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262Y1 - 무인 원격 구명선의 수중 카메라 구조 - Google Patents

무인 원격 구명선의 수중 카메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262Y1
KR200322262Y1 KR20-2003-0015384U KR20030015384U KR200322262Y1 KR 200322262 Y1 KR200322262 Y1 KR 200322262Y1 KR 20030015384 U KR20030015384 U KR 20030015384U KR 200322262 Y1 KR200322262 Y1 KR 2003222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underwater
underwater camera
unmanned remote
remo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5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육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육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육송
Priority to KR20-2003-0015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2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2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2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48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6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 B63B2035/008Unmanned surface vessels, e.g. remotely controlled remotely control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중의 조난자를 구조함에 있어, 구조대원이 투입될 수 없는 악천후나 접근이 난해한 지역내에서 구명선의 원격조정에 의한 신속한 가동이 가능함은 물론, 무인 작동되는 수중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중 실종자를 용이하게 찾아 구조할 수 있도록 한 무인 원격 구명선의 수중 카메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기직립 복원성을 갖는 수밀구조의 선체와, 원격무선 조정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무인원격 구명선을 작동제어하는 제어부와, 엔진을 구동시키는 엔진구동부와, 방향타를 작동시키는 방향타구동부와, 안내방송용 스피커 및 구명선 위치확인용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피커/램프구동부와, 구명튜브를 투하하기 위해 고정수단을 해제하는 고정수단 구동부로 구성된 무인 원격 구명선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도록 연결된 보조 구동부와; 제 1전동모우터에 의해 회전되며 와이어가 감겨진 권취릴과; 상기 권취릴에 감겨진 와이어에 의해 상·하방향의 설정 높이가 조절되는 촬영부가 구비됨에 따라, 수중카메라에 의한 수중 탐색이 가능함에 따라, 수면위에 위치된 조난자는 물론, 수중에 잠수된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무인 원격 구명선의 수중 카메라 구조{Hydrospace Camera Structure of Unmanned Remote control Lifeboat}
본 고안은 무인 원격 구명선의 수중 카메라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에 빠진 조난자를 구조함에 있어, 구조대원이 투입될 수 없는 악천후나 접근이 난해한 지역내에서 구명선의 원격조정에 의한 신속한 가동이 가능함은 물론, 무인 작동되는 수중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중 실종자를 용이하게 찾아 구조할 수 있도록 한 무인 원격 구명선의 수중 카메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명선이라 함은 튜브나 구조대원이 탐승한 보트로 이루어져 물에 빠진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한 것이며, 수중카메라는 통상적으로 지상에서 사용되는 카메라와는 달리, 수중에서도 일반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촬영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현재, 수중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구명선은 기상조건이 좋지않을 경우, 즉, 악천후나 구조대원이 투입될 수 없는 위험한 지역에서는 조난자의 구조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더구나, 이러한 위험지역에서의 조난자 구조시에는 구조대원까지 위협을 받게 되어 또 다른 조난을 당하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명선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구조대원이 직접 탐승하지 않고도 무인상태로 원격조정에 의해 위험한 지역으로 투입시켜 조난자를 구조할 수 있는 구명선이 요구되는 바, 종래의 무인 원격 구명선으로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직립 복원성을 갖는 수밀구조의 선체(10)와, 상기 선체(10)에 설치되어 원격무선 조정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0)와, 상기 수신부(110)의 신호를 받아 무인원격 구명선을 작동제어하는 제어부(100)와, 각각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엔진을 구동시키는 엔진구동부(120)와, 방향타를 작동시키는 방향타구동부(130)와, 안내방송용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구명선 위치확인용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피커/램프구동부(140)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는 구명튜브(50)를 투하하기 위해 고정수단을 해제하는 고정수단 구동부(150)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무인원격 구명선을 이용하여 악천후 등과 같이 기상조건이 좋지 않거나 위험지역으로 구조원의 투입이 곤란한 지역에서의 조난자의 구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인원격 구명선에서는 구조원을 투입할 수 없는 위험지역에서의 조난자의 원할한 구조가 이루어지기는 하나, 조난자들 중 수면위에 떠있지 않고 수중에 잠수된 상태의 조난자(익사자 및 실종자)는 전혀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수중을 탐색할 수 있는 별도의 수중장비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수중 조난자의 위치를 전혀 파악할 수 없는 폐단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악천후나 위험지역에서의 무인원격 구명선을 이용한 인명구조가 이루어짐에 있어, 무인원격 구명선에 무선방식에 의해 작동되는 수중카메라를 설치하여, 수중 탐색이 가능하도록 하고, 수중 탐색이 가능함에 따라, 수면위에 위치된 조난자는 물론, 수중에 잠수된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또한, 익사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무인원격 구명선의 수중카메라 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중 탐색을 위한 수중 카메라의 설정 위치 및 회전각도를 자유롭게 무선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하여, 광범위한 수중 촬영범위를 확보할 수 있어, 보다 더 신속하고 정확한 수중 탐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자기직립 복원성을 갖는 수밀구조의 선체와, 상기 선체에 설치되어 원격무선 조정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의 신호를 받아 무인원격 구명선을 작동제어하는 제어부와, 각각 상기 제어부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엔진을 구동시키는 엔진구동부와, 방향타를 작동시키는 방향타구동부와, 안내방송용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구명선 위치확인용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피커/램프구동부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는 구명튜브를 투하하기 위해 고정수단을 해제하는 고정수단 구동부로 구성된 무인 원격 구명선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도록 연결된 보조 구동부와; 제 1전동모우터에 의해 회전되며 와이어가 감겨진 권취릴과; 상기 권취릴에 감겨진 와이어에 의해 상·하방향의 설정 높이가 조절되는 촬영부가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 상기 촬영부는 상면 중앙에 와이어가 고정된 상부몸체와; 하방으로 조명수단을 갖는 수중카메라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하부몸체와; 상기 상·하부몸체에 수중카메라를 회전구동시키도록 내설된 전원공급 및 신호처리부, 기어부 및 제 2전동모우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또한, 상기 기어부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중카메라에는 무게 중심을 위한 균형추가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무인 원격 구명선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인 원격 구명선의 수중 카메라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 카메라가 설치된 무인 원격 구명선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 카메라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 카메라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보조 구동부 212:권취릴
213:전동기어 214:종동기어
300:촬영부 310:상부몸체
311:하부몸체 320:기어부
330:전원공급 및 신호처리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무인구명선의 수중카메라 구조는 자기직립 복원성을 갖는 수밀구조의 선체(10), 상기 선체(10)에 설치되어 원격무선 조정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0), 상기 수신부(110)의 신호를 받아 무인원격 구명선을 작동제어하는 제어부(100), 제어부(100)에 의해 작동제어 되어 엔진을 구동시키는 엔진구동부(120), 방향타를 작동시키는 방향타구동부(130), 안내방송용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구명선 위치확인용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피커/램프구동부(140),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는 구명튜브를 투하하기 위해 고정수단을 해제하는 고정수단 구동부(150)가 구비된 무인 원격 구명선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도록 보조 구동부(200)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 구동부(200)에 의해 제 1전동모우터(M1)가 구동되어 권취릴(212)에 와이어(W)가 감겨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권취릴(212)에 감겨진 와이어(W)에 의해 촬영부(300)가 상·하방향으로 설정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촬영부(300)는 상부몸체(310)의 상면 중앙에 와이어(W)가 고정되고, 하부몸체(311)에는 하방으로 조명수단(312)을 갖는 수중카메라(313)가 결합되되, 상기 상·하부몸체(311)에 내설된 기어부(320), 제 2전동모우터(M2) 및 스러스트 베어링(322)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부(320)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전동모우터(M2)와 수중카메라(313)에는 전원공급 및 신호처리부(330)에 의해 각각의 전원 및 신호가 전달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중카메라(313)에는 균형추(314)가 결합되어 회전구동시 전체적인 중심을 유지하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인 원격 구명선의 수중 카메라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중 카메라가 설치된 무인 원격 구명선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선체(10)에 수신부(110), 제어부(100), 엔진구동부(120), 방향타구동부(130), 스피커/램프구동부(140) 및 구동부(150)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00)와 보조 구동부(200)가 전기적인 신호방식으로 연결되어 수신부(1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무인 카메라를 구동시키기 위한 신호)가 전달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보조 구동부(200)에 의한 신호에 의해 제 1전동무우터(M1)가 구동되도록 설치되어 와이어(W)가 감긴 권취릴(212)이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W)의 감기거나 풀림작동에 의해 촬영부(300)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촬영부(300)는 와이어(W)의 끝단이 상부몸체(310)에 고정되고, 하부몸체(311)가 누수방지를 위한 방수처리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부몸체(310)와 하부몸체(311) 내부에는 수중 카메라(313)의 회전구동을 위한 제 2전동모우터(M2)와 기어부(320) 및 스러스트 베어링(322)이 내설된다.
이때, 상기 수중 카메라(313)에는 전방시야 확보를 위한 조명수단(312)이 구비되고, 회전 및 유동시 수중 카메라(313)의 전체적인 중심유지를 위해 균형추(314)가 구비된 것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 카메라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중 카메라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 개략도로서, 제 1전동모우터(M1)에 의해 전동기어(213)가 회전되고, 전동기어(213)에 맞물린 종동기어(214)가 회전됨에 따라, 종동기어(214)와 권취릴(212)이 동일축상에 결합되어 연동되고, 권취릴(212)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W)가 감겨지거나 풀어지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상기 권취릴(212)에 감겨진 와이어(W)에 의해 촬영부(300)의 수중 카메라(313)가 고정점을 기점으로 ∠360°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와이어(W)에는 별도의 케이블(C)이 내장된 상태로서, 케이블(C)에 의해 상기 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되어진 신호가 보조 구동부(200)를 통하여 수중 카메라(313)에 전달되고, 수중 카메라(313)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케이블(C)을 통하여 제어부(100) 또는 보조 제어부(200)에 수신되어 무선 발신되거나 기록된다.
여기에서, 상기 촬영부(300)는 수중에 위치되므로 정상적인 구동을 위해 기본적인 방수처리가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체(10)에 설치된 제어부(100)와 전기적인 신호방식으로 연결되도록 보조 구동부(200)가 설치되고, 보조 구동부(200)에는 와이어(W)가 감겨진 권취릴(212)을 설치되되, 제 1전동모우터(M1)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W)가 감겨지거나 풀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W)의 끝단에는 촬영부(300)가 설치된 무인 원격 구명선을 구비한 초기 상태에서, 수중 조난발생, 특히, 악천후이거나 구조대원을 투입하기 난해한 위험한 지역에서의 조난자 구조가 요구될 경우에는 먼저, 무선 원격조정에 의해 무인 구명선을 구조가 요구되는 조난지역에 투입한다.
이와 같이, 조난지역에 투입된 무인 원격 구명선에 의해 조난자의 구조가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수중에 위치된 조난자는 통상적인 조난자 구조방식 즉, 종래의 무인 원격 구명선에 의한 구조방식(공지된 종래의 무인 원격 구명선에 의한 구조 방식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함)에 의해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난자를 구조함에 있어, 수중(잠수)에 위치된 조난자 또는 실종자의 구조 및 탐색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선체(10)에 설치된 수신부(110)에 의해 구동신호가 제어부(100)에 수신되면, 제어부(100)를 통하여 보조 구동부(200)에 신호가 전달되어 보조 구동부(200)에 의해 권취릴(212)이 작동되고, 권취릴(212)이 작동(회전)에 의해 이에, 권취된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W)가 감기거나 풀어짐에 따라, 끝단에 고정된 촬영부(30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되어 수중 카메라(313)의 설정위치가 조절되는것이다.
또한, 상기 와이어(W)에는 전원공급과 신호전달을 위한 케이블(C)이 내장되고, 촬영부(300)의 상·하부몸체(310, 311)에는 수중 카메라(313)의 회전을 위한 제 2전동모우터(M2) 및 기어부(320)가 내설된 상태이므로, 케이블(C)을 통하여 공급된 전원 및 신호가 전원공급 및 신호처리부(330)에 의해 제 2전동모우터(M2)와 수중카메라(313)에 각각 전달된다.
이와 같이, 전원공급 및 신호처리부(330)에 의해 전원과 신호가 제 2전동모우터(M2)와 수중카메라(313)에 전달됨에 따라, 수중카메라(313)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기어부(320)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지되, 제 2전동모우터(M2)와 연결된 쪽의 기어와 수중카메라(313)가 연동되도록 연결된 쪽의 기어는 감속을 위한 소정의 감속비율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하여, 수중카메라(313)가 권취릴(212)의 회전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어짐에 따라, 승하강되고, 기어부(320)에 의해 ∠360°회전되므로서, 광범위하게 수중을 탐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 2전동모우터(M1, M2)는 정·역회전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무인 원격 구명선에 수중에서 무인 원격 조정에 의해 상·하 높이 설정과 ∠360°회전이 자유로 수중 카메라(313)를 설치함에 따라, 악천후나 위험한 지역에서의 조난자 구조는 물론, 수중에 잠수된 실종자를 쉽게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하로 승하강되면서 높이 설정이 자유롭고, ∠360°회전이 이루어지는 수중 카메라가 무인 원격 구명선에 설치됨에 따라, 악천후나 위험지역에서의 무인원격 구명선을 이용한 인명구조가 이루어짐에 있어, 무인원격 구명선에 무선방식에 의해 작동되는 수중카메라에 의해 수중 탐색이 가능하도록 하고, 무인 수중 탐색이 가능함에 따라, 수면위에 위치된 조난자는 물론, 수중에 잠수된 조난자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어 신속한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조난자의 익사사고로 인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중 조난자의 실종시 보다 더 광범위하고 신속·정확하게 실종자를 찾을 수 있어, 실종자 탐색으로 인한 소요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자기직립 복원성을 갖는 수밀구조의 선체(10)와, 상기 선체(10)에 설치되어 원격무선 조정기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0)와, 상기 수신부(110)의 신호를 받아 무인원격 구명선을 작동제어하는 제어부(100)와, 각각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 작동제어되어 엔진을 구동시키는 엔진구동부(120)와, 방향타를 작동시키는 방향타구동부(130)와, 안내방송용 스피커를 작동시키는 동시에 구명선 위치확인용 램프를 점등시키는 스피커/램프구동부(140)와,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는 구명튜브를 투하하기 위해 고정수단을 해제하는 고정수단 구동부(150)로 구성된 무인 원격 구명선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신호가 인가되도록 연결된 보조 구동부(200)와;
    제 1전동모우터(M1)에 의해 회전되며, 와이어(W)가 감겨진 권취릴(212)과;
    상기 권취릴(212)에 감겨진 와이어(W)에 의해 상·하방향의 설정 높이가 조절되는 촬영부(3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원격 구명선의 수중카메라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300)는 상면 중앙에 와이어(W)가 고정된 상부몸체(310)와;
    하방으로 조명수단(312)을 갖는 수중카메라(313)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하부몸체(311)와;
    상기 수중카메라(313)를 회전구동시키도록 상·하부몸체(310, 311)에 내설된 전원공급 및 신호처리부(330), 기어부(320), 제 2전동모우터(M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원격 구명선의 수중카메라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320)는 베벨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원격 구명선의 수중카메라 구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카메라(313)에는 무게 중심을 위한 균형추(31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원격 구명선의 수중카메라 구조.
KR20-2003-0015384U 2003-05-19 2003-05-19 무인 원격 구명선의 수중 카메라 구조 KR2003222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384U KR200322262Y1 (ko) 2003-05-19 2003-05-19 무인 원격 구명선의 수중 카메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5384U KR200322262Y1 (ko) 2003-05-19 2003-05-19 무인 원격 구명선의 수중 카메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262Y1 true KR200322262Y1 (ko) 2003-08-06

Family

ID=49412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5384U KR200322262Y1 (ko) 2003-05-19 2003-05-19 무인 원격 구명선의 수중 카메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2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97A2 (ko) * 2009-11-12 2011-05-1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
KR102192725B1 (ko) * 2020-07-03 2020-12-18 주식회사 나청메이커앤드론 수중 탐사 기반의 드론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9197A2 (ko) * 2009-11-12 2011-05-1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
WO2011059197A3 (ko) * 2009-11-12 2011-11-17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
KR101128032B1 (ko) * 2009-11-12 2012-03-2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자유도 무인 수상 로봇 기반의 수중 작업 로봇
KR102192725B1 (ko) * 2020-07-03 2020-12-18 주식회사 나청메이커앤드론 수중 탐사 기반의 드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401B1 (ko) 드론방식 구명장비 투하장치
AU2014315761B2 (en) Self-propelled craft
KR200474119Y1 (ko) 익수자 구조용 무인비행기
KR102081618B1 (ko) 수상 인명 구조장치
KR102128678B1 (ko) 해상 구조용 무인비행장치
US9205901B2 (en) Aquatic lifesaving device
US9511833B2 (en) Multi-component robot for below ice search and rescue
CN205952319U (zh) 一种可投放救生圈的无人机
KR20160048737A (ko) 간편운전기능을 가지는 인명구조, 환경감시용 드론
KR20150069571A (ko) 드론을 이용한 익수자 구조 방법
KR102192725B1 (ko) 수중 탐사 기반의 드론 시스템
JP2012116387A (ja) 水難救助用無線ヘリコプター及び水難者救助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KR20140031498A (ko) 수상 구조로봇을 이용한 인명 구조시스템
KR101350017B1 (ko) 수중 관람 및 체험용 유인 잠수정
KR200322262Y1 (ko) 무인 원격 구명선의 수중 카메라 구조
CN114132459A (zh) 可控的潜水自航u型动力救生圈及控制系统及控制方法
JP5825696B2 (ja) 水中観光及び体験用の有人潜水艇
CN201721610U (zh) 远程操控水上救援艇
TWM565167U (zh) 水面動力救生圈
KR101956507B1 (ko) Rc 장치가 적용된 인명구조보트
KR100339056B1 (ko) 무인 원격 구명선
CN213057447U (zh) 一种遥控自行式语音救生圈
KR200260989Y1 (ko) 무인 인명 구조 보트
CN217320703U (zh) 一种智能双向交互式救生设备
CN216943497U (zh) 水上消防救援巡逻无人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