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8609B1 -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 Google Patents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8609B1
KR100778609B1 KR1020070002033A KR20070002033A KR100778609B1 KR 100778609 B1 KR100778609 B1 KR 100778609B1 KR 1020070002033 A KR1020070002033 A KR 1020070002033A KR 20070002033 A KR20070002033 A KR 20070002033A KR 100778609 B1 KR100778609 B1 KR 100778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in
door
rotating piece
piec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송일
Original Assignee
김송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일 filed Critical 김송일
Priority to KR1020070002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86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8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8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6Ben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문을 비롯한 각종 문의 문짝을 문틀과 연결하되 문짝을 닫은 상태에서 외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숨은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 개의 회전지지축에 의해 문짝의 하중을 지지하는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ㄷ'자형 절곡부를 형성하여 문틀의 경첩설치부에 고정되는 고정편에 축핀이 회전지지축으로서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축핀과 결합되는 축핀 결합부를 가지면서 타측은 문짝과 연결되어 문짝의 개폐시 상기 고정편의 'ㄷ'자형 절곡부로 출입하는 회전편이 구비된 숨은 경첩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은 제1회전편과 제2회전편으로 분리 형성되어, 제1회전편에 상기 축핀 결합부가 구비되고 제2회전편은 상기 문짝과 연결되되, 제1회전편과 제2회전편은 제2의 회전지지축으로 기능하는 제2축핀과 제2축핀 결합부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문짝의 하중을 양축 지지 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문짝의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숨은 경첩, 양축 지지, 하중, 높이 조절, 시공성

Description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Hidden Hinge Having Biaxially Supporting Structure}
도 1 : 종래의 숨은 경첩 및 그 설치를 위한 부속 금구들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 : 도 1의 숨은 경첩이 방화문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숨은 경첩 및 그 설치를 위한 부속 금구들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 : 본 발명에 따른 숨은 경첩이 적용된 방화문이 문틀에 시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 : 도 4의 시공 완료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편 11,12 : 플랜지
20 : 축핀 30 : 제1회전편
31 : 제1절곡면 32 : 축핀 결합부
33 : 제2절곡면 34 : 제2축핀
34a : 단턱 40 : 제2회전편
41 : 절곡면 41a : 체결공
42 : 제2축핀 결합부 50 : 고정편 고정용 금구
60,80,100 : 나사 70 : 문짝 연결용 금구
90 : 보조 금구 110 : 와셔
D : 문짝 F : 문틀
본 발명은 방화문을 비롯한 각종 문의 문짝을 문틀과 연결하되 문을 닫은 상태에서 외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숨은 경첩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 개의 회전지지축에 의해 문짝의 하중을 지지하는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에 관한 것이다.
숨은 경첩은 문을 닫았을 때 외관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되는 경첩으로서, 문을 닫은 상태에서 문틀로부터 문짝의 임의적인 분리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범죄 예방에 유리하고, 미관상으로도 문의 외관미를 해치지 않으므로, 방화문이나 출입문 또는 가구의 문짝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주로 방화문에 적용되고 있는 숨은 경첩은 간단한 공구로 해체가 가능한 기존의 나비경첩에 비해 설치 후에 해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범죄 예방 측면에 서 안전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방화문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종래 숨은 경첩의 대표적인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그 주요 구성 요소는 고정편(1)과 축핀(2) 및 회전편(3)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편(1)은 대략 'ㄷ'자 모양의 꺾쇠 형태로 이루어져 상·하 선단부에 각각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1a,1b)를 구비하고 있으며, 축핀(2)은 경첩의 회전지지축으로서 고정편(1)의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 회전편(3)은 'ㄷ'자형의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고정편(1)과 조립될 한쪽 절곡면(3a)에 축핀(2)이 삽입 결합되는 축핀 결합부(3b)를 구비함으로써 축핀(2)에 의해 고정편(1)에 조립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범위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고정편(1)의 플랜지(1a.1b)에는 각각 나사구멍(1c.1d)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편(1)을 문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 고정용 금구(4)에 고정편(1)이 나사(5)로 체결되며, 회전편(3)의 다른쪽 절곡면(3c)에도 여러 개의 나사구멍(3d)들이 형성되어 있어서 문(예컨대, 방화문)의 문짝을 회전편(3)에 연결하기 위한 문짝 연결용 금구(6)가 나사(7)로 체결된다. 미설명 부호 '8'은 문짝 연결용 금구(6)의 보조 금구로서 문짝과 용접됨과 아울러 문짝 연결용 금구(6)와 나사(9)로 결합되는 부재이다.
도 2는 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숨은 경첩이 방화문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는데, 방화문을 구성하는 문짝(D)과 문틀(F)에 숨은 경첩이 설치되는 구조는 다음과 같다. 즉, 숨은 경첩이 설치되는 문틀(F)의 해당 부위에 숨은 경첩의 정면부가 노출되도록 사각형 호울을 가진 경첩설치부가 마련되어 있어서 여기에 숨 은 경첩의 고정편(1)이 고정된다. 이에 앞서 고정편(1)의 플랜지(1a,1b)에 고정편 고정용 금구(4)가 나사(5)로 체결된 다음, 고정편(1)이 문틀(F)의 경첩설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편 고정용 금구(4)가 문틀(F)의 안쪽에 용접이 된다. 또, 문짝 연결용 금구(6)가 보조 금구(8)에 나사(9)로 결합됨과 아울러 보조 금구(8)가 문짝(D)에 용접이 되며, 이어서 문짝 연결용 금구(6)를 회전편(3)과 나사(7)로 체결하면 문짝(D)이 문틀(F)에 결합이 되는 것이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숨은 경첩은 하나의 축핀(2)과 축핀 결합부(3a)로 이루어진 단일 회전지지축에 의해 문짝(D)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문짝(D)의 하중을 지탱하는 지지력에 한계가 있고, 이 때문에 육중한 철제 방화문을 오랜 시간 동안 지지함에 따라 숨은 경첩의 요소에 부분적으로 변형이나 파손이 일어나게 되며, 결국에는 방화문의 원활한 개폐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종래의 숨은 경첩을 이용하여 문짝(D)을 문틀(F)에 설치하는 시공 작업시에는, 문짝(D)을 필요한 높이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문짝 연결용 금구(6)를 문틀(F)의 경첩설치부에 설치되어 있는 숨은 경첩의 회전편(3)에 나사구멍을 맞추어 여러 개의 나사(7)로 체결하여야 한다. 이 때문에 작업에 정밀성이 요구되고 장시간이 소요되어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문틀(F)로부터 문짝(D)을 분리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나사(7)를 일일이 풀어주어야 하므로 작업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숨은 경첩이 구비된 문틀(F)에 문짝(D)을 설치할 때, 문틀(F) 에 문짝(D)이 정확하게 맞아들어가도록 상하 높이를 정밀하게 맞추어야 하는데, 숨은 경첩의 회전편(3)에 조립될 문짝 연결용 금구(6)와 보조 금구(8)가 문짝(D)에 설치된 상태에서 문틀(F)에 대한 문짝(D)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은 매우 곤란하여 시공에 큰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주된 목적은, 방화문과 같은 문에 있어서 문틀에 설치되는 문짝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틀에 문짝을 설치하거나 분리할 때 매우 간편하게 시공을 할 수 있음과 아울러, 문짝의 높이를 매우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ㄷ'자형 절곡부를 형성하여 문틀의 경첩설치부에 고정되는 고정편에 축핀이 회전지지축으로서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축핀과 결합되는 축핀 결합부를 가지면서 타측은 문짝과 연결되어 문짝의 개폐시 상기 고정편의 'ㄷ'자형 절곡부로 출입하는 회전편이 구비된 숨은 경첩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은 제1회전편과 제2회전편으로 분리 형성되어, 제1회전편에 상기 축핀 결합부가 구비되고 제2회전편은 상기 문짝과 연결되되, 제1 회전편과 제2회전편은 제2의 회전지지축으로 기능하는 제2축핀과 제2축핀 결합부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편은 서로 평행한 제1절곡면과 제2절곡면을 구비하여 'ㄷ'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회전편은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면을 구비하여 'ㄴ'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축핀 결합부는 상기 제1회전편의 제1절곡면 끝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축핀은 상기 제1회전편의 제2절곡면 끝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2축핀 결합부는 상기 제2축핀의 위쪽으로부터 제2축핀과 결합되도록 상기 제2회전편에 구비되는 구조로 개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축핀에는 상기 제2축핀 결합부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단턱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단턱과 상기 제2축핀 결합부 사이에는 문틀에 대해 문짝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와셔가 개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숨은 경첩 및 그 설치를 위한 부속 금구들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숨은 경첩은 고정편(10) 및 축핀(20)과 더불어 제1회전편(30)과 제2회전편(40)을 주된 구성 요소로 포함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고정편(10)은 문틀의 경첩설치부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ㄷ'자형의 절 곡부를 형성하며, 절곡부의 상 ·하측 절곡면 선단에는 고정편 고정용 금구(50)와 나사(60)로 체결되는 플랜지(11,12)가 각각 상·하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축핀(20)은 경첩의 회전지지축으로서, 고정편(10)의 상 ·하측 절곡면 일측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 제1회전편(30)과 제2회전편(40)은 축핀(20)에 의해 고정편(10)에 회전 지지되면서 문짝의 개폐시 고정편(10)의 'ㄷ'자형 절곡부 안으로 출입하게 되는데, 종래 숨은 경첩의 회전편이 단일물인데 비해 본 발명의 회전편은 제1회전편(30)과 제2회전편(40)으로 분리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회전편(30)은 서로 평행하게 직각으로 절곡된 제1절곡면(31)과 제2절곡면(33)을 구비함으로써 전체적인 형상이 'ㄷ'자형을 이루게 되며, 제1절곡면(31)의 끝에는 상기 축핀(20)이 삽입 결합되는 축핀 결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2회전편(40)은 직각으로 절곡된 하나의 절곡면(41)에 의해 'ㄴ'자형을 이루고 있는데, 절곡면(41)에는 문짝의 연결을 위한 문짝 연결용 금구(70)가 나사(80)로 체결되는 체결공(41a)이 형성되어 있다(부호 '90'은 문짝 연결용 금구(70)의 보조 금구로서 문짝에 용접됨과 아울러 문짝 연결용 금구(70)와는 나사(100)로 결합되는 부재이다).
특히, 제1회전편(30)과 제2회전편(40)은 제2의 회전지지축 기능을 갖는 제2축핀(34)과 제2축핀 결합부(42)에 의해 서로 조립이 되는데, 도면의 실시예와 같이 제2축핀(34)은 제1회전편(30)의 제2절곡면(33) 끝부분에 형성되고 제2축핀 결합부(42)는 제2회전편(40)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반대로 제2축핀이 제2회전편 에 형성되고 제2축핀 결합부가 제1회전편의 제2절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 도면의 실시예와 같이 제2축핀 결합부(42)는 제2축핀(34)의 위쪽으로부터 제2축핀(34)과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와 반대로 제2축핀이 제2축핀 결합부의 위쪽으로부터 제2축핀 결합부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이는 도 3에 예시된 제1회전편과 제2회전편의 상하 위치를 뒤집어서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축핀(34)의 하부 둘레에는 제2축핀 결합부(42)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단턱(3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단턱(34a)에는 제2축핀 결합부(42)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와셔(110)가 설치됨으로써 문짝의 설치 시공시에 문틀에 대해 문짝의 설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4와 도 5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숨은 경첩이 방화문에 적용된 시공 전후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먼저, 문짝(D)을 문틀(F)에 설치하기 전에 숨은 경첩의 구성품들이 문짝(D)과 문틀(F)에 각각 조립된다. 즉, 고정편 고정용 금구(50)에 고정편(10)의 플랜지(11,12)가 나사(60)로 체결되어 한 뭉치를 이룬 상태에서, 고정편 고정용 금구(50)가 문틀(F)의 경첩설치부 안쪽면에 용접됨으로써 고정편(10)이 문틀(F)에 고정이 된다. 이에 앞서, 고정편(10)의 상 ·하 절곡면 일측에 제1회전편(30)의 축핀 결합부(32)가 축핀(20)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제1회전편(30)이 축핀(20)을 회전지지축으로 하여 고정편(10)을 상대로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문 짝(D)에 용접된 보조 금구(90)에 문짝 연결용 금구(70)가 나사(100)로 결합되고, 이 문짝 연결용 금구(70)에는 제2회전편(40)의 절곡면(41)이 나사(80)로 체결된다.
이와 같이 문틀(F)에 고정편(10)과 축핀(20) 및 제1회전편(30)의 조립체가 설치됨과 아울러 문짝(D)에는 제2회전편(40)이 설치된 상태에서 문짝(D)을 문틀(F)에 결합하는데, 문짝(D)을 필요한 높이만큼 들어올려서 제2회전편(40)의 제2축핀 결합부(42)가 제1회전편(30)의 제2축핀(34)과 끼워맞춰지도록 하여 놓기만 하면 문짝(D)이 문틀(F)에 쉽게 결합이 된다. 또, 문틀(F)에 대한 문짝(D)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제2축핀(34)의 단턱(34a)과 제2축핀 결합부(42)의 하단부 사이에 적절한 개수 또는 두께의 와셔(110)를 개재시키면 된다.
이렇게 하여 도 5와 같이 문틀(F)에 문짝(D)이 시공 완료되면, 문짝(D)은 제1회전편(30)이 연결된 축핀(20)을 제1회전지지축으로 하고, 제1회전편(30)과 제2회전편(40)을 연결하고 있는 제2축핀(34)을 제2의 회전지지축으로 하는 양축 지지 구조로 회전이 지지된다. 따라서, 문짝(D)을 회전시켜 열고 닫을 때 문짝(D)의 하중이 양축에서 분산 지지되므로, 육중한 철제 방화문과 같은 문짝(D)이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화문 등에 있어서 문틀에 설치되는 문짝의 하중을 양축 지지 구조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경첩의 변형이나 파손이 미연에 방지되고, 문짝의 원활한 개폐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짝을 문틀에 설치할 때에 문틀을 들어올려서 제1회전편과 제2회전편에 각각 구비된 제2축핀과 제2축핀 결합부가 끼워맞춰지도록 하여 놓기만 하면 되므로, 설치 시공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필요한 경우 문틀로부터 문짝을 쉽게 분리할 수도 있어, 종래의 숨은 경첩에 비해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더욱이, 제2축핀의 단턱과 제2축핀 결합부 사이에 와셔를 개재시키는 것만으로 문틀에 대한 문짝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이 한층 더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ㄷ'자형 절곡부를 형성하며 문틀의 경첩설치부에 고정되는 고정편에 축핀이 회전지지축으로서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축핀과 결합되는 축핀 결합부를 가지면서 타측은 문짝과 연결되어 문짝의 개폐시 상기 고정편의 'ㄷ'자형 절곡부로 출입하는 회전편이 구비된 숨은 경첩에 있어서,
    상기 회전편은 제1회전편과 제2회전편으로 분리 형성되어, 제1회전편에 상기 축핀 결합부가 구비되고 제2회전편은 상기 문짝과 연결되되, 제1회전편과 제2회전편은 제2의 회전지지축으로서의 제2축핀과 제2축핀 결합부에 의해 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편은 서로 평행한 제1절곡면과 제2절곡면을 구비하여 'ㄷ'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회전편은 직각으로 절곡된 절곡면을 구비하여 'ㄴ'자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축핀 결합부는 상기 제1회전편의 제1절곡면 끝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2축핀은 상기 제1회전편의 제2절곡면 끝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제2축핀 결합부는 상기 제2축핀의 위쪽으로부터 제2축핀과 결합되도록 상기 제2회전편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축핀에는 상기 제2축핀 결합부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과 상기 제2축핀 결합부 사이에는 문틀에 대해 문짝의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와셔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KR1020070002033A 2007-01-08 2007-01-08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KR100778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033A KR100778609B1 (ko) 2007-01-08 2007-01-08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033A KR100778609B1 (ko) 2007-01-08 2007-01-08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8609B1 true KR100778609B1 (ko) 2007-11-22

Family

ID=39080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033A KR100778609B1 (ko) 2007-01-08 2007-01-08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86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252A (ko) 2016-09-06 2018-03-14 구하경 매립형 힌지, 이를 이용한 책상 및 의자
KR102130500B1 (ko) * 2019-09-20 2020-07-06 조애희 도어용 힌지어셈블리
EP3346077B1 (de) 2017-01-09 2020-09-02 Simonswerk GmbH Türanordn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453U (ja) * 1992-12-21 1994-07-1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締付丁番
JPH10266678A (ja) 1997-03-19 1998-10-06 Nishimura:Kk 間口広開型丁番
JPH11152952A (ja) 1997-11-25 1999-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ヒンジ部材
JP2002013335A (ja) 2000-06-27 2002-01-18 Miwa Lock Co Ltd 蝶番の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453U (ja) * 1992-12-21 1994-07-15 株式会社竹中工務店 締付丁番
JPH10266678A (ja) 1997-03-19 1998-10-06 Nishimura:Kk 間口広開型丁番
JPH11152952A (ja) 1997-11-25 1999-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ヒンジ部材
JP2002013335A (ja) 2000-06-27 2002-01-18 Miwa Lock Co Ltd 蝶番の構造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7252A (ko) 2016-09-06 2018-03-14 구하경 매립형 힌지, 이를 이용한 책상 및 의자
KR101974698B1 (ko) 2016-09-06 2019-09-05 구하경 매립형 힌지, 이를 이용한 책상 및 의자
EP3346077B1 (de) 2017-01-09 2020-09-02 Simonswerk GmbH Türanordnung
KR102130500B1 (ko) * 2019-09-20 2020-07-06 조애희 도어용 힌지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609B1 (ko)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JP2008008015A (ja) 隠し蝶番
KR20130123530A (ko) 방화문(防火門)의 힌지장치
KR100419526B1 (ko) 간이착탈형 2축경첩구조
KR101155154B1 (ko)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US11859426B2 (en) Hinge assembly
EP2085549B1 (en) A hinge for doors or windows
JP4533778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支持装置
KR200427866Y1 (ko) 사물함의 도어 고정장치
KR100432063B1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구조
JP4828346B2 (ja) 左右兼用ピボットヒンジ
KR102247630B1 (ko) 방화문용 피봇힌지장치
JP2021156133A (ja) 丁番、ドア、及びドアの組立て方法
KR101817247B1 (ko) 디지털 도어락의 브래킷
JPH1082216A (ja) ハンドルの取付構造
TW202024461A (zh) 單觸安裝鉸鏈
KR200387445Y1 (ko) 자동닫힘기능을 갖는 도아 힌지장치
KR200376907Y1 (ko) 경첩
KR102465423B1 (ko) 마운팅 가이더가 포함된 가구용 경첩 어셈블리
JPH10306641A (ja) 家具のちょう番
KR200300591Y1 (ko) 도어용 힌지장치
JP5290590B2 (ja) シャッター扉の巻取装置
KR100493521B1 (ko) 도어용 피벗힌지 및 피벗힌지용 베어링
JPH07310469A (ja) ドアヒンジ
KR20200056218A (ko) 방화문의 경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