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950A -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950A
KR20180017950A KR1020160102600A KR20160102600A KR20180017950A KR 20180017950 A KR20180017950 A KR 20180017950A KR 1020160102600 A KR1020160102600 A KR 1020160102600A KR 20160102600 A KR20160102600 A KR 20160102600A KR 20180017950 A KR20180017950 A KR 20180017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user
food
user termi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9460B1 (ko
Inventor
홍진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6010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46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4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00Feeding devices for stock or game ; Feeding wagons; Feeding stacks
    • A01K5/02Automatic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rd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를 통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 및 센싱모듈(210)에 의해 상기 애완동물이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 주변에 있다고 감지하면, 카메라 모듈(220)을 통해 상기 애완동물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로부터 상기 애완동물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면, 기 설치되어 있는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며,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애완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 따르면,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고 감지되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애완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서 사용자 단말기에 기 설치되어 있는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애완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이 아닌 애완동물의 니즈를 고려하여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에,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어 애완동물을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로 유도함으로써, 애완동물이 규칙적으로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이 반복적으로 출력된 후, 센싱모듈을 통해 일정시간 내에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상황보고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싱모듈의 고장 상태 또는 애완동물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AUTOMATIC FEEDING SYSTEM FOR PET NOTICING USER BY DETECTING PET'S MOVEMENT USING SENSING MODULE }
본 발명은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고 감지되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애완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여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애완동물에게 먹이주기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고도로 발달하고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정서함양 등의 목적으로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구 수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애완동물을 동료나 정서적으로 의지할 수 있는 친구의 의미인 반려동물이라는 표현으로 부르며, 애완동물을 동물이 아닌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 여기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과거와는 달리 애완동물을 동물이 아닌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 여기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애완동물들을 대상으로 하는 산업 역시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늘어나면서 동물병원이 호황을 누리고 있으며, 소위 애견카페라는 업종까지 성업 중이고, 백화점과 할인매장들은 애완동물용 옷, 액세서리, 먹이, 놀이기구 등을 파는 특별코너를 경쟁적으로 개설하고 있을 정도로 애완동물 관련 시장규모가 급속히 팽창되고 있다.
한편, 애완동물을 기르는데 있어서, 영양 결핍과 과식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적시에 정량의 급식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지만,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족들이 모두 외출을 하거나, 휴가 등으로 인해 장시간 집을 비우거나, 또는 맞벌이 부부가 애완동물을 기르는 경우, 애완동물의 급식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료인 수탁시설 등에 애완동물을 수탁하기도 하지만 각각의 애완동물마다 식성이나 식사의 습성 등이 다르므로 그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환경의 변화에 민감한 동물의 특성상 환경 변화에 대한 주의도 필요한 현실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 공개특허 제10-2001-0067494호(발명의 명칭; 인터넷을 이용한 애완동물 사료 공급 장치, 공개일자: 2001년 07월 13일), 등록특허 제10-0415155호(발명의 명칭: 가정용 일체형 애완동물 인터넷 푸드피딩장치를 이용한 인터넷상에서의 애완동물 푸드피딩방법, 공고일자: 2003년 12월 03일) 등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기술은 애완동물의 니즈를 전혀 고려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육인이 애완동물이 생각날 때 일방적으로 먹이 주기를 수행하는 것으로, 사육인이 바쁘거나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애완동물이 굶을 수도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고 감지되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애완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서 사용자 단말기에 기 설치되어 있는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애완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이 아닌 애완동물의 니즈를 고려하여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에,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어 애완동물을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로 유도함으로써, 애완동물이 규칙적으로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이 반복적으로 출력된 후, 센싱모듈을 통해 일정시간 내에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상황보고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싱모듈의 고장 상태 또는 애완동물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및
센싱모듈에 의해 상기 애완동물이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고 감지하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상기 애완동물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애완동물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면, 기 설치되어 있는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며,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애완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는,
상기 애완동물의 움직임 또는 울음소리를 통해 상기 애완동물을 감지하는 센싱모듈;
상기 애완동물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센싱모듈을 통해 상기 애완동물이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고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을 구동시켜 상기 애완동물의 영상이 촬영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애완동물에게 먹이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는,
미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출력모듈; 및
상기 미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상기 애완동물에게 제공될 먹이양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에 상기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중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센싱모듈을 통해 상기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는,
상기 출력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된 후, 상기 센싱모듈을 통해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황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애완동물이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에서 제공되는 먹이를 먹고 있을 때, 미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중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음성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에서 제공되는 먹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 따르면,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고 감지되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애완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서 사용자 단말기에 기 설치되어 있는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애완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이 아닌 애완동물의 니즈를 고려하여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에,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어 애완동물을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로 유도함으로써, 애완동물이 규칙적으로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이 반복적으로 출력된 후, 센싱모듈을 통해 일정시간 내에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상황보고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싱모듈의 고장 상태 또는 애완동물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서,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서, 센싱모듈을 통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애완동물이 있다고 감지되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애완동물의 영상이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여,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에서 먹이가 제공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에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서,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로부터 전송된 상황보고 메시지가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의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애완동물을 기르는 주인이 사용하는 단말기 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스마트 카메라, 스마트 TV,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각종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네트워크를 통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서의 사용자 단말기(100)의 역할을 얼마든지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블루투스(Bluetoot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는 센싱모듈(210)에 의해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 주변에 있다고 감지되면, 카메라 모듈(220)을 통해 애완동물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애완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서,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는 센싱모듈(210), 카메라 모듈(220), 제어모듈(230) 및 통신모듈(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출력모듈(250) 및 저장모듈(26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의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센싱모듈(210)은 애완동물의 움직임 또는 울음소리를 통해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의 주변에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센싱모듈(210)은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기 위한 움직임 센서와 애완동물의 울음소리를 감지하기 위한 소리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0)은 센싱모듈(210)을 통해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 주변에 있다고 감지되면, 해당 애완동물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캠 카메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220)은 제어모듈(230)에 연결되어, 제어모듈(230)의 제어에 따라 애완동물의 영상을 촬영하고 애완동물의 음향도 수집할 수 있다.
제어모듈(230)은 센싱모듈(210)을 통해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 주변에 있다고 감지되면, 카메라 모듈(220)을 구동시켜 애완동물의 영상이 촬영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이 통신모듈(24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애완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가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서, 센싱모듈을 통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애완동물이 있다고 감지되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애완동물의 영상이 촬영되고, 촬영된 영상이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모듈(230)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싱모듈(210)을 통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에 접근하는 애완동물이 감지되면, 카메라 모듈(220)을 구동시켜 애완동물의 영상이 촬영되도록 하고, 촬영된 영상을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로부터 애완동물의 촬영 영상을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0)에서는, 기 설치되어 있는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사용자에게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에 접근하였다는 것을 알릴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여,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에서 먹이가 제공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어모듈(230)에서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먹이의 양은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먹이가 한 번에 제공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1/2의 양씩 두 번, 1/3의 양씩 세 번, 또는 1/n의 양씩 n번 제공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한편,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먹이를 먹고 있을 때,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미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중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음성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이 먹이를 급하게 먹고 있을 때, 사용자 단말기(100)에 기 설치되어 있는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에서 ‘천천히 먹어’ 메뉴를 선택하면,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중 미리 지정된 ‘XX야 천천히 먹어’등의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모듈(25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직접 전달되는‘XX야 천천히 먹어’ 등의 음성이 출력모듈(250)을 통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모듈(240)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즉,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는 통신모듈(240)을 통해, 카메라 모듈(240)을 통해 촬영된 영상 데이터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먹이제공 신호 등을 포함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모듈(250)은 미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실시예에 따라 스피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저장모듈(260)은 미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애완동물에게 제공될 먹이양의 정보 및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시간 정보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미리 지정된 시간에 미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중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모듈(250)을 통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데, 저장모듈(260)에서는 미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시간 정보, 미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중 미리 설정된 음성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모듈(260)에 저장되는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시간 정보 및 미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중 미리 설정된 음성 정보 등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에 저장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에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설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는 9시, 13시, 18시에, 미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중‘XX야 밥먹어’라는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모듈(250)을 통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에, ‘XX야 밥먹어’ 등의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어 애완동물을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로 유도함으로써, 애완동물이 규칙적으로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0)에서는, 출력모듈(250)을 통해 미리 지정된 시간에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센싱모듈(210)을 통해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음성이 미리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00)에서는, 출력모듈(250)을 통해 9시에, ‘XX야 밥먹어’라는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된 후, 5분 이내에 센싱모듈(210)을 통해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3분 간격으로 3회만큼 ‘XX야 밥먹어’라는 사용자의 음성이 반복하여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출력모듈(250)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미리 지정된 시간 간격으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된 후에도, 센싱모듈(210)을 통해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상황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모듈(250)을 통해 9시에, ‘XX야 밥먹어’라는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된 후, 5분 이내에 센싱모듈(210)을 통해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아, 3분 간격으로 3회만큼 ‘XX야 밥먹어’라는 사용자의 음성이 반복하여 출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센싱모듈(210)을 통해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로 상황보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음성이 반복적으로 출력된 후에도, 센싱모듈을 통해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상황보고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싱모듈의 고장 상태 또는 애완동물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에 따르면,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고 감지되면, 카메라 모듈을 통해 애완동물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해서 사용자 단말기에 기 설치되어 있는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켜 애완동물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주변에 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애완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이 아닌 애완동물의 니즈를 고려하여 애완동물에게 먹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에,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어 애완동물을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로 유도함으로써, 애완동물이 규칙적으로 먹이를 먹을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음성이 반복적으로 출력된 후, 센싱모듈을 통해 일정시간 내에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상황보고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센싱모듈의 고장 상태 또는 애완동물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
210: 센싱모듈 220: 카메라 모듈
230: 제어모듈 240: 통신모듈
250: 출력모듈 260: 저장모듈

Claims (8)

  1. 네트워크를 통해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100); 및
    센싱모듈(210)에 의해 상기 애완동물이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 주변에 있다고 감지하면, 카메라 모듈(220)을 통해 상기 애완동물을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로부터 상기 애완동물의 촬영 영상을 수신하면, 기 설치되어 있는 애완동물 먹이주기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시키며,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애완동물에게 미리 설정된 양의 먹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는,
    상기 애완동물의 움직임 또는 울음소리를 통해 상기 애완동물을 감지하는 센싱모듈(210);
    상기 애완동물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2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는,
    상기 애완동물의 움직임 또는 울음소리를 통해 상기 애완동물을 감지하는 센싱모듈(210);
    상기 애완동물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220);
    상기 센싱모듈(210)을 통해 상기 애완동물이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 주변에 있다고 감지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220)을 구동시켜 상기 애완동물의 영상이 촬영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먹이제공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애완동물에게 먹이가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2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통신 모듈(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는,
    미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출력모듈(250); 및
    상기 미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상기 애완동물에게 제공될 먹이양의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는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모듈(26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미리 지정된 시간에 상기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중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음성이 상기 출력모듈(250)을 통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출력모듈(250)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된 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센싱모듈(210)을 통해 상기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의 음성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는,
    상기 출력모듈(250)을 통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이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반복하여 출력된 후, 상기 센싱모듈(210)을 통해 애완동물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상황보고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애완동물이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먹이를 먹고 있을 때, 미리 녹음된 사용자의 음성 중 미리 지정된 사용자의 음성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전달되는 사용자의 음성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상기 애완동물 먹이제공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먹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KR1020160102600A 2016-08-11 2016-08-11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KR101889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600A KR101889460B1 (ko) 2016-08-11 2016-08-11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600A KR101889460B1 (ko) 2016-08-11 2016-08-11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950A true KR20180017950A (ko) 2018-02-21
KR101889460B1 KR101889460B1 (ko) 2018-09-04

Family

ID=6152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600A KR101889460B1 (ko) 2016-08-11 2016-08-11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4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52517A1 (en) * 2018-09-19 2021-07-28 Volta Robots S.r.l.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enabling the access to a resource by one or more animals through image processing
WO2020166918A1 (ko) 2019-02-16 2020-08-20 주식회사 로보이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
WO2020166917A1 (ko) 2019-02-16 2020-08-20 주식회사 로보이 중력 작용으로 사료를 배출하는 동물 사육 로봇
KR20200100531A (ko) 2019-02-16 2020-08-26 주식회사 로보이 중력 작용으로 사료를 배출하는 동물 사육 로봇
KR20200100532A (ko) 2019-02-16 2020-08-26 주식회사 로보이 동물 후각을 자극하는 동물 사육 로봇
KR20230088934A (ko) 2021-12-13 2023-06-20 주식회사 로보이 카메라와 마이크가 장착된 반려동물 사육 로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988Y1 (ko) * 2002-08-08 2002-11-04 주식회사 쓰리비 시스템 가정용 일체형 애완동물 인터넷 푸드피딩장치
KR20090066521A (ko) * 2007-12-20 2009-06-24 한국과학기술원 애완동물 관리로봇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160058581A (ko) * 2014-11-17 2016-05-25 (주)신성테크 애완동물 급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988Y1 (ko) * 2002-08-08 2002-11-04 주식회사 쓰리비 시스템 가정용 일체형 애완동물 인터넷 푸드피딩장치
KR20090066521A (ko) * 2007-12-20 2009-06-24 한국과학기술원 애완동물 관리로봇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20160058581A (ko) * 2014-11-17 2016-05-25 (주)신성테크 애완동물 급식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9460B1 (ko) 2018-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460B1 (ko) 센싱모듈에 의해 애완동물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애완동물용 자동먹이주기 시스템
US8947240B2 (en) System for detecting information regarding an animal and communicating the information to a remote location
US20080190379A1 (en) System for Detecting Information Regarding an Animal and Communicating the Information to a Remote Location
CA2675983C (en) Animal management system including radio animal tag and additional transceiver(s)
US20120327225A1 (en) Surveillance camera with wireless communication and control capability
US2013009209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imal containment and premises monitoring
KR101815496B1 (ko) 동물 배변 훈련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동물 배변 훈련 시스템
US9265235B2 (en) Accidental ingestion detection apparatus, accidental ingestion detection system, and accidental ingestion detection method
EP3566572A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mart pet alert, and storage medium thereof
KR20150101760A (ko) 반려동물의 비정상 상태 알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반려동물 돌봄 시스템
KR20210147691A (ko) 반려동물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장치 및 서버
KR20200011102A (ko) IoT 기반 스마트 애완동물 관리시스템
JP2016214173A (ja) ペット見守りシステム及びペット見守り方法
US20160021844A1 (en) Litter box aerator
KR102238322B1 (ko)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2045959A1 (fr) Gamelle communicante et multimédia pour les animaux domestiques
TW201634949A (zh) 寵物廁所、寵物廁所使用通知系統及寵物廁所使用通知方法
US2023014366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behavior modification of a domesticated animal
US20170372567A1 (en) Pet communication device
KR20140108835A (ko) 반려 동물 관리 로봇을 이용한 반려 동물 관리 시스템
KR20220125656A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6959189A (zh) 基于摄像装置的宠物行为纠正方法及宠物行为纠正系统
JP2003000085A (ja) ペット監視システム
JPWO2020100461A1 (ja) 被監視者監視支援システムのセンサ装置、監視画像保存方法および被監視者監視支援システム
KR20200127544A (ko)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