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111A -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111A
KR20180021111A KR1020187002113A KR20187002113A KR20180021111A KR 20180021111 A KR20180021111 A KR 20180021111A KR 1020187002113 A KR1020187002113 A KR 1020187002113A KR 20187002113 A KR20187002113 A KR 20187002113A KR 20180021111 A KR20180021111 A KR 20180021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cars
elevator
distance
accel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외르크 뮐러
슈테판 게르슈텐마이어
베른트 알텐부르거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티센크룹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엘리베이터 에이지
Publication of KR20180021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1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33For elevator systems with a single shaft and multipl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2Devices monitoring the users of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37Performance analy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3Destination call input before entering the elevator 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통로 (110) 에서 적어도 두개의 카들 (120, 121)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00) 에 관한 것이고, 제 2 카 (121) 의 방향으로 트레블링하거나 또는 트레블링할 예정인 제 1 카 (120) 는 트레블 커브와 관련하여 이동되고 제 1 카 (120) 와 제 2 카 (121) 사이에 거리 (d) 는 조정 가능한 최소 거리로 제어될 수 있고, 또한 본 발명은 그러한 엘리베이터 장치 (100) 를 위한 제어 시스템 (130) 및 그러한 엘리베이터 장치 (100)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장치{METHOD FOR OPERATING A LIFT SYSTEM, CONTROL SYSTEM, AND LIFT SYSTEM}
본 발명은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적어도 두개의 카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그러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위한 제어 시스템, 및 그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두개 이상의 카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들, 소위 멀티-카 시스템들에서,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카들을 위한 경로들은 제한 없이 항상 자유롭지 않다. 예를 들면, 비상 정지가, 충돌을 방지하는 상황에서 유도될 수 있는 바와 같은, 예를 들면 카의 비상 중지 또는 비상 제동을 통해 개시되지 않도록 예를 들면, 안전 클리어런스들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카는 정상적인 트레블, 즉 그들 정격 값들을 갖는 속도, 가속도 및 저크의 트레블 파라미터들에 의해 그리고 직접 그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을 때까지 그 정적인 위치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허용되지 않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제 2 카가 제 1 카의 경로에 직접 존재할 때에, 제 1 카가 소정의 시간 동안 홀드 백되어 제 2 카가 목적지의 경로를 자유롭게 이동할 때까지 승객들에 대해 카에서 웨이팅 시간들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웨이팅 시간들은 또한 제 1 웨이팅 카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 2 보다 느린 카를 따라 잡는다면 발생된다.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또는 바로 스타팅하지 않는다면, 웨이팅 시간은 승객들을 짜증나게 만들 수 있다.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복수의 카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은 예를 들면, US 7 819 228 B2 로부터 공지되고, 상기 특허에서 두개의 카들의 충돌 가능성은 연속적으로 판별되고, 필수적이라면, 카들의 하나의 또는 양쪽의 속도 또는 가속도/감속도가 변경되거나, 또는 심지어 비계획된 정지가 행해진다.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복수의 카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위한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면, US 6 273 217 B1 로부터 공지되어 있고, 상기 특허에서 카들의 충돌 가능성은 그들의 각각의 목적지 층들에서 두개의 카들이 예상된 도착 시간들을 기초로 하여 판별되고 하나의 카는 필수이라면, 중지된다.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적어도 두개의 카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경우에 따라서 보다 빠르게 그리고 자극 없이 가능한 많은 승객들을 이송하기 위한 가능예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독립항의 특징을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장치가 제안된다. 유리한 실시형태들은 종속항 및 다음의 설명의 대상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적어도 두개의 카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 2 카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또는 이동할 예정인 제 1 카는 여기서 트레블 커브와 관련하여 이동되어 제 1 카와 제 2 카 사이의 거리는 조정 가능한 최소 거리로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속도 및 가속도의 정격 파라미터들이 규정되는 예를 들면 종래의 트레블 커브로부터의 편차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카 뒤에 트레블링될 예정인 제 1 카는 모든 승객들이 탑승했을 때에 이미 이동을 스타팅할 수 있고 카는 예를 들면, 제 2 카가 여전히 제 1 카에 너무 가깝게 있기 때문에 정격 파라미터들을 갖는 종래의 트레블이 아직 가능하지 않을지라도 이동할 준비를 한다. 카가 이동을 스타팅하기 전에 불안한 웨이팅 시간들은 따라서 회피되어야 한다. 속도 및 가속도와 같은 트레블 파라미터들은 여기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최소 거리로 두개의 카들 사이의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 2 리딩 카의 예상치못한 비상 중지의 경우에 카들 사이의 충돌과 같은 어떠한 위험한 상황들도 발생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거리 제어를 통해, 제 1 트레일링 카는 제 2 리딩 카의 트레블에 최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제 1 카에 의해 목적지 층의 가능한 가장 빠른 달성은 이러한 방식으로 가능해진다. 특히, 최소 거리를 제어함으로써, 이러한 최소 거리는 신중하게 접근될 수 있다. 제어 프로세스의 상황에서, 최소 거리는 트레블의 스타트 시에 확실하게 고려될 수 있지만, 대조적으로 예를 들면, 단지 소정의 거리가 언더슈팅 (undershoot) 될 때에만 발생하는 날카로운 제동은 예를 들면, 승객들에 의해 감지되는 원치않는 저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그것이 각각의 두개의 이웃하는 카들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또한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두개 초과의 카들이 존재할 때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는 또한 하나의 카의 트레블 커브가 복수의 리딩 카들에 종속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적어도 두개의 카들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고, 제 2 카의 방향으로 트레블링하거나 또는 트레블링할 예정인 제 1 카는 트레블 커브와 관련하여 이동되고 제 1 카와 제 2 카 사이의 조정 가능한 최소 거리는 항상 유지되고, 제 1 카는 트레블 커브와 관련하여 이동되어 제 1 카와 제 2 카 사이의 거리는 조정 가능한 최소 거리로 제 1 카를 이동시킬 때 제어되어, 제 1 카는 제 2 카로부터 이러한 최소 거리에 신중하게 접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최소 거리는 제 1 카 및/또는 제 2 카의 속도에 종속되어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다 빠른 속도에서 보다 큰 제동 거리에 대한 감안이 행해질 수 있다.
유리하게 제 1 카와 제 2 카 사이의 거리는 제 1 카에 대해 가상 정지 지점의 연속적인 연산으로 최소 거리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가상 정지 지점에서 제 1 카는 제 2 카로부터 안전 클리어런스에 의해 정지될 수 있다. 두개의 카들 사이의 최소 거리는 가상 정지 지점의 그러한 판별 또는 연산을 통해 매우 작게 유지될 수 있다. 가상 정지 지점은 예를 들면 제 1 카가 제 2 카의 현재 위치로부터 안전 클리어런스에 의해 중지되도록 항상 선택될 수 있다.
제 2 카의 제동 거리는 가상 정지 지점의 판별에서 고려되는 경우가 유리하다. 최소 거리는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로 감소될 수 있는 데, 왜냐하면 제 1 카의 제동의 마지막과 제동의 가설상의 스타트 사이에서 제 2 카에 의해 커버되는 거리가 고려되기 때문이다.
바람직하게 제 2 카의 제동 거리는 비상 중지에 따라 또는 제 2 카의 제어된 비상 감속 및/또는 제 2 카의 로딩에 따라 판별된다. 이는 양쪽 카들의 가설의 정지 후에 두개의 카들 사이에 필수적인 안전 클리어런스를 동시에 유지하면서 가능한 정밀하게 제 2 카의 제동 거리의 판별을 허용한다.
제 1 카의 트레블 커브는 제 2 카의 트레블 커브의 함수로서 설정되고 그리고/또는 규정되는 경우가 유리하다. 특히 정확한 제어는 이러한 방식으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방식으로 리딩 카의 속도에서 예상되는 가능한 변화로 초기 단계에서 반응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및 제 2 카들의 접근 시에, 두개의 카가 최대 사전 결정된 수의 층들만큼 떨어져 있다면 제 1 카는 제 2 카보다 낮은 가속도에 의해 가속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속도가 더 빨라짐과 함께 증가하는 최소 거리를 동시에 고려하면서 두개의 카들의 동시의, 또는 적어도 실질적으로 동시의 출발을 허용한다. 승객들에 대한 웨이팅 시간은 이러한 방식으로 회피된다. 층들의 수는 여기서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장치가 위치되는 빌딩에 따라 그리고 카들의 가능한 가속도 및 속도에 따라 규정될 수 있다. 두개 내지 네개의 층들이 특히, 층들의 수로서 규정될 수 있다.
접근 중에, 제 1 카가 최대 활용 가능한 또는 허용 가능한 가속도를 사용하여 이동되어 제 1 카와 제 2 카 사이의 최소 거리가 가능한 빨리 달성되는 경우가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1 카는 이를테면 최소 거리에 이를 때까지 제 2 카까지 가능한 빠르게 구동된다. 트레블 시간들은 이러한 방식으로 최소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 1 카의 속도, 가속도, 감속도 및/또는 저크는 트레블 커브에 의해 규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적의 트레블 커브는 예를 들면 연속적으로 연산될 수 있고, 상기 최초 양들은 드라이브의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제어기 또는 그 부품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유리하게 제 1 카의 속도, 가속도, 감속도 및/또는 저크는 최대 및/또는 최소 값들에 의해 각각 제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한편으로 안전에 관련된 제한이 유지되고 다른 한편으로 에너지가 절감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특히 저크를 위한 설계들을 통해, 즉 시간에 따른 가속도의 변화를 통해, 승객들이 불편하게 여기는 구동 상황들이 회피될 수 있다.
제 1 카의 속도, 가속도, 감속도 및/또는 저크가 최대 또는 정격 값들로부터 벗어나는 트레블에서, 제 1 카에서 승객들이 각각의 편차에 관해 시각적으로 그리고/또는 청각적으로 통지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절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청각적 수단이 예를 들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보통보다 낮은 속도로부터 기인하는 승객들의 일부가 느끼는 잠재적인 불안감들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카와 제 2 카 사이의 거리가 두개의 카들의 위치 판별 시스템에 의해 판별되는 경우가 유리하다. 예를 들면, 카들에서 상응하는 센서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간단한 마킹들과 같은 그러한 위치 판별 시스템들은 엘리베이터 시스템들에서 임의의 경우에 일반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는 제안된 방법의 특히 간단한 실행을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또한 복수의 엘리베이터 통로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탬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방법은 적어도 두개의 카들이 존재하는 그런 곳에서 모든 엘리베이터 통로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적어도 두개의 카들을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 및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적어도 두개의 카들을 포함한다.
반복들을 회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 및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이점들에 대한 상기 설명이 참조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이점들 및 실시형태들은 설명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도출된다.
상기 인용된 특징들 및 여전히 아래에 설명될 것들은 각각의 경우에 주어진 조합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틀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조합들 또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들에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의해 개략적으로 예시되고,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1 은 두개의 카들을 갖는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의 엘리베이터 통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방법의 경우에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두개의 카들의 트레블 커브들을 도표로 도시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방법의 경우에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두개의 카들의 추가의 트레블 커브들을 도표로 도시한다.
도 4 는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두개의 카들 사이의 거리 제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 는 추가의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경우에서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두개의 카들 사이의 거리 제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1 은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장치 (100) 의 엘리베이터 통로의 횡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두개의 카들, 즉 제 1 카 (120) 및 제 2 카 (121) 가 예로써 엘리베이터 통로 (110) 에 도시된다.
네개의 층들 (S1, S2, S3 및 S4) 이 또한 예로써 엘리베이터 통로 (110) 의 예시된 섹션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제 1 카 (120) 는 층 (S1) 의 레벨에, 그리고 제 2 카 (121) 는 층 (S4) 의 레벨에 위치된다.
센서, 즉 제 1 카 (120) 에서 제 1 센서 (140) 및 제 2 카 (121) 에서 제 2 센서 (141) 가 각각의 카의 각각의 하부측에 추가로 제공된다. 엘리베이터 통로 (110) 에서 두개의 카들 (120, 121) 의 각각의 위치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통로에서의 레일 또는 내부 벽에서 예를 들면 스캐닝 또는 리딩 마크들 또는 절대 부호화된 스트립들을 통해 센서들 (140, 141) 에 의해 판별될 수 있다.
제 1 카 (120) 와 제 2 카 (121) 사이에 거리 (d) 는 지금부터 위치 판별 시스템들의 방식으로 센서들 (140, 141) 을 사용하여 판별될 수 있다. 본 도면들에서 거리 (d) 는 두개의 센서들 사이의 거리 또는 두개의 카들의 하부측들 사이의 거리로서 규정된다. 그러나 거리 (d) 는 또한 예를 들면 상부 카의 하부측과 하부 카의 상부 측 사이의 거리로서 또 다른 방식으로 규정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카들의 치수들을 고려하는 경우에 이들 사이에서 변경하는 것은 용이하다.
두개의 카들 사이의 거리를 판별하도록 센서들 (140, 141) 을 사용하는 예시된 위치 판별 시스템들은 순전히 예로써만 존재한다는 것이 추가로 명백하다. 다른 적절한 위치 판별 시스템들이 동등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리하게, 위치 판별 시스템들이 엘리베이터 장치 내에 존재하는 경우도 사용된다.
예를 들면 연산 유닛의 형태의 제어 시스템 (130) 이 추가로 제공되고, 제어 엘리베이터 장치 (100) 를 제어하도록, 즉 카들 (120 및 121) 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어 시스템 (130) 은 추가로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도 2 에서,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각각 두개의 카들 (120 및 121) 의 트레블 커브들 (125 및 126) 은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방법에 대해 도표로 도시된다. 트레블 커브들 (125, 126) 은 시간 (t) 에 대해 엘리베이터 통로에서의 높이 (h) 로서 여기에서 예시된다. 카들의 속도는 여기서 트레블 커브들의 경사도에서 용이하게 인식될 수 있다. 트레블 커브들은 예를 들면, 제어 시스템 (130) 에 제공된 예를 들면, 트레블 커브 컴퓨터 (설정지점 발생기) 의 설정지점 값들을 추종한다. 여기서 설정지점 값들은 특히 카들의 속도 (또는 엘리베이터 드라이브에서 모터의 회전 속도) 뿐만 아니라 가속도 및 저크이다.
제 1 카 (120) 는 최초로 높이 (h1) 에 그리고 제 2 카 (121) 는 높이 (h2) 에 위치된다. 이들 높이들은 특히 스타팅 층들에 상응할 수 있다. 제 2 상부 카 (121) 는 높이 (h2) 로부터 시간 (t1) 에서 스타팅되고, 특히 제 2 카 (121) 의 목적지 층에 상응할 수 있는 높이 (h4) 로 트레블 커브 (126) 를 따라 이동된다.
제 1 하부 카 (120) 는 높이 (h1) 로부터 시간 (t2) 에서 스타팅되고 특히 제 1 카 (120) 의 목적지 층에 상응할 수 있는 높이 (h3) 로 트레블 커브 (125) 에 따라 이동된다. 예시된 도에서, 양쪽 트레블 커브들 (125 및 126) 은 각각의 스타팅 및 목적지 층들을 갖는 각각의 카들에 대한 속도, 가속도 및 저크의 정격 값들을 사용하는 트레블 커브들에 상응한다.
스타팅 시간들 (t1 및 t2) 사이의 시간 차이는 제 2 카 (121) 가 이동을 스타팅했다는 정보가 제 1 카 (121) 에 도달한 시간의 기간으로부터 기인된다. 실제로, 이는 예를 들면, 단지 몇 밀리세컨드를 포함할 수 있어서 두개의 카들 본질적으로 동시에 스타팅한다. 보다 큰 시간 차이는 예를 들면 카 도어가 아직 폐쇄될 수 없다면 발생할 수 있는 데, 왜냐하면, 예를 들면 사람들이 카 도어의 영역에 서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두개의 트레블 커브들 (125 및 126) 의 수직인 거리에 상응하는 두개의 카들 (120 및 121) 사이의 거리는 예시된 예에서 상대적으로 일정하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특히, 그것은 제 2 상부 카 (121) 가 예상치 못하게 정지한다면, 제 1 하부 카 (120) 가 제 2 카와 충돌하지 않고 중지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최소 거리를 언더슈팅하지 않는다.
따라서, 환언하면 목적지 층이 정상적인 트레블, 즉 정격 값들을 사용하는 트레블 커브를 갖는 제 1 하부 카 (120) 에 의해 도달되도록 보장된다면, 정상적인 트레블은 제 1 카에 대해 스타팅된다. 이러한 경우에, "보장된" 은 제 2 카 (121) 가 충분히 떨어져 있지 않고 목적지 층에 대해 제 1 카 (120) 의 경로에 위치되지 않고, 또한 제 1 카 (120) 의 경로 내로 이동하기를 원치 않거나, 또는 제 2 카 (121) 가 안전한 정지 위치에서 제 1 카 (120) 의 경로를 막 떠나려고 하고 스타팅하는 제 1 카 (120) 가 그 목적지 층에 트레블 중에 각각의 트레블 속도에 대해 요구되는 최소 거리를 정상적인 트레블에서 언더슈팅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 에서,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각각 두개의 카들 (120 및 121) 의 추가의 트레블 커브들 (125 및 126) 은 본 발명에 따르지 않는 방법에 대한 도표로 도시된다. 도 2 와 대조적으로, 제 1 하부 카 (120) 에 대한 목적지 층은 제 2 상부 카의 스타팅 층 위에 추가로 위치되고, 즉 높이 (h2) 와 높이 (h3) 사이의 차이는 도 2 에서 도시된 예와 비교하여 더욱 크다. 그러나, 제 2 카의 목적자 층, 즉 높이 (h4) 는 변하지 않는다. 두개의 목적지 층들 사이, 또는 두개의 높이들 (h3 및 h4) 사이의 차이는 따라서 도 2 에서보다 작다.
또한 도 2 의 예에서와 같이 제 1 카 (120) 가 시간 (t2) 에서 스타팅해야 한다면, 그리고 연관된 정격 값들을 갖는 점선의 트레블 커브 (125') 를 추종해야 한다면 매우 작은 거리는 상기 규정된 바와 같은 최소 거리를 언더슈팅하는 두개의 카들 사이에서 발생된다 (예를 들면 시간 (t4) 를 참조). 제 1 카 (120) 가 스타팅되는 시간은 따라서 시간 (t3) 까지 지연된다. 그러므로 제 1 카 (120) 는 따라서 트레블 커브 (125') 와 동일한 정격 값들을 갖지만 시간에서 지연되는 트레블 커브 (125) 에서 이동한다. 두개의 카들 사이의 최소 거리는 따라서 트레블 중에 항상 유지될 것이다.
그러나, 제 1 카 (120) 에서 승객들은 특히 그들이 카에 이미 있다면 불안감을 주고 불편함을 주는 바와 같은 그러한 지연된 스타트를 경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에서 두개의 카들 (120 및 121) 사이의 거리 제어는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형태의 도 4 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제 1 카 (120) 및 제 2 카 (121) 는 이를 위해 임의의 시점에서 그들의 위치들로 예시된다.
두개의 카들 사이의 거리 (d) 는 여기서 최소 거리 (dmin) 로 제어된다. 이러한 최소 거리 (dmin) 는, 상기 시점 후에 제 1 카 (120) 가 제동된다면, 그것이 제 2 카 (121) 의 위치로부터 안전 클리어런스 (dS) 에 의해 상기 시점에서 중지되도록 여기서 규정된다. 이러한 가설상의 또는 가상 정지 지점은 카 (120') 의 위치에 의해 도면에 예시된다.
카 (120') 의 이러한 위치, 즉 가상 정지 지점은 제 1 카 (120) 의 속도 커브 (127) 를 기초하여 상기 시점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속도 커브 (127) 는 예를 들면 상기 시점에서 스타팅하는 비상 중지 또는 비상 제동 및 현재 속도에 기초하여 주어진다.
트레일링 카의 가상의, 가능한 정지 지점 (120') 을 연산함으로써, 트레일링 카의 속도는 카가 이러한 정지 지점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조정된다. 속도, 감속도 및 저크에 대한 값들은 정격 또는 최대 값들로 제한된다. 하한은 또한 최소 값들을 사용하여 규정될 수 있다. 감속도 (저크를 포함함) 에 대한 값들은 여기서 정격 파라미터들에 상응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의 두개의 카들 (120 및 121) 사이의 거리 제어는 추가의 바람직한 형태의 실시형태의 도 5 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제 1 카 (120) 및 제 2 카 (121) 는 이를 위해 임의의 시점에서 그들의 위치로 예시된다.
두개의 카들 사이의 거리 (d) 는 여기서 최소 거리 (dmin) 로 제어된다. 이러한 최소 거리 (dmin) 는 여기서 상기 시점 후에 제 1 카 (120) 가 제동되면, 제 1 카 (120) 가 중지되는 시간에서 또한 안전 클리어런스 (dS) 에 의해 제 2 카 (121) 의 위치 (카 (121') 에 의해 예시됨) 로부터 여전히 중지되도록 규정된다. 이러한 가설상의 또는 가상 정지 지점은 카 (120') 의 위치에 의해 도면에 예시된다.
카 (120') 의 이러한 위치, 즉 가상 정지 지점은 제 1 카 (120) 의 속도 커브 (127) 및 제 2 카 (121) 의 속도 커브 (128) 에 기초하여 상기 시점에서 판별될 수 있다.
서로와 가깝게 위치된 카들은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통해 서로 동시에 또는 바로 직후에 스타팅된다. 차후의 카는 따라서 (그 결과로서) 리딩 카보다 더 작은 최종 가속도에 의해 스타팅되고, 따라서 거리는 속도가 증가하는 만큼 증가할 것이다. 감소된 가속도 및 저크는 또한 승객들에 대한 스트레스 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마모 및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킨다.
이는 추가로, 트레일링 카는 또한 리딩 카에 보다 빠르게 접근하여, 그후 그 속도를 조정하여 그후 제어된 거리로 리딩 카를 추종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카에서 승객들에게는 정격 값들에서 일반적이고 정상적인 트레블을 벗어나는 트레블이 예를 들면 적절한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 수단을 사용하여 통지될 수 있다. 정보는 예를 들면 다음의 정지에 대해 남아있는 트레블 시간, 정상적인 속도의 퍼센트로서 트레블의 속도의 값, 트레블 중 속도 조정, 또는 트레블의 타입 (예를 들면 트랙킹 트레블) 일 수 있다.

Claims (14)

  1.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 (110) 에서 적어도 두개의 카들 (120, 121) 을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00) 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 2 카 (121) 의 방향으로 트레블링하거나 트레블링할 예정인 제 1 카 (120) 는 트레블 커브 (125) 와 관련하여 이동되고,
    상기 제 1 카 (120) 와 상기 제 2 카 (121) 사이의 조정 가능한 최소 거리 (dmin) 는 항상 유지되고,
    상기 제 1 카 (120) 는 상기 트레블 커브 (125) 와 관련하여 이동되어, 상기 조정 가능한 최소 거리 (dmin) 로 상기 제 1 카 (120) 를 이동시킬 때에 상기 제 1 카 (120) 와 상기 제 2 카 (121) 사이의 거리 (d) 는 제어되어, 상기 제 1 카 (120) 는 상기 제 2 카 (121) 로부터 상기 최소 거리 (dmin) 에 신중하게 접근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거리 (dmin) 는 상기 제 1 카 (120) 및/또는 상기 제 2 카 (121) 의 속도의 함수로서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 (120) 와 상기 제 2 카 (120) 사이의 상기 거리 (d) 는, 상기 제 1 카 (120) 가 상기 제 2 카 (121) 로부터 안전 클리어런스 (ds) 에 의해 정지될 수 있는, 상기 제 1 카 (120) 에 대한 가상 정지 지점 (120') 의 연속적인 연산에 의해 상기 최소 거리 (dmin) 로 제어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 (121) 의 제동 거리는 상기 가상 정지 지점 (120') 의 판별에서 고려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 (121) 의 상기 제동 거리는 상기 제 2 카 (121) 의 비상 중지 또는 제어된 비상 감속 및/또는 상기 제 2 카 (121) 의 로딩에 따라 판별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 (120) 의 상기 트레블 커브는 상기 제 2 카 (121) 의 트레블 커브의 함수로서 규정되고 그리고/또는 설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 (120) 및 제 2 카 (121) 의 접근 시에, 상기 제 1 카 (120) 및 상기 제 2 카 (121) 가 최대 사전 결정된 수의 층들 만큼 떨어져 있다면, 상기 제 1 카 (120) 는 상기 제 2 카 (121) 보다 더 낮은 가속도로 가속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 (120) 는 최대 활용 가능한 또는 허용 가능한 가속도를 사용하여 이동되어, 상기 제 1 카 (120) 와 상기 제 2 카 (121) 사이의 상기 최소 거리 (dmin) 는 가능한 빨리 달성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 (120) 의 속도, 가속도, 감속도 및/또는 저크 (jerk) 는 상기 트레블 커브 (125) 에 의해 규정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 (120) 의 상기 속도, 상기 가속도, 상기 감속도 및/또는 상기 저크는 최대 및/또는 최소 값들에 의해 각각 제한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 (120) 의 상기 속도, 상기 가속도, 상기 감속도 및/또는 상기 저크가 최대 또는 정격 (rated) 값들로부터 벗어나는 트레블에서, 상기 제 1 카 (120) 에서의 승객들은 각각의 편차에 관해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통지를 받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 (120) 와 상기 제 2 카 (121) 사이의 상기 거리 (d) 는 두개의 카들의 위치 판별 시스템들 (140, 141) 에 의해 판별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실행되도록 구성된,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 (110) 에서 적어도 두개의 카들 (120, 121) 을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 (100) 를 위한 제어 시스템 (130).
  14. 제 13 항에 따른 제어 시스템 (130) 을 갖는, 하나의 엘리베이터 통로 (110) 에서 적어도 두개의 카들 (120, 121) 을 갖는 엘리베이터 장치 (100).
KR1020187002113A 2015-07-09 2016-07-07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장치 KR201800211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212882.2 2015-07-09
DE102015212882.2A DE102015212882A1 (de) 2015-07-09 2015-07-09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Steuerungssystem und Aufzugsanlage
PCT/EP2016/066161 WO2017005864A1 (de) 2015-07-09 2016-07-07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steuerungssystem und aufzugsanl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111A true KR20180021111A (ko) 2018-02-28

Family

ID=56368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113A KR20180021111A (ko) 2015-07-09 2016-07-07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084798A1 (ko)
EP (1) EP3319893A1 (ko)
KR (1) KR20180021111A (ko)
CN (1) CN107848746A (ko)
DE (1) DE102015212882A1 (ko)
WO (1) WO20170058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20629A1 (de) * 2014-10-10 2016-04-14 Thyssenkrupp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KR20170089885A (ko) * 2014-11-25 2017-08-04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엘리베이터 브레이크의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3750A (ko) * 2020-03-31 2022-10-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멀티 카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
DE102022124567A1 (de) * 2022-09-23 2024-03-28 Tk Elevator Innovation And Operations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ufzugsanlag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3571A (ja) * 1991-04-12 1992-11-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2732730B2 (ja) * 1991-08-27 1998-03-30 株式会社東芝 自走式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326618B2 (ja) 1999-02-03 2009-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CN101119916B (zh) 2005-02-17 2010-09-29 奥蒂斯电梯公司 在具有两个轿厢的电梯通道内防止碰撞的方法
EP1698580B1 (de) * 2005-03-05 2007-05-09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Aufzuganlage
WO2008110241A2 (de) * 2007-03-12 2008-09-18 Inventio Ag Aufzugsanlage, tragmittel für eine aufzugsanla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tragmittels
KR100898916B1 (ko) * 2007-04-02 2009-05-26 최성식 엘리베이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S2499340T3 (es) * 2007-08-07 2014-09-29 Thyssenkrupp Elevator Ag Sistema de elevador
WO2009038551A2 (en) * 2007-09-18 2009-03-26 Otis Elevator Company Multiple car hoistway including car separation control
ATE549284T1 (de) * 2007-11-30 2012-03-15 Otis Elevator Co Koordination von mehreren aufzugskabinen in einem schacht
WO2010072660A1 (de) * 2008-12-26 2010-07-01 Inventio Ag Aufzugssteuerung einer aufzugsanlage
EP2607282A1 (de) * 2011-12-23 2013-06-26 Inventio AG Sicherheitseinrichtung für einen Aufzug mit mehreren Kab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48746A (zh) 2018-03-27
US20190084798A1 (en) 2019-03-21
DE102015212882A1 (de) 2017-01-12
WO2017005864A1 (de) 2017-01-12
EP3319893A1 (de) 201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1716B2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530469B1 (ko) 멀티-카식 엘리베이터 및 그 제어방법
US9776827B2 (en) Elevator system including monitoring arrangement to activate multiple emergency braking procedures associated with different deceleration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20180021111A (ko) 엘리베이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제어 시스템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5333234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100065378A1 (en) Elevator system with multiple cars in a single hoistway
JP2010538948A (ja) かご離間制御を含む多かご昇降路
US9096410B2 (en) Multi-car elevator control device
CN108217358B (zh) 用于空电梯轿厢和已占用电梯轿厢的运动轨迹规划
JP6393633B2 (ja) エレベーター
EP2602221B1 (en) Comfort peak curve operation
JPH1067470A (ja) エレベータの到着同期方法
CN114620565A (zh) 用于操作电梯系统的方法
JP6581551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H04313571A (ja) 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2001247265A (ja) 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JP4763464B2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7137545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2006240798A (ja) エレベータの制御方法
JP2004238189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6626808B2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JP5850801B2 (ja) エレベータおよびその速度制御方法
JP2003073042A (ja)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装置
JP536509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6264822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