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964Y1 - 절첩식 의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964Y1
KR200286964Y1 KR2020020017022U KR20020017022U KR200286964Y1 KR 200286964 Y1 KR200286964 Y1 KR 200286964Y1 KR 2020020017022 U KR2020020017022 U KR 2020020017022U KR 20020017022 U KR20020017022 U KR 20020017022U KR 200286964 Y1 KR200286964 Y1 KR 2002869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late
folding
support plates
foldab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70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희
Original Assignee
김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희 filed Critical 김윤희
Priority to KR20200200170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9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9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964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을 통하여 힌지(2)로 연결되는 좌우지지판(4)(6)의 받침부(10)(12) 상에 힌지(8)로 절첩가능케 연결된 좌판(18)을 연결구(14)(16)로 절첩가능케 연결하고, 지지판(4)(6)의 상부연결부(22)(24) 사이에는 이 역시 힌지(20)로 절첩가능케 연결되는 등판(30)을 절첩가능케 연결하여 경량화하고,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하며, 절첩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절첩식 의자{Folding type chair}
본 고안은 절첩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갖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일반교육장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등판을 갖는 "X"형 받침대로부터 좌판을 후방으로 절첩가능케 연결한 절첩식 의자가 생산되고 있었으나, 구조적으로 받침대는 견고성을 위하여 금속관체로밖에 제작할 수가 없어 무게가 무겁고,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며, 사용후 각기 독립적으로 절첩해 주어야 하므로 절첩하기가 번거롭고, 절첩시 판재와 같이 납작하게 절첩해 줄 수가 없어 보관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는 것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가볍고 외관이 미려하며 절첩이 용이하고 절첩시에는 부피를 최소화할 수가 있는 절첩식 의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힌지로 연결된 좌우지지판의 받침부 상에 중앙부가 힌지로 연결된 좌판을 연결구로 절첩가능케 연결하고, 지지판의 상부 연결부 사이에는 이역시 중앙부가 힌지로 연결된 등판을 힌지로 절첩가능케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 : 본 고안의 절첩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펼침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절첩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8)(20)(26)(28)--힌지 (4)(6)--지지판
(10)(12)--받침부 (14)(16)--연결구
(18)--좌판 (22)(24)--연결부
(30)--등판 (32)(34)(36)--축공
본 고안은 힌지(2)로 연결된 좌우지지판(4)(6)과, 중앙부가 힌지(8)로 연결구성되고 그 양측 후단부를 통하여 지지판(4)(6)의 받침부(10)(12) 상에 연결구 (14)(16)로 연결되는 좌판(18)과, 이 역시 중앙부가 힌지(20)로 연결되고 지지판 (4)(6)의 상부연결부(22)(24) 사이에 힌지(26)(28)로 연결되는 등판(30)으로 구성된다.
지지판(4)(6)은 측면"L"형상으로서, 그 전면을 힌지(2)로 연결하여 좌우로 접고 펼수 있도록 하고, 소정의 높이에는 받침부(10)(12)를 갖도록 하되받침부(10)(12)의 후방상면에는 축공(32)(34)을 수직형성하며 상부연결부(22)(24)에는 힌지(26)(28)를 형성한다.
좌판(18)은 좌우등분되게 분리구성하여 서로 마주하는 면 중 그 하부를 힌지(8)로 연결하여 절첩이 가능하면서 펼침시 마주하는 면과의 접촉으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며, 그 양측 후방에는 결합홈을 형성하여 결합홈의 내면에 축공(36)을 수평형성한다.
등판(30) 역시 좌우등분되게 분리구성하여 서로 마주하는 면 중 그 후방을 힌지(20)로 연결하여 절첩이 가능하면서 펼침시 마주하는 면과의 접촉으로 수평을 유지하도록 하고, 양단부는 지지판(4)(6)의 연결부(22)(24)와 힌지(26)(28)로 연결한다.
연결구(14)(16)는 머리부로부터 소정길이의 두개의 축봉이 직각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것으로서 축봉은 지지판(4)(6)과 하단(18)의 축공(32)(34)(36)에 삽입된다.
다만 등판(30)은 좌판(18)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여 그 사이에 좌판(18)의 절첩이 여유있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해 주어야 하며 좌판(18)과 등판(30)의 좌우폭은 지지판(4)(6)의 펼침시 같은 펼침각에서 완전히 펼쳐질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한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지지판(4)(6)과 좌판(18) 및 등판(30)은 판재로서 목재나 합성수지재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가 있으며 힌지와 연결구를 이용하여 간단히 조립할 수가 있다.
의자로서의 이용시에는 지지판(4)(6)을 잡고 힌지(2)를 축으로 평면"V"형으로 벌려주게 되면 좌우연결구(14)(16)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좌판(18)이 펼쳐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좌우지지판(4)(6)의 연결부(22)(24) 사이에 연결된 등판(30) 또한 펼쳐지게 된다.
이때 좌판(18)의 완전한 펼침시 좌우지지판(4)(6)은 더이상 벌어질 수가 없어 안정된 각도를 유지하게 되고, 또 지면과는 평면상 "V"형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그 양측 전방에는 넓은 공간이 확보되는바 의자에 앉은 사람이 양발을 자유롭게 움직일 수가 있게 되며, 그 저면이 "V"형 받침부(10)(12)상에 얹혀 지지되므로 좌판(18)에 큰 힘이 가해지더라도 안정된 지지력을 발휘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등판(30)은 완전한 펼침시 면과의 접촉으로 절첩반대방향으로 강한 지지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등판(30)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가 있게 된다.
사용후 절첩시에는 힌지를 이용하여 좌판(18)과 등판(30)을 접어주게 되면 좌우지지판(4)(6)은 자연스럽게 오무려지게 되고 완전한 절첩시에는 판재와 같이 납작한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지지판(4)(8)의 측단부에 힌지(38) (40)를 형성하여 의자끼리 힌지(38)로 연결해 주게 되면 좌우 필요한 갯수만큼 연결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경우 의자를 접고 펴는 작업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펼침시 평면"V"형을 유지하는 좌우지지판(4)(6)과 그받침부(10)(12) 상에 연결되는 좌판(18) 및 연결부(22)(24) 사이에 연결되는 등판(30)으로 구성되므로 스틸(Steel)이나 목재 및 합성수지재 판재 등으로 제작할 수가 있어 제품을 경량화할 수가 있고, 심플하고 미려한 외관을 갖게 되며, 절첩시 판재끼리의 긴밀한 밀착으로 부피를 최소할 수가 있어 운반이 용이하고 보관시 공간활용율을 높여 줄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받침부(10)(12)와 연결부(22)(24)가 형성되고 그 전면이 힌지(2)로 연결되는 좌우지지판(4)(6)과, 힌지(8)로 절첩가능케 연결구성되고 지지판(4)(6)의 받침부 (10)(12) 상에 연결구(14)(16)를 이용하여 절첩가능케 연결되는 좌판(18)과, 이 역시 힌지(20)로 절첩가능케 연결구성되고 지지판(4)(6)의 연결부(22)(24) 사이에 절첩가능케 연결되는 등판(30)으로 구성하여서 된 절첩식 의자.
KR2020020017022U 2002-06-03 2002-06-03 절첩식 의자 KR2002869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022U KR200286964Y1 (ko) 2002-06-03 2002-06-03 절첩식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7022U KR200286964Y1 (ko) 2002-06-03 2002-06-03 절첩식 의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099A Division KR100463913B1 (ko) 2002-06-03 2002-06-03 절첩식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964Y1 true KR200286964Y1 (ko) 2002-08-24

Family

ID=7312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7022U KR200286964Y1 (ko) 2002-06-03 2002-06-03 절첩식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96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0888A (en) Portable tent--cot
US4826241A (en) Folding chair
EP0790791B1 (en)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
US11717091B2 (en) Canopy assembly for a chair and a chair with a canopy assembly
US4819568A (en) Multi-way portable writing desk
US20130057030A1 (en) Collapsible Chair
US6513443B2 (en) Portable collapsible pulpit
US7089610B2 (en) Portable hammock
KR101554111B1 (ko) 접이식 가구용 골조 프레임 구조
US4025106A (en) Collapsible chair
CN113892754A (zh) 伸缩折叠桌
US4960303A (en) Folding table and seat assembly
KR101903878B1 (ko) 의자부착형 접이식 테이블
KR200286964Y1 (ko) 절첩식 의자
KR100463913B1 (ko) 절첩식 의자
US6533489B1 (en) 180-degree folding support joint
KR100267160B1 (ko) 접철식 의자
US5957061A (en) Banquet table
US4036523A (en) Child&#39;s chair
KR101696192B1 (ko) 레저용 절첩식 테이블
US20030011219A1 (en) Folding collapsible deck chair
US20190174975A1 (en) Portable toilet
KR100893387B1 (ko) 테이블을 구비한 절첩식 의자
GB2430149A (en) Folding chair
KR200455249Y1 (ko) 좌석반전이 가능한 연결식 접이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