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0574A -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0574A
KR20180020574A KR1020160105128A KR20160105128A KR20180020574A KR 20180020574 A KR20180020574 A KR 20180020574A KR 1020160105128 A KR1020160105128 A KR 1020160105128A KR 20160105128 A KR20160105128 A KR 20160105128A KR 20180020574 A KR20180020574 A KR 20180020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rubber tree
cosmetic composition
indi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5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594B1 (ko
Inventor
안인숙
Original Assignee
(주)진셀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셀팜 filed Critical (주)진셀팜
Priority to KR1020160105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594B1/ko
Publication of KR2018002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5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ON FOR REMOVING HEAVY METAL OR FINE DUST CONTAINING EXTRACTS OF RHAPIS EXCELSA AND FICUS ROBUSTA}
본 발명은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부 모공 내에 잔존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흡착 및 제거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급속한 산업화, 자동자 배출가스, 중국으로부터 이동해온 공기덩어리에 의한 중금속 가루 및 미세먼지 등 외부 오염물이 사람들의 피부를 오염시키며, 피부 노화 및 트러블 발생의 큰 원인으로 손꼽히고 있다.
중금속은 납, 수은, 카드뮴, 아연, 니켈 등 비중 4 이상의 무거운 금속원소를 가리키며, 이러한 중금속은 미량이라도 체내에 축적되면 잘 배설되지 않고 체내에 존재하는 단백질에 쌓여 장기간에 걸쳐 부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매우 위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피부에서는 대기 중에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질소 산화물(NO)과 같은 유해물질을 추가로 생성해 피부의 염증, 아토피,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또한,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는 지름 10㎛ 이하의 작은 먼지를 가리키며, 황산염, 질산염 등과 같은 독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자동차 매연과 공장 굴뚝에서 나온 유독물질 또는 중금속 등이 대기 중에서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만들어지며, 고농도의 미세먼지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기침, 안구 따가움, 피부 트러블, 폐·기도 세포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현재, 체내의 중금속 제거 방법은 EDTA(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 및 BAL(British anti-lewisite)과 같은 착화합물 형성물질을 주사하여 체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과 결합하게 하여 중금속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방법이 있으며 또한, 비타민 B1, 비타민 C 및 비타민 E를 복용하여 중금속의 체내 흡수를 막고 배출도 용이하게 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피부 모공 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금속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으며, 미세먼지는 클렌징으로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지만, 미세할수록 흡착력이 강하기 때문에 모공에 깊숙이 스며들어 일반 클렌징으로는 완벽하게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한편, 화장품 업계에서는 여러 화학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제품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천연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천연 재료 기반의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안정성을 제고하면서도, 중금속 및 미세먼지의 흡착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재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생체 안전성이 우수하며, 특히,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여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흡착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제조된 발효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의 수지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지 추출물에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제조된 발효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모나스커스 속(Monascus sp .), 비피도박테리아 속(Bifidobacterium sp .), 프레보텔라 속(Prevotella sp .), 푸조박테리아 속(Fusobacterium sp .), 및 유박테리아 속(Eubacterium sp .) 균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65 내지 75% 농도(v/v)의 에탄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유수분 조절, 콜라겐 증가, 피부 장벽 회복, 피부결 개선, 피부 주름 개선, DNA 손상 억제 및 피부홍반 감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즉, 천연 식물에 유래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므로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특히,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의 흡착 및 제거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관음죽(Rhapis excelsa)”은 관음죽은 관음죽속에 딸린 종려의 일종이다. 중국 남부와 타이완이 원산지이며, 자생지는 발견된 적이 없고, 중국에서 인위적으로 재배되고 있던 종들만이 존재한다. 중국에서 건너와 일본의 에도 막부에서 관상용으로 키우던 것이 유럽인의 눈에 띄게 되어 서방세계로 퍼져나가게 되었다. 상기 관음죽은 잎은 4~10㎝ 정도이고 두툼하고 윤기가 흐르는 잎들이 15~30㎝ 정도되는 부채꼴 모양을 형성하며, 잎들이 야자처럼 휘어지는 가지 끝에 매달려 중심 줄기로 연결된다. 상기 관음죽은 공기정화식물 중 하나로 공기 내 유해물질을 흡수하는 능력이 우수하고, 특히 암모니아 및 클로로포름 같은 물질을 제거하는데 효과적이다. 또한, 이산화탄소 흡수율도 높아 실내 공기를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인도 고무나무(Ficus robusta)”는 뽕나무과의 식물로 우리나라 뽕나무처럼 잎을 따면 하얀 즙액이 나온다. 상기 인도 고무나무의 잎은 타원형 모양이나 긴타원형이고 두꺼운 혁질로서 광택이 난다. 빛이 잘 드는 곳에 두어 충분한 빛을 쬐면 윤이나고 두터워져서 겨울 추위에도 잘 견딜 수 있다. 상기 인도 고무나무의 꽃은 6~7월에 피는데 잎 사이로 한 두 개의 꽃차례가 달리고 꽃턱은 막질(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상태)이다. 수꽃은 보통 4개의 꽃받침 잎과 1개의 수술로 되어 있고, 암꽃은 4~6개의 꽃받침 잎과 1개의 씨방, 암술대 1개로 길다. 상기 인도 고무나무의 열매는 긴타원형이며 무화과 같은 모양으로 1.5㎝ 정도되며 녹황색으로 익는다. 상기 인도 고무나무는 공기정화식물 중 하나로 미세먼지 제거 효능이 우수하고, 특히, 유해물질 중 포름알데히드의 제거율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법에 의하여 파쇄된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를 각각 추출 용매에 혼합한 후 추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5% 농도(v/v)의 에탄올일 수 있으며, 2 이상의 서로 다른 용매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순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 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천연 원료의 생리 활성 물질의 추출에 있어서 선택성이 뛰어나므로 상기 에탄올 추출에 의해 최적의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물과 에탄올은 극성이 상이하여, 각 극성에 따라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서로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최적의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에탄올의 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에탄올은 농도가 75% 초과이면 적정한 수율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농도가 65% 미만이면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유효 성분이 충분하게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알코올의 농도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정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0% 농도의 에탄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의 수지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수지 추출물”은 상기 인도 보리수 나무의 수지를 헥산, 석유에테르 등과 같은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의미한다. 상기 인도 보리수 나무 수지를 유기 용매로 추출하면 상기 인도 보리수 나무 수지에 포함된 다양한 지용성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어, 피부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추출 용매는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추출물에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제조된 발효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발효”는 미생물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 미생물을 통한 발효과정을 거친 원료는 발효 전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수 십배의 효과가 증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발효를 거친 대사물질은 피부에 좋은 각종 아미노산, 유기산, 항산화물질을 함유하여 피부대사를 촉진시켜 피부결을 탄력있고 매끄럽게 가꿔준다. 또한,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입자가 작아지고 중금속 등의 독성이 분해되어 흡수율이 좋을 뿐 아니라 피부트러블이나 알레르기 부작용을 완화해준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발효 추출물”은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또는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추출물을 자연적으로, 또는 장치, 구체적으로 회전감압농축기 및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건조시킨 후, 상기 추출물 또는 수지 추출물을 용매, 바람직하게는 정제수에 일정 농도로 희석한 후 발효용 미생물을 접종하고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모나스커스 속(Monascus sp .), 비피도박테리아 속(Bifidobacterium sp .), 프레보텔라 속(Prevotella sp .), 푸조박테리아 속(Fusobacterium sp .), 및 유박테리아 속(Eubacterium sp .) 균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항염,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유수분 조절, 콜라겐 증가, 피부 장벽 회복, 피부결 개선, 피부 주름 개선, DNA 손상 억제 및 피부홍반 감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 외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및 화장료 조성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료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실시예 1: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파쇄한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각 100g에 대해 각각 70% 에탄올 1L에 10중량% 비율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각각의 원료를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한 후, 250메쉬 및 0.5㎛ 여과지로 여과하여 액상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관음죽 추출물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혼합한 후, 회전감압농축기 및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수득하고 실시예 1의 시료로 하였다.
실시예 2: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발효 추출물
실시예 1의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에 정제수를 이용하여 5중량%로 희석한 뒤, 발효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접종하여 발효하였다. 상기 발효시킨 추출물을 500메쉬 및 0.2㎛ 여과지로 여과하여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고 실시예 2의 시료로 하였다.
실시예 3: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추출물
파쇄한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각 100g에 대해 헥산의 20% 부피로 팀블(Thimble)에 충진한 뒤, 120℃로 가열하여 5회 환류시켜 250메쉬 및 0.5㎛ 여과지로 여과하여 액상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관음죽 추출물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혼합한 후, 회전감압농축기 및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추출물을 수득하고 실시예 3의 시료로 하였다.
실시예 4: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
실시예 3의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추출물에 정제수를 이용하여 5중량%로 희석한 뒤, 발효 균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을 접종하여 발효하였다. 상기 발효시킨 추출물을 500메쉬 및 0.2㎛ 여과지로 여과하여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을 수득하고 실시예 4의 시료로 하였다.
실험예 1: 염증성 사이토카인 합성 저해 효과 평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의 추출물의 피부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 합성 저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PAHs(Poly aromatic hydrocarbons)에 의해 자극받은 면역세포 IL-1β, IL-6 및 TNF-α을 실시예 1 내지 4의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발효 추출물,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추출물 및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로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이를 qRT-PCR로 측정하였다.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에 의한 IL-1β, IL-6 및 TNF-α 유전자 발현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PCR의 산물이 발산하는 형광값을 통하여 결과값을 확인하는 방식으로SYBR 그린 I(Invitrogen)을 사용하였다. PCR 튜브에 0.2 μM 프라이머, 50Mm KCl, 20Mm Tris/HCl pH 8.4, 0.8mM DNTP, 0.5U Extaq DNA 폴리머라아제, 3Mm MgCl2, 1 X SYBR 그린을 혼합하여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반응액을 제조한 후, Linegene K(BioER)를 이용하여 94℃에서 3분 동안 1차 변성시킨 후, 변성, 어닐링, 중합을 각각 94℃에서 30초, 60℃에서 30초, 72℃에서 30초로 총 40사이클 수행하였고, 매 사이클이 끝난 후 형광강도를 측정하였다.
각 유전자의 역치 사이클(Ct)값을 β-액틴의 Ct값으로 표준화한 후, Ct값의 변화량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Ct값은 PCR의 산물에 의하여 발생하는 형광의 양(증폭된 PCR 산물의 수)이 기본 값 이상의 일정한 기준 값에 도달했을 때의 사이클 수로서 Ct값을 통하여 유전자 발현량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mRNA 발현도(배수)]
구분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농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IL-1β 0 7.1 7.1 7.1 7.1
25 6.5 6.1 5.9 5.0
50 5.4 5.3 5.1 4.2
75 4.1 4.0 3.8 3.1
100 2.2 2.0 1.7 1.6
IL-6 0 12.6 12.6 12.6 12.6
25 10.7 10.5 10.1 9.4
50 7.6 7.4 7.2 5.1
75 6.2 5.9 5.4 4.5
100 5.3 5.0 4.0 3.5
TNF-α 0 5.2 5.2 5.2 5.2
25 4.5 4.2 4.1 4.0
50 4.2 3.9 3.7 3.4
75 3.4 3.2 2.7 2.2
100 3.1 2.8 2.0 1.7
표 1를 참고하면, PAHs에 의해 증가된 IL-1β, IL-6 및 TNF-α 유전자 발현이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실시예 1 내지 4)로 처리한 후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든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고, 특히,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다.
실험예 2: NF - kB 전사 억제 효과 평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의 추출물의 피부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전사요인인 NF-Kb의 전사 억제 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NF-kB 에 의하여 전사가 진행된다고 알려진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을 루시퍼라아제(luciferase) 유전자가 포함된 벡터에 클로닝하여 면역세포에 삽입시켰다. NF-Kb 전사를 유도하는 PAHs을 처리하여 NF-kB 전사능력을 활성화시킨 후, 실시예 1 내지 4의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발효 추출물,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추출물 및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로 농도를 달리하여 처리한 후,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된 면역세포는 채집 시점에 0.1mL 용해 버퍼(0.1M HEPES, pH 7.6, 1% Triton-X, 1mM DTT 및 2mM EDTA)를 직접 첨가하여 세포 용해물을 채집한 후, 4℃에서 10분간 14,000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세포 단백을 수득하였다.
브레드포드 분석(Bradford assay; Bio-Rad Laboratories)을 이용하여 단백 농도를 측정한 후, 20㎍의 단백질을 루시퍼라아제 분석 혼합물(25mM 글리실글리신(glycylglycine), 15mM MgSO4, 1㎎/mL BSA, 5mM ATP 및 1Mm D-루시퍼린(luciferin; Analytical Luminescence Laboratory))에 첨가하고, 모노라이트(Monolight) 2010(Analytical Luminescence Laboratory) 을 이용하여 20초간 발광도를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얻었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루시퍼라아제 활성도(배수)]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농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NF-kB 0 31.5 31.5 31.5 31.5
25 25.4 24.6 23.4 21.4
50 21.4 20.4 18.6 15.2
75 7.4 6.9 6.4 4.3
100 5.1 4.8 4.2 3.7
표 2를 참고하면, PAHs에 의해 증가된 루시퍼라아제의 활성도가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실시예 1 내지 4)로 처리한 후 현저하게 감소하여 NF-kB의 전사 억제 효과가 우수하였다.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루시퍼라아제의 활성도가 감소하였고, 특히,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루시퍼라아제의 활성도가 감소하였다.
실험예 3 : 다환방향족탄화수소 제거 효과 시험
미세먼지 중 다량 함유된 유해대기물질인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의 흡착 효과를 시험하였다.
털을 제거한 돼지 외피(1cm x 1cm) 시편을 준비한 후, PBS로 10분간 세척하였다. 세척 후 나프탈렌(Naphtalene), 아세나프틸렌(Acenaphthylene), 아세나프텐(Acenaphthene), 플루오렌(Fluorene), 플루오란텐(fluoranthene), 피렌(Pyrene), 크리센(Chrysene), 벤조피렌(Benzopyrene)을 600ppm 함유하는 용액(pH 11)에 2시간 동안 담지한 후 상온에서 건조하였다. 실험군은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의 농도를 달리하여 도포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켰으며, 대조군은 PBS를 도포하고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PBS로 세척한 후 상기 시편을 일정 중량으로 절단한 후 호모게나이저로 분쇄하였다. 분쇄된 조직을 anhydrous sodium sulfate(Na2SO4)으로 건조시킨 후 속실렛 추출(Sohxlet extraction) 및 액액 추출(Liquid-liquid extraction) 방법을 통해 조직 내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를 추출하였고(Husain et al., 1997; Takatsuki et al., 1985), HPLC로 정량하였다. 정량 결과는 하기 표 3와 같으며, 결과는 실험군 대비 대조군의 비율로 나타내었다.
[% of control]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1
mg/L
10
mg/L
50
mg/L
1
mg/L
10 mg/L 50 mg/L 1
mg/L
10
mg/L
50
mg/L
1
mg/L
10
mg/L
50
mg/L
나프탈렌 31.6 14.4 1.8 29.7 16.2 2.5 31.5 16.2 2.5 33.6 18.7 3.2
아세나프틸렌 32.4 14.2 1.5 34.8 15.3 2.1 38.7 19.5 2.3 39.2 21.4 3.7
플루오렌 33.9 16.9 3.1 38.7 18.6 3.9 42.7 21.4 4.1 44.6 22.8 4.2
플루오란텐 34.7 16.4 2.8 38.7 16.8 2.1 40.9 19.1 2.9 42.1 20.8 3.8
피렌 32.5 11.7 0.9 37.2 15.4 1.9 38.4 15.4 2.3 38.9 15.4 2.3
크리센 28.6 15.2 1.6 31.6 15.2 1.7 32.5 15.9 1.5 33.6 17.6 2.4
벤조피렌 19.4 6.3 3.7 22.1 8.5 3.4 22.4 8.9 3.6 23.4 8.7 4.1
분석 결과, 상기 다환방향족탄화수소는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실시예 1 내지 4) 처리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제거되었으며, 상기 결과는 상기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이 미세먼지 및 대기 중 다량 함유되어 피부에 트러블을 야기할 수 있는 유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험예 4: 피부 안정성 검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의 추출물의 피부 안정성를 검증하기 위해, 동물의 피부세포를 MTT assay(살아있는 세포 수를 측정)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동물의 피부세포를 배지에 넣고 실시예 1 내지 4의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발효 추출물,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추출물 및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로 농도를 달리하여 투입하고, 노출시간을 3분 및 1시간으로 달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세포생존율(%)]
시간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농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3분 0 101 103 103 102
0.5 101 100 101 100
1 101 100 101 101
2.5 102 101 100 100
5 100 100 101 100
1시간 0 104 104 102 103
0.5 102 102 102 102
1 100 104 101 100
2.5 100 100 100 101
5 101 101 100 101
표 4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4의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발효 추출물,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추출물 및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에 의한 세포사멸이 나타나지 않아, 피부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안구 안정성 검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의 추출물의 안구 안정성를 검증하기 위해, 동물의 망막세포인 SIRC세포를 이용하여 MTT assay(살아있는 세포 수를 측정)실험을 진행하였다.
먼저, SIRC세포를 배지에 넣고 실시예 1 내지 4의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발효 추출물,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추출물 및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로 농도를 달리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세포생존율(%)]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농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0 105 102 104 101
0.5 100 100 99 98
50 85 82 90 89
표 5을 참고하면, 실시예 1 내지 4의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발효 추출물,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추출물 및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에 의한 세포사멸이 기준치 70%이상을 만족하여 안구 안정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피부 홍반 개선 효과 평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로 제조된 마스크팩의 피부 홍반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고, 마스크팩은 하기 표 6과 같이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는 대조군으로 각각 MCT 오일 및 동백오일과 반응한 군을 도입하였다.
[함량(중량%)]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A상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5.0 - - - - -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발효 추출물 - 5.0 - - - -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추출물
- - 5.0 - - -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
- - - 5.0 - -
MCT 오일 - - - - 5.0 -
동백 오일 - - - - - 5.0
트리세테아레스-4포스페이트 2.0 2.0 2.0 2.0 2.0 2.0
피이지-4폴리글리세릴-2스테아레이트 7.0 7.0 7.0 7.0 7.0 7.0
폴리소르베이트 80 1.0 1.0 1.0 1.0 1.0 1.0
세틸스테아릴알콜 3.0 3.0 3.0 3.0 3.0 3.0
판테놀 1.0 1.0 1.0 1.0 1.0 1.0
옥틸도데카놀 5.0 5.0 5.0 5.0 5.0 5.0
이소프로필 이소스테아레이트 5.0 5.0 5.0 5.0 5.0 5.0
비사보롤 0.5 0.5 0.5 0.5 0.5 0.5
B상 카올린 3.0 3.0 3.0 3.0 3.0 3.0
카보머 0.5 0.5 0.5 0.5 0.5 0.5
C상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1.0 1.0 1.0 1.0 1.0 1.0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5.0 5.0 5.0 5.0 5.0 5.0
알란토일 0.2 0.2 0.2 0.2 0.2 0.2
D상 피록톤올아민 0.2 0.2 0.2 0.2 0.2 0.2
E상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알로에베라잎즙 2.0 2.0 2.0 2.0 2.0 2.0
디아졸리디닐우레아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향,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먼저, 20~40세의 여성 중 선정된 30명에 대하여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 CR-2600D, Konica Minolta)를 이용하여 시험 대상자의 사용 전 피부를 측정한 후,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마스크팩을 사용한 후 피부를 재측정하였다.
측정값은 a*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회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고, 측정값이 높을수록 붉은기가 많은 상태를 의미하며,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a*, (Arbitrary unit)]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사용 전 12.34 12.34 12.34 12.34 12.34 12.34
2주 후 11.46 11.34 11.21 11.12 12.27 12.26
4주 후 10.97 10.73 10.67 10.42 12.23 12.22
표 7을 참고하면,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로 제조된 마스크팩(실시예 1 내지 4)은 사용 후 피부 홍반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피부 홍반 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마스크팩(실시예 4)이 피부 홍반 개선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마스크팩(비교예 1, 2)을 사용한 경우, 피부 홍반 개선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7: 피부 중금속 제거 효과 평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로 제조된 클렌징 폼의 피부 중금속 제거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고, 클렌징 폼은 하기 표 8과 같이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2는 대조군으로 공지의 추출물 중 미세먼지 제거 기능이 있다고 알려진 쌀겨 추출물 및 해초 추출물을 각각 적용한 군을 도입하였다.
[함량(중량%)]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A상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5.0 - - - - -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발효 추출물 - 5.0 - - - -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추출물
- - 5.0 - - -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
- - - 5.0 - -
쌀겨 추출물 - - - - 5.0 -
해초 추출물 - - - - - 5.0
스테아르산 8.0 8.0 8.0 8.0 8.0 8.0
미리스트산 12.0 12.0 12.0 12.0 12.0 12.0
비타민 E 아세테이트 1.0 1.0 1.0 1.0 1.0 1.0
프로필 파라벤 0.2 0.2 0.2 0.2 0.2 0.2
B상 글리세린 9.0 9.0 9.0 9.0 9.0 9.0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15.0
코카마이드 DEA 7.0 7.0 7.0 7.0 7.0 7.0
코카마이드 프로필 베타인 7.0 7.0 7.0 7.0 7.0 7.0
메틸 파라벤 0.4 0.4 0.4 0.4 0.4 0.4
에틸렌다이아민테트라아세트산 0.2 0.2 0.2 0.2 0.2 0.2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C상 수산화칼륨 5.0 5.0 5.0 5.0 5.0 5.0
향,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먼저, 돼지 피부(1㎝ X 1㎝) 시료 2개를 각각 600ppm 납 용액 및 600ppm 카드뮴 용액에 1시간 동안 침지한 후, 상온에서 건조시킨 뒤 클렌징 폼(실시예 1 내지 4)과 대조군으로 공지의 쌀겨 추출물 및 해초 추출물이 각각 포함된 클렌징 폼(비교예 1 내지 2)을 도포하여 세정한 후 피부 중금속 잔여량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피부 중금속 잔여량(ppm)]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카드뮴(Cd) 세정 전 8,200 8,200 8,200 8,200 8,200 8,200
세정 후 1,160 1,060 900 790 4.,900 6,500
납(Pb) 세정 전 12,200 12,200 12,200 12,200 12,200 12,200
세정 후 2,200 1,940 1,700 1,640 7,400 8,700
표 9을 참고하면,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로 제조된 클렌징 폼(실시예 1 내지 4)은 세정 후 피부 중금속 잔여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클렌징 폼(실시예 4)이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공지의 클렌징 폼(비교예 1, 2)를 사용하여 세정한 경우, 피부 내 중금속 잔여량이 크게 감소하지 않아, 미세먼지 제거 효과가 미미하였다.
실험예 8: 피부결 개선 효과 평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의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로 제조된 크림의 피부결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을 진행하였고, 크림은 하기 표 10과 같이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2는 대조군으로 정제수와 공지의 추출물 중 보습 기능이 있다고 알려진 알로에베라 추출물을 각각 적용한 군을 도입하였다.
[함량(중량%)]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A상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
5.0 - - - - -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발효 추출물 - 5.0 - - - -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추출물
- - 5.0 - - -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
- - - 5.0 - -
정제수 - - - - 5.0 -
알로에베라 추출물 - - - - - 5.0
디소디움 EDTA 0.01 0.01 0.01 0.01 0.01 0.01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 0.2 0.2 0.2 0.2 0.2 0.2
클로페네신 0.2 0.2 0.2 0.2 0.2 0.2
히아루론산 5.0 5.0 5.0 5.0 5.0 5.0
산탄검 1% 수용액 5.0 5.0 5.0 5.0 5.0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8.0 8.0 8.0 8.0 8.0 8.0
B상 스쿠알랑 4.0 4.0 4.0 4.0 4.0 4.0
디메치콘 3.0 3.0 3.0 3.0 3.0 3.0
사이크로메치콘 3.0 3.0 3.0 3.0 3.0 3.0
폴리솔베이트 60 2.0 2.0 2.0 2.0 2.0 2.0
솔비탄올레이트 0.5 0.5 0.5 0.5 0.5 0.5
쉐어버터 3.0 3.0 3.0 3.0 3.0 3.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0 1.0 1.0 1.0 1.0 1.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스테아린산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향,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먼저, 20~40세의 여성 중 선정된 30명에 대하여 PRIMOS 라이트(field of view 45, flexible 3D measuring, GFMesstechnik GmbH)를 이용하여 시험 대상자의 사용 전 피부를 측정한 후,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크림을 사용한 후 피부를 재측정하였다.
측정값은 Ra의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3회의 평균값으로 나타내었고, 측정값이 높을수록 피부 주름이 많은 상태를 의미하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Ra, (Arbitrary unit)]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사용 전 16.72 16.72 16.72 16.72 16.72 16.72
2주 후 14.40 13.85 13.11 12.45 15.01 15.54
4주 후 12.24 12.16 11.97 11.10 14.56 14.26
표 11을 참고하면,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로 제조된 크림(실시예 1 내지 4)은 사용 후 측정값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하였다. 특히,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수지 발효 추출물이 포함된 크림(실시예 4)의 피부결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이 포함되지 않은 크림(비교예 1, 2)을 사용한 경우, 피부결 개선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9)

  1.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에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제조된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의 수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추출물에 발효 균주를 접종하여 제조된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 모나스커스 속(Monascus sp .), 비피도박테리아 속(Bifidobacterium sp .), 프레보텔라 속(Prevotella sp .), 푸조박테리아 속(Fusobacterium sp .), 및 유박테리아 속(Eubacterium sp .) 균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된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은 65 내지 75% 농도(v/v)의 에탄올인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산화, 항염,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유수분 조절, 콜라겐 증가, 피부 장벽 회복, 피부결 개선, 피부 주름 개선, DNA 손상 억제 및 피부홍반 감소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수분크림,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앰플, 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05128A 2016-08-18 2016-08-18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9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128A KR101909594B1 (ko) 2016-08-18 2016-08-18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5128A KR101909594B1 (ko) 2016-08-18 2016-08-18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0574A true KR20180020574A (ko) 2018-02-28
KR101909594B1 KR101909594B1 (ko) 2018-10-18

Family

ID=6140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5128A KR101909594B1 (ko) 2016-08-18 2016-08-18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59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492B1 (ko) 2018-06-04 2019-06-12 주식회사 익스플즌 약재추출물을 포함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FR3110424A1 (fr) * 2020-05-19 2021-11-26 Aime Inc. Complément alimentaire comprenant des bactéries lactiques et des extraits de Reishi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9188B1 (ko) * 2019-11-21 2022-01-10 애경산업(주) 미세먼지로 인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868A (ko) * 1998-03-16 2001-05-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피부 보습 조성물
KR20060019354A (ko) * 2004-08-27 2006-03-03 주식회사 에네트 공기정화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0802A (ko) * 2009-09-18 2011-03-24 (주)더페이스샵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와 두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29820A (ko) * 2011-05-20 2012-11-2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의약 조성물 및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1868A (ko) * 1998-03-16 2001-05-25 데이비드 엠 모이어 피부 보습 조성물
KR20060019354A (ko) * 2004-08-27 2006-03-03 주식회사 에네트 공기정화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30802A (ko) * 2009-09-18 2011-03-24 (주)더페이스샵 팔미토일올리고펩타이드와 두충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29820A (ko) * 2011-05-20 2012-11-2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의약 조성물 및 의약 조성물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492B1 (ko) 2018-06-04 2019-06-12 주식회사 익스플즌 약재추출물을 포함하는 중금속 및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FR3110424A1 (fr) * 2020-05-19 2021-11-26 Aime Inc. Complément alimentaire comprenant des bactéries lactiques et des extraits de Reish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594B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313B1 (ko) 국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N105647974B (zh) 一种酿酒酵母植物发酵物及其应用和皮肤外用剂
KR102119825B1 (ko) 현미, 녹차 및 포공영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내 마이크로바이옴 균형 유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3526B1 (ko)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1909592B1 (ko) 팬다 고무나무 및 스킨답서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3297B1 (ko) 인도 보리수 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2700B1 (ko) 에델바이스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 및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9594B1 (ko) 관음죽 및 인도 고무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중금속 또는 미세먼지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400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JP2020193198A (ja) ダイダイの地上部の発酵抽出物
KR20170137963A (ko) 씀바귀, 선복화 및 민들레를 유산균으로 발효한 항염활성, 피부개선에 유용한 발효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01670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908975B1 (ko)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101985884B1 (ko) 꽃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25377B1 (ko) 드럼스틱나무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8148B1 (ko) 그라비올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022854A (zh) 包含凤眼蓝提取物作为有效成分的化妆品组合物
KR101825713B1 (ko) 아레카야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6210B1 (ko) 소루쟁이­동충하초 고체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1511B1 (ko) 흑진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흡착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4254B1 (ko) 황련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25934A (ko) 담자균류로 발효시킨 장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383140A (zh) 具美白防腐活性的白花蛇舌草β‑谷甾醇及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