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816A - 조립 라인 물품 추적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립 라인 물품 추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816A
KR20180011816A KR1020177037254A KR20177037254A KR20180011816A KR 20180011816 A KR20180011816 A KR 20180011816A KR 1020177037254 A KR1020177037254 A KR 1020177037254A KR 20177037254 A KR20177037254 A KR 20177037254A KR 20180011816 A KR20180011816 A KR 201800118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identifier
tool
sensor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0689B1 (ko
Inventor
존 매튜 파렌
토드 알 파르
하워드 후
드라간 유르코비치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80011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6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 G05B19/4187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job scheduling, process planning, material flow by tool man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00Foot or last measuring devices; Measuring devices for shoe parts
    • A43D1/04Last-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1/00Machines for preliminary treatment or assembling of upper-parts, counters, or insoles on their lasts preparatory to the pulling-over or lasting operations; Applying or 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11/00Shoe machines with conveyors for jacked shoes or for shoes or sho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119/00Driv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of shoe machines; Frames for shoe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 A43D25/047Devices for lasting with adhesives or for gluing together insoles and uppe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25/00Devices for gluing shoe parts
    • A43D25/18Devices for applying adhesives to sho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3/00Lasts
    • A43D3/02Lasts for making or repairing sho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05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assemb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05B19/4189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characterised by the transport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42Servomotor, servo controller kind till VSS
    • G05B2219/42337Tracking contr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의 제조는, 밑창과 갑피가 영구적으로 정합되기 전에, 밑창 및/또는 갑피에 수행되어야 하는 프로세스를 결정하기 위해, 밑창과 갑피를 일시적으로 정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밑창과 갑피의 특정 조합에 기초하여 특정 작업들이 결정되는 경우에, 영구적으로 정합하는 시기에 정확하게 짝을 이루는 것이 달성되는가를 보장하도록, 밑창과 갑피가 후속 프로세스를 통해 개별적으로 추적된다. 이 추적은 갑피를 지지하는 툴 내에 그리고 밑창 내에 있는 식별자들을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립 라인 물품 추적 시스템
본 발명은 신발류 물품 등의 제조에서 사용하는 물품 추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 물품의 제조는, 이러한 물품에서 수행될 후속 작업들을 결정하고 개선하기 위해 2개 이상의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물리적으로 상호 작용하여야 할 것인가를 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결정된 상호 작용에 기초하여 작업들이 수행된 후에 동일한 물품들이 재결합되는 경우; 결과적으로 형성되는 신발류 물품은 미적으로 마음에 들지 없거나 및/또는 기능적으로 부적절할 수 있다.
본원의 양태들은, 특정의 제1 물품과 제2 물품을 정합시키기 전에, 이들 물품의 조합이 검증될 수 있도록, 제조 중에 제1 물품과 제2 물품을 식별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조 추적 시스템은 제1 식별자를 구비하는 제1 툴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상기 제1 툴은 제1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제1 센서 타입의 제1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제2 물품과 결합된 제2 식별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제2 센서 타입의 제1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를 함께 결부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하는 연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제1 물품용의 제1 처리 스테이션과, 제2 물품용의 제2 처리 스테이션과, 상기 제1 처리 스테이션 이후에 제1 센서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제1 센서 타입의 제2 센서, 그리고 상기 제2 처리 스테이션 이후에 제2 센서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제2 센서 타입의 제2 센서를 포함한다.
본 개요는, 상세한 설명에 이하에 더 기술되어 있는 간단한 형태의 개념들을 선택하는 것을 소개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본 개요는, 청구 대상의 핵심 특징 또는 필수적인 특징을 확인하는 것도 의도하고 있지 않고, 청구 대상의 범위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의 도움으로 사용되는 것도 의도하고 있지 않다.
본원에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식별자를 구비하는 예시적인 밑창을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대안적인 식별자를 구비하는 밑창을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식별자가 결부되어 있는 라스트를 도시하고;
도 4는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식별자가 결부되어 있는 보조 연장부를 구비하는 라스트를 도시하며;
도 5는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작동 중에 밑창과 라스트의 식별자를 검지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6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일련의 프로세스 동안에 밑창과 라스트의 식별자를 검지하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 및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알려진 대기열로부터 구성요소가 빠져있는 도 6의 예시적인 시스템 및 프로세스 흐름을 도시하고;
도 8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제조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추적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대상은, 법적 요건을 충족시키도록 본원에 구체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 자체는 본 특허 출원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지 않다. 오히려 본 발명자는, 청구된 대상이, 본 문헌에 기술되어 있는 것들과는 다른 단계들 또는 유사한 단계들의 조합을, 현재의 또는 미래의 다른 기술과 함께 포함하도록,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 것으로 생각해 오고 있다.
본원의 양태들은, 특정의 제1 물품과 제2 물품을 정합시키기 전에, 이들 물품의 조합이 검증될 수 있도록, 제조 중에 제1 물품과 제2 물품을 식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제조 추적 시스템은 제1 식별자를 구비하는 제1 툴을 포함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상기 제1 툴은 제1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제1 센서 타입의 제1 센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제2 물품과 결합된 제2 식별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2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제2 센서 타입의 제1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를 함께 결부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하는 연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또한, 제1 물품용의 제1 처리 스테이션과, 제2 물품용의 제2 처리 스테이션과, 상기 제1 처리 스테이션 이후에 제1 센서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제1 센서 타입의 제2 센서, 그리고 상기 제2 처리 스테이션 이후에 제2 센서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제2 센서 타입의 제2 센서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는, 제조 시스템에서 제1 물품과 제2 물품을 추적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제1 물품을 제1 툴에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툴의 제1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상기 제1 툴을 스캔하는 단계와, 제2 식별자를 제2 물품에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상기 제2 물품을 스캔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툴에 부착된 제1 물품이 상기 제2 물품과 결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를 결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제1 툴 상의 제1 물품 또는 제2 물품에 제1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작업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1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상기 제1 툴을 스캔하고, 상기 제2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상기 제2 물품을 스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1 작업 후에 상기 제1 툴과 상기 제2 물품의 스캔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툴과 상기 제2 물품이 결부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뒤에, 상기 제1 물품을 상기 제2 물품과 정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의 개요를 간략히 기술하였고, 본원의 실시형태들을 구현하기에 적합한 예시적인 작동 환경을 이하에서 설명한다.
신발류 물품에는 신발, 부츠, 샌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용어 "신발"은 본원에서 신발류 물품을 총칭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 용어 "신발"은 전통적인 스타일의 신발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부츠, 샌들, 러닝화, 미끄럼 방지화 및 그 밖의 신발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밑창(sole)으로 지칭될 수 있는 접지부로 구성된다. 밑창은, 다양한 재료 및/또는 다양한 개별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밑창은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겉창, 중창, 및/또는 안창을 포함할 수 있다. 신발은 또한, 사용자의 발을 밑창에 고정하는 데 효과적인 발-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원에서, 발-고정부는 신발 갑피 또는 줄여서 "갑피"로 지칭될 수 있다. 갑피는 하나 이상의 재료 및/또는 하나 이상의 개별 구성요소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갑피는 접착제, 재봉, 융착, 용접 등을 통해 함께 결합되는 복수의 개별 부분들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갑피는 흔한 제조 프로세스, 예를 들어 편조 및/또는 직조 등을 통해, 단일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갑피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기술이 고려되어, 본원에 제공되는 개념에 적용될 수 있다.
갑피 및/또는 밑창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 또는 기술에 관계 없이, 소기의 3차원 형상을 얻기 위해, 추가적인 조형 및 성형이 이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신발 수선공(cobler)의 라스트로서 알려진 툴이, 형틀의 역할을 하는데, 이 툴의 주위에서 신발이 소기의 크기, 형상 및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라스트"는 그 주위에서 갑피가 형성될 수 있는 도구 형틀을 지칭할 것이다. 일부 양태에서, 갑피가 라스트 상에 놓여있을 때(즉, 라스트가 갑피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을 때), 밑창이 갑피에 결합(예를 들어, 접합, 재봉)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신발의 윤곽, 형상, 스타일 및 그 밖의 특징이 라스트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신발의 제조에서는, 갑피와 밑창이 정합 관계로 합쳐지기 전에, 갑피와 밑창 각각에 다양한 작업들이 개별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밑창이 갑피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되는,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가 갑피에 수행될 수 있다. 유사하게, 갑피가 밑창에 부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가 밑창에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신발 제조 및 조립 프로세스의 일부 동안에, 밑창과는 별개의 조립 또는 생산 라인 상에서 갑피가 이동함으로써, 갑피의 일부분이 밑창과는 별도로 처리 및 형성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밑창의 경우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고려된다.
갑피와 밑창을 형성하는 재료는 펴 늘일 수 있거나 다른 방식으로 변형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신발에 대한 제조 공차는, 하나 이상의 부분의 치수 및 형상에 있어서의 변동을 허용한다. 그러나, 갑피와 밑창이 정합된 상태에서 형성되는 신발은, 갑피와 밑창이 적절히 정합 및 정렬되어 있지 않다면, 적절히 기능하지 못하거나 또는 착용자가 편안하게 느끼지 못할 수 있다. 게다가, 신발의 소기의 핏을 달성하는 데 있어서의 어려움이 악화되면, 제1 갑피의 형상은, 유사한 제2 갑피로서 의도된 형상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유사하게, 제1 밑창은, 유사한 제2 밑창으로서 의도된 형상으로부터 벗어날 가능성이 있다. 비슷한 구성요소들에 있어서의 이러한 편차는, 구성요소들을 형성하는 재료, 구성요소들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세스, 및/또는 구성요소들을 취급함에 있어서의 기술 또는 파라미터의 차이의 결과일 수 있다.
갑피 및 밑창 등과 같은 각각의 구성요소마다 특유의 크기 및 형상을 갖기 때문에, 본 발명의 양태들은, 각각의 구성요소에 작업이 개별적으로 수행되기 이전에, 제1 구성요소를 제2 구성요소와 결부시키고, 상기 작업(들) 이후에,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정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용될 수 있는 프로세스는, 갑피 및/또는 밑창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인데, 이 경우 접착제는 정합 작업의 일환으로 갑피를 밑창과 접합하는 데 사용된다. 신발의 일부 형태에서, 접착제는 갑피와 밑창의 교차부 너머까지 뻗어 나오는 일 없이, 교차부에까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차부 너머까지 뻗어 나오는 접착제는, 완성된 신발에서 보일 수 있고, 세련되지 않은 외관을 제공한다. 유사하게, 접착제가 밑창과 갑피의 교차부에까지 이르지 못한다면, 접착제가 불완전하게 도포된 위치에서, 밑창이 갑피로부터 분리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양태들에서, 의도하는 제조 작업은 접착제를, 교차부 너머까지 뻗어 나오거나 또는 교차부에 이르지 못하는 일 없이, 밑창과 갑피의 교차부에까지 도포하는 것이다. 유사한 크기를 갖도록 의도되어 있는 제1 밑창과 제2 밑창은 실제 서로 다른 크기/형상 특징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교차부에서 먼저 상이하게 밑창 및/또는 갑피가 조합된 것으로 식별된다면, 접착제의 도포는 갑피와 정합된 밑창의 교차부에까지 이르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시나리오의 특정 예가 제공된다면, 제1 갑피와 제1 밑창 사이의 교차부를 식별하기 위해, 제1 갑피와 제1 밑창이 일시적으로 연결/정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교차부는 바이트 라인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트 라인은, 위(예를 들어, 상단부)에서부터 아래(예를 들어, 하단부)로 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밑창이 갑피와 겹치기 시작하는 곳인, 전이 라인을 나타낸다. 바이트 라인은 이하의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제1 밑창과 일시적으로 정합되었을 때, 제1 갑피 상에서 바이트 라인이 식별된 후, 제1 갑피와 제1 밑창은 서로 별개인 일련의 프로세스를 각각에 대해 수행하도록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세척, 프라이밍, 트리밍, 마무리, 접착제 도포 및 그 밖의 프로세스들이 수행될 수 있다. 이 예에 대한 제1 특정 작업은, 밑창의 발-대면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을 포함하고, 이 예에 대한 제2 특정 작업은, 갑피의 밑창-대면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을 포함한다.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은, 로봇 기구에 의해 제어되는 접착제 도포기와 같은 자동화된 기구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로봇 기구가 따르는 경로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이르러야 하는 곳인 바이트 라인을 결정하기 위해, 갑피 및 밑창의 3차원 맵핑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이 예에서, 툴의 경로는, 갑피에 있어서 제1 밑창에 의해 덮일 곳들에, 바이트 라인 너머까지 뻗어 나오는 일 없이, 바이트 라인에 이르기까지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에 기초한다. 공교롭게도, 제1 갑피에 있어서의 바이트 라인은 특정 제1 밑창에 기초하여 식별된다. 대신에 제2 밑창을 상기 제1 밑창-생성 바이트 라인에 기초하여 갑피와 정합하려고 시도하는 경우, 접착제는 제1 갑피와 이에 어울리지 않는 제2 밑창 사이의 전이부 너머로 뻗어 나올 수 있거나 또는 전이부에까지 이르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양태에서는, 하나 이상의 특유의 프로세스 이후에 제1 밑창 및 제1 갑피가 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밑창 또는 갑피 등과 같은 소정의 구성요소의 식별을 유지하는 것은, 제조 환경에서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자동화된 제조 환경에서, 특유의 구성요소의 식별은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또한, 구성요소의 미적 특성 및/또는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구성요소에 대한 식별 시스템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양태에서, 구성요소의 미적 특성 또는 기능을 손상시키는 일 없이, 자동화된 검지를 허용하는, 식별 기술이 선택될 수 있다.
도 1을 살펴보면, 도 1에는 본원의 양태들에 따라 발가락측 단부(102), 뒤꿈치측 단부(104), 안쪽 측부(108) 및 바깥쪽 측부(106)를 구비하는 예시적인 밑창(100)이 도시되어 있다. 밑창(100)은 또한, 발-대면 표면(100)과 지면-대면 표면을 구비한다. 밑창(100)은 하나 이상의 부분의 둘레로 연장되는 립 또는 측벽으로 구성된다. 이하의 도 5에서 거론되는 바와 같이, 측벽의 상부 에지에서는, 정합되는 갑피에서 바이트 라인이 식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밑창(100)에 식별자(114)가 있다. 식별자(114)는, 밑창(100)의 식별을 위해 인식 가능한 구조이다. 다양한 기술들이 식별자(114)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이 식별자는 본원에서 예시를 목적으로 포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식별자(114)는 무선 인식(RFID) 기술일 수 있다. RFID 기술은 수동형 또는 능동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태그는 무선 신호 등과 같은 전자기 에너지의 인가에 응답할 수 있는데, 이러한 전자기 에너지의 인가를 통해 RFID 태그는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 신호는,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어, RFID 태그가 전송하는 주파수로 튜닝되는, 특유의 식별자일 수 있다. 능동형 RFID 태그는, 수신기가 신호를 검지하는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자발적인 방식으로 신호를 주기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원의 양태에서는, RFID가 판독 전용이거나, 또는 고유의 시그니처가 RFID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도록 재기록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대안적인 응답 기술 등과 같은 추가적인 기술이, 식별자(114)에 대해 고려된다. 예를 들어, 금속 섬유 등과 같은, 임의적으로(또는 의도적으로) 배향된 요소의 그룹이 식별자(114)로서 놓일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이와 같이 배향된 요소의 그룹은, 전자기 에너지(예를 들어, 전파)에 노출될 때, 요소의 그룹의 방향, 위치, 및/또는 군집에 의해 좌우되는 응답(예를 들어, 반사) 신호를 제공한다. 응답은 요소의 그룹의 형태에 따라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특정한 요소의 그룹을 다른 요소의 그룹으로부터 검지하는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바코드, 이미지, 인쇄된 식별자 등과 같은 다른 기술도 고려된다. 따라서 식별자(14)는, 식별자(114)를 하나 이상의 다른 식별자에 대해 인식하는 것을 허용하는 임의의 수의 또는 다수의 기술에 기초할 수 있다.
식별자(114)는 밑창(100)의 뒤꿈치 구역에 있어서 발-대면 표면(110) 상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식별자(114)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 또는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식별자(114)는 밑창(100) 내에 매설되거나, 발가락 구역에 배치되거나, 지면-대면 표면에, 발가락측 단부와 뒤꿈치측 단부의 사이에 있는 아치 구역에, 또는 밑창에 있는 다른 곳에 배치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식별자(114)가 정합 작업 후에 갑피에 의해 가려지도록, 식별자(114)는 발-대면 표면(110) 상에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식별자(114)를 가려서, 식별자(114)가 완성된 신발에서 보여질 수 있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물품에 대해 영구적일 수 있고 그 결과 희생 식별자가 될 수 있는 식별자(114)의 위치는, 식별자의 기반 기술, 완성된 신발에 대한 악영향을 제한하는 위치, 또는 그 밖의 인자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대안적인 식별자(200)를 구비하는 밑창(100)을 도시한다. 식별자(200)는, 검지 가능한 재료를 밑창(100) 상에 놓는 기술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전자기 에너지원이 에너지를 인가한 결과로 검지할 수 있게 되는 잉크와 같은 재료가, 밑창(100)에 특정 방식으로 인쇄되는 것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전기적 반응성 재료(예를 들어, 금속, 탄소 등)가 함유되어 있는 폴리우레탄계 재료일 수 있는 잉크가 물품 상에 소정 패턴으로 인쇄된다. 이 패턴은 광학적으로(예를 들어, 카메라에 의해) 검지되거나, 전자기 방사선에 노출된 결과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전기적으로 검지될 수 있다. 이 예에서, 식별자(200)는 마름모, 삼각형 및 원 등과 같은 일련의 형상들로서 형성된다. 이러한 패턴은, 광학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검지될 때 고유의 시그니처를 제공한다. 고유의 시그니처는, 밑창(100)에 고유의 아이덴티티를 부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고유의 시그니처를 이루기 위해, 임의의 패턴, 문자, 모양, 선 등이 임의의 조합 또는 임의의 순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라스트(300)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라스트는 갑피가 그 주위에서 형성되는 툴이다. 라스트는 또한, 밑창을 갑피에 정합시킬 때 인가되는 압력에 대해 저항성을 제공하므로, 갑피를 밑창과 정합시키기 위한 툴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라스트(300)는 발가락측 단부(304), 뒤꿈치측 단부(306), 밑창-대면 표면(308), 상위면(310) 및 노출부(302)를 구비한다. 노출부(302)는, 예를 들어 문맥상 제공되는 갑피(314) 등과 같은 갑피가 라스트(300)의 주위에 놓여있을 때, 라스트(300) 중에서 갑피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부분이다. 또한, 라스트는 식별자(312)를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자(312)는 노출부(302)에 마련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식별자(312)는, 도 1의 식별자(114)와 관련하여 설명된 것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식별자일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식별자(312)는 RFID 기반 식별자이다. 그러나, 다른 기술들도 라스트(300)의 식별자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라스트(300)는 제1 식별자 기술을 이용하고, 밑창은 다른 식별자 기술을 이용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대안적인 양태에서, 라스트(300)와 밑창은 유사한 식별자 기술을 이용한다. 라스트(300)는 여러 다양한 갑피(314)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라스트(300)가 신발의 완성 후에 재사용되므로, 식별자(312)는 제조 프로세스에서 재사용될 수 있다. 그 결과, 식별자(312)는 밑창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식별자보다 많은 비용이 드는 기술에 기초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되는 데, 이는 밑창과 함께 사용되는 식별자는 생산 후에도 밑창과 함께 있을 수 있고 희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르게 말하면, 제1 식별자 타입은 제조 시스템에 남아 있는 툴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이와 다른 제2 식별자 타입은 제조되는 구성요소로서, 제조의 완료시에 해당 구성요소와 함께 제조 시스템을 떠나게 될 구성요소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라스트(300)에 대한 식별자(312)의 위치는, 식별자의 기술, 수행되는 제조 프로세스, 또는 그 밖의 인자들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 프로세스 동안에, 로봇 아암 등과 같은 유지 요소가 라스트(300)(또는 이하의 도 4에서 예시되는 바와 같이 라스트에 부착된 부분)를 붙잡을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식별자(312)는, 라스트(300)를 취급하는 재료 이동 기구에 의해 간섭받지 않거나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서 라스트(3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이러한 간섭 또는 차폐의 방지는, 식별자(312)를 보다 용이하게 또는 보다 정확하게 인식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양태에서, 식별자(312)는 표면 상에 있거나, 표면 내에 매립되거나, 또는 라스트(300)에 대한 조합물(또는 라스트에 부착된 구조)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른, 연장부(400)가 부착되어 있는 라스트(300)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시된 예에서, 라스트 연장부(400)는 상위면(310)에 부착되어 있다. 라스트 연장부(400)는 이와 결부된 식별자(312)를 구비한다. 식별자(312)를 라스트의 기존 인벤토리와 통합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라스트 연장부(400)가 라스트(300)에 부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시적인 양태에서, 라스트 연장부(400)는 보다 용이한 식별을 제공하기 위해 갑피 및 다른 툴에 대한 클리어런스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예시적인 양태에서, 라스트 연장부(400)는, 라스트의 기존 인벤토리를 여전히 이용하면서도, 자동화된 제조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하도록, 라스트(300)에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라스트 연장부(400)에 있어서의 식별자의 위치는, 도 3과 관련하여 앞서 제시된 이유들로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양태에서, 라스트 연장부와 연관된 식별자가, 라스트 연장부가 부착되는 라스트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라, 라스트(300)와 밑창(100)을 각각과 연관된 특유의 식별자에 기초하여 결부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시스템(500)을 도시한다. 게다가, 예시적인 양태에서는, 이미지 또는 표면 맵핑이 또한 밑창(100), 라스트(300), 및/또는 이들의 조합과 연관되어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이미지 또는 표면 맵핑은 부분적으로는 카메라(502)를 이용하여 캡처될 수 있다. 중앙 처리 유닛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연산 디바이스(508)가 제1 센서(504), 제2 센서(506) 및 카메라(502)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센서들 및/또는 카메라 중의 하나 이상은 선택적이고 단지 예시를 목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제1 센서(504)는 라스트(300)의 식별자(312)를 검지 및 식별하기 위한 센서이다. 센서(506)는 밑창(100)의 식별자(114)를 검지 및 식별하기 위한 센서이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신호 센서가 식별자(312)와 식별자(114) 양자 모두를 검지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예시적인 양태에서, 제1 센서(504)는 제2 센서(506)와는 다른 기술에 의존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센서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FID 식별자와 관련하여, 센서는 전자기 에너지(예를 들어, 전파) 송신기 및 수신기 양자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는 전파를 출력할 수 있고, 이 전파는 시그니처를 다시 센서에 전송하는 식별자에 의해 에너지로 변환되며, 이 시그니처는 센서의 수신 디바이스에 의해 수신된다. 대안적으로, 식별자는 시그니처를 갖는 신호를 전파하고, 이 신호는 센서에 의해 수신된다.
대안적인 양태들에서, 센서는 식별자의 하나 이상의 요소에 의해 굴절되거나 및/또는 반사되는 에너지를 전파하는 에너지 전송기일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센서는 식별자에 대한 시그니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굴절되거나 및/또는 반사되는 에너지를 검지 및 해석하는 것이 가능한 수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센서는 하나 이상의 파장에서, 예를 들어 가시광선 스펙트럼, 적외선 스펙트럼, 자외선 스펙트럼, 및/또는 X-선 스펙트럼 등에서 작동하는 촬상 디바이스인 것으로 고려된다. 이 예에서, 센서는 선택된 파장의 에너지를 검지하기 위한 검지 기구로 구성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촬상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스펙트럼의 광원 등과 같은 에너지 방출기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식별자(312 및/또는 114) 등과 같은 식별자의 특유의 시그니처/식별자를 검지하고 인식하기 위해, 제공되는 식별자와 호환 가능한 다양한 기술을 센서가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선택적인 카메라(502)는, 밑창(100)과 갑피의 교차부에 형성되는 바이트 라인(510)을 검지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앞서 제시된 바와 같이, 바이트 라인은, 접착제 또는 그 밖의 접합제가 갑피와 밑창 사이에 도포되어 이르게 될 수 있는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접착제가 바이트 라인 위로 뻗어 나온 경우, 접착제는 갑피의 표면에서 노출되어 밑창에 의해 가려지지 않을 것이다. 또한, 접착제가 바이트 라인까지 도포되지 못한다면, 밑창은 해당 위치에서 갑피로부터 분리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다.
라스트(300) 상에 놓인 갑피는 바이트 라인(510)의 검지를 허용하도록 밑창과 일시적으로 정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바이트 라인(510)은, 카메라(502)에 의해 캡처된 하나 이상의 이미지를 분석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연산 디바이스(508)는, 하나 이상의 카메라(502)에 의해 캡처된 이미지들에 기초하여 다차원 맵핑을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는, 연산 환경 내에서, 이러한 맵핑이, 나중에 사용하기 위해, 예를 들어 라스트(300)에 대해 놓인 갑피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용도의 툴의 경로를 결정하기 위해, 식별자(312 및/또는 114)와 연관될 수 있고,
예시적인 양태에서, 식별자(312)와 식별자(114) 간의 연관 관계는 연산 디바이스(508)에서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이트 라인 검지 중에, 센서(504)는 식별자(312)를 식별할 수 있고, 센서(506)는 식별자(114)를 식별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의 결과로, 식별자(312)를 구비하는 라스트(300) 상에 놓인 갑피는, 식별자(114)를 구비하는 밑창(100)과 연관된다. 따라서, 개별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라스트(300) 상에 놓인 갑피와 밑창(100)] 각각에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 이후에, 이전에 검지 및 맵핑된 바이트 라인(510)이 유지되도록, 라스트(300) 상에 놓인 갑피가 밑창(100)과 재정합되어 있는 가에 대한 검증이 수행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라, 각각 갑피 및 밑창과 연관된 식별자를 검지하는 데 센서(606, 608)를 활용하는 예시적인 제조 시스템(600)을 도시한다. 높은 레벨에서는, 시스템(600)이 개별 구성요소들에 수행되는 복수의 프로세스를 포함하여, 구성요소들은 별개의 제조 라인에서 시스템(600)을 통해 진행하는 동안에 추적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적절한 제1 구성요소와 의도된 제2 구성요소가 시스템(600) 내에서 정합되어 있다는 확신을 갖고서, 개별 구성들이 시스템(600)에서 짝을 이루게 될 수 있다.
특히, 시스템(600)은 제1 재료 취급 디바이스(602)와 제2 재료 취급 디바이스(604)로 구성된다. 추가적인 재료 취급 디바이스가 고려된다. 재료 취급 디바이스는, 제조 프로세스들 사이에서 신발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요소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이송하기 위한 기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와 같인 반송(搬送) 시스템, 로봇식 재료 취급기 등이 재료 취급 디바이스의 예이다.
시스템(600)은 또한 제1 센서(606)로 구성된다. 제1 센서(606)는, 재료 취급 디바이스(602) 상의 구성요소를, 예를 들어 라스트 등을 식별하는 데 사용 가능한 기술에 의존한다. 앞서 제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양태에서, 센서(606)는, 갑피가 그 위에 놓여 있고 재료 취급 디바이스(602)를 따라 나아가고 있는, 라스트와 연관된 RFID 태그를 검지 및 식별 가능한 RFID 판독기인 것으로 고려된다. 시스템(600)의 일부분인 센서(606)의 개수는, 몇몇 프로세스와 관련된 음영 표시된 센서들(606)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인 것이다. 따라서, 시스템(600)의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개수의 센서(606)가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제2 센서(608)는, 재료 취급 디바이스(604) 상의 구성요소를, 예를 들어 밑창 등을 식별하는 데 사용 가능한 기술에 의존한다. 앞서 제시된 바와 같이, 센서(608)는 RFID, 광학 물질, 도핑된 물질, 이미지 등을 검지 및 식별 가능한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영 표시된 센서(608)로 예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600)의 임의의 위치에 임의의 개수의 센서(608)가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시스템(600)은 또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구비하는 연산 디바이스(640)로 구성된다. 연산 디바이스(640)는 센서(606), 센서(608),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기계/디바이스와 기능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산 디바이스(640)는 제1 식별자와 제2 식별자 간의 연관 관계를 유지하여, 2개 이상의 구성요소의 적절한 정합을 허용 및 보장할 수 있다.
시스템(600)은 또한, 프로세스(610, 612, 614, 616, 618, 620)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로 구성된다. 시스템(600)은 또한, 구성요소(622, 624, 626, 628, 630, 632, 634, 636, 638) 등과 같은 다수의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이들 구성요소는, 프로세스들 중의 어느 하나에서 제조 프로세스가 수행되는 물품일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예를 들어 구성요소(622, 624, 626, 628, 630)는 갑피일 수 있고, 구성요소(632, 634, 636)는 밑창일 수 있으며, 구성요소(638)는 갑피 및 밑창 등과 같은 복수의 구성요소를 정합한 것일 수 있다.
프로세스(610)는 임의의 프로세스일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프로세스(610)는 바이트 라인 검지 등과 같이, 갑피 및 밑창을 수반하는 프로세스이다. 기술된 바와 같이, 갑피와 밑창은 바이트 라인을 검지하도록 일시적으로 정합된다. 프로세스(610)에서는 이러한 작업의 일부분으로서, 센서(606)가 특정 갑피(또는 갑피가 그 위에 놓인 라스트)를 식별하고, 센서(608)가 밑창을 식별한다. 식별된 갑피와 밑창은, 예를 들어 프로세스(620) 등에서, 나중에 재정합하기 위해 결부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는 추가적인 작업을 위해 각각의 재료 취급 디바이스 상에 남아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스(612)는 갑피용 건조기, 갑피에 대한 인쇄 단계, 갑피에 대한 트리밍 단계, 갑피에 대한 프라이밍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프로세스(614)와 프로세스(616)도 마찬가지로 임의의 제조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스(618)는 건조, 프라이밍, 접착제 도포, 트리밍, 인쇄 등과 같은, 밑창에 대한 임의의 제조 프로세스일 수 있다. 예시적인 양태에서는, 임의의 프로세스에서,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가 손상되거나, 움직이거나, 순서가 바뀌거나, 제거될 수 있고, 또는 후속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적절한 정합을 결정하기 위해 단순히 시스템(600)을 통과하는 구성요소의 수를 세는 능력을 제한할 수 있는 그 밖의 시나리오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에 대한 식별자는, 의도한 구성요소들의 결부를 결정하고 보장하는 데 사용 가능하다.
예시적인 시스템(600)에서, 프로세스(620)는 밑창과 갑피를 정합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 결과 결합된 구성요소(638)가 얻어진다. 프로세스(620)에서 센서(606)는 처리되고 있는 갑피를 식별하고, 프로세스(620)에서 센서(608)는 처리되고 있는 밑창을 식별하여, 각각에 수행된 이전 작업들(예를 들어, 밑창과 갑피의 특정 조합에 대해 검지된 바이트 라인에 기초하여 특정 위치에 접착제가 도포됨)을 감안하여 구성요소들이 정확하게 정합될 것인가를 보장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도 7은 단지 구성요소들의 수를 세는 것에 비해, 구성요소들을 식별하는 것이 유익할 것으로 예상되는,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시스템(600)을 도시한다. 도 7에서, 재료 취급 디바이스(602)는 구성요소들(700, 704, 712)을 구비한다. 구성요소(708)는 제1 재료 취급 디바이스(602)의 대기열로부터 빠져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성요소(708)는 손상되었거나, 잘못 배치되었거나, 제거되었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제1 재료 취급 디바이스(602) 상의 구성요소들의 대기열에서의 위치와 달라지게 되었을 수 있다. 제2 재료 취급 디바이스(604)는 구성요소들(702, 706, 710, 714)을 구비한다. 예시를 목적으로, 구성요소들(700과 702, 704와 706, 708과 710, 712와 714)은 각각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러나, 이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710)와 재정합되어야 하였던 구성요소(708)가 빠짐으로서, 이 예에서는 그 대신에 구성요소(710)가 구성요소(704)와 정합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708, 704)는,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구성요소들의 재정합의 결과 미적 및/또는 기능적으로 바람직하지 않게 짝을 이루게 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치수 차이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710)가 프로세스(620)에서 정합되어야 하는 경우, 구성요소(710, 704)의 식별자의 검지를 통해, 이들 두 구성요소가 본래 함께 연관되어 있지 않았다는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구성요소(716) 등과 같이, 두 구성요소가 일단 정합되면, 의도한 구성요소들이 이전 프로세스에서 재정합되었다는 확신을 갖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양태들에 따라, 제조 시스템에서 제1 물품/구성요소와 제2 물품/구성요소를 추적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800)를 도시한다. 블록 802에서는, 제1 물품을 제1 툴에 부착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제1 물품은 갑피일 수 있고, 갑피는 상기 제1 툴일 수 있는 라스트에 부착될 수 있다. 블록 804에서는, 상기 제1 툴의 제1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상기 제1 툴을 스캔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이 예에서, 식별자의 스캔은, 시그니처를 제1 툴의 식별자로부터 식별할 수 있는 기술을 갖는 센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양태에서는 제1 물품이 제1 툴의 식별자와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고려되지만, 예시적인 양태에서는, 갑피 등과 같은 제1 물품이 제1 물품에 직접 부착된 식별자를 구비하는 것도 고려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특정 툴의 식별은 생략될 수 있다.
블록 806에서는, 제2 식별자를 제2 물품에 부착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는, 식별자가 밑창에 부착된다. 블록 808에서는, 상기 제2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상기 제2 물품을 스캔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예시적인 양태에서, 스캔은 식별자의 아이덴티티를 검지하도록 되어 있는 센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스캔할 때, 식별자의 시그니처가 결정된다. 블록 810에서는, 제1 식별자를 제2 식별자와 결부시키는 단계가 제공된다. 제시된 양태에서는, 이와 같이 두 식별자를 결부시킴으로써, 제1 툴 상의 제1 물품과 제2 물품 사이에 연관 관계가 형성되는 것이 허용된다.
블록 812에서는, 제1 물품 또는 제2 물품에 제1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가 제공된다. 이 작업은, 접착제를 밑창 및/또는 갑피에 도포하는 것 등과 같은 임의의 프로세스일 수 있다. 제1 물품과 제2 물품의 특정 조합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제1 물품과 제2 물품 사이의 특유의 바이트 라인을 따르면서, 상기 작업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제1 작업은 제1 물품과 제2 물품의 조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블록 814에서는, 상기 제1 작업이 완료된 후에, 상기 제1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상기 제1 툴을 스캔하고, 상기 제2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상기 제2 물품을 스캔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접착제를 밑창 및/또는 갑피에 도포한 다음에, 갑피를 유지하는 라스트와 밑창을 식별하여, 두 물품/구성요소 사이에 적절한 재정합이 일어날 수 있는가를 확인한다.
블록 816에서는, 상기 제1 작업 후에, 상기 제1 툴과 상기 제2 물품의 스캔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툴과 상기 제2 물품이 결부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뒤에, 상기 제1 물품을 상기 제2 물품과 정합시키는 단계가 수행된다. 다르게 말하면, 특정 밑창과 특정 갑피가, 제조 프로세스의 하나 이상의 단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던 짝을 이루는 물품들(예를 들어, 두 구성요소를 통해, 접착제 도포 툴의 경로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바이트 라인이 형성됨)인 것으로 일단 확인되면, 밑창과 갑피가 정합된다.
그 후에 제1 툴은 제3 물품에 대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다른 갑피가 제1 툴 상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라스트의 식별자는 시스템에서 새로운 갑피에 대해 재활용될 수 있다. 이로써, 식별자가 결부되어 있는 물품의 완성과 함께 희생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식별자가 시스템에서 툴과 함께 유지될 수 있으므로, 이 시스템의 양태들과 관련된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본원에 제시되는 것과 같은 추적 시스템이,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 이후에 최종적으로 다시 짝을 맞추기 위해, 함께 어우러지게 되는 우측 신발 부분과 좌측 신발 부분을 식별하는 데, 하나 이상의 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우측 신발 부분과 좌측 신발 부분 각각이 공동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제조 프로세스를 행한 다른 신발 부분들에 대하여 맞춰진다면, 예시적인 양태에서는, 대응하는 우측 신발 부분과 좌측 신발 부분이 제조 프로세스 이후에 함께 매칭되어, 각각에 대한 특유의 커스터마이징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르게 말하자면, 제조 프로세스 이후에 정합될 밑창과 갑피를 식별하고 추적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제조 작업이 여러 구성요소에 수행된 후에, 특정 제1 갑피 및/또는 제1 밑창이 제2 갑피 및/또는 제2 밑창과 매칭되는 것을 확인하는, 유사한 기술이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양태에서, 적절한 우측 신발과 적절한 좌측 신발이 본원에서 고려되는 양태를 활용하여 포장 및/또는 운송을 위해 짝을 이루게 될 수 있다.
양태들은 신발류 물품의 제조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본원의 교시 내용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예를 들어, 의류, 스포츠 장비, 보호 장구 등이 본원에 제시된 양태들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갑피, 밑창 및 라스트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었지만, 양태들에서 이들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 및 툴로 대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도시되어 있는 여러 구성요소 뿐만 아니라 도시되어 있지 않은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은, 제한이 아니라 예시를 목적으로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대안적인 실시형태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도, 숙련된 기술자는 전술한 개량을 구현하는 대안적인 수단을 개발할 수 있다.
특정 피처와 서브-조합은 유용하며, 다른 피처와 서브-조합에 구애받지 않고 채용될 수 있고,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여러 도면들에 열거된 모든 단계들이, 기술된 특정 순서로 수행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그리고 이하에 열거된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용어 "청구항들 중 어느 것" 또는 유사한 상기 용어의 변형은, 청구항들의 피처가 임의의 조합으로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청구항 4는, 예시적인 청구항 1과 청구항 4의 피처가 조합될 수 있거나, 청구항 2와 청구항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거나, 청구항 3과 청구항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거나, 청구항 1과 청구항 2와 청구항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거나, 청구항 2와 청구항 3과 청구항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거나, 청구항 1과 청구항 2와 청구항 3과 청구항 4의 요소가 조합될 수 있거나, 및/또는 다른 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해석되는 것을 의도하고 있는 청구항 1 내지 3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방법/장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용어 "청구항들 중 어느 것" 또는 유사한 상기 용어의 변형은, 앞서 제시된 예들 중 일부에 의해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청구항들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러한 용어의 다른 변형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하고 있다.

Claims (27)

  1. 제조 추적 시스템으로서:
    제1 식별자를 구비하며, 제1 물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제1 툴;
    상기 제1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제1 센서 타입의 제1 센서;
    제2 물품과 결합된 제2 식별자;
    상기 제2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제2 센서 타입의 제1 센서;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를 결부시키도록 구성된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구비하는 연산 시스템;
    제1 물품용의 제1 처리 스테이션;
    제2 물품용의 제2 처리 스테이션;
    상기 제1 처리 스테이션 이후에 제1 센서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제1 센서 타입의 제2 센서; 및
    상기 제2 처리 스테이션 이후에 제2 센서를 판독하도록 구성된 제2 센서 타입의 제2 센서
    를 포함하는 제조 추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툴은 신발류 라스트인 것인 제조 추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무선 인식(RFID) 태그인 것인 제조 추적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는 재기록 가능한 것인 제조 추적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1 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매설되어 있는 것인 제조 추적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1 툴에 있어서 상기 제1 툴에 수용된 제1 물품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제조 추적 시스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품은 신발류 갑피 요소이고, 상기 제2 물품은 신발류 밑창 요소인 것인 제조 추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 타입은 무선 주파수 수신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것인 제조 추적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 타입은 상기 제1 센서 타입과는 다른 기술로 식별자를 판독하는 것인 제조 추적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자의 기술 타입은, 제1 물품과 제2 물품 양자 모두와 통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인 제조 추적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 타입은 무선 수신기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것인 제조 추적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센서 타입은 이미지 캡처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것인 제조 추적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처리 스테이션은, 상기 제1 물품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접착제 도포 스테이션이고, 상기 제2 처리 스테이션은, 상기 제2 물품에 접착제를 도포하도록 구성된 접착제 도포 스테이션인 것인 제조 추적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제1 재료 취급 디바이스가 상기 제1 물품을 상기 제1 처리 스테이션으로 이송하고, 제2 재료 취급 디바이스가 상기 제2 물품을 상기 제2 처리 스테이션으로 이송하는 것인 제조 추적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툴을 판독하는 제1 센서 타입의 제2 센서와 상기 제2 툴을 판독하는 제2 센서 타입의 제2 센서에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상기 제1 툴 상의 제1 물품을 상기 제2 물품과 정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3 처리 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는 제조 추적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시스템은, 상기 제1 센서 타입의 제2 센서와 상기 제2 센서 타입의 제2 센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툴과 상기 제2 물품이 정합되어 있는가를 확인하도록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인 제조 추적 시스템.
  17. 제조 시스템에서 제1 물품과 제2 물품을 추적하는 방법으로서:
    제1 물품을 제1 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툴의 제1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상기 제1 툴을 스캔하는 단계;
    제2 식별자를 제2 물품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상기 제2 물품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제1 툴에 부착된 제1 물품이 상기 제2 물품과 결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를 결부시키는 단계;
    제1 툴 상의 제1 물품 또는 제2 물품에 제1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작업을 수행한 후에, 상기 제1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상기 제1 툴을 스캔하고, 상기 제2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상기 제2 물품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제1 작업 후에 상기 제1 툴과 상기 제2 물품의 스캔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툴과 상기 제2 물품이 결부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뒤에, 상기 제1 물품을 상기 제2 물품과 정합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추적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품은 신발류 갑피고, 상기 제2 물품은 신발류 밑창인 것인 추적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툴은 신발류 라스트인 것인 추적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품을 상기 제2 물품과 정합시킨 뒤에 상기 제1 물품을 상기 제1 툴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제3 물품을 상기 제1 툴에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 식별자를 판독하도록 상기 제1 툴을 스캔하는 단계;
    제3 식별자를 제4 물품에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툴에 부착된 제3 물품이 상기 제4 물품과 결부되도록, 상기 제1 식별자를 상기 제2 식별자와 결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적 방법.
  21.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의 스캔은, 상기 제1 식별자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추적 방법.
  22.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무선 인식(RFID) 식별자인 것인 추적 방법.
  23.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식별자를 상기 제2 물품에 부착하는 것은, 상기 제2 식별자를 상기 제2 물품의 일부분에 접착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추적 방법.
  24.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식별자는, 상기 제2 식별자와는 다른 기술로 스캔되는 것인 추적 방법.
  25.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품과 상기 제2 물품을 정합된 형태에서 스캔하는 단계;
    상기 제1 물품과 상기 제2 물품 사이의 교차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교차부의 디지털 표시를 상기 제1 식별자 또는 상기 제2 식별자 중의 적어도 하나와 결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추적 방법.
  26.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작업은, 상기 제2 물품과 정합되도록 상기 제1 물품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인 추적 방법.
  27. 제17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물품을 상기 제2 물품과 정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식별자가 상기 제1 물품과 상기 제2 물품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도록, 상기 제2 물품 상의 제2 식별자가 덮이는 것인 추적 방법.
KR1020177037254A 2015-05-28 2016-05-25 조립 라인 물품 추적 시스템 KR102010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67732P 2015-05-28 2015-05-28
US62/167,732 2015-05-28
PCT/US2016/034159 WO2016191491A1 (en) 2015-05-28 2016-05-25 Assembly line article track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816A true KR20180011816A (ko) 2018-02-02
KR102010689B1 KR102010689B1 (ko) 2019-08-13

Family

ID=5620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254A KR102010689B1 (ko) 2015-05-28 2016-05-25 조립 라인 물품 추적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70308066A1 (ko)
EP (1) EP3304483A1 (ko)
KR (1) KR102010689B1 (ko)
CN (2) CN205848878U (ko)
MX (1) MX2017015059A (ko)
TW (3) TWM535485U (ko)
WO (1) WO20161914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785A (ko) * 2020-11-09 2022-05-18 삼덕통상 주식회사 신발 부재의 자동화 제조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9620B2 (en) * 2011-11-18 2014-09-30 Nike, Inc. Automated 3-D modeling of shoe parts
US9451810B2 (en) 2011-11-18 2016-09-27 Nike, Inc. Automated identification of shoe parts
US8958901B2 (en) 2011-11-18 2015-02-17 Nike, Inc. Automated manufacturing of shoe parts
US8755925B2 (en) 2011-11-18 2014-06-17 Nike, Inc. Automated identification and assembly of shoe parts
US10552551B2 (en) 2011-11-18 2020-02-04 Nike, Inc. Generation of tool paths for shore assembly
TWM535485U (zh) 2015-05-28 2017-01-21 耐基創新公司 裝配線物品追蹤系統
WO2021084690A1 (ja) * 2019-10-31 2021-05-06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インソール、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録媒体
WO2021119104A1 (en) 2019-12-09 2021-06-17 Nike Innovate C.V. Digital fingerprinting
CN112293871B (zh) * 2020-09-09 2022-03-22 中国皮革和制鞋工业研究院温州研究所 一种制鞋流水线
CN114098232B (zh) * 2021-10-29 2023-04-11 丽荣鞋业(深圳)有限公司 铁板烧和换模一体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1062A (en) 1985-09-06 1988-05-03 Roger Blanc Last for automated shoe manufacture
KR20080040360A (ko) 2006-11-03 2008-05-08 강영균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신발의 생산능력 분석, 추적 및최적투입 지시 시스템
KR20080043346A (ko) 2005-09-14 2008-05-1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제조 공정으로부터의 아이템 또는 재료를 모니터링하는방법
KR20140093979A (ko) 2011-11-18 2014-07-29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신발 부품의 자동 식별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7890A (en) * 1979-05-21 1983-03-29 Rca Corporation Method of CRT manufacture using machine readable coded markings
GB8724904D0 (en) * 1987-10-23 1987-11-25 Clark Ltd C & J Lasts for footwear
MXPA02010342A (es) * 2000-04-20 2004-09-06 Cogiscan Inc Sistema automatizado de control de manufactura.
JP2003233652A (ja) * 2002-02-12 2003-08-22 Sharp Corp 品質管理システム、品質管理方法、品質管理プログラム及び品質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9569746B2 (en) * 2002-03-14 2017-02-14 Nike, Inc. Custom fit sale of footwear
AT502890B1 (de) * 2002-10-15 2011-04-15 Atomic Austria Gmbh Elektronisches überwachungssystem zur kontrolle bzw. erfassung einer aus mehreren sportartikeln bestehenden sportartikelkombination
EP1596682A1 (de) * 2003-02-20 2005-11-23 Thomas Fromm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orthop dischen massschuhen
EP2257414A4 (en) * 2008-02-28 2012-12-26 Ontario Die Interna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CONTROL OF THE USE OR PERFORMANCE OF A TOOL
US9107480B2 (en) * 2008-10-25 2015-08-18 Dynasty Footwear, Ltd. Shoe having securely printed tab
EP2580706A4 (en) 2010-06-14 2014-04-30 Trutag Technologies Inc SYSTEM FOR VERIFYING AN ARTICLE IN A PACKAGING
US9082062B2 (en) * 2011-10-10 2015-07-14 Zortag, Inc. Method of, and system and label for, authenticating objects in situ
US8755925B2 (en) * 2011-11-18 2014-06-17 Nike, Inc. Automated identification and assembly of shoe parts
US9036337B2 (en) 2012-04-10 2015-05-19 Psion Inc. Protective enclosure for an electronic device
US9173453B2 (en) * 2012-12-21 2015-11-03 Ebay, Inc. Methods and systems to re-create an internal shape of a shoe
DE102013221020B4 (de) * 2013-10-16 2020-04-02 Adidas Ag Speedfactory 3D
CN103732004A (zh) 2013-12-31 2014-04-16 苏州思莱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板固定架
TWM535485U (zh) 2015-05-28 2017-01-21 耐基創新公司 裝配線物品追蹤系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1062A (en) 1985-09-06 1988-05-03 Roger Blanc Last for automated shoe manufacture
KR20080043346A (ko) 2005-09-14 2008-05-1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제조 공정으로부터의 아이템 또는 재료를 모니터링하는방법
KR20080040360A (ko) 2006-11-03 2008-05-08 강영균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신발의 생산능력 분석, 추적 및최적투입 지시 시스템
KR20140093979A (ko) 2011-11-18 2014-07-29 나이키 인터내셔널 엘티디. 신발 부품의 자동 식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3785A (ko) * 2020-11-09 2022-05-18 삼덕통상 주식회사 신발 부재의 자동화 제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535485U (zh) 2017-01-21
EP3304483A1 (en) 2018-04-11
MX2017015059A (es) 2018-05-17
KR102010689B1 (ko) 2019-08-13
TWI699635B (zh) 2020-07-21
TWI654506B (zh) 2019-03-21
CN106174905A (zh) 2016-12-07
CN106174905B (zh) 2020-06-30
US20170308066A1 (en) 2017-10-26
TW201702779A (zh) 2017-01-16
US20200183366A1 (en) 2020-06-11
US10962964B2 (en) 2021-03-30
TW201928557A (zh) 2019-07-16
CN205848878U (zh) 2017-01-04
WO2016191491A1 (en)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0689B1 (ko) 조립 라인 물품 추적 시스템
EP32484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shoes
US9668545B2 (en) Conditionally visible bite lines for footwear
WO2015143663A1 (zh) 鞋底与鞋面粘合标线的三维测量系统及其三维测量方法
KR102207239B1 (ko) 신발 조립을 위한 공구 경로의 발생
KR102203672B1 (ko) 네스팅된 편평한 패턴의 어퍼를 구비한 신발류 제조
TWI523614B (zh) 鞋底與鞋面黏合標線之三維測量系統及其三維測量方法
CN104949633B (zh) 鞋底与鞋面粘合标线的三维测量系统及其三维测量方法
CN114521116A (zh) 用于将材料施加到服饰物品的制造系统及其使用方法
TW202119279A (zh) 用於鞋類大底自動列印貼合中底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