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518A - 치과용 마우스피스 - Google Patents

치과용 마우스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518A
KR20180025518A KR1020160112144A KR20160112144A KR20180025518A KR 20180025518 A KR20180025518 A KR 20180025518A KR 1020160112144 A KR1020160112144 A KR 1020160112144A KR 20160112144 A KR20160112144 A KR 20160112144A KR 20180025518 A KR20180025518 A KR 20180025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ntal
patient
sensor
dentition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4262B1 (ko
Inventor
조병훈
임재관
김준민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치과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치과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치과병원
Priority to KR102016011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262B1/ko
Publication of KR20180025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A61B6/14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체, 몸체 가장자리에 환자의 치열을 본떠 이루어진 치열이 형성되고, 구개 또는 혀 밑바닥에 접한 몸체부분에 구강센서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치열을 본떠 만들어 착용시 환자의 치열과 정확하게 일치되고, 또한 구개 또는 혀 밑바닥부분에 놓인 몸체부분에 구강센서가 삽입,고정되어 있어 딱딱한 구강센서와 직접 접촉하지 않음으로 환자는 이물감을 전혀 느낄 수 없으며, 환자가 첫 엑스레이 촬영시 사용한 치과용 마우스피스를 매 검사시마다 사용함으로써 구강센서가 검사때마다 동일한 위치에 놓이므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치과용 마우스피스{MOUTHPIECE FOR THE DENTIST}
본 발명은 치과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과에서 환자의 이빨상태에 대한 엑스레이 촬영시 구강내에 삽입할 수 있는 치과용 마우스피스에 관한 것이다.
치과에서 엑스레이를 이용한 진단은 현재 필수적인 진단방법이며, 진단방법 중 하나인 인트라 오럴방식은 구강내 부분적인 치아의 상태를 검사하기 위하여 치과용 구강센서를 입속에 넣고 외부에서 엑스레이를 방사하여 치아의 영상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인트라 오럴방식에 사용되는 치과용 디지털엑스레이촬영장치는 입속에 삽입된 치과용 구강센서로부터 영상정보를 입력받아 실시간으로 모니터에 출력함으로써 환자의 치아 상태를 즉시 판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트라 오럴방식은 환자가 딱딱한 사각형 형상의 구강센서(3*4 크기)를 입안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검사시간동안 물고 있어야 하므로 이물감을 느끼며, 침이 입안에 고이거나, 엑스레이 조사각도에 따라 입속에 있는 구강센서의 위치를 환자가 변경함에 따라 큰 고통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입속에 삽입되어 있는 구강센서의 위치는 환자가 임의적으로 구강센서를 물고 있어야 하므로 엑스레이 촬영시 매번 그 위치가 상이함에 따라 이전 촬영된 영상과 현재 촬영된 영상과의 비교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환자가 구강센서를 입안에 삽입함에 따른 이물감 등을 경감하는 것과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18139호의 '인트라오랄 센서'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은 구강센서가 딱딱하므로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 및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위치관계에 따라 휘어짐 정도를 가변할 수 있는 인트라오랄 센서(구강센서)를 제공하고 있으나, 환자는 여전히 구강센서 자체를 입으로 물고 있어야 하므로 불편하며, 여전히 이전 진단과 동일한 위치에 구강센서가 위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인트라 오럴방식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치아 영상정보를 정확히 얻기 위해서는 환자에게 이물감 등의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매번 엑스레이 촬영시에도 동일한 위치에 구강센서가 위치하도록 하는 새로운 치과용 마우스피스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6-001813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에게 이물감 등의 불편함을 주지 않으며, 매번 엑스레이 촬영시에도 동일한 위치에 구강센서가 위치함으로써 정확한 진단이 가능한 치과용 마우스피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치과용 마우스피스는 몸체, 몸체 가장자리에 환자의 치열을 본떠 이루어진 치열이 형성되고, 구개 또는 혀 밑바닥에 접한 몸체부분에 구강센서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일태양에 의하면, 상기 몸체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강센서 삽입홈은 진단하고자 하는 치아의 위치에 따라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치과용 마우스피스는 환자의 치열 형상에 관계없이 상부 치열 또는 하부 치열이 삽입되는 치열 삽입부 및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치열 삽입부와 상기 몸체는 연결 돌기를 통한 끼움 또는 접착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치과용 마우스피스는 환자의 치열 형상에 관계없이 상부 치열 또는 하부 치열이 삽입되는 치열 삽입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구강센서를 부착할 수 있는 구강센서 부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치열을 본떠 만들어 착용시 환자의 치열과 정확하게 일치되고, 또한 구개 또는 혀 밑바닥에 접한 몸체부분에 형성된 삽입홈에 구강센서가 삽입,고정되어 있어 딱딱한 구강센서와 직접 접촉하지 않음으로 환자는 이물감을 전혀 느낄 수 없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환자가 첫 엑스레이 촬영시 사용한 치과용 마우스피스를 매 검사시마다 사용함으로써 구강센서가 검사때마다 동일한 위치에 놓임에 따른 진단 영상의 동일성을 확보할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마우스피스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마우스피스의 배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마우스피스가 환자의 구강내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형상에 상관없이 구강내에 삽입할 수 있는 치과용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삽입부와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은 가장 유용하고, 쉽게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이해를 위한 필요 이상의 자세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지 않았음은 물론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체에서 실시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형태들을 도면을 통해 예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마우스피스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마우스피스의 배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환자 상부 치열의 전부를 본뜨기(impression)하여 해당 환자의 상부 치열에 정확히 매칭되는 치열 삽입부(300)를 몸체(100) 가장자리에 형성하고(도 2 참조), 경구 또는 혀 밑바닥과 접촉하는 몸체부분에 구강센서(미도시)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구강센서 삽입홈(200)이 형성될 수 있다(도 1참조).
상기 몸체(100)는 플렉서블한 재질인 알지네이트, 실리콘러버, 폴리설파이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환자의 상부 치열 및 구개 또는 하부 치열 및 혀 밑바닥부분에 플렉서블한 재질을 소정의 시간동안 물고 있음으로써 치열 및 입속 형상에 대하여 본뜨기를 통하여 환자의 치열 및 구개, 혀 밑바닥과 동일한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먼저 환자의 상부 치열 또는 하부 치열에 대하여 본뜨기를 진행하고, 환자의 구개 또는 혀 밑바닥 형상에 대하여 본뜨기를 진행한 후 각각의 본뜨기를 상호 접착하거나 끼움 구조를 통하여 서로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진단하고자 하는 치아의 위치에 따라 구강센서의 위치가 변경되므로 해당 치아의 검사에 따라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되는 영역은 변경될 수 있다. 즉 진단하고자 하는 치아 위치에 따라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된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를 다수개가 제작되고, 해당 환자의 진단 치아 위치에 맞는 구강센서를 삽입할 수 있는 치과용 마우스피스를 선택하여 진단영상을 간편하게 획득할 수 있다.
구강센서가 삽입되는 몸체부분은 엑스레이 진단을 하고자 하는 대상 치아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구강센서 삽입홈(20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강센서 삽입홈(200)은 구개 또는 혀 밑바닥 형상에 대한 본뜨기 중 플렉서블한 재질이 완전히 굳기 전에 구강센서를 몸체(100)에 힘을 가하여 밀착하고 굳은 후 구강센서를 몸체(100)에서 이탈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상센서 삽입홈(200)은 환자의 진단 대상 치아에 따라 몸체부분의 적절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마우스피스가 환자의 구강내에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구강센서 삽입홈(200)이 보이도록 상부 치열(10)이 지면이 놓이도록 도시한 것으로 도 3을 참고하면,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상부 치열(10)전부에 대하여 본뜨기가 이루어져 몸체(100) 가장자리에 환자의 상부 치열(10)이 정확하게 치열 삽입부(300)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부 치열 중 진단하고자 하는 진단 치아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구강센서(미도시)는 해당 상부 치열의 내측에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된 구강센서 삽입홈(20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하부 치열(20)일부에 대하여만 본뜨기를 진행하여 형성된 치열 삽입부에 하부 치열(20)일부만이 삽입되고, 해당 진단 치아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구강센서는 해당 하부 치열의 내측에 밀착되는 위치에 형성된 구강센서 삽입홈(20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환자의 치열 및 구강내부 형상을 본떠 만들어진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진단 대상 치아에 대한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구강센서(미도시)를 구강센서 삽입홈(200)에 삽입한 후 환자의 구강내로 끼워질 수 있다.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환자의 치열 및 구강내부 형상을 본떠 만들었으므로 환자는 자신의 치열과 정확히 일치되는 치열 삽입부(300)와 밀착되고, 구강센서도 구강센서 삽입홈(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진단 대상 치아에 대한 엑스레이 검사시 이물감 또는 침이 고이는 등의 불편함이 없이 진단 대상 치아에 대한 정확한 치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즉 환자는 구강센서와 직접 접촉하지 않음으로 딱딱한 구강센서에 대한 이물감을 전혀 느낄 수 없다.
한편 치료를 받고 있는 진단 치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기 위해서는 진단 치아에 대한 여러 차례의 엑스레이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는 환자의 구강 형상에 정확히 매칭됨과 동시에 구강센서의 위치도 구강센서 삽입홈에 의하여 항상 같은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진단 치아의 치료과정을 판단하기 위하여 현재 획득한 진단 영상과 이전 진단 영상에서 진단 치아의 위치가 동일하므로 의사는 획득한 진단 영상들을 비교하여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형상에 상관없이 구강내에 삽입할 수 있는 치과용 마우스피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의 치열 삽입부(500)는 치열이 환자들의 치열 형상에 관계없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치열 삽입부(500)는 상부 치열 또는 하부 치열의 일반적인 'U'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치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치열 삽입부(500)과 몸체(100)가 연결되고 몸체에는 구강센서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a)참조). 또는 치열 삽입부(500a) 치아 형상 없이 'U'자형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장되는 몸체(미도시)에 구강센서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도 5의 (b)참조). 치열 삽입부(500)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플라스틱이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람의 치열은 일반적인 'U'자형이므로, 'U'자형상의 치열 삽입부(500)는 환자들의 치열 형상과 관계없이 치열에 삽입되며, 구강센서 삽입홈과 연결되어 구강센서가 매 검사시 동일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열 삽입부와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열 삽입부(500)는 몸체(10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 돌기(110)가 형성될 수 있다. 치열 삽입부(500)는 환자의 치열에 본뜨기에 의하지 않고 일반적인 'U'자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 돌기(110)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돌기(110)는 구강센서 삽입홈이 있는 몸체(100)에 형성된 연결홈(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치열 삽입부(500)와 몸체(100)는 연결 돌기에 따른 연결만이 아닌 접착 등 플렉서블한 두 재질을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연결구조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치열 삽입부(500)는 치열 삽입부(500)의 일측에 구강센서를 부착할 수 있는 구강센서 부착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구강센서는 상기 구상센서 부착부(520)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거나 또는 표면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강센서 부착부(520)는 진단 대상의 치아 위치에 따라 치열 삽입부(50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따라 검사자는 환자의 치열 및 구강 형상을 본뜰 필요가 없이, 진단 치아의 위치에 대응하는 구강센서 부착부(520)를 갖는 치과용 마우스피스(1000)를 선택하고 이를 환자의 구강에 삽입함으로써 매번 정확한 위치에 구강센서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대표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상부치열 20:하부치열
100:몸체 110:연결 돌기
200:구강센서 삽입홈 300,500:치열 삽입부
520:구강센서 부착부 1000:치과용 마우스피스

Claims (4)

  1. 몸체,
    몸체 가장자리에 환자의 치열을 본떠 이루어진 치열이 형성되고,
    구개 또는 혀 밑바닥에 접한 몸체부분에 구강센서가 삽입고정될 수 있는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마우스피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강센서 삽입홈은 진단하고자 하는 치아의 위치에 따라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마우스피스.
  3. 환자의 치열 형상에 관계없이 상부 치열 또는 하부 치열이 삽입되는 치열 삽입부 및
    구강센서 삽입홈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치열 삽입부와 상기 몸체는 연결 돌기를 통한 끼움 또는 접착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마우스피스.
  4. 환자의 치열 형상에 관계없이 상부 치열 또는 하부 치열이 삽입되는 치열 삽입부의 일측에 연장되어 구강센서를 부착할 수 있는 구강센서 부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마우스피스.
KR1020160112144A 2016-08-31 2016-08-31 치과용 마우스피스 KR101954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144A KR101954262B1 (ko) 2016-08-31 2016-08-31 치과용 마우스피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144A KR101954262B1 (ko) 2016-08-31 2016-08-31 치과용 마우스피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518A true KR20180025518A (ko) 2018-03-09
KR101954262B1 KR101954262B1 (ko) 2019-03-06

Family

ID=6172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144A KR101954262B1 (ko) 2016-08-31 2016-08-31 치과용 마우스피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2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910B1 (ko) 2020-07-08 2021-06-09 류성훈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 마우스피스
KR102267169B1 (ko) 2020-11-27 2021-06-18 류성훈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950B1 (ko) 2020-09-22 2022-08-16 송영국 치과용 치간공극 유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465A (ja) * 2004-08-06 2006-02-16 Gendex Corp 歯科用口内x線撮影用画像センサ
KR20100057323A (ko) * 2008-11-21 2010-05-31 주식회사바텍 치아 형태 촬영 방법
JP2012125455A (ja) * 2010-12-16 2012-07-05 Rohm Co Ltd 口腔内撮像装置
KR20150130796A (ko) * 2014-05-14 2015-11-24 주식회사바텍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
KR20160018139A (ko)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레이언스 인트라오랄 센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465A (ja) * 2004-08-06 2006-02-16 Gendex Corp 歯科用口内x線撮影用画像センサ
KR20100057323A (ko) * 2008-11-21 2010-05-31 주식회사바텍 치아 형태 촬영 방법
JP2012125455A (ja) * 2010-12-16 2012-07-05 Rohm Co Ltd 口腔内撮像装置
KR20150130796A (ko) * 2014-05-14 2015-11-24 주식회사바텍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
KR20160018139A (ko) 2014-08-08 2016-02-17 주식회사 레이언스 인트라오랄 센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910B1 (ko) 2020-07-08 2021-06-09 류성훈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 마우스피스
KR102363254B1 (ko) 2020-07-08 2022-02-14 류성훈 바나나 형상의 구강보호 마우스피스
KR102267169B1 (ko) 2020-11-27 2021-06-18 류성훈 치과용 마취환자의 구강보호를 위한 센터형 마우스피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262B1 (ko)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2547B (zh) 在口腔中製造用於植牙的手術引導件的方法
KR101862815B1 (ko) 치아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631256B1 (ko) 트레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제조방법
JP6546395B2 (ja) 3dモデルを作成するためのデータを人から取得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201201151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manufacturing of dental orthotics
WO2007063980A1 (ja) 口腔内パノラマ画像撮像装置、口腔内パノラマ画像撮像システム
US9763757B2 (en) Method for creating a virtual oral-maxillofacial anatomical representation
US20160008107A1 (en) Bite fork with recesses
JP2011177451A (ja) 歯科診断システム及び歯科治療システム
KR101550369B1 (ko)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크라운, 어버트먼트 제조방법
D'Arienzo et al. Comparison of the suitability of intra-oral scanning with conventional impression of edentulous maxilla in vivo. A preliminary study
KR101954262B1 (ko) 치과용 마우스피스
KR20200030745A (ko) 인상 트레이 및 상기 인상 트레이와 ct 영상 촬영 장치를 이용한 틀니 제조 방법
KR102226949B1 (ko) 인상용 트레이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의치 제작 방법
RU265913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ценки внутрикостного кровотока в тканях пародонта
KR20110125781A (ko) 3차원 영상획득장치의 보조 장치물 및 악안면두경부가 포함된 3차원 영상획득방법
KR101675503B1 (ko) 구강 내부 부착용 레퍼런스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임플란트 시술을 위한 서지컬 가이드 및 식립물 제조방법
KR101862820B1 (ko) 틀니 제조방법
KR101883942B1 (ko) 치과용 견인장치
KR102221475B1 (ko) 실물교합기용 스캔마커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KR102239741B1 (ko) 페이스보우용 스캔마커 및 이를 이용한 가상교합기로의 페이스보우 트랜스퍼 방법
US20220338726A1 (en) Lip and cheek retractor,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an image of a dental arch
KR200303670Y1 (ko) 실리콘 커버를 이용한 구강내 엑스선 센서
Rijal et al. A novel shape representation of the dental arch and its applications in some dentistry problems
WO2012112069A1 (ru) Способ нахождения оси головки нижней челюсти пациент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