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3072B1 -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3072B1
KR101033072B1 KR1020090034903A KR20090034903A KR101033072B1 KR 101033072 B1 KR101033072 B1 KR 101033072B1 KR 1020090034903 A KR1020090034903 A KR 1020090034903A KR 20090034903 A KR20090034903 A KR 20090034903A KR 101033072 B1 KR101033072 B1 KR 101033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door
hole
fastening hole
do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6280A (ko
Inventor
이순자
Original Assignee
이순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자 filed Critical 이순자
Priority to KR1020090034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3072B1/ko
Publication of KR2010011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6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3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3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2007/048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in a radial dir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05D7/100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 E05D2007/1027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balls or sockets by axially moving free pins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장치 및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시킨 후에는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는 도어프레임 또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며, 힌지축이 구비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에 대응하도록 도어프레임 또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의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홈이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도어프레임 또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은 체결부재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브라켓이 소정길이만큼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방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힌지 장치, 브라켓, 도어프레임, 도어

Description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Hinge apparatus and door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힌지장치 및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시킨 후에는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시스템은 건물 내의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벽면에 형성된 출입구에 고정 장착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도어프레임과 도어를 결합시키는 힌지장치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힌지장치는 도어가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건축자재로서,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며 힌지축이 구비되는 제1브라켓과, 도어의 상부에 고정되며 힌지홈이 구비되는 제2브라켓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어프레임에 고정된 제1브라켓의 힌지축을 도어에 고정된 제2브라켓의 힌지홈에 삽입시킴으로써,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힌지장치를 이용하여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제1브라켓에 구비된 힌지축을 제2브라켓에 구비된 힌지홈에 삽입시키기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은 각각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전에 미리 도어프레임과 도어에 고정설치되는데, 이때 약간의 오차만 발생하더라도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결합시킬때 제1브라켓의 힌지축이 제2브라켓의 힌지홈에 삽입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경우, 작업자는 도어프레임과 도어에 고정설치된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위치를 재조정하여 다시 고정설치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2브라켓의 힌지홈의 직경을 힌지축의 직경보다 더 크게 늘려 힌지홈에 힌지축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경우에는, 힌지홈에 삽입된 힌지축이 유격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받을 수 없으며, 그에 따라 도어 개폐시 도어가 흔들리게 되어 도어를 원활하게 여닫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도어프레임 내측과 접촉되는 도어의 일부가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1브라켓의 힌지축을 제2브라켓의 힌지홈에 삽입시켜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결합시킨 이후에 도어의 개폐가 여러번 반복되는 경우에는 도어의 무게로 인하여 도어에 고정설치된 제2브라켓의 고정이 풀리게 되고, 그에 따라 도어 개폐시 도어가 흔들리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제2브라켓이 도어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결합시킨 후에도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는 도어프레임 또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며, 힌지축이 구비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에 대응하도록 도어프레임 또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의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홈이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도어프레임 또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은 체결부재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브라켓이 소정길이만큼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방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볼 발명에 따른 도어 시스템은 출입구에 장착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힌지축이 구비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대 응하도록 상기 도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의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홈이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장방형의 형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의 고정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브라켓의 고정부를 압착한 상태로 상기 도어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제3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 및 도어 시스템에 의하면, 제1브라켓의 힌지축을 제2브라켓의 힌지홈에 쉽게 삽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어를 도어프레임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 및 도어 시스템에 의하면, 제2브라켓이 도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도어와 도어프레임의 결합상태는 견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은 출입구에 장착 되는 도어프레임(10), 상기 도어프레임(10)에 결합되어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20) 및 상기 도어(20)를 도어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장치는 상부측 힌지 장치(100)와 하부측 힌지 장치(200)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측 힌지 장치(100)와 하부측 힌지 장치(200)는 서로 다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힌지 장치가 상부와 하부측에 각각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측 힌지 장치(100)와 하부측 힌지 장치(200)의구성이 다른 것에 대하여 설명하며, 먼저 상부측 힌지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하부측 힌지 장치(20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측 힌지 장치가 고정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100)는 도어프레임(10)에 고정설치되며, 힌지축(112)이 구비되는 제1브라켓(110)과, 상기 제1브라켓(110)에 대응하도록 도어(2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힌지축(112)이 삽입되는 힌지홈(124)이 구비되는 제2브라켓(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브라켓(110)이 도어(20)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2브라켓(120)이 도어프레임(10)에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100)는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제1브라켓(110)이 도어프레임(10)에, 제2브라켓(120)이 도어(20)에 고정설치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세하게, 상기 제2브라켓(120)은 상기 힌지홈(124)이 구비되는 몸체부(122)와, 상기 몸체부(122)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고정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힌지홈(124)의 내측면에는 도어(20)의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베어링(12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30)는 제2브라켓(120)이 도어(20)에 고정설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결부재(129)에 의해 도어(20)에 고정설치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131)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홀(131)은 소정길이만큼 좌우로 길게 형성되는 장방형의 형태(rectangular type)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체결부재(129)가 상기 체결홀(131)에 체결된 상태에서도 제2브라켓(120)이 소정길이만큼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작업자는 도어(20)를 도어프레임(1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제1브라켓(110)의 힌지축(112)을 제2브라켓(120)의 힌지홈(124)에 삽입시킬 때, 상기 제2브라켓(120)을 좌우로 움직이면서 힌지홈(124)에 힌지축(112)이 정확히 삽입되도록 할 수 있어서, 쉽게 도어(20)를 도어프레임(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1브라켓(110)과 제2브라켓(120)이 각각 도어프레임(10)과 도어(20)에 고정설치된 위치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작업자는 상기 제2브라켓(120)을 좌우로 움직이면서 힌지홈(124)에 힌지축(112)이 삽입되도록 할 수 있어서, 편 리하다.
그리고, 작업자는 상기 힌지홈(124)에 힌지축(112)을 삽입시킨 후에 체결부재(129)를 꽉 조임으로써, 상기 제2브라켓(120)이 도어(20)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100)는 제2브라켓(120)의 고정부(130) 상부에 위치된 상태로 도어(20)에 고정설치되는 제3브라켓(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브라켓(140)은 제2브라켓(120)이 보다 견고하게 도어(2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2브라켓(120)의 고정부(130) 상부에 위치하여 체결부재(145)에 의해 상기 고정부(130)를 압착한 상태로 도어(20)에 고정설치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100)는 제2브라켓(120)의 고정부(130)가 체결부재(129)에 의해 도어(20)에 고정설치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3브라켓(140)이 체결부재(145)에 의해 상기 고정부(130)를 압착한 상태로 도어(20)에 고정설치되기 때문에, 제2브라켓(120)은 더욱더 견고하게 도어(20)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도어(20)와 도어프레임(10)의 결합상태는 견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브라켓의 고정부(130)에는 상기 제3브라켓(140)의 체결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부(13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브라켓(140)이 제2브라켓의 고정부(130)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 서 상기 제3브라켓(140)의 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145)가 직접 상기 도어(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136)는 홀 또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브라켓(140)의 체결홀에 삽입된 체결부재(145)는 상기 관통부(136)를 통해 직접 도어(20)에 체결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상기 제3브라켓(140)은 제2브라켓(120)의 고정부(130)를 더욱더 압착한 상태로 도어(20)에 고정설치될 수 있으며, 그만큼 상기 제2브라켓(120)은 도어(20)에 더욱더 견고한 상태로 고정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3브라켓(140)에는 상기 제2브라켓의 고정부(130)의 체결홀(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방지부(14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3브라켓(140)이 제2브라켓(120)의 고정부(130)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130)의 체결홀(131)에 체결된 체결부재(129)와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접촉방지부(144)는 홀 또는 홈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고정부(130)의 체결홀(131)에 체결부재(129)가 체결되면, 상기 체결부재(129)의 머리부분이 돌출되는데, 상기 제3브라켓(140)이 상기 돌출된 체결부재(129)와 접촉된다면 돌출되는 만큼 상기 제3브라켓(140)와 고정부(130)는 소정간격 이격될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이 경우, 상기 제3브라켓(140)이 체결부재(145)에 의해 도어(20)에 고정설치된다 하더라도, 상기 제3브라켓(140)이 고 정부(130)를 압착하는 힘은 줄어들 수밖에 없어서 그만큼 상기 제3브라켓(140)에 의한 고정부(130)의 고정되는 견고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제3브라켓(140)이 고정부(130)의 체결홀(131)에 체결된 체결부재(129)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체결홀(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촉방지부(144)가 구비된다면, 상기 제3브라켓(140)은 고정부(130)와 면접촉되어 압착된 상태로 도어(20)에 고정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2브라켓(120)과 제3브라켓(140)은 더욱더 견고한 상태로 도어(20)에 고정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브라켓(110)은 힌지축(112)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16)와, 사용자가 도어프레임(10)에 구비된 소정의 홀(11)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116)를 압착시키도록 하기 위한 레버(118)와, 상기 제1브라켓(110)을 체결부재(115)에 의해 도어프레임(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1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116)는 제1브라켓(110)의 힌지축(112)을 제2브라켓(120)의 힌지홈(124)에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고, 상기 레버(118)는 힌지축(112)이 힌지홈(124)에 삽입된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부(114)는 직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제1브라켓(110)은 도어프레임(10)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부(114)가 직각으로 절곡된다면 그만큼 상기 제1브라켓(110)을 도어프레임(110)에 고정설치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2브라켓(120) 및 제3브라 켓(14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제2브라켓과 제3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제2브라켓과 제3브라켓이 도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브라켓(120)의 고정부(130)의 체결홀은 제2브라켓(120)의 몸체부(122)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체결홀(131), 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체결홀(132) 및 제3체결홀(13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30)의 관통부는 상기 제1체결홀(131)과 상기 제2,3체결홀(132,133)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홈(134)과 제2관통홈(135) 및 상기 제2체결홀(132)과 제3체결홀(133) 사이에 형성되는 제3관통홈(13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브라켓(140)의 체결홀은 각각 상기 제1관통홈(134)과 제2관통홈(13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체결홀(141)과 제2체결홀(142) 및 상기 제3관통홈(13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체결홀(14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브라켓(140)의 접촉방지부(144)는 상기 고정부(130)의 제1체결홀(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제2브라켓과 제3브라켓의 구성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브라켓(150)의 고정부(160)의 체결홀은 단부에 형성되는 제1체결홀(161), 상기 제2브라켓(150)의 몸체부(152)에 인접하 여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체결홀(162) 및 제3체결홀(16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60)의 관통부는 상기 제1체결홀(161)과 상기 제2,3체결홀(162,163)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홈(164)과 제2관통홈(165) 및 상기 제2체겨홀(162)과 제3체결홀(163) 사이에 형성되는 제3관통홀(166)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브라켓(170)의 체결홀은 각각 상기 제1관통홈(164)과 제2관통홈(16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체결홀(172)과 제2체결홀(171) 및 상기 제3관통홀(166)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3체결홀(17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브라켓(170)의 접촉방지부는 상기 고정부(160)의 제1체결홀(16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홈(174)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제2브라켓과 제3브라켓의 구성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2브라켓(180)의 고정부(183)의 체결홀은 상기 제2브라켓(180)의 몸체부(181)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체결홀(184)과, 단부에 형성되는 제2체결홀(18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83)의 관통부는 상기 제1체결홀(184)과 제2체결홀(185)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홈(186)과 제2관통홈(18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3브라켓(190)의 접촉방지부는 상기 고정부(183)의 제1체결홀(184)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접촉방지홈(194)와, 상기 고정부(183)의 제2체결홀(185)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접촉방지홈(193)을 포함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브라켓과 제3브라켓의 구성은 얼마든지 그 변형이 가능하다. 즉, 제2브라켓의 체결홀, 제2브라켓의 관통부, 제3브라켓의 체결홀 및 제3브라켓의 접촉방지부는 그 갯수와 형성되는 위치가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며, 특히 상기 관통부는 홀 또는 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접촉방지부가 홈인 것만이 개시되지만, 상기 접촉방지부는 홈 또는 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하부측 힌지 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부측 힌지 장치(200)는 상부측 힌지 장치(100)와 비교하여, 제1브라켓의 구성에서만 차이가 있다.
즉, 하부측 힌지 장치(200)의 제1브라켓(210)에는 상부측 힌지 장치(100)의 제1브라켓(110)과 비교하여, 탄성부재와 레버의 구성이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과 힌지축(21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와셔(216)가 더 포함된다는 점만이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도어(20)를 도어프레임(10)에 결합시킬 때에는 하부측 힌지축(212)을 하부측 힌지홈(124)에 삽입된 이후에 상부측 힌지축(112)을 힌지홈(124)에 삽입시키기 때문에, 하부측 힌지 장치(200)의 제1브라켓(210)에는 탄성부재와 레버의 구성이 불필요하다.
또한, 하부측 힌지 장치(200)의 제1브라켓(210)에는 힌지축(212)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와셔(216)가 구비되는데, 이는 제2브라켓(120)의 몸체부(122)가 도어프레임(10)의 하단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20) 개폐시에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와셔(216)는 소정의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시스템은 상부측 힌지 장치와 하부측 힌지 장치의 구성이 상이하게 구비될 수도 있지만,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힌지 장치가 상부와 하부측 각각에 구비될 수 있음은 설명한 바와 같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음.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힌지 장치가 고정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제2브라켓과 제3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제2브라켓과 제3브라켓이 도어에 고정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는 제2브라켓과 제3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제2브라켓과 제3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의 하부측 힌지 장치가 고정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이다.

Claims (9)

  1. 도어프레임 또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며, 힌지축이 구비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에 대응하도록 도어프레임 또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브라켓의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홈이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도어프레임 또는 도어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홀은 체결부재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브라켓이 소정길이만큼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방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의 고정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브라켓의 고정부를 압착한 상태로 도어 또는 도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구비되는 제3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의 고정부에는,
    상기 제3브라켓이 상기 제2브라켓의 고정부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3브라켓의 체결홀에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직접 도어 또는 도어프레임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제3브라켓의 체결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브라켓에는,
    상기 제3브라켓이 상기 제2브라켓의 고정부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의 체결홀에 체결된 체결부재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부의 체결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체결홀은, 상기 제2브라켓의 몸체부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제1체결홀, 단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2체결홀 및 제3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의 관통부는, 상기 제1체결홀과 상기 제2,3체결홀 사이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제1관통홈과 제2관통홈 및 상기 제2체결홀과 제3체결홀 사이에 형성되는 제3관통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브라켓의 체결홀은, 각각 상기 제1관통홈과 제2관통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체결홀과 제2체결홀 및 상기 제3관통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 성되는 제3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브라켓의 접촉방지부는 상기 고정부의 제1체결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힌지축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도어프레임 또는 도어에 구비된 소정의 홀을 통해 상기 탄성부재를 압착시키기 위한 레버; 및
    상기 제1브라켓을 도어프레임 또는 도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의 고정부는 직각으로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장치.
  9. 출입구에 장착되는 도어프레임;
    상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도어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힌지축이 구비되는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대응하도록 상기 도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브라켓의 힌지축이 삽입되는 힌지홈이 구비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장방형의 형태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이 구비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제2브라켓의 고정부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2브라켓의 고정부를 압착한 상태로 상기 도어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제3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시스템.
KR1020090034903A 2009-04-22 2009-04-22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KR101033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903A KR101033072B1 (ko) 2009-04-22 2009-04-22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903A KR101033072B1 (ko) 2009-04-22 2009-04-22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280A KR20100116280A (ko) 2010-11-01
KR101033072B1 true KR101033072B1 (ko) 2011-05-06

Family

ID=4340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903A KR101033072B1 (ko) 2009-04-22 2009-04-22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30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154B1 (ko) * 2012-01-26 2012-06-11 김지명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9812A (ko) * 1995-12-27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이조절장치
KR20000067562A (ko) * 1999-04-29 2000-11-25 정지행 도어용 피벗힌지
JP2005188261A (ja) 2003-12-26 2005-07-14 Sugatsune Ind Co Ltd ダンパー付きヒンジ
KR20070113717A (ko) * 2006-05-26 2007-11-29 백상흠 도어힌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9812A (ko) * 1995-12-27 1997-07-24 김태구 자동차의 시트벨트 높이조절장치
KR20000067562A (ko) * 1999-04-29 2000-11-25 정지행 도어용 피벗힌지
JP2005188261A (ja) 2003-12-26 2005-07-14 Sugatsune Ind Co Ltd ダンパー付きヒンジ
KR20070113717A (ko) * 2006-05-26 2007-11-29 백상흠 도어힌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5154B1 (ko) * 2012-01-26 2012-06-11 김지명 방화도어용 힌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6280A (ko) 2010-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52254C2 (ru) Шарниры и их составные элементы
KR200411555Y1 (ko) 도어용 경첩
KR102258640B1 (ko) 팬 장치
JP2008008015A (ja) 隠し蝶番
KR101033072B1 (ko)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도어 시스템
KR20160088863A (ko) 힌지
JP2010163792A (ja) ラッチ受け及び建具
KR200411519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부재 고정구조
KR100456819B1 (ko) 천정점검구
KR200441129Y1 (ko) 발로 개폐 가능한 여닫이 문
KR200405565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JP4648432B2 (ja) 開き戸用反り防止矯正器具
KR101411269B1 (ko) 슬라이딩 창호용 잠금장치
KR100972789B1 (ko) 도어고정장치가 내장된 여닫이 도어
KR20080057566A (ko) 도어용 경첩
JP5121900B2 (ja) 扉用錠前の回転伝達軸
KR100925199B1 (ko) 화장실 도어 열림 장치
KR200402711Y1 (ko) 화장실 칸막이용 힌지장치
KR200368284Y1 (ko) 문닫힘 방지용 경첩
KR101124464B1 (ko) 도어 회전 장치
EP2110628A1 (en) Home refrigerator
JP4291250B2 (ja) スライド蝶番
KR102598170B1 (ko) 여닫이문용 열림 조절 장치
JP2008303589A (ja) 蝶番
KR100647542B1 (ko) 도어클로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