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925A -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925A
KR20180028925A KR1020170111564A KR20170111564A KR20180028925A KR 20180028925 A KR20180028925 A KR 20180028925A KR 1020170111564 A KR1020170111564 A KR 1020170111564A KR 20170111564 A KR20170111564 A KR 20170111564A KR 20180028925 A KR20180028925 A KR 20180028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ase
storage device
command
data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8563B1 (ko
Inventor
소 요코미조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8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74Deleting of print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8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 G06F3/122Reducing or saving of used resources, e.g. avoiding waste of consumables or improving usage of hardware resources with regard to computing resources, e.g. memory, CPU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 G06F3/06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storage management by facilitating the interaction with a user or administra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08Saving storage space on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46Horizontal data movement in storage systems, i.e. moving data in between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06F3/0652Erasing, e.g. deleting, data cleaning, moving of data to a wastebask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3Monitoring storage devices o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79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e.g. flash memory, one time programmable memory [O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73Single storage device
    • G06F3/068Hybrid storage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5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increased flexibility in print job configuration, e.g. job settings, print requirements, job ticke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7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the user being informed about print result after a job sub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29Printer resources management or printer maintenance, e.g. device status, power levels
    • G06F3/1231Device related settings, e.g. IP address, Name,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2Securing storage systems
    • G06F3/0623Securing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정보 처리장치(MFP)의 CPU는, MFP이 구비하고 있는 2차 기억장치의 장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2차 기억장치가, 해당 기억장치로부터 소거해야 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소거 코맨드(TRIM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CPU는, 그 판별의 결과에 따라,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는 소거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제어함으로써, 소거 모드의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보 처리장치가 구비하는 기억장치에 보존된 데이터의 소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프린터와 복합기(MFP) 등의 화상 형성장치에 탑재하는 2차 기억장치(보조 기억장치)로서, 종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대신에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사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SSD는, 액세스 속도와 정음성 등의 관점에서 HDD보다도 우수한 한편, 고쳐쓰기 횟수에 제한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고쳐쓰기 횟수의 제한에 대처하기 위해서, 웨어 레벨링(wear leveling) 기능에 의해, 특정한 영역에 기록이 집중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SSD는, 데이터가 이미 격납되어 있는 영역 위에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덮어쓸 수 없는(즉, 데이터를 이미 소거한 영역에만 데이터를 써넣을 수 없는) 것이 알려져 있다. SSD에 있어서 데이터의 덮어쓰기를 행하기 위해서는, 기록 대상의 영역에 대해서 데이터를 소거해서 비우고 하고 나서 빈 영역에 데이터를 기록할 필요가 있다.
시큐리티의 관점에서, 잡의 실행에 사용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형성장치의 2차 기억장치로부터 완전히 소거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HDD에서는, 소거 대상의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어 랜덤값의 데이터로 덮어씀으로써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한편, SSD의 경우에는, 상기한 웨어 레벨링 기능에 기인하여, 소거 대상의 데이터가 격납된 영역과는 다른 영역에 소거 대상의 데이터에 덮어쓸 데이터가 기록될 수도 있기 때문에, 소거 대상의 데이터(소거 대상 데이터)를 덮어쓰기가 곤란하다. 이것을 감안하여, SSD에서는, TRIM 코맨드(소거 코맨드) 및 가비지 콜렉션을 사용해서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행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개 2015-219602호 공보에는, TRIM 코맨드에 의한 불필요 영역의 통지와, 가비지 콜렉션에 의한 불필요 영역의 데이터의 소거를 제공하고, 소거 처리의 완료를 검출시에 SSD의 데이터가 무효화된 것을 유저에게 통지하는 정보 처리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화상 형성장치 등의 정보 처리장치에 2차 기억장치로서 HDD 대신에 SSD가 탑재된 경우, 2차 기억장치에 격납된 데이터의 완전 소거는, 전술한 바와 같이, HDD와 유사한 방법으로 실현할 수는 없다. 또한, 2차 기억장치로서 탑재된 SSD가 상기한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를 지원하지 않고 있을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정보 처리장치에 2차 기억장치로서 탑재된 기억장치의 타입에 따라, 데이터의 완전 소거의 방법을 유저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게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 처리장치에 2차 기억장치로서 탑재되는 기억장치의 타입에 따라, 2차 기억장치에 격납된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위한 소거 모드를 유저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정보 처리장치로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기억장치의 장치 정보로서,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소거해야 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잡의 실행에 사용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소거하는 소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지 아닌지에 따라, 상기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는 소거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정보 처리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르면,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기억장치의 장치 정보로서,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소거해야 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잡의 실행에 사용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소거하는 소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지 아닌지에 따라,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게 하는 소거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2차 기억장치로서 탑재되는 기억장치의 타입에 따라, 정보 처리장치의 2차 기억장치에 격납된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위한 소거 모드를 유저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주어지는) 이하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MFP의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소거 모드의 선택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소거 모드의 설정 처리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제1실시형태)이다.
도 4는, 데이터의 소거 처리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제1실시형태)이다.
도 5는, 소거 모드의 선택 화면의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소거 모드의 설정 처리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제2실시형태)이다.
도 7은, 데이터의 소거 처리의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제2실시형태)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SSD에 격납된 데이터의 완전 소거의 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며, 이하의 실시형태에 따라 서술되는 국면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에 대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은 자명하다.
제1실시형태
제1실시형태에서는, 정보 처리장치의 일례로서, 인쇄 기능, 복사 기능, 화상송신 기능, 화상보존 기능 등의 다수의 기능을 갖는 화상 형성장치(화상 처리장치)인 복합기(MFP)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때, 본 실시형태는, MFP에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쇄장치(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장치, PC 등의 다른 정보 처리장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가능하다.
<MFP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MFP(1)의 구성 예를 나타낸 블록도다. MFP(1) 은, 콘트롤러(3)와, 콘트롤러(3)에 접속된 스캐너 장치(2), 프린터 장치(4), 조작부(5), 2차 기억장치(6), 및 FAX(팩시밀리)장치(7)를 구비한다. 스캐너 장치(2)는, 원고로부터 광학적으로 화상을 읽어내서 해당 화상을 디지털 화상으로 변환하고, 디지털 화상을 화상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프린터 장치(4)는,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시트(기록지 등)에 화상을 인쇄한다. 조작부(5)는, 조작 버튼, 및 터치패널 기능을 갖는 표시 패널을 구비하고, MFP(1)에 대한 유저의 조작을 접수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동시에, 각종정보 및 조작 화면의 표시를 위해 사용된다. FAX 장치(7)는, 전화 회선을 사용한 FAX송신을 거쳐 지정된 목적지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2차 기억장치(6)는, 불휘발성의 기억장치이며, 화상 데이터, 및 메인 CPU(201)에 의해 실행되는 제어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이 격납된다. 2차 기억장치(6)는 보조 기억장치로도 불린다. 본 실시형태의 MFP(1)에는, 2차 기억장치(6)로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탑재가능하다. SSD은, 반도체 디바이스(예를 들면, NAND형 플래시 메모리)로 구성된 불휘발성의 기억장치이며, 데이터를 격납가능한 기억 용량은 HDD보다도 작지만 고속의 랜덤 액세스가 가능하다.
콘트롤러(3)는, 메인 시스템(메인 보드)(200) 및 서브 시스템(서브 보드)(220)으로 구성된다. 메인 시스템(200)은, MFP(1)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CPU 시스템이다. 서브 시스템(220)은, 메인 시스템(200)에 접속되고, 화상처리용 하드웨어로 구성된 CPU 시스템이다. 메인 시스템(200)에는, 조작부(5) 및 2차 기억장치(6) 등이 접속된다. 서브 시스템(220)에는, 스캐너 장치(2), 프린터 장치(4), 및 FAX장치(7) 등이 접속된다.
메인 시스템(200)은, 메인 CPU(201), 부트 R0M(202), 메모리(203), 버스 콘트롤러(204), 불휘발성 메모리(205), 및 디스크 콘트롤러(206)를 구비한다. 메인 시스템(200)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I/F)(210), 및 RTC(211)을 구비한다.
메인 CPU(201)은, 메인 시스템(200) 전체를 제어하는 동시에 MFP(1) 전체를 제어한다. 부트 R0M(202)에는, MFP(1)의 기동시에 메인 CPU(201)에 의해 실행되는 부트 프로그램이 격납된다. 메모리(203)는, 메인 CPU(201)의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버스 콘트롤러(204)는 외부 버스(본 실시형태에서는 서브 시스템(220)측의 버스)와의 브리지를 확립하는 기능을 가진다. 불휘발성 메모리(205)에는, 메인 CPU(201)에 의해 사용되는 설정 데이터 등이 격납된다. RTC(211)은, 시계 기능을 가진다. 디스크 콘트롤러(206)는, 2차 기억장치(6)를 제어한다.
서브 시스템(220)은, 서브 CPU(221), 메모리(223), 버스 콘트롤러(224), 불휘발성 메모리(225), 화상처리 프로세서(226), 및 엔진 콘트롤러 227, 228을 구비한다. 서브 CPU(221)은, 메인 CPU(201)의 제어하에서, 서브 시스템(220) 전체를 제어한다. 메모리(223)는, 서브 CPU(221)의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버스 콘트롤러(224)는, 외부 버스(본 실시형태에서는 메인 시스템(200)측의 버스)와의 브리지를 확립하는 기능을 가진다. 불휘발성 메모리(225)에는, 서브 CPU(221)에 의해 사용되는 설정 데이터 등이 격납된다.
화상처리 프로세서(226)는, 프린터 장치(4)에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및 스캐너 장치(2)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처리를 행한다. 엔진 콘트롤러 227은, 화상처리 프로세서(226)와 프린터 장치(4)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 교환을 행하는 동시에, 서브 CPU(22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프린터 장치(4)를 제어한다. 엔진 콘트롤러 228은, 화상처리 프로세서(226)와 스캐너 장치(2)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 교환을 행하는 동시에, 서브 CPU(221)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스캐너 장치(2)를 제어한다. FAX 장치(7)는, 서브 CPU(221)에 의해 직접 제어된다.
이때,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도 1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메인 CPU(201), 서브 CPU(221) 등에는, 칩세트, 버스 브리지, 클록 제네레이터 등의, CPU 주변 하드웨어 부품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SSD의 처리>
여기에서, 2차 기억장치(6)로서 MFP(1)에 탑재가능한 SSD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소거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SSD은, 페이지 단위와 블록 단위로 기억 영역 내의 데이터를 관리한다. 페이지는, 기록 처리 또는 판독 처리의 최소 단위이며, 통상 수 킬로바이트를 가진다. 블록은, 소거 처리의 단위이며, 복수의 페이지로 구성된다. SSD에서는, 데이터가 이미 기록된 페이지에 직접적으로 덮어쓰기는 할 수 없고, 대상이 되는 페이지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전에, 대상이 되는 페이지에 이미 기록된 데이터의 소거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 소거 처리는, 페이지 단위가 아니라, 데이터의 삭제 단위, 즉 블록 단위로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데이터를 기록 가능한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을(즉, 데이터를 이미 소거한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을) 때 데이터의 기록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기록 처리에 앞서 블록 단위에서의 데이터의 소거 처리를 행한다.
SSD에 있어서의 블록 단위에서의 데이터의 소거 처리와 관련해서, "TRIM 코맨드"와 "가비지 콜렉션"을 사용한다. TRIM 코맨드는, 불필요하게 된 영역(페이지)을 SSD에 대하여 통지하는 외부의 ATA 규격의 코맨드이며, 본실시형태에서는, TRIM 코맨드는 기억장치로부터 소거해야 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소거 코맨드의 일례다. 가비지 콜렉션은, 유효한 페이지를 재배치하여 무효인 페이지 만을 갖는 블록을 만든 후, 이들 블록의 소거 처리를 행함으로써 비어 있는 블록의 수를 늘리는 메카니즘이다. SSD은, TRIM 코맨드 및 가비지 콜렉션을 이용하여, 기록 처리의 요구가 발생하기 전에 블록 단위의 소거 처리를 행해서 비어 있는 블록의 수를 늘린다. 이에 따라, 기록 처리의 요구가 발생했을 때에, 기록 처리에 앞서 데이터의 소거 처리를 행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의 소거가 완료하는 것을 기다리는 것에 기인하는 기록 속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SSD의 내부에는, 논리 어드레스와 물리 어드레스 사이의 대응을 나타내는 대응 테이블(변환 테이블)을 유지하고, SSD는 해당 변환 테이블에 근거하여 데이터의 기록 처리 및 데이터의 판독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SSD는, 변경의 빈도가 높은 데이터를 데이터가 낮은 빈도로 기록된 물리 페이지로 이동시키고, 변경의 빈도가 낮은 데이터를 데이터가 높은 빈도로 기록된 물리 페이지로 이동시킴으로써, 데이터의 물리적인 기록 영역(페이지)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SSD는, 데이터의 이동처가 되는 페이지의 물리 어드레스를 원래의 논리 어드레스와 대응하여 나타내도록 변환 테이블을 갱신한다. 또한, SSD는, 신규의 기록 처리의 요구가 발생한 경우에, 낮은 빈도로 데이터가 기록된 영역(페이지)에 우선적으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카니즘은 "웨어 레벨링"으로 불린다.
상기한 TRIM 코맨드(소거 코맨드)의 발행 타이밍은, 파일 시스템과 마운트 방법에 따라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TRIM 코맨드는 파일 시스템 상에서 파일이 삭제된 타이밍과 비동기인 임의의 타이밍에 발행되거나, 파일 시스템 상에서 파일이 삭제된 타이밍과 동기한 타이밍에 실시간으로 발행되어도 된다. 본실시형태는, 파일 시스템 상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삭제와는 비동기로, TRIM 코맨드를 발행하는(TRIM 코맨드에 대해 배치 처리(batch processing)를 행하는) 예에 속한다. 이때, 제2실시형태는, 파일 시스템 상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삭제와 동기해서 TRIM 코맨드를 발행하는 예에 속한다.
<SSD로부터의 완전 소거의 예>
이하,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2차 기억장치(6)로서 SSD가 MFP(1)에 탑재되어 있는 경우의, SSD에 격납된 데이터의 완전 소거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SSD가 탑재된 MFP(1)에 있어서, 잡에서 사용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파일 A의 완전 소거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도 8a 내지 도 8c는, 후술하는 선택 화면 310(도 2)에 있어서 버튼 311을 누름으로써 소거 모드가 설정될 때, 후술하는 스텝 S114(도 4), 또는 스텝 S212, S213(도 7)에서 실행되는 소거 처리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a 내지 도 8c의 예에서는, MFP(1)에 있어서 동작하고 있는 오퍼레이팅 시스템(OS)의 파일 시스템(FS)은 SSD에 대하여 TRIM 코맨드(소거 코맨드)를 발행한다. 그 결과, SSD는 이 코맨드에 근거하여 파일 A의 소거 처리를 행한다. 본예에서는, 이러한 TRIM 코맨드에 의한 소거 처리에 앞서, 랜덤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거 대상 데이터를 덮어쓰는 소거 처리가 행해진다. 덮어쓰기에 근거한 소거 처리는, 랜덤값으로 이루어진 랜덤 데이터 대신에 0의 데이터로 소고 대산 데이터를 덮어쓸 때에도 실행된다.
도 8a에 나타낸 것과 같이, SSD에 격납되어 있는 파일 A는 데이터 "111"로 구성되어 있다. 파일 A의 논리 어드레스는 "a1, b1, c1"이다. FS은, 각 파일의 논리 어드레스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있다. SSD은, 논리 어드레스와 물리 어드레스 사이의 대응을 나타낸 변환 테이블에 있어서, 해당 논리 어드레스를 물리 어드레스 "x1, y1, z1"와 대응시켜 관리하고 있다. "x1, y1, z1"은 각각 페이지를 나타낸다. 이때, 논리 어드레스는 FS 위의 논리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한편, 물리 어드레스는, SSD의 기억 영역 상의 물리적인 위치를 나타낸다. "x1, y1, z1"의 각 페이지에는, 데이터로서 "1"이 격납되어 있다.
도 8b는, 도 8a에 나타내는 파일 A가 데이터 "567"로 덮어쓰기가 행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덮어쓰기는 FS의 리스트에는 변화를 일으키지 않는다. 한편, SSD의 변환 테이블에서는, 파일 A의 논리 어드레스에 대응된 물리 어드레스가 다른 어드레스 "x2, y2, z2"로 갱신되어 있다. 이것은 도 8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덮어쓰기용의 데이터 "567"이, 상기한 웨어 레벨링 기능에 의해, 원래의 물리 어드레스 "x1, y1, z1"로 표시된 페이지와는 다른 페이지에 격납된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FS 위에서 데이터(파일 A)기 덮어쓰여져도, SSD는, 일반적으로 실제의 물리 페이지의 데이터를 반드시 덮어쓰는 것은 아니고, 다른 물리 페이지에 덮어쓰기용의 데이터가 격납되고 이에 따라 변환 테이블이 갱신될 수 있다. 이때, "x1, y1, z1"은 블록 1(B1)의 페이지를 표시하는 한편, "x2, y2, z2"는 블록 1과는 다른 블록 2(B2)의 페이지를 표시한다.
도 8c는, FS 위에서 도 8b에 나타내는 파일 A의 삭제가 행해지고, 파일 A의 삭제를 요구하는 TRIM 코맨드를 FS가 SSD에 대하여 발행한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도 8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우선 FS의 리스트로부터 파일 A(및 대응하는 논리 어드레스)가 삭제된다. 그후, FS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논리 어드레스 "a1, b1, c1"을 지정한 TRIM 코맨드를 SSD에 발행함으로써, 다 이상 사용되지 않는 페이지를 SSD에 통지한다. 이에 따라, SSD은, 논리 어드레스 "a1, b1, c1"에 대응하는 물리 어드레스 "x2, y2, z2"로 표시된 페이지가 불필요하게 된다(즉, 이들 페이지의 데이터의 소거가 가능하게 된) 것을 인식한다. 이때, 도 8b에 나타내는 덮어쓰기의 결과, "x1, y1, z1"로 표시된 페이지의 데이터의 소거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후, SSD는, 임의의(소정의) 타이밍에, 데이터의 소거가 가능한 블록에 대해서 소거 처리를 행한다. 소정의 타이밍의 예로서는, "다음에 같은 블록을 리드하기 전"이다. 그 결과, 도 8c에 나타낸 것과 같이 블록 1 및 블록 2 내부의 각 페이지의 데이터는 클리어되는데, 즉 0으로 변경된다. 이렇게 하여, SSD의 물리 페이지로부터, 파일 A의 원래의 데이터 "111"이 완전하게 소거된다.
<소거 모드의 설정 화면>
도 2는, 인쇄 잡, 카피 잡 또는 기타 잡의 실행에 사용된, 화상 데이터 등의 데이터를 2차 기억장치(6)로부터 소거하는(즉, 완전 소거하는) 소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선택 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메인 CPU(201)(이하, "CPU 201"로 표기한다)은, 도 2에 나타내는 선택 화면 300, 310을, 조작부(5)를 사용한 유저에 의해 내려진 지시에 따라 조작부(5)에 표시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CPU 201은, 2차 기억장치(6)가 소거(TRIM)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SSD)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판별의 결과에 따라, 소거 모드의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CPU 201은, MFP(1)에 2차 기억장치(6)로서 HDD가 탑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선택 화면 300을 조작부(5)에 표시한다. 한편, CPU 201은, MFP(1)에 2차 기억장치(6)로서 SSD(특히, TRIM 코맨드를 서포트하는 SSD)이 탑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선택 화면 310을 조작부(5)에 표시한다. 이때, HDD는 소거 코맨드에 대응하지 않고 있는 타입의 기억장치의 일례이며, SSD는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의 기억장치의 일례다.
(2차 기억장치(6)가 HDD일 경우)
선택 화면 300은, 2차 기억장치(6)로서 MFP(1)에 탑재된 HDD로부터의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위한 소거 모드를 선택 및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선택 화면 300에 있어서, 버튼 301은, 소거 대상 데이터를 0의 데이터로 1회 덮어쓰는 소거 모드에 대응한다. 버튼 302는, 소거 대상 데이터를 0의 데이터로 3회 덮어쓰는 소거 모드에 대응한다. 버튼 303은, 소거 대상 데이터를 랜덤값의 데이터로 3회 덮어쓰는 소거 모드에 대응한다. 버튼 304는, 소거 대상 데이터를, 미국 국방총성이 설정한 규격인 DoD 형식의 데이터로 덮어쓰는 소거 모드에 대응한다. 캔슬 버튼(305)은, 선택 화면 300에 있어서의 소거 모드의 설정 내용을 캔슬하기 위한 버튼이다. OK 버튼(306)은, 선택 화면 300에 있어서의 소거 모드의 설정 내용을 MFP(1)의 설정에 반영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이렇게, 선택 화면 300에는, 소거 코맨드(TRIM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와 다른 소정의 소거 처리(소정의 데이터를 사용한 덮어쓰기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는(1개 이상의) 소거 모드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CPU 201은, 선택 화면 300에 있어서, 버튼 301 내지 304의 한개의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함으로써, 소거 모드의 선택을 접수한다. 또한, CPU 201은, OK 버튼(306)이 유저에 의해 눌러지면, 선택된 소거 모드를, 2차 기억장치(6)로부터의 데이터의 완전 소거용의 소거 모드로서 설정한다.
(2차 기억장치(6)가 SSD일 경우)
선택 화면 310은, 2차 기억장치(6)로서 MFP(1)에 탑재된 SSD로부터의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위한 소거 모드를 선택 및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선택 화면 310에 있어서, 버튼 311 내지 314는, 버튼 301 내지 304에 각각 대응하는 덮어쓰기에 근거한 소거 처리의 실행과 함께, 소거 코맨드(TRIM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는 소거 모드에 대응한다. 버튼 315는, 덮어쓰기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지 않고, 소거 코맨드(TRIM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는 소거 모드에 대응한다.
이렇게, 선택 화면 310에는, 소거 코맨드(TRIM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는 (1개 이상의) 소거 모드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CPU 201은, 선택 화면 310에 있어서, 버튼 311 내지 315의 한 개의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함으로써, 소거 모드의 선택을 접수한다. 또한, CPU 201은, OK 버튼(306)이 유저에 의해 눌러지면, 선택된 소거 모드를 2차 기억장치(6)로부터의 데이터의 완전 소거용의 소거 모드로서 설정한다.
<소거 모드의 설정 처리>
본 실시형태의 MFP(1)은, 2차 기억장치(6)로서 탑재되는 기억장치의 타입에 따라, 2차 기억장치(6)에 격납된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위한 소거 모드를 유저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도록, 소거 모드의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CPU 201은, MFP(1)이 구비하고 있는 2차 기억장치(6)의 장치 정보를 취득한다. CPU 201은, 취득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2차 기억장치(6)가 해당 기억장치로부터 소거해야 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또한, CPU 201은, 그 판별의 결과에 따라,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소거 코맨드(TRIM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는 소거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제어함으로써, 소거 모드의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2차 기억장치(6)에 격납된 데이터를 소거하는 소거 모드의 설정 처리의 구체적인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이때, 도 3에 나타내는 각 스텝의 처리는, FPGA와 ASIC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거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가 실현될 경우, 각 처리는, CPU 201이, 2차 기억장치(6)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처리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설정 처리에서는, CPU 201은, 2차 기억장치(6)의 타입을 판별하고, 그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조작 화면을 조작부(5)에 표시하고, 표시한 조작 화면을 거쳐 소거 모드의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함으로써, 소거 모드를 설정한다.
우선 스텝 S101에서, CPU 201은, MFP(1)에 탑재된 2차 기억장치(6)를 인식하고, 인식한 2차 기억장치(6)의 장치 정보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크 콘트롤러(206)가 2차 기억장치(6)에 대하여 발행하는 ATA 규격의 코맨드에 대한 응답으로부터, 2차 기억장치(6)의 장치 정보를 취득한다.
CPU 201은, 취득한 장치 정보에 포함되는, 2차 기억장치(6)의 회전속도 정보에 근거하여, 2차 기억장치(6)의 타입을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속도 정보가 소정의 회전속도(예를 들면, 7200rpm, 5400rpm 등)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2차 기억장치(6)는 HDD로 판별된다. 한편, 회전속도 정보가 회전하지 않는 미디어를 나타내는 경우(즉, 디스크가 회전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2차 기억장치(6)는 SSD로 판별된다. CPU 201은, 2차 기억장치(6)가 SSD라고 판별한 경우, 취득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2차 기억장치(6)가 TRIM 기능(TRIM 코맨드)을 서포트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더 판별할 수 있다.
상기한 판별의 결과에 따라, 스텝 S102에서, CPU 201은, MFP(1)에 2차 기억장치(6)로서 탑재되어 있는 스토리지 디바이스가 SSD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 201은, 스토리지 디바이스가 SSD일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103으로 진행하고, 스트로지 디바이스가 SSD가 아닌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3에서, CPU 201은, 2차 기억장치(6)로서 탑재되어 있는 SSD가 TRIM 코맨드를 서포트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 201은, SSD가 TRIM 코맨드를 서포트하고 있을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104로 진행하고, SSD가 TRIM 코맨드를 서포트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이렇게, CPU 201은, 2차 기억장치(6)가 TRIM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즉, TRIM 코맨드에 대응한 SSD)일 경우에는 스텝 S104로 진행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4에서, CPU 201은, SSD에 대응하는 소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화면(도 2의 선택 화면 310)을 조작부(5)에 표시하고, 유저에 의한 소거 모드의 선택을 접수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선택 화면 310에는, TRIM 코맨드(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는 소거 모드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선택 화면 310에 있어서 유저가 소거 모드를 선택하고 OK 버튼(306)이 누르면, CPU 201은 처리를 스텝 S105로 진행한다.
한편, CPU 201이 스텝 S102 또는 스텝 S103으로부터 스텝 S106으로 처리를 진행한 경우, HDD에 대응하는 소거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화면(도 2의 선택 화면 300)을 조작부(5)에 표시하고, 유저에 의한 소거 모드의 선택을 접수한다. 이렇게, 2차 기억장치(6)가 HDD일 경우, 또는 2차 기억장치(6)가 RIM 코맨드(소거 코맨드)를 서포트하지 않고 있는 SSD일 경우에는, 선택 화면 300을 표시한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선택 화면 300에는, 소정의 데이터를 사용한 덮어쓰기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는 소거 모드가 선택 가능하게 표시된다. 선택 화면 300에 있어서 유저에 의해 소거 모드가 선택되고 OK 버튼(306)이 눌러지면, CPU 201은 처리를 스텝 S105로 진행한다.
스텝 S105에서, CPU 201은, 선택 화면 300 또는 310에 있어서 선택된 소거 모드를, 2차 기억장치(6)로부터의 데이터의 완전 소거용의 소거 모드로서 설정한 후, 본 처리를 종료한다.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위한 소거 처리>
다음에,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3에 나타내는 설정 처리에 의해 설정된 소거 모드에서 데이터의 소거 처리를 행하는 구체적인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MFP(1)에 있어서 동작하고 있는 OS의 파일 시스템(FS)은, 2차 기억장치(6)에 격납된 파일을 관리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처리는, 파일 시스템 상에서 파일(데이터)의 삭제가 행해졌을 때에 실행된다. 이때, 도 4에 도시한 도 3에 나타내는 각 스텝의 처리는, FPGA와 ASIC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거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가 실현될 경우, 각 처리는, CPU 201이, 2차 기억장치(6)등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이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처리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후술하는 예에서는, 2차 기억장치(6)에 격납되고 MFP(1)에 있어서 잡의 실행에 사용(잡의 실행시에 생성)된 파일(데이터)을 해당 잡의 실행의 완료후에 2차 기억장치(6)로부터 소거하기 위해서, 상기한 소거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를 상정한다. 예를 들면, 잡의 실행의 완료후에 조작부(5)에 있어서 파일의 삭제 조작이 행해지면, 파일 시스템 상에서 파일의 삭제가 행해진다. 이때, 파일 시스템 상에 있어서의 파일의 삭제는, 해당 파일을 사용하는 잡의 실행의 완료에 따라 행해져도 된다. 이와 달리, 해당 파일을 사용하는 잡의 실행중에, 해당 파일을 사용하는 처리의 완료에 따라, 해당 파일의 삭제가 행해져도 된다.
파일 시스템 상에서 파일의 삭제가 행해지면, CPU 201은, 스텝 S101과 마찬가지로, 2차 기억장치(6)의 장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2차 기억장치(6)의 타입을 판별한다. 또한, CPU 201은, 2차 기억장치(6)가 SSD라고 판별한 경우, 2차 기억장치(6)가 TRIM 기능(TRIM 코맨드)을 서포트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더 판별한다.
상기한 판별의 결과에 따라, 스텝 S111에서, CPU 201은, MFP(1)에 2차 기억장치(6)로서 탑재되어 있는 스토리지 디바이스가 SSD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 201은, 스토리지 디바이스가 SSD일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112로 진행하고, 스토리지 디바이스가 SSD가 아닐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115로 진행한다. 스텝 S112에서, CPU 201은, 2차 기억장치(6)로서 탑재되어 있는 SSD가 TRIM 코맨드를 서포트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 201은, SSD가 TRIM 코맨드를 서포트하고 있을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113으로 진행하고, SSD가 TRIM 코맨드를 서포트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115로 진행한다.
스텝 S113에서, CPU 201은, 잡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행하기 위한 설정이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CPU 201은, SSD에 대응하는 선택 화면 310을 사용하여, 잡에서 사용된 데이터를 2차 기억장치(6)로부터 완전하게 소거하기 위한 소거 모드의 설정이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 201은, 이와 같은 설정이 행해지지 않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본 처리를 종료하고, 이와 같은 설정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114로 진행한다.
스텝 S114에서, CPU 201은, 소거 대상 데이터, 즉 파일 시스템 상에서 파일의 삭제가 행해진 데이터의 소거 처리를, 설정되어 있는 소거 모드에서 2차 기억장치(6)에게 실행하게 한다. 이때, CPU 201은, 파일 시스템 상에 있어서의 파일의 삭제와는 비동기의 타이밍에, 소거 대상 데이터가 격납된 논리 어드레스(페이지)의 지정을 포함하는 TRIM 코맨드(소거 코맨드)를 2차 기억장치(6)에 발행한다. SSD는, 발행된 TRIM 코맨드에 근거하여 소거 대상 데이터의 소거 처리를 실행한다. 그후, CPU 201은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S115에서, CPU 201은, 잡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행하는 설정이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CPU 201은, HDD에 대응하는 선택 화면 300을 사용하여, 잡에서 사용된 데이터를 2차 기억장치(6)로부터 완전하게 소거하기 위한 소거 모드의 설정이 행해지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 201은, 이와 같은 설정이 행해지지 않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이와 같은 설정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11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16에서, CPU 201은, 소거 대상 데이터, 즉 파일 시스템 상에서 파일의 삭제가 행해진 데이터의 소거 처리를, 설정되어 있는 소거 모드에서 2차 기억장치(6)에게 실행하게 한다. 즉, CPU 201은, 소정의 데이터를 사용한 덮어쓰기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실행한다. 그후, CPU 201은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러한 절차에 의해, 2차 기억장치(6)로서 SSD가 탑재되고, 파일 시스템 상의 파일의 삭제와는 비동기로 TRIM 코맨드(소거 코맨드)가 SSD에 대하여 발행될 경우에, 잡에서 사용된 소거 대상 데이터의 완전 소거가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절차에 의해, 2차 기억장치(6)로서 HDD가 탑재된 경우에도, 잡에서 사용된 소거 대상 데이터의 완전 소거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타입(예를 들어, SSD와 HDD)의 스토리지 디바이스가 2차 기억장치(6)로서 탑재되는 MFP(1)에 있어서, 2차 기억장치(6)의 타입을 판별하고, 소거 모드의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2차 기억장치(6)의 타입의 판별 결과에 따라, 소거 코맨드(TRIM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는 소거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제어함으로써, 소거 모드의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2차 기억장치(6)로서 탑재되는 스토리지 디바이스의 타입에 따라, 2차 기억장치(6)에 격납된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위한 소거 모드를 유저가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적절히 선택된 소거 모드에서 완전 소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MFP(1)의 시큐리티 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실시형태
이하, 제2실시형태에서는, 2차 기억장치(6)로서 SSD가 MFP(1)에 탑재된 경우에, CPU 201이 SSD에 대하여, 파일 시스템 상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삭제와 동기해서 TRIM 코맨드(소거 코맨드)를 발행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제1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잡에서 사용된 데이터를 2차 기억장치(6)로부터 완전하게 소거하기 위한 소거 모드의 설정에 사용되는 설정 화면(선택 화면)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실시형태에서는, CPU 201은, MFP(1)에 2차 기억장치(6)로서 HDD가 탑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제1실시형태와 유사하게 선택 화면 300을 조작부(5)에 표시한다. 한편, CPU 201은, MFP(1)에 2차 기억장치(6)로서 SSD가 탑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도 5에 나타내는 선택 화면(500)을 조작부(5)에 표시한다.
선택 화면 500에 있어서, 버튼 501 내지 504는, 선택 화면 300의 버튼 301 내지 304에 각각 대응하는 덮어쓰기에 근거한 소거 처리에 대응한다. 선택 화면(500)에는, 행해진 소거 모드의 설정에 상관없이,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510)가 더 표시된다. 이렇게, 본실시형태에서는, 2차 기억장치(6)로서 SSD가 탑재되어 있을 경우에는, CPU 201은, 행해진 소거 모드의 설정에 상관없이,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항상 실행한다. 이때, 캔슬 버튼(505) 및 OK 버튼(506)은,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캔슬 버튼(305) 및 OK 버튼(306)과 마찬가지로 기능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버튼 501 내지 504는, 유저가 선택할 수 없도록 무효화되고, 이 경우 유저가 OK버튼 506을 누른 것만으로 완전 소거용의 소거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그 경우, CPU 201은, SSD에 격납된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행하기 위해,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 만을 실행한다. 이에 따라, 2차 기억장치(6)로서 SSD가 MFP(1)에 탑재되어 있을 경우에, 덮어쓰기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완전 소거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고쳐쓰기 횟수에 제한이 있는 SSD의 수명이, 데이터의 덮어쓰기에 기인해서 짧아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소거 모드의 설정 처리>
이하에서는,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서 2차 기억장치(6)에 격납된 데이터를 소거하는 소거 모드의 설정 처리의 구체적인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각 스텝의 처리는, 도 3과 같이, FPGA와 ASIC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거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도 3과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CPU 201은, MFP(1)에 2차 기억장치(6)로서 탑재되어 있는 스토리지 디바이스가 TRIM 코맨드를 서포트하고 있는 SSD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103에서 "YES"), 처리를 스텝 S201로 진행한다. 스텝 S201에서, CPU 201은, 조작부(5)에 선택 화면(500)을 표시하여, 해당 선택 화면에 메시지(510)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CPU 201은, 파일 시스템 상에 있어서의 파일의 삭제에 동기하여, TRIM 코맨드(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가 실행되는 것을 표시(즉, 유저에게 통지)한다. 이에 따라, 유저는, 잡에서 사용한 화상 데이터 등의 데이터의 삭제시에, SSD에 격납된 데이터가,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에 의해 0으로 클리어, 즉 교체되어 완전 소거되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후, 스텝 S202에서, CPU 201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덮어쓰기에 근거한 소거 처리가 필요할 경우를 위해, 버튼 501 내지 504를 선택 화면(500)으로서 표시한다. 이에 따라, 필요할 경우에는, 선택 화면(500)에 있어서 버튼 501 내지 504의 선택을 유저로부터 접수한다. 그후, CPU 201은, 처리를 스텝 S105로 진행하고, 선택 화면 300 또는 500에 있어서 선택된 소거 모드를, 2차 기억장치(6)로부터의 데이터의 완전 소거용의 소거 모드로서 설정하고, 본 처리를 종료한다.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위한 소거 처리>
도 7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서의 도 6에 나타내는 설정 처리에 의해 설정된 소거 모드에서 데이터의 소거 처리를 행하는 구체적인 절차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처리는, 도 4와 유사하게 파일 시스템 상에서 파일(데이터)의 삭제가 행해졌을 때에 실행된다. 도 7에 나타내는 각 스텝의 처리는, 도 4와 같이, FPGA와 ASIC 등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거나,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도 4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실시형태에서는, CPU 201은, 도 4에 나타내는 스텝 S113 및 S114 대신에 스텝 S211 내지 S213의 처리를 실행한다. CPU 201은, MFP(1)에 2차 기억장치(6)로서 탑재되어 있는 스토리지 디바이스가, TRIM 코맨드를 서포트하고 있는 SSD라고 판정한 경우(스텝 S112에서 "YES"), 처리를 스텝 S211로 진행한다. 스텝 S211에서, CPU 201은, 잡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행하는 것이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CPU 201은, 이와 같은 설정이 행해지지 않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이와 같은 설정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처리를 스텝 S212로 진행한다.
스텝 S212에서, CPU 201은, 파일 시스템 상에서 파일의 삭제가 행해진 소거 대상 데이터의 소거 처리를, 설정되어 있는 소거 모드에서, 2차 기억장치(6)에게 실행하게 한다. 또한, CPU 201은, 스텝 S213에서, CPU 201은 파일 시스템 상에 있어서의 파일의 삭제와 동기한 타이밍에, 소거 대상 데이터가 격납된 논리 어드레스(페이지)의 지정을 포함하는 TRIM 코맨드(소거 코맨드)를 2차 기억장치(6)에 발행한다. 그후, CPU 201은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에 따라, SSD는 발행된 TRIM 코맨드에 근거하여, 소거 대상 데이터의 소거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파일 시스템 상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삭제와 동기해서 TRIM 코맨드를 발행하는 경우에도, 데이터의 완전 소거를 위한 소거 모드를 유저가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2차 기억장치(6)로서 SSD가 탑재되어 있을 경우에, 설정되는 소거 모드에 상관없이, 소거 코맨트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실행하는 매시지를 선택 화면(500)에 표시함으로써, 덮어쓰기에 근거한 소거 처리의 실행이 불필요한 것을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쳐쓰기 횟수에 제한이 있는 SSD의 수명이, 데이터의 덮어쓰기에 의한 소거 처리의 실행에 기인해서 짧아지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기타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더 상세히 언급해도 된다)에 기록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예를 들어, 1개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거나 및/또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1개 이상의 회로(예를 들어, 주문형 반도체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나,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형태(들)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기억매체로부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컴퓨터는, 1개 이상의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 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를 구비하고, 별개의 컴퓨터들의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들을 구비해도 된다.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은, 예를 들어, 기억매체의 네트워크로부터 컴퓨터로 주어져도 된다. 기록매체는,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하드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 전용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소자, 메모리 카드 등을 구비해도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행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예시적인 실시형태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보호범위는 가장 넓게 해석되어 모든 변형, 동등물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여야 한다.

Claims (11)

  1. 정보 처리장치로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기억장치의 장치 정보로서,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소거해야 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수단과,
    상기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잡의 실행에 사용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소거하는 소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지 아닌지에 따라, 상기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는 소거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정보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소거 코맨드에 대응하지 않고 있는 타입인 경우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와 다른 소정의 소거 처리를 행하는 소거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고,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일 경우에는,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소거 코맨드에 의한 소거 처리를 행하는 소거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정보 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잡의 실행에 사용된 데이터의 소거 처리를, 상기 설정 화면에 설정된 소거 모드에서 상기 기억장치에게 실행하게 하는 실행 수단을 더 구비한 정보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 경우,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소거 코맨드를 상기 기억장치에 발행함으로써, 상기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상기 기억장치에게 실행하게 하는 정보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 경우,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장치의 파일 시스템 상의 데이터의 삭제 타이밍과 비동기인 타이밍에, 상기 소거 코맨드를 상기 기억장치에 발행하는 정보 처리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 경우,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는 소거 모드와, 상기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와 다른 소정의 소거 처리와 함께 상기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는 소거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정보 처리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 경우에,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정보 처리장치의 파일 시스템 상에서의 데이터의 삭제 타이밍과 동기한 타이밍에, 상기 소거 코맨드를 상기 기억장치에 발행하는 정보 처리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 경우에,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와 다른 소정의 소거 처리를 행하는 소거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정보 처리장치의 파일 시스템 상에서의 데이터의 삭제 타이밍과 동기한 타이밍에 상기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가 행해지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설정 화면에 설정된 소거 모드에 상관없이, 상기 정보 처리장치의 파일 시스템 상에서의 데이터의 삭제 타이밍과 동기한 타이밍에, 상기 소거 코맨드를 상기 기억장치에 발행하는 정보 처리장치.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화면에서 설정될 소거 모드는 상기 잡의 실행시에 생성된 데이터를 상기 잡의 실행의 완료후에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소거하기 위해 설정되는 정보 처리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거 코맨드에 대응하지 않고 있는 타입의 상기 기억장치는 HDD이고, 상기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의 상기 기억장치는 SSD인 정보 처리장치.
  11.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처리장치가 구비하고 있는 기억장치의 장치 정보로서,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소거해야 할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는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장치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장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정보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잡의 실행에 사용된 데이터를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소거하는 소거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의 표시를 제어하고,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소거 코맨드에 대응한 타입인지 아닌지에 따라, 상기 기억장치가 상기 소거 코맨드에 근거한 소거 처리를 행하게 하는 소거 모드를 선택 가능하게 표시할 것인지 아닌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111564A 2016-09-09 2017-09-01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88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7141A JP6875808B2 (ja) 2016-09-09 2016-09-09 情報処理装置
JPJP-P-2016-177141 2016-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925A true KR20180028925A (ko) 2018-03-19
KR102288563B1 KR102288563B1 (ko) 2021-08-11

Family

ID=5956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564A KR102288563B1 (ko) 2016-09-09 2017-09-01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52329B2 (ko)
EP (1) EP3293626B1 (ko)
JP (1) JP6875808B2 (ko)
KR (1) KR102288563B1 (ko)
CN (2) CN1078078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2361B2 (ja) * 2017-09-21 2021-06-23 キオクシア株式会社 ストレージ装置
CN110568998B (zh) * 2019-09-16 2023-06-06 深圳忆联信息系统有限公司 基于固态硬盘的Trim命令实现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JP7467088B2 (ja) 2019-12-03 2024-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1100182A (ja) * 2019-12-20 2021-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21099642A (ja) * 2019-12-20 2021-07-0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1134A1 (en) * 2001-06-04 2002-12-05 Xerox Corporation Secure data file erasure
JP2008009692A (ja) * 2006-06-29 2008-01-17 Oki Data Corp 画像処理装置
US20110238901A1 (en) * 2010-03-25 2011-09-29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nabling selection of user data erase method, data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2018501A (ja) * 2010-07-07 2012-01-2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4145980A (ja) * 2013-01-30 2014-08-14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消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7687B2 (ja) * 2002-04-26 2009-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4077814A1 (ja) * 2003-02-25 2004-09-10 Sharp Kabushiki Kaisha 画像処理装置
JP2005018415A (ja) * 2003-06-26 2005-01-20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同装置で使用されるデータ消去方法
JP4140897B2 (ja) * 2003-08-08 2008-08-27 株式会社リコー 記憶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244656A (ja) * 2004-02-26 2005-09-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複合機
JP2006023854A (ja) * 2004-07-06 2006-01-26 Sharp Corp 情報処理装置、記憶装置、記憶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404097B2 (ja) * 2009-02-27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433843B2 (en) * 2009-03-31 2013-04-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for protecting sensitive data on a storage device having wear leveling
JP5523040B2 (ja) * 2009-09-29 2014-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88049B2 (ja) * 2010-02-26 2014-05-14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実行方法
US8452911B2 (en) * 2010-09-30 2013-05-28 Sandisk Technologies Inc. Synchronized maintenance operations in a multi-bank storage system
JP5786611B2 (ja) * 2011-09-30 2015-09-30 富士通株式会社 ストレージ装置および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5586718B2 (ja) * 2012-06-19 2014-09-10 株式会社東芝 制御プログラム、ホスト装置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ホスト装置
DE102012022728A1 (de) * 2012-11-21 2014-05-22 Unify Gmbh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Flash-Speichers zur Massenspeicherung, der von einem an einen Host anschließbaren Kommunikationsgerät umfasst ist, und Computerprogrammprodukt zur Ausführung des Verfahrens
JP6271939B2 (ja) * 2013-10-11 2018-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489751B2 (ja) 2014-03-27 2019-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204071A (ja) * 2014-04-16 201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817211B2 (en) * 2014-04-23 2020-10-27 Ensconce Data Technology, Llc Method for completing a secure erase operation
JP6525507B2 (ja) * 2014-05-14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1134A1 (en) * 2001-06-04 2002-12-05 Xerox Corporation Secure data file erasure
JP2008009692A (ja) * 2006-06-29 2008-01-17 Oki Data Corp 画像処理装置
US20110238901A1 (en) * 2010-03-25 2011-09-29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enabling selection of user data erase method, data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1205295A (ja) * 2010-03-25 2011-10-13 Canon Inc 情報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2012018501A (ja) * 2010-07-07 2012-01-26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14145980A (ja) * 2013-01-30 2014-08-14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消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3626A1 (en) 2018-03-14
CN107807800B (zh) 2021-08-24
KR102288563B1 (ko) 2021-08-11
CN113641315A (zh) 2021-11-12
JP2018041417A (ja) 2018-03-15
US20180074766A1 (en) 2018-03-15
US10452329B2 (en) 2019-10-22
CN107807800A (zh) 2018-03-16
JP6875808B2 (ja) 2021-05-26
EP3293626B1 (en) 2022-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8563B1 (ko) 정보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538970B2 (ja) 情報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
JP5917163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5641900B2 (ja) 管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506568B2 (ja)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装置の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
KR20120084906A (ko) 비휘발성 메모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US94428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1620693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のメモリ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21858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806367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479324B2 (ja) 情報処理装置
JP6389616B2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10009553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102386427B1 (ko)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방법 및 저장 매체
JP2013152509A (ja) 画像処理装置
JP6124836B2 (ja) 電子機器およびメモリー管理方法
JP200619551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方法
JP2014138265A (ja) 画像形成装置
JP4562433B2 (ja) 画像処理装置
JP7238087B2 (ja) ジョブ処理装置、ジョブ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344022A (ja) 機器及びプログラム起動方法
JP2005202890A (ja) 画像形成装置、ハードディスク管理方法
JP2021072016A (ja)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007665A (ja) 画像処理装置、画像保存再生方法
JP2007083456A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