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059A -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059A
KR20180025059A KR1020160112249A KR20160112249A KR20180025059A KR 20180025059 A KR20180025059 A KR 20180025059A KR 1020160112249 A KR1020160112249 A KR 1020160112249A KR 20160112249 A KR20160112249 A KR 20160112249A KR 20180025059 A KR20180025059 A KR 201800250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infiltration
storage tank
space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욱
Original Assignee
우림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림종합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림종합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2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5059A/ko
Publication of KR20180025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0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면과 도로 옆에 체류지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 침투저류조를 구비하여 빗물을 효율적으로 저류하고 지면으로 침투시키는 지면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및 침투저류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체류지에 빗물이 체류하도록 하고 체류지의 빗물을 다시 침투 및 저류시킴으로써, 저지대로 모이는 빗물의 유출량을 저감시켜 일시적인 침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지대로 이동하는 빗물이 지면의 구덩이에 의해 체류될 때 일부는 지면속으로 침투 흡수되고, 일부는 별도의 침투저류조를 통해 유수지로 유입되는 등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빗물의 유출 저감 구성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시공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시공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머니 형태의 필터부재를 이용하여 시공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RAIN STATION STRUCTURE USING MODIFY LAND AND CONSTRUCTION METHOD RAIN STATION STRUCTURE USING MODIFY LAND}
본 발명은 경사면과 도로 옆에 체류지를 형성하고 그 하부에 침투저류조를 구비하여 빗물을 효율적으로 저류하고 지면으로 침투시키는 지면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및 침투저류조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천 시에 지표면으로 내리는 비는 지면의 경사도에 따라 낮은 곳으로 이동하여서 저지대에 모이게 된다. 이 경우 평지나 경사지와 연결된 저지대는 비가 내릴 때 배수상태가 원활하지 못하면 예기치 못한 비 피해를 겪게 된다. 따라서 저지대는 빗물이 집중적인 현상에 의한 비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하수시설을 충분히 갖추고, 집중된 빗물이 원활하게 배수되도록 하수관 관리에 만전을 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도로 및 인도에는 하수시설이 갖추어져 있어 빗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만 빗물이 짧은 시간에 집중적으로 모여들 때에는 하수시설로 유입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도로 또는 인도가 잠기는 일시적인 침수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침수현상을 예방하기 위해서 집중적으로 모아지는 빗물을 하수시설로 원활하게 배수시키는 방안 이외에도 하수시설로 집중되는 빗물이동 과정에서 지면변형구조로 빗물의 유출량을 저감 시키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에 근거하여 지면으로 내린 비가 저지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빗물의 유출량을 지면의 변형 구조로 저감 시키면 저지대에 모이는 빗물의 양이 현저하게 감소되므로 원활한 배수상태를 이루어져 일시적인 침수현상은 예방될 것이다. 또한, 경사지면에서 저지대로 이동하는 빗물의 유출량을 지면의 변형구조로 저감시킬 경우 빗물을 재활용하게 되는 기회가 제공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2481호(2007.10.26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진 곳에 내리는 빗물이 저지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빗물이 지면의 변형된 구조에 의해 체류되어 빗물의 유출량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의 유출량을 저감시키고자 이동하는 빗물을 체류시킬 때 일부의 빗물이 지면 속으로 침투시키며, 빗물의 유출량을 저감시키고자 이동하는 빗물을 체류시킬 때 일부의 빗물은 침투저류조와 공급관을 통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빗물의 유출량을 저감시키는 침투저류조와, 침투저류조가 매설되는 지면의 변형을 용이하게 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빗물이 이동하는 경사지면과, 상기 경사지면을 상부로 돌출시켜 형성되는 언덕과 체류지, 상기 언덕의 내부에 매설되는 침투저류조, 상기 침투저류조와 상기 체류지 사이에 연결된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 내에 충진된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침투저류조는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저류 공간과 침투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저류 공간과 연결된다. 상기 침투 공간의 바닥에 적층된 필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빗물이 이동하는 도로와 상기 도로의 길 주변을 빗물 모으기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체류지와, 상기 체류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류지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침투 및 저류하는 침투저류조를 포함하고, 상기 침투저류조는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1 격벽과, 상기 제 1 격벽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침투저류조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2 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격벽과 제 2 격벽 사이에는 침전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침전 공간은 상기 체류지의 하부에서 빗물이 유입되는 위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침전 공간에는 필터부재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충진된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사면 중 침투저류조의 매설위치를 선정하여 소정의 깊이와 크기로 파내는 굴삭단계를 이행하여, 상기 매설위치의 바닥을 다지는 기초쇄석포설 또는 기초 콘크리트 타설단계와, 상기 기초쇄석 또는 기초 콘크리트 상에 기초 저면 시트를 부설하는 단계, 상기 기초 저면 시트 상에 침투저류조의 유닛블록체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유닛블록체의 주면에 차수시트와 보호시트를 부설하는 침투저류조 완성단계와, 상기 침투저류조의 일측 상단을 체류지가 될 경사면과 공급관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급관 내에 필터부재를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침투저류조의 매설위치를 되메우면서 침투저류조 상부로 빗물유출 저감을 위해 소정의 높이로 흙을 쌓아 투습층이 구비된 체류지를 구비하는 언덕조성단계를 포함하는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침투저류조는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저류 공간과 침투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저류 공간과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 측면에 침투저류조의 매설위치를 선정하여 소정의 깊이와 크기로 파내는 굴삭단계를 이행하여, 상기 매설위치의 바닥을 다지는 기초쇄석포설 또는 기초 콘크리트 타설단계와, 상기 기초쇄석 또는 기초 콘크리트 상에 기초 저면 시트를 부설하는 단계, 상기 기초 저면 시트 상에,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1 격벽과, 상기 제 1 격벽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침투저류조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2 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격벽과 제 2 격벽 사이에는 침전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침전 공간은 상기 체류지의 하부에서 빗물이 유입되는 위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침전 공간에는 필터부재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충진된 침투저류조의 유닛블록체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유닛블록체의 주면에 차수시트와 보호시트를 부설하는 침투저류조 완성단계와, 상기 침투저류조의 일측 상단을 체류지가 될 경사면과 공급관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침투저류조의 매설위치를 되메우면서 침투저류조 상부로 투습층이 구비된 체류지를 조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체류지에 체류되는 빗물을 1차 여과하는 필터 주머니와, 상기 필터 주머니 내에 충진되어 상기 빗물을 2차 여과하는 충진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체류지에 빗물이 체류하도록 하고 체류지의 빗물을 다시 침투 및 저류시킴으로써, 저지대로 모이는 빗물의 유출량을 저감시켜 일시적인 침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지대로 이동하는 빗물이 지면의 구덩이에 의해 체류될 때 일부는 지면속으로 침투 흡수되고, 일부는 별도의 침투저류조를 통해 유수지로 유입되는 등 빗물을 재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빗물의 유출 저감 구성이 간단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시공작업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시공비용과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머니 형태의 필터부재를 이용하여 시공을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경사지면 적용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필터부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필터부재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에서 침투저류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에서 침투저류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에서 침투저류조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시공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경사지면 적용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이 이동하는 경사지면과, 경사지면을 상부로 돌출시켜 형성하는 언덕(SP), 경사지면과 언덕(SP)에 의해 형성되는 체류지(PS), 언덕의 하부에 매설하는 침투저류조(100), 체류지(PS)를 침투저류조(100)에 연결하는 공급관(140), 및 침투저류조(100)에 연결되는 배출관(130)을 포함한다.
경사지면은 산, 언덕 등 경사가 형성된 지면으로서, 본 발명은 우천 시 지면으로 내린 빗물이 저지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집중적으로 이동되는 것을 지연시키기 위해 경사지면의 적당한 위치를 둔덕과 같은 형상의 언덕(SP)을 형성한다. 이때, 경사지면에 대해서 사면안정을 한 상태에서 언덕(SP)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지면의 지형에 언덕(SP)을 형성하므로 언덕(SP)과 경사지면 사이에는 언덕(SP)높이에 상응하는 깊이를 갖는 체류지(PS)가 형성된다.
체류지(PS)는 언덕(SP)의 높이에 따라 면적이 증가되므로 이동하는 빗물이 체류지(PS)의 면적만큼 채워질 때까지 이동상태가 체류되고 가득 채워져 넘칠 때 빗물의 이동은 다시 시작된다. 따라서, 체류지(PS)에 빗물이 채워지는 시간과 빗물의 양 만큼 빗물의 유출량은 감소된다. 체류지(PS)는 그 바닥에 빗물이 침투할 수 있는 투습층이 형성되어 체류되는 빗물이 지면 속으로 투숩되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체류지(PS)의 투습층에 의해 체류되는 빗물의 양은 투습량만큼 감소되며 이는 빗물의 유출 저감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침투저류조(100)는 언덕(SP)의 내부에 구비되어 체류지(PS)로부터 유입되는 빗물을 저류 및 침투시킨다. 이를 위해서, 침투저류조(100)는 내부가 격벽(120)에 의해 구획된다. 여기서, 격벽(120)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공급관(140)측으로 유입되는 빗물은 저류되도록 하고, 격벽(120)을 월류한 빗물은 침투되거나 배출관(13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공급관(140)은 침투저류조(100) 일측 상부에 연결되고, 배출관(130)은 침투저류조(100) 타측 하부에 연결된다. 또한, 공급관(130)에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부재(200)가 충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필터부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필터부재 단면도이다.
필터부재(200)는 공급관(130) 내에 채워져 체류지(PS)에서 유입되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한다. 이를 위해서, 필터부재(2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 주머니와, 필터 주머니 내에 충진되는 필터 충진재를 포함한다.
필터 주머니(210)는 체류지(PS)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1차 필터링한다. 이를 위해서, 필터 주머니(210)는 메쉬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 주머니(210)는 메쉬 재질을 포함하는 다양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주머니(210)는 후술될 필터 충진재(220)를 충진하기 위해 개폐되는 개폐부(211)가 형성된다. 여기서, 개폐부(211)는 지퍼를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필터 충진재(220)의 무게로 인해 지퍼가 손상될 우려가 있을 경우, 개폐부(211)는 홀과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개폐부(211)의 일측에는 홀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되고, 개폐부(211)의 타측에 상기 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가 형성되어 필터 충진재(220) 충진 후 후크를 홀에 걸어 개폐부(211)를 폐쇄할 수 있다.
필터 충진재(220)는 필터 주머니(210) 내에 충진되어 필터 주머니(210)를 통과해 유입되는 빗물에서 이물질을 2차 필터링하기 위한 것으로서, 쇄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필터 주머니(210)는 메쉬 재질 등에 의해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다수의 공간에는 종류와 크기 등이 서로 상이한 필터 충진재(220)가 충진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필터 주머니(210) 내의 일 공간에는 쇄석이 충진되고, 타 공간에는 파쇄유리가 충진되는 등 다양한 재료를 충진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필터 충진재(220)를 사용하는 것보다 정화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파쇄유리의 경우, 빗물의 수소이온농도를 알카리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파쇄유리는 전술된 공급관(140)의 내주연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관 형상의 필터 주머니(210) 내에 파쇄유리가 충진된 형태의 필터부재(2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파쇄유리는 침투저류조(100)의 내벽에도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쇄유리가 충진된 판재 형태의 필터 주머니(210)를 침투저류조(100)의 내벽에 부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본 실시예에서는 필터부재(200)가 공급관(140) 내에만 충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필터부재(200)는 여과가 필요한 모든 부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전술된 침투저류조(100)에서 빗물이 침투되는 영역의 바닥에 필터부재(200)가 적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침투저류조(100) 시공 시 침투저류조(100)의 바닥에 필터부재(200)를 던져넣기면 하면 되므로 시공이 좀 더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에서 침투저류조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로의 가장자리에 빗물이 이동하는 빗물 모으기가 가능한 형태로 구덩이를 파내어 체류지(PS)를 형성한다. 이때, 체류지(PS)는 도로의 가장자리에 도로를 따라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류지(PS)의 하부에는 지면 속으로 빗물이 침투되도록 침투저류조(100)를 설치한다. 또한, 빗물이 침투저류조(100)에 가득찰 경우, 침투저류조(100)의 빗물이 월류되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침투저류조(100)의 상단을 하수관거(DP)와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투저류조(100) 내에 격벽(120)이 구비될 수 있다.
격벽(120)은 체류지(PS)의 하부에서 침투저류조(100)로 유입되는 빗물이 1차 저장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120)은 제 1 격벽(121)과 제 2 격벽(1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격벽(121)은 침투저류조(100)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침투저류조(100)의 측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침투저류조(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 2 격벽(122) 역시 제 1 격벽(121)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 1 격벽(121)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격벽(121)과 제 2 격벽(122) 사이에는 침전 공간(P1)이 형성되며, 제 1 격벽(121)과 침투저류조(100)의 일 측면에는 제 1 침투 공간(P2), 제 2 격벽(122)과 침투저류조(100)의 타 측면 사이에는 제 2 침투 공간(P3)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침투저류조(100)에 유입되는 빗물은 침전 공간(P1)에 머물게 되며, 빗물에 포함된 토사 등은 침전 공간(P1)의 바닥에 가라앉게 된다. 이후, 충분히 많은 빗물이 유입되면 제 1 격벽(121)과 제 2 격벽(122)을 월류하여 침투 공간(P2, P3)으로 이동하며, 침투 공간(P2, P3)으로 이동한 빗물은 지중으로 침투된다.
한편, 본 실시예는 침전 공간(P1)에 전술된 필터부재(200)를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에서 침투저류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에서 침투저류조의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침투저류조(100)에서 침전 공간(P1)에 필터부재(200)를 소정 간격 이격하여 충진시킨다. 또한, 이를 위해서, 침투저류조(100)의 침전 공간(P1)에는 필터부재(200)가 이동하지 않도록 필터부재(200) 고정벽이 형성된다. 여기서, 필터부재(200) 고정벽은 침전 공간(P1)의 하부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나 상부가 개방된 벽의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필터부재(200)의 하부가 상기 필터부재(200) 고정벽에 걸려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이동하지 않는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부재(200) 고정벽은 침전 공간(P1)의 하부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되 다수개의 홀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메쉬 형태의 그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필터부재(200) 고정벽은 필터부재(200)의 일측만을 막거나, 필터부재(200)의 양측을 모두 막을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침전 공간(P1)에 하나의 필터부재(200)가 소정간격으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침전 공간(P1)이 넓을 경우, 여러개의 필터부재(200)를 던져넣어 하나의 필터부재 그룹을 형성하고, 이러한 필터부재 그룹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시공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시공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시공방법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 단계(S1)와, 기초쇄석 포설(S2-1) 또는 기초 콘크리트 타설 단계(S2-2), 기초저면 시트 부설 단계(S3), 유닛블록체 조립 단계(S4), 침투저류조 완성 단계(S5), 공급관 연결 단계(S6), 필터부재 충진 단계(S7), 되메우기/언덕조성 단계(S8), 및 공사 마무리 단계(S9)를 포함한다.
굴삭 단계(S1)는 경사면 중 침투저류조의 매설위치를 선정하여 침투저류조를 매설하기에 알맞은 설계상의 깊이와 크기로 파내는 작업을 한다.
기초쇄석 포설(S2-1) 또는 기초 콘크리트 타설 단계(S2-2)는 굴삭작업으로 파여진 매설홈의 바닥을 다지기 위하여 자갈, 파쇄석등을 충분하게 공급하는 기초쇄석 포설 작업을 하거나, 매설홈의 바닥면 위에 콘그리트를 공급하는 기초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타설단계를 이행한다. 이 단계에 의해서, 빗물이 체류지 바닥으로 침전될 수 있다.
기초저면 시트 부설 단계(S3)는 기초쇄석 포설(S2-1) 또는 기초 콘크리트 타설 단계(S2-2) 후에 부직포 또는 동일 유사한 기능을 하는 두꺼운 면직물을 설치하는 기초 저면 시트부설단계를 이행한다.
유닛블록체 조립 단계(S4)는 기초저면 시트 상에 격벽이 형성되는 침투저류조를 조립하는 작업을 이행한다. 침투저류조는 유닛블록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굴삭된 현장의 매설위치에서 대칭적 형상을 이루는 부품들을 맞대어 조립할 때 저류조가 형성되는 유닛블록체 조립단계이다. 유닛블록체의 조립은 시공조건에 따라서 공장 또는 다른 곳에서 조립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어떠한 곳에서 조립작업을 해도 본 발명의 목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침투저류조 완성 단계(S5)는 조립되는 유닛블록체에 대하여 그 외면에 빗물의 유출됨을 차단하고 동파방지와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함을 목적으로 차수시트와 보호시트를 부설하는 작업을 한다.
공급관/배출관 연결 단계(S6)는 침투저류조의 일측 상단에 체류지와 연결되는 공급관을 연결하고, 침투저류조의 타측 하단에 배출관을 연결한다.
필터부재 충진 단계(S7)는 공급관/배출관 연결 단계(S6)에서 연결된 공급관 내에, 필터 주머니에 충진재가 충진된 형태의 필터부재를 충진한다. 여기서, 침투저류조에서 격벽으로 구획되며 배출관과 연결되는 일측 바닥에도 필터부재를 충진할 수 있다.
되메우기/언덕조성 단계(S8)는 최종적으로 침투저류조의 매설위치를 되메우면서 침투저류조 상부로 빗물유출 저감을 위해 소정의 높이로 흙을 쌓아 빗물의 유출을 저감하는 체류지를 구비하는 언덕조성단계를 이행한다. 언덕을 형성할 때 생성되는 체류지의 바닥부분으로 빗물의 토양침투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침투면이 형성되도록 작업한다. 상기 빗물의 투과 성능이 좋은 소재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공사 마무리 단계(S9)는 언덕조성 단계 후 침투저류조가 매설된 주변을 계획한 범위내에서 정리, 정돈하는 공사마무리단계를 순차적으로 이행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저류침투 시공방법은 완료된다.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침투저류조의 시공방법은 침투저류조의 구성이 간단하고, 침투저류조를 이루는 유닛블록체의 구조가 간단하므로 현장에서의 조립작업을 전문적인 기술자가 아닌 작업자가 실시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며 침투저류조를 매설하며 지면을 변형하는 작업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시공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와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시공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의 시공방법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삭 단계(S1)와, 기초쇄석 포설(S2-1) 또는 기초 콘크리트 타설 단계(S2-2), 기초저면 시트 부설 단계(S3), 유닛블록체 조립 단계(S4), 침투저류조 완성 단계(S5), 필터부재 충진 단계(S6), 침투트렌치/맨홀 설치 단계(S7), 되메우기 단계(S8), 및 공사 마무리 단계(S9)를 포함한다.
굴삭 단계(S1)는 도로의 측면에 침투저류조의 매설위치를 선정하여 침투저류조를 매설하기에 알맞은 설계상의 깊이와 크기로 파내는 작업을 한다.
기초쇄석 포설(S2-1) 또는 기초 콘크리트 타설 단계(S2-2)는 굴삭작업으로 파여진 매설홈의 바닥을 다지기 위하여 자갈, 파쇄석등을 충분하게 공급하는 기초쇄석 포설 작업을 하거나, 매설홈의 바닥면 위에 콘그리트를 공급하는 기초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타설단계를 이행한다. 이 단계에 의해서, 빗물이 체류지 바닥으로 침전될 수 있다.
기초저면 시트 부설 단계(S3)는 기초쇄석 포설(S2-1) 또는 기초 콘크리트 타설 단계(S2-2) 후에 부직포 또는 동일 유사한 기능을 하는 두꺼운 면직물을 설치하는 기초 저면 시트부설단계를 이행한다.
유닛블록체 조립 단계(S4)는 기초저면 시트 상에 격벽이 형성되는 침투저류조를 조립하는 작업을 이행한다. 침투저류조는 유닛블록체로 이루어져 있어서 굴삭된 현장의 매설위치에서 대칭적 형상을 이루는 부품들을 맞대어 조립할 때 저류조가 형성되는 유닛블록체 조립단계이다. 유닛블록체의 조립은 시공조건에 따라서 공장 또는 다른 곳에서 조립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어떠한 곳에서 조립작업을 해도 본 발명의 목적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침투저류조 완성 단계(S5)는 조립되는 유닛블록체에 대하여 그 외면에 빗물의 유출됨을 차단하고 동파방지와 외부충격으로부터 보호함을 목적으로 차수시트와 보호시트를 부설하는 작업을 한다.
필터부재 충진 단계(S7)는 침투저류조의 침전 공간에, 필터 주머니에 충진재가 충진된 형태의 필터부재를 소정간격 이격하여 충진한다.
되메우기 단계(S8)는 최종적으로 침투저류조의 매설위치를 되메우면서 침투저류조의 침전 공간으로 빗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체류지를 형성한다.
공사 마무리 단계(S9)는 언덕조성 단계 후 침투저류조가 매설된 주변을 계획한 범위내에서 정리, 정돈하는 공사마무리단계를 순차적으로 이행하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저류침투 시공방법은 완료된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침투저류조 110: 침투저류조 몸체
120: 격벽 121: 제 1 격벽
122: 제 2 격벽 130: 배출관
140: 공급관 200: 필터부재
210: 필터 주머니 211: 개폐부
220: 필터 충진재 SP: 언덕
PS: 체류지 PS1: 제 1 체류지
PS2: 제 2 체류지 PS3: 제 3 체류지
DP: 하수관거

Claims (9)

  1. 빗물이 이동하는 경사지면과,
    상기 경사지면을 상부로 돌출시켜 형성되는 언덕과 체류지,
    상기 언덕의 내부에 매설되는 침투저류조,
    상기 침투저류조와 상기 체류지 사이에 연결된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 내에 충진된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저류조는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저류 공간과 침투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저류 공간과 연결된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 공간의 바닥에 적층된 필터부재를 포함하는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4. 빗물이 이동하는 도로와 상기 도로의 길 주변을 빗물 모으기가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는 체류지와,
    상기 체류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체류지에서 유입되는 빗물을 침투 및 저류하는 침투저류조를 포함하고,
    상기 침투저류조는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1 격벽과, 상기 제 1 격벽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침투저류조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2 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격벽과 제 2 격벽 사이에는 침전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침전 공간은 상기 체류지의 하부에서 빗물이 유입되는 위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침전 공간에는 필터부재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충진된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체류지에 체류되는 빗물을 1차 여과하는 필터 주머니와,
    상기 필터 주머니 내에 충진되어 상기 빗물을 2차 여과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6. 경사면 중 침투저류조의 매설위치를 선정하여 소정의 깊이와 크기로 파내는 굴삭단계를 이행하여, 상기 매설위치의 바닥을 다지는 기초쇄석포설 또는 기초 콘크리트 타설단계와,
    상기 기초쇄석 또는 기초 콘크리트 상에 기초 저면 시트를 부설하는 단계,
    상기 기초 저면 시트 상에 침투저류조의 유닛블록체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유닛블록체의 주면에 차수시트와 보호시트를 부설하는 침투저류조 완성단계와,
    상기 침투저류조의 일측 상단을 체류지가 될 경사면과 공급관으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급관 내에 필터부재를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침투저류조의 매설위치를 되메우면서 침투저류조 상부로 빗물유출 저감을 위해 소정의 높이로 흙을 쌓아 투습층이 구비된 체류지를 구비하는 언덕조성단계를 포함하는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저류조는 내부에 격벽이 형성되어 저류 공간과 침투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공급관은 상기 저류 공간과 연결된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시공방법.
  8. 도로 측면에 침투저류조의 매설위치를 선정하여 소정의 깊이와 크기로 파내는 굴삭단계를 이행하여, 상기 매설위치의 바닥을 다지는 기초쇄석포설 또는 기초 콘크리트 타설단계와,
    상기 기초쇄석 또는 기초 콘크리트 상에 기초 저면 시트를 부설하는 단계,
    상기 기초 저면 시트 상에,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1 격벽과, 상기 제 1 격벽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침투저류조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 2 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제 1 격벽과 제 2 격벽 사이에는 침전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침전 공간은 상기 체류지의 하부에서 빗물이 유입되는 위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침전 공간에는 필터부재가 소정간격 이격되어 충진된 침투저류조의 유닛블록체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유닛블록체의 주면에 차수시트와 보호시트를 부설하는 침투저류조 완성단계와,
    상기 침투저류조의 일측 상단을 체류지가 될 경사면과 공급관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침투저류조의 매설위치를 되메우면서 침투저류조 상부로 투습층이 구비된 체류지를 조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시공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체류지에 체류되는 빗물을 1차 여과하는 필터 주머니와,
    상기 필터 주머니 내에 충진되어 상기 빗물을 2차 여과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시공방법.
KR1020160112249A 2016-08-31 2016-08-31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800250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249A KR20180025059A (ko) 2016-08-31 2016-08-31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249A KR20180025059A (ko) 2016-08-31 2016-08-31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059A true KR20180025059A (ko) 2018-03-08

Family

ID=6172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249A KR20180025059A (ko) 2016-08-31 2016-08-31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50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978B1 (ko) * 2021-08-23 2022-04-21 (주)디케이엠엔이 침전지용 슬러지 수집 시설의 개선 시공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5884A (ja) * 2008-03-26 2009-10-15 Masatake Oshima 道路用流出抑制排水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5884A (ja) * 2008-03-26 2009-10-15 Masatake Oshima 道路用流出抑制排水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978B1 (ko) * 2021-08-23 2022-04-21 (주)디케이엠엔이 침전지용 슬러지 수집 시설의 개선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4135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retention or detention
JP5346731B2 (ja) 雨水地中浸透施設
US20220356691A1 (en) Underground Stormwater Storage System
HU226433B1 (en) Foundation slab of underground passage for road
JP3660917B2 (ja) 雨水等を貯留及び/又は浸透する施設及びこの施設に使用する充填部材
JP2008208521A (ja) 雨水貯水施設
JP5083602B2 (ja) 流出抑制街渠工
KR20120021802A (ko) 토양의 치환을 통한 지하수 함양 구조 및 그 방법
JP2784335B2 (ja) 液体貯槽
KR20180025059A (ko) 지면 변형을 이용한 침투저류조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US11585079B2 (en) Method to enhance solids and liquids flow through a stormwater containment volume
KR101197024B1 (ko) 빗물 저류 및 침투 시스템 시공방법
JP6037770B2 (ja) 排水システムおよび排水方法
JP2012255250A (ja) 雨水処理施設
JP2005023589A (ja) 雨水等の貯留及び/又は浸透施設
JP2022011215A (ja) 貯留システム
JP7170475B2 (ja) 貯水システム
JP3886127B2 (ja) 雨水用浸透ポットの施工方法
JP2009097151A (ja) 透水構造
KR102362469B1 (ko) 불투수성 포장 도로의 빗물 침투 저류형 길어깨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002129640A (ja) 雨水貯留・浸透槽
JP2019132095A (ja) 箱型擁壁
KR101577187B1 (ko) 상하수도관로 침하방지구조
KR102253356B1 (ko) 폐기물 매립장의 우수 및 침출수 제거방법
JP4362202B2 (ja) 道路用浸透施設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