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8970A - 차량용 버튼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버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8970A
KR20180018970A KR1020160103287A KR20160103287A KR20180018970A KR 20180018970 A KR20180018970 A KR 20180018970A KR 1020160103287 A KR1020160103287 A KR 1020160103287A KR 20160103287 A KR20160103287 A KR 20160103287A KR 20180018970 A KR20180018970 A KR 201800189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guide
mounting
case
case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3305B1 (ko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30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8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8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3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부와, 케이스부에 장착되는 버튼부와, 버튼부와 결합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에 삽입되고 램프가 점등되는 지시부를 포함하고, 버튼부와 장착부는 이중 사출 성형되어 부품수를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버튼장치{BUTTON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버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을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유동 손상을 억제하는 차량용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오디오 장치 및 공조장치가 내장되어, 음악을 비롯한 방송 등을 청취하고, 차량 내부 온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오디오 장치 및 공조장치는 다이얼스위치와 버튼스위치가 구비되며, 기기의 작동 상태를 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전면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다이얼스위치와 버튼스위치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오디오기기 및 공조기기를 동작시키게 되며, 다이얼스위치는 회전동작에 의하여, 버튼스위치는 누름 동작에 의하여 동작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버튼스위치는 제품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전면패널 사이에 버튼이 상하 습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버튼 하측에는 광원에서 생성된 빛을 확산시키기 위한 리플렉터가 장착되어 버튼 일측에 절개되어 형성된 표시부로 빛을 안내하게 된다.
전면패널 하측에는 하우징이 설치되어 버튼을 잡아주는 구조적 역할을 하게 되면서도 리플렉터에 의하여 확산된 빛이 버튼 표시부를 제외한 버튼의 측면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버튼 하측에는 스위치가 설치되어 버튼의 상하동작에 따라서 동작하게 되며, 스위치 하측과 고정된 회로기판에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종래에는 차량의 버튼 제작을 위해 다량의 부품이 사용되어 생산비가 증가하게 되며, 설계시에도 복잡한 설계 구조에 의하여 개발기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42689호(2004.05.20 공개, 발명의 명칭 : 자동차용 버튼구조)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부품을 간소화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유동 및 손상을 억제하는 차량용 버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결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고, 램프가 점등되는 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와 상기 장착부는 이중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는 차체에 장착되고, 버튼홀부가 형성되는 외부케이스부;
상기 외부케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버튼홀부를 커버하는 내부케이스부; 및 상기 내부케이스부에 형성되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버튼부를 안내하는 안내케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내부케이스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버튼부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조립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케이스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안내부; 상기 측부안내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안내부; 상기 측부안내부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안내부; 및 상기 상부안내부를 연결하고, 상기 장착부를 안내하는 장착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케이스부는 상기 측부안내부와 상기 하부안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안내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케이스부는 상기 하부안내부와 상기 상부안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와 상기 장착부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튼부는 상기 안내케이스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내케이스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안내케이스부에 결합되는 버튼커버부; 및 상기 버튼커버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케이스부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부는 상기 버튼부에 사출 성형되고, 상기 안내케이스부에 장착되는 장착판부; 및 상기 장착판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시부가 삽입되는 장착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는 버튼부와 장착부가 이중 사출 성형되어 케이스부에 장착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는 조립돌기부의 형상 및 위치와 대응되도록 버튼부가 삽입되어 버튼부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는 버튼커버부의 내측에 3개의 버튼레일부가 형성되므로, 유동을 억제하면서 안정적인 습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에서 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면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에서 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 장치에서 버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 장치에서 장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1)는 케이스부(10)와, 버튼부(20)와, 장착부(30)와, 지시부(4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0)는 차체의 내장재에 설치되고, 버튼부(20)는 케이스부(10)에 장착된다. 장착부(30)는 버튼부(20)에 결합되고, 지시부(40)는 장착부(30)에 삽입되어 램프가 점등된다. 일 예로, 사용자가 버튼부(20)를 가압하면, 미도시된 스위치가 가압되어 버튼신호가 입력되고, 지시부(40)에는 램프가 점등될 수 있다.
한편, 버튼부(20)와 장착부(30)는 이중 사출 성형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생산된다. 일 예로, 버튼부(20)와 장착부(3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버튼부(20)에 대한 사출 성형 후, 장착부(30)에 대한 사출 성형이 이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에서 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전면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에서 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는 외부케이스부(11)와, 내부케이스부(12)와, 안내케이스부(13)를 포함한다.
외부케이스부(11)는 차체의 내장재에 설치된다. 이러한 외부케이스부(11)에는 다수의 버튼부(20)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나타내는 버튼홀부(111)가 형성된다.
내부케이스부(12)는 외부케이스부(11)에 연결되고, 버튼홀부(111)를 커버한다. 일 예로, 내부케이스부(12)는 외부케이스부(11)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버튼홀부(111)를 커버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부케이스부(12)는 하나 이상의 내부홀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안내케이스부(13)는 내부케이스부(12)에 형성되고,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버튼부(20)를 안내한다. 일 예로, 안내케이스부(13)는 내부케이스부(12)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전후방으로 돌출되고, 버튼부(20)에 삽입되어 버튼부(20)를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는 조립돌기부(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립돌기부(14)는 내부케이스부(12)에서 돌출되고, 버튼부(20)의 오조립을 방지한다. 일 예로, 내부케이스부(12)에는 복수개의 안내케이스부(13)가 배치되고, 안내케이스부(13) 사이에 조립돌기부(14)가 위치될 수 있다. 조립돌기부(14)는 내부케이스부(12)와 일체로 사출 성형되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복수개 중 어느 한 쌍의 안내케이스부(13) 사이에 배치되는 조립돌기부(14)는 복수개 중 다른 한 쌍의 안내케이스부(13) 사이에 배치되는 조립돌기부(14)와 높이 및 개수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립돌기부(14)는 버튼부(20)에 삽입되므로, 조립돌기부(14)와 대응되는 형상의 버튼부(20)가 선택적으로 장착되어 버튼부(20)의 조립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케이스부(13)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안내부(131)와, 측부안내부(131)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안내부(132)와, 측부안내부(131)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안내부(133)와, 상부안내부(133)를 연결하고, 장착부(30)를 안내하는 장착안내부(134)를 포함한다.
일 예로, 측부안내부(131)는 상하로 수직하게 형성되고, 하부안내부(132)와 상부안내부(133)는 좌우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장착안내부(134)는 상부안내부(133)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안내부(133)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되, 하방으로 처진 형상을 하여 장착부(30)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케이스부(13)는 안내홈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홈부(135)는 측부안내부(131)와 하부안내부(132)에 각각 형성되고, 버튼부(20)는 안내홈부(135)에 삽입된다. 일 예로, 각각의 측부안내부(131)와 하부안내부(132) 3군데에 안내홈부(13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케이스부(13)는 걸림돌기부(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부(136)는 하부안내부(132)와 상부안내부(133)에 형성되고, 버튼부(20)와 장착부(30)가 걸림 결합된다. 일 예로, 걸림돌기부(136)는 하부안내부(132)의 저면과 상부안내부(133)의 상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부(136)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버튼부(20) 또는 장착부(30)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 장치에서 버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부(20)는 버튼커버부(21)와 버튼레일부(22)를 포함한다.
버튼커버부(21)는 안내케이스부(13)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안내케이스부(13)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안내케이스부(13)에 결합된다. 일 예로, 버튼커버부(21)는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커버부(211)와, 측면커버부(211)의 저면을 연결하는 저면커버부(212)와, 측면커버부(211)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전면커버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부(213)에는 광이 투사될 수 있는 전면표시부(214)가 형성될 수 있다. 저면커버부(212)에는 걸림돌기부(136)가 걸림 고정되도록 저면걸림홀부(219)가 형성될 수 있다.
버튼레일부(22)는 버튼커버부(2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안내케이스부(13)에 삽입된다. 일 예로, 버튼레일부(22)는 측면커버부(21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측면레일부(221)와, 저면커버부(213)의 상측면으로 돌출되는 저면레일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2개의 측면레일부(221) 및 1개의 저면레일부(222)가 버튼커버부(21)의 내측에 형성되어 안내홈부(135)에 삽입될 수 있다.
3개 지점에서 버튼레일부(22)가 안내홈부(136)에 삽입되어 버튼부(20)의 유동을 제한하고, 버튼부(20)의 직진 이동성을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버튼레일부(22)와 안내홈부(135) 사이에 유격을 최소화하여 버튼부(20)의 습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면서, 제품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버튼부(20) 자체의 응력이 사라지므로, 버튼부(20) 표면의 내약품성 테스트 과정에서 응력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측면커버부(211)의 배면에는 버튼부(20) 오조립 방지를 위한 측면조립홈부(21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조립홈부(218)에는 조립돌기부(14)가 삽입되므로, 조립돌기부(14)의 위치나 개수 및 이와 대응되는 측면조립홈부(218)에 의해 버튼부(20)를 설계지점에 배치시킬 수 있다. 그 외, 저면커버부(212)의 배면에는 저면삽입돌기부(217)가 형성될 수 있다. 저면삽입돌기부(217)는 내부케이스부(12)에 형성되는 내부홀부(121)를 관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 장치에서 장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부(30)는 장착판부(31)와 장착삽입부(32)를 포함한다. 장착판부(31)와 장착삽입부(32)는 지시부(40)에서 점등되는 램프의 광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후처리가 실시될 수 있다.
장착판부(31)는 버튼부(20)에 사출 성형되고, 안내케이스부(13)에 장착된다. 일 예로, 장착판부(31)는 버튼커버부(21)의 내측면에 연결되고, 상부안내부(133)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부(136)가 걸림 고정되도록 장착홀부(311)가 형성될 수 있다.
장착삽입부(32)는 장착판부(31)에 연결되고, 지시부(40)가 삽입된다. 일 예로, 장착삽입부(32)는 장착판부(31)의 저면에 연결되고, 지시부(4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지시부(40)는 전방으로 광을 조사하고, 장착판부(31)와 장착삽입부(32)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는 지시몸체부(41)와, 지시몸체부(41)의 상측면에 돌출되어 장착판부(31)에 걸리는 지시걸림부(42)와, 지시몸체부(41)의 저면에서 돌출되어 장착삽입부(32)에 형성되는 장착삽입홀부(321)에 걸림 고정되는 지시걸림돌기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의 조립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출 성형을 통해, 외부케이스부(11)와, 내부케이스부(12)와, 안내케이스부(13)와, 조립돌기부(14)를 형성하는 케이스부(10)를 제작한다.
그리고, 안내케이스부(13)를 감싸는 버튼부(20)를 사출 성형하고, 버튼부(20)의 내측면에 결합되도록 장착부(30)를 사출 성형한다.
장착부(30)에는 지시부(40)를 삽입한 다음, 버튼부(20)와 장착부(30)를 케이스부(10)에 장착한다.
이때, 장착판부(31)는 상부안내부(133)에 형성되는 걸림돌기부(136)에 걸림 고정되고, 지시부(40) 및 지시부(40)를 감싸는 장착삽입부(32)는 장착안내부(134)에 안착된다.
그리고, 버튼커버부(21)가 측부안내부(131)와, 하부안내부(132)를 감싸도록 케이스부(10)에 삽입된다. 이때, 버튼커버부(21)의 내측에 돌출되는 3개의 버튼레일부(22)는 안내케이스부(13)에 형성되는 안내홈부(135)에 삽입되어 유동이 제한되고 안정적인 습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복수개의 안내케이스부(13) 사이에 조립돌기부(14)가 형성되고, 이러한 조립돌기부(14)는 서로 다른 위치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버튼부(20)에는 버튼부(20) 오조립 방지를 위한 측면조립홈부(218)가 형성된다. 측면조립홈부(218)에는 조립돌기부(14)가 삽입되므로, 조립돌기부(14)의 위치나 개수 및 이와 대응되는 측면조립홈부(218)에 의해 버튼부(20)를 설계지점에 배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1)는 버튼부(20)와 장착부(30)가 이중 사출 성형되어 케이스부(10)에 장착됨으로써, 부품수를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1)는 조립돌기부(14)의 형상 및 위치와 대응되도록 버튼부(20)가 삽입되어 버튼부(2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버튼장치(1)는 버튼커버부(21)의 내측에 3개의 버튼레일부(22)가 형성되므로, 유동을 억제하면서 안정적인 습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케이스부 11 : 외부케이스부
12 : 내부케이스부 13 : 안내케이스부
14 : 조립돌기부 20 : 버튼부
21 : 버튼커버부 22 : 버튼레일부
30 : 장착부 31 : 장착판부
32 : 장착삽입부 40 : 지시부

Claims (8)

  1.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에 장착되는 버튼부;
    상기 버튼부와 결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에 삽입되고, 램프가 점등되는 지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부와 상기 장착부는 이중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차체에 장착되고, 버튼홀부가 형성되는 외부케이스부;
    상기 외부케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버튼홀부를 커버하는 내부케이스부; 및
    상기 내부케이스부에 형성되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버튼부를 안내하는 안내케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기 내부케이스부에서 돌출되고, 상기 버튼부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조립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케이스부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부안내부;
    상기 측부안내부의 하단부를 연결하는 하부안내부;
    상기 측부안내부의 상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부안내부; 및
    상기 상부안내부를 연결하고, 상기 장착부를 안내하는 장착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케이스부는
    상기 측부안내부와 상기 하부안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안내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케이스부는
    상기 하부안내부와 상기 상부안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와 상기 장착부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기 안내케이스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내케이스부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안내케이스부에 결합되는 버튼커버부; 및
    상기 버튼커버부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안내케이스부에 삽입되는 하나 이상의 버튼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버튼부에 사출 성형되고, 상기 안내케이스부에 장착되는 장착판부; 및
    상기 장착판부에 연결되고, 상기 지시부가 삽입되는 장착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버튼장치.
KR1020160103287A 2016-08-12 2016-08-12 차량용 버튼장치 KR101943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287A KR101943305B1 (ko) 2016-08-12 2016-08-12 차량용 버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287A KR101943305B1 (ko) 2016-08-12 2016-08-12 차량용 버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8970A true KR20180018970A (ko) 2018-02-22
KR101943305B1 KR101943305B1 (ko) 2019-01-30

Family

ID=61387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287A KR101943305B1 (ko) 2016-08-12 2016-08-12 차량용 버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3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965U (ja) * 1992-11-11 1994-06-10 株式会社カンセイ 押ボタン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
KR200410148Y1 (ko) * 2005-11-22 2006-03-07 주식회사대성엘텍 차량용 오디오의 버튼 표시장치
JP2006252874A (ja) * 2005-03-09 2006-09-21 Tokai Rika Co Ltd 照光式スイッチ装置
KR101578555B1 (ko) * 2014-02-26 2015-12-17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965U (ja) * 1992-11-11 1994-06-10 株式会社カンセイ 押ボタン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
JP2006252874A (ja) * 2005-03-09 2006-09-21 Tokai Rika Co Ltd 照光式スイッチ装置
KR200410148Y1 (ko) * 2005-11-22 2006-03-07 주식회사대성엘텍 차량용 오디오의 버튼 표시장치
KR101578555B1 (ko) * 2014-02-26 2015-12-17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3305B1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16914B2 (en) Light source unit assembly
WO2014017325A1 (ja) スイッチ装置
KR200483678Y1 (ko) 차량용 변속 장치
US8469529B2 (en) Display device
JP6049074B2 (ja) 防水構造及び防水構造を備えたスイッチ装置
US9711305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device
KR101943305B1 (ko) 차량용 버튼장치
JP4628283B2 (ja) 照光装置
JP6925373B2 (ja) 操作部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20160087661A (ko) 자동차의 인디케이터
US10983550B2 (en) Illumination switch device
JP2006270885A (ja) 電子機器
JP6643717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KR20100011002U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1578555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KR101046451B1 (ko) 차량용 컨트롤러 스위치의 누광 방지구조
US10383406B2 (en) Illuminated safety belt buckle for a safety belt device of a motor vehicle
JP2013175333A (ja) プッシュ式スイッチ
KR101704001B1 (ko) 차량용 조명버튼
JP5209448B2 (ja) 車両用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JPH1139989A (ja) プッシュ式スイッチ装置
KR100673481B1 (ko) 차량용 버튼의 빛샘 방지장치
JP7266051B2 (ja) スイッチ
KR101542854B1 (ko) 차량의 푸쉬 스위치 어셈블리
JP4930220B2 (ja) スイッ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