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711A -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 - Google Patents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711A
KR20180023711A KR1020160109499A KR20160109499A KR20180023711A KR 20180023711 A KR20180023711 A KR 20180023711A KR 1020160109499 A KR1020160109499 A KR 1020160109499A KR 20160109499 A KR20160109499 A KR 20160109499A KR 20180023711 A KR20180023711 A KR 2018002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bag
light
reel
waterproof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9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6254B1 (ko
Inventor
권오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엘
Priority to KR1020160109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2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2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8Details; Accessories for making water- or air-tigh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45C15/06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with illumin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9/00Life-saving in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 Audible And Visible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자가 사용하는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라이트와 라이트라인으로 이루어진 조명 키트를 구비하여, 선박의 침몰이나 좌초와 같은 해난 사고 발생 시, 잠수부 등의 구조자가 수상과 연결된 라이트라인의 점등 및 점멸 신호를 이용해 구조자의 상태 및 수색 정보 등을 수상으로 전달하고, 수중 설치 가능한 볼라이트를 이용해 수중 조명 및 수색 정보 표시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라이트라인과 볼라이트를 이용해 요구조자의 피난 경로를 표시하여 안전한 퇴선을 유도할 수 있는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WATER PROOFING BAG FOR SEA RESCUE WORK}
본 발명은 구조자가 사용하는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볼라이트와 라이트라인으로 이루어진 조명 키트를 구비하여, 선박의 침몰이나 좌초와 같은 해난 사고 발생 시, 잠수부 등의 구조자가 수상과 연결된 라이트라인의 점등 및 점멸 신호를 이용해 구조자의 상태 및 수색 정보 등을 수상으로 전달하고, 수중 설치 가능한 볼라이트를 이용해 수중 조명 및 수색 정보 표시 등에 사용할 수 있으며, 라이트라인과 볼라이트를 이용해 요구조자의 피난 경로를 표시하여 안전한 퇴선을 유도할 수 있는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침몰이나 좌초와 같은 해난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구조자가 선박 내부로 들어가 요구조자의 수색 및 구조를 신속하게 실시해야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런데 해난 사고 발생 시, 선박 내부로 물이 들어와 선박이 일측으로 기울면서 침몰됨에 따라 선박의 전력시설이 파손되면, 선박 내부의 조명이 없어 수색 및 구조 작업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휴대용 조명을 사용할 수 있으나,
구조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용 조명의 수에는 한계가 있고, 대형 여객선과 같은 선박은 승객실 등의 내부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요구조자를 발견하더라도 구조자가 안전한 퇴로를 선택하여 요구조자의 퇴선을 유도해야 하기 때문에 휴대용 조명만으로 다수의 요구조자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즉, 선박이 침몰됨에 따라, 안전한 퇴로가 유동적일 수밖에 없으므로, 구조자는 침수되지 않거나 침수 정도가 낮은 퇴로를 선택하여 요구조자를 유도하여 구조해야 하는데, 조명의 부재로 말미암아 당황한 요구조자가 부정확한 퇴로로 이동할 위험성이 있으며,
종래의 해난 구조 장비들은, 상기와 같은 경우에 어둠 속에서 요구조자들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퇴선을 유도할 수 있는 장비가 없어, 해난 구조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 있다.
한편 해난 사고는 선박의 침몰이 수반되므로, 해난 구조자들은 대부분 잠수부들로 구성되는데, 잠수부의 특성 상 마스크의 조명에 의지할 수밖에 없어 요구조자 또는 시신의 수색 작업이 어렵다.
또한 잠수부들이 선박 내부를 수색하기 전, 선박의 내부 구조를 미리 숙지하고 담당 영역을 나누어 수색 및 구조 작업을 실시하고 있으나, 대형 선박의 경우 내부 구조의 복잡함으로 인해 이미 수색이 완료된 장소를 다른 잠수부가 다시 재수색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수색 및 구조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진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잠수부가 수색 및 구조 작업을 여러 번 반복 실시하는 경우에도, 선박이 침몰하면서 변경되는 내부 구조 또는 시야 확보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이미 수색한 장소를 반복 수색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안 장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나아가 잠수부는 산소 공급 내지 잠수부의 안전을 위해, 구조 선박에 권취된 잠수용 케이블을 연결한 상태로 수색 및 구조 작업을 실시하는데,
잠수 수색의 특성 상 잠수부와 구조 선박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전달을 위한 마땅한 장비가 없기 때문에,
잠수부는 자신의 현 상태, 수색 정보, 하강 및 상승 등의 각종 정보를 수상의 구조 선박에 전달하기 위해,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신호로 대체하고 있어 신호 전달의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 있으며,
이러한 잠수용 케이블은 대부분 구조 선박에 구비된 케이블 권취기의 작동에 따라 케이블이 감기거나 풀어지는 형태이므로, 잠수부가 케이블의 길이 조절을 능동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케이블을 잡아당기는 등의 줄 신호를 바탕으로 케이블 권취기의 작동에 맞게 잠수부가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형태이어서 수색 및 구조 작업을 신속하게 실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형 선박의 경우 주지한 바와 같이, 내부 구조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케이블이 선박 구조물에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면, 잠수부가 전달하는 신호가 구조 선박으로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또 다른 인명 사고가 야기될 위험성이 매우 크다.
참고로 재난 발생 시 대피로 등을 보다 쉽게 식별 가능하도록 하는 라이트라인을 이용한 종래기술로써, 등록특허 제10-1016940호, 등록특허 제10-1560769호 등이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케이블에 LED 광원을 단순 추가하여 육상 재난 시 안전한 대피로를 확보하는데 국한될 뿐 이어서, 해난 사고와 같은 특수 구조 작업에 활용하기 어려우며, 그 용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에 해난 구조 시, 수색, 구조 및 퇴선에 필요한 충분한 조명 확보, 요구조자의 안전한 퇴로 유도, 수색 작업의 효율성 보장 및 잠수부와 구조 선박의 쉽고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전달을 통해 잠수부가 보다 신속하게 움직여 수색 및 구조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볼라이트와 라이트라인을 포함하는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은,
구조자가 사용하는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에 있어서,
어깨 끈을 구비한 방수 가방;
상기 방수 가방에 구비되는 조명 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명 키트는,
상기 방수 가방에 구비되며, 광원을 구비한 복수개의 수중 설치용 볼라이트와,
상기 방수 가방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방수 피복된 광원을 구비하여 수상과 연결된 라이트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에서,
상기 라이트라인은,
상기 방수 가방에 내장되는 것으로,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케이블 권취기의 권취릴에 권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에서,
상기 방수 가방은,
상기 권취릴과, 상기 모터와,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각각 장착되는 공간부들이 격벽으로 구획화되어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은,
상기 방수 가방에 구비되는 휴대용 방수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은, 선박의 침몰이나 좌초와 같은 해난 사고 발생 시, 잠수부 등의 구조자가 수상과 연결된 라이트라인의 점등 및 점멸 신호를 이용해 구조자의 상태 및 수색 정보 등을 수상으로 쉽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수중 설치 가능한 볼라이트를 이용해 수중 조명 및 수색 정보 표시에 사용하여 수색 및 구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고, 라이트라인과 볼라이트를 이용해 요구조자의 피난 경로를 표시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퇴선을 유도할 수 있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의 개념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권취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생성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은, 크게 잠수부와 같은 구조자가 등에 착용할 수 있는 방수 가방(1), 상기 방수 가방(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수중 설치용 볼라이트(2), 상기 방수 가방(1) 내부에서 자동으로 권취되어 감기거나 풀려서 방수 가방(1) 외부로 인출입되며 수상 선박과 연결되어 있는 라이트라인(L)을 포함하는 조명 키트, 상기 라이트라인(L)이 권취된 케이블 권취기(3)를 제어하는 컨트롤러(4) 및 수중에서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수 수평계(5)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방수 가방(1)은, 잠수부가 수중 수색을 실시할 때 내부로 물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장된 케이블 권취기(3) 부품들의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된 일반 가방과 같이 구조자의 양 어깨에 방수 가방(1)을 걸을 수 있는 한 쌍의 어깨 끈(1a)(1b)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수 가방(1)은, 침수 방지를 위한 다양한 소재(방수 원당 등)로 제작 가능하나, 방수 기능의 향상 및 케이블 권취기(3) 부품들의 견고하고 안전한 장착을 위해, 복수개의 공간부들이 격벽으로 구획화되어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들에 케이블 권취기(3), 모터(40), 전원부(50)를 구성하는 메인배터리(51)와 보조배터리(52)와 같은 해당 부품들이 조립되는 형태로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조명 키트는, 볼라이트(2)와 라이트라인(L)를 포함하는데,
상기 볼라이트(2)는, 내부에 수중 조명으로 활용 가능한 광원이 구비되어, 구조자가 원하는 위치에 볼라이트(2)를 수중 설치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볼라이트(2)는, 필요에 따라 어깨 끈(1a)(1b)이나 방수 가방(1) 외부에 부착되어 수중 조명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객실 등의 특정 장소를 수색한 후 볼라이트(2)를 떼어서 특정 색상으로 발광된 상태로 수중 설치하여, 설치된 장소의 수색 여부나 수색 정보 등을 표시하여 다른 잠수부가 이를 쉽게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동일 장소에 대한 반복 수색이 실시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필요한 구조작업을 신속하게 재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볼라이트(2)의 광원은 다색 점등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점멸 기능까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구조가 완료된 장소에는 볼라이트(2)를 녹색으로 점등하여 설치하고, 수색 후 요구조자가 남아 있는 장소에는 볼라이트(2)를 황색(노란색)으로 점등하여 설치하고, 이동 중 사고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볼라이트(2)를 적색으로 점등하여 설치하는 등과 같은 방법이 있다.
물론 이러한 볼라이트(2)의 색깔 선택 내지 신호 의미는 달라질 수 있으며, 어두운 수중에서 쉽게 식별 가능한 광도 내지 조도를 갖는 것으로 충분하다.
또한 볼라이트(2)는 구조자가 요구조자의 퇴선을 유도할 때, 구조자가 안전한 퇴로를 먼저 확인 및 확보한 후 퇴로를 따라 볼라이트(2)를 설치하여 요구조자에게 퇴로의 시야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조명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볼라이트(2)는, 방수 가방(1) 내부에 수납되는 형태도 가능하나, 수중 조명으로써의 활용 및 구조자가 쉽게 사용 가능하도록, 상기 어깨 끈(1a)(1b)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볼라이트(2)는, 내부에 전원 공급용 배터리가 내장되고, 점등 색깔 변경 내지 점멸을 위한 작동 버튼이 더 구비된다.
이어서 상기 라이트라인(L)이 구비된 상기 케이블 권취기(3)는, 상기 방수 가방(1)에 내장되는 것으로,
권취릴(10)과,
상기 권취릴(10)에 권취되어 방수 가방(1)에서 인출 가능하며 다색 점등 및 점멸 가능한 광원을 구비하고, 그 끝단이 수상의 구조 선박 등에 연결된 라이트라인(L)과,
상기 권취릴(10)을 정회전 및 역회전시키는 모터(40)와,
상기 모터(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권취릴(10)은 라이트라인(L)이 감기는 원통(11)과, 상기 원통(11)의 양측에 결합되어 감기는 라이트라인(L)이 원통(11)을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막음판(13)과, 상기 양측의 막음판(13)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15)과, 일측의 회전축(15)에 연결되고 사용자가 파지하여 권취릴을 수동으로 회전시키는 레버(17)와, 권취릴(10)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모터(40)와, 상기 모터(40) 및 상기 라이트라인(L)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15)은 모터(40)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20은 상기 권취릴(1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프레임(20)이다.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기 권취릴(10)의 양측 회전축(15)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데, 그 결합부위에는 권취릴(10)의 회전이 부드럽게 행해지도록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0)의 상부에는 필요에 따라 방수 가방(1)에서 케이블 권취기(3)를 분리하여 들고 움직일 수 있는 손잡이(21)가 구비된다.
미설명 도면 부호 23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 방수 가방(1)에 케이블 권취기(3)가 장착되도록 하는 장착부이다.
상기 장착부(23)는 방수 가방(1)에 삽입되어 라이트라인(L)이 권취릴(10)에 감기거나 권취릴에서 풀릴 때, 인입 또는 인출되는 라이트라인(L)에 의해 방수 가방(1)이 요동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부는 접촉 마찰력을 높이도록 고무패킹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0)의 일측에는 권취릴(10)에 감겨 있는 라이트라인(L)(10)의 내측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박스(25)가 구비된다.
상기 정렬권취수단(30)은 안내봉(31), 가이드봉(33), 이동대(35), 그리고 이동수단(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봉(31)과 가이드봉(33)은 각각 상기 지지프레임(20)에 결합되고 상기 라이트라인(L)의 권취방향으로 배열되고,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 이동대(35)는, 일단은 상기 안내봉(31)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가이드봉(33)에 결합되며, 안내봉(3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대(35)의 타단이 결합되는 가이드봉(33)은 상기 안내봉(31)과 함께 상기 이동대(35)의 양단을 균형있게 잡아주어, 이동대(35)의 좌우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안내봉(3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대(35)에 순간적으로 부하가 집중되어 이동대(35) 또는 안내봉(31)이 파손, 손상되는 것을 예방한다.
상기 이동대(35)는 상기 안내봉(31)과 가이드봉(33)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고, 라이트라인(L)을 잡은 상태로 상기 안내봉(31)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여 인입되는 라이트라인(L)이 권취릴(10)에 나란히 정렬되어 감기도록 한다.
상기 이동대(35)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안내봉(31)과 가이드봉(33)이 삽입되는 삽입홀(351)이 형성되어 있고, 양단의 삽입홀(351) 사이에는 상기 라이트라인(L)을 잡아주는 두 롤러(35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두 롤러(353)는 라이트라인(L)의 인입 및 인출 시에 라이트라인(L)에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라이트라인(L)이 보다 수월하게 인입 및 인출되도록 하고, 라이트라인(L)이 접촉 마찰력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안내봉(31)이 삽입되는 상단의 삽입홀(351)에는 상기 이동수단(37)의 하나인 이동안내부재(377)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이동수단(37)은 연동회전부재(371), 좌나선(374)홈 및 우나선홈(375), 그리고 이동안내부재(37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동회전부재(371)는 상기 권취릴(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안내봉(31)을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권취릴(10)의 회전축(15)과 상기 안내봉(31)에 각각 풀리(372)를 결합시키고, 두 풀리(372)를 벨트(373)로 연결한 연동회전부재를 사용하였다.
상기 권취릴(10)이 회전을 하면 권취릴(10)의 회전축(15)에 연결된 풀리(372)가 회전을 하고, 이 풀리(372)가 회전을 하여 벨트(373)를 당김으로써 상기 안내봉(31)에 연결된 풀리(372)를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안내봉(31)이 권취릴(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 연동회전부재로는 상기 권취릴(10)의 회전축(15)과 상기 안내봉(31)에 각각 기어를 연결하고, 두 기어가 치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상기 권취릴의 회전축(15)과 상기 안내봉(31)에 각각 톱니를 연결하고 두 톱니를 체인으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좌나선홈(374)과 우나선홈(375)은 상기 안내봉(31)의 외주연에 각각 좌측방향과 우측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호 교차한다.
상기 이동안내부재(377)는 상기 이동대(35)의 상부에 결합되고, 이동안내부재 하부로 돌출되어 있는 두 스크류돌기(378)는 상기 이동대(35)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홀(351)에 배치되고, 상기 두 스크류돌기(378)는 각각 상기 좌나선홈(374)과 우나선홈(375)에 안치되어 스크류결합된다.
상기 안내봉(31)이 회전을 하면, 상기 두 스크류돌기(378) 중에 어느 한 스크류돌기(이하 '제1돌기')가 좌나선홈(374)(또는 우나선홈(375))의 측벽에 접촉되어 밀려 좌나선홈(374)(또는 우나선홈(375))을 따라 좌(또는 우)로 이동을 하고, 이때, 두 스크류돌기(378) 중에 다른 한 스크류돌기(이하 '제2돌기')는 제1돌기(378)가 좌나선홈(374)(또는 우나선홈(375))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우나선홈(375)(또는 좌나선홈(374))에 접촉됨 없이 자연스럽게 우나선홈(375)(또는 좌나선홈(374))을 따라 이동을 한다.
그리고 제1돌기(378)의 좌나선홈(374)에의 접촉 밀림에 의해 이동대(35)가 안내봉(31)의 좌측 끝가지 이동을 하면, 더 이상 좌로 이동할 수 없는 이동대(35)의 반발력으로 제2돌기(378)가 우나선홈(375)에 스크류결합되어, 제2돌기(378)는 우나선홈(375) 측벽에 접촉되어 밀려 우로 이동을 하게 되며, 제1돌기(378)는 좌나선홈(374)에 접촉됨 없이 제2돌기(378)의 스크류 이동에 따라 자연스럽게 좌나선홈(374)을 따라 이동을 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이동대(35)가 안내봉(31)의 우측 끝까지 이동을 하면, 다시 반발력에 의해 제1돌기(378)가 좌나선홈(374)에 스크류결합되어, 이동대(35)가 좌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처럼 상기 권취릴(10)이 회전을 하게 되면 상기 안내봉(31)이 연동하여 회전을 하고, 그에 따라 안내봉(10)의 좌나선홈(374)과 우나선홈(375)에 스크류결합되어 있는 이동대(35)는 안내봉을 따라 좌우로 반복하여 왕복 이동을 하고, 그에 따라 인입되는 라이트라인(L)은 한 곳에 편중됨이 없이 권취릴(10)의 원통(11)에 좌우로 나란히 정렬되어 감긴다.
그리고 권취릴(10)의 일 회전에 대한 안내봉(35)의 회전비와, 안내봉(35)의 일 회전에 대한 이동대(35)의 이동거리비를 조절하면, 라이트라인(L)(10)의 두께에 무관하게 라이트라인(L)이 권취릴(10)에서 동일 라인에 감길때 중첩되어 감기거나 이격되어 감기지 아니하고, 서로 밀착되어 감기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터(40)는 상기 권취릴(1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구조자의 상승이나 하강 또는 움직임에 맞게 라이트라인(L)의 인출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컨트롤러(4)의 조작에 따라 회전방향 및 속도 등이 제어된다.
특히 상기 모터(40)는 방수 가방(1) 내에서, 상기 권취릴(10)이 장착된 공간부와 격벽으로 구획화되어 있는 다른 공간부에 별도로 장착되어, 모터(40)의 구동축만이 격벽을 관통하여 권취릴(10)의 회전축(15)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수색 및 구조 작업 중 의도치 않게 방수 가방(1) 내부로 침수가 발생하면 권취릴(10)와 모터(40)의 결합을 해제하고, 방수 가방(1)에서 지지프레임(20)만을 따로 분리하여 레버(17)를 이용해 라이트라인(L)을 수동으로 감거나 풀어서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전원부(50)는 상기 모터(40)의 작동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축전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축전지는 일반 배터리에 무게가 많이 나가 구조자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으므로, 리튬이온 배터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리튬이온 배터리로 이루어진 전원부(50) 역시, 침수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모터(40)와 권취릴(10)이 각각 장착된 공간부와 격벽으로 구획화된 다른 공간부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권취릴(10)을 수동으로 작동하는 것과 같은 비상 상황 시 라이트라인(L)의 점등 및 점멸이 가능하도록, 상기 전원부(50)는 모터(40)와 같은 공간부에 연결되어 구비되는 메인배터리(51)와, 상기 모터(40)와 격벽으로 구획화된 다른 공간부에 내장되는 보조배터리(52)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라이트라인(L)은 수상의 구조 선박 등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1차적으로 수상으로부터 광원에 대한 전원 공급이 되도록 하고, 필요시에만 상기 보조배터리(52)를 모터(40) 또는 지지프레임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지지프레임(20)에는 보조배터리(52) 연결을 위해 방수 구조로 이루어진 소켓부가 더 구비될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4)는, 상기 케이블 권취기(3)를 제어하는 것으로, 모터(40) 및 라이트라인(L)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4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제어 및 라이트라인(L)의 다색 점등과 점멸을 제어한다.
이러한 컨트롤러(4)는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는데, 사용자가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선 어깨 끈(1a)(1b)들 중 어느 하나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구조자는 상기 라이트라인(L)을 직접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감거나 풀면서 능동적으로 신속하게 움직일 수 있으며,
특히 라이트라인(L)의 점등을 통해 수중 조명을 확보함과 아울러, 요구조자를 발견하였을 경우 자신이 진입한 경로가 안전할 때 라이트라인(L)을 따라 이동하여 퇴선을 유도할 수 있어 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인명을 구조할 수 있다.
나아가 컨트롤러(4)를 이용해 라이트라인(L)의 점등 색깔 및 점멸 신호의 변경 내지 조합하여, 구조자의 현재 상태나 수색 정보 등을 수상의 구조 선박으로 쉽게 전달하여 빠르고 정확한 수색 및 구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라이트라인(L)을 적색으로 점등하면 잠수부 자신이 위험하여 구조 등의 후속 조치를 취해달라는 신호를 의미하고, 라이트라인(L)을 녹색으로 점등하고 있으면 수색 및 구조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하고, 황색(노란색)으로 라이트라인(L)을 점등하면 요구조자를 인도하여 구조자가 함께 퇴선 중임을 의미하는 등과 같이, 라이트라인(L)의 다색 점등 및/또는 점멸의 조합을 통해, 수상과의 정확한 신호 전달이 이루어져, 수색 및 구조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라이트라인(L)의 광원은 적색, 녹색, 황색 등으로 이루어진 3가닥의 조명케이블로 형성되어, 조명케이블들을 방수 피복하여 침수에 의한 오작동 내지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라이트라인(L)의 색깔 선택 내지 신호 의미는 달라질 수 있으며, 어두운 수중에서 쉽게 식별 가능한 광도 내지 조도를 갖는 것으로 충분하다.
나아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라이트라인(L)은 내부에 산소의 공급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유로를 구비한 산소용 호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수상 선박 등으로부터 구조자의 호흡에 필요한 산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권취릴(10)에 감긴 라이트라인(L)의 끝단부는, 구조자의 산소마스크와 호스로 연결될 것이며, 이는 방수 가방의 착용으로 구조자가 별도의 산소통을 착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물론 방수 가방(1)의 일측 또는 양측에 별도의 산소통이 구비되는 형태여도 무방하다.
이어서 상기 휴대용 방수 수평계(5)는, 기울임 정도를 표시하여 현재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구조자의 현 수평 상태를 쉽게 확인할 뿐만 아니라, 선박의 기울기나 선실 내부 구조물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수색 및 구조에 활용 가능하도록,
상기 어깨 끝에 탈부착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권취릴(10)과 모터(40)와 전원부(50)가 각각 장착되는 공간부들 외에, 격벽으로 구획화된 다른 공간부에 구조에 필요한 각종 공구나 물품이 추가로 보관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의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진 방수 가방(1)은, 각 공간부를 개별 개폐 가능하도록 하는 커버와 같은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개폐수단에 방수를 위한 밀폐부재가 추가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케이블 권취기(3)의 작동, 즉 라이트라인(L)의 다색 점등 및 점멸, 그리고 모터(40)의 작동이, 상기 컨트롤러(4)에 구비된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통해 제어되는데,
이러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는 고주파에 의한 영향, 전원부(50)의 강한 전계장에 의한 간섭, 외부 환경(온도, 습도, 먼지 등)에 의한 영향 등, 각종 외부요인에 의해 노이즈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이렇게 제어신호에 유입된 노이즈는 제어신호의 전압 레벨을 급증 또는 급감시켜 각 구성의 불안정한 동작을 야기하고, 나아가 오작동 및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에, 노이즈의 유입 가능성을 원천 배제한 클린 상태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모듈(100)을 구비하여, 제어신호에 유입될 노이즈를 사전에 검출 및 제거하고, 이를 통해 안정된 동작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신호생성모듈(100)은 여러 단계를 거쳐 노이즈를 검출 및 제거하며, 최종적으로 제어신호 출력에 앞서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생성모듈(10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 소자 단위의 명명은 구분하지 않았다. 따라서 각 소자가 포함되는 해당 회로를 통해 유추하거나 또는 도면참조부호를 통해 구분지어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생성모듈(100)은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하는 노이즈증폭부(110),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는 노이즈검출부(120),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130), 노이즈 검출 시에만 필터부를 구동시키는 필터구동부(140),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신호생성부(150) 및, 생성된 제어신호를 안정화하여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신호생성모듈(100)은 노이즈증폭부(110)에서 DC 신호용 전원을 증폭함으로써 이에 포함된 노이즈 역시 증폭시켜 검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노이즈검출부(12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검출하며, 필터부(130)에서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되, 필터구동부(140)를 통해 노이즈 검출 시에만 노이즈 제거 과정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 및 동작 과부하를 방지하고, 신호생성부(150)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으로부터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이를 신호출력부(160)에서 클린 여부를 확인하여 출력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신호생성모듈(100)의 각 부 구성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 및 동작 과정에 대한 설명, 그리고 그에 따른 효과에 대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노이즈증폭부(110)는 신호용 전원을 1차 증폭하는 제1증폭회로(111) 및, 2차 증폭하는 제2증폭회로(1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증폭회로(111)와 제2증폭회로(112)는 동일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각 앰프(A101)(A102), 앰프(A101)(A102)의 (+)단에 연결된 분배저항(R101)(R102)(R103)(R104) 및 캐패시터(C101)(C102), 앰프(A101)(A102)의 출력단과 (-)단 사이에 상호 병렬로 연결된 피드백 저항(R105)(R106) 및 캐패시터(C105)(C106)를 포함한다.
제1증폭회로(111) 및 제2증폭회로(112)의 동작 및 효과를 제1증폭회로(111)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앰프(A101)는 분배저항(R101)(R102)과 피드백저항(R106), 그리고 접지 저항에 의해 비반전 증폭기로 동작하여 신호용 전원의 전압 레벨을 증폭시킴에 따라 노이즈 역시 함께 증폭시켜 노이즈의 검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때 피드백 캐패시터(C105)는 앰프(A101)의 발진을 방지한다.
제2증폭회로(112)에서도 동일한 과정을 거쳐 신호용 전원의 증폭이 이루어진다.
또한 노이즈증폭부(110)는 제1증폭회로(111)의 앰프 출력단과 제2증폭회로(112)의 앰프 (+)단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신호용 전원이 제1증폭회로(111)에서 1차로 증폭되고, 그 출력이 제2증폭회로(112)로 전송되어 2차 증폭됨에 따라 신호용 전원을 2중으로 보다 현저하게 증폭시켜 노이즈 검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음으로, 노이즈검출부(120)는 비교기(121), 이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인가회로(122), 비교기(121)의 (+)단에 연결된 기준회로(1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가회로(122)는 상호 직렬 배치된 직류성분 제거용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와 노이즈확인용 저항(R202)을 포함한다.
또한 기준회로(123)는 상호 병렬 배치되어 노이즈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을 포함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노이즈검출부(120)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인가회로(122)는 노이즈증폭부(110)에서 증폭된 신호용 전원을 저항(R201) 및 캐패시터(C201)를 통해 직류성분을 제거하고 노이즈 성분만 남긴다. 이 후 노이즈 성분을 저항(R202)에 인가한다.
이 후 기준회로는 바이어스 저항들(R203)(R204)(R205)에 의해 기준전압을 생성하고, 비교기(121)가 기준전압과 저항(R202)에 인가된 노이즈 전압을 비교함으로써 노이즈 발생 여부를 검출하고, 노이즈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구동신호를 전송하여 필터부(130)를 구동함으로써 신호용 전원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노이즈 미 검출 시 필터구동부(140)에 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또는 신호를 전송하지 않아 필터부(130)를 구동시키지 않고, 신호용 전원이 바로 신호생성부로 전달되도록 한다.(비구동신호를 전송하거나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실시의 선택은 필터구동부(140)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필터구동부(140)의 구체적인 회로 구성은 이미 널리 공지된 사항인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여도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무리가 없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이즈검출부(120)는 릴레이로 전송하는 신호를 지연시키는 딜레이회로(124)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딜레이회로(124)는 상호 병렬 배치되는 역방향 다이오드(D201) 및 저항(R206)과,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20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딜레이회로(124)의 구비를 통해 필터구동부(140)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노이즈는 연속적, 주기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간헐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필터구동부(140)가 구동 및 비구동을 반복하면서 수명 저하가 발생하게 되므로, 딜레이회로(124)를 구비하여 필터구동부(140)의 작동 후 일정 시간 경과 전까지는 계속하여 필터구동부(140)를 구동하도록 하여 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필터부(130)는 각각의 출력단과 입력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제1 내지 제3필터링회로(131)(132)(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필터링회로(131)는 서로의 에미터와 컬렉터가 연결되어 있는 npn타입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를 포함하되,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301)(Q302)의 베이스에는 각각 상호 병렬 배치된 스위칭다이오드(D301)(D302) 및 캐패시터(C301)(C302)가 연결되고, 제1트랜지스터(Q301)의 베이스와 제2트랜지스터(Q302)의 베이스 사이에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3)(C304)와, 캐패시터(C304)와 직렬을 이루는 두 저항(R303)(R30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필터링회로(132)는 제1필터링회로(131)와 동일 구조를 갖는다.
아울러 제3필터링회로(133)는 상호 병렬 배치된 두 개의 캐패시터(C305)(C306)와, 캐패시터(C306)와 직렬로 연결된 두 저항(R305)(R306)을 포함하되, 제2필터링회로(132)와 제3필터링회로(133) 사이에는 역류 방지용 다이오드(D30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으로 이루어진 필터부(130)를 통해, 3단에 걸쳐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어 종래의 노이즈필터에 비해 노이즈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노이즈의 제거 후 직류에 가까운 일정한 파형을 갖는 신호용 전원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추가적인 정류나 직류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신호생성부(150)는 제어신호 생성을 위한 전압 강하를 제공하는 복수의 다이오드(D501)(D502), 이에 직렬 연결된 필터링용 인덕터(L501) 및, 다이오드들(D501)(D502)과 인덕터(L501)에 병렬 연결된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02)(C503)(C50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는 도면에서는 2개 구비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복수로만 구비하면 되고, 필요한 전압 강하 정도에 따라 2개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150)의 동작 및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이 전압 강하용 다이오드(D501)(D502)를 통과하면서 제어신호에 알맞은 전압 레벨로 변환되고, 변환 과정에서 유입 또는 생성되는 잡음에 대해서는 필터링용 인덕터(L501)와 필터링용 캐패시터들(C501)(C02)(C503)(C504)에 의해 제거되어, 클린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신호출력부(16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신호출력부(160)는 제어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출력제어소자(161), 이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포함된 잡음을 제거하는 안정화회로(162), 출력제어소자(161)에 연결되어 제어신호의 상태를 감지하고 출력제어소자(161)로 피드백하는 감지회로(163) 및, 출력제어소자(16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회로(16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 회로 별로 동작 및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안정화회로(162)는 직렬 연결된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와, 이에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601)를 포함한다.
이러한 안정화회로(162)는 전달된 제어신호를 저항(R601) 및 다이오드(D601)를 통해 캐패시터(C601)에 저장함으로써 신호 유입에 대한 완충을 제공하여 제어신호의 끊김을 억제하고, 출력제어소자(161)의 과부하를 방지한다.
다음 감지회로(163)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2)과 저항(R603) 및 필터링용 캐패시터(C602)(C603)를 포함한다.
이러한 감지회로(163)는 제어신호의 전류를 저항(R602)을 통해 전압으로 변환하고, 저항(R603)에 인가되며, 캐패시터(C602)(C603)를 통해 필터링되어 출력제어소자(161)로 전달한다. 이 후 출력제어소자(161)는 감지회로(163)를 통해 최종적으로 출력될 제어신호의 노이즈 포함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제어신호의 재 필터링을 명령하게 된다.
다음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 이에 병렬 연결된 충전용 캐패시터(C604)(C605)(C606) 및, 이에 직렬 연결된 방전 방지용 다이오드(D6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출력제어소자(161)는 제어신호의 출력 상태를 최종적으로 점검하고 출력하기 위한 소자로 항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제품 전체에 공급되는 전원은 물론 비상상황을 대비한 추가적인 전원 공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회로(164)가 신호용 전원을 적절하게 처리하여 출력제어소자(161)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별도로 공급하게끔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원공급회로(164)는 전압 변환용 저항(R604)(R605)을 통해 노이즈가 제거된 신호용 전원을 캐패시터(C604)(C605)(C606)에 저장함으로써 비상 상황 발생 시에도 출력제어소자(161)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이 때 다이오드(D604)를 통해 캐패시터(C604)(C605)(C606)에 충전된 전원이 방전되지 않도록 하고, 비상 상황 발생 시에는 출력제어소자(161)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 각 회로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소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이는 통상의 기술자의 실시에 따라 설계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방수 가방 1a, 1b : 어깨 끈
2 : 볼 라이트 3 : 케이블 권취기
4 : 컨트롤러 5 : 수평계
10 : 권취릴 20 : 지지프레임
30 : 정렬권취수단 40 : 모터
50 : 전원부 51 : 메인배터리
52 : 보조배터리 100 : 신호생성모듈

Claims (4)

  1. 구조자가 사용하는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에 있어서,
    어깨 끈을 구비한 방수 가방;
    상기 방수 가방에 구비되는 조명 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조명 키트는,
    상기 방수 가방에 구비되며, 광원을 구비한 복수개의 수중 설치용 볼라이트와,
    상기 방수 가방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방수 피복된 광원을 구비하여 수상과 연결된 라이트라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라인은,
    상기 방수 가방에 내장되는 것으로,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케이블 권취기의 권취릴에 권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가방은, 상기 권취릴과, 상기 모터와, 상기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가, 각각 장착되는 공간부들이 격벽으로 구획화되어 있는 플라스틱 사출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가방에 구비되는 휴대용 방수 수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
KR1020160109499A 2016-08-26 2016-08-26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 KR1018762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499A KR101876254B1 (ko) 2016-08-26 2016-08-26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9499A KR101876254B1 (ko) 2016-08-26 2016-08-26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711A true KR20180023711A (ko) 2018-03-07
KR101876254B1 KR101876254B1 (ko) 2018-07-10

Family

ID=6168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9499A KR101876254B1 (ko) 2016-08-26 2016-08-26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2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476B1 (ko) 2021-05-13 2022-10-31 김덕후 법광원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520A (ko) * 1997-07-01 1999-02-05 이성문 수평계를 이용한 허리교정방법
KR100916565B1 (ko) * 2008-10-09 2009-09-08 주식회사 액츠이큐먼트 재난구조장치
KR101569015B1 (ko) * 2015-07-09 2015-11-20 주식회사 두빛 비상 조명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1476B1 (ko) 2021-05-13 2022-10-31 김덕후 법광원 케이스
KR20220154640A (ko) 2021-05-13 2022-11-22 김덕후 법광원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6254B1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789B1 (ko) 선박의 선내 비상탈출장치
CN201619680U (zh) 鱼式水下搜救器
US7174844B2 (en) Simulator and method for performing underwater submarine escape training
KR101876254B1 (ko)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
JP2018530088A (ja) 水難事故から守るため、特に溺者等を早期に発見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CN110901862B (zh) 一种冰面救援机器人
JP6304710B2 (ja) 要救助者揚収ウィンチ昇降方法及び昇降装置
KR20140083952A (ko) 선박의 비상탈출장치
CN109080794A (zh) 一种用于水下航行器应急上浮的充气式救援装置及方法
KR101350017B1 (ko) 수중 관람 및 체험용 유인 잠수정
CN104030129A (zh) 一种升降式水下观光装置
JP2015137058A (ja) 水中観光及び体験用の有人潜水艇
CN108860520A (zh) 应用于潜水作业的装置
KR20150139242A (ko) 선박용 침몰 구조 시스템
KR101866744B1 (ko) 라이트백
CN215884019U (zh) 一种带模块化挂载装备的无人救生艇
US9193424B2 (en) Manned submarine for underwater viewing and experience
JP2003164536A (ja) 昇降装置
CN217305962U (zh) 一种防溺水穿戴防护物
KR200322262Y1 (ko) 무인 원격 구명선의 수중 카메라 구조
KR20150004610U (ko) 선박 탈출 안전사다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여객선
CN104802970A (zh) 水中观览及体验用载人潜水艇
CN112587828B (zh) 一种针对具有塌方危险的深洞救援设备
KR20170137995A (ko) 구명정용 발광신호 발생장치
KR100999282B1 (ko) 선박의 출구 비상 유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