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252A - 매립형 힌지, 이를 이용한 책상 및 의자 - Google Patents

매립형 힌지, 이를 이용한 책상 및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252A
KR20180027252A KR1020160114615A KR20160114615A KR20180027252A KR 20180027252 A KR20180027252 A KR 20180027252A KR 1020160114615 A KR1020160114615 A KR 1020160114615A KR 20160114615 A KR20160114615 A KR 20160114615A KR 20180027252 A KR20180027252 A KR 20180027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oove
fastening
hin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698B1 (ko
Inventor
구하경
Original Assignee
구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하경 filed Critical 구하경
Priority to KR1020160114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6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힌지를 의자 도는 책상과 같은 구조물에 매립하여 장착함으로써, 힌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의자 또는 책상의 각 부분 판넬을 하나의 판넬에 포개지도록 회전시킨 후 상호 밀착시킴으로써, 의자 또는 책상을 최소 부피로 포개어 보관 및 이동할 수 있는 매립형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의자와 책상을 제공함에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는 의자 또는 책상과 같은 구조물에 매립 장착시, 상기 힌지를 구조물에 직접 볼트로 고정하지 않음으로써 구조물과 힌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매립형 힌지, 이를 이용한 책상 및 의자{Buried type hinge, a chair and desk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자, 책상 또는 옷장과 같은 구조물에 적용되는 힌지에 관한 것으로, 힌지가 구조물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 구조물이 힌지에 의해 자유로운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매립형 힌지에 관한 것이다.
인류의 역사에서 물건을 보관하거나 자신이 있는 공간을 외부와 분리하기 위해 처음에는 입구를 동물 가죽이나 천으로 막는 것에서 시작되었으나 점차 보다 안전하게 입구를 나무판자와 같은 것으로 막고 칡끈이나 가죽 끈 등으로 문짝을 매달아 사용하는 '돌쩌귀'의 방식으로 발전하였으며, 다시 오늘날 힌지(hinge) 또는 경첩과 유사한 형상으로 발전하였다.
즉, 상기 힌지는 최초에는 일정한 구역을 개방하기 위한 방문과 가구의 문으로 사용되었으며 기본적인 원리는 동일하나 그 위치와 장식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디자인으로 개발되고 있다.
최근 출시되는 가구는, 화려함보다는 심플한 디자인의 가구가 소비자의 호응을 얻고 있으며, 이에 따라 힌지도 외부에 드러나지 않게 내부에 형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힌지의 적용은 싱크대와 같은 곳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힌지 또는 경첩이 장착된 것을 좌우로 여는 용도가 아닌 수직 또는 수평으로 펼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수평으로 펼치고 이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구조로는 내구성이 약하고, 외부로 돌출되었을 경우 사용 중 돌출부위에 걸리거나 미관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778609-000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상기 힌지를 의자, 책상 또는 싱크대와 같은 구조물에 매립하여 장착함으로써, 힌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의자 또는 책상의 각 부분 판넬을 힌지에 의해 회전시킨 후 상호 밀착시켜 부피가 최소화되도록 포개어 접을 수 있으며, 상기 힌지를 구조물에 직접 볼트로 고정하지 않아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립형 힌지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는, 연결공을 갖는 링크부가 형성되고,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부재; 상기 링크부가 삽입되어 회동되는 제1길이홈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상기 연결공에 대응하는 관통공이 상기 제1길이홈의 전후방향에서 연통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체결공이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는 걸림편이 연장 형성되는 회동부재; 상기 관통공과 상기 연결공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재와 회동부재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축; 및 상기 회동부재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길이홈에 대응하는 제2길이홈이 일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하는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체결볼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의 상면에 체결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제1길이홈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길이홈에 전후방향으로 연통되는 관통공이 일측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체결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는 걸림편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 상기 관통공에 대응하는 연결공이 양단부에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회동부재의 제1길이홈에 양단부가 삽입되는 링크부재; 상기 관통공 및 상기 연결공에 끼워져 상기 회동부재와 링크부재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축; 및 상기 회동부재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제1길이홈에 대응하는 제2길이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공에 대응하는 제2체결공이 형성되어 체결볼트의 체결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는 장착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는 의자 또는 책상과 같은 구조물에 매립 장착함으로써, 힌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외부 걸림을 최소화하고, 상기 힌지를 구조물에 직접 볼트로 고정하지 않아 구조물과 힌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의자 또는 책상의 각 부분 판넬을 하나의 판넬 위에 포개지도록 자유롭게 회전시킴으로써, 의자 또는 책상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의자 또는 책상과 같은 구조물의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의 분해도, 모식도 및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및 사용상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분해도 및 사용상태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를 사용한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를 사용한 책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의 분해도, 모식도 및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및 사용상태도이며,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분해도 및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는, 연결공(120a)을 갖는 링크부(120)가 형성되고, 구조물 또는 물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0); 상기 링크부(120)가 삽입되어 회동할 수 있는 제1길이홈(201)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공(120a)에 대응하는 관통공(202)이 상기 제1길이홈(201)에 전후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는 걸림편(204)이 돌출 형성되는 회동부재(200); 상기 관통공(202)과 상기 제1길이홈(201)에 삽입되는 상기 링크부(120)의 연결공(120a)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재(100)와 회동부재(200)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축(300); 및 상기 회동부재(200)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길이홈(201)에 대응하는 제2길이홈(401)이 일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체결공(203)에 대응하는 제2체결공(403)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 체결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장착부재(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는, 제1길이홈(201)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길이홈(201)에 전후방향으로 연통되는 관통공(202)이 일측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는 걸림편(204)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200); 상기 관통공(202)에 대응하는 연결공(120a)이 양단부에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회동부재(200)의 제1길이홈(201)에 양단부가 삽입되는 링크부재(500); 상기 관통공(202) 및 상기 연결공(120a)에 끼워져 상기 회동부재(200)와 링크부재(50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축(300); 및 상기 회동부재(200)의 하부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상기 제1길이홈(201)에 대응하는 제2길이홈(401)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공(203)에 대응하는 제2체결공(403)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의 체결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0)의 상부에 고정되는 장착부재(4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0)는 가구 또는 벽면과 같은 구조물에 매립되어 볼트 또는 접착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구조물에 매립 고정되는 소정면적의 플레이트부(110); 및 상기 플레이트부(110)에서 수직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소정 반경의 연결공(120a)이 형성되는 링크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110)에는 소정면적의 유동홈이 상기 링크부(120)의 일측 또는 좌우측에 형성되고, 볼트 체결을 위한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회동부재(200)는 평면의 형상이 소정길이를 갖는 열쇠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후술할 고정축(300)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회동부재(200)의 일단부에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되어 상기 링크부(120)가 삽입 회동할 수 있는 제1길이홈(201)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길이홈(201)이 형성되는 일측부의 전면과 후면에는 상기 제1길이홈(201)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고정축(300)이 끼워지는 관통공(20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200)의 타측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체결공(203)이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는 걸림편(20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200)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편(204)을 갖는 상기 회동부재(200)의 하면 형상에 대응하게 형성되는 장착부재(400)가 장착된다.
상기 장착부재(400)는, 상기 제1길이홈(201)에 대응하는 제2길이홈(401)이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링크부(120)가 제1길이홈(201)과 제2길이홈(401) 내부에서 회동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체결공(203)에 대응하는 제2체결공(403)이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재(200)의 상부에 안착된 후 상기 제1체결공(203)과 제2체결공(403)에 체결되는 체결볼트(1)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0)와 체결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는 의자 또는 문짝과 같은 구조물의 판넬 전후면(상하면)에서 장착되는 것으로, 의자 또는 문짝과 같은 구조물의 판넬 전후면(상하면)에 상기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상기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가 걸림편(204)이 걸리도록 매립하되, 상기 걸림편(204)이 형성되는 상기 회동부재(200)의 하면과 장착부재(400)의 상면이 판넬의 전후면에 돌출되지 않도록 매립되고, 상기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가 체결볼트(1)에 의해 판넬의 전후면(상하면)에서 상호 체결됨으로써 구조물에 장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힌지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가구 또는 문짝과 같은 구조물에 직접 고정되지 않고, 상기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가 구조물에 매립되어 상호 체결됨으로써, 구조물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체결하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힌지가 구조물 내부에서 지지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상기 고정축(300)은 상기 고정부재(100)와 회동부재(200)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회동부재(200)의 제1길이홈(201)에 상기 고정부재(100)의 링크부(120)가 삽입된 후 상기 관통공(202)과 상기 연결공(120a)에 끼워진다.
상기 장착부재(400)는 상기 고정부재(100)가 상기 회동부재(200)와 연결되기 전 상기 회동부재(200)와 먼저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회동체에 상기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가 매립되어 고정되고, 상기 회동부재(200)와 구조물에 매립 고정되는 고정부재(100)가 상기 고정축(30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본 발명의 힌지가 회동체 및 구조물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서 회동체를 자유로이 회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200)는, 상기 걸림편(204)이 외주연부에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길이홈(201)을 형성하는 제1요홈(211)이 일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제1고정공(212)을 갖는 바닥판(210); 및 상기 걸림편(204) 부분을 제외한 상기 바닥판(210)의 내측에 적층되고, 상기 제1길이홈(201)을 형성하는 제2요홈(220a)이 일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제1체결공(203)과 상기 제1고정공(212)에 대응하는 제2고정공(220b)을 갖는 적어도 2개의 결합체(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체(220)는, 상기 바닥판(210)의 상부에 안착되고, 제2요홈(220a)이 형성되는 일단부가 상기 바닥판(210)의 일단부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판(210)의 일단부에서 소정거리 내측으로 위치하는 제1결합체(221); 및 상기 제1결합체(221)의 상부에 안착되고, 제2요홈(220b)이 형성되는 일단부가 상기 제1결합체(221)의 일단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면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일단부와 상기 제1결합체(221)의 일단부 사이에 상기 고정축(30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202)을 형성하는 제2결합체(22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체(221) 및 제2결합체(222)는 상기 바닥판(210)의 제1고정공(212)에 대응하는 제2고정공(220b)이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공(212) 및 제2고정공(220b)에 고정볼트(2)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결합체(221) 및 제2결합체(222)가 상기 바닥판(210)의 상부에 차례로 적층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회동부재(200)는 걸림편(204)이 수평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판(210)과, 상기 바닥판(210)의 상부에 상기 제1결합체(221) 및 제2결합체(222)가 차례로 적층되며, 상기 제1결합체(221) 및 제2결합체(222)의 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회동부재(200)가 매립 장착되는 구조물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는, 상기 장착부재(400)가 체결된 한 쌍의 회동부재(200)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200)의 제1길이홈(201)에는 연결공(500a)이 양단부에 형성되는 링크부재(500)가 삽입되며, 상기 고정축(300)이 상기 회동부재(200)의 관통공(202)과 상기 링크부재(500)의 연결공(500a)에 끼워짐으로써, 한 쌍의 회동부재(200)가 상기 링크부재(500) 및 고정축(30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링크부재(500)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는 상호 360도로 회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제1결합체(221) 및 제2결합체(222)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202)은 상기 고정축(300)이 내부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힌지는 의자 또는 책상과 같은 구조물의 각 판넬을 자유로운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고정축(300)이 상기 관통공(202) 내부에서 이동됨으로써, 상기 장착부재(400)가 장착된 한 쌍의 상기 회동부재(200)가 회전 후 상호 밀착되거나 이격됨으로써 본 발명의 힌지가 장착된 구조물이 회전 후 밀착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힌지가 사용된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0은 고정부재(100)와 하나의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가 고정축(100)에 의해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가 사용되는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의자는 소정면적의 등받이판(11)과, 상기 등받이판(11)의 하단부에 본 발명의 힌지에 의해 연결되는 엉덩이받침판(12) 및 상기 등받이판(11)의 좌우측단부에 본 발명의 힌지에 의해 연결되어 지면으로부터 상기 등받이판(12)과 엉덩이받침판(12)을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판(13);을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판(11)의 좌우측단부와 하단부의 전후면에는 상기 고정부재(100)의 플레이트부(110)가 매립될 수 있는 고정홈(15)이 형성되고, 상기 엉덩이받침판(12)의 후단부 및 측면판(13)의 일단부 내외면에는 상기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에 대응하는 힌지홈(1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엉덩이받침판(12)의 하면에는 "∩"자 형상과 같이 양단부가 절곡된 체결부재(31)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13)의 내면에는 상기 체결부재(31)의 절곡된 양단부가 끼워지거나 체결되어 엉덩이받침판(12)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결합부재(32)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엉덩이받침판(12)의 좌우측 양단부에 "ㄱ"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힌지홈(15)은 상기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가 삽입되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내부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걸림편(204)과 장착부재(400)의 테두리부가 걸리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판(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의 고정부재(100)가 매립되어 고정되고, 상기 엉덩이받침판(12)과 측면판(13)에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의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가 매립 고정되어 체결볼트(1)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엉덩이받침판(12)은 등받이판(11)의 하측으로 회동하여 등판이판(11)과 평행하게 펼쳐지고, 상기 엉덩이받침판(12)의 전면으로 상기 측면판(13)이 회전되어 상기 등받이판(11)의 전방으로 상기 엉덩이받침판(12)과 측면판(13)을 포개어 접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의자의 부피가 최소화되어 의자의 보관 및 이동이 간단 용이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 도 11은 한 쌍의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가 링크부재(500) 및 고정축(300)에 의해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를 사용한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등받이판(11)의 좌우측단부 및 하단부의 전후면과, 상기 엉덩이받침판(12)의 후단부 상하면 및, 상기 측면판(13)의 일단부 내외면에는 상기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힌지홈(16)이 각각 형성되고, 한 쌍의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가 각각의 상기 힌지홈(16)에 삽입되어 체결볼트(1)의 체결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가 힌지홈(16) 내부에서 고정됨으로써, 상기 등받이판(11)에 상기 엉덩이받침판(12) 및 측면판(13)이 본 발명의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엉덩이받침판(12)의 하면에는 "∩"자 형상으로 양단부가 절곡된 체결부재(31)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13)의 내면에는 상기 체결부재(31)의 절곡된 양단부가 끼워지거나 체결되어 엉덩이받침판(12)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결합부재(3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엉덩이받침판(12)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상기 등받이판(11)의 전면에 밀착시키고, 상기 측면판(13)을 엉덩이받침판(12)의 배면으로 회전시켜 최소의 두께로 포개지도록 한다. 이때, 일측의 측면판(13)과 등받이판(11)을 연결하는힌지의 상기 링크부재(500)의 길이를 타측의 측면판(13)에 사용하는 링크부재(500)보다 조금 더 길게 형성하여, 타측의 측면판(13)이 회전하여 상기 등받이판(11)의 배면에 먼저 밀착시킨 후, 일측의 측면판(13)을 타측 측면판(13)의 배면으로 회전시켜 상호 포개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31)와 결합부재(32)를 상기 엉덩이받침판(12)으로부터 분리할 경우, 상기 엉덩이받침판(12)을 하측으로 회전시켜 등받이판(11)과 평행되게 하고, 상기 측면판(13)을 상기 등받이판(11)의 전면과 후면으로 각각 회전시켜 의자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의자의 등받이판(11)과 엉덩이받침판(12) 및 측면판(13)을 힌지를 사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본 발명의 힌지가 의자의 등받이판(11), 엉덩이받침판(12) 및 측면판(13)에 직접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가 힌지홈(16)에 매립되어 상호 고정됨으로써, 의자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상기 힌지를 고정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다음, 도 12 및 13은 한 쌍의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가 링크부재(500) 및 고정축(300)에 의해 연결되는 본 발명에 따른 매립형 힌지를 사용한 책상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힌지를 이용한 책상은 소정면적의 배면판(21)과, 상기 배면판(21)의 좌우측단부에 형성되는 측면판(23) 및 상기 배면판(21)과 측면판(23)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판(22)을 포함한다.
상기 배면판(21)의 좌우측단부 및 상단부의 전후면과, 상기 상판(22)의 후단부 상하면 및 상기 측면판(23)의 일단부 내면과 외면에는 상기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상기 힌지홈(16)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홈(16)에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가 각각 삽입되어 체결볼트(1)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22)의 하면에는 "∩"자 형상으로 양단부가 절곡된 체결부재(31)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판(23)의 내면에는 상기 체결부재(31)의 절곡된 양단부가 끼워지거나 체결되어 상기 상판(22)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결합부재(32)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책상을 접어 보관, 이동 및 포장할 경우, 상기 상판(12)을 상측으로 회전시켜 배면판(21)의 전면에 평행하게 밀착시키고, 상기 측면판(23)을 상기 배면판(21)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각각 회전시켜, 상기 배면판(21)의 전후면에 상기 상판(22) 및 측면판(23)이 밀착되어 포개지도록 함으로써, 책상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책상은 배면판(21)과 상판(22) 및 측면판(23)을 힌지를 사용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본 발명의 힌지가 책상의 배면판(21), 상판(22) 및 측면판(23)에 직접 볼트 체결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가 힌지홈(16)에 매립되어 고정됨으로써, 책상에 볼트 등의 체결 수단을 사용하지않고도 상기 힌지를 고정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31) 및 결합부재(32)는 상기 상판(22)과 측면판(23)에서 분리 가능하며, 상기 체결부재(31) 및 결합부재(32)가 책상의 상판(22)과 측면판(23)에서 분리한 경우, 상판(22)을 아래로 회전시켜 배면판(21)과 평행하게 하고, 상기 배면판(21)의 후면으로 측면판(23)을 회전시킴으로써 책상의 부피를 더욱 최소화할 수 있어 제품의 보관, 이동, 포장 및 조립이 간단 용이해지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 체결볼트 2 : 고정볼트
11 : 등받이판 12 : 엉덩이받침판
13 : 측면판 15 : 고정홈
16 : 힌지홈 21 : 배면판
22 : 상판 23 : 측면판
31 : 체결부재 32 : 결합부재
100 : 고정부재 110 : 플레이트부
120 : 링크부 120a : 연결공
200 : 회동부재 201 : 제1길이홈
202 : 관통공 203 : 제1체결공
204 : 걸림편 210 : 바닥판
211 : 제1요홈 212 : 제1고정공
220 : 결합체 220a : 제2요홈
220b : 제2고정공 221 : 제1결합체
222 : 제2결합체

Claims (9)

  1. 연결공(120a)을 갖는 링크부(120)가 형성되고, 구조물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00);
    상기 링크부(120)가 삽입되어 회동하는 제1길이홈(201)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상기 연결공(120a)에 대응하는 관통공(202)이 상기 제1길이홈(201)을 전후방향에서 관통되게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체결공(203)이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는 걸림편(204)이 연장 형성되는 회동부재(200);
    상기 관통공(202)과 상기 연결공(120a)에 끼워져 상기 고정부재(100)와 회동부재(200)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축(300); 및
    상기 제1길이홈(201)에 대응하는 제2길이홈(410)이 일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1체결공(203)에 대응하는 제2체결공(430)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0)의 상면에 체결되는 장착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200)는,
    상기 걸림편(204)이 외주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길이홈(201)을 형성하는 제1요홈(211)이 일단부에 형성되는 바닥판(210); 및 상기 바닥판(210)의 상부에 적층되고, 상기 제1길이홈(201)을 형성하는 제2요홈(220a)이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공(203)이 형성되는 결합체(2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체(220)는,
    상기 바닥판(210)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2요홈(220a)이 형성되는 일단부가 상기 바닥판(210)의 일단부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1결합체(220); 및
    상기 제1결합체(220)의 상부에 안착되고, 제2요홈(220a)이 형성되는 일단부가 상기 제1결합체(220)의 일단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면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일단부와 상기 제1결합체(220)의 일단부 사이에 상기 고정축(30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202)을 형성하는 제2결합체(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힌지.
  3. 제1길이홈(201)이 일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길이홈(201)을 전후방향에서 관통하는 관통공(202)이 일측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체결공(203)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는 걸림편(204)이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200);
    상기 관통공(202)에 대응하는 연결공(500a)이 양단부에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회동부재(200)의 제1길이홈(201)에 양단부가 삽입되는 링크부재(500);
    상기 관통공(202) 및 상기 연결공(500a)에 끼워져 상기 회동부재(200)와 링크부재(50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축(300); 및
    일단부에는 상기 제1길이홈(201)에 대응하는 제2길이홈(410)이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공(203)에 대응하는 제2체결공(430)이 형성되어, 체결볼트(1)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200)의 상면에 체결되는 장착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힌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200)는,
    상기 걸림편(204)이 외주연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길이홈(201)을 형성하는 제1요홈(211)이 일단부에 형성되는 바닥판(210); 및 상기 바닥판(210)의 내부에 적층되고, 상기 제1길이홈(201)을 형성하는 제2요홈(220a)이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체결공(203)이 형성되는 결합체(22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체(220)는,
    상기 바닥판(210)의 상부에 안착되고, 상기 제2요홈(220a)이 형성되는 일단부가 상기 바닥판(210)의 일단부보다 짧게 형성되는 제1결합체(220); 및
    상기 제1결합체(220)의 상부에 안착되고, 제2요홈(220a)이 형성되는 일단부가 상기 제1결합체(220)의 일단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면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절곡된 일단부와 상기 제1결합체(220)의 일단부 사이에 상기 고정축(300)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202)을 형성하는 제2결합체(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힌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202)은 상기 고정축(300)이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소정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힌지.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210) 내부에는 제1고정공(2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체(220) 및 제2결합체(220)에는 상기 제1고정공(212)에 대응하는 제2고정공(220b)이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공(212) 및 제2고정공(220b)에 체결되는 고정볼트(2)에 의해 상기 제1결합체(220) 및 제2결합체(220)가 상기 바닥판(2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힌지.
  7. 좌우측단부 및 하단부의 전면에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매립형 힌지의 고정부재(100) 형상에 대응하는 고정홈(15)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15)에 상기 고정부재(1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등받이판(11);
    후단부에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매립형 힌지의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힌지홈(16)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판(11)의 하단부에 상기 고정부재(100)와 고정축(300)에 의해 연결되는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가 상기 힌지홈(16)에 삽입되어 체결볼트(1)에 의해 상호 체결되며, 상기 등받이판(11)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엉덩이받침판(12); 및
    일단부에 상기 힌지홈(16)이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판(11)의 좌우측단부에 상기 고정부재(100)와 고정축(300)에 의해 연결되는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가 상기 힌지홈(16)에 삽입되어 체결볼트(1)에 의해 상호 체결되며, 상기 등받이판(11)의 좌우측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면판(13);
    상기 엉덩이받침판(12)의 하면에 형성되고, 양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는 체결부재(31); 및
    상기 측면판(13)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31)의 절곡된 양단부가 체결되어 상기 엉덩이받침판(12)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결합부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힌지를 이용한 의자.
  8. 좌우측단부 및 하단부에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른 매립형 힌지의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힌지홈(16)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홈(16)에 한 쌍의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 중 하나의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가 삽입되어 체결볼트(1)의 체결에 의해 상호 고정되는 등받이판(11);
    후단부에 상기 힌지홈(16)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판(11)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매립형 힌지의 나머지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가 상기 힌지홈(16)에 삽입되어 체결볼트(1)에 의해 상호 체결되며, 상기 등받이판(11)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엉덩이받침판(12);
    일단부에 상기 힌지홈(16)이 형성되고, 상기 등받이판(11)의 좌우측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매립형 힌지의 나머지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가 상기 힌지홈(16)에 삽입되어 체결볼트(1)에 의해 상호 고정되며, 상기 등받이판(11)의 좌우측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면판(13);
    상기 엉덩이받침판(12)의 하면에 형성되고, 양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는 체결부재(31); 및
    상기 측면판(13)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31)의 절곡된 양단부가 체결되어 상기 엉덩이받침판(12)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결합부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힌지를 이용한 의자.
  9. 좌우측단부 및 상단부에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른 매립형 힌지의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힌지홈(16)이 형성되어, 상기 힌지홈(16)에 한 쌍의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 중 하나의 회동부재(200) 및 장착부재(400)가 삽입되어 체결볼트(1)의 의해 상호 체결되는 배면판(21);
    후단부에 상기 힌지홈(16)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21)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매립형 힌지의 나머지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가 상기 힌지홈(16)에 삽입되어 체결볼트(1)의 의해 상호 체결되며, 상기 배면판(21)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판(22);
    일단부에 상기 힌지홈(16)이 형성되고, 상기 배면판(21)의 좌우측단부에 구비되는 상기 매립형 힌지의 나머지 회동부재(200)와 장착부재(400)가 상기 힌지홈(16)에 삽입되어 체결볼트(1)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배면판(21)의 좌우측단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측면판(23);
    상기 상판(22)의 하면에 형성되고, 양단부가 하측으로 절곡되는 체결부재(31); 및
    상기 측면판(23)의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31)의 절곡된 양단부가 체결되어 상기 상판(22)을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결합부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형 힌지를 이용한 책상.
KR1020160114615A 2016-09-06 2016-09-06 매립형 힌지, 이를 이용한 책상 및 의자 KR101974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615A KR101974698B1 (ko) 2016-09-06 2016-09-06 매립형 힌지, 이를 이용한 책상 및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615A KR101974698B1 (ko) 2016-09-06 2016-09-06 매립형 힌지, 이를 이용한 책상 및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252A true KR20180027252A (ko) 2018-03-14
KR101974698B1 KR101974698B1 (ko) 2019-09-05

Family

ID=61660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615A KR101974698B1 (ko) 2016-09-06 2016-09-06 매립형 힌지, 이를 이용한 책상 및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6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441U (ja) * 2002-09-02 2003-06-20 延慶實業股▼ふん▲有限公司 旋回結合構造
KR100778609B1 (ko) 2007-01-08 2007-11-22 김송일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US7524056B2 (en) * 2006-05-17 2009-04-28 John Bovee Eyeglasses with mid-temple hing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441B2 (ja) * 1990-11-21 2000-10-03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円柱体の耐食性金属層形成方法及び耐食性円柱体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4441U (ja) * 2002-09-02 2003-06-20 延慶實業股▼ふん▲有限公司 旋回結合構造
US7524056B2 (en) * 2006-05-17 2009-04-28 John Bovee Eyeglasses with mid-temple hinge
KR100778609B1 (ko) 2007-01-08 2007-11-22 김송일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698B1 (ko) 2019-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3772C2 (ru) Разборная мебель
USD577833S1 (en) Folding stool with step
US20140158024A1 (en) Table with privacy screen
US6896322B1 (en) Folding chair
US20060118051A1 (en) Fold up pet bed
US6039418A (en) Folding wardrobe
USD932279S1 (en) Furniture hinge
JP2020533140A (ja) 複合構造板
US7475437B2 (en) Device to raise and lower a toilet seat
USD505543S1 (en) First aid kit
USD531825S1 (en) Combination folding chair and toilet support for toddler
KR20180027252A (ko) 매립형 힌지, 이를 이용한 책상 및 의자
JP2020531381A (ja) 単層プラスチックの複合板
US3060523A (en) Partitioning cubicles
USD596426S1 (en) Workstation
US20110031854A1 (en) Medicine/cosmetic cabinet with pivoting mirror assembly
US9248069B2 (en) Casket lid with moldings
JP4804974B2 (ja) テーブルにおける幕板の支持構造
US11814887B2 (en) Concealable hinge
USD505541S1 (en) First aid kit
JP7368963B2 (ja) 天板付什器
US11950701B1 (en) Foldable bed
US9215928B2 (en) Expandable podium
KR200211942Y1 (ko) 접이형 선반장
EP1468629B1 (fr) Armoire-vestiaire métallique démontable renforcée livrable en kit ou monobloc.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