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093A - 히터 유닛, 스티어링 휠 및 히터 유닛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히터 유닛, 스티어링 휠 및 히터 유닛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093A
KR20180021093A KR1020187001943A KR20187001943A KR20180021093A KR 20180021093 A KR20180021093 A KR 20180021093A KR 1020187001943 A KR1020187001943 A KR 1020187001943A KR 20187001943 A KR20187001943 A KR 20187001943A KR 20180021093 A KR20180021093 A KR 20180021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heater unit
shape
cord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2271B1 (ko
Inventor
아키후미 와다
마사츠구 사이토
유키 나이토
Original Assignee
쿠라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라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쿠라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1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0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6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ing conductor embedded in insul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62D1/065Steering wheels with heating and ventilat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27Applications
    • H05B1/023Industrial applications
    • H05B1/0236Industrial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3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serpentine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4Heaters using resistive wires or cables not provided for in H05B3/54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사용자가 스티어링 조작할 때에 위화감을 느끼는 일이 없는 스티어링 휠과, 그것에 사용되는 히터 유닛을 제공한다.
고분자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기재(10)와, 상기 기재(10) 상에 배치되는 코드 형상 히터(1)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10)에 있어서의 상기 코드 형상 히터(1)가 배치되는 개소의 두께가 상기 코드 형상 히터(1)의 형상을 따르도록 얇게 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대략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히터 유닛(31).
상기의 히터 유닛과, 휠 심재와, 피복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휠 심재와 상기 피복재 사이에 상기 히터 유닛이 설치되는 스티어링 휠.

Description

히터 유닛, 스티어링 휠 및 히터 유닛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자동차, 선박 등에 사용되는 스티어링 휠과, 그 휠부를 따뜻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히터 유닛에 관한 것이며, 특히 사용자가 스티어링 조작할 때에 위화감을 느끼는 일이 없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한랭 시에 운전수의 손을 따뜻하게 하기 위해서 스티어링 휠의 휠부에 히터 유닛을 장착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71)은 휠부(72), 스포크부(73), 보스부(74)로 이루어지고, 휠부(72)는 휠 심재(77)와 합성 수지, 섬유 제품, 피혁 등으로 이루어지는 피복재(78)로 형성된다. 히터 유닛(31)은 이 휠 심재(77)와 피복재(78) 사이에 설치되고 스포크부(73) 및 보스부(74)를 통한 리드선(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서 급전된다.
스티어링 휠에 설치되는 히터 유닛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재 상에 소정의 패턴 형상으로 코드 형상 히터를 설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 기재로서는 각종 발포 수지 시트, 발포 고무 시트, 고무 시트, 부직포, 직포 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2003-317905 공보: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일본특허공개 2011-121477 공보: KURABE INDUSTRIAL CO., LTD.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2를 비롯한 종래의 히터 유닛에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지 기재(110, 110')에 코드 형상 히터(101)를 배치하는 것뿐이었기 때문에 코드 형상 히터(101)가 배치되는 개소에 두께가 생겨 버렸다. 그 때문에 사용자가 스티어링 휠을 쥐었을 때 요철을 느껴 버려 스티어링 조작할 때에 위화감을 느끼게 되어 버렸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사용자가 스티어링 조작할 때에 위화감을 느끼는 일 없는 스티어링 휠과, 그것에 사용되는 히터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히터 유닛은 고분자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코드 형상 히터로 이루어지는 히터 유닛으로서, 상기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코드 형상 히터가 배치되는 개소의 두께가 상기 코드 형상 히터의 형상을 따르도록 얇게 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대략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드 형상 히터가 최외층에 열 융착부가 형성된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휠은 상기 히터 유닛과, 휠 심재와, 피복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휠 심재와 상기 피복재 사이에 상기 히터 유닛이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히터 유닛의 제조 방법은 고분자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코드 형상 히터로 이루어지는 히터 유닛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 상에 소정의 패턴 형상으로 상기 코드 형상 히터를 배치하고, 상기 기재를 평판에 의해 가열 가압함으로써 상기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코드 형상 히터가 배치되는 개소의 두께를 상기 코드 형상 히터의 형상을 따르도록 얇게 하고, 그것에 의해 대략 평탄한 형상의 히터 유닛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코드 형상 히터에 의한 요철이 드러나지 않고 대체로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스티어링 조작할 때에 위화감을 느낄 일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히터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히터 유닛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히터 유닛을 스티어링 휠 내에 매립한 모습을 일부 잘라내어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코드 형상 히터의 구성을 그 일부를 잘라내어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코드 형상 히터의 구성을 그 일부를 잘라내어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핫 프레스식 히터 제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히터 유닛에 있어서 코드 형상 히터를 소정의 패턴 형상으로 배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8은 종래의 히터 유닛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의 히터 유닛의 단면에 있어서의 요부의 SEM 사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의 히터 유닛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의 히터 유닛의 단면에 있어서의 요부의 SEM 사진이다.
도 12a는 히터 유닛의 표면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b는 히터 유닛의 표면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c는 히터 유닛의 표면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는 히터 유닛의 이면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b는 히터 유닛의 이면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c는 히터 유닛의 이면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a는 히터 유닛의 단면의 SEM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b는 히터 유닛의 단면의 SEM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c는 히터 유닛의 단면의 SEM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우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드 형상 히터(1)의 구성부터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드 형상 히터(1)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우선, 외경 약 0.2mm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속으로 이루어지는 히터심(3)의 외주에 소선 직경 0.08mm의 주석 구리 합금선으로 이루어지는 도체 소선(5a)을 7개 정렬시키고 피치 1.00mm로 나선 형상으로 권취해서 코드 형상 히터(1)를 구성한다. 또한, 도체 소선(5a)에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절연 피막(5b)이 두께 약 0.005mm로 피복되어 있다. 이 외주에 열 융착부(9)로서의 난연제가 배합된 폴리에틸렌 수지가 0.25mm의 두께로 압출·피복되어 있다. 코드 형상 히터(1)는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그 완성된 외경은 0.9mm이다.
이어서 상기 구성을 이루는 코드 형상 히터(1)를 배치하는 기재(10)의 구성 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기재(10)는 겉보기 밀도 0.04g/㎤, (JIS K7222 준거), 경도 220N(JIS K6400-2 준거), 두께 8mm의 발포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어서 상기 코드 형상 히터(1)를 기재(10) 상에 소정의 패턴 형상으로 배치해서 접착·고정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코드 형상 히터(1)가 배치된 기재를 가열 가압하기 위한 핫 프레스식 히터 제조 장치(13)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핫 프레스 지그(15)가 있고, 이 핫 프레스 지그(15) 상에는 복수개의 후킹 기구(1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후킹 기구(17)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19)을 구비하고 있어서 이 핀(19)은 핫 프레스 지그(15)에 천공된 구멍(21) 내에 하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다. 이 핀(19)의 상부에는 선단이 침으로 된 후킹 부재(23)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어서 코일 스프링(25)에 의해 상시 상방으로 바이어싱되어 있다. 그리고, 도 7 중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복수개의 후킹 기구(17)의 후킹 부재(23)에 코드 형상 히터(1)를 걸리게 하면서 한쪽 기재(10) 상에 코드 형상 히터(1)를 소정의 패턴 형상으로 배치하게 된다.
도 6으로 되돌아가서 상기 복수개의 후킹 기구(17)의 상방에는 프레스 열판(27)이 승강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코드 형상 히터(1)를 복수개의 후킹 기구(17)의 후킹 부재(23)에 걸리게 하면서 소정의 패턴 형상으로 베치하고, 그 위에 기재(10)를 배치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 열판(27)을 강하시켜서 코드 형상 히터(1)와 기재(10)에 가열 가압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 프레스 열판(27)의 효과에 있어서는 적어도 기재(10)의 압축량이 코드 형상 히터(1)의 외경보다 커지도록 설계할 필요가 있다. 그것에 의해 기재(10)가 압축됨과 아울러 코드 형상 히터(1)의 열 융착층(9)이 융착하여 코드 형상 히터(1)와 기재(10)가 접착·고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스 열판(27)의 강하에 의한 가열 가압 시에는 복수개의 후킹 기구(17)의 후킹 부재(23)는 코일 스프링(25)의 바이어싱력에 저항하여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 후에 기재(10)를 뒤집어 코드 형상 히터(1)를 배치한 측의 면으로부터 프레스 열판에 의해 가열 가압을 더 행했다.
상기 작업을 행함으로써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티어링 휠용의 히터 유닛(31)을 얻었다. 또한, 도 2는 도 1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기재(10)는 평판의 프레스 열판(27)에 의해 압축되는 것이 되기 때문에 코드 형상 히터(1)가 배치되는 개소에 대해서는 보다 강하게 가압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기재(10)에 있어서의 코드 형상 히터(1)가 배치되는 개소는 코드 형상 히터(1)의 형상을 따르는 형상이며 다른 개소보다 얇아진다. 또한, 코드 형상 히터(1)의 열 융착층(9)에 대해서도 가열 가압에 의해 크게 변형되어 기재(10)와 접하지 않는 개소의 두께가 얇아져서 실질적으로 평탄한 형상이 된다. 이들에 의해 히터 유닛(31)은 코드 형상 히터(1)가 배치되는 개소에 있어서도 요철이 없고 대략 평탄한 형상이 됨과 아울러 열 융착층(9)의 형상 유지에 의해 이 대략 평탄한 형상이 유지되게 된다. 또한, 이렇게 해서 얻어진 히터 유닛(31)은 기재(10)가 압축되어 고밀도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해 얻어진 히터 유닛의 두께는 1.00mm이며, 코드 형상 히터(1)가 배치된 개소에 있어서의 기재(10)의 최소 두께는 0.52mm이며, 코드 형상 히터(1)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 있어서의 기재(10)의 두께는 1.00mm이었다. 도 9에 히터 유닛(31)의 단면에 있어서의 요부의 SEM 사진을 나타낸다. 코드 형상 히터(1)의 열 융착층(9)은 기재(10)의 표면으로부터 약 0.5mm의 부분까지 함침되어 있었다. 예를 들면, 코드 형상 히터(1)가 배치되는 개소에 있어서 주위의 두께와 비교해도 요철이 없고 ±10% 정도의 범위 내의 두께의 변화는 대략 평탄하고 실질적으로 거의 일정한 두께이다. 또는 두께의 변화는 사용자가 시인적으로도 감촉적으로도 요철을 느끼지 않는 범위라면 대략 평탄하다고도 말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얻어진 실시형태 의한 히터 유닛(31)에 대해서 코드 형상 히터(1)의 양단은 인출되어서 리드선(35)에 접속되고 이 리드선(35)에 의해 코드 형상 히터(1), 온도 제어 장치(39), 및 커넥터(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다. 온도 제어 장치는 코드 형상 히터(1) 상에 배치되고, 코드 형상 히터(1)의 발열에 의해 히터 유닛의 온도 제어를 행하게 된다. 또한, 기재(10)에 돌출부(10f)를 형성해 두어도 좋다. 온도 제어 장치(39) 및 코드 형상 히터(1)와 리드선(35)의 접속부는 충격 등으로부터의 방어를 위해 기재의 돌출부(10f)로 둘러싸여 보호되는 구성도 고려된다. 이 관점으로부터 돌출부(10f)에는 가열 가압을 하지 않는 것도 고려된다. 그리고, 상기한 커넥터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차량의 전기 계통에 접속되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을 이루는 히터 유닛(3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에서 스티어링 휠(71)의 휠 심재(77)와 피복재(78) 사이에 설치되게 된다.
기재(10)에는 히터 유닛(31)과 스티어링 휠의 피복재(78)를 접착하기 위한 접착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접착층의 형성은 미리 이형 시트 상에 접착제만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층을 상기 이형 시트로부터 상기 기재(10)의 표면에 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접착제는 기재(10)의 내부에는 침입하지 않고 기재(10)의 표면에만 접착층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실시형태 3에 있어서는 히터 유닛(31)과 피복재(78)를 접착할 때, 코드 형상 히터(1)를 배치한 측과 피복재(78)를 접착하는 것보다 코드 형상 히터(1)를 배치하지 않은 측과 피복재(78)를 접착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코드 형상 히터(1)에 의한 요철이 피복재(78) 표면에 나타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얻어진 실시형태에 의한 히터 유닛(31)에 대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에 장착한 상태로 실사용에 제공하여 위화감의 확인을 행했다. 확인은 10명의 사용자가 스티어링 휠을 쥐고 좌우 10회씩 조타작업을 행하여 코드 형상 히터(1)에 의한 요철을 느끼는지를 듣고 조사했다. 그 결과, 실시형태의 것에 대해 위화감을 느낀다고 회답한 사용자는 0명이었다.
(제 2 실시형태)
기재(10)로서 겉보기 밀도 0.04g/㎤(JIS K7222 준거), 경도 220N(JIS K6400-2 준거), 두께 6mm의 발포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1매의 발포체를 사용하여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코드 형상 히터를 배치했다. 이렇게 해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히터 유닛을 얻었다. 이 때, 두께 1mm가 될 때까지 기재(10)를 가열 가압해서 압축하고 있고, 가열 가압 후는 겉보기 밀도 0.32g/㎤(JIS K7222 준거)로 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
기재(10)로서 겉보기 밀도 0.04g/㎤, (JIS K7222 준거), 경도 220N(JIS K6400-2 준거), 두께 4mm의 발포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발포체 2매를 포개어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코드 형상 히터를 배치했다. 이렇게 해서 도 1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스티어링 휠용의 히터 유닛(31)을 얻었다. 또한, 도 10은 도 1의 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때, 두께 1mm가 될 때까지 기재(10)를 가열 가압해서 압축하고 있고, 가열 가압 후는 겉보기 밀도 0.32g/㎤(JIS K7222 준거)로 되어 있다. 실시예 3에서는 편의적으로 코드 형상 히터(1)가 배치되는 측의 발포체를 제 1 발포체(11), 반대측의 발포체를 제 2 발포체로 한다.
이 때, 열 융착층(9)이 기재(10)를 구성하는 제 1 발포체(11) 및 제 2 발포체(12)의 양쪽에 함침되도록 하면 제 1 발포체(11)와 제 2 발포체(12)가 이 강고하게 접착된다. 그 때문에 제 1 발포체(11)와 제 2 발포체(12)가 분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코드 형상 히터(1)를 열 융착할 때에 제 1 발포체(11)와 제 2 발포체(12)에 대하여 충분히 가열 가압해서 고압축으로 했을 경우, 접착층을 사용하지 않아도 코드 형상 히터(1)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개소에 대해서 제 1 발포체(11)와 제 2 발포체(1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것은 한쪽의 발포체의 기공 중에 다른 한쪽의 발포체의 비기공부가 들어가고, 앵커 효과에 의해 2개의 발포체를 고정시키는 것에 의한 것이다. 이렇게 해서 2매의 발포체가 적층된 기재(10)에 대하여 박리 강도를 측정했다. 박리 강도의 측정은 박리 강도는 푸시풀 게이지에 의해 측정된다. 기재(10)를 25mm×150mm로 잘라내어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50mm의 부분을 미리 박리해 두고 제 1 발포체(11)의 단부를 푸시풀 게이지에 고정하고, 제 2 발포체(12)의 단부를 잡고 10mm/s의 속도로 푸시풀 게이지와 반대의 방향으로 잡아 떼어(박리 각도180도), 최대 하중이 된 값을 박리 강도로 했다. 이렇게 해서 측정된 실시형태 3에 의한 히터 유닛(31)에 있어서의 제 1 발포체(11)와 제 2 발포체(12)의 박리 강도는 6.2N이며, 실사용상 충분한 값이었다. 또한, 박리 후의 상태를 확인한 결과, 계면 박리가 아니라 재료 파괴에 의한 박리인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이 점으로부터도 충분한 접착이 얻어지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참고로 제 1 발포체(11)와 제 2 발포체(12)를 양면 점착 테이프로 접착한 샘플을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박리 강도를 측정한 결과, 박리 강도는 13.7N이었다. 또한, 코드 형상 히터(1)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제 1 발포체(11)와 제 2 발포체(12)를 상기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가열 가압해서 고압축으로 하고 제 1 발포체(11)와 제 2 발포체(12)를 고정한 샘플을 사용해서 마찬가지로 박리 강도를 측정한 결과, 박리 강도는 5.0N이며, 계면 박리가 되어 있었다.
통상의 발포체(1)만으로 이루어지는 기재(10)의 경우, 만일 발포체에 균열이나 찢어짐이 생기면 그 균열이나 찢어짐이 확대되어 가서 기재(10)로서 단열(斷裂)되어 버리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발포체를 적층한 기재이면 1개의 발포체에 균열이나 찢어짐이 생겨도 그 균열이나 찢어짐의 확대는 상기 발포체만으로 수습되고, 다른 발포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기재(10)로서 단열에 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재(10)가 제 1 발포체(11) 및 제 2 발포체(12)를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면 이들 2개의 발포체를 다른 특성의 것으로 함으로써 복합적인 특성을 갖는 기재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것이 고려된다. 한쪽의 발포체에 대해서 기공률이 높은 것을 선택하는 것이 고려된다. 코드 형상 히터(1)를 배치하는 측의 발포체를 기공률이 높은 것으로 함으로써 코드 형상 히터(1)가 보다 확실하게 발포체 내에 들어가고 대략 평탄한 히터 유닛(31)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코드 형상 히터(1)를 배치하지 않은 측의 발포체를 기공률이 높은 것으로 하고 그 외의 수지를 용융 충전해서 복합 재료로 하는 것도 고려된다. 히터 유닛(31)을 휠 심재(77) 상에 접착하고, 그 위에 우레탄 수지 등을 사출 성형함으로써 히터 유닛(31)이 매설된 스티어링 휠을 얻을 수 있지만 코드 형상 히터(1)를 배치하지 않은 측의 발포체를 기공률이 높은 것으로 한 발포체를 사용하면 사출 성형한 우레탄 수지 등이 발포체의 기공 중에 충전되어 확실하게 히터 유닛(31)이 고정되게 된다. 또한, 경도가 다른 발포체를 적층함으로써 히터 유닛(31)이나 그것을 장착한 제품에 사용자가 접촉했을 때에 코드 형상 히터(1)가 존재하는 것을 느끼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난연성이 우수한 발포체, 인장 강도가 높은 발포체, 내약품성이 우수한 발포체, 내열성이 우수한 발포체, 내전압 특성이 우수한 발포체, 전자파 차폐 특성을 구비하는 발포체, 저반발성을 갖는 발포체, 저온 취성이 우수한 발포체, 열전도율이 높은 발포체 등 각종 발포체를 조합함으로써 부가적인 기능이 부여된 히터 유닛(31)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얇은 발포체를 적층한 것이면 코드 형상 히터를 열 융착에 의해 배치할 때에도 얇은 발포체에 배치한 후에 다른 발포체를 부착하는 공정을 취할 수 있고, 발포체에 의한 단열의 영향에 의한 융착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발포체 등 다른 발포체를 더 적층시킨 다층 구조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모든 발포체의 기공에 열 융착층(9)이 함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실시형태 3에 의한 히터 유닛(31)의 단면에 있어서의 요부의 SEM 사진을 나타낸다. 열 융착층(9)이 제 1 발포체(11) 및 제 2 발포체(12)의 기공 중에 함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또한, 제 1 발포체(11)의 기공 중에 제 2 발포체(12)의 비기공부가 들어가고, 또한 제 2 발포체(12)의 기공 중에 제 1 발포체(11)의 비기공부가 들어가고, 앵커 효과에 의해 제 1 발포체(11)와 제 2 발포체(12)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또한, 코드 형상 히터(1)의 열 융착층(9)은 기재(10)의 표면으로부터 약 5mm의 부분까지 함침되어 있었다.
(제 4 실시형태, 제 5 실시형태, 제 6 실시형태)
이어서 도 12a~도 14c를 참조하여 제 4 실시형태, 제 5 실시형태, 제 6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2a~12c는 히터 유닛의 표면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a는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2b는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2c는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a~13c는 히터 유닛의 이면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a는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3b는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3c는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4a~14c는 히터 유닛의 단면의 SEM 사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a는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4b는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도 14c는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4~제 5 실시형태의 히터 유닛은 고분자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코드 형상 히터로 이루어진다. 코드 형상 히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외경 약 0.19mm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속으로 이루어지는 히터 심의 외주에 소선 직경 0.08mm의 주석 구리 합금선으로 이루어지는 도체 소선을 7개 정렬시키고, 피치 1.00mm로 나선 형상으로 권취해서 형성되어 있다. 도체 소선의 절연 피막의 두께는 0.005mm이다. 이렇게 해서 히터 심의 외주에 도체 소선을 나선 형상으로 권취한 상태의 것을 심재라고 부른다. 심재의 외주에 열 융착부(9)로서의 난연제가 배합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압출·피복되어 있다.
심재의 직경은 제 4~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공통의 0.37mm이며, 열 융착부(9)의 두께(양)를 변경함으로써 코드 형상 히터의 외경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0.60mm,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0.77mm,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0.97mm로 되어 있다. 또한, 각각에 있어서 열 융착부의 두께는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0.115mm,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0.20mm,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0.30mm로 되어 있다.
이 히터 유닛에서는 히터의 심재를 감싸는 최외층에는 열 융착부(9)가 형성되고, 코드 형상 히터를 기재(10) 상에 배치시킨 뒤에 가열 가압한다. 이 과정에서 코드 형상 히터의 열 융착부(9)가 용융되기 때문에 액상이 되어서 기재(10)의 고분자 발포체에 침투하고 고정부를 형성한다. 열 융착부(9)의 두께(양)가 변함으로써 용융했을 때에 고분자 발포체인 기재(10)에 함침되는 범위에 변화가 생긴다. 고정부는 코드 형상 히터의 열 융착부가 용융되고 압박되어 있는 기재(10)의 고분자 발포체에 침투해서 고착되어 있는 부위를 가리키고 있다.
열 융착부(9)가 용융되어 고정부를 형성하고 있고, 열 융착부(9)의 원형을 유지하고 있을 필요는 없다. 오히려, 코드 형상 히터는 기재(10)에 대하여 압박되어 있으므로 가열 가압되기 전은 기재(10)로부터 반발력을 받고 있다. 가열 가압됨으로써 열 용착부(9)는 일부 또는 전부가 용융되어 액상이 되고, 기재(10)와 접하고 있던 부분으로부터 고분자 발포체의 기포 내에 들어가는 것으로 생각된다. 가열 가압을 종료해서 냉각한 상태에서는 단면으로 볼 때 기재(10)를 기준으로 한 폭방향 및 두께방향으로 침투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최외층 부분에서 고분자 발포체인 기재(10)와 합체한 부위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양자가 합체한 부위를 형성함으로써 코드 형상 히터와 기재(10)의 접착 강도가 강고하게 되어 있는 것으로 추찰된다.
또한, 코드 형상 히터는 고정부의 내부에 있으며, 또한 고정부는 기재(10)에 들어가 있다. 코드 형상 히터를 배치한 부위의 두께는 코드 형상 히터를 배치하고 있지 않은 기재(10)만큼의 부위의 두께를 초과하고 있지 않다. 단, 본 실시형태에서는 코드 형상 히터를 배치한 부위의 두께는 코드 형상 히터를 배치하고 있지 않은 기재(10)만큼의 부위의 두께를 초과하고 있지 않지만 코드 형상 히터를 배치한 부위의 두께가 약간 코드 형상 히터를 배치하고 있지 않은 기재(10)의 부위의 두께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를 완전히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약간 초과하고 있다고 해도 스티어링을 조작해서 위화감을 느끼지 않는 범위이면 본 발명의 범위라고 말할 수 있다. 별도의 관점에서 코드 형상 히터를 내장하는 고정부의 경도에 따라서는 기재(10)보다 두꺼워도 위화감을 느끼지 않거나, 기재(10)보다 얇아도 위화감을 느끼지 않거나 하는 것은 상정가능하다.
기재(10)의 두께(KA), 심재(심+소선)의 직경(KB), 기재에 함침된 열 융착부(고정부)의 폭(KC), 기재에 함침된 열 융착부(고정부)의 기재의 깊이(KD)라고 하면 이하의 결과이었다.
Figure pct00001
여기서, 열 융착부의 기재에의 함침의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정부의 두께와 기재의 두께의 비(KD/KA), 고정부의 폭과 심재의 폭의 비(KC/KB), 고정부의 두께와 심재의 폭의 비(D/B)를 계측한 결과, 이하의 결과이었다.
Figure pct00002
우선, 본 실시형태의 히터 유닛은 고분자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히터의 심재를 감싸는 최외층에는 열 융착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코드 형상 히터로 이루어지는 히터 유닛으로서, 상기 코드 형상 히터의 열 융착부가 용융되어 상기 고분자 발포체에 침투한 고정부를 갖고 있다.
또한, 이 히터 유닛의 제조 방법은 상기 코드 형상 히터의 열 융착부를 용융시켜서 상기 고분자 발포체에 침투한 고정부를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들에 공통되어 이하의 특징이 있다.
제 4 실시형태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두께가 상기 기재의 두께의 60%를 초과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제 5 및 제 6 실시형태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두께가 상기 기재의 전체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폭이 상기 심재의 폭의 3배를 초과한다고 말할 수 있다.
제 5 및 제 6 실시형태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폭이 상기 심재의 폭의 5배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두께가 상기 심재의 폭의 1.3배를 초과한다고 말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로부터 상기 고정부의 두께가 상기 심재의 폭의 2.5배를 초과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물론, 적어도 상기 수치는 일실시형태의 구체예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당업자의 일반적인 감각을 고려해도 하한값의 50%~상한값의 2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하한값의 75%~상한값의 150%의 범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하한값의 90%~상한값의 110%의 범위에서는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기대할 수 있다.
발명자의 고찰은 이하와 같은 것이었다.
현시점에서는 열 융착부 두께=0.115mm의 것이 현실적으로는 실시가능한 가장 얇은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열 융착부의 함침 깊이는 깊을수록 접착력은 강해진다. 기재 이면측까지 도달하는 것(KD/KA=100%)의 경우, 그 부분이 이물이 되어서 스티어링 표면에 드러나서 위화감이 되어버릴 가능성은 있다.
고정부의 폭이나 깊이는 심재(심이나 소선)를 기재에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값이 설계되기 때문에 심재(심+소선)의 직경과 대비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당사품은 히터 심에 소선을 수평 권취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히터 심을 사용하지 않고 복수의 소선을 트위스팅하는 것만으로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부의 폭도 넓을수록 접착력은 강해진다. 지나치게 넓어도 위화감의 원인이 된다. 이 점에 관해서는 300%≤KC/KB≤500% 정도가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심재(심+소선)에 대한 고정부의 깊이에 대해서 기재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KD/KB>100%로 할 필요가 있다. 지나치게 깊어도 위화감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KD/KB≤2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제조 방법에 관해서(겉보기 밀도 0.04g/㎤의 폴리우레탄을 0.8mm로 압축한다) 제 4 실시형태~제 5 실시형태의 제조 조건은 이하와 같았다.
프레스 열판(27) 215℃±10℃
핫 프레스 지그(15) 15230℃±10℃
하강 압력 1회째 0.3MPa 2회째 0.5~1.0MPa
압축 시간 25±2초(s)
성과물의 형태가 다른 경우, 예를 들면 기재나 열 융착부에 타종류의 재료를 사용하는, 기재의 겉보기 밀도·기공률이 다른 것을 사용하는, 압축 후의 두께를 변경하는 등이라고 한 경우, 이 조건과는 다른 조건에서 가열 가압하게 된다. 또한 더 낮은 온도로 해서 압축 시간을 길게 하는 등 이 조건에 적합하지 않은 제법으로도 얻어지는 것이 같게 될 가능성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코드 형상 히터(1)에는 종래 공지의 어떠한 코드 형상 히터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420207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히터 심의 외주에 발열체 소선을 정렬시켜 구성된 발열체가 권회되고, 그 외주에 FEP로 이루어지는 절연체층, 필요에 따라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열 융착층이 형성된 코드 형상 히터, 일본특허출원 2007-158452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히터 심(3)이 열 수축성 및 열 용융성을 갖는 것인 코드 형상 히터, 일본특허출원 2007-158453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발열체가 절연 피막에 의해 피복된 도체 소선을 정렬시킨 것으로 구성된 코드 형상 히터, 일본특허공개 2007-134341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발열체가 구리 고용체와 구리 은 공정(共晶)이 파이버 형상으로 된 은 함유 구리 합금선의 소선인 것으로 구성된 코드 형상 히터 등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의 것도 고려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외경 약0.2mm의 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속으로 이루어지는 히터 심(3)의 외주에 소선 직경 0.08mm의 주석 구리 합금선으로 이루어지는 도체 소선(5a)을 7개 정렬시키고 피치 1.00mm로 나선 형상으로 권취해서 코드 형상 히터(1)를 구성한다. 또한, 도체 소선(5a)에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절연 피막(5b)이 두께 약 0.005mm로 피복되어 있다. 코드 형상 히터(1)는 이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그 완성된 외경은 0.38mm이다.
기재(10)에 대해서도 발포 폴리우레탄 수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발포 수지 시트, 발포 고무 시트 등 각종 고분자 발포체가 고려된다. 특히 신축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에 코드 형상 히터의 요철이 드러나지 않도록 경도를 조절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발포율을 조정하는, 기포의 상태를 독립 기포 또는 연속 기포로 하는 목적에 따른 경도의 재료를 사용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재료로서는 폴리우레탄 수지, 클로로프렌 고무, 실리콘 수지, 실리콘 고무, 네오프렌 고무, 디엔계 고무, 니트릴 고무, 천연 고무,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 각종 수지,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으로부터 선택하면 좋다. 또한, 기재(10)는 복수 사용해도 좋다. 복수의 기재(10)를 층 형상으로 적층해도 좋다. 이 경우, 복수의 기재(10) 각각을 다른 재질의 것으로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표면에 코드 형상 히터의 요철이 나타나기 어려워진다. 또한, 기포 내 등 기재(10)의 내부 공극에까지 접착제가 침입하지 않도록 접착층을 형성하면 기재(10)가 경화해서 신축성을 손상시키는 일은 없고 촉감이 악화되는 일도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코드 형상 히터(1)를 기재(10)에 배치할 때 가열 가압에 의한 융착에 의해 접착·고정하는 양태가 아니라 다른 양태에 의해 코드 형상 히터(1)를 기재(10)에 고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봉제에 의해 코드 형상 히터(1)를 기재(10)에 고정해도 좋고 다른 형태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기재(10)를 가열 가압할 때에는 프레스 열판(27) 뿐만 아니라 핫 프레스 지그(15)에 대해서도 가열해도 좋다. 이 때, 프레스 열판(27)과 핫 프레스 지그(15)의 온도를 다른 것으로 해서 기재(10)의 압축률을 바꾸는, 즉 기공률을 변화시키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접착층으로서는 예를 들면 고분자 아크릴계 점착제로 이루어지고 테이프 기재를 사용하지 않는 접착층이나, 폴리프로필렌 필름의 양면에 접착제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접착층 등 각종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그것 단독으로 FMVSS No. 302 자동차 내장 재료의 연소 시험에 합격할 만한 난연성을 갖는 것이면 히터 유닛의 난연성이 향상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히터 유닛의 신축성을 손상시키지 않기 때문에 점착제만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스티어링 조작할 때에 위화감을 느끼는 일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히터 유닛은 예를 들면 자동차, 선박, 각종 수송용 차량, 각종 농경용 차량, 각종 토목 건설용 중기 등에 사용되는 스티어링 휠에 사용되고, 그 휠부를 따뜻하게 하기 위한 히터 유닛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히터 유닛은 코드 형상 히터 부분의 요철이 없어 대략 평탄한 것임을 발휘하여 스티어링 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전기 모포, 전기 카페트, 카 시트 히터, 스티어링 히터, 난방 변좌, 방담 거울용 히터, 가열 조리 기구, 바닥 난방용 히터, 피복용 히터 등에 응용하는 것도 고려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당업자라면 말할 것도 없는 일이지만,
·상기 실시예 중에서 개시한 서로 치환가능한 부재 및 구성 등을 적당히 그 조합을 변경해서 적용하는 것
·상기 실시예 중에서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공지 기술로서 상기 실시예 중에서 개시한 부재 및 구성 등으로 서로 치환가능한 부재 및 구성 등을 적당히 치환하고, 또한 그 조합을 변경해서 적용하는 것
·상기 실시예 중에서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공지 기술 등에 의거하여 당업자가 상기 실시예 중에서 개시한 부재 및 구성 등의 대용으로서 상정할 수 있는 부재 및 구성 등으로 적당히 치환하고, 또한 그 조합을 변경해서 적용하는 것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개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제시·기재되어 있지만 첨부한 청구항에 정의된 발명의 정신이나 범위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형식이나 상세에 있어서의 상술의 변경이나 그 외의 변경을 추가하는 것은 당업자가 당연 이해하는 바이다.

Claims (6)

  1. 고분자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상기 기재 상에 배치되는 코드 형상 히터로 이루어지는 히터 유닛으로서,
    상기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코드 형상 히터가 배치되는 개소의 두께가 상기 코드 형상 히터의 형상을 따르도록 얇게 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대략 평탄한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형상 히터가 배치되는 개소의 두께가 개략 일정 두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유닛.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형상 히터가 최외층에 열 융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유닛.
  4. 제 1 항에 기재된 히터 유닛과, 휠 심재와, 피복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휠 심재와 상기 피복재 사이에 상기 히터 유닛이 설치되는 스티어링 휠.
  5. 고분자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기재와, 코드 형상 히터로 이루어지는 히터 유닛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기재 상에 소정의 패턴 형상으로 상기 코드 형상 히터를 배치하고, 상기 기재를 평판에 의해 가열 가압함으로써 상기 기재에 있어서의 상기 코드 형상 히터가 배치되는 개소의 두께를 상기 코드 형상 히터의 형상을 따르도록 얇게 하고, 그것에 의해 대략 평탄한 형상의 히터 유닛으로 하는 히터 유닛의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형상 히터가 배치되는 개소의 두께가 개략 일정 두께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터 유닛의 제조 방법.
KR1020187001943A 2015-08-07 2016-07-11 히터 유닛, 스티어링 휠 및 히터 유닛의 제조 방법 KR102022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20,570 US10045401B2 (en) 2015-08-07 2015-08-07 Heater unit and steering wheel
US14/820,570 2015-08-07
PCT/JP2016/070383 WO2017026217A1 (ja) 2015-08-07 2016-07-11 ヒータユニット、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およびヒータユニット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093A true KR20180021093A (ko) 2018-02-28
KR102022271B1 KR102022271B1 (ko) 2019-09-18

Family

ID=5798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943A KR102022271B1 (ko) 2015-08-07 2016-07-11 히터 유닛, 스티어링 휠 및 히터 유닛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045401B2 (ko)
EP (1) EP3334241B1 (ko)
JP (1) JP6760941B2 (ko)
KR (1) KR102022271B1 (ko)
CN (1) CN107852781B (ko)
CA (1) CA2993511C (ko)
RU (1) RU2683952C1 (ko)
WO (1) WO20170262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21970A1 (ja) * 2017-07-26 2019-01-31 株式会社クラベ コード状ヒータ、面状ヒータおよび面状ヒータの製造方法
US20230087519A1 (en) * 2020-03-05 2023-03-23 Nv Bekaert Sa Heating conductive wire-like el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4004660U1 (de) * 2004-03-23 2005-09-22 W.E.T. Automotive Systems Ag Vorrichtung zum Polstern und/oder Verkleiden von Bauteilen mit elektrischem Heizelement
JP2010218813A (ja) * 2009-03-16 2010-09-30 Toyota Boshoku Corp 布材
JP2014143175A (ja) * 2012-12-25 2014-08-07 Kurabe Industrial Co Ltd ヒータユニット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908B2 (ja) 1986-03-19 1995-02-15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カーペットの製造方法
JPH0831354B2 (ja) 1986-11-14 1996-03-27 松下電工株式会社 電気カ−ペツト
JP2821718B2 (ja) * 1992-08-06 1998-11-05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ヒータ
JP3849220B2 (ja) 1997-04-01 2006-11-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採暖具
DE19910132C1 (de) * 1999-03-01 2000-03-16 Petri Ag Beheizbares Lenkrad
JP2002096740A (ja) 2000-09-25 2002-04-02 Nippon Plast Co Ltd ステアリング装置
DE10195699D2 (de) * 2000-12-23 2003-12-04 Lindner Manfred K Flächenheiz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heizbarer Gegenstand
US6489595B1 (en) * 2001-03-12 2002-12-03 Check Corporation Electric heater for a seat assembly
US9963056B2 (en) 2001-09-20 2018-05-08 Kurabe Industrial Co., Ltd. Seat heater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seat heater
CN1453172B (zh) 2002-04-25 2011-01-2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方向盘
JP2003317905A (ja) 2002-04-25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面状発熱体
JP5125111B2 (ja) * 2006-03-30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面状発熱体
DE102008063849A1 (de) * 2008-12-19 2010-06-24 Tesa Se Beheiztes Flächenelement und Verfahren zu seiner Befestigung
DE202009012162U1 (de) * 2009-09-08 2010-04-29 I.G. Bauerhin Gmbh Lenkradheizung-Trägermaterial mit unterschiedlichen Stauchhärten
US20110073582A1 (en) * 2009-09-30 2011-03-31 Toyoda Gosei Co., Ltd. Steering wheel
JP5441655B2 (ja) 2009-12-10 2014-03-12 株式会社クラベ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ヒータ装置
JP2011181316A (ja) 2010-03-01 2011-09-15 Kurabe Industrial Co Ltd ヒータユニット
DE102010037005B3 (de) 2010-08-16 2011-11-03 Alinox Ag Metallplatte mit eingebettetem Heizelement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S8294066B2 (en) * 2010-11-19 2012-10-23 Eaton Corporation Thermally and electrically conductive element
JP2013052775A (ja) * 2011-09-05 2013-03-21 Nippon Plast Co Ltd 部材、特に把持部材、内装部材、およ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13230777A (ja) * 2012-04-27 2013-11-14 Nippon Plast Co Ltd ハンドル、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15098248A1 (ja) * 2013-12-26 2015-07-02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6140653B2 (ja) * 2014-06-20 2017-05-31 豊田合成株式会社 ヒータエレメントと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4004660U1 (de) * 2004-03-23 2005-09-22 W.E.T. Automotive Systems Ag Vorrichtung zum Polstern und/oder Verkleiden von Bauteilen mit elektrischem Heizelement
JP2010218813A (ja) * 2009-03-16 2010-09-30 Toyota Boshoku Corp 布材
JP2014143175A (ja) * 2012-12-25 2014-08-07 Kurabe Industrial Co Ltd ヒータユニット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특허공개 2003-317905 공보: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일본특허공개 2011-121477 공보: KURABE INDUSTRIAL CO., LT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34241A1 (en) 2018-06-13
US10045401B2 (en) 2018-08-07
CA2993511A1 (en) 2017-02-16
JP6760941B2 (ja) 2020-09-23
KR102022271B1 (ko) 2019-09-18
EP3334241B1 (en) 2021-05-26
WO2017026217A1 (ja) 2017-02-16
CA2993511C (en) 2019-12-31
JPWO2017026217A1 (ja) 2018-06-14
US20180160485A1 (en) 2018-06-07
EP3334241A4 (en) 2019-03-20
CN107852781A (zh) 2018-03-27
RU2683952C1 (ru) 2019-04-03
US20170036688A1 (en) 2017-02-09
CN107852781B (zh) 2021-03-19
US10764967B2 (en) 202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8701B2 (ja) ヒータユニット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110870383B (zh) 绳状加热器、面状加热器以及面状加热器的制造方法
JP2011181316A (ja) ヒータユニット
KR20180021093A (ko) 히터 유닛, 스티어링 휠 및 히터 유닛의 제조 방법
JP6761728B2 (ja) ヒータユニット
JP6602071B2 (ja) ヒータユニット及び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6810234B2 (ja) 積層体及びヒータユニット
JP6675845B2 (ja) ヒータユニット
JP6761727B2 (ja) ヒータユニット
JP6829577B2 (ja) ヒータユニット
JP2013006520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用ヒータ装置
JP2024068100A (ja) 面状ユニット
JP2011229795A (ja) シートヒータが配置された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