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467A -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 Google Patents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467A
KR20180011467A KR1020180006095A KR20180006095A KR20180011467A KR 20180011467 A KR20180011467 A KR 20180011467A KR 1020180006095 A KR1020180006095 A KR 1020180006095A KR 20180006095 A KR20180006095 A KR 20180006095A KR 20180011467 A KR20180011467 A KR 201800114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frame
pin
slid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4001B1 (ko
Inventor
정민시
Original Assignee
정민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시 filed Critical 정민시
Publication of KR20180011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9/02Handles or hea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9/00Frozen sweets, e.g. ice confectionery, ice-cream; Mixtures therefor
    • A23G9/04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 A23G9/045Production of frozen sweets, e.g. ice-cream of slush-ice, e.g. semi-frozen bever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1/00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 A45B11/02Umbrella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attachment attached to the body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7/00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 A45B7/005Other sticks, e.g. of cranked shape crank-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5Combined cooling and he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6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oling receptacles, e.g. tan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 A45B2200/109Socke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1/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producing ice
    • F25C2301/002Producing ice slur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부가 거치될 수 있도록 2기의 전면프레임, 상기 각각의 전면프레임 상단에 경첩을 통해 결합되는 2기의 상면프레임, 상기 각각의 상면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후면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거치부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프레임 하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벨트부를; 구비하고 있어 다양하게 변화하는 실외 기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차양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우산부의 우산손잡이부를 이용하여 거치부에 결합될 수 있어, 실외작업시 우산부를 파지하지 아니하여 된다는 점에서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awning angle controllable umbrella holder}
본 발명은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실외 작업 시 다양하게 변화하는 기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상체착용 거치부에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부를 결속하여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천 시 비가 몸에 맞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한 손으로 우산손잡이를 파지하여 차양함으로써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 실외작업 수행시 비효율적이었다.
이에 대하여,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출원번호 제10-2014-0146251호의 우산거치대는 우천 중 실외 작업 시 사용자의 양팔을 이용하여 착용할 수 있는 우산장착본체와 상기 우산장착본체에 우산을 체결할 수 있도록 우산장착본체의 전면 일측에 우산장착부가 구비되어 있어 우산을 우산장착본체에 결합시켜 휴대함으로써, 사용자가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에 관하여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은 우산장착본체의 전면에 우산장착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우산을 거치할 때, 필연적으로 우산장착본체가 필요하였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거치대 각각의 구성요소는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우산의 상하 움직임을 지탱할 수 있었으나, 거치부의 좌우 흔들림에 대해서는 취약하여,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산부의 우산대 일단을 삽결할 수 있도록 상부손잡이 및 하부손잡이로 구분된 우산손잡이부를 구비하여, 우산손잡이부가 상기 본 출원인의 발명 출원번호 제10-2014-0146251호 우산거치대의 우산장착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은 상기의 우산장착부 없이도 우산부를 마네킹과 같은 소품 디자인 혹은 인테리어 벽면에 용이하게 거치하여 차양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실외 작업시에는 우산부를 거치부에 결합하여 차양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우천작업 시 우산을 파지하지 아니하고 휴대할 수 있으며 전 방향으로 차양각 조절이 가능하여 실외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부 착용자의 신체 조건 및 우산부의 하중에 대응하여 신체에 견고하게 결속될 수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거치부는 상기 우산부가 거치될 수 있도록 삽결부가 일체성형되어 있는 2기의 평행한 전면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전면프레임 상단에 경첩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2기의 굽은형 상면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상면프레임 사이에 경첩을 통해 결합되는 후면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체형을 불문하고 착용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벨트부는 상기 전면프레임 하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전면프레임간 좌우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제1조절부 또는 상체에 밀착 고정시키는 제2조절부 중 1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신체사이즈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거치부가 분절형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벨트부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가 상체착용 거치부를 착용할 시, 사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대응하여 견고한 착용을 도모할 수 있으며, 우산부의 우산손잡이부를 이용하여 거치부에 결합될 수 있어, 실외작업시 우산부를 파지하지 아니하여 된다는 점에서 작업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체착용 거치부를 피복 내부에 삽입할 수 있으며, 산업현장에서는 X반도 어깨끈에 삽입하여 우산거치 X반도로 활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에 거치될 수 있는 우산부에 대한 전체도이다.
도 2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의 거치부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5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의 거치부에 세부도이다.
도 6은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의 거치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8은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에 대한 실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우산부는
우산부(100)가 거치될 수 있도록 2기의 평행한 전면프레임(210), 상기 각각의 전면프레임 상단에 경첩(250)을 통해 결합되는 2기의 굽은형 상면프레임(220), 상기 각각의 상면프레임 사이에 경첩을 통해 결합되는 후면프레임(270)으로 구성되어 있는 거치부(200)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프레임 하단에 설치되는 벨트부(260)를; 구비하고 있어 다양하게 변화하는 실외 기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전방향으로 회동하여 차양각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거치부(200)는 판형태의 삽결부(211)가 전면에 일체 형성되어 있는 2기 전면프레임(210)과; 상기 각각의 전면프레임 상단에 경첩(250)으로 결합되는 2기의 굽은 분절형 상면프레임(220)과; 상기 각각의 상면프레임의 사이 후면에 경첩으로 결합될 수 있는 후면프레임(27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면프레임(270)은 각각의 후면사이드프레임(230)과; 상기 후면사이드프레임사이에 결합되는 후면중앙프레임(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면사이드프레임(230)은 후면사이드프레임이 상면프레임(220)과 경첩으로 결합된 일측의 타단에 성형되어 있으며 핀체결구(232)가 형성된 핀체결부(231)와; 상면프레임(220)과 경첩으로 결합된 일측의 타단에 형성된 슬라이더삽결부(2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후면사이드프레임(230) 사이에 결합되는 후면중앙프레임(240)은 그 양단에 형성된 핀체결돌출부(241)와; 상기 슬라이더삽결부(233)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242)로; 구성되어 있다. 즉, 후면중앙프레임(240)은 후면중앙프레임 양단의 핀체결돌출부(241)와 후면사이드프레임의 핀체결부(231)에 회전핀(235)을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후면중앙프레임의 양단에 성형된 슬라이더(242)가 후면사이드프레임(230)에 형성된 슬라이더삽결부(233)에 삽입되거나 분리됨으로써 회전핀(235)을 축으로 한 안정적인 회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상기 경첩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회전축을 가질 수 있는 구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기술로부터의 유추가 자명하므로 별도로 설시하지 아니하기로 한다.
상기 삽결부(211)는 상기 우산손잡이부에 형성된 결속구에 삽입, 고정되어 우산부를 거치할 수 있다.
상기 벨트부(260)는 전면거치대(21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삽결될 수 있으며, 각기 상이한 사용자의 신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거치부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벨트부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조절부(261) 또는 제2조절부(262) 중 1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조절부는 전면프레임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제2조절부는 신체에 거치부를 밀착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으며 벨트부의 길이 조절은 공지된 기술로부터의 유추가 자명하므로 별도로 설시하지 아니하기로 한다.
실시예로는,
거치부(200)는 전면프레임(210), 상면프레임(220) 및 후면프레임(270)을 결합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더욱이, 후면프레임은 후면사이드프레임(230)과 후면중앙프레임(2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후면사이드프레임(230)을 경첩(250)으로 상면프레임에 결합하고, 후면사이드프레임 사이에 후면중앙프레임을 결합하여 분절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전면프레임과 상면프레임 또한, 분절형으로 제작될 수 있어, 착용자의 신체사이즈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피복, 가방 또는 벨트의 형태에 따라 우산거치대를 피복에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어 그 활용성을 극대화시켰다.
경첩(250)을 이용한 결합을 통하여, 착용자 몸체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신체의 전면에 전면프레임과 어깨에 걸쳐지는 상면프레임(220)의 이격간격이 확장될 수 있으며, 후면사이드프레임(230)사이에 회전핀(235)으로 결합되는 후면중앙프레임(240)을 이용하여, 착용자 몸체 너비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거치부는 의복, 가방에 삽결되거나 일체로 제작되어 의복과 같이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착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전면프레임 하단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벨트부를 구비하고 있어, 거치부를 착용자 몸체사이즈에 대응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전면프레임의 삽결부(211)는 상기 우산손잡이부에 형성된 결속구에 삽입, 고정되어 우산부를 거치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본 발명은 당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자명함으로 상기한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우산부
110. 캐노피
120. 우산대
130. 우산손잡이부
133a. 결속구
200. 거치부
210. 전면프레임
211. 삽결부
220. 상면프레임
230. 후면사이드프레임
231. 핀체결부
232. 핀체결구
233. 슬라이더삽결부
235. 회전핀
240. 후면중앙프레임
241. 핀체결돌출부
242. 슬라이더
250. 경첩
260. 벨트부
261. 제1조절부
262. 제2조절부
270. 후면프레임
280. 의복

Claims (9)

  1.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에 있어서,
    2기의 전면프레임과;
    상기 전면프레임 상단에 결합되는 2기의 상면프레임과;
    상기 각각의 상면프레임의 사이 후면에 결합될 수 있는 후면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분절형 거치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후면프레임은 각각의 상면프레임사이에 결합할 수 있는 후면사이드프레임과;
    상기 후면사이드프레임사이에 결합되는 후면중앙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후면사이드프레임은 상면프레임과 결합된 일측의 타단에 성형되어 있고 핀체결구가 형성된 핀체결부 및 상면프레임과 결합된 일측의 타단에 형성된 슬라이더삽결부로 구성되며,
    후면중앙프레임은 그 양단에 형성된 핀체결돌출부 및 상기 슬라이더삽결부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로 구성되며,
    상기 핀체결돌출부와 핀체결부에 체결되는 회전핀을 더 포함하여,
    후면중앙프레임의 양단에 성형된 슬라이더가 후면사이드프레임에 형성된 슬라이더삽결부에 삽입되거나 분리됨으로써 회전핀을 축으로 한 회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전면프레임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삽결될 수 있으며, 각기 상이한 사용자의 신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거치부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전면프레임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제1조절부 또는 신체에 거치부를 밀착할 수 있는 제2조절부 중 1이상으로 구성된 벨트부를; 더 포함하여 벨트부의 길이와 전면프레임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면프레임과 후면프레임은 분절형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6. 제 1항에 있어서,
    전면프레임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삽결될 수 있으며, 각기 상이한 사용자의 신체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사용자의 신체와 거치부의 이격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전면프레임간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제1조절부 또는 신체에 거치부를 밀착할 수 있는 제2조절부 중 1이상으로 구성된 벨트부를; 더 포함하여 벨트부의 길이와 전면프레임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7. 제 1항에 있어서,
    거치부는 의복 또는 가방에 삽결되거나 의복 또는 가방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8. 제 1항에 있어서,
    후면프레임은 각각의 상면프레임사이에 결합할 수 있는 후면사이드프레임과;
    상기 후면사이드프레임사이에 결합되는 후면중앙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9. 제 1항에 있어서,
    후면사이드프레임은 상면프레임과 결합된 일측의 타단에 성형되어 있고 핀체결구가 형성된 핀체결부 및 상면프레임과 결합된 일측의 타단에 형성된 슬라이더삽결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후면중앙프레임은 그 양단에 형성된 핀체결돌출부 및 상기 슬라이더삽결부에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도록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핀체결돌출부와 핀체결부에 체결되는 회전핀을; 더 포함하여,
    후면중앙프레임의 양단에 성형된 슬라이더가 후면사이드프레임에 형성된 슬라이더삽결부에 삽입되거나 분리됨으로써 회전핀을 축으로 한 회전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KR1020180006095A 2015-11-06 2018-01-17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KR1019140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94A KR20150142647A (ko) 2015-11-06 2015-11-06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및 이를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KR1020150156094 2015-11-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1926A Division KR101868685B1 (ko) 2015-11-06 2016-06-29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467A true KR20180011467A (ko) 2018-02-01
KR101914001B1 KR101914001B1 (ko) 2018-11-02

Family

ID=55081872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094A KR20150142647A (ko) 2015-11-06 2015-11-06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및 이를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KR1020160081926A KR101868685B1 (ko) 2015-11-06 2016-06-29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KR1020180006095A KR101914001B1 (ko) 2015-11-06 2018-01-17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094A KR20150142647A (ko) 2015-11-06 2015-11-06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및 이를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KR1020160081926A KR101868685B1 (ko) 2015-11-06 2016-06-29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201501426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2647A (ko) * 2015-11-06 2015-12-22 정민시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및 이를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CN110269372B (zh) * 2019-04-18 2021-02-05 邵东市华帝龙箱包有限公司 一种组装式运动臂包
KR20200126181A (ko) 2019-04-29 2020-11-0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 기울기 조절 우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6826A (en) * 1958-10-03 1960-03-01 Conrad William Adjustable umbrella holder
JP2004016793A (ja) * 2002-06-20 2004-01-22 Toei Kogei:Kk 傘ホルダー
US7275668B1 (en) * 2003-11-14 2007-10-02 Emmitt Carroll Umbrella/cup holder device
JP2009165787A (ja) * 2008-01-11 2009-07-30 Tsuneo Sakuma 日傘ショルダー器具
KR101482915B1 (ko) * 2014-10-27 2015-01-16 정민시 우산거치대
KR20150142647A (ko) * 2015-11-06 2015-12-22 정민시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및 이를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6826A (en) * 1958-10-03 1960-03-01 Conrad William Adjustable umbrella holder
JP2004016793A (ja) * 2002-06-20 2004-01-22 Toei Kogei:Kk 傘ホルダー
US7275668B1 (en) * 2003-11-14 2007-10-02 Emmitt Carroll Umbrella/cup holder device
JP2009165787A (ja) * 2008-01-11 2009-07-30 Tsuneo Sakuma 日傘ショルダー器具
KR101482915B1 (ko) * 2014-10-27 2015-01-16 정민시 우산거치대
KR20150142647A (ko) * 2015-11-06 2015-12-22 정민시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 및 이를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647A (ko) 2015-12-22
KR101868685B1 (ko) 2018-06-18
KR20170053558A (ko) 2017-05-16
KR101914001B1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4001B1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US5533558A (en) Creative purse with interchangeable decorative covering
US7677722B1 (en) Device for attaching to eyeglass frame
US10054983B2 (en) Wearable propping display apparatus improvements
US20140250640A1 (en) Device for securing an article of clothing
WO2016068540A1 (ko) 우산거치대
IL250880A (en) Kits for handles decoration and how to use them
KR20120002099A (ko) 가변형 쥬얼리
KR20180002546A (ko) 차양각 조절이 가능한 우산을 거치할 수 있는 우산거치대
US7147323B1 (en) Sun hat with eyeglasses
US5076681A (en) Eyeglass frame temple and eyeglass frame comprising same
CN201418448Y (zh) 球体携带装置
CN107678176B (zh) 一种单镜腿眼镜架
JP5221799B1 (ja) 傘装着具
US20040079773A1 (en) Cap hanger
KR101476541B1 (ko) 편심 가능한 우산
KR200369510Y1 (ko) 어깨걸이용 우산홀더
KR200437725Y1 (ko) 우산 착용구
KR200350072Y1 (ko) 안경과 보조안경의 연결장치
KR200490625Y1 (ko) 모자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선글라스 걸이구
CN212787681U (zh) 一种改进型旋转绳扣
CN209879171U (zh) 一种单镜腿眼镜架
KR200326452Y1 (ko) 펜던트 및 반지 겸용 휴대폰 손잡이줄
KR200458997Y1 (ko) 우산 결착용 멜빵
WO2017078357A1 (ko) 상체착용거치대에 거치할 수 있는 차양각 조절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