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124A -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 Google Patents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124A
KR20180028124A KR1020160115355A KR20160115355A KR20180028124A KR 20180028124 A KR20180028124 A KR 20180028124A KR 1020160115355 A KR1020160115355 A KR 1020160115355A KR 20160115355 A KR20160115355 A KR 20160115355A KR 20180028124 A KR20180028124 A KR 20180028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main body
tank main
digester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9671B1 (ko
Inventor
차명철
김용득
김재민
Original Assignee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5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67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8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1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02F11/04Anaerobic treatment; Production of methane by such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28Anaerobic digestion processes
    • C02F3/2866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 C02F3/2893Particular arrangements for anaerobic reactors with biogas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Y02W1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02W10/23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02W30/4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성 폐기물을 소화시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혐기성 소화조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고 상기 가스를 배출할 수 있게 밀폐된 처리공간을 형성하는 소화조 본체와, 상기 소화조 본체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스컴배출용 분사액을 노즐 분사하여 상기 소화조 본체의 내부에 발생된 스컴층을 분쇄하고 분쇄된 상기 스컴층을 상기 소화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스컴배출부, 및 상기 소화조 본체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침전방지용 분사액을 상기 소화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유기성 폐기물의 교반방향으로 노즐 분사하여 상기 소화조 본체 하부의 내벽에 침전물의 퇴적을 방지하는 침전방지부를 포함하는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ANAEROBIC DIGESTION DEVICE CAPABLE OF REMOVING SCUM AND PREVENTING DEPOSIT FORMATION}
본 발명은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정적으로 혐기성 소화조를 운영하는 혐기성 소화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식물류 폐기물, 가축분뇨, 하수슬러지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의 육상 매립 금지 및 해양투기 금지에 따라 육상처리 필요성이 대두 된바 이에 대한 처리방식 중의 하나로는 바이오가스화 방식이 있다.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방식은 유기성 폐기물을 혐기성 소화조에서 온도 및 교반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혐기 조건하에서 소화시키는 방식이며, 상기 유기성 폐기물 바이오가스화 방식은 혐기성 소화조에서 생산되는 바이오가스를 이용해 발전기를 가동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어서 즉 유기성 폐기물을 소화시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것으로써, 에너지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에 신재생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방식은 친환경적인 측면과 환경정책이 맞물려 그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유기성 폐기물의 바이오가스화 방식인 혐기성 소화조 장치는 혐기성 소화조 가동 시, 소화조 상부에 스컴(scum)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거나 소화조 하부에 침전물이 퇴적되어 관폐색이 발생되거나 소화조 준설을 진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는 스컴이 발생하게 되어 그 층이 두꺼워지면 스컴층에 의해 갇혀있던 가스의 압력에 의해 소화조 안전변이 열리면서 스컴과 함께 소화액이 안전변을 통해 소화조 외부로 범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는 관폐색 발생, 소화조 준설 등 소화조 이상발생 시 이상이 발생된 소화조의 가동이 중단되어 해당 소화조에서 유기성폐기물을 소화시키지 못하게 됨에 따라 필요한 메탄가스의 생성이 중단되어 에너지발전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단 이후 다시 소화조를 가동시킬 시에 정상 가동하여 다시 메탄가스 등을 발생시키기까지 적지않은 시간이 걸리게 되므로 손실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화조 상부에 발생된 스컴층을 분쇄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소화조 하부 침전물의 퇴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혐기성 소화조를 운영하는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는 유기성 폐기물을 소화시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혐기성 소화조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고 상기 가스를 배출할 수 있게 밀폐된 처리공간을 형성하는 소화조 본체와, 상기 소화조 본체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스컴배출용 분사액을 노즐 분사하여 상기 소화조 본체의 내부에 발생된 스컴층을 분쇄하고 분쇄된 상기 스컴층을 상기 소화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스컴배출부, 및 상기 소화조 본체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침전방지용 분사액을 상기 소화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유기성 폐기물의 교반방향으로 노즐 분사하여 상기 소화조 본체 하부의 내벽에 침전물의 퇴적을 방지하는 침전방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컴배출부는 상기 소화조 본체의 상단면 내측의 경사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노즐 분사에 의해 상기 스컴층을 분쇄하는 분쇄용 제트노즐과, 상기 분쇄용 제트노즐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노즐 분사에 의해 분쇄된 상기 스컴층을 이송하는 이송용 제트노즐과, 분쇄되어 이송된 상기 스컴층이 월류되도록, 상기 소화조 본체 내측 벽면을 따라 상부가 개방된 방사형으로 설치된 스컴배출웨어, 및 월류된 상기 스컴층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스컴배출웨어 바닥부위에 하향 연장되어 상기 소화조 본체 외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스컴배출배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용 제트노즐은 상기 스컴배출용 분사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의 직경이 상기 이송용 제트노즐의 배출구의 직경보다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쇄용 제트노즐 및 상기 이송용 제트노즐로 이루어진 세트의 한쌍은 서로 대응되도록 마주보면서 상기 소화조 본체 내측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트의 한쌍은 서로 교대로 노즐 분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컴배출웨어는 상기 소화조 본체 내주면의 1/8 ~ 1/4 길이로 상부가 개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전방지부는 상기 소화조본체 내측벽면을 따라 링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침전방지용 제트노즐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침전방지부는 상기 소화조 본체의 바닥면 경사 방향과 수평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소화조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노즐 분사하는 스컴배출부를 포함함으로써, 스컴배출부의 노즐 분사에 의해 소화조의 내부에 발생된 스컴층을 분쇄하고 분쇄된 상기 스컴층을 소화조의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혐기성 소화조를 운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소화조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노즐 분사하는 링형태의 침전방지부를 포함함으로써, 침전방지부의 노즐 분사에 의해 소화조 하부의 내벽에 침전물의 퇴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혐기성 소화조를 운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링형태의 침전방지부를 포함함으로써, 소화조의 내부에 수용된 유기성 폐기물의 교반방향으로 침전방지부의 노즐 분사되기 때문에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교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스컴배출부 및 침전방지부 각각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노즐 분사된 스컴배출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2의 노즐 분사된 침전방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a는 도 1의 소화조 본체 내의 Z축 단면 유동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도 1의 소화조 본체 내의 전체 유동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종래 혐기성 소화조 장치의 전체 유동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스컴배출부 및 침전방지부 각각의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노즐 분사된 스컴배출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1의 노즐 분사된 침전방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는 소화조 본체(11), 유기성폐기물 주입배관(13), 인발배관(15), 스컴배출부(30), 침전방지부(50), 및 배플(70)을 포함한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혐기성 소화조 장치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소화조에서 생산되는 메탄 등의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배관을 더 포함한다.
소화조 본체(11)는 유기성폐기물 주입배관(13)을 통하여 내부에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고 소화시켜 상기 가스배출배관을 통하여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가스를 배출할 수 있게 밀폐된 처리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소화조 본체(11)는 내부에 설치된 교반기(12)를 포함하고, 교반기(12)는 소화조 본체(11) 내부의 유기성 폐기물을 교반하여 소화시킨다. 여기서, 교반기(12)는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임펠러(impeller)(12a)와, 임펠러(12a)를 회전시키기 위한 교반모터(12b)를 포함한다.
유기성폐기물 주입배관(13)은 소화조 본체(11)의 상부에 연결되어 유기성폐기물을 소화조 본체(11)로 주입하며, 소화조 본체(11)와 도시하지 않았으나, 유기성폐기물 저류조 사이에 위치된다.
인발배관(15)은 소화조 본체(11)의 하부에 연결되며, 소화조 본체(11)와 도시하지 않았으나, 인발펌프 사이에 위치된다.
이하, 스컴배출부(30), 침전방지부(50) 및 배플(70)에 대해서 상술하기로 한다.
스컴배출부(30)는 소화조 본체(11)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스컴배출용 분사액을 노즐 분사하여 소화조 본체(11)의 내부에 발생된 스컴층을 분쇄하고 분쇄된 상기 스컴층을 소화조 본체(11)의 외부로 배출한다. 여기서, 스컴배출용 분사액은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소화된 소화액 또는 탈수하고 정화처리된 처리수일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는 소화조 본체(11)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노즐 분사하는 스컴배출부(30)를 포함함으로써, 스컴배출부(30)의 노즐 분사에 의해 소화조 본체(11)의 내부에 발생된 스컴층을 분쇄하고 분쇄된 상기 스컴층을 소화조 본체(11)의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혐기성 소화조를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스컴배출부(30)는 복수의 멀티노즐, 스컴배출웨어(weir)(35), 및 스컴배출배관(37)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멀티노즐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도록 마주보면서 한쌍으로 소화조 본체(11)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공용펌프(100)와 연결된 스컴밸브(3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소화된 소화액을 공용펌프(100)의 펌핑력에 의해 공급받아 노즐 분사하여 소화조 본체(11) 상부 모든 영역의 스컴층을 분쇄하고 이송한다.
여기서, 서로 대응되도록 마주보면서 한쌍으로 소화조 본체(11) 내측 상부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멀티노즐 각각은 서로 교대로 노즐 분사된다.
즉, 서로 대응되도록 마주보면서 한쌍으로 소화조 본체(11) 내측 상부에 설치된 상기 복수의 멀티노즐 각각이 동시에 노즐 분사 시 즉 양쪽 방향에서 노즐 분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상기 분쇄된 스컴층의 중앙 적체현상 방지 및 원활한 스컴층 제거를 위해서 상기 복수의 멀티노즐 각각이 서로 교대로 노즐 분사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멀티노즐은 경사지게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그 경사 각도는 변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상기 복수의 멀티노즐은 소화조 본체(11)의 상단면 내측의 경사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멀티노즐 각각은 상하로 서로 이격된 분쇄용 제트노즐(31) 및 이송용 제트노즐(33)을 세트로 하여 구비한다. 여기서, 분쇄용 제트노즐(31) 및 이송용 제트노즐(33) 각각은 필요에 따라 그 갯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때, 설명의 편의상 상기 복수의 멀티노즐 각각은 두개의 분쇄용 제트노즐(31)과 두개의 이송용 제트노즐(33)을 포함한다.
분쇄용 제트노즐(31)은 소화조 본체(11)의 상단면 내측의 경사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유기성 폐기물이 소화된 소화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의 직경이 이송용 제트노즐(33)의 배출구의 직경보다 더 작고 또한, 이송용 제트노즐(33)보다 하측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이송용 제트노즐(33)보다 분사압력이 커 소화조 본체(11)의 내부에 발생된 스컴층을 분쇄한다.
이송용 제트노즐(33)은 배출구의 직경이 분쇄용 제트노즐(31)의 배출구의 직경보다 더 크고 또한, 분쇄용 제트노즐(31)보다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노즐 분사 시 분쇄용 제트노즐(31)보다 더 넓은 영역에서 더 멀리 분쇄된 스컴층을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개의 이송용 제트노즐(33) 중 하나의 이송용 제트노즐(33)보다 더 상측으로 설치된 다른 하나의 이송용 제트노즐(33)은 하나의 이송용 제트노즐(33)보다 더 멀리 분쇄된 스컴층을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용 제트노즐(33)은 배출구의 직경이 후술될 침전방지부(50)의 침전방지용 제트노즐의 직경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스컴배출웨어(35)는 소화조 본체(11) 내측 벽면을 따라 상부가 개방된 방사형으로 설치되며, 분쇄되어 이송된 상기 스컴층을 일측으로 월류시킨다. 또한, 스컴배출웨어(35)는 서로 마주보면서 한쌍으로 소화조 본체(11) 상단 내측에 설치된다. 이때, 각 스컴배출웨어(3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조 본체(11) 내주면의 1/8 ~ 1/4 길이로 상부가 개방되어 설치된다.
스컴배출배관(37)은 스컴배출웨어(35) 바닥부위의 중앙 교차부에서 하향 연장되어 소화조 본체(11) 외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며, 스컴배출웨어(35)를 거쳐 월류된 상기 스컴층을 스컴배출밸브(38)의 동작에 의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침전방지부(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조 본체(11) 내측벽면을 따라 링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침전방지용 제트노즐로 이루어져 소화조 본체(11)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공용펌프(100)와 연결된 침전방지밸브(52)의 동작에 의해 소화조 본체(11)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교반방향으로 침전방지용 분사액을 공용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공급받아 노즐 분사하여 원심력에 의해 소화조 본체(11) 하부의 내벽에 침전물의 퇴적을 방지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는 소화조 본체(11) 내측 하부에 설치되어 노즐 분사하는 링형태의 침전방지부(50)를 포함함으로써, 침전방지부의 노즐 분사에 의해 소화조 본체(11) 하부의 내벽에 침전물의 퇴적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혐기성 소화조를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는 링형태의 침전방지부(50)를 포함함으로써, 소화조 본체(11)의 내부에 수용된 유기성 폐기물의 교반방향으로 침전방지부(50)의 노즐 분사되기 때문에 상기 유기성 폐기물의 교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침전방지부(50)는 소화조 본체(11)의 바닥면 경사 방향과 수평하게 설치된다.
도 5a는 도 1의 소화조 본체 내의 Z축 단면 유동방향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도 1의 소화조 본체 내의 전체 유동라인을 나타낸 도면이다.
배플(70)은 소화조 본체(11)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 설치되며, 소화조 본체(11) 내 유기성폐기물의 교반 시 난류흐름을 유도한다. 이때, 배플(70)은 소화조 본체(11) 내측으로 돌출되어 소화조 본체(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또한, 배플(70)은 4각 형태의 중공을 가진다. 이에 따라, 4각 형태의 중공을 가진 배플(70)은 4각 형태의 중공에 의해 판 형태의 배플보다 소화조 본체(11) 내 유기성폐기물의 강한 난류 흐름을 발생시킨다.
즉, 소화조 본체(11) 내 유기성폐기물의 흐름에 있어서는 배플(70)의 4각 형태의 중공 내 유기성폐기물이 통과되고, 상기 4각 형태의 중공 주위 막힌부위에 유기성폐기물이 통과되지 못하고 부딪히는 등에 의해 상기 유기성폐기물의 회전 흐름이 더 많이 깨트려진다. 이에, 4각 형태의 중공을 가진 배플(70)은 4각 형태의 중공에 의해 판 형태의 배플보다 상기 유기성폐기물의 회전 흐름을 더 많이 깨트려 소화조 본체(11) 내에 소용돌이를 더 크게 일으킨다. 이에 따라, 4각 형태의 중공을 가진 배플(70)은 4각 형태의 중공에 의해 판 형태의 배플보다 상기 유기성폐기물의 강한 난류 흐름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종래 혐기성 소화조 장치의 전체 유동라인을 나타낸 도면인 도 6을 참조하며, 일반적으로 소화조 본체(11) 내 유기성폐기물을 교반하는 경우, 소화조 본체(11) 내부 유체의 유동이 상기 유기성폐기물의 회전 흐름에 따라 주로 층류를 이룸으로써 불완전 교반을 형성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각 형태의 중공을 가진 배플(70)을 설치함으로써, 소화조 본체(11) 내부 유체의 상기 유기성폐기물의 강한 난류 흐름을 형성하여 교반효율을 향상시켜 소화효율과 정상적인 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 소화조 본체 12: 교반기
12a: 임펠러 12b: 교반모터
13: 유기성폐기물 주입배관 15: 인발배관
30: 스컴배출부 31: 분쇄용 제트노즐
32: 스컴밸브 33: 이송용 제트노즐
35: 스컴배출웨어 37: 스컴배출배관
38: 스컴배출밸브 50: 침전방지부
52: 침전방지밸브 70: 배플

Claims (7)

  1. 유기성 폐기물을 소화시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가스를 배출하는 혐기성 소화조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유기성 폐기물을 수용하고 상기 가스를 배출할 수 있게 밀폐된 처리공간을 형성하는 소화조 본체;
    상기 소화조 본체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스컴배출용 분사액을 노즐 분사하여 상기 소화조 본체의 내부에 발생된 스컴층을 분쇄하고 분쇄된 상기 스컴층을 상기 소화조 본체의 외부로 배출하는 스컴배출부; 및
    상기 소화조 본체 내측 하부에 설치되며, 침전방지용 분사액을 상기 소화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유기성 폐기물의 교반방향으로 노즐 분사하여 상기 소화조 본체 하부의 내벽에 침전물의 퇴적을 방지하는 침전방지부;
    를 포함하는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배출부는,
    상기 소화조 본체의 상단면 내측의 경사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노즐 분사에 의해 상기 스컴층을 분쇄하는 분쇄용 제트노즐;
    상기 분쇄용 제트노즐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노즐 분사에 의해 분쇄된 상기 스컴층을 이송하는 이송용 제트노즐;
    분쇄되어 이송된 상기 스컴층이 월류되도록, 상기 소화조 본체 내측 벽면을 따라 상부가 개방된 방사형으로 설치된 스컴배출웨어; 및
    월류된 상기 스컴층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스컴배출웨어 바닥부위에 하향 연장되어 상기 소화조 본체 외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되는 스컴배출배관; 을 구비하며,
    상기 분쇄용 제트노즐은 상기 스컴배출용 분사액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의 직경이 상기 이송용 제트노즐의 배출구의 직경보다 더 작은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용 제트노즐 및 상기 이송용 제트노즐로 이루어진 세트의 한쌍은, 서로 대응되도록 마주보면서 상기 소화조 본체 내측 상부에 설치되는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트의 한쌍은,
    서로 교대로 노즐 분사되는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배출웨어는,
    상기 소화조 본체 내주면의 1/8 ~ 1/4 길이로 상부가 개방되어 설치되는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방지부는,
    상기 소화조본체 내측벽면을 따라 링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침전방지용 제트노즐인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방지부는,
    상기 소화조 본체의 바닥면 경사 방향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KR1020160115355A 2016-09-08 2016-09-08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KR101879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55A KR101879671B1 (ko) 2016-09-08 2016-09-08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55A KR101879671B1 (ko) 2016-09-08 2016-09-08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124A true KR20180028124A (ko) 2018-03-16
KR101879671B1 KR101879671B1 (ko) 2018-07-18

Family

ID=6191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355A KR101879671B1 (ko) 2016-09-08 2016-09-08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6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358B1 (ko) * 2022-09-28 2023-02-21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스컴 제거와 자체 세정이 가능한 약액탈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141B1 (ko) * 2020-09-23 2021-06-11 코오롱글로벌 주식회사 혐기성 소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5900B1 (ko) * 2004-05-19 2006-05-03 주식회사 젠트로 거품 제거기능을 갖는 폭기조
AT506582B1 (de) * 2008-03-26 2009-10-15 Enbasy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iogas
KR101065953B1 (ko) * 2011-03-11 2011-09-19 그린엔텍 주식회사 액체분사식 제트 교반기가 구비된 혐기성 소화장치
KR101334873B1 (ko) * 2012-04-04 2013-12-02 (주)그린니스 혐기성소화 처리장치와 이를 갖는 수처리 장치 및 혐기성소화 처리방법
KR101590014B1 (ko) * 2013-05-21 2016-02-01 변강익 슬러지에 의한 효율 저하 방지 기능을 갖는 혐기성 소화조
KR101618014B1 (ko) * 2015-09-15 2016-05-04 코오롱환경서비스주식회사 순환수 분무를 통한 스컴 이송과 내부격벽내 완전 혼합 기능을 구비하는 혐기성 소화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358B1 (ko) * 2022-09-28 2023-02-21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스컴 제거와 자체 세정이 가능한 약액탈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9671B1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953B1 (ko) 액체분사식 제트 교반기가 구비된 혐기성 소화장치
KR101879671B1 (ko) 스컴제거 및 하부 침적물 생성방지가 가능한 혐기성 소화조 장치
EP2760573B1 (en) Gas mix installation and method
KR20100112430A (ko) 스컴제거 장치, 스컴제거 장치가 설치된 혐기소화조 및 혐기소화 시스템
KR20070026405A (ko) 배수처리장치
JP2004188263A (ja) 水中への酸素供給装置
KR20000076440A (ko) 유조선 내 오일 화물 슬러지를 감소시키는 방법
CN101138711A (zh) 一种喷射搅拌系统
CN100488612C (zh) 油品旋转喷射调合器
CN203754718U (zh) 固态厌氧反应器
KR102348469B1 (ko) 진동과 소음방지기능이 구비된 하이브리드형 혐기성 소화조시스템
KR20190018884A (ko) 혐기소화조의 침전물 제거장치
CN217323502U (zh) 一种除钙装置
AU2017329748B2 (en) Container and biogas installation
KR101690721B1 (ko) 건식 혐기 소화조
KR101929269B1 (ko)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침적물분쇄장치
KR101100899B1 (ko) 다기능 분사장치가 구비된 패들 및 디스크형 슬러지 건조 장치와 이를 이용한 슬러지 건조 방법
JP2011218306A (ja) スカム除去装置およびスカム除去方法
JP2022159621A (ja) 汚泥循環装置、消化槽、および汚泥循環方法
CN202762373U (zh) 一种用于湿法脱硫工艺中脱硫塔的喷射搅拌系统
CN202087233U (zh) 用于脱硫塔的双吸式扰动装置
KR102298527B1 (ko) 가스믹서와 분쇄펌프가 결합된 일체식 순환시스템이 장착된 혐기성 소화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110127964A (zh) 一种小型河湖疏浚及淤泥处理设备
CN206219346U (zh) 一种德士古气化炉灰水资源化利用系统
CN210736495U (zh) 一种油泥超声波热水洗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