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974A -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 Google Patents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974A
KR20180011974A KR1020160094595A KR20160094595A KR20180011974A KR 20180011974 A KR20180011974 A KR 20180011974A KR 1020160094595 A KR1020160094595 A KR 1020160094595A KR 20160094595 A KR20160094595 A KR 20160094595A KR 20180011974 A KR20180011974 A KR 20180011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b
unit
pressure water
gills
she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9828B1 (ko
Inventor
임영호
Original Assignee
임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22485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80011974(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임영호 filed Critical 임영호
Priority to KR1020160094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9828B1/ko
Publication of KR2018001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9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9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6Work-tables; Fish-holding and auxiliary devices in connection with work-table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8Cutting fish into por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껍질과 등껍질이 제거된 게에 고압수 분사 통해 아가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하여 아가미 제거에 필요한 수작업 공수를 줄이고 작업 불량률 및 작업시 발생되는 게살의 손실을 감소하며 구획하우징의 공간부 형성을 통해 분사된 고압수의 유도 및 하강 안내에 따라 원활하게 수집할 수 있는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게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 상으로 이송되는 게의 등껍질을 제거하는 탈갑부와; 상기 탈갑부 후방 양측에 위치하여 탈갑부에 의해 등껍질이 제거된 후 노출되게 되는 게의 아가미를 고압수 분사에 의해 제거하는 분사노즐부; 및 상기 분사노즐부에 의해 양측에서 분사되는 고압수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양측 분사노즐부 간을 분리 구획하되 하방이 개방된 공간부를 가지는 구획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Crab Shells Removal Apparatus Which Can Easily Remove Gill}
본 발명은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껍질과 등껍질이 제거된 게에 고압수 분사 통해 아가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제거하여 아가미 제거에 필요한 수작업 공수를 줄이고 작업 불량률 및 작업시 발생되는 게살의 손실을 감소하며 구획하우징의 공간부 형성을 통해 분사된 고압수의 유도 및 하강 안내에 따라 원활하게 수집할 수 있는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에 4,500여종, 우리나라에 183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게는 다리가 열개여서 절지동물 갑각강 중에서 십각목으로 분류된다. 열개의 다리는 기능적으로 한 쌍의 집게발과 네 쌍의 걷는 다리로 나뉜다. 게는 그 종류만큼이나 서식 환경과 외양적 특성이 다양하다. 게들은 바닥을 기어 다니면서 바닥으로 떨어지는 해양생물의 사체를 처리하는 식생을 가지고 있어 바다의 청소부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게는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의 중요 수산 자원 중 하나로 그대로 쪄서 먹거나, 끓는 물에 삶아서 몸통이나 다리의 살을 발라 먹거나, 간장 등을 이용해 숙성시켜 먹기도 하는데, 특유의 짭짤하면서 고소한 맛으로 인해 그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게맛살이나 각종 냉동식품 등 다양한 형태로도 가공되어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게를 다양한 종류의 가공식품으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게의 딱딱한 껍질 안에 있는 맛이 다른 살을 부위별로 선별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먼저 게를 부위별로 분리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작업자가 절단칼을 들고 작업대 위에서 일일이 수작업으로 게를 몸통과 일반다리, 집게다리별로 절단하여 선별함으로써 많은 노동력이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딱딱한 게의 껍질을 작업자가 칼을 이용해 수작업으로 절단하는 과정에서 게의 껍질이나 칼에 의해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경우도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수작업에 따른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1997-0032404호에서와 같이 게를 자동으로 가공할 수 있는 가공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게 가공장치는 단순히 배껍질이나 등껍질을 제거하고 절단할 뿐 게 가공에 있어서 가장 작업공수가 큰 게의 아가미 제거부분에 있어서는 많은 문제가 발생되었다.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1997-0032404호에서는 아가미 제거를 위해 등껍질을 탈갑하는 탈갑축 후단에 회전솔을 설치하여 아가미를 제거하였으나, 회전솔의 위치가 너무 낮을 경우 아가미 제거는 완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대부분의 몸통 게살부분이 손실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회전솔의 위치가 너무 높을 경우 손실되는 게살은 감소시킬 수 있지만 아가미가 제대로 제거되지 않아 후속공정에서 별도의 분쇄된 아가미 부분을 작업자가 일일히 선별하는 작업을 수행해야 되는 불편이 발생된다.
이는 아가미의 게살 몸통 접착부위가 돔형태의 몸통에서 가장 낮은 가장자리 부위에 형성됨에 따라 회전솔의 위치 조정을 통한 작업의 최적화는 본질적인 한계가 있다.
아울러 게의 종류가 다양하고 게의 형태나 크기가 각기 달라 다양한 게에 모두 사용가능한 회전솔의 위치 설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재 작업하고 있는 실정은 국내나 해외에서도 탈갑공정이나 몸통절단 또는 다리부분 분리절단 공정은 자동화 장치를 통해 수행하고 있으나, 아가미 제거공정은 게살 손실우려 및 아가미 제거의 높은 작업 불량률로 인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제거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양의 게 가공이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이루어져야 하는 작업 환경상 많은 인원이 탈갑 공정에서 탈갑된 게의 아가미를 수작업으로 제거함에 따라 인력 확보가 어렵고 인건비가 높아진 실정을 감안할 때 생산원가의 증가와 생산수율의 저하가 발생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997-0032404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탈갑이 이루어진 게의 후단에 아가미 부착부위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양측으로 각각 복수개 배치하고 분사된 고압수의 목적 위치 타격과 원활한 집수를 위한 구획하우징을 설치함으로써 아가미 제거 효율을 대폭 향상하고 작업 공수 및 작업 인력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고압수의 무분별한 분산을 방지할 수 있는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게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 상으로 이송되는 게의 등껍질을 제거하는 탈갑부와; 상기 탈갑부 후방 양측에 위치하여 탈갑부에 의해 등껍질이 제거된 후 노출되게 되는 게의 아가미를 고압수 분사에 의해 제거하는 분사노즐부; 및 상기 분사노즐부에 의해 양측에서 분사되는 고압수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양측 분사노즐부 간을 분리 구획하되 하방이 개방된 공간부를 가지는 구획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획하우징은 이송부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면상으로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하부측으로 배치됨에 따라 내측에 하방이 개방된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하방으로 배치됨에 따라 일측 분사노즐부에서 분사된 고압수가 타측에 위치하는 게의 몸통으로 타격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수단이 더 포함되며, 상기 공간부에는 하부측으로 이송되는 게의 몸통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이 더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공간부의 하부측 및 상기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구획하우징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압봉 또는 상기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 사이에서 상부플레이트로부터 하방으로 구획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는 가압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이다.
아울러 상기 이송부 상에서 분사노즐부를 경유하여 이송된 게의 양측 다리부분을 절단하는 다리절단부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통해 아가미 제거의 불량률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게살의 손실량을 대폭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구획하우징의 공간부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수의 집수를 유도함에 따라 무분별한 고압수의 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속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별도의 세척공정을 아가미 제거공정으로 대체할 수 있어 추가적인 설치비용과 작업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가미 제거의 자동화와 별도의 후속 아가미 선별공정을 제거함에 따라 이에 필요한 작업 공수를 제거하여 인력 확보의 어려움을 제거하고 생산 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 탈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C-C'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D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리절단부의 단면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획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도 1 내지 도 6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 탈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획하우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 탈갑장치(100)는 크게 이송부(10), 탈갑부(20), 분사노즐부(30) 및 구획하우징(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송부(10)는 바닥면 상에 안착된 상태로 게를 이송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이송부(10)는 최선단부에서 게가 안착된 후 후단부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탈갑부(20) 및 분사노즐부(30)를 거치면서 탈갑과 아가미 제거가 수행되도록 한다.
도면에서는 게의 등껍질이 바닥을 향해 이송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송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도면 미표시)에 의해 구동되는 제1컨베이어(11)와 제2컨베이어(12)를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설치하여 동일한 방향과 속도로 구동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1컨베이어(11)와 제2컨베이어(12)는 게의 양측 다리부분이 놓이는 곳으로 이송부(10)의 최선단부부터 후단부까지 이어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제1컨베이어(11)와 제2컨베이어(1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에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제3컨베이어(13)와 제4컨베이어(14)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제3컨베이어(13)는 최선단부에 놓이는 게의 몸통부분이 놓이는 위치로 탈착부(20) 전단부까지 게의 몸통부분을 이송 담당한다.
아울러 상기 제4컨베이어(14)는 양 다리부분이 각각 분리된 상태로 유입되는 게를 다리절단부(50)까지 안내하는데, 이러한 제3컨베이어(13) 및 제4컨베이어(14)는 제1컨베이어(11) 및 제2컨베이어(12)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기 위해 제1컨베이어(11) 및 제2컨베이어(12)를 구동하는 구동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컨베이어(11)와 제2컨베이어(12) 상부에는 압지컨베이어(15)가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압지컨베이어(15)는 게의 양지 다리부분을 가압하여 탈갑과정이나 아가미 제거과정에 게의 다리부분이 움직이지 않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압지컨베이어(15) 상에는 이의 텐션을 일정 이상 유지하기 위해 텐션롤러(16)가 다수개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압지컨베이어(15)도 상기 제1컨베이어(11) 및 제2컨베이어(12)와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여야 함에 따라 제1컨베이어(11)를 구동하는 구동축에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탈갑부(20)는 상기 이송부(10) 상으로 이송되는 게의 등껍질 및 배껍질을 제거하기 위해 게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데, 이러한 탈갑부(20)는 이동하는 게의 배부분을 제거하기 위한 배껍질제거수단(21)과 게의 이동경로 상 중심 위치에 설치되고, 배껍질제거수단(21) 하부측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게의 등껍질을 제거하기 위한 등껍질제거수단(22)이 설치된다.
이러한 배껍질제거수단(21)과 등껍질제거수단(22)은 각각 게의 몸통 두께보다 이격간격이 작게 설치되어 배껍질제거수단(21)이 게의 배부분을 가압하는 동안 등껍질이 등껍질제거수단(22)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배껍질제거수단(21)과 등껍질제거수단(22)의 배치 위치는 각각 상,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고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위치가 전환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분사노즐부(30)는 상기 탈갑부(20) 후방 양측에 위치하여 등껍질이 제거되어 노출되는 게의 아가미를 고압수를 분사하여 제거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상기 분사노즐부(30)는 아가미의 부착부위로 고압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31)과, 상기 복수개의 분사노즐(31)과 연결되어 물을 공급하는 이송관(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노즐(31)은 탈갑부(20) 후방 하부 양측에 복수개가 이격 배치되어 뒤집힌 상태의 게 몸통부분에 부착된 아가미를 고압수 분사로 분리시킨다.
바람직한 고압수 분사 방향을 위해 상기 분사노즐(31)은 탈갑부(20) 후방 하부측에서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되 상방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대략 10°내지 50°각도로 상방 분사하도록 한다.
이는 게의 아가미 부착부위를 가장 효율적으로 고압수를 통해 타격할 수 있으며 게의 몸통살이 고압수에 의해 손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분사노즐(31)이 이동경로 중심선 상으로 서로 양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이는 일실시예일 뿐 이동경로 상에서 서로 지그재그 형태 또는 일측이 배열되는 구간과 타측이 배열되는 구간이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분사노즐(31)로 물을 공급하는 이송관(32)은 별도의 물공급수단으로부터 물을 전달받게 되는데, 이러한 물공급수단은 수도관과 같은 배관이 되거나 별도의 물저장탱크와 순환펌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획하우징(40)은 분사노즐부(30)에 의해 양측에서 분사되는 고압수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양측 분사노즐부(30) 간을 분리 구획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구획하우징(40)에는 하방이 개방된 공간부(40a)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부(40a)는 분사노즐(31)을 통해 분사된 고압수가 상방으로 분사됨에 따라 1차적으로 상기 공간부(40a)로 고압수를 유도하여 상승력이 작용되는 동안 일시 저장하였다가 상승력이 중력보다 낮아질 때 자연스럽게 하방으로 수직낙하하도록 함으로써 분사노즐(31)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가 무분별하게 사방으로 분산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고압수 집수 유도를 통해 무분별한 분산을 방지함으로써 계속적인 물에 노출됨에 따라 녹 등의 장치 내구성 저하가 초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체 고압수의 집수효율을 대폭 증대시켜 수집되는 물의 재활용 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고압수와 함께 비산되는 게의 아가미 등 폐기물을 손쉽게 수집할 수 있어 장치의 유지보수에 필요한 인력 및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상기 구획하우징(40)은 이송부(10)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면상으로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41)와, 상기 상부플레이트(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하부측으로 배치됨에 따라 내측에 하방이 개방된 공간부(40a)를 형성시키는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42) 사이에는 상기 상부플레이트(41)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하방으로 배치됨에 따라 일측 분사노즐부(30)에서 분사된 고압수가 타측에 위치하는 게의 몸통으로 타격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수단(43)이 형성된다.
이러한 차폐수단(4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41)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차폐플레이트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차폐수단(43)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부(40a)를 형성시키기 위한 하부플레이트(42) 보다 더 하방으로 연장 배치되어 일측의 분사노즐(31)로부터 분사된 고압수가 타측으로 완전히 유입 차단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획하우징(40)에는 상기 차폐수단(43) 외에 가압수단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가압수단은 상기 공간부(40a)의 하부측으로 이송되는 게의 몸통을 가압하여 고압수 분사시 게의 몸통이 움직이는 것을 감소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텐션롤러(16) 및 압지컨베이어(15)를 통해 게를 어느 정도 가압할 수 있으나, 고압수의 분사압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게의 고압수 타격면 반대측에서 게를 가압하는 구성이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가압수단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42) 사이에서 상부플레이트(41)로부터 하방으로 구획하우징(4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는 가압플레이트(45)이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간부(40a)의 하부측 및 상기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42) 사이에 구획하우징(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압봉(44)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봉(44)의 경우 가압 효과는 높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고압수의 집수를 유도하는 효과는 가압플레이트(45)에 비해 떨어지므로 가압플레이트(45)로 가압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다리절단부(50)는 상기 이송부 상에서 분사노즐부(30)를 경유하여 이송된 게의 양측 다리부분을 절단하도록 구비되며, 양측 다리를 절단하기 위해 한 쌍의 절단커터(51)가 배치된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이송부 11: 제1컨베이어
12: 제2컨베이어 13: 제3컨베이어
14: 제4컨베이어 15: 압지컨베이어
16: 텐션롤러 20: 탈갑부
21: 배껍질제거수단 22: 등껍질제거수단
30: 분사노즐부 31: 분사노즐
32: 이송관 40: 구획하우징
40a: 공간부 41: 상부플레이트
42: 하부플레이트 43: 차폐수단
44: 가압봉 45: 가압플레이트
50: 다리절단부 51: 절단커터
100: 게 탈갑장치 H: 몸통

Claims (7)

  1. 게를 이송하는 이송부(10)와;
    상기 이송부(10) 상으로 이송되는 게의 등껍질을 제거하는 탈갑부(20)와;
    상기 탈갑부(20) 후방 양측에 위치하여 탈갑부(20)에 의해 등껍질이 제거된 후 노출되게 되는 게의 아가미를 고압수 분사에 의해 제거하는 분사노즐부(30); 및
    상기 분사노즐부(30)에 의해 양측에서 분사되는 고압수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양측 분사노즐부(30) 간을 분리 구획하되 하방이 개방된 공간부(40a)를 가지는 구획하우징(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2. 상기 구획하우징(40)은
    이송부(10)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된 영역에 설치되되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면상으로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41)와, 상기 상부플레이트(4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하부측으로 배치됨에 따라 내측에 하방이 개방된 공간부(40a)를 형성시키는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41)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하방으로 배치됨에 따라 일측 분사노즐부(30)에서 분사된 고압수가 타측에 위치하는 게의 몸통으로 타격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수단(43)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40a)에는 하부측으로 이송되는 게의 몸통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공간부(40a)의 하부측 및 상기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42) 사이에 구획하우징(40)의 길이방향 또는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압봉(4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42) 사이에서 상부플레이트(41)로부터 하방으로 구획하우징(4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형성되는 가압플레이트(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 상에서 분사노즐부(30)를 경유하여 이송된 게의 양측 다리부분을 절단하는 다리절단부(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KR1020160094595A 2016-07-26 2016-07-26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KR101859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595A KR101859828B1 (ko) 2016-07-26 2016-07-26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595A KR101859828B1 (ko) 2016-07-26 2016-07-26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974A true KR20180011974A (ko) 2018-02-05
KR101859828B1 KR101859828B1 (ko) 2018-05-18

Family

ID=6122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595A KR101859828B1 (ko) 2016-07-26 2016-07-26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98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0295B1 (ko) 2013-11-04 2015-09-07 이중직 홍게 가공용 탈갑 및 자동 절단 장치
KR101644991B1 (ko) * 2015-08-20 2016-08-02 임영호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9828B1 (ko)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4991B1 (ko)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US8956205B2 (en) Method for removing blood released during filleting from the backbone of fish, and device for removing such blood
US52561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open the stomach of a bird
KR101661044B1 (ko) 가금류 사체로부터 이미 부분적으로 분리된 가슴필렛을 내장이 제거된 가금류 몸체의 사체로부터 완전히 분리하는 장치와 방법
US4073041A (en) Crab butchering machine
KR101612773B1 (ko) 근위 가공 장치
KR20150051461A (ko) 홍게 가공용 탈갑 및 자동 절단 장치
CN111713546A (zh) 一种厚壳贻贝自动化加工生产线
US2903737A (en) Method of extracting crab meat
KR102259296B1 (ko) 발골작업용 테이블
KR101859828B1 (ko) 아가미 제거가 용이한 게 탈갑장치
US20160007620A1 (en) Apparatus for carrying out a cleaning operation applied to the internal neck skin of slaughtered poultry
US4507824A (en) Device for filleting beheaded fish
KR101920375B1 (ko) 게 가공용 탈갑장치 및 탈갑방법
US3703746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hrimp and related shellfish
US3992734A (en) Boning meat
US3546738A (en) Apparatus for dressing fish
EP2991494B1 (de) 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zumindest einem bearbeitungsschritt an einem schlachttier sowie schneidwerkzeug
KR910002165B1 (ko) 고기가죽 제거기의 안전장치
KR101222944B1 (ko) 대파탈피기
KR101241740B1 (ko) 닭도체 절단장치
KR20180058375A (ko) 제거부위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게 탈갑장치
CA2263926C (en) Method for cutting and cleaning of farmed fish and equipment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1979736B1 (ko) 참치 살코기 분리장치
KR200438321Y1 (ko) 가금류 내장 분리용 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