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015B1 - 비상 조명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상 조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9015B1
KR101569015B1 KR1020150097494A KR20150097494A KR101569015B1 KR 101569015 B1 KR101569015 B1 KR 101569015B1 KR 1020150097494 A KR1020150097494 A KR 1020150097494A KR 20150097494 A KR20150097494 A KR 20150097494A KR 101569015 B1 KR101569015 B1 KR 101569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ne
light
power
driving
bobb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7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정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빛
Priority to KR10201500974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9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9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9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21L4/085Pocket lamps
    • F21S4/00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른 조명장치와의 연결 또는 조명을 제공하는 라이트라인장치와 라이트라인장치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는 구동장치를 서로 분리 가능하면서 캐리어 형태로 이동과 휴대가 편리하도록 구현한 비상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이 용이한 캐리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평상시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해 두고, 필요시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해 주기 위한 구동장치; 및 이동과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릴 방식으로 감아 두었다가 필요시에 풀어서 길이 연장이 가능한 라이트라인부를 구비하며, 평상시에 구동장치에 탑재되어 있다가, 필요시에 구동장치와 분리되어 라이트라인부를 통해 상기 구동장치에 연결시켜, 구동장치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탈출 방향을 표시함과 동시에, 외부의 조명장치 또는 다른 전기기기로 전달해 주기 위한 라이트라인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 조명 시스템{Emergency lighting system}
본 발명은 비상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른 조명장치와의 연결 또는 조명을 제공하는 라이트라인장치와 라이트라인장치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는 구동장치를 서로 분리 가능하면서 캐리어 형태로 이동과 휴대가 편리하도록 구현한 비상 조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비상 조명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지하시설 공간이나 엘리베이터 카 내부 등과 같이 조명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되어, 돌발적인 사고나 정전으로 인해 전원공급이 중단될 경우에, 형광램프를 비상으로 점등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비상 조명 시스템은 AC전원으로부터 연결된 배터리 충전회로를 통해 배터리에 일정량의 전원을 충전하고, AC용 릴레이를 통해 고압발생기와 연결된 램프를 연결하여 정상전원의 공급 차단 시에 배터리의 전원을 AC릴레이를 통해 고압발생기에 연결된 램프를 비정상적으로 점등하도록 해 준다.
이러한 비상 조명 시스템은, AC전원이 차단되면 릴레이 동작에 의해 램프를 비정상적으로 점등시키고 있어, 정상적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한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될 때까지 배터리와 비상점등 회로를 연결하고 있으며, 이에 배터리의 과방전을 초래하고, 또한 배터리의 특성상 과충전이나 과방전 상태에 도달하면 배터리가 손상되어 사용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정전시간이 배터리의 비상동작시간보다 길어지면 배터리가 완전 방전되어 배터리를 손상시켜 추후 충전이 제대로 되지 않아 비상점등이 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비상 조명 시스템은 단순히 램프 부하만을 비상시에 점등시키는 것으로, 램프의 조도가 낮아 주로 비상시에 사람을 유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별도로 일반 조명을 시설해야 하는 경제적 손실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98017호(2105.02.25 등록)는 케이스 내부에 조명 장치의 구성물을 구비하다가 케이스의 덮개를 열어 간단한 조작으로 구성물을 꺼내어 조명 설치하도록 한 휴대 비상 조명 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휴대 비상 조명 장치를 내부에 구비시켜 보관하기위한 케이스; 일 측 케이스 내부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조명 거치대; 조명 거치대의 다른 일 측 결합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을 발광하기 위한 조명 장치; 케이스 내부에 배터리를 구비하며, 외부 전원공급원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에 충전하거나,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조명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케이스를 덮어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조명 거치대, 조명 장치, 전원 공급 장치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조명 장치의 구성물이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케이스의 덮개를 닫고 휴대 이동하도록 구현됨과 동시에, 조명 설치 시에만 케이스 덮개를 열어 간단한 조작으로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조명 구성물을 빼내어 조명 설치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조명 구성물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케이스 덮개에 의해 보호되어, 휴대하여 이동할 경우에 조명 구성물이 파손될 우려가 없으며, 이에 휴대 이동 시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고 조명 구성물을 완전 방수할 수 있으며, 또한 조명 설치 시에는 케이스 덮개를 연 후에 간단한 조작으로 케이스 내부에 구비된 조명 구성물을 빼내어 간단하고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100-0005499호(2100.01.15 공개)는 비상 조명등을 지지체와 본체로 분리 설치하여 수리보수가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정전을 판독하는 과정에서 단순 정전인지 화재로 인한 정전인지를 음성 출력하여 피난자의 침착한 대피를 유도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비상조명등 점등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전기공급용 소켓 및 정전감지용 소켓이 내장되고, 테두리 면에 끼움돌기를 다수 개 형성한 지지체와, 지지체의 전기공급용 소켓 및 정전감지용 소켓에 결합되는 플러그를 각각 구비하고 끼움돌기를 이용하여 착탈되는 비상조명등 본체로 이루어지고; 비상조명등 본체는, 전기공급용 플러그와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와, 충전지와 제어 스위치를 통해 접속되는 비상조명등과,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와, 외부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단순 정전을 알리는 음성 데이터와 화재로 인한 정전을 알리는 음성 데이터를 내장한 메모리와, 정전감지용 플러그와 연결되어 정전을 감지하고, 연기감지 센서 및 열감지 센서와 연결되어 화재상황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정전상황 발생 시에 제어스위치를 제어하여 비상조명등이 점등되도록 하고, 정전상황이 단순 정전인지 화재로 인한 정전인지를 센서의 데이터를 통해 판단하여 메모리의 데이터를 출력하여 스피커를 통해 구분하여 경보하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비상 조명 시스템은, 대부분 구동장치와 조명장치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현장 출동 시에 휴대와 이동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현장 사용 시에도 장치 무게 때문에 사용상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비상 조명 시스템은, 단순히 조명만 들어오게 하는 기능적인 역할만 할 뿐, 조명에 대한 광량(디밍 기능), 속도(불빛이 흐르는 방향에 대한 속도 조절 기능), 방향(불빛이 흐르는 방향에 대한 변환 기능) 등을 다양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없었으며, 이에 출동대원의 안전과 인명구조에 한계성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98017호 한국공개특허 제10-2100-0005499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 내지는 한계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조명장치와의 연결 또는 조명을 제공하는 라이트라인장치와 라이트라인장치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는 구동장치를 서로 분리 가능하면서 캐리어 형태로 이동과 휴대가 편리하도록 구현한 비상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이동이 용이한 캐리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평상시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해 두고, 필요시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해 주기 위한 구동장치; 및 이동과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릴 방식으로 감아 두었다가 필요시에 풀어서 길이 연장이 가능한 라이트라인부를 구비하며, 평상시에 상기 구동장치에 탑재되어 있다가, 필요시에 상기 구동장치와 분리되어 라이트라인부를 통해 상기 구동장치에 연결시켜,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탈출 방향을 표시함과 동시에, 외부의 조명장치 또는 다른 전기기기로 전달해 주기 위한 라이트라인장치를 포함하는 비상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라이트라인부에 대한 광량, 속도, 방향의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광량제어신호, 속도제어신호, 방향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라이트라인장치에 전달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본체부; 상기 구동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선택을 수행하도록 하며, 충전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며, 입력단자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출력단자를 구비하여 전원을 상기 라이트라인장치나 외부의 조명장치 또는 다른 전기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부; 상기 구동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라인장치를 탑재시켜 주기 위한 라인장치탑재홈부; 상기 구동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본체부를 덮어 보호하기 위한 덮개부; 및 상기 구동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본체부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바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구동본체부를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이트라인장치는, 무게가 가벼운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이트라인장치는,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광량제어신호, 속도제어신호, 방향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광량, 불빛이 흐르는 방향에 대한 속도를 조절하거나, 불빛이 흐르는 방향을 변환시켜 상기 라이트라인부를 점등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이트라인장치는, 라이트라인본체부; 상기 라이트라인본체부의 내부에 감겨 있고 필요시에 풀어 사용하도록 하며, 피메일잭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장치에 연결시켜,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탈출 방향을 표시하도록 점등됨과 동시에 공급받은 전원을 전달해 주기 위한 라이트라인부; 상기 라이트라인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조명장치 또는 다른 전기기기와 연결하며, 상기 라이트라인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외부의 조명장치 또는 다른 전기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메일잭부; 상기 라이트라인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라인본체부를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 및 상기 라이트라인본체부의 상부 양측으로 연결 형성되어, 출동대원의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멜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이트라인부는, 피복을 난연성 PVC 메쉬망 타입으로 메탈 와이어 삽입으로 제작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이트라인부는, EL 라이트 또는 램프의 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이트라인부는, 상기 구동장치의 제어에 따라 피메일잭을 통해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전달받아 탈출구의 진행 방향으로 점등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이트라인부는, EL 냉열 발광으로 푸른색의 발광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이트라인부는,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광량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광량을 조절하며,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속도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점등 속도를 조절하며,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방향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점등 순서를 변환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이트라인부는,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방진행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점등 순서를 전방(순방향)으로 변환해 주며,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후방진행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점등 순서를 후방(역방향)으로 변환해 주며,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광량상승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광량을 상승시켜 주며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되는 광량하강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광량을 하강시켜 주며(광량조절 디밍기능),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속도상승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점등 속도를 상승시켜 주며,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속도하강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점등 속도를 하강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이트라인본체부는, 상기 라이트라인부를 덮어 보호해 줌과 동시에, 일측부에 상기 라이트라인부를 감아주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홀을 구비하는 전방케이스; 상기 라이트라인부를 감아주거나 풀어주기 위한 보빈; 상기 전방케이스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회전축 일측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스핀들; 상기 보빈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전방부 회전을 지지해 주기 위한 전방베어링; 상기 전방케이스의 전방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과 상기 보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베어링의 외측을 고정해 주기 위한 전방베어링포켓; 상기 보빈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후방부 회전을 지지해 주기 위한 후방베어링; 상기 전방케이스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보빈과 상기 후방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베어링의 외측을 고정해 주기 위한 후방베어링포켓; 상기 보빈의 회전축 다른 일측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슬립링; 및 상기 외부면에 상기 메일잭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케이스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립링을 고정해 주기 위한 후방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비상 조명 시스템은, 피메일잭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장치 또는 상기 라이트라인장치에 연결시켜, 상기 구동장치 또는 상기 라이트라인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외부의 조명장치 또는 다른 전기기기로 전달해 주기 위한 연결케이블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는, 전원의 온/오프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원온명령 또는 전원오프명령을 생성시켜 상기 구동본체부로 입력해 주기 위한 전원버튼; 불빛의 전방/후방 진행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불빛전방(순방향)진행명령 또는 불빛후방(역방향)진행명령을 생성시켜 상기 구동본체부로 입력해 주기 위한 방향변환버튼; 광량의 상승/하강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광량상승명령 또는 광량하강명령을 생성시켜 상기 구동본체부로 입력해 주기 위한 광량조절버튼; 속도의 상승/하강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속도상승명령 또는 속도하강명령을 생성시켜 상기 구동본체부로 입력해 주기 위한 속도조절버튼; 충전배터리 체크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잔량확인명령을 생성시켜 상기 구동본체부로 입력해 주기 위한 충전배터리체크버튼; 상기 구동본체부로부터 전달되는 충전배터리잔량데이터에 따라 충전배터리의 현재 잔량을 표시해 주기 위한 충전량표시창; 상기 구동본체부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라이트라인장치나 외부의 조명장치 또는 다른 전기기기로 출력시켜 주기 위한 출력단자; 및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구동본체부로 입력해 주기 위한 입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는, 저전압 락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저전압락명령을 생성시켜 상기 구동본체부로 입력해 주기 위한 저전압락버튼; 및 리셋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리셋명령을 생성시켜 상기 구동본체부로 입력해 주기 위한 리셋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본체부는, 전원을 충전배터리에 충전시켜 주며,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 제어에 따라 충전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전달하거나 차단해 주기 위한 전원공급수단;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온명령 또는 전원오프명령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스위치 온시켜 상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로 출력시켜 주거나,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스위치 오프시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주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불빛전방(순방향)진행명령 또는 불빛후방(역방향)진행명령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전방진행제어신호 또는 후방진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라이트라인장치에 전달해 주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광량상승명령 또는 광량하강명령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광량상승제어신호 또는 광량하강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라이트라인장치에 전달해 주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속도상승명령 또는 속도하강명령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속도상승제어신호 또는 속도하강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라이트라인장치에 전달해 주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잔량확인명령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통해 충전배터리의 잔량을 체크하여 충전배터리잔량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로 전달해 주며,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전원공급수단에 공급해 주기 위한 제어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해 두는 메모리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저전압락명령에 따라 상기 전원공급수단을 통해 충전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하여 기 설정해 둔 기준전압의 크기에 도달하는 경우에 시스템 락을 걸어주며, 체크된 충전배터리의 전압이 기 설정해 둔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에 시스템 락을 해제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리셋명령에 따라 시스템을 리셋시켜 다시 부팅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른 조명장치와의 연결 또는 조명을 제공하는 라이트라인장치와 라이트라인장치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는 구동장치를 서로 분리 가능하면서 캐리어 형태로 이동과 휴대가 편리하도록 구현한 비상 조명 시스템을 제공해 줌으로써, 분리 구조의 특성상으로 현장 출동 시에 휴대와 이동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벼운 라이트라인장치만 들고 현장에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극대화시켜 주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동대원의 필요시에 라이트라인장치를 구동장치에 연결한 후에 라이트라인장치만을 들고 현장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이트라인장치의 조명을 3채널 타입(순방향, 역방향 또는 디밍기능)으로 탈출구의 진행 방향으로 점등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3채널로 탈출 방향의 정확한 점등표시 지시로 출동대원의 안전과 인명구조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장치의 제어에 따라 라이트라인장치의 조명에 대한 광량(디밍 기능), 속도(불빛이 흐르는 방향에 대한 속도 조절 기능), 방향(불빛이 흐르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에 대한 변환 기능) 등을 다양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라이트라인장치를 구동장치에 연결해 주는 라이트라인의 피복을 난연성 PVC 메쉬(Mesh)망 타입으로 메탈 와이어(Metal Wire) 삽입으로 제작시켜 줌으로써, 라이트라인에 대한 인장 강도를 극대화시켜 줄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구동장치와 라이트라인장치의 연결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있는 멜빵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구동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있는 라이트라인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조명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 조명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구동장치와 라이트라인장치의 연결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있는 멜빵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비상 조명 시스템(10)은, 구동장치(100), 라이트라인장치(200)를 포함한다.
구동장치(100)는, 이동이 용이한 캐리어 형태(예를 들어, 여행가방 형태)로 이루어지며, 평상시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해 두고 라이트라인장치(200)를 탑재하고 있다가, 필요시에 라이트라인장치(200)와 분리시켜 라이트라인장치(200)에 구비된 라이트라인부(220)(도 2 참조)로 라이트라인장치(200)와 연결하여, 해당 충전된 전원을 라이트라인장치(200)에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장치(100)는, 사용자가 라이트라인장치(200)에 구비된 라이트라인부(220)에 대한 광량(디밍 기능), 속도(불빛이 흐르는 방향에 대한 속도 조절 기능), 방향(불빛이 흐르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에 대한 변환 기능) 등을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광량, 속도, 방향 등의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예를 들어, 광량제어신호, 속도제어신호, 방향제어신호 등)를 생성시켜 라이트라인장치(200)에 전달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장치(100)는, 라이트라인장치(200)에 구비된 라이트라인부(220)의 길이가 200m인 경우에, 크기(Dimension)를 550mm*400mm*236mm로 형성할 수 있으며, 아답터(Adaptor)를 통해 직류 12V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교류 90 ~ 130V/700 ~ 1100Hz를 출력해 줄 수 있으며, 한 번 충전으로 2 ~ 5시간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으며, 전원 온/오프, 광량(Dimming) 조절, 속도(Speed) 조절, 방향(Direction) 변환, 충전배터리 체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2600mAh 이상의 충전배터리(예를 들어, 리튬이온 배터리 등)를 사용할 수 있으며, -30 ~ 80도까지 안정성을 가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본체부(110),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 라인장치탑재홈부(130), 덮개부(140), 바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본체부(110)는, 상부에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를 형성하고, 하부에 라인장치탑재홈부(130)를 형성하고, 일측부에 덮개부(140)를 연결 형성하고, 하단부에 바퀴부(150)를 형성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는, 구동본체부(1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선택(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광량 조절, 속도 조절, 방향 변환, 충전배터리 체크, 저전압 락(Lock), 리셋 버튼 등)을 수행하도록 해 주며, 충전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해 주며, 또한 입력단자(예를 들어, 아답터 충전단자)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출력단자(예를 들어, 잭단자 체결부(즉, 메일잭(Male Jack)))를 구비하여 전원을 라이트라인장치(200)나 외부의 조명장치(또는, 다른 전기기기 등)로 출력해 준다.
라인장치탑재홈부(130)는, 구동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되어, 라이트라인장치(200)를 탑재시켜 준다.
덮개부(140)는, 구동본체부(110)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구동본체부(110)를 덮어 보호해 준다.
바퀴부(150)는, 구동본체부(1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구동본체부(110)를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장치(100)는, 구동본체부(110)를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설명의 편의상으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라이트라인장치(200)는, 이동과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 형태(예를 들어, 릴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릴 방식으로 감아 두었다가 필요시에 풀어서 길이 연장이 가능한 라이트라인부(220)(도 2 참조)를 구비하며, 평상시에 구동장치(100)에 탑재되어 있다가, 필요시에 구동장치(100)와 분리되어 라이트라인부(220)에 의해 구동장치(100)에 연결시켜 구동장치(100)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탈출 방향을 표시해 줌과 동시에, 해당 공급받은 전원을 연결케이블장치(300)(도 2 참조)를 통해 외부의 조명장치(또는, 다른 전기기기 등)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이트라인장치(200)는, 무게가 가벼운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현장 출동 시에 출동대원이 휴대하고 이동하기가 편리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이트라인장치(200)는, 구동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예를 들어, 광량제어신호, 속도제어신호, 방향제어신호 등)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광량(디밍), 속도(불빛이 흐르는 방향에 대한 속도) 등을 조절하거나, 방향(불빛이 흐르는 순방향 또는 역방향)을 변환시켜 라이트라인부(220)를 점등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이트라인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이트라인본체부(210), 라이트라인부(220), 메일잭부(230), 손잡이부(240), 멜빵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이트라인본체부(210)는, 내부에 라이트라인부(220)를 릴 방식으로 감아 두었다가 필요시에 풀 수 있도록 해 주며, 일측부에 메일잭부(230)를 형성하고, 상부에 손잡이부(240)를 형성하며, 상부 양측으로 멜빵부(25)를 연결 형성해 준다.
라이트라인부(220)는, 라이트라인본체부(210)의 내부에 감겨 있고 필요시에 풀어 사용하도록 하며, 피메일잭(Female Jack)을 구비하여 구동장치(100)(즉,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에 구비된 메일잭)에 연결시켜, 구동장치(100)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탈출 방향을 표시하도록 점등됨과 동시에 해당 공급받은 전원을 메일잭부(230)로 전달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이트라인부(220)는, 피복을 난연성 PVC 메쉬(Mesh)망 타입으로 메탈 와이어(Metal Wire) 삽입으로 제작시켜 인장 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얇은 와이어를 세 겹으로 꼬아 만들되, 그 중 하나의 와이어를 금속선으로 삽입시켜 다른 두 선과 꼬아 만들어 피복 내에 삽입 제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이트라인부(220)는, EL(Electro Luminescent) 라이트(Light) 또는 램프(Lamp)의 라인으로서, 황화아연계의 특수한 형광체(즉, 황화아연을 주체로 하는 형광체)를 유전체에 혼합하여 수 10㎛ 정도의 박막으로 하고, 투명한 전극 사이에 두어 콘덴서로 한 것으로, 여기에 높은 전계(예를 들어, 교류 전압)를 가하면 형광을 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이트라인부(220)는, 5파이(mm)의 EL 와이어로 진행방향 표시 및 2웨이(Way) 방식의 3채널 타입으로 형성되며, 구동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피메일잭을 통해 구동장치(100)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전달받아 탈출구의 진행 방향으로 점등해 줄 수 있다. 이에, 라이트라인부(220)는, 3채널 타입으로 탈출 방향을 정확하게 점등표시 지시함으로써, 출동대원의 안전과 인명구조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이트라인부(220)는, EL 냉열 발광으로 푸른색(Blue)의 발광색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이트라인부(220)는, 구동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광량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광량(디밍)을 조절(상승 또는 하강)해 줄 수 있으며, 구동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속도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점등 속도(불빛이 흐르는 방향에 대한 속도)를 조절(상승 또는 하강)해 줄 수 있으며, 구동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방향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점등 순서(불빛이 흐르는 방향)를 변환(전방인 순방향 변환 또는 후방인 역방향 변환)시켜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라이트라인부(220)는, 구동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전방진행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점등 순서(불빛이 흐르는 방향)를 전방(순방향)으로 변환해 주며, 구동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후방진행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점등 순서(불빛이 흐르는 방향)를 후방(역방향)으로 변환해 주며, 구동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광량상승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광량(디밍)을 상승시켜 주며, 구동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광량하강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광량(디밍)을 하강시켜 주며, 구동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속도상승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점등 속도(불빛이 흐르는 방향에 대한 속도)를 상승시켜 주며, 구동장치(200)로부터 전달되는 속도하강제어신호에 따라 이에 대응하여 EL 라이트의 점등 속도(불빛이 흐르는 방향에 대한 속도)를 하강시켜 줄 수 있다.
메일잭부(230)는, 라이트라인본체부(210)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연결케이블장치(300)(즉, 외부의 조명장치(또는, 다른 전기기기 등))와 연결하며, 라이트라인부(220)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연결케이블장치(300)로 전달해 준다.
손잡이부(240)는, 라이트라인본체부(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라이트라인본체부(210)를 들을 수 있도록 해 준다.
멜빵부(250)는, 라이트라인본체부(210)의 상부 양측으로 연결 형성되어, 출동대원의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해 주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비상 조명 시스템(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케이블장치(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케이블장치(300)는, 피메일잭(Female Jack)을 구비하여 구동장치(100)(즉,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에 구비된 메일잭(Male Jack)) 또는 라이트라인장치(200)(즉, 메일잭)를 외부의 조명장치(또는, 다른 전기기기 등)에 연결시켜, 구동장치(100)(즉,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에 구비된 메일잭(Male Jack)) 또는 라이트라인장치(200)(즉, 메일잭)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외부의 조명장치(또는, 다른 전기기기 등)로 전달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비상 조명 시스템(10)은, 다른 조명장치와의 연결 또는 탈출 방향 점등 표시를 제공하는 라이트라인장치(200)와 라이트라인장치(200)에 전원을 공급시켜 주는 구동장치(100)를 서로 분리 가능하면서 캐리어 형태로 이동과 휴대가 편리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분리 구조의 특성상으로 현장 출동 시에 휴대와 이동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벼운 라이트라인장치만 들고 현장에 사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다. 이에, 비상 조명 시스템(10)은, 출동대원의 필요시에 라이트라인장치(200)를 구동장치(100)에 연결한 후에 라이트라인장치(200)만을 들고 현장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이트라인장치(200)에 구비된 라이트라인부(220)를 3채널 타입으로 탈출구의 진행 방향으로 점등시켜 줄 수 있으며, 이에 3채널로 탈출 방향의 정확한 점등표시 지시로 출동대원의 안전과 인명구조의 효율성을 극대화시켜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비상 조명 시스템(10)은, 라이트라인장치(200)를 구동장치(100)에 연결해 주는 라이트라인부(220)의 피복을 난연성 PVC 메쉬망 타입으로 메탈 와이어 삽입으로 제작시켜 라이트라인부(220)에 대한 인장 강도를 극대화시켜 줄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는, 전원버튼(121), 방향변환버튼(122), 광량조절버튼(123), 속도조절버튼(124), 충전배터리체크버튼(125), 충전량표시창(126), 출력단자(127), 입력단자(128)를 포함한다.
전원버튼(121)은, 사용자가 전원을 온하거나 오프하는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전원의 온/오프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전원온명령 또는 전원오프명령을 생성시켜 구동본체부(110)(즉, 제어수단(112))로 입력해 준다.
방향변환버튼(122)은, 사용자가 불빛이 흐르는 방향을 전방(순방향) 또는 후방(역방향)으로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불빛의 전방/후방 진행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불빛전방진행명령 또는 불빛후방진행명령을 생성시켜 구동본체부(110)(즉, 제어수단(112))로 입력해 준다.
광량조절버튼(123)은, 사용자가 광량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광량의 상승/하강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광량상승명령 또는 광량하강명령을 생성시켜 구동본체부(110)(즉, 제어수단(112))로 입력해 준다.
속도조절버튼(124)은, 사용자가 불빛이 흐르는 속도를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기 위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속도의 상승/하강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속도상승명령 또는 속도하강명령을 생성시켜 구동본체부(110)(즉, 제어수단(112))로 입력해 준다.
충전배터리체크버튼(125)은, 사용자가 구동본체부(110)에 구비된 충전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기 위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에 충전배터리 체크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잔량확인명령을 생성시켜 구동본체부(110)(즉, 제어수단(112))로 입력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배터리체크버튼(125)(또는, 저전압락버튼)은, 사용자가 구동본체부(110)에 구비된 충전배터리가 저전압 일 때에 시스템 락(System Lock)을 걸어주도록 하기 위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예를 들어, 두 번 연속해서 누르는 경우)에 저전압 락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저전압락명령을 생성시켜 구동본체부(110)(즉, 제어수단(112))로 입력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배터리체크버튼(125)(또는, 리셋버튼)은, 사용자가 시스템을 다시 부팅시켜 주기 위한 버튼을 선택하는 경우(예를 들어, 기 설정해 둔 시간(예로, 5초) 동안 계속해서 누르고 있는 경우)에 리셋(Reset) 선택을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리셋명령을 생성시켜 구동본체부(110)(즉, 제어수단(112))로 입력해 줄 수 있다.
충전량표시창(126)은, 구동본체부(110)(즉, 제어수단(112))로부터 전달되는 충전배터리잔량데이터에 따라 충전배터리의 현재 잔량을 표시해 준다.
출력단자(127)는, 잭단자 체결부(즉, 메일잭(Male Jack))로서, 구동본체부(110)(즉, 제어수단(112))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라이트라인장치(200)나 외부의 조명장치(또는, 다른 전기기기 등)로 출력시켜 준다.
입력단자(128)는, 아답터 충전단자로서,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본체부(110)(즉, 제어수단(112))로 전달해 준다.
도 5는 도 2에 있는 구동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본체부(110)는, 내부에 전원공급수단(111), 제어수단(112), 메모리수단(113)을 포함한다.
전원공급수단(111)은, 제어수단(112)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을 충전배터리에 충전시켜 주며, 제어수단(112)의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 제어에 따라 충전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전달하거나 차단해 준다.
제어수단(112)은,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즉, 전원버튼(121))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온명령 또는 전원오프명령에 따라 전원공급수단(111)을 스위치 온시켜 전원공급수단(111)으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즉, 출력단자(127))로 출력시켜 주거나, 전원공급수단(111)을 스위치 오프시켜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즉, 출력단자(127))로 출력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주며,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즉, 방향변환버튼(122))로부터 입력되는 불빛전방(순방향)진행명령 또는 불빛후방(역방향)진행명령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방향제어신호(즉, 전방진행제어신호 또는 후방진행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즉, 출력단자(127))를 통해 라이트라인장치(200)에 전달해 주며,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즉, 광량조절버튼(123))로부터 입력되는 광량상승명령 또는 광량하강명령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광량제어신호(즉, 광량상승제어신호 또는 광량하강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즉, 출력단자(127))를 통해 라이트라인장치(200)에 전달해 주며,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즉, 속도조절버튼(124))로부터 입력되는 속도상승명령 또는 속도하강명령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속도제어신호(즉, 속도상승제어신호 또는 속도하강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즉, 출력단자(127))를 통해 라이트라인장치(200)에 전달해 주며,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즉, 충전배터리체크버튼(125))로부터 입력되는 잔량확인명령에 따라 전원공급수단(111)을 통해 충전배터리의 잔량을 체크하여 해당 체크된 충전배터리잔량데이터를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즉, 충전량표시창(126))로 전달해 주며,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즉, 입력단자(128))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전원공급수단(111)에 공급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수단(112)은, 속도 풀(Speed Full) 사용 시에 버튼 최고점에서 라이트라인장치(200)(즉, 라이트라인부(220))의 3채널 전체 발광을 제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수단(112)은,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즉, 저전압락버튼)로부터 입력되는 저전압락명령에 따라 전원공급수단(111)을 통해 충전배터리의 전압을 체크하여 기 설정해 둔 기준전압의 크기에 도달하는 경우에 시스템 락(System Lock)을 걸어줄 수 있으며, 또한 해당 체크된 충전배터리의 전압이 기 설정해 둔 기준전압 이상인 경우에 시스템 락을 해제시켜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수단(112)은,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즉, 리셋버튼)로부터 입력되는 리셋명령에 따라 시스템을 리셋시켜 다시 부팅해 줄 수도 있다.
메모리수단(113)은, 제어수단(112)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해 둔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구동본체부(110)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라이트라인장치(200)(즉, 라이트라인부(220))에 대한 광량(디밍 기능), 속도(불빛이 흐르는 방향에 대한 속도 조절 기능), 방향(불빛이 흐르는 방향에 대한 변환 기능) 등을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제어수단(112)에서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여 광량이나 속도를 조절하거나, 방향을 변환시켜 줄 수 있다.
도 6은 도 2에 있는 라이트라인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라이트라인본체부(210)는, 전방케이스(Case Front)(211), 스핀들(Spindle)(212), 전방베어링(213), 전방베어링포켓(Bearing Pocket)(214), 보빈(Bobin)(215), 후방베어링(216), 후방베어링포켓(217), 후방케이스(Case Rear)(218), 슬립링(Slip Ring)(219)을 포함한다.
전방케이스(211)는, 보빈(215)에 감겨져 있는 라이트라인부(220)를 덮어 보호해 줌과 동시에, 일측부에 관통홀을 구비하여 라이트라인부(220)를 감아주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해 준다.
스핀들(212)은, 전방케이스(211)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보빈(215)의 회전축 일측(전방)을 연결시켜 준다.
전방베어링(213)은, 보빈(215)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보빈(215)의 전방부 회전을 지지해 준다.
전방베어링포켓(214)은, 전방케이스(211)의 전방부에 고정 설치되고, 스핀들(212)과 보빈(215) 사이에 설치되어, 전방베어링(213)의 외측을 고정해 준다.
보빈(215)은, 라이트라인부(220)를 감아주거나 풀어준다.
후방베어링(216)은, 보빈(215)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보빈(215)의 후방부 회전을 지지해 준다.
후방베어링포켓(217)은, 전방케이스(211)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되고, 보빈(215)과 후방케이스(218) 사이에 설치되어, 후방베어링(216)의 외측을 고정해 준다.
후방케이스(218)는, 외부면에 메일잭부(230)가 설치되며, 전방케이스(211)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슬립링(219)을 고정해 준다.
슬립링(219)은, 후방베어링포켓(217)과 후방케이스(218)(내부면) 사이에 설치되어, 보빈(215)의 회전축 다른 일측(후방)을 연결시켜 준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비상 조명 시스템
100: 구동장치
110: 구동본체부
111: 전원공급수단
112: 제어수단
113: 메모리수단
120: 사용자인터페이스부
121: 전원버튼
122: 방향변환버튼
123: 광량조절버튼
124: 속도조절버튼
125: 충전배터리체크버튼
126: 충전량표시창
127: 출력단자
128: 입력단자
130: 라인장치탑재홈부
140: 덮개부
150: 바퀴부
200: 라이트라인장치
210: 라이트라인본체부
211: 전방케이스
212: 스핀들
213: 전방베어링
214: 전방베어링포켓
215: 보빈
216: 후방베어링
217: 후방베어링포켓
218: 후방케이스
219: 슬립링
220: 라이트라인부
230: 메일잭부
240: 손잡이부
250: 멜빵부
300: 연결케이블장치

Claims (5)

  1. 이동이 용이한 캐리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평상시에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해 두고, 필요시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해 주기 위한 구동장치; 및
    이동과 휴대가 용이한 캐리어 형태로 이루어지며, 릴 방식으로 감아 두었다가 필요시에 풀어서 길이 연장이 가능한 라이트라인부를 구비하며, 평상시에 상기 구동장치에 탑재되어 있다가, 필요시에 상기 구동장치와 분리되어 라이트라인부를 통해 상기 구동장치에 연결시켜,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아 탈출 방향을 순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표시함과 동시에, 외부의 조명장치 또는 다른 전기기기로 전달해 주기 위한 라이트라인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본체부;
    상기 구동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선택을 수행하도록 하며, 충전배터리의 잔량을 표시하며, 입력단자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출력단자를 구비하여 전원을 상기 라이트라인장치나 외부의 조명장치 또는 다른 전기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부;
    상기 구동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라인장치를 탑재시켜 주기 위한 라인장치탑재홈부;
    상기 구동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본체부를 덮어 보호하기 위한 덮개부; 및
    상기 구동본체부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구동본체부를 이동시켜 주기 위한 바퀴부를 포함하고,
    상기 라이트라인장치는,
    라이트라인본체부;
    상기 라이트라인본체부의 내부에 감겨 있고 필요시에 풀어 사용하도록 하며, 피메일잭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장치에 연결시켜, 상기 구동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전방인 순방향 또는 후방인 역방향으로 변환기능이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공급받은 전원을 전달해 주기 위한 라이트라인부;
    상기 라이트라인본체부의 일측부에 형성되어 외부의 조명장치 또는 다른 전기기기와 연결하며, 상기 라이트라인부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을 외부의 조명장치 또는 다른 전기기기로 전달하기 위한 메일잭부;
    상기 라이트라인본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트라인본체부를 들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부; 및
    상기 라이트라인본체부의 상부 양측으로 연결 형성되어, 출동대원의 어깨에 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멜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조명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라인본체부는,
    상기 라이트라인부를 덮어 보호해 줌과 동시에, 일측부에 상기 라이트라인부를 감아주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관통홀을 구비하는 전방케이스;
    상기 라이트라인부를 감아주거나 풀어주기 위한 보빈;
    상기 전방케이스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회전축 일측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스핀들;
    상기 보빈의 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전방부 회전을 지지해 주기 위한 전방베어링;
    상기 전방케이스의 전방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스핀들과 상기 보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베어링의 외측을 고정해 주기 위한 전방베어링포켓;
    상기 보빈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빈의 후방부 회전을 지지해 주기 위한 후방베어링;
    상기 전방케이스의 후방부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보빈과 후방케이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베어링의 외측을 고정해 주기 위한 후방베어링포켓;
    상기 보빈의 회전축 다른 일측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슬립링; 및
    외부면에 상기 메일잭부가 설치되며, 상기 전방케이스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립링을 고정해 주기 위한 후방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조명 시스템.
  5. 삭제
KR1020150097494A 2015-07-09 2015-07-09 비상 조명 시스템 KR101569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494A KR101569015B1 (ko) 2015-07-09 2015-07-09 비상 조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7494A KR101569015B1 (ko) 2015-07-09 2015-07-09 비상 조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9015B1 true KR101569015B1 (ko) 2015-11-20

Family

ID=54844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7494A KR101569015B1 (ko) 2015-07-09 2015-07-09 비상 조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90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280B1 (ko) * 2016-07-06 2017-09-05 이상복 비상 유도장치
KR101876254B1 (ko) * 2016-08-26 2018-07-10 (주)코엘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
KR20200112444A (ko) 2019-03-22 2020-10-05 대한전선 주식회사 무선 통신형 라이트 라인
EP3937719A4 (en) * 2019-03-14 2022-12-07 Frontline Lighting LLC FLEXIBLE LIGHT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611Y1 (ko) * 2002-04-03 2002-07-04 김영효 휴대용 조명기기
JP2008282800A (ja) * 2007-03-28 2008-11-20 Pelican Products Inc 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0611Y1 (ko) * 2002-04-03 2002-07-04 김영효 휴대용 조명기기
JP2008282800A (ja) * 2007-03-28 2008-11-20 Pelican Products Inc 照明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280B1 (ko) * 2016-07-06 2017-09-05 이상복 비상 유도장치
KR101876254B1 (ko) * 2016-08-26 2018-07-10 (주)코엘 해난 구조용 조명키트를 구비한 방수 가방
EP3937719A4 (en) * 2019-03-14 2022-12-07 Frontline Lighting LLC FLEXIBLE LIGHTING SYSTEM
KR20200112444A (ko) 2019-03-22 2020-10-05 대한전선 주식회사 무선 통신형 라이트 라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9015B1 (ko) 비상 조명 시스템
KR101812293B1 (ko) 형광등형 led 조명 장치 및 그 점소등 모드 전환 방법
US9574725B2 (en) Smart portable lighting device
EP3439437B1 (en) Light system and method of powering the same
JP2012252832A (ja) 照明用電源装置、照明装置、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WO2006030432A1 (en) An illumination unit employing a led or a fluorescent lamp for normal and emergency operation
JP6132099B2 (ja) 照明装置
KR100715843B1 (ko) 엘이디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등
JP2006115539A (ja) 発光装置及び可視光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101089513B1 (ko) 소화기 위치 알림 장치 및 방법
JP2011134512A (ja) 電源装置、それを用いた防災用照明器具および防災用照明システム
EP2909916B1 (en) Led tube for emergency lighting system
KR200402264Y1 (ko) 복합 비상유도장치
CN202145575U (zh) 应急照明充电座
KR101612777B1 (ko) 무선충전 안전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5232990A (ja) 停電時点灯用のled照明装置
JP3922560B2 (ja) 非常灯及び非常灯無線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200441710Y1 (ko) 착탈식 다기능 비상유도장치
JP6590230B2 (ja) 照明装置
CN109140272B (zh) 手电筒
KR200415006Y1 (ko) 엘이디를 이용한 비상구 유도등
KR20030087133A (ko) 휴대용 비상 조명등
KR102594070B1 (ko) 소화기용 비상 led 램프
JP7284461B2 (ja) 負荷制御装置
JP7340844B2 (ja) 点検動作の自動的な開始が可能な照明装置及び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