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0796A -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 - Google Patents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0796A
KR20150130796A KR1020140057848A KR20140057848A KR20150130796A KR 20150130796 A KR20150130796 A KR 20150130796A KR 1020140057848 A KR1020140057848 A KR 1020140057848A KR 20140057848 A KR20140057848 A KR 20140057848A KR 20150130796 A KR20150130796 A KR 20150130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intraloral
sensor mounting
imaged
b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표
임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바텍, (주)바텍이우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바텍
Priority to KR1020140057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0796A/ko
Publication of KR20150130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 A61B6/51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ody par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clinical applications for dentistry
    • A61B6/512Intraor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촬영대상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촬영대상의 치아에 인트라오럴 센서를 밀착시켜 촬영대상이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Bite for photographing X-ray image of insidemouth and indic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촬영대상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었을 때 촬영대상의 치아에 인트라오럴 센서를 밀착시켜 촬영대상이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하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등에서 환자의 구강촬영은 센서 인디케이터에 인트라오럴 센서를 고정하여 환자의 구강 내측에 삽입한 후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를 이용하여 엑스선을 조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인트라오럴 센서는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에서 조사되어 촬영대상을 투과한 엑스선을 감지하여 촬영대상의 투영 데이터가 포함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이며, 센서 인디케이터는 인트라오럴 센서를 촬영대상의 구강 내 목적된 부위로 위치시키고, 또한, 인트라오럴 센서와 엑스레이 조사장치가 일직선상에서 마주보도록 정렬하는 보조 기구이다.
한편, 종래의 인트라오럴 센서 및 센서 인디케이터는 단단한 경질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어 환자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었을 시 촬영대상의 구강 내 이물감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센서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구강촬영을 진행할 시 인트라오럴 센서를 환자의 치아에 밀착시키기 위해 촬영 진행자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힘을 가해줘야 하므로, 환자가 느끼는 이물감이 더 크게 증대되고 환자가 구강촬영을 기피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촬영대상의 구강 내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인트라오럴 센서의 고정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의 기술적 구성을 개발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강촬영 시 인트라오럴 센서를 촬영대상의 치아 내측에 밀착시키며, 촬영대상이 느끼게 되는 이물감은 최소화할 수 있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트라오럴 센서가 장착되고, 촬영대상의 치열궁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촬영대상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밀착시키는 센서 장착부;를 포함하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착부 및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에 의해 휘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착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착홈은 상기 센서 장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착부의 일부분에서 연장되고, 촬영대상자가 치아로 물어 고정하는 바이트 블럭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강 내에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에 고정되는 센서 고정부; 상기 센서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강 외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구강 외에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 고정부와 일직선 상에서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부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에 의해 휘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에 내장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에 의하면, 인트라오럴 센서가 바이트에 장착되어 촬영대상의 치열궁을 따라 유연하게 휘어지며 밀착되므로, 촬영대상이 느끼는 이물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인트라오럴 센서는 촬영대상의 치아와 더 밀착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는 구강 내 인트라오럴 센서의 위치를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 엑스레이 촬영에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촬영대상의 이물감을 최소화함에 따라, 촬영대상인 환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촬영 환경은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장착부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트(100)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 시 촬영대상의 구강에 삽입되는 것으로,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장착될 수 있게 구비되며, 센서 장착부(110) 및 바이트 블럭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는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에서 조사되어 촬영대상을 투과한 엑스선을 감지하여 촬영대상의 투영 데이터가 포함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이며, 바람직하게는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 장착부(11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촬영대상의 치아 내측에 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장착할 수 있게 구비되며 상기 장착된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촬영대상의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밀착시킨다.
또한, 상기 센서 장착부(110)는 소정 길이의 다면체로서 직선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 호 형상의 곡면을 형성하는 치열궁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센서 장착부(11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처럼 플렉시블한 소재로 구비되어 있어, 촬영대상의 구강에 삽입되었을 때 유연하게 휘어지면서 상기 촬영대상의 치열궁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게 구비된다. 이때, 센서 장착부(110)의 크기 또는 호(arc)를 일반적인 촬영대상의 치열궁 보다 크게 형성하여, 촬영대상의 구강에 삽입될 시 탄성에 의해 구강 내 치아에 밀착될 수 있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 장착부(110)는 적어도 촬영대상의 치열궁 일부에 대응하는 길이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촬영대상의 치열궁 전체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비하였다. 여기서, 상기 센서 장착부(110)의 양 단부가 촬영대상의 어금니에 위치하는 정도의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장착부(110)는 탄성에 의해 휘거나 펴질 수 있어서, 치아 구조가 상이한 복수 대상의 구강에 삽입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치열궁에 대응하여 치아에 밀착될 수 있으므로 구강 내 이물감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센서 장착부(110)에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장착할 수 있도록 센서 장착홈(111)이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 장착홈(111)은 소정 깊이를 갖는 홈으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상부 또는 하부를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 장착부(1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 장착홈(111)의 내측과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의 적어도 일 가장자리에는 서로 대응되는 돌기와 홈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쉽게 이탈되지 않게 하였다.
또한, 상기 센서 장착홈(111)은 복수 개로 구비할 수도 있으나 상기 센서 장착부(11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홈으로서 슬롯 형태로 구비하여, 상기 인트러오럴 센서의 장착 위치에 제한이 없도록 구비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센서 장착홈(111)을 상기 센서 장착부(110)의 상면 및 하면에 모두 구비하여, 촬영대상의 상악 및 하악에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를 쉽고 편리하게 위치시킬 수 있게 하였다.
다만, 상기 센서 장착홈(111)을 상기 센서 장착부(110)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면에만 구성하고, 상기 센서 장착부(110)를 180°의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바이트 블럭부(120)는 상기 센서 장착부(110)를 촬영대상의 구강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갖도록 구비되며 촬영대상이 치아를 이용해서 물도록 하여 상기 센서 장착부(110)가 고정되게 한다.
또한, 상기 바이트 블럭부(120)는 상기 센서 장착부(110)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센서 장착부(110)와 교차하는 형태로 연장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센서 장착부(110)의 중앙 부분에 형성되어 촬영대상자가 앞니를 이용하여 물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촬영진행자가 상기 바이트 블럭부(120)에 힘을 가해 좌,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센서 장착부(110) 및 상기 센서 장착부(110)에 장착된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위치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촬영대상의 구강 내측에 촬영진행자의 손가락 등을 삽입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위치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는, 촬영대상의 구강촬영 시 촬영 환경을 개선하여 촬영대상의 불편을 최소화하며, 바이트(100), 센서 고정부(210), 연결부(220) 및 정렬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바이트(100)는 촬영대상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는 것으로,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홈(111)을 갖는 센서 장착부(110) 및 상기 센서 장착부(110)가 좌,우로 이동하지 않도록 촬영대상자가 이로 물어 고정시키는 바이트 블럭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이트(100)는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트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는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에서 조사되어 촬영대상을 투과한 엑스선을 감지하여 촬영대상의 투영 데이터가 포함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로서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센서이다.
상기 센서 고정부(210)는 상기 바이트(100)에 장착된 인트라오럴 센서(10)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끼워져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 폭의 공간이 구비되며, 삽입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외곽면을 밀착 또는 가압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센서 고정부(210)는 상기 바이트(100)에 장착된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연결되어 후술할 연결부(220) 및 정렬부(230)가 이탈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센서 고정부(21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처럼 플렉시블하게 구비되어 있어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 또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장착된 상기 바이트(100)의 휘어짐에 연동하여 동일하게 휘어지게 된다.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센서 고정부(210)와 연결되는 것으로, 일 단부가 상기 센서 고정부(210)에 수직하게 연결되거나 상기 센서 고정부(210)와 일체로 구비되면서 수직하게 꺽인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20)는 소정 길이를 갖는 스틱, 다면체 또는 봉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220)의 타 단부에는 후술할 정렬부(230)가 연결된다.
상기 정렬부(230)는 촬영대상의 구강 내 삽입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가 일직선상에 마주보도록 정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220)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센서 고정부(210) 또는 상기 센서 고정부(210)에 고정된 인트라오럴 센서(10)와 평행하게 대면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정렬부(230)에는 소정 넓이의 통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촬영진행자가 상기 정렬부(230)의 통공을 통해서 촬영대상의 구강 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정렬부(230)에는 상기 연결부(220)의 단부가 끼워지거나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220)가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면 상기 정렬부(230)와 상기 센서 고정부(210)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도 5와 같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상기 센서 고정부(21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바이트(100)의 센서 장착부(110)에 장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 고정부(210)와 상기 정렬부(230)가 상기 연결부(220)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평행하게 대면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다음, 도 6과 같이 촬영대상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바이트(100)의 센서 장착부(110)가 휘어지면서 촬영대상의 치열궁에 대응하는 형태로 변형되게 되고, 상기 바이트(100) 뿐만 아니라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 및 상기 센서 고정부(210)도 연동하여 동일하게 휘어지면서 촬영대상의 치아 내측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센서 고정부(210) 및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촬영대상의 구강 외측에 위치한 정렬부(230)와 평행하게 대면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다음, 촬영대상의 구강 내측에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포지셔닝이 완료되면, 촬영대상이 상기 바이트 블럭부(120)를 물게 하여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정렬부(230)를 통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위치를 가늠하여 구강촬영을 진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는 바이트(100), 센서 고정부(210), 연결부(220), 정렬부(230) 및 무선통신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에는,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에서 조사되어 촬영대상을 투과한 엑스선을 감지하여 촬영대상의 투영 데이터가 포함된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지며,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센서인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바이트(100)는 촬영대상의 구상 내 삽입되는 것으로, 센서 장착부(110) 및 바이트 블럭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센서 장착부(110)는 플렉시블하게 형성되어 있어 촬영대상의 구강 내 치아에 밀착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센서 장착부(110)에는 인트라오럴 센서(10)의 장착을 위한 센서 장착홈(111)이 구비되며, 상기 바이트 블럭부(120)는 촬영대상이 치아를 이용하여 물 수 있게 구비되어 상기 센서 장착부(110) 및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가 좌,우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센서 고정부(210)는 상기 센서 장착부(110)의 센서 장착홈(111)에 장착된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연결되는 것으로, 후술할 연결부(220) 및 정렬부(23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가지며,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처럼 플렉시블하게 구비되어 유연하게 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220)는 상기 센서 고정부(210)와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센서 고정부(210)에 수직하게 연결되고 후술할 정렬부(230)로 끼워지거나 장착되도록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바이트(100), 상기 센서 고정부(210) 및 상기 연결부(22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트, 센서 고정부 및 연결부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정렬부(230)는 외부의 엑스레이 조사장치가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수직하게 정렬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부(220)와 수직하게 연결되므로 상기 센서 고정부(210) 또는 상기 센서 고정부(210)에 고정된 인트라오럴 센서(10)와 평행하게 대면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무선통신부(240)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의 투영 데이터를 외부의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에서 투영데이터를 전송받은 후 상기 투영 데이터를 무선 신호에 탑재하여 다시 전송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240)는 데이터를 무선 신호에 탑재하여 전송할 수 있는 통신 모듈로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10)와는 케이블(미도시) 등의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부(230)와 상기 무선통신부(240)는 일체로 구비되거나 상기 정렬부(230)의 내부 공간에 상기 무선통신부(240)가 내장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별도의 조립 및 분리가 필요하지 않은 결합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무선통신부(240) 및 상기 정렬부(230) 간의 결합 구조가 별도의 조립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촬영진행자의 촬영 준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유선 케이블 등을 최소화하여 촬영 환경을 쾌적하게 개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바이트
110 : 센서 장착부
111 : 센서 장착홈
120 : 바이트 블럭부
210 : 센서 고정부
220 : 연결부
230 : 정렬부
240 : 무선통신부

Claims (8)

  1. 인트라오럴 센서가 장착되고, 촬영대상의 치열궁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촬영대상의 구강 내측에 삽입되면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를 적어도 하나의 치아에 밀착시키는 센서 장착부;를 포함하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착부 및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에 의해 휘어지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착부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한 면에는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가 장착되는 센서 장착홈;이 형성된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착홈은 상기 센서 장착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착부의 일부분에서 연장되고, 촬영대상자가 치아로 물어 고정하는 바이트 블럭부;를 더 포함하는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바이트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로서,
    상기 구강 내에서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에 고정되는 센서 고정부;
    상기 센서 고정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강 외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구강 외에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 고정부와 일직선 상에서 마주보도록 배열되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부는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 탄성에 의해 휘어지는 인디케이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에 내장되고 상기 인트라오럴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인디케이터.
KR1020140057848A 2014-05-14 2014-05-14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 KR201501307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848A KR20150130796A (ko) 2014-05-14 2014-05-14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848A KR20150130796A (ko) 2014-05-14 2014-05-14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796A true KR20150130796A (ko) 2015-11-24

Family

ID=5484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848A KR20150130796A (ko) 2014-05-14 2014-05-14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079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25588A (zh) * 2017-01-18 2017-05-31 佛山市邦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牙科x光传感器及牙科x光成像方法
KR20180025518A (ko) * 2016-08-31 2018-03-09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용 마우스피스
CN109069096A (zh) * 2016-01-20 2018-12-21 登塔尔图像科技公司 用于口腔内传感器的定位和保持系统
CN112220573A (zh) * 2020-09-19 2021-01-15 西安交通大学 一种u型牙菌斑检测牙刷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9096A (zh) * 2016-01-20 2018-12-21 登塔尔图像科技公司 用于口腔内传感器的定位和保持系统
EP3405113A4 (en) * 2016-01-20 2019-09-25 Dental Imaging Technologies Corporation POSITIONING AND RETENTION SYSTEM FOR INTRA-MOBILE SENSORS
KR20180025518A (ko) * 2016-08-31 2018-03-09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용 마우스피스
CN106725588A (zh) * 2017-01-18 2017-05-31 佛山市邦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牙科x光传感器及牙科x光成像方法
CN112220573A (zh) * 2020-09-19 2021-01-15 西安交通大学 一种u型牙菌斑检测牙刷
CN112220573B (zh) * 2020-09-19 2021-06-22 西安交通大学 一种u型牙菌斑检测牙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5022B1 (en) Tracking a dental movement
KR20150130796A (ko) 구강 내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및 이를 구비한 인디케이터
WO2015148324A1 (en) Shield for protecting a user from radiation emitted during x-ray imaging
KR102368061B1 (ko) 구강 내 x선 감지 장치
JP5606534B2 (ja) 付加的機能を有する医療用具用の補助部品
US8641276B2 (en) Sealed sensor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BR102012029310B1 (pt) sensor formador de imagens radiológicas intraoral
JP2019508099A (ja) 口腔内センサのための配置及び維持システム
KR102085244B1 (ko) 핸드그립방식의 구강엑스레이센서장치
KR200408741Y1 (ko) 구강내 엑스선 영상획득을 위한 디지털센서용 홀더
JP2017192412A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の撮影部、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JP6261231B2 (ja) 歯列測定装置
KR102503032B1 (ko) 구강촬영 센서 홀딩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구강촬영 센서용 홀더
US20180279976A1 (en) Intraoral sensor positioning system
KR100549836B1 (ko) 파노라마 엑스레이 촬영용 바이트 블록
JP5896837B2 (ja) 歯科用口腔内x線撮影装置
TWI516249B (zh) 牙科用口腔內x射線照相裝置及系統
EP3753527A1 (en) Removable fixing device for edentulous cases
KR100867113B1 (ko) 치열 형태 측정 장치
KR20150110881A (ko) 구강내 엑스선 센서 장치
WO2012105159A1 (ja) 歯科用口腔内撮影システム
JP5484462B2 (ja) 口腔内撮影補助具
CN210301039U (zh) 一种牙科摄影固定定位夹
KR100833463B1 (ko) 치열 형태 측정 장치
KR20170022574A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구강용 관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