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989A - 나리루틴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리루틴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989A
KR20180026989A KR1020160114001A KR20160114001A KR20180026989A KR 20180026989 A KR20180026989 A KR 20180026989A KR 1020160114001 A KR1020160114001 A KR 1020160114001A KR 20160114001 A KR20160114001 A KR 20160114001A KR 20180026989 A KR20180026989 A KR 20180026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glycol
oil
ether
nanoemuls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6459B1 (ko
Inventor
김태훈
최재원
Original Assignee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최재원 filed Critical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4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459B1/ko
Publication of KR20180026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리루틴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나노에멀젼은 오일과 계면활성제의 조합에 따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장기간 입자 사이즈를 유지시켜 지속적인 효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제형 상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나리루틴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nanoemulsion with enhanced stability comprising narirutin}
본 발명은 나리루틴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멀젼(emulsion)은 하나의 액상에 섞이지 않는 하나 이상의 액상이 분산되어 있는 액-액 분산계를 뜻하며, 일반적으로 0.1mm에서 수십 mm의 크기 분포를 가진다. 이와 같은 마크로에멀젼은 열역학적으로 불안정 상태이며 응집(Flocculation), 침강(Sedimentation), 크리밍(Creaming), 입자성장(Ostwald ripening) 및 유착(Coalescence) 등과 같은 다양한 경로로 종국에는 분리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때, 분산상의 에멀젼 입자의 크기가 나노크기로 작아지면 입자간의 브라운 운동에 의해 동적(Kinetic) 측면에서 에멀젼의 안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내상의 함량이 높은 저점도의 에멀젼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사용감을 가진 화장료를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자 크기가 작아 피부에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문헌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분산상의 입자의 평균 직경이 20∼500nm인 액-액 분산계를 나노에멀젼이라고 하며, 이는 보통 고압유화법 또는 전상온도 유화법(phase inversion technology)을 사용하여 제조하고 있다.
나노에멀젼(nanoemulsion)은 통상 유상을 분산상으로 이용한 수중유형(oil-in-water) 에멀젼 형태로 제조된다. 이러한 구조의 나노에멀젼은 오일 성분의 우수한 연화력 뿐만 아니라 난용성 활성 물질의 가용화가 가능하여, 일찍부터 피부침투 또는 표적침투가 필요한 의학 분야에서 응용되어 왔다. 좋은 예를 약물전달계(drug delivery system)에서 찾을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화장품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여 피부에 유효성분을 전달하기 위한 고급기술의 개발이 시급해지고 있는 가운데, 나노에멀젼 기반의 경피 흡수 기술 개발이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기능성 화장품에 필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활성 물질을 담지할 수 있는 나노에멀젼은 특유의 흡수감과 효능 발현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어, 그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또한, 식품 분야에서도 나노에멀젼의 우수한 확산력은 유효성분의 장내 흡수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기능성 식품의 기반 제형으로 활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나노에멀젼은 고함량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에멀젼법을 이용하거나 고압유화기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또한, 상전이온도를 이용한 전상온도유화법(phase inversion temperature; PIT)을 이용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기도 한다. 상기 유화법들은 생산성, 재현성, 공정효율성 등에서 단점들을 보유하고 있어, 보다 효율적이고 생산성이 높은 신규 유화법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효과적인 계면활성력을 발휘하고 실온에서 재현성이 높은 나노에멀젼 제조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2011-0106657호에는 수중유형 나노에멀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12-0042396호에는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를 단독 유화제로 사용한 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나리루틴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은 아직까지 개시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및 스쿠알란(squalane) 오일과 22종의 계면활성제를 다양한 조합으로 혼합한 후, 전상온도 유화법을 이용하여 나노에멀젼을 제조하고, 나노에멀젼의 형성 유무와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오일과 계면활성제의 조합에 따라, 나노에멀젼의 형성 여부와 나노에멀젼이 형성될 경우, 그 안정성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오일, 계면활성제 및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상성분과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상성분을 90~110℃에서 각각 가열하는 단계; 2) 상기 유상성분에 상기 수상성분을 첨가한 후 유화하여 유중수(W/O)형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유중수(W/O)형 에멀젼을 전상온도(phase inversion temperature) 유화법을 이용하여 수중유(O/W)형 나노에멀젼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나노에멀젼은 오일과 계면활성제의 조합에 따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됨에 따라 장기간 입자 사이즈를 유지시켜 지속적인 효능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제형 상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다양한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4종 오일에 대한 나리루틴의 용해도를 나타낸 것이다. A는 미네랄 오일(mineral oil)이며, B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오일이며, C는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오일이며, D는 스쿠알란(squalane) 오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전상온도 유화법을 이용한 나노에멀젼의 형성 유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진피 열수추출물 및 이로부터 획득한 용리액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알부틴(arbutin)은 양성 대조군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진피 열수추출물의 60%(v/v) 메탄올 용리액으로부터 획득한 분획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진피 열수추출물의 60%(v/v) 메탄올 용리액으로부터 분리한 나리루틴(narirutin)의 티로시나아제의 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진피 열수추출물로부터 획득한 용리액(A)과 이로부터 분리한 나리루틴(narirutin)의 멜라닌 생성의 저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진피 열수추출물로부터 획득한 용리액(A)과 이로부터 분리한 나리루틴(narirutin)의 L-도파(L-DOPA) 활성 증가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진피 열수추출물로부터 획득한 용리액(A)과 이로부터 분리한 나리루틴(narirutin)의 프로-콜라겐의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진피 열수추출물로부터 획득한 용리액(A)과 이로부터 분리한 나리루틴(narirutin)의 MMP-1(matrix metalloptroteinase-1)의 발현 저해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오일, 계면활성제 및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상성분과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상성분을 90~110℃에서 각각 가열하는 단계;
2) 상기 가열된 유상성분에 상기 가열된 수상성분을 첨가한 후 유화하여 유중수(W/O)형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유중수(W/O)형 에멀젼을 전상온도(phase inversion temperature) 유화법을 이용하여 수중유(O/W)형 나노에멀젼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1)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오일, 계면활성제 및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상성분과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상성분을 100℃에서 각각 가열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전상온도(phase inversion temperature) 유화법은 물, 오일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3성분계(ternary system)로 구성되는 조성물 중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친수기인 에틸렌옥사이드와 물의 수소결합이 감소하여 친수성 성질이 줄어들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유화법이다. 이때, 상기 3성분계로 구성되는 조성물은 어떤 온도 이하에서는 O/W형 에멀젼을, 어떤 온도 이상에서는 W/O형 에멀젼을 형성하게 된다. 이 온도를 "전상온도(PIT: phase inversion temperature)"라 부른다.
또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진피(Citrus unshiu)로부터 분리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나리루틴(narirutin)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igure pat00001
또한, 상기 나노에멀젼은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오일은 미네랄 오일이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5)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5)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6)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6)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8)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8)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20)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20) decyltetradec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25)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25) decyltetradec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8)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8) glyceryl isostearate), 폴리에틸렌 글리콜(1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10) glyceryl isostearat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10) 세틸 에테르(polyethylene glycol(10) cet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이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8)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8)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20)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20) decyltetradecyl ether)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25)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25) decyltetradec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능성 물질인 나리루틴은 상기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오일에서 침전 및 부유물이 생성되지 않아 투명성이 높아 용해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의 기능성 물질을 녹이기 위한 용매로 가장 적합하다.
또한, 상기 오일은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이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8)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8) glyceryl isostearat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1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10) glyceryl 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오일은 스쿠알란(squalane)이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6)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6)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8)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8)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8)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8) glyceryl isostearat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11) 스테아릴 에테르(polyethylene glycol(11) stear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glycerin)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의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8)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8)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20)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20) decyltetradecyl ether)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25)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25) decyltetradecyl ether)의 계면활성제 및 나리루틴을 포함하는 유상성분과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수상성분을 90~110℃에서 각각 가열하는 단계;
2) 상기 가열된 유상성분에 상기 가열된 수상성분을 첨가한 후 유화하여 유중수(W/O)형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유중수(W/O)형 에멀젼을 전상온도(phase inversion temperature) 유화법을 이용하여 수중유(O/W)형 나노에멀젼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에서, 상기 1) 단계에서 바람직하게는,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의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8)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8)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20)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20) decyltetradecyl ether)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25)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25) decyltetradecyl ether)의 계면활성제 및 나리루틴을 포함하는 유상성분과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수상성분을 100℃에서 각각 가열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시예 1. 전상온도(PIT) 유화법을 이용한 나노에멀젼의 제조
(1) 오일의 종류에 따른 나리루틴의 용해도
나리루틴의 용해도를 확인하기 위해,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및 스쿠알란(squalane)에 나리루틴을 1%(w/v)로 각각 녹이고, 용해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미네랄 오일, 헥실 라우레이트 및 스쿠알란에서는 부유물 및 침전이 생겨 용해도가 낮았으나,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에서는 투명성이 높고, 침전 및 부유물이 생성되지 않아 나리루틴을 녹이기 위한 용매로 사용하기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오일 및 계면활성제의 종류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형성 및 안정성
본 실시예 1에서는 하기 표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100℃에서 각각 가열한 후, 아지믹서(Agi-Mixer)로 혼합하여 유중수(W/O, water-in-oil)형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그런 다음, 전기 전도계를 이용하여 전상되는 시점을 확인하여 비-컨티뉴어스상(bi-continuous phase)인 투명한 액 상태를 확인하고, 냉각수를 이용하여 급냉시켜 수중유형(O/W, oil-in-water)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전상온도(PIT) 유화법을 이용한 나노에멀젼 제조시 조건
상(Phase) 구성성분 함량(%, w/w)
수상
 
증류수 10.00
글리세린 10.00
유상
 
계면활성제 10.00
오일 20.00
냉각수 증류수 50.00
100.00
오일은 미네랄 오일(mineral oil),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및 스쿠알란(squalane)을 사용하였으며,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oxyethylene decyltetradecyl ether),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glyceryl iso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polyoxyethylene cetyl ether) 및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계열의 계면활성제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으며, 각각의 계열별 PEG(polyethyleneglycol)의 몰농도를 달리하여 전상온도(PIT) 유화법을 통해 나노에멀젼을 제조한 후, 나노에멀젼의 형성 및 이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나노에멀젼의 형성은 반투명상일 경우, 나노에멀젼이 형성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유백색일 경우,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도 2). 안정성 확인은 태양광에 노출시켜 색 변화 또는 제형이 분리되는 것과 -20℃, 5℃, 25℃, 40℃ 및 50℃에서 3개월 동안 제형의 분리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2 및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계열의 경우,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및 스쿠알란(Squalane)과 같은 비극성 오일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와 같은 극성 오일에서 나노에멀젼의 형성 및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었으며, 특히 PEG(8) 올레일 에테르에서 약 50℃ 내외에서 전상온도(PIT, phase inversion temperature)가 형성되어 대량 생산에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폴리옥시에틸렌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oxyethylene decyltetradecyl ether) 계열의 경우, 하기 표 4 및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오일에서 나노에멀젼의 형성 및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었으며, 특히 PEG(20)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가 미네랄 오일(mineral oil) 및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오일에서 전상온도(PIT) 및 나노에멀젼의 안정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폴리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glyceryl isostearate) 계열의 경우, 하기 표 6 및 7에 개시한 바와 같이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오일을 제외한 모든 오일에서 나노에멀젼의 형성 및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었으나, 전상온도가 비교적 낮아 제형 형성 유지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polyoxyethylene cetyl ether) 계열의 경우, 하기 표 8 및 9에 개시한 바와 같이 미네랄 오일(mineral oil)에서 나노에멀젼의 형성 및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었으며,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오일 및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 오일에서는 나노에멀젼이 형성되었으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아 제형 형성에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계열의 경우, 하기 표 10 및 11에 개시한 바와 같이 스쿠알란(Squalan) 오일에 대한 안정성은 확보되었으나, 전반적으로 제형 형성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계열 계면활성제의 오일별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 및 전기전도도 결과
 오일  전상온도 및 전기전도도 계면활성제
PEG(5)
올레일
에테르
PEG(6) 올레일 에테르 PEG(8) 올레일 에테르 PEG(12) 올레일 에테르 PEG(15) 올레일 에테르
미네랄 오일 전상온도(℃) 4 15 43 - -
전기전도도 PIT 전 0.001 0.001 0.048 - -
PIT 후 3.220 4.160 5.590 -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전상온도(℃) - - 39 55 69
전기전도도 PIT 전 - - 0.171 2.280 0.382
PIT 후 - - 5.520 9.820 4.260
헥실 라우레이트 전상온도(℃) - - 25 47 65
전기전도도 PIT 전 - - 0.002 0.043 0.114
PIT 후 - - 5.790 9.390 4.930
스쿠알란 전상온도(℃) - 31 54 - -
전기전도도 PIT 전 - 0.093 0.404 - -
PIT 후 - 4.930 5.460 - -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 계열 계면활성제의 오일별 나노에멀젼의 형성 유무 및 안정성 결과
 계면활성제 미네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헥실
라우레이트
스쿠알란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PEG(5) 올레일 에테르 O O X X X X X X
PEG(6) 올레일 에테르 O O X X X X O O
PEG(8) 올레일 에테르 O O O O O X O O
PEG(12) 올레일 에테르 X X O X O X X X
PEG(15) 올레일 에테르 X X O X O X X X
폴리옥시에틸렌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oxyethylene decyltetradecyl ether) 계열 계면활성제의 오일별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 및 전기전도도 결과
 오일 전상온도 및 전기전도도 계면활성제
PEG(10)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PEG(15)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PEG(20)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PEG(25)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미네랄 오일 전상온도(℃) - 50 95 100
전기전도도 PIT 전 - 0.008 1.118 3.430
PIT 후 - 5.030 3.980 9.70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전상온도(℃) - 46.5 70 77
전기전도도 PIT 전 - 0.000 0.310 0.348
PIT 후 - 2.330 4.120 9.610
헥실 라우레이트 전상온도(℃) - 30 61 71
전기전도도 PIT 전 - 0.000 0.001 0.202
PIT 후 - 1.929 3.680 9.490
스쿠알란 전상온도(℃) - 56 - -
전기전도도 PIT 전 - 0.232 - -
PIT 후 - 3.960 - -
폴리옥시에틸렌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oxyethylene decyltetradecyl ether) 계열 계면활성제의 오일별 나노에멀젼의 형성 유무 및 안정성 결과
 계면활성제 미네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헥실
라우레이트
스쿠알란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PEG(10)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X X X X X X X X
PEG(15)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O X X X O X O X
PEG(20)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O O O O O X X X
PEG(25)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 O O O O O X X X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glyceryl isostearate) 계열 계면활성제의 오일별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 및 전기전도도 결과
 오일 전상온도 및 전기전도도 계면활성제
PEG(5)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PEG(6)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르 PEG(8)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PEG(1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미네랄 오일 전상온도(℃) - - 37 48
전기전도도 PIT 전 - - 0.511 1.009
PIT 후 - - 6.150 6.21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전상온도(℃) - - - -
전기전도도 PIT 전 - - - -
PIT 후 - - - -
헥실 라우레이트 전상온도(℃) - - 19 35
전기전도도 PIT 전 - - 0.005 0.402
PIT 후 - - 5.890 9.910
스쿠알란 전상온도(℃) - - 44 -
전기전도도 PIT 전 - - 1.118 -
PIT 후 - - 6.890 -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glyceryl isostearate) 계열 계면활성제의 오일별 나노에멀젼의 형성 유무 및 안정성 결과
 계면활성제 미네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헥실
라우레이트
스쿠알란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PEG(5)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X X X X X X X X
PEG(6)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X X X X X X X X
PEG(8)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 O O X X O O O O
PEG(1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르 O O X X O O X X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polyoxyethylene cetyl ether) 계열 계면활성제의 오일별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 및 전기전도도 결과
 오일 전상온도 및 전기전도도 계면활성제
PEG(10) 세틸 에테르 PEG(12) 세틸 에테르 PEG(15) 세틸 에테르 PEG(17)세틸 에테르
미네랄 오일 전상온도(℃) 64 - - -
전기전도도 PIT 전 0.448 - - -
PIT 후 4.430 - -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전상온도(℃) 50 62.5 70 80
전기전도도 PIT 전 0.920 0.346 0.356 0.451
PIT 후 2.910 4.430 7.780 7.780
헥실 라우레이트 전상온도(℃) 43 60 69 81
전기전도도 PIT 전 0.001 0.048 0.090 0.368
PIT 후 5.280 5.210 2.860 8.350
스쿠알란 전상온도(℃) - - - -
전기전도도 PIT 전 - - - -
PIT 후 - - - -
폴리옥시에틸렌 세틸 에테르(polyoxyethylene cetyl ether) 계열 계면활성제의 오일별 나노에멀젼의 형성 유무 및 안정성 결과
 계면활성제 미네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헥실
라우레이트
스쿠알란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PEG(10) 세틸 에테르 O O O X O X X X
PEG(12) 세틸 에테르 X X O X O X X X
PEG(15) 세틸 에테르 X X O X O X X X
PEG(17) 세틸 에테르 X X O X O X X X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계열 계면활성제의 오일별 PIT(phase inversion temperature) 및 전기전도도 결과
 오일 전상온도 및 전기전도도 계면활성제
PEG(5)
세틸
에테르
PEG(6)
세틸
에테르
PEG(8)
세틸
에테르
PEG(11)
세틸
에테르
PEG(15)
세틸
에테르
미네랄 오일 전상온도(℃) - - 48.5 - -
전기전도도 PIT 전 - - 0.068 - -
PIT 후 - - 0.252 -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전상온도(℃) - - - 50 70
전기전도도 PIT 전 - - - 0.297 2.840
PIT 후 - - - 0.660 4.350
헥실 라우레이트 전상온도(℃) - - - 39 61
전기전도도 PIT 전 - - - 0.000 2.240
PIT 후 - - - 0.003 4.310
스쿠알란 전상온도(℃) - - 62 80 -
전기전도도 PIT 전 - - 0.404 3.310 -
PIT 후 - - 1.147 3.670 -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릴 에테르(polyoxyethylene stearyl ether) 계열 계면활성제의 오일별 나노에멀젼의 형성 유무 및 안정성 결과
계면활성제 미네랄 오일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 헥실 라우레이트 스쿠알란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나노에멀젼 형성 유무 안정성
PEG(5) 세틸 에테르 X X X X X X X X
PEG(6) 세틸 에테르 X X X X X X X X
PEG(8) 세틸 에테르 O X X X X X O X
PEG(11) 세틸 에테르 X X O X O X O O
PEG(15) 세틸 에테르 X X O X O X X X
실시예 2. 진피로부터 나리루틴의 분리 및 정제
본 발명에 사용된 진피(Citrus unshiu)는 제주시에서 2014년 9월에 생산되어 건조된 것을 구입하였다. 건조된 100g의 진피에 100mL의 물을 첨가하여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였으며, 극성별 화합물의 분리를 위해, 다이아이온 HP-20을 이용하여 물(H2O), 20%(v/v) MeOH, 40%(v/v) MeOH, 60%(v/v) MeOH, 메탄올(MeOH) 및 70%(v/v) 아세톤(acetone) 용리액을 각각 얻었다. 이 용리액으로부터 유효성분을 분리하기 위해, 하기 표 12의 조건으로 HPLC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개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물(H2O), 20%(v/v) MeOH, 40%(v/v) MeOH, 60%(v/v) MeOH, 메탄올(MeOH) 및 70%(v/v) 아세톤(acetone) 용리액 중에 60%(v/v) MeOH 용리액이 양성 대조군인 알부틴(arbutin)보다 티로시나아제(tyrosinase) 저해활성이 우수하였으며, 상기 60%(v/v) MeOH 용리액에 대해 토요펄 HW-40(coarse garde) 및 ODS 겔을 활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을 분리하였고, 용리액으로는 H2O-MeOH 용매계를 순차적 구배 모드(step wise gradient mode)로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분획-272-283(fr. 272-283)에서 순수 물질인 CU-1을 46.9mg 분리하였으며, 분획-304-317(fr. 304-317)에서 순수 물질인 CU-2을 14.9mg을 분리하였다. 순수 분리한 화합물인 CU-1 및 CU-2에 대해 1H 및 13C NMR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을 측정하였고, 얻어진 화학이동 값을 참고문헌과 비교한 결과, CU-1은 나리루틴(narirutin)이며, CU-2는 헤스페리딘(hesperidin)으로 동정되었다.
HPLC 분석 조건
장치 Shimadzu SPD 10A
검출기 Shimadzu SPD 10A
컬럼 YMC gel ODS A302(4.6×250mm)
이동상 1% HCOOH(A)/MeCN(B)
구배 0-5min, 0%B, 5-15min, 50%B, 15-30min, 100%B
유량 1.0mL/min
실시예 3. 나리루틴의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
(1)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
상기 실시예 2에서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내는 60%(v/v) MeOH 용리액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인 나리루틴(narirutin) 및 헤스페리딘(hesperidin)과 진피 주성분인 나린긴(naringin)을 구입하여 이에 대해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인 알부틴(arbutin)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100㎍/mL의 나리루틴을 처리하였을 때, 약 45%(v/v)의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인 알부틴(arbutin)보다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이 우수하였다. 또한, 진피의 다른 성분인 헤스페리딘(hesperidin) 및 나린긴(naringin)보다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멜라닌 합성 저해활성
B16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2에서 다이아이온 HP-20을 이용하여 얻은 진피 열수추출물의 각 용리액에 대해 미백 관련 효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개시한 바와 같이 40%(v/v) 및 60%(v/v) MeOH 용리액이 양성대조군인 알부틴(arbutin)보다 멜라닌 합성 저해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60%(v/v) MeOH 용리액에서 가장 우수한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분리한 화합물 중에 나리루틴(narirutin)은 20㎍/mL에서 멜라닌 생성을 약 30% 이상 저해하였으며, 다음으로 나린긴 및 헤스페리딘 순으로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였다.
(3) 세포 내 티로시나아제 저해활성
생체에서의 멜라닌 합성과정은 티로신(tyrosine)을 기질로 하여 도파(DOPA)를 생성시키고 다시 L-도파퀴논(L-dopaquinone)으로 산화시키는 과정으로, 연속적인 효소적 산화가 진행된 후 각 생성물의 중합반응에 의해 이루어진다. 티로시나아제(tyrosinase)는 멜라닌 합성 과정에서 속도제한효소이며, 멜라닌 합성의 주요한 조절적 단계를 나타내는 효소이다. 상기 실시예 2에서 다이아이온 HP-20을 이용하여 얻은 진피 열수추출물의 각 용리액에 대해 세포 내의 티로시나아제 활성과 관련된 도파(DOPA)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개시한 바와 같이 40%(v/v) 및 60%(v/v) MeOH 용리액이 양성대조군인 알부틴(arbutin)보다 도파(DOPA) 활성이 우수하였으며, 분리한 화합물 중에 20㎍/mL에서 나리루틴(narirutin), 나린긴 및 헤스페리딘 순으로 도파 활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프로콜라겐 타입-Ⅰ의 발현 증가 효과
상기 실시예 2에서 다이아이온 HP-20을 이용하여 얻은 진피 열수추출물의 각 용리액이 주름개선과 관련된 프로콜라겐 타입-I(procollagen type-I)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진피 열수추출물 및 이의 용리액을 5, 10 및 20㎍/mL으로 세포에 처리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발현 양상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8에 개시한 바와 같이 진피 추출물 및 용리액의 경우, 모든 농도(5, 10 및 20㎍/mL)에서 프로콜라겐의 발현량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40%(v/v) 및 60%(v/v) MeOH 용리액의 20㎍/mL에서 프로콜라겐의 발현 증가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양성대조군인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보다 우수한 프로콜라겐의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리한 화합물 중에 나리루틴을 20㎍/mL으로 처리하였을 때, (-)-EGCG보다 우수한 프로콜라겐의 발현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나린긴 및 헤스페리딘 순으로 프로콜라겐 타입-I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MMP -1의 발현 저해 효과
MMP-1(matrix metalloptroteinase-1)은 주름개선과 관련된 인간의 정상섬유사세포(human dermal fibroblast)에 존재하는 효소로서, 상기 실시예 2에서 다이아이온 HP-20을 이용하여 얻은 진피 열수추출물 및 이로부터 얻은 용리액의 MMP-1에 대한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9에 개시한 바와 같이 40%(v/v) 및 60%(v/v) MeOH 용리액의 20㎍/mL 처리시 대조군(control)에 비해 MMP-1의 발현을 약 70% 저해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60%(v/v) MeOH 용리액에서 MMP-1의 발현 저해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양성대조군인 (-)-EGCG(epigallocatechin gallate)보다 MMP-1의 발현 저해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분리한 화합물 중에 나리루틴을 20㎍/mL으로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control)에 비해 MMP-1 발현을 약 80% 저해하는 효과를 나타내어 나린긴 및 헤스페리딘보다 우수하였으며, 양성대조군인 (-)-EGCG보다 MMP-1 발현 저해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10)

1) 오일, 계면활성제 및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유상성분과 폴리올을 포함하는 수상성분을 90~110℃에서 각각 가열하는 단계;
2) 상기 가열된 유상성분에 상기 가열된 수상성분을 첨가한 후 유화하여 유중수(W/O)형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유중수(W/O)형 에멀젼을 전상온도(phase inversion temperature) 유화법을 이용하여 수중유(O/W)형 나노에멀젼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물질은 진피(Citrus unshiu)로부터 분리한 나리루틴(narirut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에멀젼은 피부 미백 또는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미네랄 오일(mineral oil)이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5)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5)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6)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6)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8)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8)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20)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20) decyltetradec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25)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25) decyltetradec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8)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8) glyceryl isostearate), 폴리에틸렌 글리콜(1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10) glyceryl isostearat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10) 세틸 에테르(polyethylene glycol(10) cet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이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8)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8)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20)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20) decyltetradecyl ether)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25)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25) decyltetradec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헥실 라우레이트(hexyl laurate)이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8)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8) glyceryl isostearat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10)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10) glyceryl isostear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스쿠알란(squalane)이며, 상기 계면활성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6)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6)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8)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8)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8) 글리세릴 이소스테아레이트(polyethylene glycol(8) glyceryl isostearate)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11) 스테아릴 에테르(polyethylene glycol(11) stearyl eth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glycer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
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리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의 오일, 폴리에틸렌 글리콜(8) 올레일 에테르(polyethylene glycol(8) oleyl ether), 폴리에틸렌 글리콜(20)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20) decyltetradecyl ether)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25) 데실테트라데실 에테르(polyethylene glycol(25) decyltetradecyl ether)의 계면활성제 및 나리루틴을 포함하는 유상성분과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수상성분을 90~110℃에서 각각 가열하는 단계;
2) 상기 가열된 유상성분에 상기 가열된 수상성분을 첨가한 후 유화하여 유중수(W/O)형 에멀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유중수(W/O)형 에멀젼을 전상온도(phase inversion temperature) 유화법을 이용하여 수중유(O/W)형 나노에멀젼으로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20160114001A 2016-09-05 2016-09-05 나리루틴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KR101866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001A KR101866459B1 (ko) 2016-09-05 2016-09-05 나리루틴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001A KR101866459B1 (ko) 2016-09-05 2016-09-05 나리루틴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989A true KR20180026989A (ko) 2018-03-14
KR101866459B1 KR101866459B1 (ko) 2018-06-12

Family

ID=61660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001A KR101866459B1 (ko) 2016-09-05 2016-09-05 나리루틴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4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6916A1 (ja) * 2020-02-17 2021-08-26 株式会社林原 乳化組成物の安定化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5087A (ko) * 2008-11-17 2010-05-26 (주)아모레퍼시픽 전상온도유화법을 이용하여 수중유형 에멀젼 제조 시 전상온도의 조절방법, 이를 통하여 제조한 o/w형 나노에멀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3894A (ko) * 2009-12-07 2011-06-15 (주)아모레퍼시픽 나리루틴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5087A (ko) * 2008-11-17 2010-05-26 (주)아모레퍼시픽 전상온도유화법을 이용하여 수중유형 에멀젼 제조 시 전상온도의 조절방법, 이를 통하여 제조한 o/w형 나노에멀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3894A (ko) * 2009-12-07 2011-06-15 (주)아모레퍼시픽 나리루틴을 포함하는 화장료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6916A1 (ja) * 2020-02-17 2021-08-26 株式会社林原 乳化組成物の安定化剤
CN115135299A (zh) * 2020-02-17 2022-09-30 株式会社林原 乳化组合物的稳定剂
EP4108323A4 (en) * 2020-02-17 2024-03-13 Hayashibara Co STABILIZER FOR EMULSIO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6459B1 (ko) 201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8901B1 (ko) 반투명 화장료
KR101868726B1 (ko) 세라마이드 분산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934788B1 (ko) 미생물 유래 당지질계 유화제를 이용한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35298B1 (ko)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조성물
KR101821207B1 (ko) 올레아놀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1839644B1 (en) Nanoemulsion,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cosmetic and dermatological composition containing it
KR102511033B1 (ko) O/w 에멀젼
WO2013141263A1 (ja) 透明性の高い乳化組成物及び透明性の高い化粧料
JP5177338B2 (ja) L−アスコルビン酸グルコシド含有リポソーム液
KR101622024B1 (ko) 다당체를 포함하는 유화제,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156456A (ja) 皮膚外用剤
KR101866459B1 (ko) 나리루틴을 함유하는 안정성이 증진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
JP6067036B2 (ja) 乳化組成物
JP2007238488A (ja) 乳化型皮膚外用剤
JP6622015B2 (ja) 皮膚外用剤又は化粧料
KR101910962B1 (ko) 세라마이드 액정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101770440B1 (ko) 화장료
JP2011001289A (ja) 乳化液の製造方法及び化粧料の製造方法
KR102473874B1 (ko) 비타민 c 안정화를 위한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21409A (ko) 아스코빅애씨드 2-글루코사이드를 안정화시키는 방법 및 안정화된 아스코빅애씨드 2-글루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9234972A (ja) 乳化化粧料
KR20130116181A (ko) 나노에멀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028262A (zh) 一种壬二酸类离子盐/共晶环糊精包合物脂质体的制备方法与应用
KR102160629B1 (ko) 천연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된 탄성 리포좀 및 그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