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088A -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 Google Patents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088A
KR20180030088A KR1020187003802A KR20187003802A KR20180030088A KR 20180030088 A KR20180030088 A KR 20180030088A KR 1020187003802 A KR1020187003802 A KR 1020187003802A KR 20187003802 A KR20187003802 A KR 20187003802A KR 20180030088 A KR20180030088 A KR 20180030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mixture
composition
filler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5919B1 (ko
Inventor
로상젤라 삐리
필리쁘 아지
알렉상드르 베르모겐
알랭 빌헬름
Original Assignee
아르끄마 프랑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르끄마 프랑스 filed Critical 아르끄마 프랑스
Publication of KR20180030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0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5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5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5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 C08J3/21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the polymer being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 C08J3/21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the polymer being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and soli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08J2433/06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J24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J24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4Acids; Salts thereof
    • C08K3/26Carbonates; Bicarbonates
    • C08K2003/265Calcium, strontium or barium carbo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8Applications used for p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6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or containing aids for mould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합체성 가공 보조제,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중합체성 가공 보조제 및 고도 충전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중합체성 가공 보조제를 갖는 고도 충전 할로겐 함유 중합체 조성물, 이의 조성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POLYMER COMPOSITION, IT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본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중합체성 가공 보조제 (polymeric processing aid),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중합체성 가공 보조제, 및 고도 충전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를 위한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중합체성 가공 보조제를 갖는 고도 충전 할로겐 함유 중합체 조성물, 이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적 과제]
충전제는 다양한 이유로, 일반적으로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에서 및 특히 할로겐화 중합체 조성물에서 사용된다. 이는 조성물을 증대 (extend) 시키고, 강성 (stiffness) 및 강도를 증가시키고, 사이클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는 다이에서의 행-업 (hang-up) 을 방지하고, 분해 생성물을 중화시킨다. 충전제는 또한 색채, 불투명성 및 전도성을 추가하는데 사용될 수 있거나, 이는 충전제가 제형의 다른 성분보다 덜 비싸므로 조성물의 비용을 낮추는 저비용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충전제의 첨가는 중합체 조성물의 융합 특징을 바꿀 수 있다. 적절한 융합은 양호한 물리적 특성을 얻는데 필요하다.
특정한 특징 (예컨대 중합체 조성, 유리 전이 온도 또는 일부 특징을 명명하기 위한 특정 분자량 범위) 을 갖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은, 이러한 다양한 중합체 또는 플라스틱 수지의 가공 거동을 향상시키거나 이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을 위한 및 특히 할로겐화 중합체 조성물에서의 첨가제로서 사용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첨가제는 또한 가공 보조제로 칭해진다.
첨가제 중합체 조성물은 일반적으로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및 특히 할로겐 함유 중합체 조성물과 상용성이다.
일반적으로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및 특히 할로겐화 중합체 조성물 중의 소량의 가공 보조제는, 일반적으로는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의 융합 공정의 가속화 및 특히 할로겐 함유 중합체 조성물에서의 균질화를 통해 가공 특징을 개선시킬 수 있다.
조성물에 다량으로 첨가된 충전제를 사용하는 경우, 비충전 조성물에 사용된 가공 보조제는, 특히 조성물의 융합 효율의 관점에 있어서, 고도 충전 조성물과 동일한 성능을 지니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도 충전 할로겐 함유 중합체 조성물을 위한 가공 보조제로서 작용하는 중합체 조성물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고도 충전 할로겐 함유 중합체 조성물의 용융 거동, 특히 융합 속도를 최적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중합체 조성물을 갖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융합 효율에 영향을 주거나 융합 효율을 너무 많이 감소시키지 않으면서, 저비용 구성성분의 첨가에 의해 고도 충전 할로겐 함유 중합체 조성물을 위한 가공 보조제로서 작용하는 중합체 조성물의 가격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다 또다른 목적은 고도 충전 할로겐 함유 중합체 조성물을 위한 가공 보조제로서 작용하는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보다 추가 목적은 고도 충전 할로겐 함유 중합체 조성물의 변형을 돕고 이의 용융 거동을 증가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갖는 것이다.
문헌 US 2009/0111915 는 고도 충전 조성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아크릴 공중합체를 개시하고 있다. 특히 문헌은, 70 내지 95 wt% 충전제, 1 내지 15 wt% PVC 및 0.5 내지 4 wt% 의 아크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바닥재용 조성물, 또는 15 내지 35 wt% 충전제, 50 내지 95 wt% PVC 및 0.25 내지 6 wt% 의 아크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사이딩 (siding) 또는 파이프용 조성물로서의 충전 PVC 물질을 개시하였다.
문헌 WO 2010/099160 은 복합 중합체 개질제를 개시하고 있다. 문헌은 99 wt% 내지 1 wt% 의 무기 충전제 및 1 wt% 내지 99 wt% 의 중합체성 가공 보조제 및 0 wt% 내지 80 wt% 의 충격 개질제로 이루어지는 복합 중합체 개질제를 개시하고 있다.
문헌 US 3,373,229 는 비닐 중합체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조성물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의 고분자량 중합체 또는 메틸 메트 아크릴레이트와 소량의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를 가공 보조제로서 포함한다. 조성물은 충전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문헌 US 4,329,276 은 몰딩 구성성분을 개시하고 있다. 몰딩 구성성분은 구성성분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기반으로 한다. 구성성분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Tg 가 70 ℃ 내지 90 ℃ 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부틸 메타크릴레이트를 50/50 내지 85/15 의 비율로 포함하는 아크릴 중합체 40-85 wt% 를 포함한다.
문헌 US2012/189837 은 비닐 발포체 압출을 위한 아크릴 가공 보조제를 개시하고 있다. 아크릴 가공 보조제는 바람직하게는 Tg 가 60 ℃ 미만인 아크릴 공중합체이다. 실시예에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70 %) 와 부틸 아크릴레이트 (30 %) 의 공중합체가 개시된다. 사용된 아크릴 공중합체는 충전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선행 기술 문헌 중 어떠한 것도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 및 (메트)아크릴 공중합체와 함께 충전제를 포함하는 고도 충전 중합체 조성물 (여기서, 충전제의 일부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를 갖는 조성물에 첨가되고, 충전제의 일부는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를 갖는 조성물에 첨가됨) 을 개시하지 않고 있다.
놀랍게도,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a)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b)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
c)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보다 더 크고 (more important),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양이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40 phr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은, 허용가능한 융합 시간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놀랍게도, 하기:
a)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b)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
c)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
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허용가능한 융합 시간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는 것이 또한 밝혀졌다:
조성물 P1 을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 또는 (F2) 와 블렌딩하는 단계,
조성물 P1 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 또는 (F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1) 과 (F2) 함께의 양은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의 관점에서 40 phr 초과임.
놀랍게도, 하기:
a)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b)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
c)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
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허용가능한 융합 시간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는 것이 또한 밝혀졌다:
두 조성물 P1 및 P2 를 블렌딩하는 단계,
조성물 P1 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1 을 포함하고,
조성물 P2 는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1) 과 (F2) 함께의 양은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의 관점에서 40 phr 초과임.
놀랍게도,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 또는 (F1) 을 포함하는 조성물 P1 은,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 또는 (F2) 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허용가능한 시간에 융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이 또한 밝혀졌는데, 여기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1) 과 (F2) 함께의 양은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의 관점에서 40 phr 초과이다.
놀랍게도,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 또는 (F1) 을 포함하는 조성물 P1 은,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 또는 (F2) 를 포함하는 조성물 P2 를 허용가능한 시간에 융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음이 또한 밝혀졌는데, 여기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1) 과 (F2) 함께의 양은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의 관점에서 40 phr 초과이다.
제 1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a)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b)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
c)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양이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40 phr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제 2 양상에서, 본 발명은 하기:
a)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b)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
c)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
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성물 P1 을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 또는 (F2) 와 블렌딩하는 단계,
조성물 P1 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 또는 (F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양은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40 phr 초과임.
제 3 양상에서, 본 발명은 하기:
a)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b)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
c)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
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 조성물 P1 및 P2 를 블렌딩하는 단계,
조성물 P1 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 또는 (F1) 을 포함하고,
조성물 P2 는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 또는 (F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양은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40 phr 초과임.
제 4 양상에서, 본 발명은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 또는 (F2) 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융합 시간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 또는 (F1) 을 포함하는 조성물 P1 의 용도로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양이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40 phr 초과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제 5 양상에서, 본 발명은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2 를 포함하는 조성물 P2 의 융합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1 을 포함하는 조성물 P1 의 용도로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양이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40 phr 초과인 용도에 관한 것이다.
사용된 용어 "공중합체" 는 중합체가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단량체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된 용어 "(메트)아크릴" 은 모든 유형의 아크릴 및 메타크릴 단량체를 나타낸다.
사용된 용어 "(메트)아크릴 중합체" 는, (메트)아크릴 중합체가 (메트)아크릴 중합체의 50 wt% 이상을 이루는 (메트)아크릴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를 본질적으로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사용된 "다단계 중합체 (multistage polymer)" 는, 다단계 중합 공정에 의해 순차적 방식으로 형성된 중합체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것은 제 1 중합체가 제 1-단계 중합체이고, 제 2 중합체가 제 2-단계 중합체인, 즉 제 2 중합체가 제 1 에멀전 중합체의 존재 하에 에멀전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다단계 에멀전 중합 공정이다.
사용된 용어 "분산액" 은, 연속 상 전반에 걸쳐 분포되어 있는 불연속 고체 상 및 연속 액체 상을 갖는 콜로이드계 (colloidal system) 를 나타낸다.
사용된 용어 "에멀전" 은, 액체 연속 상 중 액체 불연속 상의 액체/액체 혼합물을 나타낸다.
사용된 용어 "PVC" 는 적어도 50 wt% 의 비닐 클로라이드를 포함하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형태의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로 이해된다.
사용된 용어 "충전제" 는 특성을 향상시키고/시키거나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중합체에 첨가된 고체 증량제 (extender) 로 이해된다.
약어 "phr" 은 수지 100 부 당 부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PVC 제형 중 충전제 15 phr 은, 15 kg 의 충전제가 100 kg 의 PVC 에 첨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과 관련하여, 이는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40 phr 초과의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350 phr 미만의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40 phr 내지 350 phr,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40 phr 내지 300 phr, 유리하게는 50 phr 내지 300 phr, 더 유리하게는 50 phr 내지 250 phr, 가장 유리하게는 50 phr 내지 200 phr 의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중합체 조성물은 0.01 phr 내지 20 phr,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7 phr, 더 바람직하게는 0.1 phr 내지 15 phr, 유리하게는 0.15 phr 내지 12 phr, 더 유리하게는 0.15 phr 내지 10 phr 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제 1 가장 유리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0.15 phr 내지 9 phr 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제 2 가장 유리한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0.15 phr 내지 4 phr 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제 (F) 의 일부,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일부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을 갖는 조성물에 첨가된다. 충전제 (F) 의 다른 일부,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다른 일부는,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와 함께 또는 별도로 조성물에 첨가된다.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와 함께" 는, 충전제 (F) 의 일부,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일부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이 첨가되기 전에, 상기 충전제 (F) 의 다른 일부,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일부가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첨가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변형에 따르면,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일부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을 갖는 조성물에 첨가되고,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또다른 일부는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를 갖는 조성물에 첨가된다.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와 함께 또는 별도로 조성물에 첨가되는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일부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을 갖는 조성물에 첨가되는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일부를 양에 있어서 초과한다.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와 관련하여, 이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하는 중합체성 단위 적어도 50 wt% 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A1) 은 중합체 (A1) 이 95 ℃ 보다 더 큰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될 수 있는 공단량체(들) 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이 95 ℃ 보다 더 큰 평균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공중합될 수 있는 공단량체(들) 을 포함한다.
중합체 (A1), (A1a) 및 (A1b) 에서 공단량체(들) 은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 및/또는 비닐 단량체로부터 선택된다.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에서 (메트)아크릴 공단량체는 C1 내지 C12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를 포함한다. 비닐 공단량체는 스티렌 및 치환 스티렌으로부터 선택되는 단량체를 포함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A1) 에서 (메트)아크릴 공단량체는 C1 내지 C4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의 단량체 및/또는 C1 내지 C8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 중합체 (A1) 의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공단량체는, (메트)아크릴 중합체 (A1) 이 95 ℃ 보다 더 큰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한, 메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tert-부틸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은 적어도 80 wt%,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3 wt%, 유리하게는 적어도 86 wt% 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하는 중합체성 단위를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또는 부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하는 중합체성 단위 적어도 50 wt% 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 중합체 (A1) 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95 ℃ 내지 130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 내지 125 ℃, 유리하게는 105 ℃ 내지 120 ℃ 이다.
유리 전이 온도 Tg 는 예를 들어 열 기계적 분석 (DMA: thermo mechanical analysis) 으로서 동적 방법에 의해 추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하는 중합체성 단위 적어도 50 wt% 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질량 평균 분자량 Mw 는, 적어도 300 000 g/mol,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 000 g/mol,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0 000 g/mol, 유리하게는 적어도 1 000 000 g/mol, 가장 유리하게는 적어도 1 500 000 g/mol 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하는 중합체성 단위 적어도 50 wt% 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 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질량 평균 분자량 Mw 는, 20 000 000 g/mol 미만, 바람직하게는 15 000 000 g/mol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12 000 000 g/mol 미만, 유리하게는 10 000 000 g/mol 미만, 가장 유리하게는 9 000 000 g/mol 미만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하는 중합체성 단위 적어도 50 wt% 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질량 평균 분자량 Mw 는 300 000 g/mol 내지 20 000 000 g/mol,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00 000 g/mol 내지 15 000 000 g/mol,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000 000 g/mol 내지 12 000 000 g/mol, 유리하게는 1 500 000 g/mol 내지 10 000 000 g/mol 이다.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하는 중합체성 단위 적어도 50 wt% 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 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는, 바람직하게는 에멀전 중합에 의해 제조되어, (메트)아크릴 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구형 중합체 입자의 수성 분산액을 수득한다.
(메트)아크릴 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를 포함하는 구형 중합체 입자의 수성 분산액을 제조하는 방법의 가능한 변형은 다단계 공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한다.
다단계 공정의 하나의 단계 동안 (메트)아크릴 중합체 (A1) 이 제조된다.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은 또한 다단계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단계 공정 중 하나의 단계 동안, (메트)아크릴 중합체 (A1a) 가 제조되고, 또다른 단계 동안 (메트)아크릴 중합체 (A1b) 가 제조된다.
구형 중합체 입자와 관련하여, 이는 중량 평균 입자 크기가 20 nm 내지 500 nm 이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의 중량 평균 입자 크기는 50 nm 내지 400 nm, 더 바람직하게는 75 nm 내지 350 nm, 유리하게는 80 nm 내지 300 nm 이다.
충전제 (F), (F1) 및/또는 (F2) 와 관련하여, 이는 무기 충전제 또는 미네랄 충전제이다.
미네랄 충전제와 관련하여, 유리 섬유, 할로우 유리 마이크로스피어, 무기 화합물, 예컨대 미네랄 및 염 예컨대 칼슘 카르보네이트 (CaCO3), 실리카, 실리케이트 예컨대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메타실리케이트, 클레이 예컨대 벤토나이트, 운모, 탈크, 알루미나 트리히드레이트, 마그네슘 히드록시드, 금속 산화물 또는 이의 둘 이상의 조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네랄 충전제는 칼슘 카르보네이트, 티타늄 디옥사이드 또는 하소 클레이 (calcinated clay), 실리카 (발연 또는 침전됨), 클레이, 몬트모릴로나이트 (나노-클레이),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또는 슬러리로서 수득될 수 있는 무기 물질의 임의의 다른 유형으로부터 선택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일부는 칼슘 카르보네이트, 하소 클레이, 실리카 (발연 또는 침전됨), 클레이, 몬트모릴로나이트 (나노-클레이), 제올라이트 또는 펄라이트로부터 선택되는 미네랄 충전제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미네랄 충전제는 칼슘 카르보네이트, 하소 클레이, 실리카 (발연 또는 침전됨), 클레이, 몬트모릴로나이트 (나노-클레이), 제올라이트 또는 펄라이트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더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미네랄 충전제는 칼슘 카르보네이트 (CaCO3) 이다.
유리하게는, 칼슘 카르보네이트는 침전된 칼슘 카르보네이트 (PCC), 분쇄된 천연 칼슘 카르보네이트 (GCC), 또는 침전된 칼슘 카르보네이트의 나노크기 입자 (NPCC) 로부터 선택된다.
미네랄 충전제는 또한 슬러리의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과 혼합되는 충전제 (F) 또는 (F2) 는 슬러리의 형태이다.
미네랄 충전제의 슬러리와 관련하여, 이는 바람직하게는 5 wt% 내지 90 wt%, 유리하게는 50 wt% 내지 80 wt% 의 고체 함량을 갖는 미네랄 충전제의 물 분산액이다. 이러한 물 분산액은, 슬러리의 품질 (안정성, 점도, 또는 호스트 중합체 매트릭스와의 상용성) 을 유리하게는 개선시킬 수 있는 임의의 특정 계면활성제, 분산제, 첨가제 또는 충전제 표면 처리제를 함유할 수 있다.
할로겐 함유 중합체와 관련하여, 하기가 언급될 수 있다:
- 비닐 클로라이드 (PVC) 및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PVDC) 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 구조 내에 비닐 클로라이드 단위를 포함하는 비닐 수지, 예컨대 비닐 클로라이드, 및 지방족산의 비닐 에스테르, 특히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비닐 클로라이드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및 아크릴로니트릴과의 공중합체, 비닐 클로라이드와 디엔 화합물 및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또는 이들의 무수물과의 공중합체, 예컨대 비닐 클로라이드와 디에틸 말레에이트, 디에틸 푸마레이트 또는 말레산 무수물과의 공중합체, 비닐 클로라이드의 후-염소화 중합체 및 공중합체, 비닐 클로라이드 및 비닐리덴 클로라이드와 불포화 알데히드, 케톤 및 기타, 예컨대 아크롤레인, 크로톤알데히드, 비닐 메틸 케톤, 비닐 메틸 에테르, 비닐 이소부틸 에테르 등과의 공중합체;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및 이의 공중합체와 비닐 클로라이드 및 기타 중합성 화합물과의 중합체;
- 비닐 클로로아세테이트 및 디클로로디비닐 에테르의 중합체; 비닐 카르복실레이트, 예컨대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부티레이트의 염소화 중합체, 아크릴산 및 α-치환된 아크릴산, 예컨대 메타크릴산의, 니트릴, 아미드,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의 염소화 중합체성 에스테르;
- 비닐 방향족 유도체, 예컨대 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의 중합체; 염소화 고무;
- 올레핀, 예컨대 에틸렌, 프로펜, 1-부텐, (2.2.1)비시클로 헵텐-2, (2.2.1)비시클로 헵타-디엔-2,5 의 염소화 중합체;
- 클로로부타디엔의 중합체 및 후-염소화 중합체 및 비닐 클로라이드와의 이의 공중합체, 염소화 천연 및 합성 고무, 및 또한 상기 중합체의 서로에 대한 또는 다른 중합성 화합물과의 혼합물.
- 할로겐 함유 중합체 일부가 (메트)아크릴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상에, 입자의 형태로 그래프트된 그래프트 할로겐 함유 공중합체, 이것은 가교될 수 있거나 없음.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함유 중합체는 열가소성 중합체이고, 탄성 중합체가 아니다. 열가소성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시차 주사 열량계에 의해 측정됨) 는 적어도 40 ℃, 바람직하게는 50 ℃ 이다.
바람직하게는 할로겐 함유 중합체 중의 할로겐은 불소 또는 염소로부터 선택되고, 유리하게는 할로겐은 염소이다.
염소 함유 중합체는 단독중합체 비닐 클로라이드, 예컨대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후-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부티레이트,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프로필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공단량체를 40 % 이하로 갖는 비닐 클로라이드 단량체의 중합체 의해 형성된 공중합체 뿐만 아니라 다른 중합체를 함유하는 염소-함유 중합체, 예컨대 염소화 폴리에틸렌,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의 삼원중합체,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 스티렌의 삼원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및 알킬 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타디엔의 삼원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중합체 또는 중합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염소-함유 중합체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또는 후-염소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염소 함유 중합체는 적어도 50 wt% 의 VC 단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wt% 의 VC 단위,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0 wt% 의 VC 단위, 유리하게는 적어도 85 wt% 의 VC 단위; 또는 이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비닐 클로라이드 (VC) 의 단독중합체 및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 이것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고:
조성물 P1 을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 또는 (F2) 와 블렌딩하는 단계,
조성물 P1 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 또는 (F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메트)아크릴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1) 및 (F2) 함께의 양은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의 관점에서 40 phr 초과임.
충전제 (F1) 및 (F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충전제 (F1) 및 (F2) 가 동일한 경우, 이들은 함께 단순히 충전제 (F) 로서 볼 수 있고 이들의 양이 첨가된다. 중요한 점은 블렌딩되는 조성물 P1 이 이미 충전제를 함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P1 과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와의 블렌딩은 건조 블렌딩에 의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건조 블렌드가 또한 가열된다.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미네랄 충전제는 이전에 정의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따른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 방법의 변형과 관련하여, 이것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고:
두 조성물 P1 및 P2 를 블렌딩하는 단계,
조성물 P1 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1) 을 포함하고,
조성물 P2 는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1) 및 (F2) 함께의 양은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의 관점에서 40 phr 초과이다.
충전제 (F1) 및 (F2) 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충전제 (F1) 및 (F2) 가 동일한 경우, 이들은 함께 단순히 충전제 (F) 로서 볼 수 있고 이들의 양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전체 양을 수득 (계산) 하기 위해 첨가된다. 중요한 점은 블렌딩되는 두 조성물 P1 및 P2 각각이 이미 충전제를 함유하고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두 조성물 P1 및 P2 의 블렌딩은 건조 블렌딩에 의해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건조 블렌드가 또한 가열된다.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미네랄 충전제는 이전에 정의된 바와 동일하다.
조성물 P1 의 제조 방법과 관련하여, 이것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고:
a)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을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F1) 와 혼합하는 단계;
단계 a) 에서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미네랄 충전제는 수성상 중의 분산액의 형태이다.
바람직하게는 수성상 중의 분산액의 형태로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은 에멀전 중합에 의해 수득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성상 중의 분산액의 형태로의 충전제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미네랄 충전제의 슬러리이다.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및 미네랄 충전제는 이전에 정의된 바와 동일하다.
조성물 P1 의 제조 방법의 변형과 관련하여, 이것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고:
a)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과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F) 또는 (F1) 을 혼합하는 단계
b) 단계 a) 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회수하는 단계
c) 단계 b) 의 회수된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단계 a) 에서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미네랄 충전제는 수성상 중의 분산액의 형태이다.
회수한다는 것은 수성상과 고체상 사이의 부분적인 또는 완전한 분리를 의미하고, 상기 고체상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를 포함한다. 혼합물의 수성상과 고체상 사이의 완전한 분리가 회수 단계 동안 이미 일어난 경우에는, 추가의 건조가 필요하지 않다. 또는 다시 말해서 혼합물의 회수 및 건조는 동시에 일어난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의 혼합물의 회수는, 분무 건조, 동결 건조 또는 응고에 의해 수행된다.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는 이전에 정의된 바와 동일하다.
유리하게는 충전제와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의 혼합물,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회수는 분무 건조에 의해 수행된다.
건조 후 충전제와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의 혼합물,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은 3 wt% 미만의 습도, 바람직하게는 1.5 wt% 미만의 습도, 더 바람직하게는 1.2 wt% 미만의 습도를 포함한다.
분무 건조의 경우에, 분무 건조 장치에 혼합물을 첨가하기 전에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과 충전제와의 혼합물의 분산액, 및 슬러리 또는 분산액 충전제를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과 충전제와의 혼합물의 분산액 및 슬러리 또는 분산액 미네랄 충전제를 회수 단계 동안 분무 건조 장치 내부에서 혼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분무 건조는 조성물 P1 의 제조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회수 및/또는 건조 방법이다.
조성물 P1 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로 제조된 완전한 조성물에 대해, 1 wt% 내지 50 wt%, 바람직하게는 2 wt% 내지 50 wt%, 더 바람직하게는 5 wt% 내지 50 wt% 의 하나의 충전제 (F) 또는 (F1) 을 포함한다.
조성물이 다른 부가적인 (메트)아크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경우, 이들은 충전제의 중량비의 계산에, 이들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중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정의 하에 있는 경우인지를 고려한다.
조성물 P2 는 40 phr 내지 350 phr, 바람직하게는 40 phr 내지 300 phr, 더 바람직하게는 50 phr 내지 300 phr 의 하나의 충전제 (F) 또는 (F2)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 또는 (F2) 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합리적인 시간에 융합하기 위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 또는 (F1) 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P1 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2 를 포함하는 조성물 P2 를 합리적인 시간에 융합하기 위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1 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P1 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1 을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P1 은 중합체 분말의 형태이다.
조성물 P1 의 중합체 분말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응집된 구형 입자 및 미네랄 충전제의 입자를 포함한다.
중합체 분말은 1 ㎛ 내지 500 ㎛ 의 부피 중간 입자 크기 D50 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분말의 부피 중간 입자 크기는 10 ㎛ 내지 450 ㎛, 더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400 ㎛, 유리하게는 20 ㎛ 내지 300 ㎛ 이다.
입자 크기 분포의 D10 (부피) 는 적어도 7 ㎛, 바람직하게는 10 ㎛ 이다.
입자 크기 분포의 D90 (부피) 는 최대 800 ㎛, 바람직하게는 최대 500 ㎛ 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은 이의 구성성분과 관련한 조성의 관점에서는 균질하다: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미네랄 충전제.
본 발명에서 균질함이란 조성물을 통틀어 중요한 변화가 없음을 의미한다. 여러 분말 과립 입자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여러 소형 샘플 (1g) 또는 그 이하를 다량 (1kg) 의 조성물로부터 채취하였을 때, 다른 소형 샘플 및 전반적 조성물과 비교하여 소형 샘플 중의 각각의 구성성분의 중량비와 관련해서 조성물의 중요한 변화가 없다. 중요한 변화가 없다는 것은, 변화가 전체 P1 로부터 채취된 P1 의 1 wt% 샘플 내부에서, 전반적 조성물에 대해 30 % 미만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예로서, 전반적 조성물 P1 이 40 wt% 의 무기 화합물 (F) 및 60 wt% 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을 포함하는 경우, 35 wt% 의 무기 화합물 (F) 및 65 wt% 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을 포함할 것인 전반적 조성물로부터 채취된 소형 제 1 샘플 또는 42 wt% 의 무기 화합물 (F) 및 58 wt% 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을 포함할 것인 전반적 조성물로부터 채취된 소형 제 2 샘플은, 균질 조성물을 의미할 것인데, 소형 샘플 전반에 걸쳐 각각의 구성성분의 비율의 변화가 샘플의 전반적 조성물의 관점에서 30 % 변화 내에 있기 때문이다.
조성물 P1 은 1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과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F) 또는 (F1) 을 포함하는 조성물 P1 전반에 걸쳐 중요한 변화가 없는 균질한 분말이고, 이때, P1 로부터 채취한 P1 의 1 wt% 샘플의 전반적 조성물 P1 에 대해 30 % 미만인 조성물 P1 의 변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내의 구성성분의 변화는 25%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20 % 미만이다.
이상적인 경우에서, 각각의 분말 입자 또는 과립은 2 가지 구성성분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를 포함하며, 상기 2 가지 구성성분의 응집된 입자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물품은 프로필 (profile), 파이프, 사이딩, 바닥재 필름 또는 시트 또는 발포 물품일 수 있다.
[평가 방법]
유리 전이 온도
중합체의 유리 전이 (Tg) 는 열 기계적 분석을 실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로 측정된다. Rheometrics Company 사의 RDAII "RHEOMETRICS DYNAMIC ANALYSER" 가 사용되었다. 열 기계적 분석은 샘플의 점탄성 변화를 적용된 온도, 변형률 또는 변형의 함수로 정확하게 측정한다. 사용된 주파수는 1Hz 이다. 장치는 온도 변화의 통제된 프로그램 동안 변형률을 고정하여 유지하면서, 샘플 변형을 연속적으로 기록한다.
결과는 온도의 함수로, 탄성 계수 (G'), 손실 계수 및 탄젠트 델타를 그림으로써 수득된다. Tg 는 탄젠트 델타의 파생값이 0 인 경우에 탄젠트 델타 곡선에서 판독되는 더 높은 온도값이다.
분자량
중합체의 질량 평균 분자량 (Mw) 을 크기 배제 크로마토그래피 (SEC) 로 측정한다.
융합 효율
PVC 중합체 조성물의 융합 효율은 ASTM D2538-02 (2010 년 재승인) 에 기반하여 토크 유량계를 사용하여 융합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추정된다. 융합 시간이 짧을수록 융합 효율이 양호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약어
MMA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BA - 부틸 아크릴레이트
EA - 에틸 아크릴레이트
PVC - 폴리비닐클로라이드
가공 보조제 (PA) 로서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에 대한 실시예에서의 충전제는 칼슘 카르보네이트 (CaCO3) 이다. CaCO3 슬러리 또는 분산액은 일본 특허 제 59057913 호에 기재된 기술에 따라 제조된다. 즉, 슬러리는 270 부의 물, 0.72 부의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729.3 부의, 직경 0.2 - 0.6 .mu. 의 CaCO3 및 0.6% 수분을 혼합하고, 20 분 동안 전단 속도 5 x 102/s 로 교반함으로써 수득한다. 수득된 고체 함량은 73 wt% 이다.
비교예 1: 반응기에, 8600 g 의 물, 5.23 g 의 Na2CO3 및 38.20 g 의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를 교반하면서 채우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3 회의 진공-질소 퍼지를 연속으로 수행하였고, 반응기를 약간의 진공 하에 방치하였다. 이후 반응기를 가열하였다. 동시에, 4166.4 g 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1041.6 g 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30 분 동안 질소-탈기시켰다. 이후, 혼합물을 펌프를 사용하여 반응기 내로 빠르게 도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55 ℃ 에 도달했을 때, 98.08 g 의 물에 용해된 7.81 g 의 포타슘 퍼술페이트를 도입하였다. 라인을 50 g 의 물로 린스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발열 피크까지 상승하도록 두었다. 이후 중합을 발열 피크 후 60 분 동안 완료되도록 두었다. 반응기를 30 ℃ 까지 냉각시키고, 라텍스를 제거하였다. 라텍스를 분무 건조에 의해 건조시킨다.
비교예 2: 반응기에, 8600 g 의 물, 5.23 g 의 Na2CO3 및 38.20 g 의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를 교반하면서 채우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3 회의 진공-질소 퍼지를 연속으로 수행하였고, 반응기를 약간의 진공 하에 방치하였다. 이후 반응기를 가열하였다. 동시에, 3645.6 g 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1562.4 g 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30 분 동안 질소-탈기시켰다. 이후, 혼합물을 펌프를 사용하여 반응기 내로 빠르게 도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55 ℃ 에 도달했을 때, 98.08 g 의 물에 용해된 7.81 g 의 포타슘 퍼술페이트를 도입하였다. 라인을 50 g 의 물로 린스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발열 피크까지 상승하도록 두었다. 이후 중합을 발열 피크 후 60 분 동안 완료되도록 두었다. 반응기를 30 ℃ 까지 냉각시키고, 라텍스를 제거하였다. 라텍스를 분무 건조에 의해 건조시킨다.
비교예 3: 반응기에, 8600 g 의 물, 5.23 g 의 Na2CO3 및 38.20 g 의 소듐 라우릴 술페이트를 교반하면서 채우고,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3 회의 진공-질소 퍼지를 연속으로 수행하였고, 반응기를 약간의 진공 하에 방치하였다. 이후 반응기를 가열하였다. 동시에, 4687.2 g 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520.8 g 의 n-부틸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30 분 동안 질소-탈기시켰다. 이후, 혼합물을 펌프를 사용하여 반응기 내로 빠르게 도입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55 ℃ 에 도달했을 때, 98.08 g 의 물에 용해된 7.81 g 의 포타슘 퍼술페이트를 도입하였다. 라인을 50 g 의 물로 린스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온도가 발열 피크까지 상승하도록 두었다. 이후 중합을 발열 피크 후 60 분 동안 완료되도록 두었다. 반응기를 30 ℃ 까지 냉각시키고, 라텍스를 제거하였다. 수득된 고체 함량은 37.55% 이다. 라텍스를 분무 건조에 의해 건조시켰다.
실시예 1: 처음에, 공중합체 라텍스를 비교예 3 에 기재된 합성에 따라 제조한다. 최종 생성물을, 공중합체 라텍스 및 슬러리를 하기 비율: 14 kg (14000 부) 의 라텍스 및 0.379 kg (379 부) 의 슬러리로 혼합함으로써 수득하고, 라텍스 단독에 대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건에서 분무 건조시켰다.
실시예 2: 공중합체 라텍스는 비교예 3 에 기재된 합성에 따라 제조한다. 최종 생성물을, 공중합체 라텍스 및 슬러리를 하기 비율: 14 kg (14000 부) 의 라텍스 및 1.8 kg (1800 부) 의 슬러리로 혼합함으로써 수득하고, 라텍스 단독에 대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건에서 분무 건조시켰다.
비교예 및 실시예의 PA 샘플의 특징을 표 2 에 요약한다.
비교예 및 실시예의 제조된 분무 건조된 샘플을 PVC 조성물의 가공 보조제 (PA) 로서 1.5 phr 로 제형화한다. 조성물을 온도를 증가시키면서 Papenmeyer 장치에서 건조 블렌드한다. PVC 조성물을, PVC 중의 충전제로서 각각 60 phr CaCO3 으로 제조한다.
표 1 - 2 가지 비율의 충전제가 있는 PVC 조성물
Figure pct00001
폴리비닐클로라이드로서 PVC S110P (Kemone 사제) 를 사용한다. 1 팩 안정화제로서 Ca/ZN Naftosafe GWX 380 D-3 (Chemson 사제) 을 사용한다.
샘플을 토크 유량계로 융합 효율에 대해 시험한다.
융합 효율을 비교예 1 및 2 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비교하여 평가한다. 비교예 1 및 2 는 충전제가 없는 가공 보조제 조성물이다. 이의 융합 효율은 ++ 로 판단된다. +/-10s 의 간격 내의 융합 시간을 갖는 모든 다른 실시예 또는 비교예는 또한 ++ 로서 판단된다. 융합 시간이 간격 -25s 내지 -10s 에서 더 빠른 경우, 실시예는 +++ 로 판단된다. 융합 시간이 간격 -50s 내지 -25s 에서 더 빠른 경우, 실시예는 ++++ 로 판단된다. 융합 시간이 -50s 까지의 간격에서 비교예 1 보다 50s 빠른 경우, 실시예는 +++++ 로 판단된다. 융합 시간이 비교예 1 및 2 보다 적어도 +10s 느린 경우, 이것은 + 로 판단된다.
융합 효율의 결과는 표 2 에 요약된다.
표 2 각각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PA 의 특징 및 조성물 중의 이들의 융합 효율의 평가
Figure pct00002
실시예 1 내지 2 는 고도 충전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 (PVC) 중에 충전제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의 조성물의 융합 효율이, 동일한 조성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을 사용한 비교예와 동일하거나 여전히 허용가능하게, 그리고 낮은 Tg 를 갖는 다른 조성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을 사용한 비교예보다 더욱 양호하게 수행함을 보여준다.

Claims (31)

  1. 하기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a)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b)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
    c)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양이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40 phr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충전제 (F) 의 일부,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일부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을 갖는 조성물에 첨가되고, 충전제 (F) 의 다른 일부,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다른 일부가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와 함께 또는 별도로 조성물에 첨가되는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양이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40 phr 초과인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50 phr 내지 300 phr 의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0.01 phr 내지 20 phr 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0.15 phr 내지 4 phr 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적어도 일부가 칼슘 카르보네이트, 하소 클레이 (calcinated clay), 실리카 (발연 또는 침전됨), 클레이, 몬트모릴로나이트 (나노-클레이), 제올라이트 또는 펄라이트로부터 선택되는 미네랄 충전제인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이 칼슘 카르보네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이 적어도 50 wt% 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하는 적어도 50 wt% 의 중합체성 단위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분자량 Mw 가 적어도 300 000 g/mol 인 조성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하는 적어도 50 wt% 의 중합체성 단위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분자량 Mw 가 20 000 000 g/mol 미만인 조성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하는 적어도 50 wt% 의 중합체성 단위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분자량 Mw 가 1 000 000 g/mol 내지 12 000 000 g/mol 인 조성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내지 130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 내지 125 ℃ 인 조성물.
  14.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105 ℃ 내지 120 ℃ 인 조성물.
  1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가 적어도 50 wt% 의 비닐클로라이드 단위를 포함하는 비닐클로라이드의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16.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
    조성물 P1 을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 또는 (F2) 와 블렌딩하는 단계,
    조성물 P1 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 또는 (F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메트)아크릴 공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양은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40 phr 초과임.
  17.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의 제조 방법:
    두 조성물 P1 및 P2 를 블렌딩하는 단계,
    조성물 P1 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 또는 F1 을 포함하고,
    조성물 P2 는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 또는 F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양은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40 phr 초과임을 특징으로 함.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조성물 P1 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a)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과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F) 또는 (F1) 을 혼합하는 단계;
    단계 a) 에서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 또는 (F1) 은 수성상 중의 분산액의 형태임.
  19.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조성물 P1 이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a)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과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F) 또는 (F1) 을 혼합하는 단계
    b) 단계 a) 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회수하는 단계
    c) 단계 b) 의 회수된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단계 a) 에서의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미네랄 충전제는 수성상 중의 분산액의 형태임.
  20. 제 16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P1 이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로 제조된 완전한 조성물 P1 에 대해, 1 wt% 내지 50 wt%, 바람직하게는 2 wt% 내지 50 wt%, 더 바람직하게는 5 wt% 내지 50 wt% 의 충전제 (F) 또는 (F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1. 제 16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P1 이 분말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2. 제 16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P1 이 1 ㎛ 내지 500 ㎛ 의 부피 중간 입자 크기 D50 을 갖는 분말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3. 제 16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P1 이 1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과 적어도 하나의 충전제 (F) 또는 (F1) 을 포함하는 조성물 P1 전반에 걸쳐 중요한 변화가 없는 균질한 분말이고, 이때, 전반적 조성물 P1 에 대해 P1 의 1 wt% 샘플의 30 % 미만인 조성물 P1 의 변화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 P1 의 각각의 분말 입자 또는 과립이 2 가지 구성성분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5. 제 16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50 wt% 의, 메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유래하는 중합체성 단위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분자량 Mw 가 1 000 000 g/mol 내지 12 000 000 g/mol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6. 제 16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내지 130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0 ℃ 내지 12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7. 제 17 항에 있어서, 조성물 P2 가 40 phr 내지 350 phr 의 충전제 (F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 방법.
  28.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 또는 (F2) 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융합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 또는 F1 을 포함하는 조성물 P1 의 용도로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양이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40 phr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29. 할로겐 함유 중합체 및 충전제 F2 를 포함하는 조성물 P2 의 융합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 및 충전제 F1 을 포함하는 조성물 P1 의 용도로서,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 또는 2 가지 (메트)아크릴 공중합체 (A1a) 및 (A1b) 의 혼합물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95 ℃ 보다 더 크고, 충전제 (F), 또는 2 가지 충전제 (F1) 및 (F2) 의 혼합물의 양이 할로겐 함유 열가소성 중합체에 대해 40 phr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0.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 또는 제 16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물품.
  31. 제 30 항에 있어서, 프로필 (profile), 파이프, 사이딩 (siding), 바닥재 필름 또는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KR1020187003802A 2015-07-09 2016-07-08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2655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556528 2015-07-09
FR1556528A FR3038612B1 (fr) 2015-07-09 2015-07-09 Composition polymere,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PCT/EP2016/066346 WO2017005922A1 (en) 2015-07-09 2016-07-08 Polymer composition, it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088A true KR20180030088A (ko) 2018-03-21
KR102655919B1 KR102655919B1 (ko) 2024-04-08

Family

ID=55022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3802A KR102655919B1 (ko) 2015-07-09 2016-07-08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180186991A1 (ko)
EP (1) EP3320042B1 (ko)
JP (1) JP6866342B2 (ko)
KR (1) KR102655919B1 (ko)
CN (1) CN107922704B (ko)
BR (1) BR112017028580B1 (ko)
EA (1) EA039094B1 (ko)
FR (1) FR3038612B1 (ko)
MY (1) MY183441A (ko)
UA (1) UA122152C2 (ko)
WO (1) WO201700592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9276A (en) * 1981-03-11 1982-05-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olding components
JPH03182535A (ja) * 1989-12-12 1991-08-08 Chisso Corp 洗浄用樹脂組成物
JP2011032404A (ja) * 2009-08-04 2011-02-17 Mitsubishi Plastics Inc 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押出成形品
US20110305862A1 (en) * 2009-02-26 2011-12-15 Rachwal Lisa B Composite polymer modifiers
JP2018167135A (ja) * 2017-03-29 2018-11-0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中空状多孔質膜及びこれを用いた膜分離活性汚泥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24032C (ko) 1962-08-01
JPS5957913A (ja) 1982-09-29 1984-04-03 Okutama Kogyo Kk 流動性の良好な高濃度合成炭酸カルシウムスラリ−の製造方法
IE57758B1 (en) * 1983-08-31 1993-03-24 Mitsubishi Rayon Co Impact modifi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s using the same
DE3342435A1 (de) * 1983-11-24 1985-06-05 Alkor GmbH Kunststoffe, 8000 München Formmassen mit verbesserten verarbeitungseigenschaften und daraus hergestellte alterungsbestaendige kunststoffolien
US4584349A (en) * 1985-01-28 1986-04-22 The B. F. Goodrich Company Method and composition for improved melt processability of chlorinated polyvinyl chloride
JP3811225B2 (ja) * 1996-07-12 2006-08-16 フクビ化学工業株式会社 塩化水素捕捉能を有する高充填発泡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100523909B1 (ko) * 2003-07-03 2005-10-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 수지용 가공조제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8063423A (ja) * 2006-09-06 2008-03-21 Mitsubishi Rayon Co Ltd 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US8367764B2 (en) 2007-10-30 2013-02-05 Arkema Inc. Acrylic copolymer for use in highly filled composites
KR101030513B1 (ko) * 2007-12-06 2011-04-26 제일모직주식회사 염화비닐 수지의 가공 조제용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그 제조방법
WO2011041195A1 (en) 2009-09-30 2011-04-07 Arkema Inc. Acrylic process aid for vinyl foam extrusion
EP3050922A4 (en) * 2013-09-25 2016-09-28 Mitsubishi Rayon Co SOFT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FORM BODY, ELECTRIC CABLE COATING MATERIAL AND COATED ELECTRICAL CAB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9276A (en) * 1981-03-11 1982-05-1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olding components
JPH03182535A (ja) * 1989-12-12 1991-08-08 Chisso Corp 洗浄用樹脂組成物
US20110305862A1 (en) * 2009-02-26 2011-12-15 Rachwal Lisa B Composite polymer modifiers
JP2011032404A (ja) * 2009-08-04 2011-02-17 Mitsubishi Plastics Inc 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および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押出成形品
JP2018167135A (ja) * 2017-03-29 2018-11-01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中空状多孔質膜及びこれを用いた膜分離活性汚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922704A (zh) 2018-04-17
EP3320042A1 (en) 2018-05-16
EA039094B1 (ru) 2021-12-02
EP3320042B1 (en) 2020-02-12
JP6866342B2 (ja) 2021-04-28
US20180186991A1 (en) 2018-07-05
BR112017028580A2 (pt) 2018-09-04
WO2017005922A1 (en) 2017-01-12
KR102655919B1 (ko) 2024-04-08
CN107922704B (zh) 2020-12-11
UA122152C2 (uk) 2020-09-25
EA201890253A1 (ru) 2018-06-29
BR112017028580B1 (pt) 2022-05-17
JP2018519401A (ja) 2018-07-19
FR3038612B1 (fr) 2020-03-27
FR3038612A1 (ko) 2017-01-13
US20230048489A1 (en) 2023-02-16
MY183441A (en)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4371B2 (en) Polymer composition comprising inorganic compound and polymeric impact modifier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20230203298A1 (en) Polymer composition with filler, it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RU2663897C2 (ru)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полимерного порошка многостадийного получения,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KR102655919B1 (ko)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US11312854B2 (en) Polymer composition, its process of preparation and its use
US10851231B2 (en) Polymer composition with filler, its method of preparation and use
KR102668381B1 (ko) 충전제를 포함하는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용도
RU2782844C2 (ru)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 наполнителем,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ее применения
RU2781644C2 (ru) Полимерная композиция,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и ее применение
BR112019013290B1 (pt) Composição polimérica com excipiente, seu método de preparação e us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