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154B1 -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154B1
KR101155154B1 KR1020120007515A KR20120007515A KR101155154B1 KR 101155154 B1 KR101155154 B1 KR 101155154B1 KR 1020120007515 A KR1020120007515 A KR 1020120007515A KR 20120007515 A KR20120007515 A KR 20120007515A KR 101155154 B1 KR101155154 B1 KR 101155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door
fire door
frame
mount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7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명
Original Assignee
김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명 filed Critical 김지명
Priority to KR1020120007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18Anti-tampe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8Bea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8Shape of edges of wing and/or its frame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화도어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방화도어(20)가 닫혀진 상태일 때 프레임힌지(30)와 도어힌지(40)가 모두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외관미 향상 및 한층 더 우수한 방범기능을 갖출 수 있게 되고, 특히 방화도어(20)의 조립과 분해 작업이 편리해짐에 따라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방화도어용 힌지장치{HINGE APPARATUS FOR FIREPROOF DOOR}
본 발명은 방화도어용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재 방화도어의 개폐를 위해 사용되는 힌지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방화문은 화재의 전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철재로 제작되는 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내벽(1)에 철재로 된 도어프레임(2)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2)에 방화도어(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방화도어(3)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힌지장치인데, 상기 힌지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힌지(4)와 하부힌지(5)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힌지(4)와 하부힌지(5)는 각각 프레임힌지(4a,5a)와 도어힌지(4b,5b)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힌지(4a,5a)는 볼트나 스크루 등의 결합부재(4c,5c)를 매개로 도어프레임(2)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도어힌지(4b,5b)는 결합부재(4d,5d)를 매개로 방화도어(3)의 상하단 모서리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힌지(4a,5a)와 도어힌지(4b,5b)는 힌지볼트(4e,5e)를 매개로 상대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하부힌지(5)는 방화도어(3)의 전체하중을 견디면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프레임힌지(5a)와 도어힌지(5b)사이에 다수개의 베어링(6)을 설치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화도어용 힌지장치는 프레임힌지(4a,5a)와 도어힌지(4b,5b)가 모두 방화도어(3)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구조여서 외관미가 나쁜 단점이 있다.
또한, 프레임힌지(4a,5a)와 도어힌지(4b,5b)를 결합하는 힌지볼트(4e,5e)가 외부로 노출된 구조이기 때문에, 방화도어(3)가 닫혀진 상태일지라도 상부힌지(4)를 구성하는 힌지볼트(4e)의 탈거가 쉽고, 이럴 경우 방화도어(3)가 도어프레임(2)으로부터 쉽게 분리됨에 따라 방범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단점도 있다.
또한, 방화도어(3)를 설치할 때에 힌지볼트(4e,5e)를 이용해서 프레임힌지(4a,5a)와 도어힌지(4b,5b)를 조립하는 작업이 쉽지 않아서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고, 특히 크기가 작은 힌지볼트(4e,5e)의 특성상 작업시 종종 분실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됨에 따라 부품의 낭비가 초래되는 단점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63586호(1999년 10월 02일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화도어가 닫혀진 상태일 때 프레임힌지와 도어힌지가 모두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서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우수한 방법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방화도어용 힌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힌지의 모듈화를 통해 프레임힌지와 도어힌지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 향상 및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작업시 부품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불필요한 부품의 낭비를 없앨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화도어용 힌지장치는, 도어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부설치면과 하부설치면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설치된 프레임힌지; 상기 프레임힌지와 마주 대하는 방화도어의 상부설치면과 하부설치면의 모서리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설치되되 상기 방화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설치된 도어힌지; 및 상기 도어힌지에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일단이 상기 프레임힌지에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설치된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부설치면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윗면 및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부설치면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아랫면사이에는 각각 프레임힌지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힌지는 상기 도어프레임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상기 프레임힌지설치공간속으로 삽입되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화도어의 상부설치면과 상기 방화도어의 윗면 및 상기 방화도어의 하부설치면과 상기 방화도어의 아랫면사이에는 각각 도어힌지설치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도어힌지는 상기 방화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상기 도어힌지설치공간속으로 삽입되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힌지는 상기 도어프레임 일측의 상부설치면과 하부설치면에 각각 면접촉을 이루면서 고정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힌지축의 일단이 축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축삽입공간이 마련된 돌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레이트부를 상기 상부설치면과 하부설치면에 용접 결합시 상기 플레이트부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부의 밑면에는 상기 상부설치면과 하부설치면에 형성된 축삽입구멍으로 삽입되는 위치결정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결정부재는 소정 두께를 가진 와셔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힌지는 상기 방화도어 일측의 상부설치면과 하부설치면에 각각 면접촉을 이루면서 고정되게 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 및 상기 베이스브라켓과의 사이에 축이동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의 일면에 고정 결합된 디귿(ㄷ)자 단면모양의 커버브라켓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축의 일단은 상기 커버브라켓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상부설치면 또는 상기 커버브라켓과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부설치면을 관통해서 상기 프레임힌지의 축삽입공간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의 타단은 상기 축이동공간을 가로질러서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방화도어의 상부설치면 또는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상기 방화도어의 하부설치면을 관통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이동공간속에 위치한 상기 힌지축의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축의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힌지축플랜지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플랜지와 상기 베이스브라켓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힌지축플랜지가 상기 커버브라켓에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축이동공간으로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브라켓에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힌지축플랜지가 상기 커버브라켓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플랜지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브라켓에 접촉한 상기 힌지축플랜지를 공구를 이용해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브라켓에는 공구가 삽입될 수 있게 공구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화도어의 상부설치면과 하부설치면에는 상기 상부설치면과 하부설치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브라켓과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도어힌지의 설치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브라켓이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프레임의 하부설치면과 상기 커버브라켓사이에는 상기 방화도어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방화도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도어용 힌지장치에 의하면, 방화도어가 닫혀진 상태일 때 프레임힌지와 도어힌지가 모두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외관미 향상 및 한층 더 우수한 방범기능을 갖출 수 있게 되고, 특히 방화도어의 조립과 분해 작업이 편리해짐에 따라 작업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방화도어용 힌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를 구비한 방화도어가 도어프레임에 닫혀진 상태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를 매개로 방화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프레임힌지와 도어힌지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3의 Ⅱ-Ⅱ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힌지의 위치결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힌지와 도어힌지의 단면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힌지와 도어힌지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화도어용 힌지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철재로 제작된 방화문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내벽(1)에 도어프레임(10)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도어프레임(10)에 방화도어(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으로, 상기 방화도어(20)의 회전은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에 의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는 도 5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상부설치면(11)과 하부설치면(12)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설치된 프레임힌지(30)와, 상기 프레임힌지(30)와 마주 대하는 방화도어(20)의 상부설치면(21)과 하부설치면(22)의 모서리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설치되되 상기 방화도어(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설치된 도어힌지(40)와, 상기 도어힌지(40)에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일단이 상기 프레임힌지(30)에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설치된 힌지축(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힌지(30)와 도어힌지(40)는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필요에 따라 볼트 또는 스크루 등의 결합부재를 매개로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힌지(30)와 도어힌지(40)는 외부로 돌출되거나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특히 방화도어(40)가 닫힌 상태일 때에는 프레임힌지(30)와 도어힌지(40)를 분해할 수 없는 구조이며, 이를 통해 보다 우수한 방범기능을 갖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상부설치면(11)과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윗면(13) 및 상기 도어프레임(10)의 하부설치면(12)과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아랫면(14)사이에는 각각 프레임힌지설치공간(15)이 마련되는 바, 상기 프레임힌지(30)는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상기 프레임힌지설치공간(15)속으로 삽입되어서 설치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방화도어(20)의 상부설치면(21)과 상기 방화도어(20)의 윗면(23) 및 상기 방화도어(20)의 하부설치면(22)과 상기 방화도어(20)의 아랫면(24)사이에는 각각 도어힌지설치공간(25)이 마련되는 바, 상기 도어힌지(40)는 상기 방화도어(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상기 도어힌지설치공간(25)속으로 삽입되어서 설치된 구조이다.
상기 프레임힌지(30)는 상기 도어프레임(10) 일측의 상부설치면(11)과 하부설치면(12)에 각각 면접촉을 이루면서 고정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31)와, 상기 플레이트부(3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힌지축(50)의 일단이 축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축삽입공간(32)이 마련된 돌기부(33)로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힌지(30)는 모자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한편, 상기 프레임힌지(30)에서 플레이트부(31)의 밑면(31a)에는 소정 두께를 가진 위치결정부재(34)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결정부재(34)는 와셔모양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즉, 상기 프레임힌지(30)의 플레이트부(31)는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상부설치면(11)과 하부설치면(12)에 면접촉을 이루면서 용접 결합되는데, 용접 결합시 상기 플레이트부(31)의 움직임을 구속하지 않게 되면 상기 상부설치면(11)과 하부설치면(12)에 형성된 축삽입구멍(11a,12a)과 상기 프레임힌지(30)의 축삽입공간(32)이 서로 일직선으로 일치하지 않고 한쪽 방향으로 틀어져서 용접 결합되는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즉 상기 프레임힌지(30)의 플레이트부(31)가 상기 상부설치면(11)과 하부설치면(12)에 형성된 축삽입구멍(11a,12a)의 일부를 가리는 형태로 용접되는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상기 힌지축(50)은 상기 축삽입구멍(11a,12a)을 관통해서 상기 축삽입공간(32)으로 삽입되게 설치되어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플레이트부(31)가 축삽입구멍(11a,12a)의 일부를 가리는 형태로 용접이 이루어지면 상기 힌지축(50)은 축삽입구멍(11a,12a)을 관통해서 축삽입공간(32)으로 삽입 설치되지 못하며, 이로 인해 힌지축(50)을 설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레이트부(31)의 밑면(31a)에 소정 두께를 가진 위치결정부재(34)가 일체로 결합된 구조이고, 상기 위치결정부재(34)는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상부설치면(11)과 하부설치면(12)에 형성된 축삽입구멍(11a,12a)으로 삽입되며, 상기 위치결정부재(34)가 축삽입구멍(11a,12a)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부(31)의 용접작업을 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위치결정부재(34)가 축삽입구멍(11a,12a)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부(31)의 용접작업을 행하게 되면, 상기 플레이트부(31)의 움직임이 축삽입구멍(11a,12a)으로 삽입된 위치결정부재(34)에 의해 구속됨에 따라 상기 플레이트부(31)의 움직임 없이 용접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며, 이 결과 프레임힌지(30)의 축삽입공간(32)과 상부설치면(11)과 하부설치면(12)에 형성된 축삽입구멍(11a,12a)은 완전히 일치된 상태로 연결되어서 힌지축(50)을 축삽입구멍(11a,12a)을 관통해서 축삽입공간(32)으로 용이하게 삽입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힌지(40)는 상기 방화도어(20) 일측의 상부설치면(21)과 하부설치면(22)에 각각 면접촉을 이루면서 고정되게 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41)과, 상기 베이스브라켓(41)과의 사이에 축이동공간(42)이 마련되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41)의 일면에 고정 결합된 디귿(ㄷ)자 단면모양의 커버브라켓(43)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브라켓(41)과 커버브라켓(43)은 용접이나 볼트 또는 스크루 등의 결합부재를 통해 서로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상기 힌지축(50)은 단면이 일자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일단은 상기 커버브라켓(43)과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상부설치면(11) 또는 상기 커버브라켓(43)과 상기 도어프레임(10)의 하부설치면(12)을 관통해서 상기 프레임힌지(30)의 축삽입공간(32)으로 삽입 설치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힌지축(50)의 타단은 상기 축이동공간(42)을 가로질러서 상기 베이스브라켓(41)과 상기 방화도어(20)의 상부설치면(21) 또는 상기 베이스브라켓(41)과 상기 방화도어(20)의 하부설치면(22)을 관통해서 설치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5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가 된다.
한편, 상기 축이동공간(42)속에 위치한 상기 힌지축(50)의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축(50)의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힌지축플랜지(51)가 일체로 구비되는 바,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는 상기 힌지축플랜지(51)와 상기 베이스브라켓(41)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힌지축플랜지(51)가 상기 커버브라켓(43)에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50)은 스프링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기본적으로 힌지축플랜지(51)가 커버브라켓(43)에 항상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스프링부재(60)의 내구성이 저하되어서 탄성력이 감소하거나 또는 파손이 발생하게 되면, 힌지축(50)은 힌지축플랜지(51)가 베이스브라켓(41)에 접촉하는 형태가 되도록 이동하게 되고, 이럴 경우 힌지축(50)의 일단이 프레임힌지(30)의 축삽입공간(32)으로 빠지게 됨에 따라 방화도어(20)가 닫혀있는 상황일지라도 도어프레임(10)으로부터 방화도어(20)가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는 상기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커버브라켓(43)에 구속핀(70)이 함께 구비된 구성이다.
즉, 상기 구속핀(70)은 볼트 또는 스크루와 같은 부재로 상기 커버브라켓(43)의 일측면을 관통해서 선단부가 축이동공간(42)속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구조인 바, 상기 구속핀(70)을 회전시키면 축이동공간(42)으로의 돌출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부재(60)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축플랜지(51)가 커버브라켓(43)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구속핀(70)의 선단부가 힌지축플랜지(51)와 접촉하도록 조작하게 되면, 상기 힌지축(50)의 길이방향 이동은 상기 구속핀(70)에 의해 구속되는 바(도 6의 상태), 이를 통해 스프링부재(60)의 파손에 의한 힌지축(5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원치 않는 방화도어(20)가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한층 더 우수한 방법기능을 갖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는 상기 커버브라켓(43)에 공구홀(44)이 형성된 구조가 특징으로, 상기 공구홀(44)을 통해 힌지축플랜지(51)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구속핀(70)의 선단부가 힌지축플랜지(51)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속핀(70)을 풀어준 다음, 공구홀(44)로 공구(미도시)를 삽입시켜서 힌지축플랜지(51)를 가압하게 되면, 힌지축(50)은 스프링부재(60)의 탄성력을 이기고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구홀(44)로 삽입시킨 공구를 이용해서 힌지축플랜지(51)를 가압하고, 이를 통해 힌지축(50)을 이동시키는 작업은 도어프레임(10)에 방화도어(20)를 설치하거나 또는 도어프레임(10)으로부터 방화도어(20)를 분리할 때에 행하는 작업이다.
상기 공구홀(44)은 힌지축플랜지(51)와 대면하는 커버브라켓(43)의 윗면(또는 아랫면)에 형성된 구조이므로, 방화도어(20)가 닫혀진 상태일 때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고, 도 5와 같이 방화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만 외부로 노출이 되는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방화도어(20)의 상부설치면(21)과 하부설치면(22)에는 상기 상부설치면(21)과 하부설치면(22)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브라켓(41)과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도어힌지(40)의 설치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브라켓(80)이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는 바, 상기 보강브라켓(80)은 용접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는 상기 방화도어(20)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방화도어(2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프레임(10)의 하부설치면(12)과 상기 커버브라켓(43)사이에 설치된 베어링부재(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는 도어힌지(40)와 힌지축(50)이 일체가 되도록 모듈화가 가능한 구성이므로, 도어힌지(40)를 도 6과 같이 방화도어(20)의 좌측 상하단에 각각 결합시키면 방화도어(20)는 좌측도어가 되고, 도어힌지(40)를 방화도어(20)의 우측 상하단에 각각 결합시키면 방화도어(20)는 우측도어가 되는 바, 이에 따라 방화도어(20)의 좌우측 개념이 없어지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좌,우측 방화도어(20)를 각각 별도로 제작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더 나아가 제작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어힌지(40)와 힌지축(50)의 모듈화를 통해 방화도어(20)의 조립 작업시 부품의 분실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불필요한 부품의 낭비를 없앨 수 있게 됨은 물론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방화도어(20)를 도어프레임(10)에 조립할 때에는 구속핀(70)의 선단부가 힌지축플랜지(51)와 접촉하지 않도록 구속핀(70)을 풀어주고, 방화도어(20)의 윗면(23)과 아랫면(24)으로 돌출된 힌지축(50)을 눌러주면, 방화도어(20)는 도어프레임(10)속으로 삽입 가능한 상태가 된다.
방화도어(20)를 도어프레임(10)속으로 삽입시킴 후 방화도어(20)의 위치를 교정시켜 주면, 힌지축(50)은 스프링부재(60)의 탄성력으로 돌출되면서 도어프레임(10)에 고정 결합된 프레임힌지(30)의 축삽입공간(32)속으로 삽입이 되는 바, 이에 따라 방화도어(20)는 힌지축(50)을 매개로 도어프레임(10)에 대해 회전 가능한 구조가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방화도어(20)의 조립작업이 수월해지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립이 완료된 방화도어(20)가 도 3과 같이 닫혀진 상태일 때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힌지(30)와 도어힌지(40)는 외부로 노출되거나 돌출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이를 통해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프레임힌지(30)와 도어힌지(40)를 연결하는 힌지축(50)이 방화도어(20)가 닫혀진 상태일 때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외부에서 강제로 방화도어(20)를 분리시킬 수 없게 됨에 따라 한층 더 우수한 방범기능을 갖출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스프링부재(60)의 내구성을 고려해서 구속핀(70)을 이용해 도 6과 같이 힌지축플랜지(51)를 지지시켜 주면, 힌지축(50)의 길이방향 이동이 상기 구속핀(70)에 의해 구속되는 바, 이를 통해 스프링부재(60)의 파손에 의한 힌지축(5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원치 않는 방화도어(20)가 분리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한층 더 우수한 방법기능을 갖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조립된 방화도어(20)를 분해할 때에는 먼저 방화도어(20)를 개방시킨 후 공구홀(44)을 통해 공구를 삽입시켜서 힌지축플랜지(51)를 가압한다.
그러면, 힌지축(50)이 스프링부재(60)의 힘을 이기고 이동함에 따라 힌지축(50)이 방화도어(2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이때 방화도어(20)에 힘을 가하여 도어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시켜 주면, 도어프레임(10)으로부터 방화도어(20)의 분해 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방화도어(20)의 분해작업도 수월하게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 - 도어프레임 20 - 방화도어
30 - 프레임힌지 40 - 도어힌지
50 - 힌지축 60 - 스프링부재
70 - 구속핀 80 - 보강브라켓
90 - 베어링부재

Claims (13)

  1. 도어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상부설치면(11)과 하부설치면(12)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설치된 프레임힌지(30);
    상기 프레임힌지(30)와 마주 대하는 방화도어(20)의 상부설치면(21)과 하부설치면(22)의 모서리부에 각각 고정 결합되어 설치되되 상기 방화도어(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설치된 도어힌지(40); 및
    상기 도어힌지(40)에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면서 일단이 상기 프레임힌지(30)에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끼워져서 설치된 힌지축(50)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힌지(30)는 상기 도어프레임(10) 일측의 상부설치면(11)과 하부설치면(12)에 각각 면접촉을 이루면서 고정되게 결합되는 플레이트부(31); 및
    상기 플레이트부(3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힌지축(50)의 일단이 축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축삽입공간(32)이 마련된 돌기부(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상부설치면(11)과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윗면(13) 및 상기 도어프레임(10)의 하부설치면(12)과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아랫면(14)사이에는 각각 프레임힌지설치공간(15)이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힌지(30)는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상기 프레임힌지설치공간(15)속으로 삽입되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화도어(20)의 상부설치면(21)과 상기 방화도어(20)의 윗면(23) 및 상기 방화도어(20)의 하부설치면(22)과 상기 방화도어(20)의 아랫면(24)사이에는 각각 도어힌지설치공간(25)이 마련되고;
    상기 도어힌지(40)는 상기 방화도어(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도록 상기 도어힌지설치공간(25)속으로 삽입되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31)를 상기 상부설치면(11)과 하부설치면(12)에 용접 결합시 상기 플레이트부(31)의 움직임을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플레이트부(31)의 밑면(31a)에는 상기 상부설치면(11)과 하부설치면(12)에 형성된 축삽입구멍(11a,12a)으로 삽입되는 위치결정부재(34)가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재(34)는 소정 두께를 가진 와셔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힌지(40)는 상기 방화도어(20) 일측의 상부설치면(21)과 하부설치면(22)에 각각 면접촉을 이루면서 고정되게 결합되는 베이스브라켓(41); 및
    상기 베이스브라켓(41)과의 사이에 축이동공간(42)이 마련되도록 상기 베이스브라켓(41)의 일면에 고정 결합된 디귿(ㄷ)자 단면모양의 커버브라켓(4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50)의 일단은 상기 커버브라켓(43)과 상기 도어프레임(10)의 상부설치면(11) 또는 상기 커버브라켓(43)과 상기 도어프레임(10)의 하부설치면(12)을 관통해서 상기 프레임힌지(30)의 축삽입공간(32)으로 삽입 설치되고;
    상기 힌지축(50)의 타단은 상기 축이동공간(42)을 가로질러서 상기 베이스브라켓(41)과 상기 방화도어(20)의 상부설치면(21) 또는 상기 베이스브라켓(41)과 상기 방화도어(20)의 하부설치면(22)을 관통해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축이동공간(42)속에 위치한 상기 힌지축(50)의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축(50)의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힌지축플랜지(51)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힌지축플랜지(51)와 상기 베이스브라켓(41)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힌지축플랜지(51)가 상기 커버브라켓(43)에 접촉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부재(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축이동공간(42)으로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브라켓(43)에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힌지축플랜지(51)가 상기 커버브라켓(43)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힌지축플랜지(51)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힌지축(50)의 길이방향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핀(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커버브라켓(43)에 접촉한 상기 힌지축플랜지(51)를 공구를 이용해서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브라켓(43)에는 공구가 삽입될 수 있게 공구홀(4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화도어(20)의 상부설치면(21)과 하부설치면(22)에는 상기 상부설치면(21)과 하부설치면(22)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브라켓(41)과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도어힌지(40)의 설치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브라켓(80)이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도어프레임(10)의 하부설치면(12)과 상기 커버브라켓(43)사이에는 상기 방화도어(20)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방화도어(2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베어링부재(9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KR1020120007515A 2012-01-26 2012-01-26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KR101155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515A KR101155154B1 (ko) 2012-01-26 2012-01-26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7515A KR101155154B1 (ko) 2012-01-26 2012-01-26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154B1 true KR101155154B1 (ko) 2012-06-11

Family

ID=4660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7515A KR101155154B1 (ko) 2012-01-26 2012-01-26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1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159B1 (ko) * 2014-07-25 2014-12-11 이원주식회사 도어 힌지
KR101820227B1 (ko) 2016-02-18 2018-02-28 탁우찬 방화문용 매립형 힌지장치
KR102181203B1 (ko) * 2020-01-08 2020-11-20 (주)제일방화문 방화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586Y1 (ko) 1999-07-19 2000-02-15 김지명 도어용힌지
JP2002242514A (ja) * 2001-02-16 2002-08-28 Tsuchikawa Zenji ピボット調整蝶番
KR101033072B1 (ko) * 2009-04-22 2011-05-06 이순자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586Y1 (ko) 1999-07-19 2000-02-15 김지명 도어용힌지
JP2002242514A (ja) * 2001-02-16 2002-08-28 Tsuchikawa Zenji ピボット調整蝶番
KR101033072B1 (ko) * 2009-04-22 2011-05-06 이순자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1159B1 (ko) * 2014-07-25 2014-12-11 이원주식회사 도어 힌지
KR101820227B1 (ko) 2016-02-18 2018-02-28 탁우찬 방화문용 매립형 힌지장치
KR102181203B1 (ko) * 2020-01-08 2020-11-20 (주)제일방화문 방화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1470B1 (ko) 중문으로 사용되는 폴딩도어 구조 및 조립 시공방법
KR101155154B1 (ko)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KR20130024759A (ko) 가스켓의 장착이 용이한 도어
KR101376372B1 (ko) 방화문(防火門)의 힌지장치
JP2008008015A (ja) 隠し蝶番
KR101518181B1 (ko) 이중차단형 도어 장치
KR101134180B1 (ko) 피벗힌지 결합을 위한 보강재 및 용접이 필요 없는 방화문 및 그 제조방법
JP4821273B2 (ja) 蝶番
KR100778609B1 (ko) 양축 지지형 숨은 경첩
JP2009281101A (ja) 蝶番
KR101748086B1 (ko) 천장점검구
JP5681405B2 (ja) ドア体
KR20170056871A (ko) 강도가 보강된 방화문
JP5729931B2 (ja) ドア体
JP7381352B2 (ja) ヒンジ構成部品
JP2008202327A (ja) 蝶番裏板
JP4828346B2 (ja) 左右兼用ピボットヒンジ
JP6588313B2 (ja) 建具
KR20030049771A (ko) 자동차의 도어 체커 겸용 도어 힌지 구조
KR20110000695U (ko) 점검구 도어 힌지
KR200376907Y1 (ko) 경첩
CN214246995U (zh) 一种合页机构及其采用该合页机构的组合门套
KR200266150Y1 (ko) 방화문
KR20140002674U (ko) 접이식 도어용 힌지 브래킷
JP6937709B2 (ja) 換気扇用シャ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