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725A -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의 진단용 바이오 마커 - Google Patents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의 진단용 바이오 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725A
KR20180011725A KR1020170093027A KR20170093027A KR20180011725A KR 20180011725 A KR20180011725 A KR 20180011725A KR 1020170093027 A KR1020170093027 A KR 1020170093027A KR 20170093027 A KR20170093027 A KR 20170093027A KR 20180011725 A KR20180011725 A KR 20180011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
bile duct
ser
leu
can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2697B1 (ko
Inventor
도루 모치즈키
게이이치 오시마
게이이치 하타케야마
겐 야마구치
가나코 나카오
Original Assignee
시즈오카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즈오카켄 filed Critical 시즈오카켄
Publication of KR20180011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2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07Specifically defined cancers
    • G01N33/57438Specifically defined cancers of liver, pancreas or kidne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G01N33/5748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 G01N33/57488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involving compounds serving as markers for tumor, cancer, neoplasia, e.g. cellular determinants, receptors, heat shock/stress proteins, A-protein, oligosaccharides, metabolites involving compounds identifable in body flu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01N33/6893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related to disea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05Assays involving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G01N2333/70596Molecules with a "CD"-designa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G01N2333/705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70Mechanisms involved in disease identification
    • G01N2800/7023(Hyper)proliferation
    • G01N2800/7028Cancer

Abstract

본 발명은,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의 유무를 진단하는 데에 있어서 유용한, 정밀도가 높은 진단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이나 진단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CEACAM1 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 표지물을 구비하는 진단용 키트 등을 사용하여,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를 검출하고, 당해 CEACAM1 농도가 비암 대조자 유래의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보다 높은 경우, 혹은 어느 임계값 (컷오프값) 보다 높은 경우, 이러한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Description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의 진단용 바이오 마커{BIOMARKER FOR DIAGNOSIS OF EXTRAHEPATIC BILE DUCT CARCINOMA INTRAHEPATIC BILE DUCT CARCINOMA, OR GALLBLADDER CARCINOMA}
본 발명은,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 (이하, 이들 암을 총칭하여「간외 담관암 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이나, 이러한 방법에 사용하는 간외 담관암 등의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담관은, 간장에서 만들어진 담즙을 십이지장까지 유도하는 관이며, 간장 내의 간내 담관과, 간장 외의 간외 담관으로 크게 구별된다. 간외 담관은, 담즙을 일시적으로 보관·농축하는 담낭과 담낭관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간외 담관과 담낭관이 합류한 간외 담관은, 총담관이라고 하며, 간내 담관, 간외 담관, 및 담낭을 총칭하여 담도라고 한다.
담관암의 대부분은, 내강을 덮는 담관 상피 세포가 암화된 것이며, 화학 요법이나 방사선 치료의 효과는 적고, 조기 발견에 의한 외과 절제가 유일한 근치 (根治) 치료이다. 그러나, 초기의 담관암에서는 자각 증상은 없으며, 예를 들어, 간외 담관암에 대해서는, 암이 진행되어 담관이 폐색되고, 담즙이 혈관에 역류해야 비로소 황달이나 가려움과 같은 자각 증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진행 암의 상태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간내 담관암에 대해서는, 간외 담관을 폐색시키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황달 증상이 나오지 않고 무증상인 채로 암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독립 행정 법인 국립 암 연구 센터 암 대책 정보 센터가 개시하는 2014년의 일본 국내에 있어서의 부위별의 암 사망률의 통계에 의하면, 담낭·담관암의 사망수는 18,117 명에 달하고, 2003 ∼ 2005년의 부위별 5 년 상대 생존율은 남성에서 22.5 %, 여성에서 19.9 % 로 췌장암에 이어 2 번째로 나쁘다. 담관은, 간장이나 췌장과 같은 중요한 장기와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장기에 암이 전이되어 예후를 악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담도암의 진단에는, 일반적으로 저침습적인 복부 초음파 검사 및 혈액 검사가 사용된다 (비특허문헌 1). 복부 초음파 검사에 의한 담관암의 묘출률은, 21 ∼ 90 % 로 폭이 있으며, 점거 부위가 하부 담관에서는 묘출률이 저하되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또, CEA, CA19-9 등의 종양 마커의 상승을 지표로 한 혈액 검사가 실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이들 종양 마커는, 담도암을 조기 발견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진단 정밀도에 문제가 있었다. 최근, 특정 마이크로 RNA (miRNA) 의 발현량을 지표로 하여 담관암을 검출하는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편, 암 태아성 항원 (Carcinoembryonic antigen ; CEA) 은, 암 세포로부터 산생되는 태아성 항원 중 하나이며, 분자량 20 만 전후의 당 단백질인 것이 알려져 있다. CEA 에는 구조가 유사한 서브패밀리가 10 종류 이상 존재하고, 그 중 하나로서 CEACAM1 이 알려져 있다. 혈청 중의 CEACAM1 이 췌장암 진단용 마커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보고되어 있지만 (비특허문헌 2), CEACAM1 과 간외 담관암 등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39440호
담도암 진료 가이드라인 작성 출판 위원회 편찬,「에비던스에 기초한 담도암 진료 가이드라인」, 의학 도서 출판 주식회사, 2007년, 38-39페이지 Simeone, D.M. et al., Pancreas. (2007) 34 (4) : 436-443.
본 발명의 과제는, 간외 담관암 등의 유무를 진단하는 데에 있어서 유용한, 정밀도가 높은 진단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이나 진단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및 담낭암 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를 해석한 결과, CEACAM1 농도를 지표로 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음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와 같다.
[1]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를 검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2]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와 비암 (非癌) 대조자 유래의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를 비교하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고,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가 비암 대조자 유래의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보다 높은 경우,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방법.
[3] 비암 대조자가, 정상인, 담도 양성 질환 환자, 또는 췌장 장액성 낭포선종 환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2] 에 기재된 방법.
[4] 간외 담관암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가 63.9 ng/㎖ 초과일 때,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간내 담관암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가 55.0 ng/㎖ 초과일 때, 피험자는 간내 담관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담낭암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가 49.9 ng/㎖ 초과일 때, 피험자는 담낭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방법.
[5] 간외 담관암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가 71.5 ng/㎖ 초과일 때,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가 63.9 ng/㎖ 초과일 때, 피험자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 에 기재된 방법.
[6]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가 74.0 ng/㎖ 초과일 때,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 에 기재된 방법.
[7] 혈액 시료가, 혈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8] 간외 담관암이, 스테이지 Ⅰ ∼ ⅡB 로 분류되는 간외 담관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9]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 및/또는 CA19-9 의 농도를 검출하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0]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간외 담관, 간내 담관, 또는 담낭 조직 시료 중의 CEACAM1 을 검출하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방법.
[11] CEACAM1 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 표지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의 진단용 키트.
[12] 추가로, CEA 및/또는 CA19-9 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 표지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 에 기재된 키트.
[13] 간외 담관암이, 스테이지 Ⅰ ∼ ⅡB 로 분류되는 간외 담관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 또는 [12] 에 기재된 키트.
또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로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의 진단 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의 유무를 진단하는 데에 있어서 유용한, 정밀도가 높은 진단용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을 조기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3 종류의 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및 담낭암) 환자 및 정상인의 혈청 중의 CEACAM1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컷오프값 2 (65.9 ng/㎖), 및 컷오프값 3 (76.0 ng/㎖) 은, 각각 정상인의「CEACAM1 농도 평균값 + 2SD」및「CEACAM1 농도 평균값 + 3SD」의 컷오프값을 나타낸다.
도 2A 는 간외 담관암 환자 및 정상인의 혈청 중의 CEACAM1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 는 간외 담관암 환자 및 정상인의 혈청 중의 CEACAM1 농도 결과를 기초로,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곡선을 작성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는 간내 담관암 환자 및 정상인의 혈청 중의 CEACAM1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 는 간내 담관암 환자 및 정상인의 혈청 중의 CEACAM1 농도 결과를 기초로, ROC 곡선을 작성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는 담낭암 환자 및 정상인의 혈청 중의 CEACAM1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 는 담낭암 환자 및 정상인의 혈청 중의 CEACAM1 농도 결과를 기초로, ROC 곡선을 작성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도 1 에서 나타낸 결과에 추가하여, 담도 양성 질환 환자, 및 췌장 장액성 낭포선종 (SCA ; serous cystadenoma) 환자의 혈청 중의 CEACAM1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컷오프값 3 은 76.0 ng/㎖ 를 나타낸다.
도 6 은 간외 담관암 환자의 혈청 중의 CEACAM1 농도 (종축) 와 암의 스테이지 (횡축) 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컷오프값 1 ∼ 3 은 각각 73.5, 65.9, 및 76.0 ng/㎖ 를 나타낸다.
도 7 은 간내 담관암 환자의 혈청 중의 CEACAM1 농도 (종축) 와 암의 스테이지 (횡축) 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컷오프값 1 ∼ 3 은 각각 57.0, 65.9, 및 76.0 ng/㎖ 를 나타낸다.
도 8 은 담낭암 환자의 혈청 중의 CEACAM1 농도 (종축) 와 암의 스테이지 (횡축) 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의 컷오프값 1 ∼ 3 은 각각 51.9, 65.9, 및 76.0 ng/㎖ 를 나타낸다.
도 9A 및 도 9B 는 혈청 시료 중의 CEACAM-1 농도가 283 ng/㎖ 인 간외 담관암 환자 유래의 간외 담관 조직 시료를 면역 조직 화학 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현미경 화상이다. 도 9C 및 도 9D 는 혈청 시료 중의 CEACAM-1 농도가 277 ng/㎖ 인 간외 담관암 환자 유래의 간외 담관 조직 시료를 면역 조직 화학 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현미경 화상이다.
도 10A 및 도 10B 는 혈청 시료 중의 CEACAM-1 농도가 250 ng/㎖ 인 간내 담관암 환자 유래의 간내 담관 조직을 면역 조직 화학 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현미경 화상이다. 도 10C 및 도 10D 는 혈청 시료 중의 CEACAM-1 농도가 158 ng/㎖ 인 간내 담관암 환자 유래의 간내 담관 조직을 면역 조직 화학 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현미경 화상이다.
도 11A 및 도 11B 는 혈청 시료 중의 CEACAM-1 농도가 212 ng/㎖ 인 담낭암 환자 유래의 담낭 조직을 면역 조직 화학 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현미경 화상이다.
본 발명의 간외 담관암 등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으로는, 피험자 (제공자) 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인간 CEACAM1 (carcinoembryonic antigen-related cell adhesion molecule 1) (CD66a 라고도 한다) 의 농도를 검출 (필요에 따라 추가로 정량) 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간외 담관암 등의 진단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이하,「본건 수집 방법」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혈액 시료로는, 혈액이나, 혈액으로부터 조제된 혈청 또는 혈장을 들 수 있고, 혈청이 바람직하다. 본건 수집 방법은, 의사에 의한 간외 담관암 등의 진단을 보조하는 방법으로서, 의사에 의한 진단 행위를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간외 담관암 등의 진단용 키트로는, 상기 혈액 시료 중의 인간 CEACAM1 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항인간 CEACAM1 항체), 또는 그 표지물을 구비하는, 간외 담관암 등의 진단에 사용하기 위한 키트 (이하,「본건 진단용 키트」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건 진단용 키트는, 간외 담관암 등을 진단하기 위한 키트에 관한 용도 발명이고, 이들 키트에는,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진단 키트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담체, pH 완충제, 안정제 외에, 취급 설명서, 간외 담관암 등을 진단하기 위한 설명서 등의 첨부 문서가 통상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항인간 CEACAM1 항체로는,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간외 담관 조직 시료, 간내 담관 조직 시료, 또는 담낭 조직 시료 중의 CEACAM1 을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건 수집 방법이나 본건 진단용 키트에 있어서, 진단 대상의 암으로는, 담도 (담관, 담낭) 에 있어서의 암, 즉,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및 담낭암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의 암이면 되며, 이러한 암에는, 간외 담관암 및 간내 담관암의 2 종 암이나, 간외 담관암 및 담낭암의 2 종 암이나, 간내 담관암 및 담낭암의 2 종 암이나,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및 담낭암의 3 종 암도 포함된다.
상기 간외 담관암으로는, 간장 외의 담관 부분 (간문부 영역 담관, 원위 담관 등) 의 적어도 일부에 악성 세포 (종양) 가 발생한 상태이면 되며, 예를 들어, 스테이지 Ⅰ ∼ ⅣB 의 간문부 영역 담관암이나, 스테이지 ⅠA ∼ Ⅳ 의 원위 담관암을 들 수 있고, 본건 수집 방법은 비교적 조기인 간외 담관암의 진단용 데이터도 수집할 수 있기 때문에, 스테이지 Ⅰ ∼ Ⅱ (ⅡB) 로 분류되는 간외 담관암 (간문부 영역 담관암, 원위 담관암) 이 바람직하다. 또한, 간문부 영역 담관암 및 원위 담관암의 각 스테이지의 상태는, 각각 이하의 표 1 및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간내 담관암으로는, 간장 내의 담관 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악성 세포 (종양) 가 발생한 상태이면 되며, 예를 들어, 스테이지 Ⅰ ∼ ⅣB 의 간내 담관암을 들 수 있다. 또한, 간내 담관암의 각 스테이지의 상태는, 이하의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Figure pat00003
상기 담낭암으로는, 담낭의 적어도 일부에 악성 세포 (종양) 가 발생한 상태이면 되며, 예를 들어, 스테이지 0 ∼ ⅣB 의 담낭암을 들 수 있다. 또한, 담낭암의 각 스테이지의 상태는, 이하의 표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Figure pat00004
상기 피험자로는, 암에 이환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불분명한 피험자나, 간외 담관암 등에 이환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불분명한 암 환자를 들 수 있다. 이러한 피험자나 암 환자에는, 과거에 간외 담관암 등에 이환된 적이 있고, 이들 암은 완치되었지만, 피검시에 간외 담관암 등에 이환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불분명한 피험자나 암 환자도 포함된다.
본건 수집 방법에 있어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농도가 비암 대조자 유래의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보다 높은 경우,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건 수집 방법으로는,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와 비암 대조자 유래의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를 비교하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교하는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피험자 유래의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농도가 비암 대조자 유래의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농도보다 높은 경우, 이러한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 등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고, 피험자 유래의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농도가 비암 대조자 유래의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농도보다 높지 않은 경우, 이러한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 등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낮다고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비암 대조자 유래의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농도로는, 본건 수집 방법을 실시할 때, 그때마다 측정한 것을 사용해도 되고, 미리 측정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비암 대조자 유래의 혈액 시료는, 피험자 유래의 혈액 시료와 동일한 종류의 시료를 채취한 후, 피험자 유래의 혈액 시료와 동일한 처리가 실시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비암 대조자」로는, 암에 이환되지 않은 자 (피험자의 컨트롤) 이면 되며, 구체적으로는, 정상인, 담도 양성 질환 환자, 췌장 장액성 낭포선종 (SCA ; serous cystadenoma) 환자를 들 수 있다.
본건 수집 방법에 있어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농도가 임계값 (컷오프값) 보다 높은 경우,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이러한 임계값 (컷오프값) 으로는, 진단 대상의 암의 종류, 혈액 시료의 종류, 검출 방법 등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특정할 수는 없지만, 통상적으로 약 40.0 ng/㎖ 이며, 바람직하게는 약 43.0 ng/㎖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47.0 ng/㎖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0.0 ng/㎖ 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51.9 ng/㎖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57.0 ng/㎖ 이고,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60.0 ng/㎖ 이고,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약 63.0 ng/㎖ 이고, 보다 특히 더 바람직하게는 약 65.9 ng/㎖ 이고, 또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70.0 ng/㎖ 이고, 또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73.5 ng/㎖ 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76.0 ng/㎖ 이다.
상기「약 ○○ ng/㎖」에 있어서의「약」의 범위란, 통상적으로 ± 5 ng/㎖ 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 4 ng/㎖ 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 3 ng/㎖ 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 2 ng/㎖ 의 범위 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 1 ng/㎖ 의 범위 내를 의미한다.
본건 수집 방법에 있어서, 진단 대상의 암이 간외 담관암인 경우,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상기 임계값 (컷오프값) 으로는, 약 65.9 (구체적으로는 63.9) ng/㎖ 가 바람직하고, 약 73.5 (구체적으로는 71.5) ng/㎖ 가 보다 바람직하고, 약 76.0 (구체적으로는 74.0) ng/㎖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진단 대상의 암이 간내 담관암인 경우, 피험자는 간내 담관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상기 임계값 (컷오프값) 으로는, 약 57.0 (구체적으로는 55.0) ng/㎖ 가 바람직하고, 약 65.9 (구체적으로는 63.9) ng/㎖ 가 보다 바람직하고, 약 76.0 (구체적으로는 74.0) ng/㎖ 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진단 대상의 암이 담낭암인 경우, 피험자는 담낭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상기 임계값 (컷오프값) 으로는, 약 51.9 (구체적으로는 49.9) ng/㎖ 가 바람직하고, 약 65.9 (구체적으로는 63.9) ng/㎖ 가 보다 바람직하고, 약 76 (구체적으로는 74.0) ng/㎖ 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CEACAM1 로는, 구체적으로 이하의 [A 군 단백질] 에서 선택되는 1 또는 2 종 이상의 단백질을 들 수 있다.
[A 군 단백질]
(1) 배열 번호 1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단백질 (CEACAM1 의 아이소폼 2 [NCBI Reference Sequence : NP_001020083]), 혹은 배열 번호 1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에 있어서, 1 혹은 수 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고, 또한 정상인과 비교하여 피험자에게 있어서의 발현량이 높은 단백질 ;
(2) 배열 번호 2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단백질 (CEACAM1 의 아이소폼 4 [NCBI Reference Sequence : NP_001171742]), 혹은 배열 번호 2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에 있어서, 1 혹은 수 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고, 또한 정상인과 비교하여 피험자에게 있어서의 발현량이 높은 단백질 ;
(3) 배열 번호 3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단백질 (CEACAM1 의 아이소폼 3 [NCBI Reference Sequence : NP_001171744]), 혹은 배열 번호 3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에 있어서, 1 혹은 수 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고, 또한 정상인과 비교하여 피험자에게 있어서의 발현량이 높은 단백질 ;
(4) 배열 번호 4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단백질 (CEACAM1 의 아이소폼 5 [NCBI Reference Sequence : NP_001171745]), 혹은 배열 번호 4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에 있어서, 1 혹은 수 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고, 또한 정상인과 비교하여 피험자에게 있어서의 발현량이 높은 단백질 ;
(5) 배열 번호 5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단백질 (CEACAM1 의 아이소폼 6 [NCBI Reference Sequence : NP_001192273]), 혹은 배열 번호 5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에 있어서, 1 혹은 수 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고, 또한 정상인과 비교하여 피험자에게 있어서의 발현량이 높은 단백질 ;
(6) 배열 번호 6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는 단백질 (CEACAM1 의 아이소폼 1 [NCBI Reference Sequence : NP_001703]), 혹은 배열 번호 6 에 나타나는 아미노산 배열에 있어서, 1 혹은 수 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로 이루어지고, 또한 정상인과 비교하여 피험자에게 있어서의 발현량이 높은 단백질 ;
상기「1 혹은 수 개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이란, 통상적으로 1 ∼ 10 개의 범위 내, 바람직하게는 1 ∼ 7 개의 범위 내,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6 개의 범위 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5 개의 범위 내,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 ∼ 4 개의 범위 내,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3 개의 범위 내, 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2 개의 범위 내, 가장 바람직하게는 1 개의 수의 아미노산이 결실, 치환 및/또는 부가된 아미노산 배열을 의미한다.
본건 수집 방법에 있어서, 피험자 유래의 혈액 시료 중의 CEA 및/또는 CA19-9 농도가 정상인 유래의 혈액 시료 중의 CEA 및/또는 CA19-9 농도의 각각보다 높은 경우, 이러한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 등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또, 본건 수집 방법에 있어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간외 담관 조직 시료, 간내 담관 조직 시료, 또는 담낭 조직 시료 중의 CEACAM1 이 검출된 경우, 이러한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 등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건 수집 방법으로는, 간외 담관암 등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혈액 시료 중의 CEA (carcinoembryonic antigen, 암 태아성 항원) (CD66e, CEACAM5 라고도 한다) 및/또는 CA19-9 의 농도를 동시에, 축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검출하는 공정이나, 간외 담관 조직 시료, 간내 담관 조직 시료, 및/또는 담낭 조직 시료 중의 CEACAM1 을 동시에, 축차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검출 및/또는 정량하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외 담관, 간내 담관, 또는 담낭의 조직 시료로는, 예를 들어,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절편이나 동결 절편 등의 고정 조직 시료 절편을 예시할 수 있다.
본건 수집 방법에 있어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CEA, 및/또는 CA19-9 의 농도나, 간외 담관 조직 시료, 간내 담관 조직 시료, 또는 담낭 조직 시료 중의 CEACAM1 을 검출·정량하는 방법으로는, 혈액 시료, 또는 간외 담관 조직 시료, 간내 담관 조직 시료, 혹은 담낭 조직 시료 중의 CEACAM1 단백질이나, 혈액 시료 중의 CEA, 및/또는 CA19-9 단백질의 일부 또는 전부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면 어떠한 방법이어도 되며, 구체적으로는, CEACAM1, CEA, 및/또는 CA19-9 단백질을 구성하는 펩티드를 검출하는 질량 분석법이나, CEACAM1, CEA, 및/또는 CA19-9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항체를 사용한 면역학적 측정법을 들 수 있다.
상기 면역학적 측정법으로는, 면역 조직 화학 염색법, ELISA 법, EIA 법, RIA 법, 웨스턴 블로팅법, 플로우 사이토메트리 등을 바람직하게 예시할 수 있다. 플로우 사이토메트리는, 형광 물질 (알로피코시아닌 [APC], 피코에리트린 [PE], FITC [fluorescein isothiocyanate], Alexa Fluor 488, Alexa Fluor 647, Alexa Fluor 700, PE-Texas Red, PE-Cy5, PE-Cy7 등) 로 표지한, CEACAM1, CEA, 또는 CA19-9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사용한 형광 활성화 셀 소터 (FACS) 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본건 진단용 키트로는, 간외 담관암 등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 추가로, 혈액 시료 중의 CEA 및/또는 CA19-9 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 표지물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건 진단용 키트에 있어서의 항체로는, 모노클로날 항체, 폴리클로날 항체, 인간 항체, 키메라 항체, 인간화 항체 등의 항체여도 되고, 또, 이 중에는 F(ab')2, Fab, diabody, Fv, ScFv, Sc(Fv)2 등의 항체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항체 단편도 포함된다.
본건 진단용 키트의 표지물에 있어서의 표지 물질로는, 퍼옥시다아제 (예를 들어, horseradish peroxidase), 알칼리 포스파타아제, β-D-갈락토시다아제, 글루코오스옥시다아제, 글루코오스-6-포스페이트디하이드로게나아제, 알코올 탈수소 효소, 말산 탈수소 효소, 페니실리나아제, 카탈라아제, 아포글루코오스옥시다아제, 우레아제, 루시페라아제 혹은 아세틸콜린에스테라아제 등의 효소, 플루오레세인이소티오시아네이트, 피코빌리단백, 희토류 금속 킬레이트, 댄실클로라이드 혹은 테트라메틸로다민이소티오시아네이트 등의 형광 물질, 녹색 형광 단백질 (Green Fluorescence Protein ; GFP), 시안 형광 단백질 (Cyan Fluorescence Protein ; CFP), 청색 형광 단백질 (Blue Fluorescence Protein ; BFP), 황색 형광 단백질 (Yellow Fluorescence Protein ; YFP), 적색 형광 단백질 (Red Fluorescence Protein ; RFP), 루시페라아제 (luciferase) 등의 형광 단백질, 3H, 14C, 125I 혹은 131I 등의 방사성 동위체, 비오틴, 아비딘, 또는 화학 발광 물질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들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농도를 지표로 하여,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을 판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재료]
간외 담관암 환자의 혈청 시료는, 스테이지 Ⅰ 이 4 명, 스테이지 ⅠB 가 1 명, 스테이지 Ⅱ 가 8 명, 스테이지 ⅡA 가 3 명, 스테이지 ⅡB 가 4 명, 스테이지 ⅢA 가 1 명, 스테이지 ⅢB 가 4 명, 스테이지 ⅣA 가 3 명, 및 스테이지 ⅣB 가 2 명인 합계 30 명의 간외 담관암 환자 (40 ∼ 84 세의 남성 24 명, 70 ∼ 81 세의 여성 6 명) 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정법에 따라 조제하였다.
또, 간내 담관암 환자의 혈청 시료는, 스테이지 Ⅰ 이 4 명, 스테이지 Ⅱ 가 4 명, 스테이지 Ⅲ 이 3 명, 스테이지 ⅣA 가 3 명, 스테이지 ⅣB 가 1 명, 및「절제하지 않음」이 25 명인 합계 40 명의 간내 담관암 환자 (47 ∼ 80 세의 남성 23 명, 55 ∼ 85 세의 여성 17 명) 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정법에 따라 조제하였다. 또한,「절제하지 않음」은, 화상 진단 등에 의해 암이 진행되고, 전이도 많이 보여지는 점에서, 수술해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 수술을 실시하지 않은 암 환자를 나타낸다.
또, 담낭암 환자의 혈청 시료는, 스테이지 Ⅰ 이 1 명, 스테이지 Ⅱ 가 5 명, 스테이지 ⅢA 가 1 명, 스테이지 ⅢB 가 1 명, 스테이지 ⅣA 가 1 명, 스테이지 ⅣB 가 2 명, 및「절제하지 않음」이 19 명인 합계 30 명의 담낭암 환자 (57 ∼ 86 세의 남성 13 명, 46 ∼ 80 세의 여성 17 명) 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정법에 따라 조제하였다.
또, 컨트롤인 정상인의 혈청 시료는, 50 명의 정상인 (37 ∼ 66 세의 남성 9 명, 23 ∼ 60 세의 여성 41 명) 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정법에 따라 조제하였다.
또, 컨트롤인 담도 양성 질환 (담낭염, 자기 면역성 담관염) 환자의 혈청 시료는, 18 명의 담도 양성 질환 환자 (48 ∼ 79 세의 남성 10 명, 19 ∼ 71 세의 여성 8 명) 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정법에 따라 조제하였다.
또, 컨트롤인 췌장 장액성 낭포선종 (SCA ; serous cystadenoma) 환자의 혈청 시료는, 11 명의 SCA 환자 (50 ∼ 67 세의 남성 2 명, 39 ∼ 81 세의 여성 9 명) 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정법에 따라 조제하였다.
[방법]
혈청 시료 중의 CEACAM-1 농도는,「Human CEACAM-1/CD66a DuoSet ELISA」(R & D systems 사 제조) 를 사용하여 제품에 첨부된 프로토콜에 따라 측정하였다. 또, 비교 대조의 혈청 시료 중의 CEA 농도 및 CA19-9 농도는, 정법에 따라 측정된 것을 주식회사 SRL 로부터 입수하였다. 3 종류의 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및 담낭암) 환자와 정상인을 구별하기 위한 CEACAM1 농도의 컷오프값은, 정상인에게 있어서의 CEACAM1 농도의「평균값 ± 2 × 표준 편차 (SD)」(도 1 및 도 6 ∼ 8) 및「평균값 ± 3 × SD」(도 1 및 도 5 ∼ 8, 그리고 표 5 ∼ 7) 외에, 통계 해석 소프트웨어 (R 소프트웨어의 pROC 패키지) 를 사용한 ROC 곡선에 기초하여 산출하였다 (도 1, 도 2B, 도 3B, 도 4B, 도 6 ∼ 8). 또한, 이하, ROC 곡선에 기초하여 산출한 컷오프값을「컷오프값 1」이라고 하고,「평균값 ± 2 × SD」및「평균값 ± 3 × SD」에 기초하여 산출한 컷오프값을 각각「컷오프값 2 및 3」이라고 한다.
[결과]
1.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및 담낭암 환자에게 있어서의 혈청 중의 CEACAM-1 농도
CEACAM-1 농도 (평균값 ± SD) 는, 비암 대조자 (정상인, 담도 양성 질환 환자, 및 SCA 환자) 유래의 혈청 중에서는, 각각 45.7 ± 10.1 (30.8 ∼ 72.4 ng/㎖) (도 2A, 도 3A, 도 4A), 53.6 ± 31.7 (29.7 ∼ 134.0 ng/㎖), 및 36.6 ± 3.6 (29.1 ∼ 42.3 ng/㎖) 이었던 반면, 3 종류의 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및 담낭암) 환자 유래의 혈청 중에서는, 각각 198.9 ± 81.8 (36.1 ∼ 458.1 ng/㎖) (도 2A), 131.8 ± 93.6 (39.2 ∼ 468.2 ng/㎖) (도 3A), 및 167.3 ± 120.2 (37.4 ∼ 383.2 ng/㎖) (도 4A) 였다 (도 1 및 도 5).
이 결과는, 3 종류의 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및 담낭암) 환자에게 있어서의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농도는, 암에 이환되지 않은 자 (정상인, 담도 양성 질환 환자, 및 SCA 환자) 와 비교하여 높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2.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및 담낭암의 진단
다음으로, 암 환자와 정상인을 구별하기 위한 컷오프값을 설정하고, 감도 및 특이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간외 담관암의 컷오프값 1 로서 73.5 ng/㎖ 를 설정한 결과, 간외 담관암의 감도 (간외 담관암 환자 중에서 검사 양성자의 비율) 및 특이도 (간외 담관암의 비이환자 [정상인] 중에서 검사 음성자의 비율) 는, 각각 96.7 % 및 100 % 였다. 동일하게, 간외 담관암의 컷오프값 2 가 65.9 ng/㎖ 인 경우, 감도 및 특이도는 각각 96.7 % 및 92.0 % 이고, 간외 담관암의 컷오프값 3 이 76.0 ng/㎖ 인 경우, 감도 및 특이도는 각각 96.7 % 및 100 % 였다.
또, 간내 담관암의 컷오프값 1 로서 57.0 ng/㎖ 를 설정한 결과, 간내 담관암의 감도 및 특이도는 각각 90.0 % 및 84.0 % 였다. 동일하게, 간내 담관암의 컷오프값 2 가 65.9 ng/㎖ 인 경우, 감도 및 특이도는 각각 77.5 % 및 92.0 % 이고, 간내 담관암의 컷오프값 3 이 76.0 ng/㎖ 인 경우, 감도 및 특이도는 각각 72.5 % 및 100.0 % 였다.
또, 담낭암 환자의 컷오프값 1 로서 51.9 ng/㎖ 를 설정한 결과, 담낭암의 감도 및 특이도는 각각 76.7 % 및 82.0 % 였다. 동일하게, 담낭암의 컷오프값 2 가 65.9 ng/㎖ 인 경우, 감도 및 특이도는 각각 63.3 % 및 92.0 % 이고, 담낭암의 컷오프값 3 이 76.0 ng/㎖ 인 경우, 감도 및 특이도는 각각 63.3 % 및 100.0 % 였다.
이들 결과는,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를 측정하고, 적절한 컷오프값을 설정하면, CEACAM1 농도를 지표로 하여, 3 종류의 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및 담낭암) 을 진단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간외 담관암을 진단하는 경우, 73.5 ∼ 76.0 ng/㎖ 전후를 컷오프값으로서 설정하면, 감도 및 특이도는 각각 96.7 % 및 100 % 로 매우 높아, 양호한 정밀도로 간외 담관암을 진단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3. 암의 스테이지와의 관련성
다음으로, CEACAM1 농도와 암의 스테이지의 관련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3 종류의 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및 담낭암) 의 양성률 (감도) 은, 상기 서술한 컷오프값 1 ∼ 3 중 어느 것을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도, 암의 진행도에 상관없이 높은 값을 나타냈다 (도 6 ∼ 8). 특히, 간외 담관암의 양성률은, 비교적 조기인 스테이지 Ⅰ ∼ ⅡB 의 간외 담관암에 있어서도, 높은 값 (95 % [= 100 × 19/20]) 을 나타냈다 (도 6).
이 결과는,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를 지표로 하여, 비교적 조기의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및 담낭암을 진단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4. 다른 암 진단용 마커와의 비교 및 조합
CEA 나 CA19-9 는, CEACAM1 과 동일하게 종양 마커로서 알려져 있다. 그래서, 3 종류의 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및 담낭암) 환자의 혈청 중의 CEA 농도나 CA19-9 농도에 대해서도 측정하고, 진단 정밀도에 대해 CEACAM1 과 비교 검토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간외 담관암 환자에게 있어서, CEACAM1 단독의 양성률 96.7 % (표 5 의「CEACAM1 양성」) 는, CEA 의 양성률 20.0 % (표 5 의「CEA 양성」) 나, CA19-9 의 양성률 60.0 % (표 5 의「CA19-9 양성」) 보다 높았다. 또, CEA 음성을 나타내는 간외 담관암 환자 24 예 중 23 예는, CEACAM1 양성이며 (표 5 의「CEA 음성 + CEACAM1 양성」), CA19-9 음성을 나타내는 간외 담관암 환자 10 예 중 9 예는 CEACAM1 양성이었다 (표 5 의「CA19-9 음성 + CEACAM1 양성」).
이 결과는, CEACAM1 은, CEA 나 CA19-9 보다 양호한 정밀도로 간외 담관암을 진단할 수 있는 마커임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5
또, 간내 담관암 환자에게 있어서, CEACAM1 단독의 양성률 72.5 % (표 6 의「CEACAM1 양성」) 와 비교하여, CEACAM1 과 CEA 의 조합의 양성률 84.2 % (표 6 의「CEACAM1 양성 + CEA 양성」) 나, CEACAM1 과 CA19-9 의 조합의 양성률 86.2 % (표 6 의「CEACAM1 양성 + CA19-9 양성」) 의 쪽이 높았다. 또, CEA 음성을 나타내는 간내 담관암 환자 22 예 중 15 예는, CEACAM1 양성이며 (표 6 의「CEA 음성 + CEACAM1 양성」), CA19-9 음성을 나타내는 간내 담관암 환자 7 예 중 3 예는 CEACAM1 양성이었다 (표 6 의「CA19-9 음성 + CEACAM1 양성」).
이 결과는, CEACAM1 은, CEA 나 CA19-9 와 조합함으로써,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간내 담관암을 진단할 수 있는 마커임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6
또, 담낭암 환자에게 있어서, CEACAM1 단독의 양성률 63.3 % (표 7 의「CEACAM1 양성」) 와 비교하여, CEACAM1 과 CEA 의 조합의 양성률 73.3 % (표 7 의「CEACAM1 양성 + CEA 양성」) 나, CEACAM1 과 CA19-9 의 조합의 양성률 87.5 % (표 7 의「CEACAM1 양성 + CA19-9 양성」) 의 쪽이 높았다. 또, CEA 음성을 나타내는 담낭암 환자 16 예 중 7 예는, CEACAM1 양성이며 (표 7 의「CEA 음성 + CEACAM1 양성」), CA19-9 음성을 나타내는 담낭암 환자 6 예 중 3 예는 CEACAM1 양성이었다 (표 7 의「CA19-9 음성 + CEACAM1 양성」).
이 결과는, CEACAM1 은, CEA 나 CA19-9 와 조합함으로써,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양호한 정밀도로 담낭암을 진단할 수 있는 마커임을 나타내고 있다.
Figure pat00007
[실시예 2]
간외 담관, 간내 담관, 또는 담낭 조직 시료 중의 CEACAM-1 의 유무를 지표로 하여,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을 판정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재료]
간외 담관암 환자의 간외 담관 조직 시료는, 실시예 1 에서 해석한 30 명의 간외 담관암 환자 중, 혈청 시료 중의 CEACAM-1 농도가 각각 283 ng/㎖ 및 277 ng/㎖ 인 환자 2 명으로부터, 정법에 따라 10 %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블록 (시료) 을 조제하였다.
또, 간내 담관암 환자의 간내 담관 조직 시료는, 실시예 1 에서 해석한 40 명의 간내 담관암 환자 중, 혈청 시료 중의 CEACAM-1 농도가 각각 250 ng/㎖ 및 158 ng/㎖ 인 환자 2 명으로부터, 정법에 따라 10 %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시료를 조제하였다.
또, 담낭암 환자의 담낭 조직 시료는, 실시예 1 에서 해석한 30 명의 담낭암 환자 중, 혈청 시료 중의 CEACAM-1 농도가 212 ng/㎖ 인 환자 1 명으로부터, 정법에 따라 10 %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시료를 조제하였다.
[방법]
상기 3 종류의 10 % 포르말린 고정 파라핀 포매 시료 (간외 담관암 환자의 간외 담관 조직 시료, 간내 담관암 환자의 간내 담관 조직 시료, 및 담낭암 환자의 담낭 조직 시료) 로부터 두께 3 ㎜ 의 절편을 조제하고, 항인간 CEACAM-1 항체 (R & D SYSTEMS 사 제조, 클론 # : 283324, 코드 # : MAB22441, 희석 배율 1 : 500) 와, polymer refine detection kit (Leica Biosystems 사 제조, 코드 # : DS9800) 를 사용하여, 자동 염색 장치 BONDⅢ (Leica Microsystems 사 제조) 에 의해 면역 조직 화학 염색법을 실시하였다. 또한, 염색 조건의 예비 검토에 따라, 항원 부활화 처리는 실시하지 않았다. 또, 인간 CEACAM-1 을 염색한 샘플은, 헤마톡실린에 의해 핵 염색을 실시하였다.
[결과]
간외 담관암 환자의 간외 담관 조직 시료, 간내 담관암 환자의 간내 담관 조직 시료, 및 담낭암 환자의 담낭 조직 시료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항인간 CEACAM-1 항체로 염색되었다 (도 9 ∼ 11). 예를 들어, 간내 담관암의 1 예에서는, CEACAM-1 은 암의 세포질이나 세포막에 고도로 국재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도 10B). 또, 간내 담관암의 다른 1 예에서는, CEACAM-1 은 암의 선강면 (腺腔面) 에 국재하고, 선강 내에 분비되는 것처럼 보였다 (도 10D). 또한, 면역 염색의 백그라운드는 거의 검출되지 않은 점에서, 양호하고 신뢰성이 높은 염색 데이터가 얻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간외 담관, 간내 담관, 또는 담낭 조직 시료 중의 CEACAM-1 의 유무를 지표로 하여,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을 판정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의 진단이나 치료에 이바지하는 것이다.
SEQUENCE LISTING <110> SHIZUOKA PREFECTURE <120> Biomarker for diagnosing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intrahepatic bile duct cancer, or gallbladder cancer <130> SCC1601PCT <150> PCT/JP2016/003451 <151> 2016-07-25 <160> 6 <170> PatentIn version 3.1 <210> 1 <211> 464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3> Inventor: Mochizuki, Toru; OHSHIMA, Keiichi; HATAKEYAMA, Keiichi; YAMAGUCHI, Ken; NAKAO, Kanako <220> <221> MISC_FEATURE <223> CEACAM1 isoform 2 precursor <400> 1 Met Gly His Leu Ser Ala Pro Leu His Arg Val Arg Val Pro Trp Gln 1 5 10 15 Gly Leu Leu Leu Thr Ala Ser Leu Leu Thr Phe Trp Asn Pro Pro Thr 20 25 30 Thr Ala Gln Leu Thr Thr Glu Ser Met Pro Phe Asn Val Ala Glu Gly 35 40 45 Lys Glu Val Leu Leu Leu Val His Asn Leu Pro Gln Gln Leu Phe Gly 50 55 60 Tyr Ser Trp Tyr Lys Gly Glu Arg Val Asp Gly Asn Arg Gln Ile Val 65 70 75 80 Gly Tyr Ala Ile Gly Thr Gln Gln Ala Thr Pro Gly Pro Ala Asn Ser 85 90 95 Gly Arg Glu Thr Ile Tyr Pro Asn Ala Ser Leu Leu Ile Gln Asn Val 100 105 110 Thr Gln Asn Asp Thr Gly Phe Tyr Thr Leu Gln Val Ile Lys Ser Asp 115 120 125 Leu Val Asn Glu Glu Ala Thr Gly Gln Phe His Val Tyr Pro Glu Leu 130 135 140 Pro Lys Pro Ser Ile Ser Ser Asn Asn Ser Asn Pro Val Glu Asp Lys 145 150 155 160 Asp Ala Val Ala Phe Thr Cys Glu Pro Glu Thr Gln Asp Thr Thr Tyr 165 170 175 Leu Trp Trp Ile Asn Asn Gln Ser Leu Pro Val Ser Pro Arg Leu Gln 180 185 190 Leu Ser Asn Gly Asn Arg Thr Leu Thr Leu Leu Ser Val Thr Arg Asn 195 200 205 Asp Thr Gly Pro Tyr Glu Cys Glu Ile Gln Asn Pro Val Ser Ala Asn 210 215 220 Arg Ser Asp Pro Val Thr Leu Asn Val Thr Tyr Gly Pro Asp Thr Pro 225 230 235 240 Thr Ile Ser Pro Ser Asp Thr Tyr Tyr Arg Pro Gly Ala Asn Leu Ser 245 250 255 Leu Ser Cys Tyr Ala Ala Ser Asn Pro Pro Ala Gln Tyr Ser Trp Leu 260 265 270 Ile Asn Gly Thr Phe Gln Gln Ser Thr Gln Glu Leu Phe Ile Pro Asn 275 280 285 Ile Thr Val Asn Asn Ser Gly Ser Tyr Thr Cys His Ala Asn Asn Ser 290 295 300 Val Thr Gly Cys Asn Arg Thr Thr Val Lys Thr Ile Ile Val Thr Glu 305 310 315 320 Leu Ser Pro Val Val Ala Lys Pro Gln Ile Lys Ala Ser Lys Thr Thr 325 330 335 Val Thr Gly Asp Lys Asp Ser Val Asn Leu Thr Cys Ser Thr Asn Asp 340 345 350 Thr Gly Ile Ser Ile Arg Trp Phe Phe Lys Asn Gln Ser Leu Pro Ser 355 360 365 Ser Glu Arg Met Lys Leu Ser Gln Gly Asn Thr Thr Leu Ser Ile Asn 370 375 380 Pro Val Lys Arg Glu Asp Ala Gly Thr Tyr Trp Cys Glu Val Phe Asn 385 390 395 400 Pro Ile Ser Lys Asn Gln Ser Asp Pro Ile Met Leu Asn Val Asn Tyr 405 410 415 Asn Ala Leu Pro Gln Glu Asn Gly Leu Ser Pro Gly Ala Ile Ala Gly 420 425 430 Ile Val Ile Gly Val Val Ala Leu Val Ala Leu Ile Ala Val Ala Leu 435 440 445 Ala Cys Phe Leu His Phe Gly Lys Thr Gly Ser Ser Gly Pro Leu Gln 450 455 460 <210> 2 <211> 430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3> CEACAM1 isoform 4 precursor <400> 2 Met Gly His Leu Ser Ala Pro Leu His Arg Val Arg Val Pro Trp Gln 1 5 10 15 Gly Leu Leu Leu Thr Ala Ser Leu Leu Thr Phe Trp Asn Pro Pro Thr 20 25 30 Thr Ala Gln Leu Thr Thr Glu Ser Met Pro Phe Asn Val Ala Glu Gly 35 40 45 Lys Glu Val Leu Leu Leu Val His Asn Leu Pro Gln Gln Leu Phe Gly 50 55 60 Tyr Ser Trp Tyr Lys Gly Glu Arg Val Asp Gly Asn Arg Gln Ile Val 65 70 75 80 Gly Tyr Ala Ile Gly Thr Gln Gln Ala Thr Pro Gly Pro Ala Asn Ser 85 90 95 Gly Arg Glu Thr Ile Tyr Pro Asn Ala Ser Leu Leu Ile Gln Asn Val 100 105 110 Thr Gln Asn Asp Thr Gly Phe Tyr Thr Leu Gln Val Ile Lys Ser Asp 115 120 125 Leu Val Asn Glu Glu Ala Thr Gly Gln Phe His Val Tyr Pro Glu Leu 130 135 140 Pro Lys Pro Ser Ile Ser Ser Asn Asn Ser Asn Pro Val Glu Asp Lys 145 150 155 160 Asp Ala Val Ala Phe Thr Cys Glu Pro Glu Thr Gln Asp Thr Thr Tyr 165 170 175 Leu Trp Trp Ile Asn Asn Gln Ser Leu Pro Val Ser Pro Arg Leu Gln 180 185 190 Leu Ser Asn Gly Asn Arg Thr Leu Thr Leu Leu Ser Val Thr Arg Asn 195 200 205 Asp Thr Gly Pro Tyr Glu Cys Glu Ile Gln Asn Pro Val Ser Ala Asn 210 215 220 Arg Ser Asp Pro Val Thr Leu Asn Val Thr Tyr Gly Pro Asp Thr Pro 225 230 235 240 Thr Ile Ser Pro Ser Asp Thr Tyr Tyr Arg Pro Gly Ala Asn Leu Ser 245 250 255 Leu Ser Cys Tyr Ala Ala Ser Asn Pro Pro Ala Gln Tyr Ser Trp Leu 260 265 270 Ile Asn Gly Thr Phe Gln Gln Ser Thr Gln Glu Leu Phe Ile Pro Asn 275 280 285 Ile Thr Val Asn Asn Ser Gly Ser Tyr Thr Cys His Ala Asn Asn Ser 290 295 300 Val Thr Gly Cys Asn Arg Thr Thr Val Lys Thr Ile Ile Val Thr Asp 305 310 315 320 Asn Ala Leu Pro Gln Glu Asn Gly Leu Ser Pro Gly Ala Ile Ala Gly 325 330 335 Ile Val Ile Gly Val Val Ala Leu Val Ala Leu Ile Ala Val Ala Leu 340 345 350 Ala Cys Phe Leu His Phe Gly Lys Thr Gly Arg Ala Ser Asp Gln Arg 355 360 365 Asp Leu Thr Glu His Lys Pro Ser Val Ser Asn His Thr Gln Asp His 370 375 380 Ser Asn Asp Pro Pro Asn Lys Met Asn Glu Val Thr Tyr Ser Thr Leu 385 390 395 400 Asn Phe Glu Ala Gln Gln Pro Thr Gln Pro Thr Ser Ala Ser Pro Ser 405 410 415 Leu Thr Ala Thr Glu Ile Ile Tyr Ser Glu Val Lys Lys Gln 420 425 430 <210> 3 <211> 461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3> CEACAM1 isoform 3 precursor <400> 3 Met Gly His Leu Ser Ala Pro Leu His Arg Val Arg Val Pro Trp Gln 1 5 10 15 Gly Leu Leu Leu Thr Ala Ser Leu Leu Thr Phe Trp Asn Pro Pro Thr 20 25 30 Thr Ala Gln Leu Thr Thr Glu Ser Met Pro Phe Asn Val Ala Glu Gly 35 40 45 Lys Glu Val Leu Leu Leu Val His Asn Leu Pro Gln Gln Leu Phe Gly 50 55 60 Tyr Ser Trp Tyr Lys Gly Glu Arg Val Asp Gly Asn Arg Gln Ile Val 65 70 75 80 Gly Tyr Ala Ile Gly Thr Gln Gln Ala Thr Pro Gly Pro Ala Asn Ser 85 90 95 Gly Arg Glu Thr Ile Tyr Pro Asn Ala Ser Leu Leu Ile Gln Asn Val 100 105 110 Thr Gln Asn Asp Thr Gly Phe Tyr Thr Leu Gln Val Ile Lys Ser Asp 115 120 125 Leu Val Asn Glu Glu Ala Thr Gly Gln Phe His Val Tyr Pro Glu Leu 130 135 140 Pro Lys Pro Ser Ile Ser Ser Asn Asn Ser Asn Pro Val Glu Asp Lys 145 150 155 160 Asp Ala Val Ala Phe Thr Cys Glu Pro Glu Thr Gln Asp Thr Thr Tyr 165 170 175 Leu Trp Trp Ile Asn Asn Gln Ser Leu Pro Val Ser Pro Arg Leu Gln 180 185 190 Leu Ser Asn Gly Asn Arg Thr Leu Thr Leu Leu Ser Val Thr Arg Asn 195 200 205 Asp Thr Gly Pro Tyr Glu Cys Glu Ile Gln Asn Pro Val Ser Ala Asn 210 215 220 Arg Ser Asp Pro Val Thr Leu Asn Val Thr Tyr Gly Pro Asp Thr Pro 225 230 235 240 Thr Ile Ser Pro Ser Asp Thr Tyr Tyr Arg Pro Gly Ala Asn Leu Ser 245 250 255 Leu Ser Cys Tyr Ala Ala Ser Asn Pro Pro Ala Gln Tyr Ser Trp Leu 260 265 270 Ile Asn Gly Thr Phe Gln Gln Ser Thr Gln Glu Leu Phe Ile Pro Asn 275 280 285 Ile Thr Val Asn Asn Ser Gly Ser Tyr Thr Cys His Ala Asn Asn Ser 290 295 300 Val Thr Gly Cys Asn Arg Thr Thr Val Lys Thr Ile Ile Val Thr Glu 305 310 315 320 Arg Gln Asn Leu Thr Met Leu Pro Arg Leu Asp Ser Asn Ser Trp Ala 325 330 335 Gln Ala Ile Leu Pro Ser Val Ser Gln Ser Ala Glu Ile Thr Asp Asn 340 345 350 Ala Leu Pro Gln Glu Asn Gly Leu Ser Pro Gly Ala Ile Ala Gly Ile 355 360 365 Val Ile Gly Val Val Ala Leu Val Ala Leu Ile Ala Val Ala Leu Ala 370 375 380 Cys Phe Leu His Phe Gly Lys Thr Gly Arg Ala Ser Asp Gln Arg Asp 385 390 395 400 Leu Thr Glu His Lys Pro Ser Val Ser Asn His Thr Gln Asp His Ser 405 410 415 Asn Asp Pro Pro Asn Lys Met Asn Glu Val Thr Tyr Ser Thr Leu Asn 420 425 430 Phe Glu Ala Gln Gln Pro Thr Gln Pro Thr Ser Ala Ser Pro Ser Leu 435 440 445 Thr Ala Thr Glu Ile Ile Tyr Ser Glu Val Lys Lys Gln 450 455 460 <210> 4 <211> 368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3> CEACAM1 isoform 5 precursor <400> 4 Met Gly His Leu Ser Ala Pro Leu His Arg Val Arg Val Pro Trp Gln 1 5 10 15 Gly Leu Leu Leu Thr Ala Ser Leu Leu Thr Phe Trp Asn Pro Pro Thr 20 25 30 Thr Ala Gln Leu Thr Thr Glu Ser Met Pro Phe Asn Val Ala Glu Gly 35 40 45 Lys Glu Val Leu Leu Leu Val His Asn Leu Pro Gln Gln Leu Phe Gly 50 55 60 Tyr Ser Trp Tyr Lys Gly Glu Arg Val Asp Gly Asn Arg Gln Ile Val 65 70 75 80 Gly Tyr Ala Ile Gly Thr Gln Gln Ala Thr Pro Gly Pro Ala Asn Ser 85 90 95 Gly Arg Glu Thr Ile Tyr Pro Asn Ala Ser Leu Leu Ile Gln Asn Val 100 105 110 Thr Gln Asn Asp Thr Gly Phe Tyr Thr Leu Gln Val Ile Lys Ser Asp 115 120 125 Leu Val Asn Glu Glu Ala Thr Gly Gln Phe His Val Tyr Pro Glu Leu 130 135 140 Pro Lys Pro Ser Ile Ser Ser Asn Asn Ser Asn Pro Val Glu Asp Lys 145 150 155 160 Asp Ala Val Ala Phe Thr Cys Glu Pro Glu Thr Gln Asp Thr Thr Tyr 165 170 175 Leu Trp Trp Ile Asn Asn Gln Ser Leu Pro Val Ser Pro Arg Leu Gln 180 185 190 Leu Ser Asn Gly Asn Arg Thr Leu Thr Leu Leu Ser Val Thr Arg Asn 195 200 205 Asp Thr Gly Pro Tyr Glu Cys Glu Ile Gln Asn Pro Val Ser Ala Asn 210 215 220 Arg Ser Asp Pro Val Thr Leu Asn Val Thr Tyr Gly Pro Asp Thr Pro 225 230 235 240 Thr Ile Ser Pro Ser Asp Thr Tyr Tyr Arg Pro Gly Ala Asn Leu Ser 245 250 255 Leu Ser Cys Tyr Ala Ala Ser Asn Pro Pro Ala Gln Tyr Ser Trp Leu 260 265 270 Ile Asn Gly Thr Phe Gln Gln Ser Thr Gln Glu Leu Phe Ile Pro Asn 275 280 285 Ile Thr Val Asn Asn Ser Gly Ser Tyr Thr Cys His Ala Asn Asn Ser 290 295 300 Val Thr Gly Cys Asn Arg Thr Thr Val Lys Thr Ile Ile Val Thr Asp 305 310 315 320 Asn Ala Leu Pro Gln Glu Asn Gly Leu Ser Pro Gly Ala Ile Ala Gly 325 330 335 Ile Val Ile Gly Val Val Ala Leu Val Ala Leu Ile Ala Val Ala Leu 340 345 350 Ala Cys Phe Leu His Phe Gly Lys Thr Gly Ser Ser Gly Pro Leu Gln 355 360 365 <210> 5 <211> 468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3> CEACAM1 isoform 6 precursor <400> 5 Met Gly His Leu Ser Ala Pro Leu His Arg Val Arg Val Pro Trp Gln 1 5 10 15 Gly Leu Leu Leu Thr Ala Ser Leu Leu Thr Phe Trp Asn Pro Pro Thr 20 25 30 Thr Ala Gln Leu Thr Thr Glu Ser Met Pro Phe Asn Val Ala Glu Gly 35 40 45 Lys Glu Val Leu Leu Leu Val His Asn Leu Pro Gln Gln Leu Phe Gly 50 55 60 Tyr Ser Trp Tyr Lys Gly Glu Arg Val Asp Gly Asn Arg Gln Ile Val 65 70 75 80 Gly Tyr Ala Ile Gly Thr Gln Gln Ala Thr Pro Gly Pro Ala Asn Ser 85 90 95 Gly Arg Glu Thr Ile Tyr Pro Asn Ala Ser Leu Leu Ile Gln Asn Val 100 105 110 Thr Gln Asn Asp Thr Gly Phe Tyr Thr Leu Gln Val Ile Lys Ser Asp 115 120 125 Leu Val Asn Glu Glu Ala Thr Gly Gln Phe His Val Tyr Pro Glu Leu 130 135 140 Pro Lys Pro Ser Ile Ser Ser Asn Asn Ser Asn Pro Val Glu Asp Lys 145 150 155 160 Asp Ala Val Ala Phe Thr Cys Glu Pro Glu Thr Gln Asp Thr Thr Tyr 165 170 175 Leu Trp Trp Ile Asn Asn Gln Ser Leu Pro Val Ser Pro Arg Leu Gln 180 185 190 Leu Ser Asn Gly Asn Arg Thr Leu Thr Leu Leu Ser Val Thr Arg Asn 195 200 205 Asp Thr Gly Pro Tyr Glu Cys Glu Ile Gln Asn Pro Val Ser Ala Asn 210 215 220 Arg Ser Asp Pro Val Thr Leu Asn Val Thr Tyr Gly Pro Asp Thr Pro 225 230 235 240 Thr Ile Ser Pro Ser Asp Thr Tyr Tyr Arg Pro Gly Ala Asn Leu Ser 245 250 255 Leu Ser Cys Tyr Ala Ala Ser Asn Pro Pro Ala Gln Tyr Ser Trp Leu 260 265 270 Ile Asn Gly Thr Phe Gln Gln Ser Thr Gln Glu Leu Phe Ile Pro Asn 275 280 285 Ile Thr Val Asn Asn Ser Gly Ser Tyr Thr Cys His Ala Asn Asn Ser 290 295 300 Val Thr Gly Cys Asn Arg Thr Thr Val Lys Thr Ile Ile Val Thr Glu 305 310 315 320 Leu Ser Pro Val Val Ala Lys Pro Gln Ile Lys Ala Ser Lys Thr Thr 325 330 335 Val Thr Gly Asp Lys Asp Ser Val Asn Leu Thr Cys Ser Thr Asn Asp 340 345 350 Thr Gly Ile Ser Ile Arg Trp Phe Phe Lys Asn Gln Ser Leu Pro Ser 355 360 365 Ser Glu Arg Met Lys Leu Ser Gln Gly Asn Thr Thr Leu Ser Ile Asn 370 375 380 Pro Val Lys Arg Glu Asp Ala Gly Thr Tyr Trp Cys Glu Val Phe Asn 385 390 395 400 Pro Ile Ser Lys Asn Gln Ser Asp Pro Ile Met Leu Asn Val Asn Tyr 405 410 415 Asn Ala Leu Pro Gln Glu Asn Gly Leu Ser Pro Gly Ala Ile Ala Gly 420 425 430 Ile Val Ile Gly Val Val Ala Leu Val Ala Leu Ile Ala Val Ala Leu 435 440 445 Ala Cys Phe Leu His Phe Gly Lys Thr Gly Arg Thr Thr Pro Met Thr 450 455 460 His Leu Thr Arg 465 <210> 6 <211> 526 <212> PRT <213> Homo sapiens <220> <221> MISC_FEATURE <223> CEACAM1 isoform 1 precursor <400> 6 Met Gly His Leu Ser Ala Pro Leu His Arg Val Arg Val Pro Trp Gln 1 5 10 15 Gly Leu Leu Leu Thr Ala Ser Leu Leu Thr Phe Trp Asn Pro Pro Thr 20 25 30 Thr Ala Gln Leu Thr Thr Glu Ser Met Pro Phe Asn Val Ala Glu Gly 35 40 45 Lys Glu Val Leu Leu Leu Val His Asn Leu Pro Gln Gln Leu Phe Gly 50 55 60 Tyr Ser Trp Tyr Lys Gly Glu Arg Val Asp Gly Asn Arg Gln Ile Val 65 70 75 80 Gly Tyr Ala Ile Gly Thr Gln Gln Ala Thr Pro Gly Pro Ala Asn Ser 85 90 95 Gly Arg Glu Thr Ile Tyr Pro Asn Ala Ser Leu Leu Ile Gln Asn Val 100 105 110 Thr Gln Asn Asp Thr Gly Phe Tyr Thr Leu Gln Val Ile Lys Ser Asp 115 120 125 Leu Val Asn Glu Glu Ala Thr Gly Gln Phe His Val Tyr Pro Glu Leu 130 135 140 Pro Lys Pro Ser Ile Ser Ser Asn Asn Ser Asn Pro Val Glu Asp Lys 145 150 155 160 Asp Ala Val Ala Phe Thr Cys Glu Pro Glu Thr Gln Asp Thr Thr Tyr 165 170 175 Leu Trp Trp Ile Asn Asn Gln Ser Leu Pro Val Ser Pro Arg Leu Gln 180 185 190 Leu Ser Asn Gly Asn Arg Thr Leu Thr Leu Leu Ser Val Thr Arg Asn 195 200 205 Asp Thr Gly Pro Tyr Glu Cys Glu Ile Gln Asn Pro Val Ser Ala Asn 210 215 220 Arg Ser Asp Pro Val Thr Leu Asn Val Thr Tyr Gly Pro Asp Thr Pro 225 230 235 240 Thr Ile Ser Pro Ser Asp Thr Tyr Tyr Arg Pro Gly Ala Asn Leu Ser 245 250 255 Leu Ser Cys Tyr Ala Ala Ser Asn Pro Pro Ala Gln Tyr Ser Trp Leu 260 265 270 Ile Asn Gly Thr Phe Gln Gln Ser Thr Gln Glu Leu Phe Ile Pro Asn 275 280 285 Ile Thr Val Asn Asn Ser Gly Ser Tyr Thr Cys His Ala Asn Asn Ser 290 295 300 Val Thr Gly Cys Asn Arg Thr Thr Val Lys Thr Ile Ile Val Thr Glu 305 310 315 320 Leu Ser Pro Val Val Ala Lys Pro Gln Ile Lys Ala Ser Lys Thr Thr 325 330 335 Val Thr Gly Asp Lys Asp Ser Val Asn Leu Thr Cys Ser Thr Asn Asp 340 345 350 Thr Gly Ile Ser Ile Arg Trp Phe Phe Lys Asn Gln Ser Leu Pro Ser 355 360 365 Ser Glu Arg Met Lys Leu Ser Gln Gly Asn Thr Thr Leu Ser Ile Asn 370 375 380 Pro Val Lys Arg Glu Asp Ala Gly Thr Tyr Trp Cys Glu Val Phe Asn 385 390 395 400 Pro Ile Ser Lys Asn Gln Ser Asp Pro Ile Met Leu Asn Val Asn Tyr 405 410 415 Asn Ala Leu Pro Gln Glu Asn Gly Leu Ser Pro Gly Ala Ile Ala Gly 420 425 430 Ile Val Ile Gly Val Val Ala Leu Val Ala Leu Ile Ala Val Ala Leu 435 440 445 Ala Cys Phe Leu His Phe Gly Lys Thr Gly Arg Ala Ser Asp Gln Arg 450 455 460 Asp Leu Thr Glu His Lys Pro Ser Val Ser Asn His Thr Gln Asp His 465 470 475 480 Ser Asn Asp Pro Pro Asn Lys Met Asn Glu Val Thr Tyr Ser Thr Leu 485 490 495 Asn Phe Glu Ala Gln Gln Pro Thr Gln Pro Thr Ser Ala Ser Pro Ser 500 505 510 Leu Thr Ala Thr Glu Ile Ile Tyr Ser Glu Val Lys Lys Gln 515 520 525

Claims (13)

  1.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를 검출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와 비암 (非癌) 대조자 유래의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를 비교하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고,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가 비암 대조자 유래의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보다 높은 경우,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비암 대조자가, 정상인, 담도 양성 질환 환자, 또는 췌장 장액성 낭포선종 환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간외 담관암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가 63.9 ng/㎖ 초과일 때,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간내 담관암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가 55.0 ng/㎖ 초과일 때, 피험자는 간내 담관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담낭암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가 49.9 ng/㎖ 초과일 때, 피험자는 담낭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간외 담관암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가 71.5 ng/㎖ 초과일 때,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고,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을 진단하기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가 63.9 ng/㎖ 초과일 때, 피험자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CAM1 의 농도가 74.0 ng/㎖ 초과일 때, 피험자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에 이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혈액 시료가, 혈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간외 담관암이, 스테이지 Ⅰ ∼ ⅡB 로 분류되는 간외 담관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 시료 중의 CEA 및/또는 CA19-9 의 농도를 검출하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간외 담관, 간내 담관, 또는 담낭 조직 시료 중의 CEACAM1 을 검출하는 공정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11. CEACAM1 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 표지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의 진단용 키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추가로, CEA 및/또는 CA19-9 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그 표지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간외 담관암이, 스테이지 Ⅰ ∼ ⅡB 로 분류되는 간외 담관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KR1020170093027A 2016-07-25 2017-07-21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의 진단용 바이오 마커 KR1023726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03451 WO2018020530A1 (ja) 2016-07-25 2016-07-25 肝外胆管癌、肝内胆管癌、又は胆嚢癌の診断用バイオマーカー
KRPCT/JP2016/003451 2016-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725A true KR20180011725A (ko) 2018-02-02
KR102372697B1 KR102372697B1 (ko) 2022-03-08

Family

ID=5977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027A KR102372697B1 (ko) 2016-07-25 2017-07-21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의 진단용 바이오 마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41773B2 (ko)
EP (1) EP3276353B1 (ko)
JP (1) JP6255556B1 (ko)
KR (1) KR102372697B1 (ko)
CA (1) CA3029926C (ko)
WO (1) WO20180205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812A (ko) * 2021-01-07 2022-07-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담즙 내 철 의존성 세포사멸 또는 프레닐화 관련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36840A (zh) * 2019-10-21 2020-01-31 浙江大学 Mmp7、ctse或lamc2蛋白在制备肝内胆管细胞癌诊断试剂中的应用
WO2024034580A1 (ja) * 2022-08-08 2024-02-15 株式会社先端生命科学研究所 Ceacam1を検出する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1758A1 (en) * 2005-06-09 2007-03-29 Gal Markel CEACAM1 Based Cancer Therapy and Diagnosis
JP2011506941A (ja) * 2007-12-10 2011-03-03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 癌のマーカーとしてのセプラーゼ
US20120122122A1 (en) * 2009-07-21 2012-05-17 Tel Hashomer Medical Research Infrastructure And Services Ltd. Method of diagnosing cancer
JP5726170B2 (ja) * 2009-04-30 2015-05-27 テル ハショメール メディカル リサーチ 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ー アンド サービシズ リミテッド 抗ceacam1抗体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15139440A (ja) 2014-01-30 2015-08-03 東レ株式会社 胆管がんの検出キット及び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53906A (ja) * 2013-09-12 2015-03-23 学校法人順天堂 早期癌転移検出法および新規癌転移抑制薬のスクリーニング法
WO2015075710A1 (en) * 2013-11-25 2015-05-28 Ccam Biotherapeutics Ltd. Compositions comprising anti-ceacam1 antibodies, lymphocyte activating agents and activated lymphocytes for cancer therapy
JP2017133831A (ja) * 2014-05-28 2017-08-03 国立研究開発法人医薬基盤・健康・栄養研究所 大腸がんの転移検出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1758A1 (en) * 2005-06-09 2007-03-29 Gal Markel CEACAM1 Based Cancer Therapy and Diagnosis
JP2011506941A (ja) * 2007-12-10 2011-03-03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 アーゲー 癌のマーカーとしてのセプラーゼ
JP5726170B2 (ja) * 2009-04-30 2015-05-27 テル ハショメール メディカル リサーチ 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ー アンド サービシズ リミテッド 抗ceacam1抗体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120122122A1 (en) * 2009-07-21 2012-05-17 Tel Hashomer Medical Research Infrastructure And Services Ltd. Method of diagnosing cancer
JP2015139440A (ja) 2014-01-30 2015-08-03 東レ株式会社 胆管がんの検出キット及び検出方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riggs C D et al, European Journal of Cancer (2009.01.01.), vol 45, no 1, pp 33-47. *
Kondo Yoshihiro et al,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001.07.01.), vol 36, no 7, pp 470-475. *
Simeone, D.M. et al., Pancreas. (2007) 34 (4) : 436-443.
담도암 진료 가이드라인 작성 출판 위원회 편찬,「에비던스에 기초한 담도암 진료 가이드라인」, 의학 도서 출판 주식회사, 2007년, 38-39페이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9812A (ko) * 2021-01-07 2022-07-1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담즙 내 철 의존성 세포사멸 또는 프레닐화 관련 바이오마커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017723A (ja) 2018-02-01
JP6255556B1 (ja) 2018-01-10
KR102372697B1 (ko) 2022-03-08
US20180080935A1 (en) 2018-03-22
EP3276353A1 (en) 2018-01-31
CA3029926C (en) 2023-01-03
WO2018020530A1 (ja) 2018-02-01
CA3029926A1 (en) 2018-02-01
EP3276353B1 (en) 2020-09-09
US10641773B2 (en) 2020-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141285A1 (ja) 乳癌のバイオマーカー
JP6717428B2 (ja) カリウムチャネル蛋白質を用いた癌診断用組成物
WO2015182580A1 (ja) 大腸がんの転移検出方法
US20130040849A1 (en) Method and kit for cancer diagnosis
Charrier et al. Differential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and benign prostate hyperplasia using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KR102372697B1 (ko) 간외 담관암, 간내 담관암, 또는 담낭암의 진단용 바이오 마커
Scholz et al. Tspan-1 is a tetraspanin preferentially expressed by mucinous and endometrioid subtypes of human ovarian carcinomas
KR101777259B1 (ko) En2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단클론 항체 또는 이를 함유하는 전립선암 진단용 조성물
EP2757376A9 (en) Molecular marker for early indentification of pleural mesothelioma patients, and expression analysis method for same
JP5885243B2 (ja) 胆管細胞癌の検出方法および予防・治療剤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CN109517049B (zh) Linc00266-1多肽作为实体瘤标志物的应用
CN112334487B (zh) 用于诊断和治疗癌症的组合物和方法
Paterson et al. Expression of the serpin centerin defines a germinal center phenotype in B-cell lymphomas
US8252542B2 (en) Serpin B 13 as a marker for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Maeda et al. Blood tests for asbestos-related mesothelioma
US20230341403A1 (en) Methods and kits for the diagnosis of lung cancer
JP6729917B2 (ja) EphA2 N末端フラグメント抗体
EP3329283B1 (en) Method for the normalization of immunological tests
CN106191022B (zh) 一种肿瘤特异抗原及其应用
JP2013096783A (ja) 肺腺癌を判定するためのデータ検出方法、診断薬、及び診断用キット
KR20080092490A (ko) 대장암 진단용 단백질 마커 켈그라눌린 a와 켈그라눌린 b및 이들 각각에 대한 항체를 포함하는 대장암 진단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