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344A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344A
KR20180033344A KR1020160122057A KR20160122057A KR20180033344A KR 20180033344 A KR20180033344 A KR 20180033344A KR 1020160122057 A KR1020160122057 A KR 1020160122057A KR 20160122057 A KR20160122057 A KR 20160122057A KR 20180033344 A KR20180033344 A KR 20180033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window
adhesive member
shell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8021B1 (ko
Inventor
김태식
박춘성
소경섭
이경수
최대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2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021B1/ko
Priority to US15/713,368 priority patent/US20180088375A1/en
Priority to CN201710865254.3A priority patent/CN107871823A/zh
Priority to EP17192534.0A priority patent/EP3299876B1/en
Publication of KR20180033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524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H01L27/323
    • H01L51/528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6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H10K50/865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comprising light absorbing layers, e.g. light-block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C09J2201/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31Cover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0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 G02F2202/022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 G02F2202/023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curable
    • G02F2202/025Materials and properties organic material polymeric curable thermocur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납 공간을 갖는 지지 프레임; 수납 공간에 배치되는 표시 모듈; 및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되며 투과 영역과 비투과 영역을 갖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윈도우의 비투과 영역에 배치된 차광층; 및 차광층과 지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며, 윈도우는 접착 부재에 의하여 지지 프레임과 결착되고, 접착 부재는,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파열된 쉘 구조; 및발열성 경화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윈도우와 표시 모듈을 고정하기 위한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발광 방식에 따라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표시 장치는 표시 모듈과 표시 모듈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지지 프레임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표시 모듈을 지지 프레임 상에 직접 부착한다. 접착 부재는 표시 모듈과 지지 프레임을 부착하기 위해 경화가 이루어진다. 접착 부재의 경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은 경우, 표시 모듈과 지지 프레임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표시 모듈, 지지 프레임 및 윈도우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고, 기포에 의한 접착 불량을 개선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수납 공간을 갖는 지지 프레임; 수납 공간에 배치되는 표시 모듈; 및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되며 투과 영역과 비투과 영역을 갖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윈도우의 비투과 영역에 배치된 차광층; 및 차광층과 지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며, 윈도우는 접착 부재에 의하여 지지 프레임과 결착되고, 접착 부재는,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 파열된 쉘 구조; 및 발열성 경화제;를 포함한다.
파열된 쉘 구조는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아크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성 경화제는, DTA(diethylenetriamine), TTA(triethylenetetramine), TEPA(tetraethylenepentaime), DPDA(diproprenediamine), DEAPA(diethylaminopropylamine), MDA(menthane diamine), IPDA(isophoronediamine), MPDA(metaphenylene diamine), DDM(diaminodiphenylmethane), DDS(diaminodiphenylsulfo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는, 점착성 고분자 수지, 모노머 및 경화 촉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경화 촉진제는 piperidine, dimethyl-piperidine, triethylenediamine, benzyl dimethylamine, 2-(dimethyl aminomethyl) phenol, 2,4,6-tri(dimethylamino methylphen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는 쉘을 더 포함하고, 발열성 경화제는 쉘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표시 모듈은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제 1 기판; 제 1 기판과 대향 배치된 제 2 기판; 및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 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제 1 기판; 제 1 기판 상의 배치된 제 1 전극; 제 1 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 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은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투과 영역 및 비투과 영역을 갖는 윈도우의 일면에 차광층을 배치하는 단계; 차광층 상에 접착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접착 부재가 배치된 윈도우와 표시 모듈을 수납한 지지 프레임을 부착하는 단계; 윈도우 및 지지 프레임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접착 부재는,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된 쉘; 쉘 내부에 수용된 발열성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쉘은, DTA(diethylenetriamine), TTA(triethylenetetramine), TEPA(tetraethylenepentaime), DPDA(diproprenediamine), DEAPA(diethylaminopropylamine), MDA(menthane diamine), IPDA(isophoronediamine), MPDA(metaphenylene diamine), DDM(diaminodiphenylmethane), DDS(diaminodiphenylsulfo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은 3kgf/㎡ 내지 10kgf/㎡일 수 있다.
쉘은 압력에 의해 파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착 부재는 발열 반응에 의해 경화되어 접착 부재의 모듈러스(Modulus)를 감소시키고, 단차부를 충진하여 기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발열 반응에 의해 접착 부재의 순간 접착력이 향상되어 접착 면적을 종래에 비해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의 경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 및 발열성 경화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절단선 Ⅱ-Ⅱ`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절단선 Ⅲ-Ⅲ`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선을 따라 자른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지지 프레임(100), 표시 모듈(200), 윈도우(300), 차광층(321) 및 접착 부재(400)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100)은 후술할 표시 모듈(200)을 지지하는 평면부(101) 및 평면부(101)로부터 절곡된 측벽부(102)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100)은 평면부(101) 및 측벽부(102)에 의해 정의된 수납 공간을 가진다. 이 수납 공간에 후술할 표시 모듈(200)이 수납된다.
지지 프레임(100)은 강성 및 방열 특성이 좋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납 프레임(100)은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구리, 구리 합금, 및 전기 아연 도금 강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렉서블 특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모듈(2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100)에 의해 형성된 수납 공간에 배치된다.
표시 모듈(200)은 표시 패널(210) 및 터치 센서 유닛(22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210)은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210)은 수광형 표시 패널로서, 액정 표시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전기습윤 표시 패널(electrowetting display panel), 전기영동 표시 패널(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MEMS 표시 패널(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210)은 적어도 일방향으로 휘어질 수 있는 플렉서블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평면상에서 볼 때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며 영상이 표시되지 않은 비표시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표시 패널(210)은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패널(210)은 여러 가지 형태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10) 상에 편광 부재(231)가 배치될 수 있다. 편광 부재(231)는 표시 패널(21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표시 패널(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편광 부재(231)는 표시 패널(210)의 전면을 덮도록 표시 패널(2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편광 부재(231)는 단일층 또는 편광 필름과 위상차 필름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220)은 표시 패널(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220)은 표시 장치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서 감압식 또는 정전 용량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터치 센서 유닛(220)은 별도의 기판 상에 복수의 센싱 전극들이 배치된 구조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센서 유닛(220)은 별도의 기판 없이 표시 패널(210) 상에 직접 배치된 온-셀(on-cell) 방식이거나, 표시 패널(210) 내에 형성된 인-셀(in-cell) 방식일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표시 모듈(200)은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표시 패널 구동부 및 터치 센서 유닛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 구동부는 표시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캔 드라이버(미도시)와 데이터 드라이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 구동부는 비표시 영역에 배치된 패드 전극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 구동부는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표시 패널(210)의 비표시 영역에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다. 이때, 표시 패널(210)은 스캔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를 서로 연결하는 배선들(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표시 패널 구동부는 반드시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생략될 수도 있다. 표시 패널 구동부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완충부재(미도시)가 비표시 영역에 더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IC일 수 있다.
터치 센서 유닛 구동부는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터치 수단에 의한 터치를 인식한 터치 센서 유닛(220)으로부터 터치가 수행된 위치에 대응되는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윈도우(300)는 표시 모듈(200) 상에 배치되어 외부의 스크래치(scratch)로부터 표시 모듈(200)을 보호한다.
윈도우(300)는 투과 영역(310) 및 비투과 영역(320)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비투과 영역(320)은 투과 영역(310)을 둘러싸며, 윈도우(300)의 가장자리에 위치할 수 있다.
윈도우(300)는 유리(glass), 사파이어(sapphire), 다이아몬드(diamond),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폴리카보네이트(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표시 모듈(200)에서 생성된 영상은 윈도우(300)의 투과 영역(310)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윈도우(300)는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사각형의 판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윈도우(300)는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가지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윈도우(300)는 여러 가지 형태일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윈도우(300) 상에 하드 코팅층 또는 보호층이 배치될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또는 무기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드 코팅층은 윈도우(300)의 표면 경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내약품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하드 코팅층 상에 보호층이 배치될 수 있다. 보호층은 지문방지 코팅층(Anti-Finger coating: AF), 반사방지 코팅층(Anti-Reflection coating: AR), 눈부심방지 코팅층(Anti-glare coating: AG) 등을 포함하는 기능성 코팅층(functional coating)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패널(210)과 터치 센서 유닛(220) 사이 및 터치 센서 유닛(220)과 윈도우(300) 사이에 투명 접착층(241,242)이 배치될 수 있다. 투명 접착층(241,242)은 윈도우(300)와 표시 모듈(200)을 결합시키고,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표시 패널(210)에서 출사되는 광의 휘도를 감소시키지 않는다.
차광층(321)은 비투과 영역(320)에서 윈도우(3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차광층(321)은 표시 모듈(200)을 구동하는 구동부가 외부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광층(321)은 소정의 색을 갖는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윈도우(300)의 비투과 영역(320)에서 차광층(321)의 색이 사용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차광층(321)은 흑색 또는 백색을 포함한 다양한 색상일 수 있다. 차광층(321)이 흑색인 경우, 차광층(321)은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층(321)이 백색인 경우, 차광층(321)은 백색 수지 등의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광층(321)은 CrOx 또는 MoOx 등의 불투명 무기 절연 물질이나 블랙 수지 등의 불투명 유기 절연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차광층(321)은 표시 모듈(200) 내부의 빛을 차단하거나 내부 구조를 보이지 않게 하는 역할, 및 윈도우(300)의 색상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차광층(321)은 기재 필름(미도시)에 인쇄용 조성물을 인쇄하고, 차광층(321)이 형성된 기재 필름을 윈도우(300)에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기재 필름에 차광층(321)을 형성하는 방식 및 형성된 필름을 윈도우(300)의 일면에 접착시키는 방식은 종래에 알려진 여러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차광층(321)은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두께를 갖는 복수의 층 또는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 부재(400)는 차광층(321)과 지지 프레임(100) 사이에 배치되어, 윈도우(300)와 지지 프레임(100)을 결합시킨다. 접착 부재(400)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접착 부재(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 파열된 쉘 구조(421) 및 발열성 경화제(422)를 포함한다.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는 점착성 고분자 수지(411) 및 경화 촉진제(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점착성 고분자 수지(411)는 점착성을 가지며, 광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고분자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는 발열성 경화제(422)와 반응하지 않은 경화 촉진제(412)를 포함할 수 있다.
경화 촉진제(412)는 발열성 경화제(422)의 경화를 촉진하는 물질로, piperidine, dimethyl-piperidine, triethylenediamine, benzyl dimethylamine, 2-(dimethyl aminomethyl) phenol, 2,4,6-tri(dimethylamino methylphen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할 발열성 경화제(422)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는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노머는 발열성 경화제(422) 및 경화 촉진체의 반응에 의해 폴리머로 중합될 수 있으며, 반응을 일으키지 않은 모노머의 경우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에 잔존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는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료는 Red Iron Oxide, Black Iron Oxide, Yellow Iron Oxide, Titanium Dioxide, Ferric Ammonium Ferrocyanide 및 Mica Sunshine Super Golde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파열된 쉘 구조(421)는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의 내부에 분산되어 위치한다. 파열된 쉘 구조(421)는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아크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접착 부재(400)는 후술할 쉘(420) 및 쉘(420) 내부에 수용된 발열성 경화제(422)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성 경화제(422)는 접착 부재(400)의 경화를 일으킨다. 또한, 발열성 경화제(422)는 파열된 쉘 구조(421)과 같이,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분산되어 위치할 수 있다.
발열성 경화제(422)는 DTA(diethylenetriamine), TTA(triethylenetetramine), TEPA(tetraethylenepentaime), DPDA(diproprenediamine), DEAPA(diethylaminopropylamine), MDA(menthane diamine), IPDA(isophoronediamine), MPDA(metaphenylene diamine), DDM(diaminodiphenylmethane), DDS(diaminodiphenylsulfo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해 자세히 후술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투과 영역(310)과 비투과 영역(320)을 갖는 윈도우(300)가 배치된다.
이어서, 도 4b를 참조하면, 비투과 영역(320)에서 윈도우(300)의 일면에 차광층(321)이 배치된다. 차광층(321)은 기재 필름(미도시)에 인쇄용 조성물을 인쇄하고, 차광층(321)이 형성된 기재 필름을 윈도우(300)에 접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기재 필름을 윈도우(300)에 접착시키는 방식 및 형성된 필름이 윈도우(300)의 일면에 배치되는 방식은 종래의 여러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차광층(321) 상에 접착 부재(400)를 배치한다. 차광층(321) 및 접착 부재(400)가 배치된 윈도우(300)는 접착 부재(400)에 의해 표시 모듈(200)을 수납하는 지지 프레임(100)과 부착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의 경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쉘 및 발열성 경화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접착 부재의 경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윈도우(300)와 지지 프레임(100)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400)는, 가압되기 전, 쉘(420) 및 쉘(420)에 수용된 발열성 경화제(4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쉘(420) 및 발열성 경화제(422)는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되어 위치한다.
쉘(420)은 쉘(420) 내부의 공간을 정의하며,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아크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쉘(420)은 내부에 발열성 경화제(422)와 같은 고분자를 포집할 공간을 정의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발열성 경화제(4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420)에 의해 정의된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쉘(420) 및 쉘(420) 내부에 수용된 발열성 경화제(422)는 계면 중합법, 경화 피복법 및 코아세르베이션(coacervation)법 등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쉘(420) 및 쉘(420) 내부에 수용된 발열성 경화제(422)는 쉘 형성용 물질과 발열성 경화제 형성용 물질 및 용매를 혼합하고, 혼합물을 일정한 속도로 교반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쉘 형성용 물질과 발열성 경화제 형성용 물질을 용매와 혼합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계면 활성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분산 안정제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용매로는 물, 알코올, 기타 알려진 유기 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 및 계면 활성제의 종류는, 쉘 형성용 물질과 발열성 경화제 형성용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경화 촉진제(412)는 발열성 경화제(422)의 경화를 촉진하는 물질로, piperidine, dimethyl-piperidine, triethylenediamine, benzyl dimethylamine, 2-(dimethyl aminomethyl) phenol, 2,4,6-tri(dimethylamino methylphen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할 발열성 경화제(422)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윈도우(300)가 접착 부재(400)에 의해 지지 프레임(100)에 부착된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부재(400)에 압력이 가해진다. 구체적으로, 3kgf/㎡이상 10kgf/㎡이하의 압력이 윈도우(300)와 지지 프레임(100)에 가해질 수 있다. 이 압력은 접착 부재(400)에도 가해지고, 이에 따라,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부재(400)의 쉘(420)이 파열되어 쉘(420) 내부에 수용된 발열성 경화제(422)가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에 확산되기 시작한다. 이에 따라,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420) 내부에 수용된 발열성 경화제(422)가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에 균일하게 확산되고, 확산된 발열성 경화제(422)에 의해 접착 부재(400)가 경화된다. 이때, 파열된 쉘 구조(421)는 경화된 접착 부재(400)에 남아있게 된다. 한편, 접착 부재(400)에 포함된 쉘(420)은 그 일부만 파열될 수도 있다. 즉, 가압에 의해 파열되지 않은 쉘(420) 및 쉘(420) 내부에 수용된 발열성 경화제(422)도 경화된 접착 부재(400)에 남아있을 수 있다.
경화 촉진제(412)는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에 확산된 발열성 경화제(422)와 반응하여 경화를 촉진시킨다. 이 과정은 발열 반응으로 열을 발생시켜 접착 부재(400)의 모듈러스(Modulus)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접착 부재(400)에 의해 차광층(321)에 형성될 수 있는 단차가 충진되어 기포에 의한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발열 반응에 의해 접착 부재(400)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접착 부재(400)의 접착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접착 부재(400)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어, 비투과 영역(320)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 패널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절단선 Ⅱ-Ⅱ`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 패널은 기판(711), 배선부(730) 및 유기 발광 소자(810)를 포함한다.
기판(711)은 유리, 석영, 세라믹, 및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절연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기판(711)으로 고분자 필름이 사용될 수도 있다.
기판(711) 상에 버퍼층(720)이 배치된다. 버퍼층(720)은 다양한 무기막들 및 유기막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720)은 생략될 수도 있다.
배선부(730)는 버퍼층(720) 상에 배치된다. 배선부(730)는 복수의 박막트랜지스터들(710, 720)을 포함하며, 유기 발광 소자(810)를 구동한다. 즉, 유기 발광 소자(810)는 배선부(73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 신호에 따라 빛을 방출하여 화상을 표시한다.
도 7 및 8에, 하나의 화소에 두 개의 박막트랜지스터(TFT)(710, 720)와 하나의 축전 소자(capacitor)(780)가 구비된 2Tr-1Cap 구조의 능동 구동(active matrix, AM)형 유기발광 표시 패널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가 이러한 구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유기발광 표시 패널은 하나의 화소에 셋 이상의 박막트랜지스터와 둘 이상의 축전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화소는 화상을 표시하는 최소 단위를 말하며, 유기발광 표시패널은 복수의 화소들을 통해 화상을 표시한다.
하나의 화소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710), 구동 박막트랜지스터(720), 축전 소자(780), 및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810)를 포함한다. 또한,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게이트 라인(751)과, 게이트 라인(751)과 절연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771) 및 공통 전원 라인(772)도 배선부(730)에 배치된다. 하나의 화소는 게이트 라인(751), 데이터 라인(771) 및 공통 전원 라인(772)을 경계로 정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소정의막 또는 블랙 매트릭스에 의하여 화소가 정의될 수도 있다.
축전 소자(780)는 층간 절연막(76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한 쌍의 축전판(758, 778)을 포함한다. 여기서, 층간 절연막(760)은 유전체가 된다. 축전 소자(80)에서 축전된 전하와 양 축전판(758, 778) 사이의 전압에 의해 축전용량이 결정된다.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710)는 스위칭 반도체층(731), 스위칭 게이트 전극(752), 스위칭 소스 전극(773), 및 스위칭 드레인 전극(774)을 포함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720)는 구동 반도체층(732), 구동 게이트 전극(755), 구동 소스 전극(776), 및 구동 드레인 전극(777)을 포함한다. 반도체층(731, 732)과 게이트 전극(752, 755)은 게이트 절연막(740)에 의하여 절연된다.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710)는 발광시키고자 하는 화소를 선택하는 스위칭 소자로 사용된다. 스위칭 게이트 전극(752)은 게이트 라인(751)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스 전극(773)은 데이터 라인(771)에 연결된다. 스위칭 드레인 전극(774)은 스위칭 소스 전극(773)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며 어느 한 축전판(758)과 연결된다.
구동 박막트랜지스터(720)는 선택된 화소 내의 유기 발광 소자(810)의 발광층(812)을 발광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화소 전극인 제1 전극(811)에 인가한다. 구동 게이트 전극(755)은 스위칭 드레인 전극(774)과 연결된 축전판(758)과 연결된다. 구동 소스 전극(776) 및 다른 한 축전판(778)은 각각 공통 전원 라인(772)과 연결된다. 구동 드레인 전극(777)은 평탄화막(765)에 구비된 컨택홀(contact hole)을 통해 유기 발광 소자(810)의 제1 전극(811)과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710)는 게이트 라인(751)에 인가되는 게이트 전압에 의해 작동되어 데이터 라인(771)에 인가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박막트랜지스터(7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공통 전원 라인(772)으로부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720)에 인가되는 공통 전압과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71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전압의 차에 해당하는 전압이 축전 소자(780)에 저장되고, 축전 소자(780)에 저장된 전압에 대응하는 전류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720)를 통해 유기 발광 소자(810)로 흘러 유기 발광 소자(810)가 발광한다.
유기 발광 소자(810)는 제1 전극(811), 제1 전극(811) 상에 배치된 발광층(812), 및 발광층(812) 상에 배치된 제2 전극(813)을 포함한다. 발광층(812)은 저분자 유기물 또는 고분자 유기물로 이루어진다. 제1 전극(811) 및 제2 전극(813)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발광층(812) 내부로 주입되고, 이와 같이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되어 형성된 엑시톤(ex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전극(811)은 양극이다. 제1 전극(811)은 광투과성을 갖는 투광성 전극일 수도 있으며, 광반사성을 갖는 반사 전극일 수도 있다.
제2 전극(813)은 반투과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반사막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전극(811)과 발광층(812) 사이에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HTL)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층(812)과 제2 전극(813) 사이에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 중 적어도 하나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발광층(812), 정공 주입층(HIL), 정공 수송층(HTL), 전자 수송층(ETL) 및 전자 주입층(EIL)은 유기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유기층이라고도 한다.
화소 정의막(790)은 개구부를 갖는다. 화소 정의막(790)의 개구부는 제1 전극(811)의 일부를 드러낸다. 화소 정의막(790)의 개구부에서 제1 전극(811) 상에 발광층(812) 및 제2 전극(813)이 차례로 적층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전극(813)은 발광층(812) 뿐만 아니라 화소 정의막(790) 위에도 형성된다. 한편,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및 전자 주입층은 화소 정의막(790)과 제2 전극(813)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810)는 화소 정의막(790)의 개구부 내에 위치한 발광층(812)에서 빛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화소 정의막(790)은 발광 영역을 정의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전극(813)상에 박막 봉지층(850)이 배치된다.
박막 봉지층(850)은 하나 이상의 무기막(851, 853) 및 하나 이상의 유기막(852)을 포함하며, 수분이나 산소와 같은 외기가 유기 발광 소자(810)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박막 봉지층(850)은 무기막(851, 853)과 유기막(852)이 교호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도 8에서 박막 봉지층(850)은 2개의 무기막(851, 853)과 1개의 유기막(852)을 포함하고 있으나, 박막 봉지층(850)의 구조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무기막(851, 853)은 Al2O3, TiO2, ZrO, SiO2, AlON, AlN, SiON, Si3N4, ZnO, 및 Ta2O5 중 하나 이상의 무기물을 포함한다. 무기막(851, 853)은 화학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법 또는 원자층 증착(atomic layer depostion, ALD)법을 통해 형성된다. 무기막(851, 853)은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유기막(852)은 고분자(polymer) 계열의 소재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고분자 계열의 소재는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틸렌 등을 포함한다. 또한, 유기막(852)은 열증착 공정을 통해 형성된다. 유기막(852)을 형성하기 위한 열증착 공정은 유기 발광 소자(810)를 손상시키지 않는 온도 범위 내에서 진행된다. 유기막(852)은 해당 기술 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박막의 밀도가 치밀하게 형성된 무기막(851, 853)이 주로 수분 또는 산소의 침투를 억제한다. 대부분의 수분 및 산소는 무기막(851, 853)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810)로의 침투가 차단된다.
무기막(851, 853)을 통과한 수분 및 산소는 유기막(852)에 의해 다시 차단된다. 유기막(852)은 무기막(851, 853)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습 방지 효과는 적다. 하지만, 유기막(852)은 투습 억제 외에 무기막(851, 853)과 무기막(851, 353) 사이에서 각층들 간의 응력을 줄여주는 완충층의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또한, 유기막(852)은 평탄화 특성을 가지므로, 박막 봉지층(850)의 최상부면이 평탄해질 수 있다.
박막 봉지층(850)은 10㎛ 이하의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 표시 패널 역시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박막 봉지층(850)이 적용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 패널이 플렉서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전극(813) 상에 박막 봉지층(850) 대신 봉지 기판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에 대한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절단선 Ⅲ-Ⅲ`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액정 표시 패널(9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기판(910), 대향기판(920) 및 액정층(LC)을 포함한다.
표시기판(910)은, 기판(901) 및 기판 상에 배치된 절연막(911), 절연막(911) 상에 배치된 게이트 라인(GL), 데이터 라인(DL), 박막트랜지스터(TFT), 게이트 절연막(921), 층간 절연막(931), 컬러 필터(951, 952), 평탄화막(991) 및 화소 전극(PE)을 포함한다.
기판(901) 상에 절연막(911)이 배치된다.
절연막(911) 상에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라인(GL)으로부터 연장된 게이트 전극(941)이 배치된다. 게이트 라인(GL)과 게이트 전극(941)은 동일층에 배치된다.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전극(941)은 알루미늄(Al)이나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알루미늄 계열의 금속, 은(Ag)이나 은 합금과 같은 은 계열의 금속, 구리(Cu)나 구리 합금과 같은 구리 계열의 금속, 또는 몰리브덴(Mo)이나 몰리브덴 합금과 같은 몰리브덴 계열의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전극(941)은 크롬(Cr), 탄탈륨(Ta) 및 티타늄(Ti) 중 어느 하나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전극(941)은 물리적 성질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도전막을 포함하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막(921)은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전극(941) 상에 배치된다. 이때, 게이트 절연막(921)은 게이트 라인(GL) 및 게이트 전극(941)을 포함한 기판(901)의 전면(全面)에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921)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x)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921)은 물리적 성질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절연막들을 포함하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반도체층(942)은 게이트 절연막(921) 상에 배치된다. 반도체층(942)은 게이트 전극(941), 소스 전극(943) 및 드레인 전극(944)과 중첩한다. 반도체층(942)은 비정질 규소 또는 다결정 규소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반도체층(942)은 산화물 반도체 재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반도체층(942) 상에 저항성 접촉층(미도시)이 배치될 수도 있다.
데이터 라인(DL)은 게이트 절연막(921) 상에 위치하며, 게이트 라인(GL)과 교차한다.
소스 전극(943)은 반도체층(942)과 일부 중첩하여 배치된다. 소스 전극(943)은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연장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 전극(943)은 데이터 라인(DL)으로부터 게이트 전극(941)을 향해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소스 전극(943)은 몰리브덴, 크롬, 탄탈륨 및 티타늄 등 내화성 금속(refractory metal)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내화성 금속막과 저저항 도전막을 포함하는 다중막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중막 구조의 예로, 크롬 또는 몰리브덴(또는 몰리브덴 합금) 하부막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상부막으로 된 이중막, 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 합금) 하부막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중간막과 몰리브덴 (또는 몰리브덴 합금) 상부막으로 된 삼중막 등이 있다. 소스 전극(943)은 이외에도 여러 가지 다양한 금속 또는 도전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드레인 전극(944)은 소스 전극(943)과 이격되어 반도체층(942)과 일부 중첩하여 배치된다. 드레인 전극(944)은 화소 전극(PE)에 연결된다. 드레인 전극(944)은 소스 전극(943)과 동일한 공정으로 동시에 만들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전극(941), 반도체층(942), 소스 전극(943) 및 드레인 전극(944)에 의해 박막트랜지스터(TFT)가 이루어진다.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채널(channel) 영역은 소스 전극(943)과 드레인 전극(944) 사이의 반도체층(942) 부분에 위치한다.
층간 절연막(931)은 데이터 라인(DL), 소스 전극(943), 드레인 전극(944) 및 게이트 절연막(921) 상에 배치된다. 이때, 층간 절연막(931)은 데이터 라인(DL), 소스 전극(943), 드레인 전극(944) 및 게이트 절연막(921)을 포함한 기판(901)의 전면(全面)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층간 절연막(931)은 드레인 콘택홀(932)을 갖는다. 드레인 콘택홀(932)에 의해 드레인 전극(944)이 노출된다.
층간 절연막(931)은 질화 규소(SiNx) 또는 산화 규소(SiOx)와 같은 무기 절연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유기막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층간 절연막(931)은 하부 무기막과 상부 유기막을 포함하는 이중막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컬러 필터(951) 및 제2 컬러 필터(952)는 층간 절연막(931) 상에 배치된다. 제1 및 제2 컬러 필터(951, 952)의 가장자리는 게이트 라인(GL), 박막트랜지스터(TFT) 및 데이터 라인(DL)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인접한 제1 및 제2 컬러 필터(951, 952)의 가장자리는 서로 중첩할 수 있다. 각각의 컬러 필터(951, 952)는 드레인 전극(944)에 대응되게 위치한 개구부를 갖는다.
제1 컬러 필터(951)와 제2 컬러 필터(952)는 서로 다른 컬러를 가지며, 각각 적색 컬러 필터, 녹색 컬러 필터, 청색 컬러 필터, 원청색(cyan) 컬러 필터, 원적색(magenta) 컬러 필터, 황색(yellow) 컬러 필터 및 백색(white) 컬러 필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도 9 및 10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액정 표시 패널은 제3 컬러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컬러 필터는 제1 컬러 필터(951) 및 제2 컬러 필터(952)와 다른 컬러를 가지며, 적색, 녹색, 청색, 원청색(cyan), 원적색(magenta) 및 황색(yellow) 중 어느 하나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컬러 필터(951, 952)는 밀봉 기판(902)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평탄화막(991)은 컬러 필터(951, 952) 상에 배치된다. 이때, 평탄화막(991)은 컬러 필터(951, 952) 및 층간 절연막(931)을 포함한 기판(901)의 전면(全面)에 배치될 수 있다. 평탄화막(991)은 드레인 콘택홀(932)에 대응되게 위치한 개구부를 가질 수 있다.
평탄화막(991)은 보호막 기능을 하며, 화소 전극(PE)의 하부를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평탄화막(991)을 보호막이라고도 한다. 평탄화막(991)은 유기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감광성 유기물 또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평탄화막(991)을 유기막이라고도 한다.
화소 전극(PE)은 드레인 콘택홀(932)을 통해 드레인 전극(944)에 연결된다. 화소 전극(PE)은 평탄화막(991) 상에 배치된다.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 일부는 차광부(976)와 중첩할 수 있다.
차광부(976)는 화소 전극(PE) 및 평탄화막(991)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차광부(976)는 박막트랜지스터(TFT), 게이트 라인들(GL) 및 데이터 라인(DL)과 중첩 배치되어, 빛샘을 차단한다.
차광부(976) 상에 컬럼 스페이서(972)가 위치할 수 있다. 컬럼 스페이서(972)는 대향기판(920)을 향해 차광부(976)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컬럼 스페이서(972)는 표시기판(910)과 대향기판(920) 간의 셀갭(cell gap)을 유지시킨다.
컬럼 스페이서(972)는 차광부(976)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컬럼 스페이서(972)와 차광부(976)는 동일한 물질로 동시에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컬럼 스페이서(972)와 차광부(976)를 블랙 컬럼 스페이서(BCS)라고도 한다.
대향기판(920)은 밀봉 기판(902) 및 밀봉 기판(902) 상에 배치된 공통 전극(CE)을 포함한다.
화소전극(PE) 상에 액정층(LC)이 배치된다. 즉, 액정층(LC)은 기판(901)과 밀봉 기판(902)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기판(910)과 대향기판(920)에 의해 정의된 공간에 액정층(LC)이 위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지지 프레임 200: 표시 모듈
300: 윈도우 400: 접착 부재

Claims (15)

  1. 수납 공간을 갖는 지지 프레임;
    상기 수납 공간에 배치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표시 모듈 상에 배치되며 투과 영역과 비투과 영역을 갖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윈도우의 비투과 영역에 배치된 차광층; 및
    상기 차광층과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윈도우는 상기 접착 부재에 의하여 상기 지지 프레임과 결착되고,
    상기 접착 부재는,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
    파열된 쉘 구조; 및
    발열성 경화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열된 쉘 구조는 멜라민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아크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성 경화제는, DTA(diethylenetriamine), TTA(triethylenetetramine), TEPA(tetraethylenepentaime), DPDA(diproprenediamine), DEAPA(diethylaminopropylamine), MDA(menthane diamine), IPDA(isophoronediamine), MPDA(metaphenylene diamine), DDM(diaminodiphenylmethane), DDS(diaminodiphenylsulfo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는,
    점착성 고분자 수지, 모노머 및 경화 촉진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 촉진제는 piperidine, dimethyl-piperidine, triethylenediamine, benzyl dimethylamine, 2-(dimethyl aminomethyl) phenol, 2,4,6-tri(dimethylamino methylphen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쉘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열성 경화제는 상기 쉘의 내부에 수용된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과 대향 배치된 제 2 기판; 및
    상기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의 배치된 제 1 전극;
    상기 제 1 전극 상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유기 발광층 상에 배치된 제 2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모듈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된 터치 센서 유닛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투과 영역 및 비투과 영역을 갖는 윈도우의 일면에 차광층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차광층 상에 접착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접착 부재가 배치된 윈도우와 표시 모듈을 수납한 지지 프레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윈도우 및 지지 프레임에 압력을 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
    점착성 고분자 매트릭스에 분산된 쉘;
    상기 쉘 내부에 수용된 발열성 경화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DTA(diethylenetriamine), TTA(triethylenetetramine), TEPA(tetraethylenepentaime), DPDA(diproprenediamine), DEAPA(diethylaminopropylamine), MDA(menthane diamine), IPDA(isophoronediamine), MPDA(metaphenylene diamine), DDM(diaminodiphenylmethane), DDS(diaminodiphenylsulfon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은 3kgf/㎡ 내지 10kgf/㎡인 표시 장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상기 압력에 의해 파열되는 표시 장치 제조 방법.
KR1020160122057A 2016-09-23 2016-09-23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48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057A KR102648021B1 (ko) 2016-09-23 2016-09-23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15/713,368 US20180088375A1 (en) 2016-09-23 2017-09-22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201710865254.3A CN107871823A (zh) 2016-09-23 2017-09-22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EP17192534.0A EP3299876B1 (en) 2016-09-23 2017-09-22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057A KR102648021B1 (ko) 2016-09-23 2016-09-23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344A true KR20180033344A (ko) 2018-04-03
KR102648021B1 KR102648021B1 (ko) 2024-03-15

Family

ID=5999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057A KR102648021B1 (ko) 2016-09-23 2016-09-23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088375A1 (ko)
EP (1) EP3299876B1 (ko)
KR (1) KR102648021B1 (ko)
CN (1) CN10787182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37759B (zh) * 2018-08-17 2023-05-12 上海箩箕技术有限公司 光学指纹传感器装置及其组装方法
CN109445156A (zh) * 2018-12-24 2019-03-08 惠科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制造方法
KR20220098063A (ko) * 2020-12-31 2022-07-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381B1 (ko) * 2006-11-16 2007-12-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미세 캡슐-도전성 입자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이방 도전성 접착 필름
KR20100001275A (ko) * 2008-06-26 2010-01-0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36716A (ko) * 2014-09-25 2016-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84480A (ko) * 2007-04-09 2016-07-13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08639A (en) * 1986-07-16 1989-02-28 Production Previews, Inc. Liquid curabl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ester resin and a microencapsulated peroxide curing agent
US20060078741A1 (en) * 2004-10-12 2006-04-13 Ramalingam Balasubramaniam Jr Laminating adhesives containing microencapsulated catalysts
JP6095301B2 (ja) * 2012-09-03 2017-03-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169102B1 (ko) * 2013-12-04 2020-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용 하부 샤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241549B2 (en) * 2013-12-25 2019-03-26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381B1 (ko) * 2006-11-16 2007-12-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미세 캡슐-도전성 입자 복합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이용한 이방 도전성 접착 필름
KR20160084480A (ko) * 2007-04-09 2016-07-13 데쿠세리아루즈 가부시키가이샤 화상 표시 장치
KR20100001275A (ko) * 2008-06-26 2010-01-0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36716A (ko) * 2014-09-25 2016-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021B1 (ko) 2024-03-15
EP3299876A1 (en) 2018-03-28
EP3299876B1 (en) 2020-04-15
CN107871823A (zh) 2018-04-03
US20180088375A1 (en)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42398B1 (ko) 표시 장치
JP7010639B2 (ja) 表示装置
EP3130960B1 (en) Display device with curved edge portions
JP2019525212A (ja) 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KR102132176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03224B1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9151972B2 (en)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05779A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TW201511951A (zh) 顯示裝置
CN116343605A (zh) 显示设备
JP2011227369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07167B1 (ko) 터치 패널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2488080B1 (ko) 표시 장치
JP2010243930A (ja) 電気光学装置、その製造方法、および電子機器
KR102438446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08367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48021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83644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TW201423163A (zh) 顯示裝置
US20140220313A1 (en) Light blocking sheet, method for manufacturing light blocking sheet, and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20230199990A1 (en) Display panel
KR20200066919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23001889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4975571A (zh) 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面板的制备方法
KR20200056622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