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154A - 플렉서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플렉서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154A
KR20180025154A KR1020170078108A KR20170078108A KR20180025154A KR 20180025154 A KR20180025154 A KR 20180025154A KR 1020170078108 A KR1020170078108 A KR 1020170078108A KR 20170078108 A KR20170078108 A KR 20170078108A KR 20180025154 A KR20180025154 A KR 20180025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lay element
elastic member
display device
flexibl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2370B1 (ko
Inventor
카즈히코 타마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25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3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01L51/00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형시켜서 보관하거나 반복 변형시킨 경우라도 틀이 잡히지 않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플렉서블한 표시 소자(11)와, 표시 소자(11)의 일방 주면 측에 배치된 탄성 부재(12)로서, 표시 소자(11)와 탄성 부재(12) 사이에 공극이 구비된 탄성 부재(12)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플렉서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플렉서블한 표시 장치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플렉서블 표시 장치의 기판으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이미드(PI: Polyimide)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공보 2003-280546호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공보 2011-85934호 특허문헌 3: 일본특허공개공보 2013-210491호 특허문헌 4: 일본특허공개공보 2014-16616호
그러나 종래의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서는, 변형시킨 상태로 보관하거나 반복 변형시키면 틀이 잡혀버리는 경우, 즉 완전한 평판(flat)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변형시킨 상태로 보관하거나 반복 변형시켜도 틀이 잡히지 않는, 즉 충분히 평판으로 되돌아가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에 따르면, 플렉서블한 표시 소자와, 상기 표시 소자의 일방 주면 측에 배치된 탄성 부재로서, 상기 표시 소자와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공극이 구비된 탄성 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형시킨 상태로 보관하거나 반복 변형시켜도 틀이 잡히지 않는, 즉 충분히 평판으로 되돌아가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중립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시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컬(curl) 양의 평가 수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변형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일 실시형태>
일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도 1 내지 도 5를 가지고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10)는, 플렉서블한 표시 소자(11)와, 표시 소자(11)의 일방 주면 측(도 1에서는 상측면)에 구비된 탄성 부재(12)를 가지고 있다. 표시 소자(11)와 탄성 부재(12)는 후술하는 것과 같이, 접착층(26)에 의해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있고, 접착층(26)에 의해 접착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는, 표시 소자(11)와 탄성 부재(12) 사이에 공극(27)이 구비되어 있다. 탄성 부재(12)는, 변형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재촉하는 것이다. 표시 소자(11)와 탄성 부재(12)는 모두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표시 소자(11)와 탄성 부재(12)의 평면 형상은, 예를 들면 직사각형이다. 표시 소자(11)와 탄성 부재(1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 소자(11)와 탄성 부재(12)의 형상은, 직사각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원형, 다각형 등 임의의 형상이어도 된다.
표시 소자(11)는 기판(13)을 포함하고 있다. 기판(13)의 일방 주면 측(도 1에서의 상측)에는, 복층 배리어막(14)이 형성되어 있다. 복층 배리어막(14)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Film Transistor)를 포함하는 TFT층(박막 트랜지스터층, 15)이 형성되어 있다. TFT층(15) 상에는, 컬러필터층(16)이 형성되어 있다. 컬러필터층(16) 상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OLED층(17)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백색광을 발광하는 OLED가 OLED층(17)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층 배리어막(14)이 형성된 기판(13) 상에는, TFT층(15)과 컬러필터층(16)과 OLED층(17)을 포함하는 구조체(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백색광의 OLED층(17), 컬러필터층(16)을 대신하여, 적, 청, 녹 등의 유색광을 발광하는 OLED를 매트릭스상으로 배치해도 된다. 이와 같은 유색광을 발광하는 OLED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컬러필터층(16)을 설치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OLED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OLED를 사용할 수 있다.
기판(13)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지로는,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PI)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기판(13)의 재료는 폴리이미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복층 배리어막(14)과 TFT층(15)을 형성하는 공정의 온도 이상의 내열성을 가지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기판(13) 두께는, 예를 들면 13 μm 정도로 한다.
복층 배리어막(14)은, 산소와 수증기에 대해서 배리어성을 가지는 막인 배리어막을 복수 적층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배리어막에는, 예를 들면 금속, 무기화합물, 폴리머 등이 사용되고 있다.
TFT층(15)은, OLED층(17)에 대한 전압 공급을 제어하는 TFT를 포함하고 있다. TFT는, p 채널형이어도 되고 n 채널형이어도 된다. TFT는, 반도체층과 전극을 포함하는 주지 구성을 가지고 있다. TFT의 반도체층으로는, 예를 들면 아몰퍼스실리콘, 폴리실리콘 등이 사용되고 있다. TFT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로부터 전극을 통하여 소정의 전압이 부여되면 OLED층(17)에 전압을 공급한다. TFT층(15)에 포함되는 TFT 수와 배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의 구성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된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bottom emission 타입인 경우, TFT층(15)에 포함되는 전극은, 빛을 투과하는 도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재료로는, 예를 들면 산화 인듐 주석(ITO: Indium Tin Oxide) 등을 들 수 있다. TFT층(15)의 두께는, 예를 들면 4.5 μm 정도로 한다.
컬러필터층(16)은, 적색 컬러필터(16R)와 녹색 컬러필터(16G), 청색 컬러필터(16B), 백색 컬러필터(16W)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적색 컬러필터(16R), 녹색 컬러필터(16G), 청색 컬러필터(16B), 백색 컬러필터(16W)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층(16)과, 백색광을 발광하는 OLED가 형성된 OLED층(17)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백색광을 발광하는 OLED가 형성된 OLED층(17) 대신에 적색광을 발광하는 OLED와, 녹색광을 발광하는 OLED, 청색광을 발광하는 OLED가 형성된 OLED층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컬러필터층은 불필요하다.
OLED층(발광층, 17)은, TFT층(15)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따라서 발광하는 OLED, 즉 유기 EL(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를 포함하고 있다. OLED는, 유기발광층과 전극을 포함하는 주지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유기발광층에는, 예를 들면 색소계 재료, 금속착체계 재료, 고분자계 재료 등이 사용되고 있다. OLED층(17)은, 예를 들면 백색광을 발광한다. OLED층(17)에 포함되어 있는 OLED 수와 배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의 구성에 따라서 임의로 설정된다. OLED층(17)에 포함되는 전극은, 빛을 투과하는 도전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재료로는, 예를 들면 ITO 등을 들 수 있다. OLED 층(17)의 두께는, 예를 들면 0.6 μm 정도로 한다.
복층 배리어막(14) 상에는, 실링부(19)가 형성되어 있다. 실링부(19)는, TFT(15)와 컬러필터층(16)과 OLED층(17)을 포함하는 구조체(18)를 둘러싸듯이 복층 배리어막(14)의 주변둘레부 상에 형성되어 있다. 실링부(19)에 의해 둘러싸인 구조체(18)가 봉지층(20)에 의해 봉지되어 있다. 봉지층(20)은, 산소와 수증기에 대한 배리어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재료로는, 예를 들면 금속, 무기화합물,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구조체(18)의 하면은 복층 배리어막(14)에 의해 덮여 있고, 구조체(18)의 상면과 측면은 봉지층(20)에 의해 덮여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체(18)에 포함되어 있는 TFT층(15)과 OLED층(17)에 산소와 수증기가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봉지층(20)과 실링부(19)가 형성된 기판(13) 상에는, 금속층(21)이 배치되어 있다. 금속층(21)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 μm 정도로 한다.
기판(13)의 타방 주면 측(도 1에서의 하측)에는, 전면 필름(22)과 하드 코팅막(23)을 포함하는 적층체(24)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적층체(24)는, 예를 들면 감압 접착제(PSA: Pressure-Sensitive Adhesive)로 이루어지는 접착층(25)에 의해 기판(13)의 타방 주면(도 1에서의 하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전면 필름(22)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 μm 정도로 한다. 하드 코팅막(23)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 μm 미만으로 한다. 접착층(25)의 두께는, 예를 들면 25 μm 정도로 한다. 이렇게 해서 표시 소자(11)가 구성되어 있다.
탄성 부재(12)는 상술한 것과 같이, 변형된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재촉하는 것이다. 탄성 부재(12)의 재료로는, 예를 들면 금속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는, 탄성 부재(12)의 재료로서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스테인리스강으로는, 예를 들면 SUS304, SUS430 등을 들 수 있다. 탄성 부재(12)와 표시 소자(11) 사이에 공극(27)을 구비하고 있는 것은, 탄성 부재(12)와 표시 소자(11) 각각에 별개로 중립면(neutral surface)이 위치하도록 해서, 변형시킨 상태로 장시간 보관하거나 반복 변형시켜도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여 틀이 잡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탄성 부재(12)의 탄성률은, 표시 소자(11)의 탄성률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표시 소자(11)의 탄성률보다 높지 않아도 된다. 탄성 부재(12)의 두께는, 예를 들면 100 μm 정도로 한다. 또한 탄성 부재(12)의 재료는 금속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탄성을 가지는 재료를 널리 사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12)는, 표시 소자(11)의 일방 주면(도 1에서의 상측면)의 일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된 접착층(26)에 의해 표시 소자(11)에 부착되어 있다. 접착층(26)으로는, 예를 들면 감압 접착재가 사용되고 있다. 도 2(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접착층(26)은 표시 소자(11)의 표시 영역(53)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2(a)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접착층(26)은, 표시 소자(11)의 네 변 중에서 제 1 변(54a)과, 제 1 변(54a)에 평행한 제 2 변(54b)에 배치되어 있다. 어느 접착층(26)도 제 1 변(54a) 및 제 2 변(54b)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제 1 변(54a) 및 제 2 변(54b)의 방향은, 표시 소자(11)의 장축 방향(도 2(a)에서의 좌우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 더욱 구체적으로는 표시 소자(11)의 장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이다. 탄성 부재(12)는, 플렉서블 표시 소자(10)의 장축 방향의 일방 측에 위치하는 제 1 부분(55a)과,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의 장축 방향의 타방 측에 위치하는 제 2 부분(55b)에서, 접착층(26)에 의해 표시 소자(11)에 접착되어 있다. 표시 소자(11)의 장축 방향에 평행한 변인 제 3 변(54c)과, 제 3 변(54c)에 평행한 변인 제 4 변(54d)에는, 접착층(26)은 배치되어 있지 않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말리는 방향, 즉 롤 방향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의 장축 방향, 즉 표시 소자(11)의 장축 방향(도 2(a)에서의 좌우 방향)을 따르고 있다. 제 3 변(54c)과 제 4 변(54d)에 접착층(26)이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탄성 부재(12)와 표시 소자(11)가 접착되어 있는 부분, 즉 제 1 부분(55a)과 제 2 부분(55b)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크게 확보되어 있다. 탄성 부재(12)와 표시 소자(11)가 서로 접착되어 있는 제 1 부분(55a)과 제 2 부분(55b)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큰 복원력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10)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표시 소자(11)의 네 변 중 제 1 변(54a)과, 제 1 변(54a)에 평행한 제 2 변(54b)에 접착층(26)을 배치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2(b)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1 변(54a)과 제 2 변(54b)의 중간에 접착층(26)을 더욱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제 1 변(54a)과 제 2 변(54b)의 중간에 배치되는 접착층(26)도, 제 1 변(54a) 및 제 2 변(54b)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 3(a)는 중립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물체(30)를 변형(만곡)시키면 일방 측(외주 측)에는 인장이 발생하고(도 3(a)의 a-a), 타방 측(내주 측)에는 압축이 발생한다(도 3(a)의 b-b). 인장이 발생하는 부분과 압축이 발생하는 부분 사이에는, 인장도 압축도 발생하지 않는 부분이 생긴다(도 3(a)의 c-c). 이러한 부분에서는, 물체(30)를 변형시킨 때에도 뒤틀림(strain)이 0이 된다. 물체(30)를 변형시킨 때에도 뒤틀림이 0인 면은 중립면으로 지칭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탄성 부재(12)와 표시 소자(11) 사이에 공극(27)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12)와 표시 소자(11)에는, 각각 별개의 중립면이 존재한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10)를 만곡시켰을 때 TFT에 뒤틀림이 발생하면 양호한 표시를 얻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소자(11)의 중립면을, TFT층(15) 또는 TFT층(15) 근방에 위치시키고 있다. 중립면 위치를 TFT층(15) 또는 TFT층(15) 근방에 위치시키고 있으므로, 플렉서블 표시 장치(10)를 만곡시켰을 때에 표시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12)의 중립면은, 탄성 부재(12)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도 3(b)는, 중립면 계산 모델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5층 구조의 물체(구조체, 30)에서의 중립면의 계산 모델을 도시하고 있다. 중립면(31)의 위치는, 각 구성 요소의 두께와 탄성률(Young률)을 바탕으로 산출된다.
제 1 번째 층(1st Layer, 32)의 두께는 t1으로 하고, 제 1 번째 층(32)의 탄성률은 E1으로 한다. 제 2 번째 층(2nd Layer, 33)의 두께는 t2로 하고, 제 2 번째 층(33)의 탄성률은 E2로 한다. 제 3 번째 층(3rd Layer, 34)의 두께는 t3로 하고, 제 3 번째 층(34)의 탄성률은 E3로 한다. 제 4 번째 층(4th Layer, 35)의 두께는 t4로 하고, 제 4 번째 층(35)의 탄성률은 E4로 한다. 제 5 번째 층(5th Layer, 36)의 두께는 t5로 하고, 제 5 번째 층(36)의 탄성률은 E5로 한다. 제 1 번째 층(32)의 하면을 기준면(37)으로 하고, 기준면(37)과 중립면(31) 사이의 거리(c)는, 이하와 같은 식에 의해 구해진다.
c = (E1t1d1 + E2t2d2 + E3t3d3 + E4t4d4 + E5t5d5) / (E1t1 + E2t2 + E3t3 + E4t4 + E5t5) … (1)
단, d1 = t1 / 2, d2 = t1 + t2 / 2, d3= t1 + t2 + t3 / 2, d4= t1 + t2 + t3 + t4 / 2, d5= t1 + t2 + t3 + t4 + t5 / 2로 한다.
또한 탄성률(Young률)을 E, 단면 이차 모멘트를 I라고 하면, 휨 강성(flexible rigidity)(EI)은 이하와 같은 식에 의해 구해진다.
EI = {[E1(y1 3 - (-c)3)] + [E2(y2 3 - y1 3)] + [E3(y3 3 - y2 3)] + [E4(y4 3 - y3 3)] + [E5(y5 3 - y4 3)]} / 3
단, t1 - c, y2 = t1 + t2 - c, y3 = y1 + y2 + y3 -c, y4 = y1 + y2 + y3 + y4 -c, y5 = y1 + y2 + y3 + y4 + y5 - c로 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의 평가 결과에 대하여 도 4를 가지고 설명한다. 도 4는, 시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실시예 1의 시료(46)를 도시하고 있고, 도 4(b)는 비교예 1의 시료(47)를 도시하고 있고, 도 4(c)는 비교예 2의 시료(48)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d)는 실시예 2의 시료(49)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중 어느 것에서도 시료(46 ~ 49)의 평면적 사이즈는 이하와 같이 했다. 즉, 시료(46 ~ 49)의 폭은 100 mm로 하고, 시료(46 ~ 49)의 길이는 200 mm로 했다.
도 4(a)에 도시한 실시예 1의 시료(46)는, 알루미늄층(42)과 PSA층(43)과 PET층(4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에 공극(52)을 개재하여 스테인리스층(40)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테인리스층(40)은, 부분적으로 배치된 PSA층(41)에 의해 적층체에 접착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시료(46)는 이하와 같이 해서 형성했다. 즉, PET층(44)에 PSA층(43)을 라미네이트하고, 또 알루미늄층(42)을 라미네이트하고, 더욱이 PSA층(41)을 사용하여 스테인리스층(40)을 알루미늄층(42)에 접착했다. 접착층(41)을 배치하는 부분은, 시료(46)의 2개의 단변으로 했다. 어느 부분에서도 시료(46)의 단변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접착층(41)을 형성했다.
도 4(b)에 도시한 비교예 1의 시료(47)는, 알루미늄층(42)과 PSA층(43)과 PET층(4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비교예 1의 시료(47)는, 이하와 같이 해서 형성했다. 즉, PET층(44)에 PSA층(43)을 라미네이트하고, 더욱이 알루미늄층(42)을 라미네이트했다.
도 4(c)에 도시한 비교예 2의 시료(48)는, 스테인리스층(40)과 PSA층(41), 알루미늄층(42)과 PSA층(43), PET층(4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비교예 2의 시료(48)는, 이하와 같이 해서 형성했다. 즉, PET층(44)에 PSA층(43)을 라미네이트하고, 또 알루미늄층(42)을 라미네이트하고, 더욱이 PSA층(41)을 라미네이트하고, 또 스테인리스층(45)을 라미네이트했다.
도 4(d)에 도시한 실시예 2의 시료(49)는, 알루미늄층(42)과 PSA층(43)과 PET층(44)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적층체에 공극(52)을 개재하여 스테인리스층(40)이 구비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스테인리스층(40)은, 부분적으로 배치된 PSA층(41)에 의해 적층체에 접착되어 있다. 실시예 2의 시료(49)는 이하와 같이 해서 형성했다. 즉, PET층(44)에 PSA층(43)을 라미네이트하고, 또 알루미늄층(42)을 라미네이트하고, 더욱이 PSA층(41)을 사용하여 스테인리스층(40)을 알루미늄층(42)에 접착했다. 접착층(41)을 배치하는 부분은, 시료(46)의 2개의 단변과, 상기 2개의 단변의 중간으로 했다. 어느 부분에서도 시료(46)의 단변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접착층(41)을 형성했다.
스테인리스층(40)은, 도 1에 도시한 탄성 부재(12)에 대응하고 있다. 스테인리스층(45)의 재료로는, 신닛테츠스미킨스테인리스주식회사의 스테인리스강(SUS304)을 사용했다. 스테인리스층(45)의 두께는 100 μm로 했다. 스테인리스층(45)의 탄성률은, 193 GPA이다.
PSA층(41)은, 도 1에 도시한 접착층(26)에 대응하고 있다. PSA층(41, 43)으로는, DIC주식회사의 양면 점착 시트(형식 번호: ZB7011W)를 사용했다. PSA층(41, 43)의 두께는 각각 25 μm로 했다. PSA층(41, 43)의 탄성률은 0.2 MPa로 했다.
알루미늄층(42)은, 도 1의 구조체(18)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사용했다. 알루미늄층(42)에는, UACJ주식회사의 알루미늄박을 사용했다. 알루미늄층(42)의 두께는 50 μm로 했다. 알루미늄층(42)의 탄성률은 69 GPa이다.
PET층(44)은, 도 1에 도시한 기판(13)에 대응하고 있다. PET층(44)으로는, TOYOBO주식회사의 PET 필름(형식 번호: A4300)을 사용했다. PET층(44)의 두께는 50 μm로 했다. PET층(44)의 탄성률은 5 GPa로 했다.
도 5는 컬 양의 평가 수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컬 양(a, 도 5(b) 참조)의 평가는, 시료(46 ~ 49)를 파이프(50)에 권취하고 오븐에서 장시간 가열함으로써 수행했다. 도 5(a)는, 시료(46 ~ 49)를 파이프(50) 외주에 권취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시료(46 ~ 49)는 각각 별개의 파이프(50)에 권취된다. 파이프(50)의 중심축과 시료(46 ~ 49)의 장변이 서로 평행이 되는 것과 같은 상태에서, 시료(46 ~ 49)를 파이프(50)에 권취했다. 파이프(50)에 권취된 시료(46 ~ 49)는, 셀로판 테이트(51)를 사용하여 고정했다. 파이프(50)의 반경(r)은 30 mm로 했다. 파이프(50)에 권취한 시료(46 ~ 49)를 오븐 내에 도입하고, 가열 처리를 수행했다. 가열 온도는 60 ℃로 하고, 가열 시간은 24 시간으로 했다. 이와 같은 가열 처리가 완료된 후, 파이프(50)에 권취된 시료(46 ~ 49)를 오븐으로부터 꺼내 셀로판 테이프(51)를 벗기고, 시료(46 ~ 49)를 파이프(50)로부터 떼어내어 시료(46 ~ 49)의 컬 양(a)을 측정했다.
도 5(b)는, 컬 양(a)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비교예 1의 시료(47)에서는, 컬 양(a)은 72 mm였다. 비교예 1의 시료(47)에, 이와 같은 컬 양(a)이 발생하는 것은, 비교예 1의 시료(47)를 구성하는 PET층(44)과 PSA층(43)과 알루미늄층(42)의 적층체가 변형되는 한편 이러한 적층체의 변형을 되돌리는 구성 요소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비교예 2에서는, 컬 양(a)은 62 mm였다. 또한 스테인리스층(45) 단일체로 컬 양(a)을 평가했을 때 컬 양(a)은 0 mm였다. 스테인리스층(45) 단일체의 경우에 컬 양(a)이 0 mm인 한편 비교예 2의 경우에 컬 양(a)이 62 mm가 되는 것은, 비교예 2에서의 변형의 원인이, PET층(44)과 PSA층(43)과 알루미늄층(42)의 적층체의 변형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스테인리스층(45)은, PET층(44)과 PSA층(43)과 알루미늄층(42)의 적층체의 변형을 완전히 원래대로 되돌리는 힘은 없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적층체의 변형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효과가 스테인리스층(45)에서 작은 것은, 중립면(31)이 스테인리스층(45)의 내부에 위치해 있어, 이러한 적층체의 변형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힘의 모멘트가 작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1에서는, 컬 양(a)은 15 mm였다. 실시예 1에서 컬 양(a)이 15 mm가 되는 것은, 탄성 부재(12)와 표시 소자(11) 사이에 공극(27)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탄성 부재(12)와 표시 소자(11)에서 중립면이 별개로 존재하고, 게다가 탄성 부재(12)와 표시 소자(11)가 서로 접착되어 있는 제 1 부분(55a)과 제 2 부분(55b)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크기 때문에, PET층(44)과 PSA층(43)과 알루미늄층(42)의 적층체의 변형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힘의 모멘트가 크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2에서는, 컬 양(a)은 19 mm였다. 즉, 실시예 2에서의 컬 양(a)은, 실시예 1에서의 컬 양(a)보다 컸다. 실시예 2에서의 컬 양(a)이 실시예 1에서의 컬 양(a)보다 커지는 것은, 시료(46)의 2개의 단변 중간에도 접착층(41)이 형성되어 있어, PET층(44)과 PSA층(43)과 알루미늄층(42)의 적층체의 변형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힘의 모멘트가 실시예 1의 경우보다 작아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렉서블한 표시 소자(11)의 일방 주면 측에 탄성 부재(12)가 배치되어 있고, 표시 소자(11)와 탄성 부재(12) 사이에는 공극(27)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플렉서블 표시 장치(10)를 변형시켜서 보관하거나 반복 변형시킨 경우라도 틀이 잡히지 않고, 평판으로 되돌릴 수 있다.
<변형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소자(11)의 제 1 변(54a)과 제 2 변(54b)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접착층(26)을 배치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은 변형 실시형태에 따른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예를 들면 도 6(a)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시 소자(11)의 네 모퉁이에 접착층(26)을 배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10)의 단변 방향을 따라서 롤(roll)시킨 경우에도, 플렉서블 표시 장치(10)를 충분히 평판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6(b)에 도시한 것과 같이 표시 소자(11)의 네 모퉁이의 중간에 접착층(26)을 더욱 배치해도 되고, 도 6(c)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들 중간에 접착층(26)을 더욱 배치해도 된다.
10: 플렉서블 표시 장치 11: 표시 소자
12: 탄성 부재 13: 기판
14: 복층 배리어막 15: TFT층
16: 컬러필터층 17: OLED층
18: 구조체 19: 실링부
20: 봉지층 21: 금속층
22: 전면 필름 23: 하드코팅막
24: 적층체 25: 접착층
26: 접착층 27: 공극

Claims (14)

  1. 플렉서블한 표시 소자와,
    상기 표시 소자의 일방 주면 측에 배치된 탄성 부재로서, 상기 표시 소자와 상기 탄성 부재 사이에 공극이 구비된 탄성 부재를 가지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률은, 상기 표시 소자의 탄성률보다 높은 플렉서블 표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표시 소자의 상기 일방 주면의 일부에 선택적으로 배치된 접착층에 의해 상기 표시 소자에 부착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표시 소자의 표시 영역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표시 소자의 제 1 변과, 상기 제 1 변에 평행한, 상기 표시 소자의 제 2 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제 1 변과 상기 제 2 변 사이에 더욱 형성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변의 방향은, 상기 표시 소자의 장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의 평면 형상은 직사각형이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표시 소자의 네 모퉁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표시 소자의 상기 네 모퉁이 중간에 더욱 배치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감압 접착제로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금속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표시 소자의 배면 측에 배치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 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소자는,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소자의 중립면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근방에 위치하고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0170078108A 2016-08-31 2017-06-20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19123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69104 2016-08-31
JP2016169104A JP7027031B2 (ja) 2016-08-31 2016-08-31 フレキシブル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154A true KR20180025154A (ko) 2018-03-08
KR101912370B1 KR101912370B1 (ko) 2018-10-26

Family

ID=6156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108A KR101912370B1 (ko) 2016-08-31 2017-06-20 플렉서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027031B2 (ko)
KR (1) KR101912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281B1 (ko) * 2018-11-09 2020-02-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내부 긴장력 감쇄를 위한 중간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5122B (zh) * 2019-04-23 2021-09-1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模组及柔性显示装置
US20220404877A1 (en) * 2019-12-06 2022-12-22 Sharp Kabushiki Kaisha Foldable displa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0546A (ja) 2002-03-27 2003-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己変形型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端末
JP2011085934A (ja) 2009-10-14 2011-04-28 Sony Corp 可撓性oledディスプレイ画面のための記憶形状要素
JP2013210491A (ja) 2012-03-30 2013-10-10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4016616A (ja) 2012-07-10 2014-01-30 Samsung Display Co Ltd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40028391A (ko) * 2012-08-28 2014-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004835A (ko) * 2012-05-23 2015-01-13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2380A (ja) * 2008-09-19 2010-04-02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KR101155907B1 (ko) 2009-06-04 2012-06-2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079188B1 (ko) 2012-05-09 2020-02-19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전자 기기
JP6253541B2 (ja) * 2014-07-30 2017-1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553382B2 (ja) 2015-03-20 2019-07-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0546A (ja) 2002-03-27 2003-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己変形型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処理端末
JP2011085934A (ja) 2009-10-14 2011-04-28 Sony Corp 可撓性oledディスプレイ画面のための記憶形状要素
JP2013210491A (ja) 2012-03-30 2013-10-10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50004835A (ko) * 2012-05-23 2015-01-13 코니카 미놀타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 편광판의 제조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JP2014016616A (ja) 2012-07-10 2014-01-30 Samsung Display Co Ltd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40028391A (ko) * 2012-08-28 2014-03-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기판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6281B1 (ko) * 2018-11-09 2020-02-1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뉴트럴 포인트 영역에 내부 긴장력 감쇄를 위한 중간층을 구비한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폴더블 기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2370B1 (ko) 2018-10-26
JP2018036474A (ja) 2018-03-08
JP7027031B2 (ja)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6452B1 (ko) 표시 장치
US10211426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345978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20140091288A1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455386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
KR102343573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12370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TWI624941B (zh) 製造有機發光顯示裝置之方法
JP2011047976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14014363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WO2017138416A1 (ja) 有機el表示装置
US20150333297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WO2017057228A1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装置
US991191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10468467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KR20140123868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410102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US9608233B2 (en) Display device
JP6299394B2 (ja) ガスバリア性積層フィルム及び有機elデバイス
KR101993341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220064359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240566B2 (en) Method for curing UV-curable resin and method for packaging OLED
WO2017135227A1 (ja) 有機el表示装置
KR102220424B1 (ko) 가요성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03632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folding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