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5132A -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5132A
KR20230155132A KR1020220054618A KR20220054618A KR20230155132A KR 20230155132 A KR20230155132 A KR 20230155132A KR 1020220054618 A KR1020220054618 A KR 1020220054618A KR 20220054618 A KR20220054618 A KR 20220054618A KR 20230155132 A KR20230155132 A KR 202301551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protrusion
fitting
emergency call
pc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4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상
Original Assignee
유철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철상 filed Critical 유철상
Priority to KR1020220054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5132A/ko
Publication of KR20230155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51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23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운행 또는 정차 중에 긴급 상황 발생 시, 자동차 회사 관제 센터 또는 구조 기관을 호출할 때 사용되는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한쪽 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의 개방된 입구에 끼움구멍이 구비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한쪽이 개방되어 삽입구멍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수용공간을 향하는 한쪽 면에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커넥터가 설치되고, 반대편 한쪽 면에 접점부가 형성되며, 접점부의 주변으로 끼움구멍이 형성된 PCB; 접점부를 향하는 외면에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에 통전부가 형성된 가압부와, 가압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PCB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밀착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끼움구멍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포함된 탄성 재질의 러버 컨택트; PCB를 향하는 한쪽 면의 주변으로 끼움구멍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한쪽 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한쪽 면에 관통구멍과 연결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관통구멍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 관통구멍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며, 가이드홈에 안내되는 가이드돌기가 외면에 형성되고,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가압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구비된 돌출부가 외면에 형성되며, 관통구멍에서 노출되는 한쪽 주변으로 끼움돌기가 외면에 형성된 플런저;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구비된 돌출부가 외면에 형성된 노브를 포함하며, 노브의 푸쉬 동작으로 플런저를 눌러서 가압부를 탄성 변형시키면, 통전부와 접점부가 접점되어 비상 호출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Emergency call swi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자동차의 운행 또는 정차 중에 긴급 상황 발생 시, 자동차 회사 관제 센터 또는 구조 기관을 호출할 때 사용되는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스위치는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자동차 등의 실내등을 조작하도록 사용되어 왔었다. 즉, 자동차용 스위치는 한 번씩의 누름으로 자동차의 실내등을 온, 오프 작동시켰다.
또한, 자동차용 스위치는 긴급 상황 발생 시, 자동차 회사 관제 센터 또는 구조 기관을 호출할 때에도 사용되었다.
이에, 종래의 자동차용 스위치에는 PCB에 설치되는 택트 스위치가 포함되었다.
하지만, 택트 스위치는 PCB에 납땜으로 설치해야 했기 때문에, 설치 및 교체가 어려웠었고, 단가가 비싸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특허문헌1은 접점되어 스위치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부를 가지고, 결합홀이 형성되는 PCB; 및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스위치부를 점점시키는 컨택트돌기를 가지고, 상기 결합홀로 삽입되어 상기 PCB에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일면에 형성된 러버 컨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러버 컨택트에는 타면에서부터 상기 결합돌기의 내부까지 파여진 텐션홈이 형성되는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특허문헌1의 경우에는 PCB의 한쪽 면을 러버 컨택트로 거의 덮었기 때문에, 택트 스위치보다 단가가 싼 러버 컨택트를 사용했더라도 비용 절감의 효과가 크지 않았다.
또한, 러버 컨택트의 넓은 면적으로 인해, 설치 및 교체도 어려웠었다.
특허문헌1 :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3010호(2018.10.19.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택트 스위치보다 단가가 싼 러버 컨택트를 PCB에 간편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으면서, 종래보다 면적이 작은 러버 컨택트를 사용하여 설치 및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쪽 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의 개방된 입구에 끼움구멍이 구비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수용공간의 한쪽이 개방되어 삽입구멍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수용공간을 향하는 한쪽 면에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커넥터가 설치되고, 반대편 한쪽 면에 접점부가 형성되며, 접점부의 주변으로 끼움구멍이 형성된 PCB; 접점부를 향하는 외면에 공간이 형성되고, 공간에 통전부가 형성된 가압부와, 가압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PCB에 밀착되는 밀착부와, 밀착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끼움구멍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포함된 탄성 재질의 러버 컨택트; PCB를 향하는 한쪽 면의 주변으로 끼움구멍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한쪽 면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한쪽 면에 관통구멍과 연결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관통구멍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 관통구멍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며, 가이드홈에 안내되는 가이드돌기가 외면에 형성되고,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가압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구비된 돌출부가 외면에 형성되며, 관통구멍에서 노출되는 한쪽 주변으로 끼움돌기가 외면에 형성된 플런저;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구멍이 구비된 돌출부가 외면에 형성된 노브를 포함하며, 노브의 푸쉬 동작으로 플런저를 눌러서 가압부를 탄성 변형시키면, 통전부와 접점부가 접점되어 비상 호출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택트 스위치보다 단가가 싼 러버 컨택트의 끼움돌기를, PCB의 끼움구멍에 간편하게 끼우거나 끼움 해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보다 면적이 작은 러버 컨택트가 PCB에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즉, 러버 컨택트를 PCB에 종래보다 간편하게 설치 및 교체할 수 있으면서, 종래보다 설치 및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1 LED의 빛이 발산되는 식별기호 구멍을 통해서,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자동차의 운행 또는 정차 중에 긴급 상황 발생 시, 사용자에게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의 위치를 신속하게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제2 LED의 빛이 발산되는 확산판을 통해서,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의 작동 여부를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확산판 설치 시, 확산판의 걸림돌기가 플런저의 걸림홈에 걸리기 때문에, 과도한 끼움에 따른 확산판의 설치 불량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력 발생 시, 확산판과 플런저의 밀착돌기의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되는 효과가 있다.
즉, 플런저에서 확산판의 이탈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플런저의 차단막으로 제1,2 LED의 빛이 섞이는 것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런저의 차단막이 PCB의 가이드구멍에 안내되기 때문에, 플런저의 승강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노브의 걸림돌기가 상부 하우징의 걸림홈에 걸리기 때문에, 노브 푸쉬 동작 시, 노브의 과도한 하강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즉, 노브의 푸쉬 동작에 의한, 러버 컨택트 및 PCB의 손상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의 결합도 및 분해사시도 및 평면도 및 정면도 및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의 A-A 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의 B-B 선 단면도,
도 6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의 상세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1000)는 오버헤드 콘솔 또는 센터페시아 등의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되어 ECU 등의 제어부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의 제어부는 자동차 회사 관제 센터 또는 구조 기관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1000)는 한쪽 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0)의 개방된 입구에서 끼움구멍(121)이 구비된 돌출부(120)가 다수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0)의 한쪽이 개방되어 삽입구멍(130)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1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하우징(100)은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1000)는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며, 상기 수용공간(110)을 향하는 한쪽 면에 삽입구멍(130)에 삽입되는 커넥터(210)가 설치되고, 반대편 한쪽 면에 접점부(220)가 적어도 2개 형성되며, 상기 접점부(220)의 주변으로 끼움구멍(230)이 적어도 2개 형성된 PCB(2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커넥터(210)는 자동차의 제어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1000)는 접점부(220)를 향하는 외면에 공간(31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311)에 통전부(312)가 형성된 가압부(310)와, 상기 가압부(31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PCB(200)에 밀착되는 밀착부(320)와, 상기 밀착부(320)의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끼움구멍(230)에 끼워지는 적어도 2개의 끼움돌기(330)가 포함된 탄성 재질의 러버 컨택트(3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러버 컨택트(300)는 탄성 변형이 용이한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통전부(312)는 접점부(220)를 마주보도록 공간(311)에 부착 또는 도금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1000)는 PCB(200)를 향하는 한쪽 면의 주변으로 끼움구멍(121)에 끼워지는 끼움돌기(410)가 다수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한쪽 면에 관통구멍(420)이 형성되며, 상기 한쪽 면에 관통구멍(420)과 연결되는 수용공간(43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420)에는 가이드홈(421)이 다수 형성된 상부 하우징(4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하우징(400)은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자동차의 실내에 체결부재로 체결되어 설치되도록 체결부가 측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410)는 상부 하우징(400)의 측면에 형성되며, PCB(200)를 향하는 가이드홈(421) 및 수용공간(430)의 한쪽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1000)는 관통구멍(420)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며, 가이드홈(421)에 안내되는 가이드돌기(510)가 외면에서 다수 돌출 형성되고, 수용공간(430)에 수용되되 가압부(310)가 끼워지는 끼움홈(521)이 구비된 돌출부(520)가 상기 외면에서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420)에서 노출되는 한쪽 주변으로 끼움돌기(530)가 외면에서 적어도 2개 돌출 형성된 플런저(5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500)는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510) 및 돌출부(520)는 플런저(500)의 측면에 형성되며, 끼움돌기(530)는 관통구멍(420)에서 노출되는 플런저(500)의 한쪽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플런저(500)의 상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1000)는 끼움돌기(530)가 끼워지는 끼움구멍(611)이 구비된 돌출부(610)가 외면에서 적어도 2개 돌출 형성된 노브(600)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노브(600)는 폴리카보네이트(PC)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며, 돌출부(610)는 하부 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6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면에 불투명층(620)이 형성되며, 상기 불투명층(620)에 식별기호 구멍(63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불투명층(620)은 노브(600)의 외면에 페인트 등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식별기호 구멍(630)은 레이저 커팅 등에 의해 불투명층(620)에 형성되며, SOS 문자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식별기호 구멍(630)을 향하는 플런저(500)의 외면에는 제1관통구멍(540)이 형성되며, PCB(200)에는 상기 제1관통구멍(540)을 통해 식별기호 구멍(630)으로 빛을 발산하는 제1 LED(24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불투명층(620) 및 노브(600)의 외면에는 끼움구멍(640)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구멍(640)을 향하는 플런저(500)의 외면에는 제2관통구멍(55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1000)는 제2관통구멍(550)에 끼워지며, 끼움구멍(640)에 끼워지는 끼움돌기(710)가 외면에서 돌출 형성된 투명 재질의 확산판(700)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확산판(700)은 아크릴 수지(PMMA)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PCB(200)에는 제2관통구멍(550)을 통해 확산판(700)으로 빛을 발산하는 제2 LED(25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LED(250)는 제1 LED(240)와 다른 색깔의 빛을 발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600)를 향하는 제2관통구멍(550)의 입구에는 걸림홈(551)이 형성되고, 확산판(700)의 외면에는 상기 걸림홈(551)에 끼워지는 걸림돌기(720)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관통구멍(550)에는 확산판(700)에 밀착되는 밀착돌기(552)가 다수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PCB(200)를 향하는 플런저(500)의 외면에는 제1,2 LED(240)(250)의 사이로 돌출되는 차단막(560)이 'ㄷ' 형태로 돌출 형성되며, PCB(200)의 외면에는 상기 차단막(560)을 안내하는 가이드구멍(260)이 'ㄷ'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600)를 향하는 관통구멍(420)의 입구에는 걸림홈(422)이 적어도 1개 형성되고, 상기 노브(600)의 외면에는 상기 노브(600) 푸쉬 동작 시, 걸림홈(422)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650)가 적어도 1개 돌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른 상기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1000)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하우징(100)의 수용공간(110)에 PCB(200)를 수용시키면서, 커넥터(210)를 삽입구멍(130)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러버 컨택트(300)의 끼움돌기(330)를 PCB(200)의 끼움구멍(230)에 끼운다.
여기서, 상기 통전부(312)는 접점부(220)를 마주보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500)의 제2관통구멍(550)에 확산판(700)을 끼운다.
여기서, 상기 확산판(700)의 걸림돌기(720)는 플런저(500)의 걸림홈(551)에 끼워져 걸리게 된다.
즉, 상기 확산판(700)은 플런저(500)의 제2관통구멍(550)에 깊숙히 끼워지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플런저(500)의 밀착돌기(552)는 확산판(700)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플런저(500)를 상부 하우징(400)의 관통구멍(420)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500)의 가이드돌기(510)는 상부 하우징(400)의 가이드홈(421)에 안내되도록 끼워지며, 상기 플런저(500)의 돌출부(520)는 상부 하우징(400)의 수용공간(430)에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520)의 끼움홈(521)에 러버 컨택트(300)의 가압부(310)를 끼우면서, 상부 하우징(400)의 끼움돌기(410)를 하부 하우징(100)의 끼움구멍(121)에 끼운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500)는 러버 컨택트(300)의 탄성에 의해 상부 하우징(400)의 관통구멍(420)에서 상승하게 되며, 한쪽이 상기 관통구멍(420)에서 노출된다.
또한, 상기 제1,2 LED(240)(250)는 제1,2관통구멍(540)(550)을 각각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500)의 차단막(560)은 제1,2 LED(240)(250)의 사이를 가리게 되면서, PCB(200)의 가이드구멍(260)에 안내되도록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600)의 끼움구멍(611)에 플런저(500)의 끼움돌기(530)를 끼우면서, 상기 노브(600)의 끼움구멍(640)에 확산판(700)의 끼움돌기(710)를 끼운다.
그러면, 상기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1000)는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1000)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1000)를 자동차의 실내에 설치하면서, 커넥터(210)를 제어부와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 LED(240)는 플런저(500)의 제1관통구멍(540)을 통해 노브(600)의 식별기호 구멍(630)으로 빛을 발산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LED(240)의 빛은 투명 재질의 노브(600) 및 식별기호 구멍(63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발산된다.
그래서, 상기 자동차의 운행 또는 정차 중에 긴급 상황 발생 시,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1000)의 노브(600)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노브(600)의 푸쉬 동작에 의해, 플런저(500)는 상부 하우징(400)의 관통구멍(420)에서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500)의 가이드돌기(510)는 상부 하우징(400)의 가이드홈(421)을 따라 하강 안내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500)의 차단막(560)은 PCB(200)의 가이드구멍(260)을 따라 하강 안내된다.
그리고, 하강한 상기 플런저(500)의 돌출부(520)는 가압부(310)를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키면서, 통전부(312)와 접점부(220)를 접점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노브(600)의 걸림돌기(650)는 상부 히우징(400)의 걸림홈(422)의 끼워져 걸리면서, 상기 노브(600)는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통전부(312)에 의해 접점부(220)가 이웃한 접점부(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비상 호출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 LED(250)는 플런저(500)의 제2관통구멍(550)을 통해 확산판(700)으로 빛을 발산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LED(250)의 빛은 확산판(700)에 의해 외부로 확산되어 발산된다.
그리고, 상기 비상 호출 신호는 자동차의 제어부를 통해, 자동차 회사 관제 센터 또는 구조 기관에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600)의 푸쉬 동작이 해제되면, 변형된 러버 컨택트(300)의 가압부(310)가 탄성에 의해 원상 복귀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500)는 상부 하우징(400)의 관통구멍(420)에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500)의 가이드돌기(510)는 상부 하우징(400)의 가이드홈(421)을 따라 상승 안내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500)의 차단막(560)은 PCB(200)의 가이드구멍(260)을 따라 상승 안내된다.
또한, 상기 통전부(312)와 접점부(220)가 접점해제 되면서, 제2 LED(250)는 빛을 발산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하부 하우징 110 : 수용공간
120 : 돌출부 121 : 끼움구멍
130 : 삽입구멍 200 : PCB
210 : 커넥터 220 : 접점부
230 : 끼움구멍 240 : 제1 LED
250 : 제2 LED 260 : 가이드구멍
300 : 러버 컨택트 310 : 가압부
311 : 공간 312 : 통전부
320 : 밀착부 330 : 끼움돌기
400 : 상부 하우징 410 : 끼움돌기
420 : 관통구멍 421 : 가이드홈
422 : 걸림홈 430 : 수용공간
500 : 플런저 510 : 가이드돌기
520 : 돌출부 521 : 끼움홈
530 : 끼움돌기 540 : 제1관통구멍
550 : 제2관통구멍 551 : 걸림홈
552 : 밀착돌기 560 : 차단막
600 : 노브 610 : 돌출부
611 : 끼움구멍 620 : 불투명층
630 : 식별기호 구멍 640 : 끼움구멍
650 : 걸림돌기 700 : 확산판
710 : 끼움돌기 720 : 걸림돌기
1000 :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Claims (7)

  1. 한쪽 면이 개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110)의 개방된 입구에 끼움구멍(121)이 구비된 돌출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110)의 한쪽이 개방되어 삽입구멍(130)이 형성된 하부 하우징(100);
    상기 수용공간(110)에 수용되며, 상기 수용공간(110)을 향하는 한쪽 면에 삽입구멍(130)에 삽입되는 커넥터(210)가 설치되고, 반대편 한쪽 면에 접점부(220)가 형성되며, 상기 접점부(220)의 주변으로 끼움구멍(230)이 형성된 PCB(200);
    상기 접점부(220)를 향하는 외면에 공간(311)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311)에 통전부(312)가 형성된 가압부(310)와, 상기 가압부(310)의 외면에 형성되어 PCB(200)에 밀착되는 밀착부(320)와, 상기 밀착부(320)의 외면에 형성되어 끼움구멍(230)에 끼워지는 끼움돌기(330)가 포함된 탄성 재질의 러버 컨택트(300);
    상기 PCB(200)를 향하는 한쪽 면의 주변으로 끼움구멍(121)에 끼워지는 끼움돌기(410)가 형성되고, 상기 한쪽 면에 관통구멍(420)이 형성되며, 상기 한쪽 면에 관통구멍(420)과 연결되는 수용공간(43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420)에는 가이드홈(421)이 형성된 상부 하우징(400);
    상기 관통구멍(420)에 승강할 수 있게 설치되며, 가이드홈(421)에 안내되는 가이드돌기(510)가 외면에 형성되고, 수용공간(430)에 수용되되 가압부(310)가 끼워지는 끼움홈(521)이 구비된 돌출부(520)가 상기 외면에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멍(420)에서 노출되는 한쪽 주변으로 끼움돌기(530)가 외면에 형성된 플런저(500);
    상기 끼움돌기(530)가 끼워지는 끼움구멍(611)이 구비된 돌출부(610)가 외면에 형성된 노브(600)를 포함하며,
    상기 노브(600)의 푸쉬 동작으로 플런저(500)를 눌러서 가압부(310)를 탄성 변형시키면, 통전부(312)와 접점부(220)가 접점되어 비상 호출 신호가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60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고, 외면에 불투명층(620)을 형성하며, 상기 불투명층(620)에 식별기호 구멍(630)을 형성하고,
    상기 식별기호 구멍(630)을 향하는 플런저(500)의 외면에는 제1관통구멍(540)을 형성하며,
    상기 PCB(200)에는 제1관통구멍(540)을 통해 식별기호 구멍(630)으로 빛을 발산하는 제1 LED(24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투명층(620) 및 노브(600)의 외면에는 끼움구멍(640)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구멍(640)을 향하는 플런저(500)의 외면에는 제2관통구멍(550)을 형성하며,
    상기 제2관통구멍(550)에 끼워지며, 끼움구멍(640)에 끼워지는 끼움돌기(710)가 외면에 형성된 확산판(700)을 포함하고,
    상기 PCB(200)에는 제2관통구멍(550)을 통해 확산판(700)으로 빛을 발산하는 제2 LED(25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600)를 향하는 제2관통구멍(550)의 입구에는 걸림홈(551)을 형성하고,
    상기 확산판(700)의 외면에는 걸림홈(551)에 끼워지는 걸림돌기(7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관통구멍(550)에는 확산판(700)에 밀착되는 밀착돌기(55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PCB(200)를 향하는 플런저(500)의 외면에는 제1,2 LED(240)(250)의 사이로 돌출되는 차단막(560)을 형성하고,
    상기 PCB(200)의 외면에는 차단막(560)을 안내하는 가이드구멍(26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600)를 향하는 관통구멍(420)의 입구에는 걸림홈(422)을 형성하고,
    상기 노브(600)의 외면에는 상기 노브(600) 푸쉬 동작 시, 걸림홈(422)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돌기(65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KR1020220054618A 2022-05-03 2022-05-03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KR202301551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618A KR20230155132A (ko) 2022-05-03 2022-05-03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4618A KR20230155132A (ko) 2022-05-03 2022-05-03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5132A true KR20230155132A (ko) 2023-11-10

Family

ID=88742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4618A KR20230155132A (ko) 2022-05-03 2022-05-03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513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010U (ko)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3010U (ko) 2017-04-11 2018-10-19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의 스위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58204B2 (ja) キーパッド装置および携帯型端末機
US7230195B2 (en) Button waterproofing structure
US8378246B2 (en) Electrically conducting structure of press switch
KR100988099B1 (ko) 도광 시트 및 이것을 이용한 가동 접점체와 스위치
JP3644258B2 (ja) スイッチ
EP1608910B1 (en) A flashlight or lighting device
JP4609247B2 (ja) 発光スイッチ
EP0899762B1 (en) Illuminated pushbutton switch
US20020144884A1 (en) Key Switch
US6552289B2 (en) Dome switch
KR20230155132A (ko)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CN108437909B (zh) 一种通用型隐藏式环绕发光徽标装置
KR200468484Y1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230155133A (ko) 자동차용 비상 호출 스위치
JP4628283B2 (ja) 照光装置
JP3773047B2 (ja) スイッチ
JP3899253B2 (ja) 押ボタン装置
US20110315534A1 (en) Light guide sheet, movable contact body using same, and switch
JP2007080763A (ja) 照光式押釦スイッチ用カバー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11210096U (zh) 电子设备
JPH02306510A (ja) 照明式パネル
KR101145808B1 (ko) 슬림형 스타트 버튼 장치
JP3865345B2 (ja) 押ボタン装置、ならびにその取付方法
KR100543752B1 (ko) 차량용 스위치 구조
CN111255313A (zh) 后门把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