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7771A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7771A
KR20180017771A KR1020160102113A KR20160102113A KR20180017771A KR 20180017771 A KR20180017771 A KR 20180017771A KR 1020160102113 A KR1020160102113 A KR 1020160102113A KR 20160102113 A KR20160102113 A KR 20160102113A KR 20180017771 A KR20180017771 A KR 20180017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usehold appliance
air conditioner
driving
target house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2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길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2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7771A/ko
Publication of KR2018001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7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2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users or occupants
    • F24F2120/10Occupa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실외팬과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외기, 및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실내기는,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실내팬; 토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유입구 및 상기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는 필터;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내팬과, 상기 베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먼지를 발생시키는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모드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it}
본 발명은 비산 먼지를 발생시키는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을 인식하여, 실내기를 공기청정 모드로 작동시키고, 상기 타겟 가전기기을 향해 청정공기를 토출하도록 실내기의 베인을 제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내공기와 열교환하는 실내열교환기, 냉매를 팽창시키는 팽창밸브, 실외공기와 열교환하는 실외열교환기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기와 실외열교환기는 실외기에 구비되고, 상기 실내열교환기와 팽창밸브는 실내기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의 작동모드는 냉방모드, 난방모드 및 공기청정모드를 포함한다.
냉방모드에서, 실내기는 공조공간으로 냉풍을 토출하고, 난방모드에서, 실내기는 공조공간으로 온풍을 토출한다. 그리고, 공기청정모드에서, 실내기는 공조공간으로 필터에 의해 정화된 청정공기를 토출한다. 공기청정모드는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와 함께 작동될 수 있다.
공기청정모드만 작동되는 상태에서 압축기의 구동은 정지된 상태로 실내팬이 구동되어 필터를 통해 정화된 청정공기가 공조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공기청정모드가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와 함께 작동되는 경우에, 압축기가 구동됨과 동시에 실내팬이 구동되어 필터를 통해 정화된 냉기 또는 온기가 공조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가전기기의 구동에 의해 미세 먼지 또는 비산 먼지가 발생되어 공조공간의 공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기를 통한 음식물의 조리 시에 미세먼지가 발생될 수 있으며, 로봇청소기의 작동 시에 비산 먼지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가전기기의 구동에 따른 미세 먼지 또는 비산 먼지는 사람의 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없어, 이러한 미세 먼지 또는 비산 먼지에 대해 적시에 그리고 자동으로 대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공기청정모드로 작동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가 가정에 구비된 경우에도, 공기청정모드의 작동을 위한 시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미세 먼지 또는 비산 먼지를 발생시키는 가전기기의 구동을 인식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 먼지 또는 비산먼지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전기기의 구동에 따른 미세 먼지 또는 비산 먼지에 대하여, 적시에 그리고 자동으로 대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의 작동을 위한 시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실외팬과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외기, 및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실내기는,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실내팬; 토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유입구 및 상기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는 필터;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내팬과, 상기 베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먼지를 발생시키는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1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통신모듈은 외부 서버에 구비된 제2통신모듈과 통신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타겟 가전기기에 구비된 제3통신모듈과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제2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타겟 가전기기는 조리기기 및 로봇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공조공간을 촬영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카메라; 및 상기 공기토출구에 배치되어 공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베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인식된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베인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베인은 공기의 토출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조절하는 제1베인 및 공기의 토출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조절하는 제2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인식된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가전기기를 향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위치가 이동되면 공기의 토출 방향도 타겟 가전기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변경되도록 상기 베인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가전기기가 구동을 개시하면, 상기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모드로 작동시키고,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이 종료되면, 종료 후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에 따른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먼지를 발생시키는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정보가 외부 서버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에 전달되는 정보전송단계; 및 상기 정보전송단계에서 전달받은 구동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 모드로 구동시키는 추적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정보전송단계에서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 개시 또는 구동 중의 정보가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면, 상기 추적제어단계에서 상기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추적제어단계는, 공기조화기가 구동중인지 여부가 외부 서버에 의해 판단되는 구동판단단계; 및 상기 구동판단단계에서, 공기조화기가 비구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정보 메세지 및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 운전 권고 메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되는 메세지전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적제어단계는, 공기조화기가 구동중인지 여부가 외부 서버에 의해 판단되는 구동판단단계; 상기 구동판단단계에서, 공기조화기가 구동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모드로 운전시키는 단계; 실내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타겟 가전기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단계; 및 위치인식단계에서 인식된 타겟 가전기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의 베인을 제어하는 베인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적제어단계는,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이동을 인식하는 이동인식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동인식단계에서, 상기 타겟 가전기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변경된 타겟 가전기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의 베인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추적제어단계 이후에,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 종료 여부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 운전을 종료하는 추적제어종료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적제어종료단계는,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종료판단단계에서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 종료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 운전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 먼지 또는 비산 먼지를 발생시키는 가전기기의 구동을 인식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 먼지 또는 비산먼지를 정화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전기기의 구동에 따른 미세 먼지 또는 비산 먼지에 대하여, 적시에 그리고 자동으로 대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의 작동을 위한 시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타겟 가전기기의 연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냉매 순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는 압축기(100), 실내열교환기(200), 팽창밸브(300), 실외열교환기(400)를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I"는 실내기를 나타내고 "O"는 실외기를 나타낼 수 있다.
압축기(100)는 냉매를 압축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압축기(100)는 저온 저아의 냉매를 가압하여 고온 고압의 냉매로 만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는 공기조화장치(10) 내에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기(100)가 공기조화장치(10) 내에 복수 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압축기는 냉매의 유동방향을 따라서 직렬 및/또는 병렬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실내 공기와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내열교환기(200)는 공기조화장치(100)의 냉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실외 공기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실외 공기와 상기 실외열교환기(400) 내로 유동하는 냉매가 열교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외열교환기(400)는 공기조화장치(100)의 냉방 모드에서 응축기의 기능을 수행하고, 난방 모드에서 증발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및 실외열교환기(400)는 핀-튜브 방식의 열교환기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열교환기(200) 측에는 실내 팬(210)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300) 측에는 실외 팬(31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10)는 냉방 모드와 난방 모드가 전환될 때,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유로전환밸브(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전환밸브(600)는 4방 밸브(four-way valve)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로전환밸브(600)는 냉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외기로 안내하고, 난방모드에서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를 실내기로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축기(100) 내에는 상기 압축기(100)의 원활한 구동을 위하여 오일이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축기(100) 내의 오일은 상기 압축기(100)의 구동에 따라서 냉매와 혼합되어 상기 압축기(100)로부터 냉매와 함께 토출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냉매와 오일이 혼함된 상태의 유체를 "혼합기"로 정의한다.
이러한 혼합기가 공기조화장치(10)의 냉매 사이클을 순환하게 되면, 실내열교환기(200) 및 실외열교환기(400)의 열교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장치(10)는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오일의 혼합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오일분리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오일분리기(500)는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냉매와 오일의 혼합기로부터 오일을 분리하여 다시 압축기(100)로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분리기(500)로 유입된 혼합기에서 분리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00)와 실외열교환기(400)를 포함하는 냉매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기(100)로부터 토출된 혼합기는 공급유로(105)를 통해 오일분리기(50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분리기(500)에서 분리된 액상 오일은 회수유로(505)를 통해 다시 압축기(100)로 공급되고, 상기 오일분리기(500)에서 분리된 기상 냉매는 냉매 사이클을 순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실내기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먼지 또는 미세 먼지)를 걸러내도록 형성된 필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700)는 실내기 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걸러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700)는 공기 중의 부유먼지 또는 미세먼지를 걸러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700)는 후술할 실내기(I)의 공기유입구 및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I)로 유입되어 토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 또는 미세먼지는 상기 필터(700)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냉방모드, 난방모드 및 공기청정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가 공기청정모드로 구동될 때, 상기 압축기(100)의 구동은 정지된 상태로 실내팬(210)이 구동될 수 있다.
공기청정모드에서, 실내팬(210)의 구동에 의해 공조공간의 공기는 실내기(I) 내에 구비된 상기 필터(700)에 의해 정화된 후 다시 공조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냉방모드에서는, 압축기(100) 및 실내팬(210)이 모두 구동되어, 공조공간의 공기는 실내기(I) 내에 구비된 필터(700)와 실내열교환기(200)를 통과한 후 다시 공조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냉방모드에서는 실내기(I)를 통해 정화된 냉기가 공조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난방모드에서도, 압축기(100) 및 실내팬(210)이 모두 구동되어, 공조공간의 공기는 실내기(I) 내에 구비된 필터(700)와 실내열교환기(200)를 통과한 후 다시 공조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난방모드에서는 실내기(I)를 통해 정화된 온기가 공조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2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50) 내에 전술한 실내열교환기(200), 실내팬(210) 및 필터(7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50)은 공기유입구(51)와 공기토출구(5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내팬(210)의 구동에 의해, 공조공간의 공기는 상기 공기유입구(51)를 통해 사기 캐비닛(50) 내로 유입되고 상기 공기토출구(52)를 통해 다시 공조공간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전술한 필터(700)는 상기 공기유입구(51) 및 상기 공기토출구(52)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700)는 상기 캐비닛(500) 내에서 상기 공기유입구(51)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카메라(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60)는 상기 캐비닛(50)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60)는 캐비닛(50)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60)는 공조공간을 촬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60)는 캐비닛(50)의 주변을 촬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캐비닛(50)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거리 및 기설정된 각도 내의 공조공간을 촬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60)는 상기 캐비닛(50)으로부터 기설정된 거리 내에 있는 타겟 가전기기를 인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가전기기는 미세 먼지 또는 비산 먼지를 발생시키는 가전기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가전기기는 조리기기 및 로봇청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공기토출구(52)에 배치되는 베인(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인(70)은 공기토출구(5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인(70)은 공기의 토출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제1베(71) 및 공기의 토출 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제2베인(7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베인(71)은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연직방향 축(미도시)을 기준으로 캐비닛(50)의 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베인(71)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토출구(5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수평방향 토출각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베인(72)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고, 수평방향 축(미도시)을 기준으로 캐비닛(50)의 높이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베인(72)의 회전에 기초하여 상기 공기토출구(5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상하방향 토출각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50)에는 공기조화기(10)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9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90)를 통하여 공기조화기(10)를 구동 또는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조작부(90)를 통하여 공기조화기(10)를 다양한 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후술할 제어부는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정보 및 상기 카메라(60)에 의해 인식된 타겟 가전기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압축기(100), 상기 실내팬(210) 및 상기 베인(60)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제어부에 의한 압축기(100), 실내팬(210) 및 베인(60)의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와 타겟 가전기기의 연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내기(I)에 구비된 카메라(60)는 공조공간을 촬영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메라(60)는 공조공간에 배치된 타겟 가전기기(T)를 인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겟 가전기기(T)는 미세 번지 또는 비산 먼지를 발생시키는 조리기기 또는 로봇청소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겟 가전기기(T)는 로봇청소기가 될 수 있다.
실내기(I)에 구비된 카메라(60)는 타겟 가전기기(T)를 인식하고, 후술할 제어부는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카메라(60) 자체가 타겟 가전기기(T)를 인식하고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를 판단하여 그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내기(I)의 공기토출구(5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타겟 가전기기(T)를 향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토출구(52)에 배치된 베인(70)은 상기 타겟 가전기기(T)를 향해 공기토출구(52)로부터 공기가 토출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60)에 의해 타겟 가전기기(T)가 인식되면, 공기토출구(52)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화살표 "A"로 표시된 방향으로 타겟 가전기기(T)를 향하도록 제어부에 의해 베인(70)이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60)에 의해 타겟 가전기기(T)가 인식되면, 공기조화기는 공기청정모드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토출구(52)로부터 정화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타겟 가전기기(T)에서 발생되는 미세 먼지 또는 비산 먼지에 의해 오염된 공조공간은 공기토출구(52)로부터 정화된 공기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타겟 가전기기(T)에서 발생되는 미세 먼지 또는 비산 먼지에 의해 오염된 공조공간을 정화하기 위하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압축기(100), 실내팬(210) 및 베인(6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주요 구성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압축기(100)와, 실내팬(210)과, 베인(70)을 제어하는 제어부(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전술한 카메라(60)로부터 공조공간에 배치된 타겟 가전기기(T)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타겟 가전기기(T)에 대한 정보는 타겟 가전기기(T)의 유무와 관련된 정보 및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먼지(즉, 미세 먼지 또는 비산 먼지)를 발생시키는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I)를 공기청정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I)는 공기청정모드로 작동되도록 상기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10)는 제어부(C)에 의해 제어되는 제1통신모듈(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모듈(81)은 실내기(I)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통신모듈(81)은 외부 서버(S)에 구비된 제2통신모듈(82)과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버(S)는 상기 제1통신모듈(81) 및 상기 제2통신모듈(82) 사이의 통신을 통해 공기조화기(10)의 구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서버(S)의 제2통신모듈(82)은 타겟 가전기기(T)에 구비된 제3통신모듈(83)과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버(S)는 상기 제2통신모듈(82) 및 상기 제3통신모듈(83) 사이의 통신을 통해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통신모듈(81)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S)로부터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통신모듈(81)과 상기 제2통신모듈(82) 사이의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S)로부터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또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공기청정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제1통신모듈(81)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S)로부터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개시 또는 구동 중의 정보를 전달받으면, 상기 공기조화기(10)를 공기청정모드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카메라(60)에 의해 인식된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베인(70)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가전기기(T)를 향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실내기(또는 실내기의 베인)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의 공기토출구(52)에 구비된 베인(70)은 공기의 토출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조절하는 제1베인(71) 및 공기의 토출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조절하는 제2베인(7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방향은 실내기의 폭방향 또는 좌우방향을 의미하고, 수직방향은 실내기의 높이방향 또는 상하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카메라(60)에 의해 인식된 상기 타겟 가전기기(60)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가전기기(T)를 향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제1베인(71) 및 상기 제2베인(72)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겟 가전기기(T)로부터 발생된 먼지에 의해 오염된 공조공간은 실내기(I)로부터 토출되는 청정 공기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카메라(60)를 통해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C)는 상기 카메라(60)를 통해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이동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가 이동되면, 상기 제어부(C)는 공기의 토출 방향도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이동 방향 또는 이동 경로를 따라 변경되도록 상기 베인(7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봇청소기가 움직이면서 작동되는 경우, 제어부(C)는 카메라(60)를 통해 전달받은 로봇청소기의 이동 방향 또는 이동 경로를 따라서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청정공기의 토출 방향이 변경되도록 상기 베인(70)을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C)는 타겟 가전기기(T)가 구동을 개시하면, 공기조화기(또는 실내기)가 공기청정모드로 작동되도록 공기조화기(또는 실내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개시와 관련된 정보를 전술한 제1통신모듈(81)과 제2통신모듈(82)의 통신에 의해 외부 서버(S)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동안에 상기 제어부(C)는 실내기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방향이 상기 타겟 가전기기(T)를 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C)는 공기조화기(또는 실내기)의 공기청정모드에 따른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C)는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이 종료되면, 종료 후 기설정딘 시간 경과 후에 공기조화기(또는 실내기)의 공기청정모드에 따른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는,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이 종료하더라도, 종료 후 일정 시간 동안 미세 먼지 또는 비산 먼지가 공조공간에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전술한 외부 서버(S)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모드로 작동시키는 제어는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이 개시될 때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온되어 있는 상태로 있음을 전제로 한다.
한편,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이 개시되더라도,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를 가정해볼 수 있다.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이 개시된 시점에서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으면,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제1통신모듈(81)과 외부 서버(S)에 구비된 제2통신모듈(82) 사이의 통신이 불가능하다.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이 개시된 시점에서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는 경우, 상기 외부 서버(S)는 사용자의 단말기(84)에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개시에 대한 정보 및 공기조화기의 전원 오프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즉, 공기조화기의 구동 또는 비구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제1통신모듈(81)과 상기 제2통신모듈(82)의 통신 가능 여부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S)에서 판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이 개시된 시점에서 공기조화기가 비구동 상태인 것으로 상기 외부 서버(S)에 의해 판단되면,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정보 메세지 및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 운전 권고 메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서버(S)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M)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정보 메세지는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개시와 관련된 메세지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S)의 제2통신모듈(82)은 사용자 단말기(M)의 제4통신 모듈(84)과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통신모듈(82)과 상기 제4통신모듈(84)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정보 메세지 및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 운전 권고 메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의 단말기(M)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이 개시된 시점에서 공기조화기가 비구동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단말기(M)에 표시된 메세지를 확인하여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공기조화기의 구성이 동일하게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정보가 외부 서버(S)를 통해 실내기(I)의 제어부에 전달되는 정보전송단계(S10) 및 상기 정보전송단계(S10)에서 전달받은 구동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I)를 공기청정모드로 구동시키는 추적제어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전송단계(S10)에서, 먼지를 발생시키는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정보가 외부 서버(S)를 통해 실내기(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보전송단계(S10)는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개시와 관련된 정보가 외부 서버(S)를 통해 실내기(또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추적제어단계(S20)에서는, 상기 정보전송단계(S10)를 통해 외부 서버(S)로부터 전달받은 구동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가 공기청정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정보전송단계(S10)에서,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개시 또는 구동 중의 정보가 공기조화기(10)의 제어부(C)에 전달되면, 상기 추적제어단계(S20)에서 상기 공기조화기(10)를 공기청정모드로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전송단계(S10)에서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개시와 관련된 정보가 공기조화기(10)의 제어부(C)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적제어단계(S20)에서는 상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먼지를 정화하기 위하여 공기조화기(10)가 공기청정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추적제어단계(S20)는 공기조화기(10)가 구동중인지 여부가 판단되는 구동판단단계(S21) 및 공기조화기(10)가 비구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의 단말기(M)에 메세지를 전송하는 메세지전송단계(S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판단단계(S21)에서는 공기조화기(10)가 구동중인지 여부가 외부 서버(S)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상기 구동판단단계(S21)에서 공기조화기(10)가 비구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메세지전송단계(S26)에서는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정보 메세지 및 공기조화기(10)의 공기청정모드 운전 권고 메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서버(S)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M)에 전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조화기(10)의 비구동 상태는 공기조화기(10)가 오프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정보 메세지는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이 개시되었다는 메세지가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청정모드 운전 권고 메세지는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에 따른 먼지를 정화하기 위하여 공기조화기(10)가 공기청정모드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메세지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적제어단계(S20)는, 상기 구동판단단계(S21)에서 공기조화기(10)가 구동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조화기(10)를 공기청정모드로 운전시키는 단계(S22),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단계(S23) 및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에 기초하여 실내기의 베인(70)을 제어하는 베인제어단계(S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인식단계(S23)에서는 실내기(I)에 구비된 카메라(60)를 통하여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가 인식될 수 있다. 카메라(60)에 의해 인식된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정보는 제어부(C)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베인제어단계(S24)에서는 상기 위치인식단계(S23)에서 인식된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I)의 베인(70)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가전기기(T)를 향해 청정공기가 토출되도록 실내기(I)의 베인(70)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먼지는 실내기(I)에서 토출되는 청정공기에 의해 정화될 수 있다.
상기 추적제어단계(S20)는, 타겟 가전기기(T)의 이동을 인식하는 이동인식단계(S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가전기기(T)는 로봇청소기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동인식단계(S25)에서는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가 카메라(60)를 통해 인식될 수 있다. 이동인식단계(S25)에서 타겟 가전기기(T)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변경된 타겟 가전기기의 위치에 기초하여 실내기의 베인(70)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인식단계(S25)에서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경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동중인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 변화에 기초하여 실내기의 베인(70)이 연속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인식단계(S25)에서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가 연속적으로 변경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위치인식단계(S23) 및 상기 베인제어단계(S24)를 통하여 타겟 가전기기(T)의 위치 변화를 연속적으로 체크하고, 움직이는 타겟 가전기기(T)를 향해 청정공기가 토출되도록 베인(70)을 연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추적제어단계(S20) 이후에,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종료 여부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10)의 공기청정모드 운전을 종료하는 추적제어종료단계(S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적제어종료단계(S30)에서는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이 종료되면 공기조화기(10)의 공기청정모드 운전이 종료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적제어종료단계(S30)에서는 외부 서버(S)로부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종료와 관련된 정보가 공기조화기(10)에 전달되고, 공기조화기(10)의 공기청정모드에 따른 운전이 종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적제어종료단계(S30)는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 및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 운전을 종료하는 단계(S32)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1)에서, 공기조화기(10)의 제어부(C)는 외부 서버(S)로부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종료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즉, 전술한 제1통신모듈(81) 및 제2통신모듈(82) 사이의 통신을 통하여, 제어부(C)는 외부 서버(S)로부터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종료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공기청정모드 운전을 종료하는 단계(S32)에서는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종료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실내기의 공기청정모드 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실험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이 종료되더라도, 타겟 가전기기(T)에 의해 발생된 먼지가 공조공간 내에 일정 시간 동안 잔류할 수 있으므로, 타겟 가전기기(T)의 구동 종료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실내기의 공기청정모드 운전을 종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세 먼지 또는 비산 먼지를 발생시키는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을 인식하여,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 먼지 또는 비산먼지를 집중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에 따른 미세 먼지 또는 비산 먼지에 대하여, 적시에 그리고 자동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의 작동을 위한 시기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60 카메라 70 베인
81 제1통신모듈 82 제2통신모듈
100 압축기 200 실내열교환기
400 실외열교환기 T 타겟 가전기기
S 외부 서버 M 사용자 단말기

Claims (15)

  1.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실외팬과 실외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외기, 및 실내열교환기를 구비하는 실내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로서,
    상기 실내기는,
    공기유입구와 공기토출구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하여 상기 공기토출구를 통해 토출시키는 실내팬;
    토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유입구 및 상기 공기토출구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는 필터;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내팬과, 상기 베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먼지를 발생시키는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모드로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제1통신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통신모듈은 외부 서버에 구비된 제2통신모듈과 통신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정보를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모듈은 상기 타겟 가전기기에 구비된 제3통신모듈과 통신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 서버는 상기 제2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가전기기는 조리기기 및 로봇청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1항에 있어서,
    공조공간을 촬영하도록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카메라; 및
    상기 공기토출구에 배치되어 공기의 토출 방향을 안내하도록 형성된 베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인식된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베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인은 공기의 토출 방향을 수평방향으로 조절하는 제1베인 및 공기의 토출방향을 수직방향으로 조절하는 제2베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인식된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가전기기를 향해 공기가 토출되도록 상기 제1베인 및 상기 제2베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위치가 이동되면 공기의 토출 방향도 타겟 가전기기의 이동 방향을 따라 변경되도록 상기 베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가전기기가 구동을 개시하면, 상기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모드로 작동시키고,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이 종료되면, 종료 후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에 따른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9. 먼지를 발생시키는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정보가 외부 서버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제어부에 전달되는 정보전송단계; 및
    상기 정보전송단계에서 전달받은 구동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 모드로 구동시키는 추적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전송단계에서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 개시 또는 구동 중의 정보가 상기 제어부에 전달되면, 상기 추적제어단계에서 상기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모드로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제어단계는,
    공기조화기가 구동중인지 여부가 외부 서버에 의해 판단되는 구동판단단계; 및
    상기 구동판단단계에서, 공기조화기가 비구동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정보 메세지 및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 운전 권고 메세지 중 적어도 하나가 외부 서버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에 전송되는 메세지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제어단계는,
    공기조화기가 구동중인지 여부가 외부 서버에 의해 판단되는 구동판단단계;
    상기 구동판단단계에서, 공기조화기가 구동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조화기를 공기청정모드로 운전시키는 단계;
    실내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통해 타겟 가전기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위치인식단계; 및
    위치인식단계에서 인식된 타겟 가전기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의 베인을 제어하는 베인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제어단계는,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이동을 인식하는 이동인식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동인식단계에서, 상기 타겟 가전기기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되면, 변경된 타겟 가전기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실내기의 베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제어단계 이후에,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 종료 여부에 기초하여,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 운전을 종료하는 추적제어종료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적제어종료단계는,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 종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종료판단단계에서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타겟 가전기기의 구동 종료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공기조화기의 공기청정모드 운전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KR1020160102113A 2016-08-11 2016-08-1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177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113A KR20180017771A (ko) 2016-08-11 2016-08-1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2113A KR20180017771A (ko) 2016-08-11 2016-08-1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771A true KR20180017771A (ko) 2018-02-21

Family

ID=61524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2113A KR20180017771A (ko) 2016-08-11 2016-08-1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7771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845A3 (ko) * 2019-03-2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
WO2019151846A3 (ko) * 2019-03-2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WO2020218652A1 (ko) * 2019-04-26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US20230249115A1 (en) * 2019-05-07 2023-08-10 Eyevac, Llc Combination vacuum and air purifier system and method
WO2024080605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1845A3 (ko) * 2019-03-2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
WO2019151846A3 (ko) * 2019-03-20 2020-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US11571648B2 (en) 2019-03-20 2023-02-07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11649980B2 (en) 2019-03-20 2023-05-16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ommunicating with moving agent to sense indoor space
WO2020218652A1 (ko) * 2019-04-26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US11471813B2 (en) 2019-04-26 2022-10-18 Lg Electronics Inc. Air cleaner
US20230249115A1 (en) * 2019-05-07 2023-08-10 Eyevac, Llc Combination vacuum and air purifier system and method
WO2024080605A1 (ko) * 2022-10-12 202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레인지 후드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17771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360621A (zh) 厨房空气调节系统
CN1213761A (zh) 人检测的判定方法及空调机
KR102001933B1 (ko) 공기조화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4190600A (ja) 空気調和装置
JP2010078254A (ja) 空気調和装置
JP6749471B2 (ja) 空気調和装置
KR19990050333A (ko) 공기조화기의 드라이 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05180294A (zh) 移动空调器及其化霜控制方法
JP2015068563A (ja) 空気調和機
CN111853948B (zh) 一种空调室内机及空调新风功能的控制方法
CN111750490B (zh) 一种空调器和控制方法
JP2021081139A (ja) 空調システム
JPWO2017138133A1 (ja) 温冷水空調システム
JP2007285566A (ja) 空気調和機
JP2011075168A (ja) 空気調和機
JP3181111B2 (ja) 空気調和機
JP7441988B1 (ja) 空気調和機
JP6844274B2 (ja) 冷凍装置
JP2000186864A (ja) 電動膨張弁の制御方法
JP6044626B2 (ja) 温調システム
JP2008116136A (ja) 空気調和装置
JP2000320882A (ja) 空気調和機
CN115614836B (zh) 空调器室内机及空调器
JP2000240999A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