는 긴구멍 형상의 계합구멍 및 상기 베이스의 캠용 볼록부에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는 곡선형상의 캠홈이 마련되고, 상기 셔터의 슬라이드에 응하여, 상기 가이드 볼록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원근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상기 캠용 볼록부가 상기 캠홈 내를 활주함으로써 상기 셔터가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의 2개의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일방의 암에 가까워지고 당해 2개의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하고 있을 때에 상기 일방의 암으로부터 멀어지는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홈이 마련된 상기 타방의 암은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캠용 볼록부가 마련된 상기 베이스는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암은 상기 셔터로부터 먼 면 또한, 상기 회전축 구멍보다도 상기 일방의 암에 계합하는 일방의 상기 샤프트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스프링 훅이 마련되고,
    상기 타방의 암은 상기 셔터로부터 먼 면 또한, 상기 계합구멍보다도 상기 타방의 암에 계합하는 타방의 상기 샤프트에 가까운 위치에 상기 스프링의 타단부를 고정하는 스프링 훅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4. 한 쌍의 베이스홈, 회전축 볼록부, 가이드 볼록부 및 캠용 볼록부가 마련된 베이스와,
    상기 한 쌍의 베이스홈에 계합하는 한 쌍의 샤프트가 마련되고, 당해 한 쌍의 샤프트가 상기 한 쌍의 베이스홈 내를 활주함으로써, 상기 베이스상의 2개의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하는 셔터와,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한 쌍의 샤프트에 계합하고, 각각의 타단부끼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거나 하는 원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계합한 한 쌍의 암과,
    상기 한 쌍의 암을 끌어당겨 모으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암 중의 일방의 암은 상기 베이스의 회전축 볼록부에 회전 가능하게 계합하는 회전축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셔터의 슬라이드에 응하여 상기 회전축 볼록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암이고,
    상기 한 쌍의 암 중의 타방의 암은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 볼록부에 회전 가능하면서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는 긴구멍 형상의 계합구멍 및 상기 베이스의 캠용 볼록부에 활주 가능하게 계합하는 곡선형상의 캠홈이 마련되고, 상기 셔터의 슬라이드에 응하여, 상기 가이드 볼록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상기 원근 방향으로 이동함과 함께, 상기 캠용 볼록부가 상기 캠홈 내를 활주함으로써 상기 셔터가 상기 2개의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일방의 암에 가까워지고 상기 2개의 위치 사이를 슬라이드하고 있을 때에 상기 일방의 암으로부터 멀어지는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셔터 기구.
KR1020187005048A 2015-10-14 2015-10-14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셔터 기구 KR102066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9014 WO2017064764A1 (ja) 2015-10-14 2015-10-14 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シャッタ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540A true KR20180033540A (ko) 2018-04-03
KR102066179B1 KR102066179B1 (ko) 2020-01-14

Family

ID=5851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048A KR102066179B1 (ko) 2015-10-14 2015-10-14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셔터 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11910B2 (ko)
JP (1) JP6246438B2 (ko)
KR (1) KR102066179B1 (ko)
WO (1) WO20170647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6478A (zh) * 2018-05-11 2018-11-06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计算机硬盘防震保护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4765A1 (ja) * 2015-10-14 2017-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シャッタ機構
US10664962B1 (en) 2017-12-13 2020-05-26 Amazon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direction of illumination
US10699152B1 (en) * 2017-12-13 2020-06-30 Amazon Technologies, Inc. Image data illumination det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7378A (ja) * 1997-03-05 1998-09-14 Alpine Electron Inc スライド式ドア開閉機構
JP2005166144A (ja) * 2003-12-01 2005-06-23 Sony Corp 再生装置
WO2006106648A1 (ja) 2005-03-30 2006-10-12 Pioneer Corporation 開閉装置及び記録媒体再生装置
JP2011253581A (ja) * 2010-06-01 2011-12-15 Jvc Kenwood Corp ドア装置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422B1 (ko) * 2002-07-03 2005-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잠금수단을 갖는 디스크 드라이브의 프런트 패널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드라이브
KR20080081664A (ko) * 2007-03-06 2008-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플레이어
CN101311875B (zh) * 2007-05-22 2011-07-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驱挡板组合
WO2017064765A1 (ja) * 2015-10-14 2017-04-20 三菱電機株式会社 メディア再生装置およびシャッタ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47378A (ja) * 1997-03-05 1998-09-14 Alpine Electron Inc スライド式ドア開閉機構
JP2005166144A (ja) * 2003-12-01 2005-06-23 Sony Corp 再生装置
WO2006106648A1 (ja) 2005-03-30 2006-10-12 Pioneer Corporation 開閉装置及び記録媒体再生装置
JP2011253581A (ja) * 2010-06-01 2011-12-15 Jvc Kenwood Corp ドア装置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6478A (zh) * 2018-05-11 2018-11-06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计算机硬盘防震保护装置
CN108766478B (zh) * 2018-05-11 2020-05-22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计算机硬盘防震保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40497A1 (en) 2018-08-23
JPWO2017064764A1 (ja) 2018-01-18
JP6246438B2 (ja) 2017-12-13
KR102066179B1 (ko) 2020-01-14
WO2017064764A1 (ja) 2017-04-20
US10311910B2 (en) 201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3540A (ko)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셔터 기구
JP4845558B2 (ja) 携帯機器
JP2007186884A (ja) ヒンジ
JP4604254B2 (ja) チルトヒンジ
JP2009299861A (ja) ヒンジ装置
JP2007145055A (ja) 自動車のドアヒンジ装置
KR101939381B1 (ko) 자동차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KR101652772B1 (ko) 차량용 암레스트 힌지구조
JP5606621B2 (ja) パネル駆動装置
KR20180018738A (ko) 미디어 재생 장치 및 셔터 기구
JP2005188542A (ja) ヒンジ
JP3998512B2 (ja) ドアチェック装置
CN209921946U (zh) 枢纽器与使用其的置物盒
JP4905078B2 (ja) ダンパー装置
JP2016151355A (ja) チルトヒンジ及び電子機器
JP2015017689A5 (ja) ヒンジ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モニタ装置
JP5092952B2 (ja) ヒンジ
KR100957042B1 (ko) 디스크 드라이브 도어 개폐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컴퓨터
JP6469607B2 (ja) カップホルダー
JP2006260629A (ja) 蓋開閉機構
JP2010077655A (ja) 蓋開閉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情報処理装置
JP5202771B2 (ja) パネル駆動装置
JP2005228394A (ja) 扉構造
JP2005071511A (ja) 記録媒体用ディスク収納ケース
JP3551553B2 (ja) 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ー開閉機構及びカートリッジのシャッター開閉機構を有する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